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신기하고 놀라운 나노테크! 아이언맨 나노수트는 어쩌면 말도 안되는 판타지가 아닐지도...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ют 2025
  • 이렇게 신기한 나노기술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싶으신 분들은,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웹진 블로그를 방문 및 구독해주세요!
    링크: blog.naver.com/...
    오늘날 우리 인류는 나노 테크의 혜택을 아주 많이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거의 대부분의 전자기기들은 나노과학 기술의 결정체다. 이게 없으면 현대 문명은 절.대.로 지속될 수가 없다. 또 나노과학은 현재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기술 중 하나다. 현재 과학자들이 개발중인 여러가지 놀라운 나노 소재들은 머지 않은 미래 누구나 아이언맨의 수트를 착용하게 해줄 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런 판타지 속의 나노 기술들이 정말로 실현 가능할까?
    이번 영상은 한국재료연구원,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КОМЕНТАРІ • 938

  •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2 роки тому +1857

    이젠 영화사가 아닌 연구기관에게 지원받는 리뷰엉이ㅋㅋㅋ

    • @parkgeonwoo
      @parkgeonwoo 2 роки тому +88

      그러게요 ㅋㅋㅋㅋㅋ 내가알던 리부엉이가 맞나....?

    • @비누킹-j7o
      @비누킹-j7o 2 роки тому +154

      뭔가 인터스텔라 설명하다 블랙홀 10차원 워프 시공간 상대성이론등을 거치면 굉장히 자연스러운 장르변경ㅋㅋㅋ

    • @yaneodu3
      @yaneodu3 2 роки тому +22

      대단한거지

    • @kakhi0513
      @kakhi0513 2 роки тому +26

      국가나노기술 영화

    • @바이칼-i9u
      @바이칼-i9u 2 роки тому +2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말 하려고 했는뎈ㅋㅋ
      이제 영화는 거들뿐....

  • @meltyice1230
    @meltyice1230 2 роки тому +50

    스크립트 진짜 공부 많이 하고 전달방식까지 고심해서 쓰시는 티가나요~ 다른 과학관련 영상들 보면 관련정보를 읊어주는 정도라면 리뷰엉이님은 정말 이해되도록 쉽게 풀어주시는 점이 너무 대단하심!!

  • @brandlee5089
    @brandlee5089 2 роки тому +43

    간만에 재밌게 봤습니다. 탑-다운, 바텀-업 방식이 나와서 생각나는 것을 아래 적어봅니다.
    근래까지 병원의 치료 방식도 탑다운 방식이긴 했죠. 일례로 정신건강의학쪽의 치료 방식도 증명된 설문지나 질문지를 통해서 환자들의 정신건강을 진단하죠. 현재는 IT 기술의 발달과 AI 기술의 혁신으로 인하여 점차 환자의 개개인의 정보를 토대로 진단할 수 있는 바텀업 방식을 개발하려고 합니다. 물론 사람의 심리를 판단하는 것은 쉬운 것이 아니기에 오래 걸리긴 하지만 앞으로 촉망받는 기술이긴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립니다.

  • @남씨표류기
    @남씨표류기 2 роки тому +24

    영화유튜버의 영화리뷰영상을 보고
    물리학에 대한 흥미가 늘어났다

    • @elvenisar
      @elvenisar 2 роки тому

      영화.....리뷰요???

    • @브라보노짱-d1s
      @브라보노짱-d1s 2 роки тому

      @@elvenisar 인피니트워 엔드게임 리뷰영상 아닌가요?

  • @김민석-z4k2u
    @김민석-z4k2u 2 роки тому +123

    형 진지하게 이정도 분석과 영상이면 교육과정에 나오는 과학도 강의 올려도될거같아 물화생지1,2특히 물리1,2랑 겹치는 내용들도 많이 나오는데 그런쪽으로도 영상만들어서 단원별로 올리면 진짜 왠만한 인강씹어먹을듯 진짜 댓글읽으면 한번만 생각해봐줘
    나는 일반물리학 기대할게 ㅎ

  • @HeStoryKorea
    @HeStoryKorea 2 роки тому +372

    뷰엉이형! 해외에서 생물학자로 연구하고 있는 부엉이로써, 생물쪽 연구 소개해줘서 고마워! ㅎㅎㅎ 다음에도 더 많은 생물학적 내용도 다뤄줘~

    • @zhzkud
      @zhzkud 2 роки тому +31

      영화가 아닌 과학 리뷰 해달라는 부엉이들
      우선 나도 22

    • @리뷰엉이
      @리뷰엉이  2 роки тому +154

      생물학 진짜 미친듯이 어렵던데...

    • @비누킹-j7o
      @비누킹-j7o 2 роки тому +55

      어쩐지 닉부터가 생물학전공자의 포스가 느껴지더라니...

    • @Greeeeeeeed
      @Greeeeeeeed 2 роки тому +9

      다음 영화 리뷰는 쥬라기 공원이겠군요? ㅋㅋㅋㅋㅋ

    • @seong1787
      @seong1787 2 роки тому +2

      형 나도 도와줄 수 있는 분야면 도와줄테니까 생물학도 해줘 !

  • @율박이
    @율박이 2 роки тому +21

    진짜 이런 걸 과학 시간에 보여줘야 하는데..이렇게 재미있게 설명할 수 있는 걸 재미없게 풀어내는 교과서는 대체...

    • @Huni3702
      @Huni3702 2 роки тому +1

      그것이 교과서닌까 '끄덕'

    • @valuable_star
      @valuable_star Рік тому

      우리 학교는 이거 과학시간에 보여주던디

  • @최형우-x9j
    @최형우-x9j 2 роки тому +201

    최근 6개월 간 본 리뷰엉이 영상 중에서 가장 납득 할 수 있을 정도의 '영화 리뷰' 였다.

    • @리뷰엉이
      @리뷰엉이  2 роки тому +71

      리뷰엉이는 영화유튜버니깐 ^^

    • @콩가-q8x
      @콩가-q8x 2 роки тому +5

      @@리뷰엉이 에이 형^^

    • @no.8stevengerrard
      @no.8stevengerrard 2 роки тому +6

      @@리뷰엉이 어디서 밑장빼기여!

    • @vagabond815
      @vagabond815 2 роки тому +2

      @@리뷰엉이 그걸 누가 믿나요 ㅋㅋㅋ

    • @하늘벼리-m8t
      @하늘벼리-m8t 2 роки тому +1

      @@리뷰엉이 그냥 해주는 말이쥬

  • @user-yj5kj8pp9b
    @user-yj5kj8pp9b 2 роки тому +100

    수트까지 입는 건 생각보다 오래 걸리지 않을 것 같고, 그걸 입고 날아다니고 레이저빔 쏘고 하는 날은 오지 않을 것 같음ㅋㅋ

    • @qirick5
      @qirick5 2 роки тому +39

      예전까지만 해도 폰에다가 별에 별 기능 다 쑤셔넣고 쓴다고 하면 개오바취급 받았음ㅋㅋ 아직 모름

    • @염재언
      @염재언 2 роки тому

      VR

    • @neilprost5735
      @neilprost5735 2 роки тому +23

      @@qirick5 폰기능개발과는 차원이 다르지않나요 99퍼구현해도 어마어마한속도와 공기압버틸인간몸이 없을듯

    • @emko69
      @emko69 2 роки тому +14

      @@neilprost5735 가장 큰 문제는 에너지원 아닐까요?? 속도야 천천히 가속하면 될 문제고 수트 입고 있어서 공기압은 문제가 안될듯

    • @알럽잭팟
      @알럽잭팟 2 роки тому +1

      @@neilprost5735 몸은 없지만 기술력으로 보완하겠지 1990년대 로봇이랑 2020년 로봇 비교해보셈

  • @staria0595
    @staria0595 2 роки тому +141

    국가기관에서도 인정하는 과학유튜버 리뷰엉이! 가슴이 웅장해진다

    • @elvenisar
      @elvenisar 2 роки тому

      @@Korean5678 아, 분위기 파악 못하네...

    • @user-hp5hc3wd6n.
      @user-hp5hc3wd6n. 2 роки тому

      @@Korean5678 진지충 아웅

  • @justkid8361
    @justkid8361 2 роки тому +39

    이분은 과학유튜버인데 매 영상마다 영화로 쉽게 설명해주셔서 너무 좋네요 최고의 과학 유튜버 리뷰엉이 화이팅!

  • @건방진천사-m2o
    @건방진천사-m2o 2 роки тому +46

    나노기술은 이름만 아는 정도였는데 꽤나 지식이 풍부해져버린 것 같습니다. 좋은 영화 리뷰였습니다 ^^

  • @전대원-m1t
    @전대원-m1t 2 роки тому +8

    진짜 너무 유익한데 이런거 많이 해주세요. 너무 재밌음ㅋㅋㅋㅋㅋㅋ

  • @TheMirhunter
    @TheMirhunter 2 роки тому +2

    한때 국내 CNT 선두 업체라던 대기업에서 CNT 연구하던 사람입니다. 참고로 CNT 쪽에서 강도 쪽으로 응용하던 연구 분야는 다 접혔고(어딘가 모르게 하는데도 있을지 모르지만) 그래핀은 CNT 보다 더 가망없는 짓이니 생략하고...영상에서 나노 소재를 이용한 아이언맨 슈트 얘기를 하면서 전자 소재쪽 응용사례를 뒤죽박죽 섞어 놓으셨는데 둘은 전혀 다른 연구 분야이고 전자 소재쪽은 유망하지만 나노로 안되는게 기계적 강도를 요구하는 소재쪽입니다. 즉 나노 소재로 아이언맨 슈트 못만들어요. 바텀업으로 슈트를 만드는건 향후에 가능하다 쳐도 영화에서처럼 원하는 모양으로 변형시키려면 탄소 결합을 끊었다 재결합했다 해야하는데 이것은 엄청난 에너지를 요구하므로(다이아몬드가 그래서 강한거죠. 탄소 원자끼리 매우 거대한 에너지로 3차원 공유결합을 이루고 있으니 그걸 깨기가 어려운 겁니다) 실제적으로 불가능하구요. 말미에 CNT가 강철의 100배니 하는데 절대 강도가 100배라는게 아니고 무게 대비 강도가 100배 라는 겁니다. 다만 CNT는 사이즈 자체가 나노 사이즈라 전혀 하중을 받아내지 못합니다. CNT와 비슷한 성공 케이스가 탄소 섬유인데 탄소 섬유는 길기때문에 하중을 받아내는게 가능하죠. 쉽게 비유하자면 여러분 팔의 뼈를 매우 잘게 부숴놓아 봅시다. 외부에서 오는 하중을 받을 수 있을까요? 이러한 이유 때문에 앞뒤 안가리고 뛰어 들었던 대기업들이 CNT 다 철수하고 현재는 전자 소재나 배터리용 슬러리액 즉 탄소의 전기적 특성을 활용하는 연구 분야만 남아있는 겁니다. 결국 그러면 다시 얘기는 원점으로 가서 아이언맨의 슈트 부위별로 바텀업으로 하나의 탄소 구조체로 키워서 만들어야 하는데 뭐 어마어마한 비용이 들겠지만 가능하다쳐도 그건 기존 아이언맨 슈트처럼 작동하지 나노슈트 처럼 모양을 바꾸지는 못합니다. 왜? 어마어마한 에너지가 들어가니까. 그리고 그렇게 바텀업으로 아이언맨 파츠를 만든다면 그건 이미 사이즈부터가 나노 소재도 아니죠.
    결론은 미래에도 불가능할 확률이 절대적입니다. 탄소 구조의 슈트를 변형 시킨다는건 다이아몬드를 깨서 변형 후 재결합 시키는 것과 동일한 에너지를 요구하므로 그럴 필요가 없거나 불가능합니다.

    • @changetheworld1471
      @changetheworld1471 2 роки тому

      그렇군요.. 친절한 설명 인상적이네요. 그래도 엄청난 소재라니 더 연구개발하고 발전시켜 인류 문명에 많은 베네핏을 줄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응...그런가
    @응...그런가 2 роки тому +4

    이런 영상 볼때마다 는 명언을 남기신 아서c클라크 센세를 매번 다시볼수 밖에 읎음
    물논 sf좋아하면서 이런말 들으면 '10덕쉨 오글거리는 말한다' 고 반응하는 놈들도 잇지만 이런말을 듣더라도 멀지않은 미래에 저렁 공상과학이 실현될거라 생각되면 두근거리기도함

  • @youngc8484
    @youngc8484 2 роки тому +51

    리뷰엉이 실체가 최소 국방과학연구소 라는게 학계의 정설ㅋㅋ

  • @딸기프라페-i1w
    @딸기프라페-i1w 2 роки тому +13

    와우 영화리뷰유튜버가 나노기술센터랑 재료연구원의 지원을 받다니

  • @planbkorea
    @planbkorea 2 роки тому +27

    부엉이님, 영상 너무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혹시 기후위기나 탄소중립이 중요해지는 시대에 탄소의 중요성이나 가능성에 대해 강의를 한다면 어떤 얘기들이 나올까요? 문득 궁금해지네요ㅎㅎ

  • @dohyun7029
    @dohyun7029 2 роки тому +22

    역시 영화를 많이보는 국내 최고 과학유튜버!

  • @ECOSound1978
    @ECOSound1978 2 роки тому +1

    봤던거 또 보고 또 보고... 질리지가 않네요
    신기하고 재미있고.. 우주를 이해하는것과
    또 다른재미가 있네요
    혹시 리뷰엉이님~
    아이언맨의 나노슈트 말고 아이언맨의 마크2 슈트나 어벤져스의 헬리케리어도 나노슈트 리뷰처럼 만들어 주실 수 없을까요
    너무 재미있을거 같아요
    영상 너무 잘보고 있습니다~

  • @Dominicus0808
    @Dominicus0808 2 роки тому +6

    시간(인쇄시간, 준비시간등)과 공간(설치장소, 인쇄순서, 인쇄중 움직임)의 제약없이 프린팅이 가능하다면
    말그대로 차원인쇄

  • @무갱
    @무갱 2 роки тому +29

    나노기술(바텀-업)방식은 마치 강철의 연금술사 같네요.
    08:03 에드워드 형제가 엄마를 연성할 때 사용한 재료 아닙니까ㄷㄷㄷ

  • @star_shining_at_night
    @star_shining_at_night 2 роки тому +7

    드디어 그나마 영화 리뷰에 가까운 영상이

  • @kimeunmi1226
    @kimeunmi1226 2 роки тому +7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와 엔드게임을 한번에~! 리뷰 잘봤습니다😆

  • @달리는당근-t9c
    @달리는당근-t9c 2 роки тому +9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유명한 탄소나노튜브가 사용된지는 처음 알았네요. 그램에도 그래핀이 쓰이고 있다니.. 교과서에서 보던 물질들이 어느새 상용화의 영역에 들어와있었군요.

  • @seungbeomchoi4619
    @seungbeomchoi4619 2 роки тому +1

    지나가던 재료과 졸업생입니다. 나노신소재 첫수업때 나오는 인트로 내용이네요 교수님들 이제 첫수업은 강의자료 안만들고 이거 틀어놓고 같이 보면될듯

  • @MASTR_777
    @MASTR_777 2 роки тому +5

    제가 궁금한 것은... 저 무기들이 어떻게 저렇게 유연하게 만들어지냐가 아니라
    저 많은 입자들이 도대체 어떻게 그 작은 판떼기에 들어가있느냐 입니다...

    • @siyann9960
      @siyann9960 2 роки тому

      들어가 있을순있죠 다만 가슴을 빡세게 운동해야합니다 저 조만한게 못해도 20kg 정도 된다는거니까요

  • @annachoi3454
    @annachoi3454 2 роки тому +2

    어쩐지.. 어벤져스 인피니티워에서 토니의 수트가 한 몫을 하더라니. 그게 나노기술때문이었군요
    오늘도 영화리뷰 감사해요
    리뷰덕분에 감동이 두배로 다시 옵니다
    며칠전에 올리셨던 2년째 계속 연재중인 인터스텔라 리뷰도 잘 봤습니다

  • @iankim4797
    @iankim4797 2 роки тому +20

    그럼 나노테크로 무언가를 만들어낼때, 그 과정에서 필요한 동력은 어떻게 얻어지는지 궁굼합니다!!

    • @somebodyhelpmeno
      @somebodyhelpmeno 2 роки тому +1

      가슴에 아크원자로가 동력이겠죠..?

    • @리뷰엉이
      @리뷰엉이  2 роки тому +5

      아크리액터로 핵융합 일으켜서 동력을 얻는다 부엉. 제 채널에 영상 있어요!

    • @longino3525
      @longino3525 2 роки тому +1

      나노테크를 이용하여 특정 물질을 합성할 때 고온고압, 마이크로웨이브, 자외선 파장대의 빛이 동력으로 쓰입니다.

    • @surplusking2425
      @surplusking2425 2 роки тому

      현실에서는 그냥 전기 끌어다 써야죠...그래서 아직 가성비가 그리 좋지는 못함...

  • @clearx7506
    @clearx7506 2 роки тому +1

    저 신소재를 반도체에 적용할경우 그게 특이점의 시발점이 됩니다...
    탄소나노튜브는 이론상 실리콘대비 10배의 전자이동성
    그래핀은 이론상 실리콘대비 100배의 전자이동성을 지님..
    실제로 tsmc 로드맵에 2nm이후 1nm공정에 탄소나노튜브 도입을 시사하였음

  • @Phil_Db
    @Phil_Db 2 роки тому +4

    갱장히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접근 이로다…
    공부 잘하고 갑니다 엉이님ㅎ

  • @barryallen7910
    @barryallen7910 2 роки тому

    내가 아는 유튜버 중에서는 가장 재밌다~ 어려운 내용을 적절한 예시와 쉬운 설명으로 귀에 쏙쏙 들어오걱 해줌

  • @AlphaGo27
    @AlphaGo27 2 роки тому +8

    8:09
    물 35리터,
    탄소 20킬로그램,
    암모니아 4리터,
    석회 1.5킬로그램,
    인 800그램,
    염분 250그램,
    질산칼륨 100그램,
    유황 80그램,
    플루오린 7.5그램,
    철 5그램,
    규소 3그램,
    기타 미량 원소 15가지...

    • @미카-l2h
      @미카-l2h 2 роки тому

      에드워드 엘릭ㅋㅋㅋ

  • @stensmde
    @stensmde 2 роки тому +1

    와 18분짜리 영상인데 전혀 안 지루하고 흥미롭게 잘 봤어요
    되게 재밌네여

  • @지오바나-y8x
    @지오바나-y8x 2 роки тому +3

    역시 과학유튜버 리뷰엉이..오늘도 새로운 지식을 영화에 빗대어 배워갑니다

  • @김재우-z8x
    @김재우-z8x Рік тому

    나노과학 나노테크는 무조건 작게 만드는 기술이라 생각했는데, 원자의 성질을 이용해서 물질이 나노 단위가 되면 성질이 변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 나노기술의 기본개념부터 지금의 연구분야까지 정리해주셔서 나노테크의 큰 흐름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Korea-1948-o2z
    @Korea-1948-o2z 2 роки тому +3

    나노 기술이 더 발전하고 보급화 되면 굳이 3D Printer도 필요가 없어지는 시대가 올거 같네요!

  • @Claymore-chobo
    @Claymore-chobo 2 роки тому +1

    정말 신기한건 아인슈타인. 러더퍼드.하이젠베르크.닐스 보어.토니스타크 목소리를 들을수 있는데 신기하게도 목소리가 비슷해보이는건 기분탓일겁니다 ㅋㅋㅋ심지어 호킹박사님이 서툴지만 완벽히 한국어로 말씀하는것까지 리뷰엉이 채널에서 볼수있어 좋아요. 근데 그거 아세요. 사람목소리는 지문처럼 다 독특한데 그걸로 최첨단 수사기법으로 검색해서 찾아내는거 스파이영화에 자주 나오지만.. 앞으론 그런것도 가능하면 소개부탁드려요.

  • @roadartj6281
    @roadartj6281 2 роки тому +3

    영화에서 처럼 사람몸 전체를 짧은시간안에 슈트로 도배된다는건 불가능하다 보여집니다..
    물론 슈트를 만드는데 가능은 합니다..너무 오랜시간이 걸릴뿐..ㅎㅎㅎ..
    사람정도의 크기로 지구 한바퀴를 10초안에 돌아도 이 슈트를 만드는데 1년이상 걸릴겁니다..

  • @MANANNI_7012
    @MANANNI_7012 2 роки тому +2

    성대모사는 토니스타크가 아니라 아인슈타인형같았지만 오늘도 좋은 과학영상 봐서 기뻐요, 감사합니다~!

  • @jeongpaka
    @jeongpaka 2 роки тому +3

    잼있당

  • @ian9magic
    @ian9magic 2 роки тому +2

    와... 나노테크의 범위가 넓네요. 특히 바텀업이 끌리는데, 우주여행이 조금 더 쉬워질 것 같은 게, 바텀업이 잘 발전하면 우주 여행 시 주변에서 원소를 수집해가지고 그걸로 소고기를 만들어 낸 후 요리에 쓸 수 있을 테고, 소고기 품질도 최상급으로 조작할 수 있을 듯. 먹식이인 나에게는 꿈같은 일이군요. ㅋㅋㅋ

    • @nekokasha_mizusu
      @nekokasha_mizusu 2 роки тому +1

      심지어 이게 가능하다면, 좀 더러운 이야기지만 분비물을 이용해서 음식을 다시 만들어내는 것도 가능합니다.

  • @tvng4238
    @tvng4238 2 роки тому +3

    리뷰엉이님 또 오늘 리뷰는 어벤져스 인피니티워라고 하시겠내요!ㅋㅋ

  • @habaraggi
    @habaraggi 2 роки тому +1

    정말 전문적이야😌
    팬이에요~ 😍

  • @e_drag_studio
    @e_drag_studio 2 роки тому +3

    나노기술은 진짜 연금술이 되는 거네요!

  • @ncirclestudio3123
    @ncirclestudio3123 2 роки тому +1

    moonfall 영화 관련해서 달에 관한 리뷰를 듣고 싶네요//////아울러 달의 내부 관련한 재미난 설정들 까지요......

  • @CHOIMINSEUNG
    @CHOIMINSEUNG 2 роки тому +4

    역시 떠오르는 차세대 다크호스 과학유튜버!!
    토니스타크의 나노슈트를 이용해서 재미있는 과학을 리뷰해주셨군요!

  • @TV-ck6dl
    @TV-ck6dl 2 роки тому +1

    잘 보고 갈게요

  • @LightCH33
    @LightCH33 2 роки тому +3

    나노기술에 탄소가 많이 사용 되면 이산화탄소 농도 줄일 수 있나요?

    • @리뷰엉이
      @리뷰엉이  2 роки тому +2

      탄소포집기로 탄소 모은 다음 탄소를 활용하는 연구가 적극 진행되고는 있어요!

  • @pagaehun
    @pagaehun 2 роки тому +1

    Bgm 문명??

  • @둘기는참새의어머니
    @둘기는참새의어머니 2 роки тому +5

    그래핀
    나노튜브
    풀러랜
    발견된지 40년도 넘은 물질들을 신소재라고 부르는 상황이 빠른 기술의 발전과는 상반된다고 생각함.

    • @둘기는참새의어머니
      @둘기는참새의어머니 Рік тому

      @admin-Secret 뭔 개소리를 하고싶은지 이해가 안가네요.
      "발명한지 40년도 넘은 것들이 신소재라는게 이상하다"라고 말하는거에 "저것들은 과학자들이 힘들게 발명한거야"라고 말씀하시는게ㅋㅋㅋ
      제가 발명한 과학자들을 비난하기라도 했나요?
      문맥파악 1도못하는 국평오의 주범이 시비거는게 어이가 없네요ㅋㅋㅋㅋㅋ

    • @둘기는참새의어머니
      @둘기는참새의어머니 Рік тому

      @admin-Secret 그래핀의 전기전도성을 말씀하시는거라면 당연히 높습니다. 탄소의 결합에서 육각구조 하나당 한개의 자유전자가 생겨나기 때문이죠. 하지만 그래핀의 전기전도성은 상황마다 다릅니다. 몇겹으로 겹쳐두었나, 몇도의 각도로 비틀어서 겹쳐두었나에 따라 전기전도성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죠.
      제가 당신에게 화가난 이유는 당신의 지적능력이 부족해보여서가 아닙니다. 사람이라면 응당 지녀야할 사회성이 완전히 결여된듯한 발언이나 하니까 한심해 보일 것입니다.

  • @안아줘요선생
    @안아줘요선생 2 роки тому +1

    어셈블러가 만들어진다면 어셈블리어에서 c언어를 만들고 c언어에서 python을 만든것처럼 유전정보처럼 4가지로 이루어진 단순한 정보뿐만아니라 유니코드로된 텍스트로 원하는 물질을 만들 수 있도록 될것 같습니다

  • @LoveLove_Paradise
    @LoveLove_Paradise 2 роки тому +9

    이분은 한 10년 정도 지나면 어디 교수님 되있을것 같네요 ㅋㅋ

    • @gold.digger
      @gold.digger 2 роки тому +1

      석-박-교수 가 우습노?

    • @도시어복
      @도시어복 2 роки тому +1

      리뷰엉영상중에 이번영상은 그나마 이해한거같군 자고나면 잊겠지만

    • @justkid8361
      @justkid8361 2 роки тому

      @@gold.digger 명예교수는 폼이농

  • @guedui
    @guedui 2 роки тому +1

    어릴적 봤던 만화 영화가 점점
    현실이 되가네요.
    공중분해원소기 관련 만화,영화가
    큐티하니,자인언트로보,더플라이,총몽등이 있는데
    공중분해원소기가 나오면
    순간이동,대량생산도 가능해 집니다.
    A지역 부엉이를 원소단위로
    분해하고 분해데이터를 저장
    B지역의 원소로 재합성 됩니다.

  • @썬더-g1o
    @썬더-g1o 2 роки тому +14

    원래는 영화 리뷰하던 분인데 영화때문에 과학으로 갈아탄 리뷰엉이님 ㅠㅠ

  • @zacone9152
    @zacone9152 2 роки тому +1

    부엉이님. 나노 기술을 개발하는 민간 회사들은 어떤 회사들이 있을까요?

  • @1qwe32
    @1qwe32 2 роки тому +3

    5:04
    결국 아인슈타인이 되어버린 토니 스타크ㅋㅋㅋ

  • @ljw010488
    @ljw010488 2 роки тому +1

    리뷰엉이 님 영상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고마워유

  • @차태식-n8g
    @차태식-n8g 2 роки тому +3

    100년 안으로는 영화만큼의 슈트구현은 불가능 장담ㅋㅋㅋ

  • @당삼하지
    @당삼하지 2 роки тому +1

    영화리뷰 한 편 보고나니 나노과학에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니 신기할따름이네요.

  • @Official_FragmentDeer
    @Official_FragmentDeer 2 роки тому +3

    그래봤자 결론적으로는 아이언맨 나노입자 슈트 생산 되려면 최소 30년은 더 걸릴거라 예상함.

  • @brocoly117
    @brocoly117 2 роки тому +1

    부엉이형 진짜 애청자인데 영화리뷰는 언제하는거에요 ㅠㅠㅠㅠ 아 이게 영화 리뷰라구요?

  • @luneclips
    @luneclips 2 роки тому +3

    땅불바람물마음이 나왔으니 캡틴플래닛 리뷰네요 압니다.

  • @balfouri4579
    @balfouri4579 2 роки тому +1

    AI로 뇌 및 인간 신체의 모든 단백질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 나노기술로 원자단위를 원하는대로 재배열 할 수 있다
    = 내 몸을 조금씩 나노신체로 바꾸게 되면, 의식의 끊김없이 트랜스휴먼이 될 수 있다
    이론상 가능한 것 같은데 실현 가능성이 얼마나될까요?

  • @jamesdin4191
    @jamesdin4191 2 роки тому +8

    뭐여 이제 과학재단 지원 받는가?? 🤣🤣🤣🤣

  • @junoc4197
    @junoc4197 Рік тому

    영화들에서 나오는 나노테크들은 그냥 시나리오 쓰기 귀찮아서 대충 우겨 넣은겁니다.
    나노슈트가 말이 된다치면 최대한 작게 만든 융합로, 공장시설을 짊어지고 다녀야 할거에요.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면 처리도 나노기술로 해결하기 힘든 부분도 있을거고요.
    나노슈트 만들바에야 나노 신체로 대체하는게 더 합리적이라 보입니다.

  • @prop111
    @prop111 2 роки тому +3

    영화리뷰보다가 과학자될것같아요

  • @마경표-z1f
    @마경표-z1f 2 роки тому +2

    크 브금으로 깔리는 웅장한 문명6브금.... 끝내준다

  • @롤벤마
    @롤벤마 2 роки тому +5

    영화지만
    그러면 강철의 200배나 강한 강도를 지진 나노테크 아이언맨 슈트를
    맨손으로 부시고 아작낸... 타소느의 완력과 파워는 무엇....ㄷㄷㄷ

    • @sseesseessee
      @sseesseessee 2 роки тому

      타노스를 나노테크로 만들어야 할 듯 ㅋㅋ

  • @aza77com
    @aza77com 2 роки тому

    리뷰엉님 좋은 내용 재밌고 유익하게 잘봤습니다.
    고맙습니다.

  • @냥아띠
    @냥아띠 2 роки тому +3

    그런데 탄소나노튜브가 강철보다 100배 강하고 그래핀이 강철보다 200배 강하고
    카바인이 그래핀보다 2배 강력한대
    왜 탄소나노튜브가 왜 지금까지 인간이 발견한 물질중에 가장 강한 강도를 지닌 물체인거에요?

    • @Warhammer40K-x9c
      @Warhammer40K-x9c 2 роки тому

      카바인이 뭐임?

    • @냥아띠
      @냥아띠 2 роки тому

      @@Warhammer40K-x9c 현실세계판 비브라늄 후보쯤 되는 물질이요

    • @Warhammer40K-x9c
      @Warhammer40K-x9c 2 роки тому

      @@냥아띠 아 화학은 문회안이어서 몰랐네요

  • @leemy6138
    @leemy6138 2 роки тому +2

    5:05 이어폰꽂고 들으면서 설거지하고 있었는데 현웃터져서 거실에 가족들한테 뻘쭘했자나.....책임져 형....

  • @영웅들-i1z
    @영웅들-i1z 2 роки тому +3

    아닉ㅋㅋㄲ ㄱ마지막에 어벤져스 리뷰였다함ㅋㅋ개웃기네
    +나노기술 궁금했는데 설명해주셔서 감사함다

  • @차한신
    @차한신 2 роки тому +1

    무슨 연금술 같다 진짜 ㅋㅋㅋㅋ 잘봤어요 멋져요 과.. 아니 영화 유튜버

  • @민석-t6s
    @민석-t6s 2 роки тому +1

    과학시간에 배웠던게 영상에 나오니 갑자기 새롭고 관심가네여 ㅎ

  • @bokorich4408
    @bokorich4408 Рік тому

    너무재밌게 즐겨보고있습니다.
    혹시 드래곤볼에나오는 호이포이 캡슐이 실현가능한일인지 컨텐츠제작 가능하실지요~

  • @기타치는땅콩
    @기타치는땅콩 2 роки тому +1

    탄소라는 단 하나의 원자만 해도 이리 다양한 종류와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다른 원자들의 특성들도 점차 발견된다면 얼마나 세상이 달라질 수 있을지 궁금하네요

  • @수달이달달-w9x
    @수달이달달-w9x 2 роки тому +1

    재밌게 보고있다구리~

  • @JIGU_WANG
    @JIGU_WANG 2 роки тому

    리뷰엉님 연구내용 보면 잠이 잘와요

  • @calilx2
    @calilx2 2 роки тому +1

    나노튜브하면 탄소만 나오던데 탄소이외로 만들면 어떻게되는지 실험결과같은게 있나요? 그런 정보도 알고싶습니다. 특히 강도나 다른부분들이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도요. 헬륨가지고 나노튜브나 풀러렌은 못만드는건가?싶고요.

  • @sus9703
    @sus9703 2 роки тому

    중간중간 흰색 배경... 눈이 넘 부셔요.. 자기전에 틀어놓는데... 어두운색 배경 부탁드려요

  • @동그란네모
    @동그란네모 2 роки тому +2

    100만 추카! 그래도 아직은 영화리뷰 기질이 남마 있구만

  • @히읗무새
    @히읗무새 2 роки тому +1

    문명 브금들으면서 설명들으니 웅장이 가슴해지네요

  • @okjuz
    @okjuz 2 роки тому

    형 진짜 너무 고생한다ㅋㅋ
    어려워서 머리 아플텐데 힘내ㅋㅋ

  • @오재호-x3v
    @오재호-x3v 2 роки тому +1

    재미있네요ㅎㅎ

  • @염재언
    @염재언 2 роки тому +1

    이런 영상은 왜 없지 했는데 바로 나와주네

  • @bandamkaromi
    @bandamkaromi 2 роки тому +1

    제대로 과학 리뷰하셨네요.. ^^).. 재밌네요..

  • @김성준-j9m2f
    @김성준-j9m2f 2 роки тому +1

    여기서 질문!
    사람의 모든 구성성분을 넣는다고 한다면
    사람이 나오는건가요?

  • @SamuelSmith1221
    @SamuelSmith1221 2 роки тому +1

    한때 영화 유튜버였다니.. 믿을 수가 없다요..

  • @I_catching
    @I_catching 2 роки тому

    고등학교 '신소재'수업 시간에 사용하려고 합니다,,,,애들이 좋아하겠어요,,교과서보다 쏙쏙 들어오는 설명이에요,,,,

  • @뿌뿌-q7y
    @뿌뿌-q7y 2 роки тому +1

    이 정도 과학리뷰면 부엉이님도 노벨문학상 하나주....세요😎

  • @동혁윤-x7q
    @동혁윤-x7q 2 роки тому +1

    부엉이 형 다음번엔 아이언맨을 이용한 로봇관련 영상 하나 만들어줘

  • @뿡뿡이-q8o
    @뿡뿡이-q8o 2 роки тому +1

    주로 나노기술의 장점에 대해 얘기 하신 것 같은데 그럼 나노기술의 단점은 어떤것이 있나요?

  • @Bigbrother-korea
    @Bigbrother-korea 2 роки тому +1

    백번째 아이언맨 리뷰 잘봤습니다

  • @habaraggi
    @habaraggi 2 роки тому +1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다룬 영상도 있나요?😯

  • @아지마리
    @아지마리 2 роки тому +1

    아이언맨 영화 리뷰 잘봤어요~!

  • @FranTic945
    @FranTic945 2 роки тому +1

    역시 영화리뷰는 리뷰엉이다!

  • @히리미-f2n
    @히리미-f2n 2 роки тому +1

    현재 붕소 결합으로 만들어진 보로핀을 발견했고 보로핀은 그래핀보다 더 강하고 전도율도 좋다고 하는데 그래핀처럼 보로핀 연구가 계속 되어서 상용화가 되고 하면 아이언맨 슈트가 탄소가 아닌 붕소이지 않을까요?

  • @나도몰라
    @나도몰라 2 роки тому +1

    형은 역시 과학유튜버야
    오늘은 4월2일

  • @Googleaccount31452
    @Googleaccount31452 2 роки тому

    Li-S 배터리의 양극에서 Li2Sx가 형성되는데 음극으로 돌아가 Li2S8이 되면 S8으로 떨어져나가고 또 양극에서 polysulfide가 형성되고 결국 지속적인 S누출에 의한 낮은 cycling 횟수, 낮은 전도성으로 인해 문제가 생기는거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음극과 양극 사이에 탄소 나노튜브 장벽층을 적용함으로써 polysulfide의 음극으로의 이동을 억제하고 (어떤 논문에서는 lithiation 한 뒤 delithiation하여 polysulfide을 잘게 부순다는 내용도 있음) 그로 인해 전도성과 cycling을 향상시켰다고 하네요 전공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