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objong” Palace Guard Inspection Ceremony, Gyeongbokgung Palace l 4K ProRes Log l 경복궁 첩종 재연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0 жов 2023
  • 🗓 Recording date: Oct, 2023
    “Cheobjong” Palace Guard Inspection Ceremony
    According to Gyeonggukdaejeon, Cheobjong, literally means “the big bell” used under an emergency state and the King´s inspection. At the toll of Cheobjong, palace guards gathered together to go under an inspection, along with the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It is recorded that such event was carried out not only to tighten the military discipline and but also to maintain the fundamentals of the country.
    기간 : 2023. 10. 20.(금) ~ 10. 22.(일)
    시간 : 오전 11시, 오후 2시
    장소 : 경복궁 흥례문 앞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직무대리 신성희)는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과 오는 20일부터 22일까지 오전 11시와 오후 2시에 하루 2회 경복궁 흥례문 앞에서 2023년 궁궐 호위군 사열의식 첩종(疊鐘) 행사를 개최한다.
    2011년 처음 시작된 궁궐 호위군 사열의식 ‘첩종(疊鐘)’은 코로나19 이후 4년 만에 재개되는 행사로, 『경국대전』을 토대로 국왕의 행차와 사열을 위한 진법(陣法)과 연무(鍊武)를 극으로 재구성하여 선보인다.
    * 사열: 부대의 훈련 정도, 사기 따위를 살피는 일
    * 진법(陣法): 전투를 수행하기 위하여 일정한 형태로 군대를 배치하는 방법
    * 연무(鍊武): 무예 시연
    ‘첩종’은 경국대전(병전 25편)에 나와 있는 어전사열(御前査閱) 및 비상대기에 사용되는 큰 종을 의미하는 동시에, 궁궐에 입직한 군사뿐만 아니라 문무백관과 중앙군인 오위(五衛)의 병사들까지 모두 집합하여 점검을 받는 사열의식이기도 하다. 군대의 군율을 유지하고 군기를 다스려 국가의 근본을 유지하고자 하는 조선전기의 중요한 제도로, 건국 초기 문무의 조화 속에 국가의 안정을 꾀한 조선왕조의 면모를 보여준다.
    * 어전사열(御前査閱): 국왕 앞에서 군사의 훈련 정도나 상태를 점검
    * 문무백관(文武百官): 모든 문관과 무관
    * 오위(五衛): 조선시대 중앙 군사 조직으로, 중위(의흥위), 좌위(용양위), 우위(호분위), 전위(충좌위), 후위(충무위)로 구성
    이번 행사에서는 약 120명의 출연자들이 조선 초기 진법인 ‘오위진법’ 중 일부를 직접 펼쳐 ‘진(陳)’의 운영 원리를 사실적으로 보여주며, 전통무예 시연과 함께 실제 전투 장면도 연출한다. 특히, 고증을 기반으로 재현된 조선전기의 복식과 무기, 의장물도 볼 수 있다.
    행사는 별도의 사전 예약 없이 현장에서 무료로 즐길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누리집(royal.cha.go.kr)과 한국문화재재단 누리집(chf.or.kr)을 참조하거나, 한국문화재재단 활용기획팀(☎02-3210-1645)으로 문의하면 된다.
    참고로, ‘첩종’ 행사 기간 중에는 수문장 교대의식과 광화문 파수의식을 운영하지 않는다.
    문화재청은 4년 만에 열리는 이번 ‘첩종’ 행사를 통해 국민들이 조선시대 궁궐 호위 문화의 생생함과 힘찬 기상을 엿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cha.go.kr
    📷 Seoul Street Photography l Follow on Instagram
    / seoul_4k
    #Gyeongbokgung #Cheobjong #경복궁 #첩종 #월대

КОМЕНТАРІ • 34

  • @youjung4305
    @youjung4305 8 місяців тому +12

    예전진법을 기록한 자료가 있기에 오늘날 재현이 가능하네요.역시 조상님들의 지혜에 감탄합니다.

  • @P7ejfjr
    @P7ejfjr 8 місяців тому +5

    문화재 찍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hyunseong1215
    @hyunseong1215 8 місяців тому +5

    좋은 구경이다.

  • @serthe2007
    @serthe2007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안녕하세요!!! 저의 한국인 친구입니다. 괜찮으세요? 녹화해주신 영상 잘 봤습니다. 좋아요 버튼을 눌렀습니다. 이제 주말 잘 보내시길 바랍니다. 신의 가호가 함께 하시길 바랍니다. Sergio São Paulo Brazil

  • @byronjamesdalin
    @byronjamesdalin Місяць тому

    Does this happen regularly?

  • @Healthy218
    @Healthy218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좋은 영상 보여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Bluskynice
    @Bluskynice 3 місяці тому

    I wanna the kings actor name

  • @jjangoku5788
    @jjangoku5788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아 무사들좀 프로페셔널한 사람들좀 쓰지 저게 뭐냐? 겁나 아마츄어티 팍팍 나네.
    외국인들도 와서 구경하는데 저렇게 허접한 무술동작으로 안하느니만 못한 퍼포먼스 ㅠ
    나라망신이다 이건

    • @___-et8dr
      @___-et8dr 8 місяців тому +2

      니가 해봐라~

    • @user-jl1cu9bs8e
      @user-jl1cu9bs8e Місяць тому

      그럼 장풍쓰고 경공술하고 날아야 되냐? 퓨전사극보고 역사고증이랑 엮지마라 진짜

  • @HotSoil510
    @HotSoil510 8 місяців тому +2

    노예제국가 조선왕국을 찬양하는 이런 거는 좀 하지맙시다.............조선은 대한민국이 아닙니다.

    • @MrEgde230
      @MrEgde230 8 місяців тому

      노예와 노비 구분못하죠?ㅋㅋ 세상에 어느나라가 노예에게 세금부과하고 출산휴가까지 준답니까?
      머가리 터졌으면 병원을 좀 가보십쇼

    • @HotSoil510
      @HotSoil510 8 місяців тому +1

      @@MrEgde230 노비는 주인양반이 죽여도 강간해도 린치를 가해도 법적으로 문제가 안되는 존재이이까 노예라고 하는 것임.....
      노비가 세금을 부과???하는 것 아니고 납공노비가 농사를 지으면 토지에 대한 수확물은 양인 노비 양반관련없이 세금이 부과되었음..토지세임.....
      노비는 군역이 없었음.그래서 국가에 군포를 바치치 않았을 뿐....그대신에 주인양반에게 노비신공을 바쳐야 했음.....출산휴가??? 이거는 좀...ㅋㅋㅋ..노비는 주인의 재산이니까, 휴가를 줘서 또 돼지처럼 새끼를 쳐야하니까, 당연히 양반들에게 유리한 제도지....ㅋㅋㅋㅋㅋㅋㅋ

    • @HotSoil510
      @HotSoil510 8 місяців тому +1

      @@MrEgde230 신사임당은 친정어머니에게서 노비 30여 명을 물려받아 119명으로 불려 율곡 등 슬하 7남매에게 나눠줬다. 부모 중 한쪽이 노비이면 자식도 노비가 되는 ‘일천즉천(一賤卽賤)’의 결과다. “부귀가 음탕을 부른다”고 가르친 퇴계 이황도 엄청난 자산가였다. 그의 외아들 이준이 남긴 분재기(分財記)를 보면 땅 36만 평, 노비 367명에 이른다.

    • @user-wr1zo7cx6p
      @user-wr1zo7cx6p 8 місяців тому

      너의조상은 왜군 이군요

    • @HotSoil510
      @HotSoil510 8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wr1zo7cx6p 왜군??? 너 조상이 왜군이었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