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화 영어교육을 이뤄내고 있는 '에듀테크', 중요한 5가지 지표는?ㅣ송지현 DYB교육 부대표ㅣ데이터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Ep.46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лют 2025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의 교육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요? 😯
코로나19 이전 인터넷 강의로 대표되던 이러닝 시장은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개학과 Untact 산업 대한 관심으로 에듀테크, 즉 교육과 ICT기술이 접목된 교육산업으로의 트랜드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DYB최선어학원은 일찌감치 수준에 맞게 개인별로 문제를 추천해주는 ‘자몽(JAMONG)’ 서비스를 비롯하여 다양한 기술과 데이터를 도입한 서비스를 선보이며 AI 디지털 학습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맛집’이 에듀테크 시장을 이끌어가고 있는 DYB 교육의 송지현 부대표를 모시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 산업에 대해 이야기 나눠 보았습니다.
🎉 카카오톡 '데이터맛집 오픈채팅방'이 개설되었습니다. 🎉
▶오픈채팅방 바로가기 링크: open.kakao.com...
AI·데이터에 관심이 있는 모든 분들과 함께 소통하고자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개설하였습니다.
데이터맛집 주인장인 대표님도 채팅에 직접 참여하여 정보를 공유해주실 예정입니다. 👍
[ !! 데이터맛집 주인장, 책 출간!! ]
AI 비즈니스 레볼루션 - 인공지능 세상의 기회, 챗GPT 실용 경영 전략
👉 bit.ly/3QRDDOk
👉 bit.ly/3QUawtH
연사 강연 문의는 아래로 연락주세요.
👉 02-6011-5418 👉 dataedu@datamarketing.co.kr
◾ 게스트 소개
디지털 교육그룹 DYB에서 대표선생님으로서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에듀테크 기업인 에듀브레인 대표를 겸임하고 계신 송지현 DYB교육 부대표님. 콜럼비아 대학교 컴퓨터 공학을 졸업하였으며 이후 DYB교육에 다양한 기술을 도입하여 에듀테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º DYB최선어학원 홈페이지 👉 bit.ly/3M3XS5v
º AI 추천학습 플래너, 자몽 👉 bit.ly/3x8U7av
◾ 호스트 소개
현재 데이터마케팅코리아 대표로 LG CNS 빅데이터사업 前 리더, 500개 이상의 빅데이터 분석 프로젝트를 수행한 이진형 대표. 데이터 세상에서 스마트하게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마케팅서비스 (솔루션, 컨설팅, 교육)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º 데이터마케팅 솔루션 마대리 👉 bit.ly/3i3IfOH
º 데이터마케팅코리아 블로그 👉 bit.ly/3oCqfO9
◾ 타임라인
00:00 인트로
00:10 오늘의 게스트 소개
00:48 영어교육에서의 디지털이란?
03:33 에듀테크를 어떻게 이끌어가고 있나요?
04:17 에듀테크를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07:16 코로나 시기 극복 방안
10:20 '자몽테스트'는 어떤 방식인가요?
11:07 '자몽테스트' 로직
14:10 앞으로 이끌어 갈 에듀테크의 모습
17:40 딱 하나의 데이터만 가질 수 있다면?
19:30 아웃트로
#에듀테크 #DYB최선어학원 #송지현 #DYB교육 #자몽 #에듀브레인 # #마케팅 #데이터마케팅 #데이터마케팅코리아 #이진형 yt:cc=on
◾ 타임라인
00:00 인트로
00:10 오늘의 게스트 소개
00:48 영어교육에서의 디지털이란?
03:33 에듀테크를 어떻게 이끌어가고 있나요?
04:17 에듀테크를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07:16 코로나 시기 극복 방안
10:20 '자몽테스트'는 어떤 방식인가요?
11:07 '자몽테스트' 로직
14:10 앞으로 이끌어 갈 에듀테크의 모습
17:40 딱 하나의 데이터만 가질 수 있다면?
19:30 아웃트로
대표님의 ‘교육이란 사람을 성장시키는 것이다. 사람의 성장은 기술이 할 수 없다.’ 부분에 매우 동의하고 현재 기술이 교육 시스템이 미치고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알 수 있어서 흥미로웠습니다. 앞으로 학생들이 정형화된 등수 매기기 위한 공부가 아닌 하고 싶은 공부를 기술의 도움으로 방향을 잡고 성과를 더욱 많이 이루었으면 좋겠습니다. 학원에서 추구하는 비전과 학생들이 원하는 다양한 학습 방법 또는 시스템이 있었을 텐데 밸런스를 어떻게 맞췄는지, 어려움이 있었다면 어떤 방식으로 극복했는지 궁금합니다!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저도 코로나시기에 입시와 대학 수업을 모두 경험해봐서 공감가는 내용이 정말 많았던 것 같습니다. 확실히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교육계의 언택트화가 앞당겨지고 빠르게 발전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말씀해주신 '자몽테스트' 같은 프로그램들이 앞으로 더 많이 등장하여 개인화된 교육이 가능하다면더욱 발전된 교육시장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하지만 제가 언택트로 수업을 여러차례 진행하면서 느낀 것은 아직까지는 온라인상으로 진행하는 교육은 학생의 자기주도성이 매우 중요하는 것이었습니다.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이 잘 잡혀있는 학생은 디지털 교육의 이점을 충분히 활용하여 발전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학생들은 반도 활용하지 못한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앞으로 교육산업이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영상 너무 잘봤습니다! 코로나를 계기로 비대면 교육의 발달을 이룬게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자몽테스트를 통해 각자의 부족한 점과 각자의 속도에 맞게 교육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정말 인상깊었습니다. 지금은 코로나를 많이 극복한 상태인데 지금 같이 비대면도 발달하고 대면도 가능한 시대에는 어떤 교육 방법이 더 효율적이며 효과적인지가 궁금합니다!
코로나 시기에 입시를 한 수험생으로서 공감이 많이 갑니다ㅠㅡㅠ 온라인 교육은 양날의 검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편리하게 이동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수업을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오프라인 수업에서의 교류만큼은 지금의 기술력의 한계로는 넘어서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 온라인 교육이 더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기술의 발전이 필요할지 궁금하네요!!
교육에 관심이 많아 시간이 될 때면 관련 영상들을 찾아 보고 있는데 대표님 덕분에 좋은 영상을 접하게 되었고 새로운 관점을 얻게 되어서 감사합니다! 학창시절 하나의 학원에 오래 다니며 선생님의 역할도 했던 경험이 있어 교육의 허점을 많이 느꼈습니다. 어떤 수업이든 뒤쳐진 아이들이 있는데 이 아이들을 버리고 나가야 하는 가에 대한 고민이 있었어요. 영상 속 대표님의 교육 방식은 정말 유토피아적으로 들리는데 혹시 실패경험이나 따라오지 못해 교육 방식에 불만족인 학생들이 있었다면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마지막에 말씀해주신 하나의 데이터와 관련해서, 진로를 고민함에 있어서 내가 이런것도 할 수 있었구나를 아는 과정이 정말 필요하고 중요한 것 같습니다 교육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학생들 자체를 이해하고 학생을 위해서 노력하시려는 모습이 존경스럽습니다! 부대표님은 개인화된 에듀테크를 넘어서 향후 에듀테크는 어떤 방향일으로 나아갈 것이라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점수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학생의 장단점을 알 수 있다니 정말 편리한 기능인 것 같습니다. 채점도 평가도 기술이 해준다면, 선생님은 그에 맞는 방향을 제시해주고 좀 더 수업에 집중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테스트가 개인화 되었다면 수업도 개인별로 하는 게 더 효율적일까요? 과외가 아닌 이상 여럿이 수업을 할텐데, 수업은 기존대로 하고 개인에 맞는 숙제나 보충이 이뤄지는 걸까요? 수업에서는 어떻게 기술을 활용할지도 궁금합니다..!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향후 교육시장이 에듀테크와 같은 방식의 기술을 도입하여 발전한다면 더욱 효율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것 같습니다. 하지만 변화한 시스템에 따라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 또한 크게 달라질 것 같은데, 그 중에서는 효율적인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능력이 가장 많이 요구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대표님께서는 어떤 식을 유념하며 구상해야 학생들에게 유익한 커리큘럼을 완성할 수 있다고 보시나요?
맞춤화된 교육을 위해 AI 기술이 활용될 수 있는 것은 너무 좋지만 이 기술이 사용되면서 사람의 역할(일자리)이 줄어들지 않을까하는 궁금증을 갖고 있습니다
ai 기술을 활용한 개인맞춤형 교육이 활성화되면서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겠다는 장점이 있으나, 실제 종사자들에게 입힐 타격이 클 지 궁금합니다.
요즘 ai 기술을 통해 다양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와 관련해 많은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는 기사를 많이 접했습니다!
그럼 추후에 Ai가 강사를 대체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과 만약 대체한다면 윤리와 관련해서도 많은 점을 해결해야 할거 같은데
이걸 어떤 방식으로 확인할 지가 궁금합니다.
영상 잘봤습니다! 데이터 활용의 성장으로 영어 힉원 외에도 어플 등 다양한 공부 방법들이 생겼는데 이런 상황에서 학원 교육이 지향해야할 점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성적, 등급만으로만 학생의 학습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던 과거와는 달리 교육에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학생이 어느 부분을 이해하지 못했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까지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특히, 이러한 에듀테크 시스템을 통한 개인 맞춤형 교육이 학생 스스로 자기주도적인 공부를 해나갈 수 있도록 이끌어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추가적으로, 경험 데이터에 대한 이야기도 하셨는데 여러 사람의 경험 데이터 축적을 통해 학생들의 진로에 도움이 되는 시스템 또한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러한 개개인의 경험 데이터 축적을 통한 플랫폼 개발은 엄청난 양의 빅데이터가 필요하다고 생각이 드는데 현실적으로 개발 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최근에 코로나가 끝나고나서도 온라인으로 강의를 듣는 학생들이 정말로 많아졌는데 대표님이 보시기에 향후 AI강사가 인간 강사를 대체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이 영상을 통해 자몽테스트라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고 흥미로웠습니다. 에듀테크나 자몽테스트 등을 통해서 맞춤형(개인화) 교육을 하더라도 수업을 잘 따라오지 못하거나 뒤쳐지는 학생들은 어떻게 관리하는지 궁금합니다. 혹은 이와 같이 맞춤형 수업을 하면 뒤쳐지는 학생들이 없어지는 건지 알고싶습니다.
한국의 교육은 사람들의 인식부터 교육방식까지 고착화되어있어 쉽게 바뀌지 않는다고 생각했습니다. 물론 여전히 디지털 교육에 대해서 긍정적인 인식만 있는 것은 아니지만 에듀브레인과 같은 기업들이 교육의 디지털화를 주도한다면 한국의 교육시장도 기술의 발전을 따라 더욱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뤄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에듀브레인의 자몽테스트가 특히 놀라웠습니다. 성적과 등수를 내기 위한 정형화된 테스트가 아닌 각자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끌어내고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기 위한 시험이라는 점이 너무도 좋은 것 같습니다. 자몽테스트의 방향성처럼 한국의 교육이 성적을 내고 등수를 매기기 위한 교육이 아니라 각자의 능력을 개발하고 성장하기 위한 교육으로 나아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최선의 미래가 보이는 인사이트! 에듀테크로 세상을 이끌어 갈 최선입니다!!
자몽 화잇팅! 이제는 스마트하게 공부할 때 👏🏻👏🏻
부대표님다운 지식 나누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에듀브레인 기대되네요!!!
에듀테크. 자몽 응원합니다~^^
교육에 기술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잘 알 수 있었습니다. 자몽테스트가 학생 개개인의 실력을 확인하는 방식을 개인화했다면, 교육에서 개인화가 어떻게 이루어질지, 여기에 어떤 기술이 필요할지 궁금합니다.
자몽
맛있는 영어
달콤한 영어
신나는 영어가 될것 같네요^^
코어소리영어 신왕국이는 날라리데이브랑 같이 학벌 사기로 100억 벌고 튀었는데요. 기술이건 머건 사기한번 잘 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