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상륙장갑차 KAAV-2는 얼마나 혁신적인 체계인가? KAAV-2의 논란 정리!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1 тра 2024
  • [참고자료]
    본 컨텐츠는 '쉘든의 밀리터리'의 자문을 받고 만들어졌습니다.
    쉘든의 밀리터리
    -KAAV-II 설계
    -KAAV-II 동력체계
    -KAAV-II 냉각장치
    -KAAV-II 현수장치
    -KAAV-II 가변형 현수장치 기술
    국방과 기술 제479호 'KAAV-Ⅱ를 위한 세계 차세대 상륙장갑차 개발'
    [영상출처]
    [Bemil 최신무기 동영상] 수리온 기반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영상
    [BEMIL 현장취재 동영상] 상륙 까다로운 서해안에서 펼쳐진 해군, 해병대의 연대급 합동상륙 현장
    *무례하거나 정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00인트로
    1:08동력장치와 냉각장치
    3:05현수장치와 파도막이
    4:47방호력과 화력
    5:36KAAV2의 논란정리

КОМЕНТАРІ • 188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Рік тому +78

    저작권 문제가 발생한 영상을 제거하고 다시 올렸습니다. 시청에 불편함을 드려 죄송합니다. 다음 컨텐츠는 준비되는대로 올리겠습니다.

    • @jmim5018
      @jmim5018 10 місяців тому

      여하튼 웅장해집니다.정말 마치 인구 2억 정도 되는 국가의 무기체계!!
      쓸데없이 이상한?적에게? 단 1원도 쓰지말고 이런 곳에 예산이 투입되어야죠

  • @jh729
    @jh729 8 місяців тому +45

    얼마전 KAAV2 시험운용중 침몰사고로 연구원 2분이 돌아가셨습니다. 고인들의 명복을 빕니다

    • @jungking4033
      @jungking4033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언제까지 불안하게 만들어 인명을 희생시키는지...토쿄장기거주민

    • @user-zw8fw2ok1l
      @user-zw8fw2ok1l 2 місяці тому

      안타까운 일이군요.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user-vv5xq4tt6g
    @user-vv5xq4tt6g Рік тому +21

    보기 드물게 썸네일이 과장되지도 않고 불필요한 외국 영상등을 짜집기 하지도 않고 정직해서 좋습니다.

  • @user-fb9bk9lo8r
    @user-fb9bk9lo8r Рік тому +53

    6:16 중공군 남하를 대비한 우리 KAAV2 반드시 성공했으면 좋겠네여!
    대한민국 해병대를 위한 최고의 제품이 무사히 개발 양산되길 기원합니다

  • @user-qh8yl2xv1w
    @user-qh8yl2xv1w Рік тому +5

    또보고 좋네요 다음에 올라올거 생각하니 기대되네요

  • @azuriness
    @azuriness Рік тому +35

    최곱니다 초급간부 교육할 때 사용하고 싶을 정도로 고품질 영상이네요

  • @user-lz9hz6xw4q
    @user-lz9hz6xw4q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영상 잘 만드셨네요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어요
    아들이 9월훈련 예정이라
    찾아보게 되었어요

  • @ingul68
    @ingul68 Рік тому +1

    기달렸어요...ㅋㅋ

  • @lifehappy2613
    @lifehappy2613 Рік тому +6

    구독자수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니길.. 그림으로 설명을 해주시니 이해하는데 큰 도움되네요 그런데 너무 기술이 다 노출되는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 ㅎㅎ 뭐 관련업계에서는 일반기술인거겠죠??

  • @user-du5eh1ud9w
    @user-du5eh1ud9w Рік тому +9

    수준 높은, 무기 리뷰 채널. 잘 보고 갑니다. 화이팅!

  • @user-hs5yk3vo8c
    @user-hs5yk3vo8c Рік тому +3

    이분 진정 밀덕이네.

  • @boyaknam
    @boyaknam 2 місяці тому

    감사합니다

  • @ThePodori
    @ThePodori Рік тому +17

    kaav2는 미국의 efv가 하던 초고성능을 포기하고 적당한 기술로 타협을 한거죠,,그래서 실패할 확률도 적어졋고요..수상속도만봐도 efv와 kaav2는 차이가 많이 남니다

    • @user-ev9ln2qn4l
      @user-ev9ln2qn4l Рік тому +1

      80% 성능을 추구하고 비용도 80%를 절약......

  • @k.bm17
    @k.bm17 Рік тому +1

    최근은 아니고 몇달전에 축소모형 실험중이라는데
    올해 아덱스에서 실물목업을 볼 수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 @user-vg6xq4lq1c
    @user-vg6xq4lq1c Рік тому +3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에서와 같이 드론,제블린, 등 위에서 내리꽂는 무기가 주도하는 장차의 전쟁에서 해상상륙작전이 어떻게 바뀌어야할지에 대한 고견을 올려주세요?!

  • @mangwonfish
    @mangwonfish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대규모 상륙전은 중국군때문이 아니고 휴전선의 밀집된 화력을 회피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휴전선을 직선으로 돌파해서 북진한다고 하면 한국미국이 시뮬레이션을 아무리 돌려도 답이 없을정도로 막대한 희생이 요구돼서 휴전선을 뛰어넘어 상륙을 한다는 개념을 계속 유지하고있습니다

  • @user-ys5tg9dj1g
    @user-ys5tg9dj1g Рік тому


    보구
    가내유...^^

  • @AutoK-18SB
    @AutoK-18SB Рік тому

    케이에이에이브이투 정말 멋지네요

  • @yong-gilchoi8614
    @yong-gilchoi8614 Рік тому +3

    현대 전투현장은 상륙작전을 무위로 돌리게 하는 첨단 무기의 등장으로 완전히 새로운 작전개념을 수립하지 않으면 몰살당할 뿐이다.

  • @user-pi4xc3vb5e
    @user-pi4xc3vb5e Рік тому +11

    7:24초에 나오는 '압도적인 방공망하에 지상 목표물 공격'이 아니라 '적 방공망을 압도적인 공중전력으로 제압'하는게 맞는 이야기가 아닐까합니다.

    • @jeropark9922
      @jeropark9922 Рік тому +1

      그 부분에서 '압도적인 방공망 하에'라는 것은 아마도 이지스함 등 함선의 방공망 아래에서 상륙하는 병력들이 순항 미사일, CAS 등의 지원을 받아서 남아있는 해안가의 상륙 저지 병력들을 공격한다 이런 뜻 같습니다.

  • @pepsi950
    @pepsi950 Рік тому +5

    앞으로 능동방어는 필수 일듯.

  • @user-qb7bx7ey3l
    @user-qb7bx7ey3l Рік тому +1

    👍👍👍

  • @user-ko9te4jj4u
    @user-ko9te4jj4u Рік тому +29

    사실 저렇게 움직이는 장치들이 많으면 정비핼이겠죠 EFV가 실패한 이유중 하나이기 때문에 내구성 밑 정비성을 잘 해결했길 바랍니다

    • @miragecomp
      @miragecomp Рік тому

      그러게요 미해병대에서도 그런문제로 결국 개발 백지화 했다던데.. 과연 어떻게 해결할지...

    • @jmim5018
      @jmim5018 10 місяців тому

      그러게 말입니다. 일부 모지리들은 우방 아메리카를 기술을 준다 안준다 징징대는데요
      1)우리도 막 퍼주지 않고 2)특히 이번 상륙장갑 미국이 공개적으로 도와줄 것을 약속한 프로젝트죠.

  • @dolkang6499
    @dolkang6499 Рік тому +4

    전방에서 불어오는 작전에서는 무인선연막발생기를 사용하라 선두장갑차의 연막살포는 위치를 스스로 알려주는 타켓팅자처 실패요인이다.장갑차의 연막은 바람을 등에 지고서 살포해야지 앞바람 연막살포는 자멸길~

  • @user-hg3ro2ob6k
    @user-hg3ro2ob6k Рік тому +11

    세계 최고의 해병전력을 가진 미해병대도 우리 KAAV-2와 비슷한 신형 상륙장갑차를 개발하여 시제차량 몇대를 시험운용하다 결국 예산문제로 백지화하며 포기하고 현재 LAV-25와 비슷한 차륜형 상륙장갑차를 개발배치 하기 시작했고 남는 AAVP -7A1을 일본에 공여하거나 보관중인데 우리군은 또한번 진보한 상장차를 개발하는군요... 최근 미해병은 경량화 정책으로 보유한 전차대대의 M1A1전차도 전부 반납 전차대대도 해체하였는데 우리군은 전량 K1A2와 K1E1으로 3세대급 이상의 전차대대로 전환하여 화력과 기동력을 증가시켰는데 역시 세계2위의 해병전력을 가진 해병대 답습니다... 바라건데 육군의 실패한 보병전력증강 무기사업이었던 K-11이 미국을 뛰어넘은 보병화력증강 사업이라 떠벌리다 결국 오작동과 폭발사고로 예산만 낭비하고 폐기처분된 사업처럼 되지 않게 끝까지 제대로 개발하여 K9이나 K2처럼 성공한 가성비 갑인 해병 기갑전력이 되기를 바랍니다...!

    • @user-il6jq7kw8z
      @user-il6jq7kw8z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미국이포기했다고 우리도못한다는말은시기상조다 어디까지해봤냐 .우리연구원.기술진 생산업체가 못할것이라생각은금물이다 질긴놈이이긴다는우리말도있다 배행기개발할때도 이런말이있었다 지금잘비행하고있다 끝까지해보지도안했는데 ?????

    • @user-jf4df2wv2q
      @user-jf4df2wv2q 10 місяців тому

      ​@@user-il6jq7kw8zk11꼴 나겠구만유

    • @MakeJapanGreatAgain731
      @MakeJapanGreatAgain731 9 місяців тому +2

      독립이후 본토에서 전쟁을 한적도 없고 할 일도 없는 미국과
      본토에서의 대규모 방어전을 최우선으로 염두에두고 있는 우리나라의 전술차이에 따른 장비차이는 어쩔 수 없죠.

  • @Chungkukzang
    @Chungkukzang Рік тому +6

    솔직히 kaav2 속도가 느려터진건 어쩔수 없다지만 22km가 아니고 2km라도 과연 살아남을수 있을지 걱정입니다.

    • @miragecomp
      @miragecomp Рік тому

      실제로는 30킬로 이상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EAV 에서 사용하려고 했던 독일산 2700 마력 엔진도 장착 고려즁이라고 하니 좀더 기대해보셔도..

  • @user-fx6jr5zf1t
    @user-fx6jr5zf1t Рік тому +10

    상륙 장갑차 안에서 소형 무인전차가 먼저 상륙해야 한다. 거기에 방어 프로텍트를 설치할 수 있는 무인 프로텍트 설치기도 같이 상륙해야 된다. 무조건 인명을 최대한 구조할 수 있어야 한다.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Рік тому +2

      네 실제로 최근에 kaav-2를 무인 전투 장갑차로 개조하려는 움직임이 있더라구요. kaav-2를 해병대 다목적 전투병기로 제작하려는거 같습니다

    • @kimshanha
      @kimshanha 11 місяців тому

      조끔 낫다.

  • @ysydeath
    @ysydeath Рік тому +6

    미국이 개발하다 엎어진 EFV와 같은데..성공한다면 대단하네요.

  • @lamoking647
    @lamoking647 Рік тому +11

    계속보니 서방 기갑장비 위장색도 나쁘지 않네요. 그래도 KAAV 2 에서 국군 기갑차량 위장색을 도트로 바꾼게 더 멋진거 같아
    실전배치에도 그렇게 칠해지면 좋을꺼 같습니다

    • @byeongsinbiho
      @byeongsinbiho Рік тому +1

      육군은 도색이 나토3색으로 바뀐건지 아님 기존 흰지렁이로 가는지 모르겠음. 최근에 배치한 장비들 보면 K808 , K806이나 소형전술차량들은 3색인데 K600 개척전차 , 천무같은 무기들은 또 흰지렁이이고

  • @jinyumin99
    @jinyumin99 Рік тому +6

    미국의 ACV 같은 상륙돌격장갑차는 현재로썬 우리 해병대에게 필요 하지 않나요? 즉 차륜형 장갑차는 필요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 @cassiusemmanualtheyoutubep3171

    Cool! I like amphibious vehicles.

  • @user-gw2ni1sf3q
    @user-gw2ni1sf3q Рік тому +2

    미국에 전쟁 경험을 무시하면 안됨! 시대가 변하면 전술도 변함! 미국 해병대는 이젠 해상 상육 작전은 없어진지 오래임! 인명 피해가 심각한 상육자전 보다는 소수 정해 또는 항공지원 적의 전투력을 마비 시킨후 오스프리나 핼기로 상육작전을 함! 다 이유가 있는 거임! 적 임장에선 느린 상육장갑차는 그냥 손쉬운 표적임!

  • @user-dy1ir4ju1f
    @user-dy1ir4ju1f Рік тому +5

    과연 13에서 20이 크게 와닿을까... 수치상으론 50% 증가이긴 하지만.. 차기로 치면 그닥 달라지는 건 없을듯. 뭣보다 조종석에서 해치 닫으면 보이지않는 유리 말고 확실한 전자장비나 다른 방법을 강구했으면 함. 미션은 얼마나 유리미션인지 일이병들 한 번 잘못 넣으면 스패너로 정비모 맞기 일쑤였음..

    • @LCH0228
      @LCH0228 Рік тому +2

      13과 20차이가 직선거리상으로는 별로 차이가 없을거라고 봅니다
      근데...13에서 20으로 속도가 올라갔다는것은 추력이 상승한것이겠죠
      그 상승한 추력이 속도보다는 변화가 심한 바다에서의 움직임에 도움이 있을거라고 봅니다
      가는 시간보다 가는동안에 장애물극복차원의 개선이요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Рік тому +3

      20km/h는 운용요구성능에 가깝고 실제로는 30km/h보다 더 빠를거라고 합니다

  • @user-xd1yp7ru1p
    @user-xd1yp7ru1p Рік тому +2

    미군도 하다가 실패한것인데 잘 될지 걱정이네요

  • @user-ki6xv8vi1p
    @user-ki6xv8vi1p Рік тому +2

    상륙장갑차의 단점
    아무리 보완하려 해도 기동성 대비 장갑이 약하여 중기관총 또는 유탄발사기에 매우 취약함
    덩치도 크고 느려서 피하는건 불가능
    장점이라 한다면 다양한 무장이 탑재 가능하다는 것과 상륙하고 난 뒤에 장갑차로 운용이 가능하다는건데
    그점 역시 일반 장갑차의 하위호환 및 역시 빈약한 기동성 때문에 오히려 움직이는 표적
    미국에서 사용중인 호버크래프트(?)인지 그것도 육상 해상에서 동시 운용가능한걸로 아는데 직사화기에 취약하다는 단점은 있지만
    오히려 기동성이 좋아서 회피도 좋으며 유탄과 포등의 공격에 파괴되는 것 보단 뒤집어 경우가 있어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다 생각합니다.
    당장에 kaav1이 7.62미리 방탄 12.7미리 방호에 불과한데 기동성을 비롯한 여러 문제점이 있는데 그걸 아무리 개선해봐야 태생적인 한계점이 뚜렷하다 생각해요
    애초에 상륙임무 특성상 보병이 중무장하는 경우는 드물고(공수부대원 보다는 낫지만)
    중무장을 해도 기동성에 문제가 생겨서 결국 중기관총등의 중화기에 좋은 타겟이 될 뿐...최소한의 생존장비와 빠른 기동성이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 @treepark1783
    @treepark1783 9 місяців тому +1

    미국이 포기했다 한들.. 우린우린대로의 체계를 발전시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전술상 문제도 많고 하자도 있을수도 있지만 우린 경험으로 얻어지는 데이터가 무진장 많이 필요합니다.
    한국은 실질적으로 베트남전쟁 이후로는 실전과 같은 상황이 거의 없었다는 것이죠..
    90년대 무장공비들 침투사건과 연평도 해전과 포격도발 사건 말고는 말이죠...

  • @user-kf3iy2fn3x
    @user-kf3iy2fn3x Рік тому +2

    근데 저기 발연 연막이 실제 전시상황에 큰 도움이 많이 될까요? 전진 앞으로 돌격인데 연막이 뒤로 흐르는데 아군들은 앞으로 가고 결론은 보호가 별로 안되는거 같습니다 이부분 추가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 @user-df9yh4id9p
      @user-df9yh4id9p 16 днів тому

      아 이게 도움이 실제로 돼요
      선봉으로 가는 파는 당연히 잘보이는데 그 다음 파 그 다음 파로 갈수록 잘 안보여요
      어찌아냐고요? 지휘차조종수였음

    • @user-kf3iy2fn3x
      @user-kf3iy2fn3x 16 днів тому

      @@user-df9yh4id9p 알차??

    • @user-df9yh4id9p
      @user-df9yh4id9p 16 днів тому

      @@user-kf3iy2fn3x ㄴㄴ 씨차

  • @sionpark8480
    @sionpark8480 Рік тому +1

    포를 뒤로 빼면 앞부분은
    가변하지 않아도 될듯...

  • @defenseman2008
    @defenseman2008 Рік тому +2

    꿈보다 해몽이라고 댓글들 보면 너무 웃김 ㅋㅋㅋㅋ
    탐색개발 단계에 있는 체계에 너무 많은 기대와 요구를 하는 것 자체가 실패로 가는 길인 것을...

  • @In_the_olden_days
    @In_the_olden_days Рік тому +1

    많이 좀 올료주세요~

  • @LCH0228
    @LCH0228 Рік тому +2

    상륙전보면 함선과 전투기, 헬기등이 해안선을 어느 정도 정리후에 상륙장갑차를 보내고 상륙장갑차가 어느 정도 확보하면 상륙정이 오는데...
    개인적인 생각은 함정이 아무리 해안가에 가까워도 여러문제로 어느정도는 거리유지해야하고, 헬기의 지원은 미사일이나 기관총 발사라서 제한적인것을 생각했을때...
    LCAC의 반만한 크기의 수상공격정을 만들면 안되는가라는 생각이 드네요
    자력으로 항행해서 상륙정따라가서 지원하는게 아니라, 도크형상륙함에 탑재되어 상륙지점에 도착후 발진해서 상륙인원 수송임무가 아니라, 상륙정이나 상륙장갑차의 화력지원인거죠
    헬기에 장착해봐야 기관총이나 기관포라서 화력 딸리고, 근접하기에는 위험하고
    함선이 근접하기에는 갯벌이나 암초등의 위험이 있어 거리문제도 있으니...
    그 중간의 해안지역에서 지원하는거죠
    125mm이하정도를 탑재해서 화력지원하는...
    함선같은 배 보다는 LCAC같은 호버크래프트형으로 만들어서 갯벌에서도 기동가능하게 한다면 효과적인 무기체계는 아닐런지
    솔직히 상륙장갑차는 육지상륙과 보병수송이 목적이라서 무장이 약하고, 수상기동이 약함
    그걸 보완해주는 무언가는 필요한것이 아닌가?
    하는 그런 생각이 드네요

    • @jeropark9922
      @jeropark9922 Рік тому

      영상에도 언급되어 있고 말씀하신 대로 이미 충분한 화력으로 해안에 남아있는 적의 화력은 기관총 진지나 대전차 화기 정도의 화력만 남아있는 상태가 될 것입니다.
      그러한 상태에서 장착이 가능한지 여부는 제쳐두고 125mm 수준의 화력으로 제압할 상대는 이미 없을 것 같습니다.
      보병의 기관총 진지의 화력은 상륙장갑차라면 가지고 있는 장갑으로 무시한 상태로 40mm의 화력과 다양한 탄종 등으로 제압이 가능하고
      대전차 화기에 피해를 입는 것은 상륙장갑차나 호버크래프트형 상륙정이나 결국 피해를 입는 것은 마찬가지 일 것입니다.
      오히려 피격면적이 크고 장갑은 부족하고 탑승 인원이 더 많은 호버크래프트형 상륙정이 한 번 피격이 되었을 때에 피해는 더 커지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반대로 상륙장갑차는 충분한 기동성으로 적의 대전차 화기 공격을 회피하거나 한 대가 피격이 되더라도 호버크래프트형에 비해서 피해가 소규모일 것이고 호버크래프트형 보다 숫자도 많을 것이기에 대전차 화기의 기습에 한 대가 공격을 회피하거나 혹은 피격이 된 상태에서도 다른 상륙장갑차들의 지원으로 대전차 화기 진지 역시 제압이 가능할 것입니다.
      또한 상륙 이후에 문제도 있는데 우리 해병대의 전략은 단순히 해안에 상륙하여 상륙 거점을 만들고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내륙 깊숙하게 침투하여 제 2의 전선을 구축하여야 하는데
      아무리 호버크래프트형의 상륙정이라도 내륙으로 진입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고 그렇다면 해안에 상륙 후에는 해병대 보병들이 하차하여 걸어서 내륙으로 맨몸으로 진출을 하는 상황이 벌어지게 됩니다.
      해병대에 배치 된 전차가 아무리 보병을 지원하며 진격을 하여도 알보병과 상륙장갑차의 보호와 화력 지원을 받는 기계화 된 해병의 방어력과 화력은 차이가 날 수 밖에는 없으며 역으로 전차가 보병의 속력에 맞추어 진격의 속도가 늦춰지게 되어 제 2의 전선 구축에 어려움이 생길 뿐만 아니라 유리한 지역을 기동성을 살려 선점하는 전략도 취할 수가 없게 될 것 같습니다.

    • @LCH0228
      @LCH0228 Рік тому

      @@jeropark9922 제가 말한것은 함정보다 근거리에서 지원하는 호버크래프트형 지원함을 말한것입니다
      수송말고 자주포처럼 화력지원이요
      서해안은 갯벌이 넓으니 함정보다 호버크래프트가 유리할것 같아서요
      수송빼고 공격력만 갖추는 상륙지원함인거지요
      헬기보다 작전시간이나 탑재무게도 커질수가 있고, 수심낮은곳에서 더 근접하여 지원사격이 가능하니까요
      125mm이하의 포를 탑재하는게 좋다고 생각한 이유입니다
      상륙함에서 해안가까지의 작전지원인거죠
      작은함선도 수심낮으면 움직임이 힘드니까요
      제한된 개벌에서의 작전 차질시 후퇴나 계속 작전시 지원하는것이죠
      상륙장갑차는 상륙이 목적이지 화력지원이 목표는 아니잖아요
      LCAC같은것도 수송목적이구요
      처음 서술처럼 어느정도 정리후에 투입이고, 헬기지원도 있겠지만...
      완전정리는 아닌거니까요
      상륙후의 작전은 상륙장갑차와 LCAC나 해안가근접상륙함이 할일이구요
      해상형 이동 자주포같은 포지션?
      LCAC가 전차도 수송가능하니 포탑의 탑재도 가능하다고 보거든요
      탑재와 발사는 다르니까 125mm이하라고 쓴거구요

    • @jeropark9922
      @jeropark9922 Рік тому +2

      @@LCH0228 호버크래프트형 함정에 76mm 함포가 탑재 된 함선이 러시아에 보라급 초계함이 존재하기는 합니다.
      이보다 더 큰 형태로 건조를 한다면 125mm급의 함포도 탑재는 가능할 것입니다.
      그런데 호버크래프트형의 함정에 125mm급의 함포를 장착한다고 해서 굳이 갯벌까지 진출해서 화력을 지원할 이유가 없을 것 같습니다.
      해안가에 화력을 집중하는 시기라면 아직 적의 상륙 저지 세력을 제거하지 못하였으니 적의 해안포나 대전차 화기의 사정거리 내에 있을 갯벌로 진입하는 것은 당연히 위험할 것이고 화력 집중 후에 시기라면 상륙을 지원할 주력 전투함들에 장착되어 있는 5인치 함포 세력이 말씀하신 지속적 화력 지원 임무를 충분히 그것도 더 안전하게 더 먼 거리에서 수행이 가능하니 이는 중복 투자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추가적으로 정조대왕함의 도입과 발을 맞추어 함포용 사거리 연장탄을 도입할 예정이고 사거리 연장탄이 도입이 된다면 갯벌에 진입하지 않더라도 아주 깊숙한 내륙까지 타격할 수단이 생기니 더더욱 수송 능력이 삭제된 오로지 상륙 작전에서 화력 지원 기능만 있는 함정의 도입은 가성비가 맞지 않는 사업이 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말씀드린 보라급을 기준으로 계산을 해본다면 76mm 이상 125mm 이하의 함포를 탑재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보라급의 크기는 되어야 하고 이는 윤영하급 보다 큰 크기의 함선이 호버크래프트형의 특성 때문에 비슷한 배수량의 일반 함선보다 가격은 더욱 상승할 것입니다. 또한 가능한 임무는 상륙 작전에서 화력 지원만 가능한 함선이니 수량을 많이 확보하지 않을 것임으로 규모의 경제가 성립하지 않아 가격은 더 상승할 것이고 규모의 경제를 위해서 여러 임무가 가능한 함선을 구상한다면 차라리 현재 도입하고 있는 신형 호위함들의 숫자를 늘리는 것이 더 경제적일 것이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현재 대한민국 해병대가 상정한 상륙작전은 해안가에 화력을 퍼붓는 시점부터 이미 시작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해안가를 타격하는 시점에서 아주 오랫동안 적의 해안가를 타격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최고의 화력과 정밀한 타격으로 최대한 적의 해안가를 빠른 시간 안에 정리하고 상륙장갑차들이 빠르게 돌격하여 해안가에 도착한 후 해안가를 확보하는 것이 아니라 해안가를 돌파하여 적의 내륙까지 진출하는 것이 해병대가 생각하는 하나의 상륙작전입니다.
      즉, 적의 해안포 사거리 밖에서 해안가에 화력을 집중하는 순간 이미 상륙돌격장갑차들은 적의 해안가를 향해 발진을 했을 것이고 상륙장갑차들이 해안포 사거리 안쪽에 들어가기 전에 우리의 상륙 지원 세력은 적의 상륙 거부 세력을 정리하고 상륙장갑차들과 LCAC를 통해 수송 된 전차들은 쉬지 않고 곧바로 적의 내륙으로 진출을 시작하는 개념임으로 우리 해병대가 원하는 이상적인 형태의 상륙작전에서는 말씀하신 형태의 함선이 갯벌에 진입하여 화력을 지원할 시간조차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gihyunsong6061
    @gihyunsong6061 10 місяців тому

    1500마력 엔진 어디거죠?

  • @user-hd7nw5oe8p
    @user-hd7nw5oe8p Рік тому

    갯벌에도 상륙 가능한지 갑자기 궁금하네요

  • @pokjunam2163
    @pokjunam2163 Рік тому +2

    내가 보기엔 대한민국 영토로 넘어오는 중국을 방어하는 개념으로 가서는 안됀다고 보는 결국 북한을 넘어서 중국군이 넘어오는걸 막겟다는것인데 시간적으로 너무 늦은 그래봐야 그 엄청난 쪽수를 감당하기는 힘들고 결국 방어전 공방으로 갈 경우 영토의 일부를 중국에게 타협해야 하는 상황이 올수도 있기에 그런 방어적 개념은 맞지 않다라 보는 군단급 하나정도는 빼서 중국 베이징이나 청도쪽으로 직행으로 상륙해서 중국 내륙을 도모해야 중국이 한국내 영토로 진입하는걸 견제가 가능하다라 봅니다. 또한 딜을 하기 좋은 구실이되기에 그런 방법이 오히려 효과적이라고 보는 방어적 개념은 영토가 작은 우리로써는 결코 좋은 방향이 아니라보는 결국 이작은 영토내에서 전장상황이 되고 초토화가 된다는 이야기인데.. 이런방법은 좋은 생각이 아니라고 판단되는..인천에서 대량 상륙부대가 바로 직행으로 중국내륙 베이징 수도를 때릴수 있다는 생각을 그들에게 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freedom-lz7cg
    @freedom-lz7cg Рік тому

    에어콘은 달았나요

  • @user-ol9zy3hp5v
    @user-ol9zy3hp5v Рік тому +1

    초수평작전이 폐기됐나요? 전 아메리카 강습상륙함 3번함부터 웰독을 다시 장착한다고 해서 핼기 수송에서 다시 해상수송으로
    가능하게 만들어서 유의한 전술인걸로 알고 있었거든요

    • @LCH0228
      @LCH0228 Рік тому

      초수평작전이 아니더라도 웰독은 필요하다고 봅니다

  • @user-ri3sq7uo9w
    @user-ri3sq7uo9w Рік тому +1

    근데.. 미국은 공군력이 빵빵하니. 초반에 공군력으로 해안이던 침투하는곳을 폭격해서 제공권잡은뒤에 육군들을 넣는 작전으로 변경했기에 상륙장갑차가 필요없다고합니다.

  • @DavidYun-vx4de
    @DavidYun-vx4de Рік тому +1

    주변강대국을 상대하려면 초수평선 상륙작전 개념을 유지해야 하는게 맞다.

  • @NangNangEE
    @NangNangEE Рік тому

    실제 운영할 해병대의 목소리가 궁금합니다.

  • @user-xf1xc2go2z
    @user-xf1xc2go2z 10 місяців тому

    다좋은데 에어컨은?

  • @qnvoalsrnr
    @qnvoalsrnr Рік тому +1

    해수로 인한 부식 및 정비난이도는 케ㅕ나..

  • @user-sk3vr9fq4r
    @user-sk3vr9fq4r Рік тому +14

    그래픽만 공개되고 더이상 정보가 없어 궁금했는데 CG잘나왔네요...보안에 문제없는지 무얼 만들때 개념 있을때 와 없을때의 차이가 큰법인데...
    아뭏든 워낙 덩치가 크 방어력이 불안한데 상륙후 증가장갑 추가하여 보완하면 되지 않을까...
    유사시 종심으로 밀어넣을 해병대 너무 소홀히 한다 7군단 비슷하게는 해조야...
    수평선 상륙대기 할때 저 철판이 총알 막아줄수 있을까...훈련이라도 불안 하든데 장비라도 좀...

  • @AutoAimB
    @AutoAimB 7 місяців тому

    실물+내부 봤는데..... ㅜㅜ 결국

  • @user-zw8fw2ok1l
    @user-zw8fw2ok1l 2 місяці тому

    일단 디자인 부터 총알이 잘 튕기게 생겼네요 궅

  • @user-of4wm9jv9q
    @user-of4wm9jv9q Рік тому

    미군 쓰레기통 뒤진다..!! 표현 참 찰지네.. 프로스포츠에서 타구단이 쓰다 버린 선수를 영입할 때 쓰레기 통 뒤졌다라는 표현을 자주쓰는데 특히 프로야구에서

  • @user-ez4il7xn3y
    @user-ez4il7xn3y Рік тому

    방어력은?

  • @voyager197030
    @voyager197030 9 місяців тому

    에어컨 깜박하지 말고 꼭 장착하긔~~

  • @user-sj7se7qi2h
    @user-sj7se7qi2h 2 місяці тому

    차에서 내릴때 기관총사격 대비를좀 해라

  • @user-bo1fu9tz6x
    @user-bo1fu9tz6x Рік тому +1

    미국이야 뭐 본토에서 물러설수 없는 전면전 할 일도 없고 작전지에서 적이 있는 해안을 무리하게 해병대가 몸빵 하면서 상륙할 필요가 애초에 없어졌죠 압도적인 공군전력이 장악하고 나서 병력이나 물자들이 이동할테니까요 그래서 사실상 필요없는 전술의 고스펙 장비라 만들 필요가 없어진 거겠죠 그런데 한국은 완전 다르죠 처음부터 우리의 목표는 북진을 통한 북한땅 수복이기 때문에 육군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네요 북한이 무너졌을때 기계화부대가 빠르게 북진해서 중공군이 내려오는것을 막는게 제일 중요하죠 그리고 만약 중공군이 북한땅으로 내려온다면 그때부터는 절대 물러설 수 없는 전면전이 일어나겠죠 지상군은 최대한 버티면서 중공군을 국경으로 밀어내고 미군의 병력을 기다려야죠 때문에 해군,공군도 중요하겠지만 육군이 밀리지 않는게 가장 중요하겠죠 전면전 중에 해병대도 중공군을 상대로 상륙작전을 할테니(중국본토의 상륙은 아니겠지만) 그에 맞는 장비가 필요하겠죠 그래서 미국은 필요없어진 장비겠지만 한국은 꼭 필요한 장비라고 봐야죠

  • @christopherchoi2400
    @christopherchoi2400 Рік тому +1

    해병 소대 인원이 24명? 그럼 분대는 6명??

  • @Milidory
    @Milidory Рік тому

    엔진의 위치가... 저것도 바뀌겠죠? 지금은 좀 너무 쌩뚱맞네요.

  • @keepspeed
    @keepspeed Рік тому +1

    해병대 나와서 LVT 타고 상륙작전을 해본 입장에서 안볼수가 없네. 북한을 핑계로 일본과 중국을 위한 밸런스를 맞추는 거지.

  • @lasm534
    @lasm534 Рік тому +4

    뭔가 많이 아쉬운데 저렇게 만들어도 갯벌 걸리면 절대 못 빠져나옴 차라리 bmp 컨셉으로 잡고 지상에서의 능력을 강화하고 바다에서는 장갑차 수송용 보트에 실어서 빨리 상륙 시키는 게 나을 거 같은데

  • @user-lu8no2le4z
    @user-lu8no2le4z Рік тому +1

    어디에 쓰려고?
    초음속 대함미사일이 있는 서해에서?
    산으로 둘러싸인 동해에서?
    해병대가 필요한 곳은 어디? 대동강 건널때 말고는…

  • @stark9724
    @stark9724 Рік тому +1

    재블린이나 팬저 파우스트나 뭐 다양한 대전차 로켓으로 소련전차 날려버리듯이 날리면 전멸인데

  • @Propus-rk9pz
    @Propus-rk9pz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1500마력을 얹으면 병력수송 용도로 쓰기 힘들어짐.
    1개분대도 태우기 힘든 수준 같은데...?
    2. 대전차 미사일 없이 기관포(여튼 50미리 고거)로만 써먹기엔 너무 구림.
    미사일을 얹자니 공간이 더욱 안 나올 것으로 예상.
    3. 울 나라 연안엔 해조류가 많아 해수냉각 시 막힘현상 자주 발생할 듯.
    대형 상선은 공간이 많아 해결책이 있으나, 작은 상장차는 어떤 식으로 해결하는지?
    4. 구멍숭숭 관짝 역할인지, 아니면 중기관총까지 방어가 가능한 방어벽 역할인지?

  • @kyd9877
    @kyd9877 7 місяців тому

    상륙정을 잠수정으로 바꾸면 안되낭... 물에떠서 상륙하면 적에게 표적이잖아....

  • @captainavenger6627
    @captainavenger6627 Рік тому +2

    바다에서 20km/h는 사실상 빠른거 아닌가요?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Рік тому +1

      엄청 빠른편이죠

    • @c8roma
      @c8roma Рік тому

      대략 10노트 정도로 왠만한 어선보다 빠릅니다

    • @user-fo6kb9gu6u
      @user-fo6kb9gu6u Рік тому

      어선들 보통13~15 노트 정도구요
      2700마력이면 20노트 이상 나올듯

  • @user-wl2wu6bh5d
    @user-wl2wu6bh5d Рік тому

    k21을 대체하는건가요? as21이랑은 별개구요?

    • @TaiwanNr.1
      @TaiwanNr.1 Рік тому +1

      그건 아닌것 같습니다 상륙장갑차 이니까.. 보병 전투 장갑차랑 별개입니다

    • @devpro73
      @devpro73 Рік тому +1

      k21, AS21은 육군용... KAAV는 해병대용... 성격이 다른 장갑차 입니다.

  • @user-rp5hj5lh4h
    @user-rp5hj5lh4h 6 місяців тому

    상륙 장갑차로 위그선을 응용해 보는건 어떨지 생각해 본다.

  • @baljauk
    @baljauk 8 місяців тому

    엔진 냉각 방식이 잘못된거 같은데... 바닷물 이나 외부의 물을 끌어들여 냉각하면 오염되거나 이물질 많은 물있는곳에선 못쓴다는 말인데... 그런곳에선 어떻게 함?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8 місяців тому

      바닷물로 직접 냉각 시키는게 아니라 온도가 올라간 냉각수를 바닷물로 냉각시키고 냉각 자체는 기존에 있는 냉각수로 합니다.

  • @koso5697
    @koso5697 4 місяці тому

    저기에다 능동방어체계만 달면 딱 약점 없는 장비가 될거 같은데
    지금 상륙작전은 지상에 위험이 될만한 포진지나 대공포대 등을 제거후에 작전이 실시 될텐데
    그래도 개인이 들고 다니는 대전차 무기등은 위협이 될거임 거기다 드론등도 위협이고
    우크전이나 가자지구 전쟁보면 저 둘이 장갑차에는 여전히 가장 위협임 공격헬기보다 더 무서움
    공헬은 이미 탱크 처럼 반드시 필요하지만 똑같이 위협 노출에 생존성이 떨어저서 한물 갔고

  • @user-tj1xh5de2s
    @user-tj1xh5de2s Рік тому

    문제는 병력 공간이 없다....

  • @Mun-ws7fh
    @Mun-ws7fh 8 місяців тому

    실제로 24명이 비무장이여야 가능 한거임 실제 장갑차도 방탄복에 소총에 뭐 하면 인원들 타기도 ㅈㄴ 힘들고 각 부대마다 장갑차 안에 보괸하는 물품때매 힘듬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8 місяців тому

      네 그래서 실제로 해병대 AAV-7에서도 21명정도만 탄다고 하더라구요

  • @kwonyjlawify
    @kwonyjlawify Рік тому

    북한 급변사태시 중국이 북한으로 들어온다면 우리 해병대가 이를 저지 하기 위해 북에만 상륙할 것이 아니라... 헌법상 북한영토도 우리 영토임으로 대한민국에 대한 선전포고로 간주하여 우리 해병대가 중국 본토에 상륙하어 점령할 것이라고 주장해야 할 것입니다.

  • @Woutvanderpoelaert
    @Woutvanderpoelaert Рік тому +1

    1년만에!!

  • @ryangus498
    @ryangus498 Рік тому +1

    웃긴게 kaav2를 만든다고 해서 뭐가 해결되는게 아님 지금 해병대 존나 어이가 털리는게 아가리로는 미해병대처럼 초수평선상륙작전 씨부리면서 정작 그에 준하는 공격헬기나 상륙병력 후속군수보급은 뒷전임 ㅋㅋㅋㅋ 저출산이라서 병력도 곧 반토막날껀데 후에 일은 생각도 안함 ㅋㅋㅋㅋ

  • @user-lw1pe2nl6x
    @user-lw1pe2nl6x 10 місяців тому

    24명?? 차라리 인원 더 줄이고 장갑을 추가하면 안되나

  • @211st4
    @211st4 Рік тому +1

    24 명은 좀 무리가아닌가? 공간이 안나올꺼같은데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Рік тому +1

      kaav-7에 맞추려고 그렇게 잡은거 같긴 한데.. 솔직히 저도 조금 회의적이긴 합니다.

  • @user-pj2nv2zn6c
    @user-pj2nv2zn6c Рік тому

    24명이 한 소대보다 많다구요?.......1개 소대는 36명이상인데.....

  • @freedom-lz7cg
    @freedom-lz7cg 9 місяців тому +1

    해외시장 공략할려면 디자인. 유럽에 약한것이 디자인이다

  • @user-is2ry4lo8r
    @user-is2ry4lo8r Рік тому

    솔직히 디자인은 지금이 더 낫다... 그리고 좀 크게 만들어라

  • @yong-gilchoi8614
    @yong-gilchoi8614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대전차 무기의 경량화와 파괴력의 증강으로 이제는 LVT의 얇은 장갑으로는 상륙돌격을 저지하려는 적의 대전차 화기에 그대로 격파될 것이다. 스텔스 성능과 액티브 방어를 강화하지 않으면 눈부시게 발달한 대전차 무기의 광학장비는 정확하게 상륙장갑차를 격파할 수 있을 것이다. 하루빨리 전투로봇을 개발하여 상륙군이 전투로봇을 앞세워서 돌격하지 않으면 저항 화력에 우리 해병들이 갈려나가게 될 것이다.

  • @1lkjlove
    @1lkjlove Рік тому

    장담하는데 오년내에는 개발불가 ! 돈 않줄꺼임..

  • @phillipchoi2918
    @phillipchoi2918 10 місяців тому

    1500마력이랫다가 800마력이레.....머냐
    미국이 하다가 취소한것을 이어서 하는 이유는 머냐.....미국보다 잘만들수 있다는건가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10 місяців тому

      지상에선 800마력 기동하고 해상에선 1500마력으로 기동합니다

  • @jgl4443
    @jgl4443 7 місяців тому

    이거 미국에서 똑같은 모델 개발했다가 포기한 걸로 아는데.
    EFV 라고 찾아봐라

  • @hgj1454
    @hgj1454 Рік тому

    상륙작전 필요 없다고 생각함ㆍ단 기동 작전은 필요함

  • @aaakim5557
    @aaakim5557 3 місяці тому

    드론한방에 한소대 끝나겠는걸

  • @user-iksd0713
    @user-iksd0713 3 місяці тому

    근거리용 유탄발사기만 있으모 끝내주는 장갑차네 역시 2프로부족 그리안하모 또 전쟁나모 동작거만 되끼다 역시 2프로는 다리다 좀 머리좀써고 인재좀 키우자

  • @user-zj9ht3dk8g
    @user-zj9ht3dk8g Рік тому +2

    어뢰보다 빠르게 만들면 안될려나?
    좀빠르게 만들면 여러모로 장점이 많을것 같은데 물론 그에따른 경쟁력도 있을것이고

  • @miduck.
    @miduck. Рік тому

    이크가 없어서 그런가 진짜 없어보이네...ㅋㅋ

  • @user-fp1mw8hb1u
    @user-fp1mw8hb1u Рік тому +2

    속도가 20km이상이 나올거라고 희망하는것이지 실제 스펙이나 완전무장한 소대병력을 탑승시키고 연료와 30미리탄을 풀로 채운상태에서 속도가 20Km이상을 뽑아낼거라고 생각하시나요
    그간 한국무기의 방산비리를 보면 20km이하가 나올거라고 생각되네요
    가라앉지않으면 다행이구요
    부디 달리는 관이 되지 않기를 바라지만
    국방부내의 방산비리 카르텔 장군들은 그대로 있기에 더욱 꿈 같은 얘기로만 들립니다

  • @user-ws8dx1hi7w
    @user-ws8dx1hi7w Рік тому

    녹슬어서 배관 막히면 고생좀 하겠다

  • @Zuilietzhan
    @Zuilietzhan Рік тому

    아니 그니까 저 2,700 마력의 고성능 엔진은 어디서 만드냐고??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Рік тому

      1500마력의 엔진이고 2700마력은 수상주행시 해수냉각기의 도움을 받아 낼수있는 출력입니다. 1500마력의 엔진은 지금도 K2전차에 국산 개발하여 장착되어 있습니다.

  • @younghoonkim9199
    @younghoonkim9199 10 місяців тому

    다자인이 그전보다 촌스럽다는 생각이~

  • @powerbat3
    @powerbat3 Рік тому

    미국이 개발하다 포기한 차세대 소총 따라하다 우리도 포기 했죠.. 저 상륙장갑차도 이국이 포기한건데.. 보나마나 예산만 낭비 할거다..

    • @user-vq4vf1uh8z
      @user-vq4vf1uh8z Рік тому +1

      영상 끝까지 안봄?

    • @ssl558
      @ssl558 Рік тому +1

      제목만 봄??

    • @user-cz8nf7em4i
      @user-cz8nf7em4i Рік тому +1

      미국이 efv 포기한 거 안다고 자랑하고 싶은 거지? 알았다. 이 형님이 다 알아. 근데 앞으로는 맥락 좀 살펴라. 뜬금없이 자랑질만 하지 말고.

  • @M1A2SEP3
    @M1A2SEP3 Рік тому

    생긴거 뭐 같이 만드나...;; 간지가 없어

  • @sebem4391
    @sebem4391 10 місяців тому

    그냥 이딴거 말고 구명조끼하나 방탄조끼하나 더좋은걸로 구매해서 입혀라

  • @WestWood_M
    @WestWood_M 10 місяців тому

    뭐여, 이거는..
    뭔, 레이싱 슈퍼카 만드냐..
    전면전, 상륙전 전격전 인디..
    기능이 오버하믄, 기능고장..
    우티게 대체 허냐..
    구관이 명관여..
    고무궤도로 바꿔라..
    방탄 성능을, 추가혀..
    순식간에, 후방 대량생산에..
    실용성, 효율성, 실전성이
    최우선 돼야 할거 아녀..

  • @minarakan563
    @minarakan563 10 місяців тому

    Rak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