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가 팽창하는 속도 (95% 이상이 빛보다 더 빠르게 팽창)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ют 2025
- Transcript(Korean)
아주 흥미롭게도, 지구에서 본 우주 공간의 팽창 속도는 지구로부터 그 공간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더 빠르다고 합니다.
숫자상으로는 지구에서 100만 광년이 더 멀어질 때마다 그 팽창속도가 초당 약 22km 씩 더 증가한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거리에 따라서 그 팽창속도는 자꾸 증가하여 어느 지점이 되면 빛의 속도까지 도달할 수 있을까요?
빛의 속도가 초당 약 30만 킬로미터니까 계산을 해보면, 지구에서 약 140억광년 이상 떨어진 우주는 지구에서 보면 빛의 속도와 비슷하거나 아니면 더 빠르게 팽창해서 지구로부터 멀어진다는 완전히 쇼킹한 이야기인데요.
지난 시간에 말씀 드렸듯이 물체는 빛의 속도보다 빨리 움직일 수 없으나 공간 자체는 더 빨리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과학자들에 따르면 현재 우리가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그 반지름이 약 465억 광년 정도 된다고 합니다.
그렇다는 말은, 부피로 환산 했을 때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우주의 95% 이상은 빛보다 더 빠른 속도로 지구로부터 멀어진다는 이야기인데요.
완전 신기하기도 하고 이상하기도 하고 또, 정말인지, 왜 그런지 등 많은 것들이 궁금합니다.
다음 시간에 계속해서 이야기 나누겠습니다. 좋댓구알 부탁드릴게요. 감사합니다!
#우주팽창 #속도 #출근길
한가지 의문
빛보다 빨리 우주가 팽창한다면 지구나 태양 혹은 은하수처럼 물질이 차지하는 공간은 우주팽창을 따라서 팽창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우주가 팽창하는 국소적팽창이나 전우주적 팽창에 물질이 나 중력으로 묶인것은 전혀 반응 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그런데 중력과 달리 지구가 차지하는 부피의 공간은 그럼 우주팽창력에 저항을 하는 샘입니다
그 저항의 힘은 어디로 간걸까요 ? 분명 중력은 물질이 시공간을 압축하는 힘인데
우주팽창에 반하는 부피가 차지하는 공간은 목성처럼 밀도가 낮아도 되고 지구처럼 밀도가 높아도 되고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데요 이건 분명 중력과는 또 다른 문제로 보입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참고해서 좀 더 열심히 우주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만유인력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커지니까 지구, 태양계, 일부 은하와의 거리에서는 우주팽창으로 인한 것보다 중력으로 인한 것이 더 크기때문에 유지할 수 있는거에요
저도 지금 그 문제로 여러가지 가능성을 생각하고 있어요.
우주의 팽창속도와, 우리가 흔히사용하는 속도 개념은 전혀 다르기때문에 이런 모순점이 생겨버린거 아닐까 생각이 드내용
@@passenger9958그러면 혜성은 왜 오는걸까요 아주 멀리 있는곳에서 날아오는데 우주가 빛보다 빠르게 팽창한다면 절대 올 수없는거 아닐까요? 심지어 혜성의 속도는 빛보다 빠를수없으니 오히려 멀어져야 하는거아닌가요?
궁금합니다
놀랍군요
그럼 우주의 팽창은 수학적으로나 관측하겠네요
제가 알기로는, 실제로 아주 멀리 있고 또 각각 다른 거리에 있는 별들에서 관측된 빛의 스펙트럼 중에서 수소에서 나오는 시그네처가 될 수 있는 특정 파장을 측정한 결과로 우주의 팽창을 증명했다고 합니다. 원래 수소의 이 시그네처 파장은 변하면 안되는데, 우주가 팽창을 하기 때문에 지구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는 별들에서 나온 이 시그네처 파장이 도플러 효과의 적색변이를 하여 움직이지 않는 수소에서 나온 시그네처 파장보다 더 길어진다고 합니다.
그리고, 더 멀리 있는 별일수록 이 시그네처 파장이 더 길다는 것이 관측이 되었기에 지구에서 더 멀수록 더 빨리 팽창한다는 결론을 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구글에서 "허블 적색변이" 라고 검색하시면, 많은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