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과학 x 철학 ] 꿈이 이루어지는 뇌과학적 이유 (통합편)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чер 2024
  • [ 뇌과학 x 철학 ] 5편의 통합편입니다. 영상의 화질이 좋지 않은 점 양해 바랍니다.

КОМЕНТАРІ • 58

  • @kwh234
    @kwh234 16 днів тому +24

    아마 한국에 존재할 최고의 명강의네요

  • @NCTSWISH
    @NCTSWISH 8 днів тому +10

    이거 조회수 적어도 10만은 가야함

  • @user-ke6mi4yp1g
    @user-ke6mi4yp1g 9 днів тому +9

    모든 학문은 연결되어있다고들하죠ㅎ 뇌과학을 전공하신 박사님 입장에서의 철학에 대한 관점,사고의 깊이감에 놀라울따름입니다 아들도 AI 박사과정중에 뇌과학도 전공중인데 그래서인지 박사님께 매우 친근함이 느껴집니다 늘 매번 매우 흥미롭습니다 감사합니다 😊

  • @ybkw9529
    @ybkw9529 16 днів тому +12

    저는 여러번 돌려들으면서 이해하는데 교수님은 생소한 내용을 한번만 듣고도 내면화, 도식화 하는 능력이 대단하십니다. 철학전공자의 힘!!

  • @yjbae2080
    @yjbae2080 10 днів тому +6

    박문호 박사님과 김필영 박사님의 조합이라니! 금년 저의 유튜브 생활 최고의 축복이네요! 감사합니다. 선댓글 후청강합니다!

  • @pmh152
    @pmh152 16 днів тому +15

    27인치 모니터로 보는데도 화질 퀄러티 좋습니다. 전체 영상으로 올려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2시간 50분을 두분 선생님의 건강을 위해서 기도하는 마음으로 시청하겠습니다.

  • @user-tx2px9uk3v
    @user-tx2px9uk3v 5 днів тому +4

    이 강의를 듣고 심리,인지 과학적 고증을 통해 만든 인사이드아웃2 보고 왔는데 정말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김필영박사님께서 수준높은 질문을 해주셨기때문에 강의 퀄리티가 정말 높은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fromeast6225
    @fromeast6225 День тому +1

    아.. 이 긴 영상을 몇번이나 반복해서 보는지 모르겠네요. 위대한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해용

  • @user-np5ek8so2l
    @user-np5ek8so2l 2 дні тому +1

    와 밥먹으면서 보려고 틀었는데 너무 흥미롭고 재밌어서 밥먹던것도 까먹고 집중해서 보다가 소리지르면서 박수까지 쳤어요ㅋㅋㅋ 강의가 아니라 공연을 보는 느낌마저 들었네요 너무 신나서ㅋㅋ 설명하시는 박사님 얼굴도 신나보이셔서 듣는 저도 너무 즐겁습니다ㅎㅎ 유익한 영상 제작해주셔서, 새로운 감각을 열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런 명강의를 침대에 누워서 볼 수 있다니... 행복하네요

  • @neoqma3772
    @neoqma3772 15 днів тому +4

    두분이 같이 하시니 넘 좋네요. 박문호 박사님 강의는 정말 쏙 빠져들어 시간 가는 줄 모르게 듣게 됨..영상 감사합니다.

  • @user-ny9or4ed1o
    @user-ny9or4ed1o 12 днів тому +6

    오 마이 사이언스!! ㅎㅎ 박문호 박사님 최고👍👍👍

  • @haneul-nari
    @haneul-nari 14 днів тому +1

    질문도 너무 재밌고 답변도 너무 재밌습니다. 감사합니당^^
    자막도 !!!👏👏👏

  • @bcn3272
    @bcn3272 15 днів тому +3

    세상에 박문호 박사님 강의 덕분에 개안을 하는 기분입니다. 인간의 본질을 한단계 깊게 이해를 하게되는 것 같습니다.
    귀가 호강이네요. 좋은 컨텐츠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jl1dt8em1w
    @user-jl1dt8em1w 11 днів тому +2

    철학과 과학적 관점으로 어우러지는 흥미롭고 귀한 이야기들 들려주셔서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 @hyesu6785
    @hyesu6785 13 днів тому +3

    하나의 현상도 깊고 다각도로 꿰뚫어 보능 통찰. 경이롭고 존경스럽습니다.

  • @user-ib6wl4gb8r
    @user-ib6wl4gb8r 4 дні тому +2

    인문이 오랫동안 얘기해왔던 것을 후발주자로써 과학이 입증해주는 멋진 이야기네요

  • @user-sy4jp1xt2p
    @user-sy4jp1xt2p 16 днів тому +2

    너무 소중한 강의를 들어서 감사합니다~^^😂

  • @user-cl3jgdvj
    @user-cl3jgdvj 10 днів тому +3

    명강의 잘 들었습니다.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조합은 항상 매력적입니다. 감사합니다! 구독 누르고 갑니다

  • @merrymerry7547
    @merrymerry7547 16 днів тому +5

    교수님 웃음을 띄는 게 보기좋습니다~ ㅎㅎㅎ 저는 잘 모르지만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ㅎㅎ 뇌가 다 만들어낸거라니...

  • @1004WIT
    @1004WIT 16 днів тому +8

    착각은 착각이다 뇌는 생태계다... 어질어질 하내용. ㅋㅋㅋ

  • @user-qz2sq1fn3k
    @user-qz2sq1fn3k 9 днів тому +1

    감사합니다!

  • @user-pz2ht4dn4y
    @user-pz2ht4dn4y 16 днів тому +4

    감사합니다

  • @Leeseo_0630
    @Leeseo_0630 15 днів тому +1

    고맙습니다. 못다한 이야기 한 번 더 부탁 드립니다.

  • @byung-gohnchoo5733
    @byung-gohnchoo5733 15 днів тому +2

    추천합니다 🎉

  • @hewsns7032
    @hewsns7032 10 днів тому +11

    하두 박학다식 하시니 이아저씨가 대통령하면 좋겠다는 생각도 든다...

  • @user-po6pt2lp6e
    @user-po6pt2lp6e 15 днів тому +1

    도대체 무슨말씀을 하는지
    저도 알고싶어요 😂
    그래도 너무 재미 있어요
    두분다 존경스럽습니다
    부럽습니다.
    잘 들었습니다.감사합니다.

  • @user-il5yp2jk7v
    @user-il5yp2jk7v День тому +1

    감사합니다.

  • @user-xl2nb6gk9w
    @user-xl2nb6gk9w 10 днів тому +3

    박문호 박사님 이세상은 가상현실인가요?

  • @user-ys8bq9ji6r
    @user-ys8bq9ji6r 16 днів тому +2

  • @user-nu2on7so4j
    @user-nu2on7so4j 10 днів тому +2

    새벽녘에 잠깐 잠든 30분 정도의 시간동안에도 꿈을 꾸는건 이유가 뭔지 궁금해요..

  • @sarahk6538
    @sarahk6538 16 днів тому +3

    😊😊😊

  • @mmying
    @mmying 16 днів тому +3

    아직 30분 정도밖에 못들었지만 요즘 유행하는 포스트휴먼 담론의 주장과 겹치는 부분이 많은 것 같아요. 1970-1980년대 마투라나와 바렐라라는 생물학자들이 주장한 자기생성이론과 많은 유사점이 느껴져요.(캐서린 헤일즈의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 책에 나오는) 현상학 주장과도 비슷해보이지만 이쪽은 실재를 확실하게 있는 것으로 보니까 큰 차이점이 있는 것 같고, 최근 대륙철학계에서 유행하는 객체지향존재론(O.O.O)과 더 유사한 것 같아요(칸트-하이데거를 공부한 그레이엄 하먼이 주장하는).
    그냥 이것저것 주워들은 입장에서 나열해봤는데 혹시 잘 아시는 분 제가 틀린 지점이 있다면 더 명확히 해주시면 같이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듯 합니다

  • @mandeok-dong5610
    @mandeok-dong5610 10 днів тому +2

    ♥♥♥♥2024년 갑진♥삶의 영속성~지구와 달과 또 삶과 죽음은 돌고 또 돌아가고 있다
    ♥깨달음이란 현재의 모든 과학적 증명의 진리를 죽음에 다다를 때까지 인지(見性) 하고
    각성(覺性)하는 것 입니다♥
    중생의 삶이란 생로병사 ᆞ희노애락ᆞ길흉화복ᆞ 108번뇌가 생기며
    그렇게 대자연(大自然)은 돌고 또 돌아간다~~♥
    45억년 영겁의 세월을 지구가 달과함께 자전하며 태양(太楊)SUN 을 공전하고 365일을 돌고 또 돌아간다~~♥
    그러하니 삶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지고
    태어나서 생로병사(生老病死) ♥喜怒愛樂(희노애락)♥吉凶禍福 (길흉화복)
    새옹지마(塞翁之馬)♥
    대자연의 섭리(攝理)♥를 깨닫고
    죽음으로서 108번뇌가 소멸(消滅)되나니♥
    80세 싯다르타의 죽음은 해탈(解脫) 곧 열반(涅槃) 이리라♥♥♥
    붓다도 사는동안 108번뇌 로 인하여 해탈ᆞ 열반 못 하였다♥
    ♥인간의 4가지 원초적인 本能은♥ 식욕ᆞ배설ᆞ性欲ᆞ수면(잠)욕구와 百八煩惱(108번뇌) 로
    살다가 죽음 으로

  • @user-qv8rl9rq9w
    @user-qv8rl9rq9w 8 днів тому +2

    17:16

  • @user-dv3hp9oj4s
    @user-dv3hp9oj4s 16 днів тому +3

    근데 실제가 뭔가요? 😮

  • @WES-pt2ho
    @WES-pt2ho 16 днів тому +32

    월말기머준을 2년 꽉 채워서 구독하다가 학습할 의지가 전혀 없는 진행자에 질려서 구독을 취소했는데, 이 채널 진행자는 아주 좋은 질문자라서 유익하네요.

    • @sheen666
      @sheen666 16 днів тому +8

      웃음소리를 좀 작게 믹싱했으면 좋겠어요

    • @neoqma3772
      @neoqma3772 15 днів тому +8

      학습할 의지 강하든대 뭔소리여.김어준이 이해하고 부연 예들어주고 재밌어하면서 웃는겅데..박사님 과학계의 시인 같으시다 감탄도 하고.나는 재밌고 좋든데..두분 캐미도 좋고. 김어준 안에 들어 갔다 나온 사람처럼 얘기하네.느끼는게 다르구나...

    • @WES-pt2ho
      @WES-pt2ho 15 днів тому +10

      @@neoqma3772 자기는 무학의 통찰을 가졌다면서 “이래서 학습할 필요가 없어 우하하”를 입에 달고 사는 어주니가 학습의지가 넘친다고 하는 것부터가 이미 넌 제 정신이 아님.
      자기는 얼굴만 봐도 그 사람이 보인다면서 작곡가 관상에 대해 40분을 떠드는 편도 있음. 음악을 듣지도 않고서 ㅋㅋ 그래놓고 천공을 비난하는게 말이 됨? 둘이 생긴 것도 닮음 ㅋㅋ
      헌금이나 열심히 내라. 비싼궤?????!!!!!!

    • @josungmin4872
      @josungmin4872 15 днів тому +1

      ㅋㅋㅋㅋ 원래 박문호 박사 하시던 강의 찾아 들어. 남 욕하는데 시간 쓰지 말고

    • @bonytomas
      @bonytomas 15 днів тому +12

      제가 이 글을 읽고 굉장히 기분이 나빠졌는데 왜일까 고민을 해 봤거든요 사실 박문호 박사를 알게 해주고 월말 김어준을 듣게 해준 거는 김어준씨 때문이 였잖아요. 그리고 저는 아직도 박문호 박사님 의 어려운 내용을 김어준씨가 중간 중간에 끊어서 질문을 해 줄 때 일반 입장에서는 굉장히 듣기가 좋았어요. 저는 아직도 저장해서 듣고 있거든요.그런데 님은 2년 동안 잘 들어 놓고 갑자기 어느 지점에서 마음에 안 들어서 이 채널로 갈아탄 것을 굳이 비교해서 적어야 하나요 ? 이 분을 칭찬하고 싶으면은 그 부분만 적으시면 되는 것을 결국 님은 2년 동안 들었던 님에게도 저주를 퍼 부은 거나마찬가지예요.

  • @user-hh3bm6re5s
    @user-hh3bm6re5s 16 днів тому +3

    발로 압정을 밟으면 발바닥이 아파서 뇌보다는 발을 만지지않나요. 박교수님 존경하지만 이부분은 이해가 안됩니다.

    • @kyungseopyang1513
      @kyungseopyang1513 16 днів тому +1

      이부분에 대해서는 처음에 감각정도로만 느끼다가 눈으로 피를보는걸 보고 극심한통증을 겪는 경우도 있고, 전쟁중에는 반대로 총상에 피를 많이 흘리고 있는 경우에도 상화의 급박성 그리고 부상당해서 살아나갈 수 있다는 희망으로 통증이 경감되는 사례도 많다네요

    • @user-lq6sw1hq1x
      @user-lq6sw1hq1x День тому

      저분 뇌과학자가 아닙니다 ㅋㅋㅋ
      도대체 왜 지 스스로 뇌과학자라고 떠드는지 모르겠네

  • @user-dz2cs9oj5t
    @user-dz2cs9oj5t 16 днів тому +1

    안볼란다 보면서..

  • @jred3721
    @jred3721 16 днів тому +4

    1등🎉

  • @openerwinfree
    @openerwinfree 5 днів тому

    한가지 질문입니다.
    뇌의 인식이 100% 착각이라면
    그래서
    저기에 실재는 있지만
    뇌가 그것을 실재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라면
    저기에 실재가 실재로 있다는 전제 인식 또한
    착각이지 않을까? 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실재인지 아닌지는 어떻게 알까요?
    우리의 뇌가 착각만을 인식한다면
    실재라는 것을 정말 실재라는 것으로
    전제하여 인식할 수 있을까?
    라는 거지요.
    실재라는 것이
    정말 실물로서의 덩어리진
    실체적 존재인 것인지
    아니면 일시적으로 덩어리진 상태로 보여지는
    존재태인 것인지도 명확하지가 않구요.
    따라서
    대상 인식이냐
    사실 인식이냐의
    구분이 필요해지지 않을까요?
    대상 인식은 착각이어도
    대상 인식이 착각이라는
    이 사실 인식만은 착각이 아니어야 하지 않나요?

  • @user-nm5qn8yh2k
    @user-nm5qn8yh2k 12 днів тому +2

    감사합니다.

    • @5philosophy
      @5philosophy  12 днів тому

      허걱. 너무 과하십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