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움직인 선비들(feat. 황희와 맹사성, 성삼문과 신숙주, 정몽주와 정도전)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1 чер 2017
  • #정몽주 #정도전 #한명회
    조선을 움직인 선비들 중에 반대의 길을 간 대표적인 신하들이 있습니다. 황희와 맹사성, 성삼문가 신숙주, 정몽주와 정도전. 이들이 그 주인공입니다.
    이들 중에 특히 대비되는 인물은 정몽주와 정도전입니다. 정몽주처럼 죽어서 이름을 남길 것인가? 정도전처럼 살아서 꿈을 이룰 것인가? 강선생의 친절한 역사이야기 3편 조선을 움직인 선비들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_ 일상의 인문학
    * 돋보이는 댓글을 달고 싶으시면 영상 오른쪽 하단에 Thanks를 활용해 보세요^^
    * 채널에 가입하여 다양한 혜택을 누려보세요.
    / @kbcthink
    * 채널구독하기 : / @kbcthink
    * 제작지원 : KBC인재경영연구소 : www.kbcts.com
    * 한국지식텔러협회 : band.us/band/371977
    * 네이버 블로그 : blog.naver.com/kbcthink
    * 강연 및 코칭 문의 : 053-746-7056 / korandobc@naver.com
    * 찾아오시는 길 : naver.me/GMRer9oh

КОМЕНТАРІ • 91

  • @kbcthink
    @kbcthink  2 роки тому +12

    이 영상은 Remake 되었습니다. 화질과 표현 등이 개선 된 이 영상(ua-cam.com/video/GMrMBSXHHUA/v-deo.html)으로 시청하세요^^

    • @youngmkim9180
      @youngmkim9180 Рік тому

      but it's it's 8i7l77897l8likiu7887977u98i7l77897l8likiu7887 i'm ttnthtnhtnthnnnhtnthttghtthntthghnnnhnnnnnnnnnt by hhhntngtntnnhntnnhttnhgnf 9989999989999899998999999999999999999999999989l999998888988l9999888l8lol8898998989898988l889898889898 8m nnm8889898

  • @user-ww6oh8if4x
    @user-ww6oh8if4x Рік тому +6

    우연히선생님의강의를듣게됐는데 너무나도시원시원한강의에빠졌네요 요즘자주듣고있습니다~~🥰🥰🥰🥰🥰🥰

  • @user-eo3gx6mr2e
    @user-eo3gx6mr2e 3 місяці тому +2

    강 선새님 말씀 넘 잘듣고있습니다

  • @user-eo3gx6mr2e
    @user-eo3gx6mr2e 3 місяці тому +2

    강 선생님 말씀 잘 듣고있습니다

  • @user-kh6iq3cm2u
    @user-kh6iq3cm2u Рік тому +2

    재미있고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여기 들어오시는 모든분들 건강하세요

    • @kbcthink
      @kbcthink  Рік тому

      박모니카님도 늘 건강하세요^^

  • @user-yg1gq4zo8g
    @user-yg1gq4zo8g 2 роки тому +3

    늘 잘 듣고 있습니다~^^
    귀에 쏙쏙 잘 들어오도록 이야기를 해주셔서 참 좋아요~
    목소리도 참 듣기 좋으셔요~👍
    앞으로도 저처럼 역사초보들이 관심을 갖는데 도움주셔요~😊
    감사합니다~~♥️

    • @kbcthink
      @kbcthink  2 роки тому

      잘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노력하겠습니다^^

  • @user-eo3gx6mr2e
    @user-eo3gx6mr2e 3 місяці тому +1

    넘 많은 역사 배웁니다

  • @kilsueo3819
    @kilsueo3819 2 роки тому +7

    선비들! 그들만의 잔치고 그들만의 리그였지요. 전체 인구의 절반을 차지했던 양민들(노비계층 포함)은 죽든지 말든지 관심 밖이었지요. 공맹의 인의를 공부하고 노장의 철학을 배웠으면서도 입으로만 읊조리고 입신양명에만 이용할 뿐 사람과 자연을 사랑의 눈으로 바라볼 줄은 몰랐던 사람들입니다. 퇴계, 율곡, 우암, 추사 어느 사람 할 것 없습니다.

  • @user-et5qp1yl7t
    @user-et5qp1yl7t Рік тому +1

    조선을 움직인 선비들 (강혜정)
    잘 들었습니다.감사합니다.

  • @user-tx8vv3fz9o
    @user-tx8vv3fz9o 2 роки тому +2

    감사합니다

  • @user-tx8vv3fz9o
    @user-tx8vv3fz9o 2 роки тому +1

    감사합니다.

  • @sooseokkang3597
    @sooseokkang3597 3 роки тому +1

    재밌고 유익한 시간을 보내고 갑니다.귀중한 강연에 감사드림니다

  • @user-ub9dm2px7t
    @user-ub9dm2px7t 2 роки тому +6

    숙주와 같이 출세하는 사람은 역사에 수두룩하게 많지만 성삼문같이 자기 목숨을 건 희귀한 의리의 사나이는 찿아볼 수 없지 않아요
    강의는 잘 하는데 역사철학 많이 부재하시네요
    숙주는 지금도 여기 저기 천지에 널려져 있지 않아요?
    지금도 성삼문같은 분이 많이
    나왔으면~

  • @user-oo6si5pn4x
    @user-oo6si5pn4x 2 роки тому +1

    내용을 요약해서 기억이
    잘 되도록 설명하여 주십니다.
    처음 강의를 들었습니다.
    강의 일정을 인식 계속수강을
    요망합니다.

  • @ssibalrom_
    @ssibalrom_ 3 роки тому +2

    역사를.쉽게.설명하여.따끈함도.감사할.뿐더러.시간만두면.무료의.배움이...너무 감사하고.내면에.진심의.팬으로.자리하고.있습니다.♥.😁

    • @kbcthink
      @kbcthink  3 роки тому

      하양님 덕분에 오늘 하루 행복하게 시작합니다. 하양님도 행복하게 보내세요~^^

    • @user-dp5sq2ur7n
      @user-dp5sq2ur7n 2 роки тому

      @@kbcthink 7

  • @user-fp5fu9qv7z
    @user-fp5fu9qv7z 4 роки тому +3

    죽임을 당할지라도 자신의 꿈을 향해 가는것이 맞을 것 같네요. 소신을 펼쳐야 하니까요~ 강의 잘 들었습니다.

  • @user-dl1mo7fx9f
    @user-dl1mo7fx9f 4 роки тому +4

    선비의 검소한 모습과 겸손한 자세가 지금 이 시대에 많이 배워야 겠습니다ㆍ♡ 잘 들었습니다ㆍ

  • @user-yh3dy5ko1t
    @user-yh3dy5ko1t 2 роки тому +1

    공직자리가 쉽지않은데
    세종은 능력을알아봤다니
    2022년도에도 가슴에와닿네요
    임금이나 신하나 똑같구나
    지금 살고있는 저는 후손입니다

  • @user-bo1mh9us8k
    @user-bo1mh9us8k 2 роки тому +1

    역사 공부에서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감사 합니다..

  • @jongsunyi2578
    @jongsunyi2578 5 років тому +3

    명 강의 정말 재미있습니다.
    더 많은 강의 부탁드립니다💕

  • @ssibalrom_
    @ssibalrom_ 3 роки тому +2

    너무.재밋어요.~^^~우앙~

    • @kbcthink
      @kbcthink  3 роки тому

      댕댕이색히님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하루도 행복하세요^^

  • @user-jm2rn3wk6y
    @user-jm2rn3wk6y 5 років тому +5

    귀에 쏙쏙들어옵니다

  • @user-um1yn3sj8e
    @user-um1yn3sj8e Рік тому +5

    조선시대때는 잘못하면 빨리 인정할줄 안다
    지금은 무엇인가 오로지 부정부정
    참으로 조상들 보기가 부끄럽도다
    선생님 강의 들어라 하소 특히 정치인들

  • @user-kf3yx7zk3j
    @user-kf3yx7zk3j Рік тому +2

    선비정신,,,,,,
    감사합니다

  • @bayonjung9886
    @bayonjung9886 3 роки тому +1

    👍👍👍

  • @user-nn6sz9nr3b
    @user-nn6sz9nr3b 2 роки тому +2

    안녕하세요 처음 역사강연을
    시청 했습니다
    조선 선비중에 황희,성상문
    신숙주의 강연을 흥미있게
    봤습니다. 강사님 존함도
    화면에 적어면 좋을듯해요
    강의 제목괴 시칸을 알지
    못해 제때 시청을 못합니다
    관심있게 시청하겠습니다
    건승 하세요

  • @kmson5
    @kmson5 2 роки тому +2

    잘한다

  • @user-sm4hs6kz3s
    @user-sm4hs6kz3s 2 роки тому +1

    ㅎㅎㅎ
    강상원 박사님께서는
    실록을 사실대로 해명 하셔서 사육신에 다른 평가을 하여야 한다고 했어요 그분들이 난을 음모한 정황이 있어다는데요 사실였다면
    어찌 할~~꼬

  • @yooheeseok
    @yooheeseok 5 років тому +7

    양심이 제일 중요합니다.소통이 말입니다, 온전한 분별을 기합니다.

  • @user-yh3dy5ko1t
    @user-yh3dy5ko1t 2 роки тому +2

    그래도 그때는
    국법도 목숨만은
    빼앗지않는구나
    지금 이시대에는어떤가
    서로못잡아먹어서는

  • @user-wx8cg2zs3d
    @user-wx8cg2zs3d 2 роки тому +11

    갠적으로 조선 초기까지는 괜찮은 나라였다.. 그러나 세조가 왕위 쟁탈 과정에서 공신들 세력들이 너무 비대하게 크짐.. 그리하여 성종이 훈구 세력을 견재하기 위해 초야에 묻혀 사는 사림(고려에 대한 충신 세력)을 중앙 무대 등용시킴.. 여기서부터 조선은 맛탱이 감..그저 학문으로만 유교 사상을 배운 이들이 현실 감각이 있을까? 그러니 당파가 생기고 명에 대한 사대가 생기고 우리가 알고 있는 임진왜란 병자호란등등 외세에 침략을 당함.. 그와중에 기대승 이황 이이같은 대학자가 나오기는 하지만 결국 조선의 불행은 세조의 왕위 쟁탈 때문이라고 생각한다..만약 그 당시 문종이 한 10년만 더 살았어도 조선의 역사가 바뀔텐데.. 문종은 결코 병약한 왕이 아니였다.. 잦은 장례(3년)로 건강히 급격히 나빠짐.. 조선 시대 왕중에 문 무 겸비한 왕은 문종이 유일하다고 하던데..젤 아까운 인물이 문종이라고 생각함.ㅜㅜ

    • @user-ii1sx3rl1n
      @user-ii1sx3rl1n 2 роки тому +1

      제 생각에도 젤 아까운 인물은 문종인 거 같아요

    • @user-xk5lb5wl9l
      @user-xk5lb5wl9l Рік тому +2

      네 맞아여 내 생각도 그래여

    • @user-kf3yx7zk3j
      @user-kf3yx7zk3j Рік тому

      역사에서 ''만약이라면은'' 없습니다

    • @user-um1yn3sj8e
      @user-um1yn3sj8e Рік тому +2

      현시국을 보시오
      세조and 문죄앙 5년동안 돈으로 처발랐다.
      죄을 감추려고

  • @user-rl1gq1cm4n
    @user-rl1gq1cm4n Рік тому +3

    귀향이 아니고 유배입니다

  • @user-ll8ld1cl8o
    @user-ll8ld1cl8o 5 років тому +8

    팽형(烹形)이 아니라 烹刑인데 잘못 적어 놨네요

  • @jinsooson8182
    @jinsooson8182 3 роки тому +3

    팽형, 한자로 토사구팽의 팽, 즉 뜨거운 물에 삶다. 형벌 형이지고, 형상형이 아닙니다.

  • @user-tm9ed5ce9g
    @user-tm9ed5ce9g 6 років тому +2

    팽형의 형자가오자입니다.

  • @user-wm5kn3ci1s
    @user-wm5kn3ci1s 2 роки тому +1

    요즘도

  • @kkk97295
    @kkk97295 2 роки тому +2

    조선 시대는 비효율적이고 불평등한 사회였음. 이러한 사실을 그대로 교육하는 것이 역사의 교훈을 배울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user-tu2kd9hm8f
    @user-tu2kd9hm8f 2 роки тому

    허조와 하연

  • @user-os2op3tu1e
    @user-os2op3tu1e 2 роки тому +4

    팽형의 “형”의 한자가 틀리지 않았나요?

    • @user-wl6ps5vv2b
      @user-wl6ps5vv2b 2 роки тому +1

      兄으로 쓰지않은 걸 다행으로 여겨야 하나? 😭

  • @user-dl1mo7fx9f
    @user-dl1mo7fx9f 4 роки тому +1

    진중권 교수님을 가까이 두면 좋겠네요ㆍ

  • @user-dl1mo7fx9f
    @user-dl1mo7fx9f 4 роки тому +3

    이 時代에는 진중권교수님을 가까이 두면 얻어지는것이 많겠네요ㆍ

  • @jonghoisong5623
    @jonghoisong5623 2 роки тому

    유구무언
    사필귀정

  • @user-bw3nn5og1k
    @user-bw3nn5og1k Рік тому

    세종대왕

  • @user-ru3xi1mx6t
    @user-ru3xi1mx6t Рік тому +1

    당시 조선은 세계속 어떤 국가아니 왕조들보다 훨 뛰어난 제도를 갖춘 국가입니다 그 구성원 중에서도 ㆍㆍ 대의적으로 강의 해 주셨으면 이해하기도 싶지 않을까 하네요

  • @user-ki8sw4tz2q
    @user-ki8sw4tz2q 2 роки тому +3

    홤희정승 아들 사위 비리 본인 비리 있는데 어찌 청백리가 되나

  • @user-gq2kn1ur4e
    @user-gq2kn1ur4e 4 роки тому +9

    조선은 크게보면 백성을 이용한 양반들의 호위호식을 위한 나라로 생겨서는 안될 나라라고 생각됩니다
    너무 좋은것만 강의말고 노비제도등 있는 그대로의 역사강의도 필요하다고 사료 됩니다

  • @user-xo1zx4ne1w
    @user-xo1zx4ne1w 2 роки тому +2

    烹刑 지금고위공직자

  • @user-yr6vc5cd8v
    @user-yr6vc5cd8v 2 роки тому +3

    ㅋㅋ~뼈대있느 가문이 먼공~! 이 시대에 그런 소리 하면 갑질한다고 별로당~!!

  • @user-rf5ju1zu5b
    @user-rf5ju1zu5b 5 років тому +10

    역사전공자입니까? 승자의 입장을 내세우는 강의로군. 혹시 조선 개국공신이나 훈구파 자손인가? 어째 매죽헌 성상문선생을 현대인의 일방적인 잣대로 평가하나? 포은 정몽주 선생을 이씨조선에 협조안한 패자로 취급하나? 이상한 논리를 가졌군.

    • @user-wl6ps5vv2b
      @user-wl6ps5vv2b 2 роки тому +2

      격하게 공감합니다.

    • @user-yi9mm6so4u
      @user-yi9mm6so4u 2 роки тому

      아직도 유교 원리주의 탈레반에 세뇌된 자들이 있으니 일본 식민지가 되었지... 역사는 반복된다 !!!!

  • @Z-guitarfreak
    @Z-guitarfreak Рік тому +2

    실제 역사와 그렇지 않는 역사를 질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있으니 이건 가쉽 수준이라고 봐야하지 않나요. 강의라고 하면 곤란할 듯. 역사를 정치학적 관점에서 접근이 되어야지 옳고 그름의 명분론으로 몰아가는 것은 조선 사림의 망국적 우물안 개구리의 수준으로 유권자를 호도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우리가 중국 사람이나 북한 사람들을 볼 때 느끼는 답답함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됩니다.

  • @user-qt6jy2vl9l
    @user-qt6jy2vl9l 3 роки тому +3

    조선은..태어나지 말았어야 합니다

  • @user-tx8vv3fz9o
    @user-tx8vv3fz9o 2 роки тому +1

    감사합니다

  • @a97531974
    @a97531974 2 роки тому +1

    감사합니다

    • @kbcthink
      @kbcthink  2 роки тому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tx8vv3fz9o
    @user-tx8vv3fz9o 2 роки тому +2

    감사합니다

    • @kbcthink
      @kbcthink  Рік тому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