수십 년 분리수거 했는데..."플라스틱 재활용은 사기극" / YTN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앵커]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플라스틱 생산과 이에 따른 오염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인류는 오랜 기간 재활용 정책을 추진해왔습니다.
    하지만 플라스틱의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건 생산업체들이 꾸며낸 사기극이라는 비판이 나오면서 최초의 소송전이 벌어지게 됐습니다.
    보도에 유투권 기자입니다.
    [기자]
    전 세계에서 매일 쏟아지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대략 100만 톤,
    이 가운데 재활용되는 비율은 9%에 불과합니다.
    방치되거나 소각되는 나머지 폐기물은 결국, 인간의 몸속까지 침투하고 있습니다.
    [코스타스 벨리스 영국 리즈대 교수 : 미세 플라스틱은 우리의 모든 환경 그러니까 흙이나 물, 식수, 식량, 마시는 공기 중에 존재합니다.]
    선진국에서도 플라스틱 재활용의 비율이 낮은 데엔 근본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수천 가지의 플라스틱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분류에 성공하더라도 화학 첨가제나 착색제 때문에 포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최근엔 플라스틱을 원료 단계로까지 분해하는 '화학적 재활용'이 도입되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갈 길이 먼 상황입니다.
    이처럼 재활용의 한계가 분명해지면서 플라스틱 생산업체들이 비판의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재활용만으론 플라스틱 오염을 해결할 수 없다는 사실을 오래전부터 알고 있으면서도 소비자들을 속여왔다는 겁니다.
    급기야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일회용 플라스틱 재료의 최대 생산 기업인 엑손모빌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플라스틱 오염에 관련된 최초의 소송으로, 만일 배상 책임이 인정되면 그 액수는 수조 원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롭 본타 미국 캘리포니아주 법무장관 : 엑손모빌은 1970년대부터 플라스틱 오염과 재활용의 진실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도 여전히 플라스틱 재활용이 해답이라는 신화를 공개적으로 홍보하고 있습니다.]
    엑손모빌은 정책 실패의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며 강력히 반발하고 나서면서 치열한 법정 공방을 예고했습니다.
    YTN 유투권입니다.
    영상편집;한경희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www.ytn.co.kr/...
    ▶ 제보 하기 : mj.ytn.co.kr/m...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КОМЕНТАРІ • 27

  • @iamunic
    @iamunic 4 місяці тому +5

    화석연료 정유 부산물인데 고분자 화합물만의 특장점도 있어서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을 제한하는게 제일 중요한거 같아요.
    어차피 인간의 존재 자체가 엔트로피를 증가시키니 저것만 없앤다고 해결이 되진 않을듯...

  • @eva-rei
    @eva-rei 4 місяці тому +16

    기업이 버리는 쓰레기가 압도적이긴 하지

  • @peppo9593
    @peppo9593 4 місяці тому +9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쓰레기 배출량을 최대한 줄이는 방향으로 행동해야합니다.
    가능하면 다회용기 사용해야하구요.

    • @05cw
      @05cw 4 місяці тому

      엿이나처드세요 너나하라고

  • @띵똥-s3z
    @띵똥-s3z 3 місяці тому +2

    재활용이 잘 된다고 해도, 재활용을 위한 가공 자체에 에너지가 들어가기때문에 결국은 탄소발자국을 남깁니다
    애초에 다회용기 사용으로 플랏
    틱쓰레기를 안 만드는게 최고에요!

  • @Yooks777
    @Yooks777 4 місяці тому +7

    프라스틱쓰지맙시다.. 종이로ㅠ
    결국인간의몸속으로 침투한다고합니다 무서워요 ㅠㅠ😮

  • @이정주-k7u
    @이정주-k7u 3 місяці тому +1

    근데 종량제에 다버리기엔 용량이 ㅈㄴ먹어서 봉투 수십장써야될듯;

  • @유태우-g9y
    @유태우-g9y 4 місяці тому +1

    주택가는 재활용, 일반쓰레기 모두 압축차에 넣고 가더구만 열심히 분리수거해도 헛짓...

  • @오늘도일상
    @오늘도일상 4 місяці тому +2

    대한민국 어딜 가도. 쓰레기 들이 있더라.
    계곡을 가도.
    바다를 가도.
    산을 가도.
    어딜 가도...

    • @폭행고릴라
      @폭행고릴라 3 місяці тому

      국회를가도 회사를가도
      용산은가니 왕자 쓴 왕쓰레기가 있더라.

  • @caizerssoze
    @caizerssoze 4 місяці тому +3

    유리병으로 다시 돌아가즈아.....

  • @김민석-e7r
    @김민석-e7r 2 місяці тому

    그냥 화학적으로 녹여서 재활용 하던가 하자
    후손한테 짬시키지말고

  • @farafutu
    @farafutu 2 місяці тому

    플라스틱 = 일반쓰레기 라고 보는게 맞는듯.. 재활용 헛수고네

  • @경성호-y4h
    @경성호-y4h 3 місяці тому +1

    ㅋㅋ 지자체는 사기쳐서 세금냠냠

  • @jamanewang7641
    @jamanewang7641 4 місяці тому

    환원유도 사기인가 아닌가

  • @user-cg7qn4xw7l
    @user-cg7qn4xw7l 4 місяці тому +1

    석유화와 가스화는 사기를친 것이냐?

  • @ys03-샤프맨1ys
    @ys03-샤프맨1ys 2 місяці тому

    인간들이 편하자고 만든 것들이 지구를 병들게 하고 그로인해 지구가 뜨거워 지고 사막화가 더 빠르게 진행되어 가고 있다 "산림 파괴도" 한쪽에선 먹지못해 죽고 뜨거서 타죽는다 플라스틱 없애고 재활용기로 했으면 좋겠다

  • @놀아죠-r2w
    @놀아죠-r2w 4 місяці тому

    페트병이 다른 플라스틱용품으로 재활용하지않은것인가요.?

    • @ilillililiiilllliiliillli
      @ilillililiiilllliiliillli 4 місяці тому

      그 비율이 엄청 닞아요

    • @Car60xyIic
      @Car60xyIic 3 місяці тому

      그래도 페트병은 재활용 되는 편
      운동화나 옷이나 이불 등

  • @르전기실설명
    @르전기실설명 4 місяці тому +1

    쓰질 말아라 인간들아

  • @nadearo
    @nadearo 4 місяці тому

    9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