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천에는 눈개승마를 재배하거나 자연산을 채취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는 그 분들이 가져다주시는 것으로 조리법을 연구 개발하는 사람입니다. 산나물은 일반나물에 비해서 함유되어있는 성분의 약성이 강해서 예민한 사람들은 눈이나 피부가 따갑거나 가렵고, 먹었을 때 속이 불편하거나 어지럼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물론 재배한 것 보다 자연산이 좀 더 그렇고 재배방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이 방송은 불특정다수가 시청하기 때문에 모든 사람의 체질을 고려해야만 합니다. 그대로 먹어도 문제가 없는 분들은 그냥 드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예민하신 분들은 반드시 삶아서 맑은 물에 우려서 조리해야 합니다.
뎃글이 늦었지만 개도 풀 잘먹어요. 울집개는 냉이. 오가피순. 쑷갓. 호박잎등등 나물뿐 아니라 별걸 다 먹었어요. 라면ㆍ밥ㆍ 떡ㆍ과자ㆍ사탕ㆍ국수ㆍ빵ㆍ 오이ㆍ고구마ㆍ온갖생선ㆍ고기 ㆍ민물다슬기도 잘 먹음. 하지만 딱 한가지 번데기는 안먹더라구요. 세마리 다~ 그전에는 제가 번데기 좋아했었는데 개들이 안먹는거 보고 그 후로 저도 안먹어요. (무슨 개한테 사람 먹는걸 다 먹였냐 하시는 분들 많을텐데ᆢ 우리개들은 마당에서 뛰어다니며 살고 있고 17년째 잘 먹고 잘 삽니다.)😊
감사합니다 잘보고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작년 봄에 씨앗으로 싹을 틔워서 올봄에 텃밭에 심었습니다 그런데 새잎 나오는것이 오글쪼글 하여서 원래 그렇게 나오나보다 했는데 잎색갈이 초록이 아니고 살짝 노랗게 변해요 그래서 살펴봤더니 새잎에 개미가 살아요 그래서 약을 치긴했는데 죽을까봐 걱정인데요 어찌하면 좋을까요 좋은 방법 알려주세요 참고로 여긴 캐나다입니다
장아찌의 간에 따라 다릅니다. 간이 적당하면 그냥 사용하시고 간이 짜면 물에 잠시 담가 간기를 빼 주세요. 장아찌를 쫑쫑 썰어 갖은 양념을 한 다음 (다진 파, 마늘 , 설탕, 참기름, 깨소금) 무칩니다. 부침가루와 물을 1: 1로 반죽해서 장아찌 다진것과 섞은후 팬에 기름을 넉넉히 두르고 바삭하게 구우시면 됩니다.
저는 눈개승마를 재배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화천에는 눈개승마를 재배하거나 자연산을 채취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는 그 분들이 가져다주시는 것으로 조리법을 연구 개발하는 사람입니다. 산나물은 일반나물에 비해서 함유되어있는 성분의 약성이 강해서 예민한 사람들은 눈이나 피부가 따갑거나 가렵고, 먹었을 때 속이 불편하거나 어지럼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물론 재배한 것 보다 자연산이 좀 더 그렇고 재배방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이 방송은 불특정다수가 시청하기 때문에 모든 사람의 체질을 고려해야만 합니다. 그대로 먹어도 문제가 없는 분들은 그냥 드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예민하신 분들은 반드시 삶아서 맑은 물에 우려서 조리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영상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저도 평창에서 눈개승마 약600평 재배자입니다. 궁금한 것이 끓는 물에 삶을 때 시간은 어느정도가 적절한 지,,, 고사리 삶는 정도가 좋을 지? 여쭈어 봅니다. 2021년 봄 출하를 계획하고 있는 어리버리 농사 3년차 입니다. 수고 많이 하세요.
‘절대연교차’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는 연최고극기온과 연최저극기온의 차이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체감하는 연교차는 절대연교차에 가깝습니다. 저는 60년의 서울살이를 접고 이곳 화천으로 이주한지 몇 년 만에 60도가 넘는 절대연교차를 체감했습니다. 2018년 1월에 영하 20도 이하의 추위를 경험했고 그해 8월 초에 영상 40도에 이르는 더위를 겪어, 불과 8달 만에 팔열(八熱)지옥과 팔한(八寒)지옥을 경험한 것이지요. 이 경험은 제게 끔찍한 화천의 날씨로 각인되었습니다. 화천은 내륙의 기후 특성 그대로 봄·가을이 매우 짧아서 여름과 겨울만 존재하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영상에 언급된 60도의 연교차는 저의 경험을 말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연교차라 하면, 어느 지역의 기온의 연교차를 의미하며, 1년 중 최난월 평균기온과 최한월 평균기온의 차이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작년 우리나라 서울의 가장 더웠던 달인 8월의 평균기온이 26℃이고, 가장 추웠던 달인 1월의 평균기온이 -3℃였다면, 서울의 작년 연교차는 최난월 평균기온(26℃) - 최한월 평균기온(-3℃)으로 29℃가 된다. 기온의 연교차에서 다뤄지는 최난월 평균기온과 최한월 평균기온의 개념은 세계의 기후를 처음 구분한 쾨펜(W. Köppen)이 사용한 중요 기후지표였으며, 이에 따라 어느 지역의 기후 특성을 설명하는데 있어 연교차는 여전히 중요하게 쓰인다. - 네이버 지식백과- 영상에서 화천의 연교차가 60도 이다 라고 말씀 하셨습니다. 절대연교차라고 하셔야 정확한 설명이 될 듯 합니다 수정하지 않으시면 영상을 보시는 분들은 화천의 일반적인 연교차가 60도라고 배우게 될듯 합니다 특별한 설명이 없다면 일반적인 연교차를 말하는 것이니까요 개인의 특별한 경험을 일반화시키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화천에는 눈개승마를 재배하거나 자연산을 채취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는 그 분들이 가져다주시는 것으로 조리법을 연구 개발하는 사람입니다. 산나물은 일반나물에 비해서 함유되어있는 성분의 약성이 강해서 예민한 사람들은 눈이나 피부가 따갑거나 가렵고, 먹었을 때 속이 불편하거나 어지럼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물론 재배한 것 보다 자연산이 좀 더 그렇고 재배방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이 방송은 불특정다수가 시청하기 때문에 모든 사람의 체질을 고려해야만 합니다. 그대로 먹어도 문제가 없는 분들은 그냥 드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예민하신 분들은 반드시 삶아서 맑은 물에 우려서 조리해야 합니다.
수퍼에서 파는건 안우려도 괜찮더라고요
@@코코-n4zㄱ
저는 삶아서 바로먹어도 이상이 없어요. 아내는 약간의 설사를 하네요. 삶아서 하루밤 우려내고 먹겠습니다.
자세한설명 감사합니다
맞아요
눈개승마를 데쳐서 두릅하듯했더니
독해서 못먹고 버린기억이있네요.
하루 울거서해야겠네요
네.
물 갈아주며 하루 울궈 먹으면
맛있게 먹을수 있습니다.
맛있게 만들어 드세요.
예전에 눈개승마 장아찌 맛있게 먹고 관심갖게 되어서 이번에 마트에서 한팩 사왔는데 영상보고 삶아서 찬물에 담가놨네요. 눈개승마 전문가시군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맛있게 만들어 드세요.
지금 샀는데 어떻게 😊해야지. 보고가요
맛있게 만들어 드세요.
줄기가 더맛나요~~~😅
능개승마 좋은정보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셨다니 좋습니다.
지나가다큰길에서보고
무언가?궁금했는데
눈개승마밭이였군여~
저도지인에게몇뿌리
얻어심었어요~
요리방법궁금했는데
잘보고갑니다~화이팅!!
감사합니다 ^^
눈개승마가 두룹이랑 비슷하게 생겼네요
몸에 좋은 눈개승마 영상으로나마
맛나게 보고 레시피 잘배워갑니다 😊😊🙇♂️
구매할수 있나요
는개승마는 이른봄에 나오는
나물입니다.
저도 좀 전에 우리 밭에서 수확한 눈개승마를 생으로 몇개 집어 먹었다가 바로 설사를 했습니다. 생으로 먹으면 안되는것 같네요. 데쳐서 하루 물에 안담그고 바로 초장 찍어 먹는것은 괜찮고요.
저런!
많이 힘드셨겠습니다.
저도 멋모르고 아주 작은것 몇개 먹었다 혼났습니다.
아아 다듬으시면서 우리 먹으라고 나온 게 아니야 + 딸 때 아프대~
라고 하시는 거 무척 귀여우세요- 고우신 심성을 다시금 엿볼 수 있었습니당 -
고맙습니다.
눈개승마 말씀으로만 듣던 그 나물이군요.
신기합니다
세가지 맛이 나서 삼나물 아라고도
합니다.
돌아오는 봄에 구해서 드셔보세요.
맛있습니다.
재배법도 중요하지만, 이렇게 손질법의 설명이 좋은 영상은 흔치 않습니다.
참 유익합니다.
힘이 되네요.
고맙습니다.
영상 잘 보고 배워갑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만약 국을 끓이실거면 눈개승마를
갈라주세요.
양념도 더 잘 배고 먹을때 식감도
더 좋습니다.
이른봄에 나오는 눈개승마는
정말로 연합니다.
어디서발취한 내용인가요.
끝만 조금따내고 살짝삶아
그대로드세요.
이분 두릅도 하루담가서
드시나요?
쌉스롬한맛에드시는겁니다.
네 저도살짝데쳐서 씻어서 바로초장 찍어먹어도 안쓴데 종자가 다른가요 참고로 심은지 한10년되는데요
화천의 눈개승마 축제 올해 할수있을까요?
드라이브스루~~로 라도 해야하지않을까 싶네요~~
맛있는 눈개승마~~^
글쎄요.
상황이 어떻게 변할지 알수가 없으니~~
눈개나물의 굵은 대궁은 잘라버리지 말고 칼로 쪼개서 먹는게 좋아요...
이 부분이 땅두릅처럼 맛있거든요.....다 잘라버리니 너무 아깝네요...
이 정도면 버릴거 제로입니다....
눈개승마 우체국 쇼핑에서 할인가로 팔길래 1키로 주문했어요.
한번도 안 먹어봤는데 영상 참고해서 맛있게 먹을 수 있겠어요.
감사합니다 💗
맛있게드십시요.
저의집 개가 암으로 고생하고 있는데 고기 없이 밥을 않먹으려 해서 고기대용으로 섞어 줘보려고 해요
사람이 먹듯이 삶고 울궈서 주면
괜찮을듯 합니다.
그런데 개가 나물을 먹을까요?
,
개가 풀을 뜻을까요
뎃글이 늦었지만
개도 풀 잘먹어요.
울집개는 냉이. 오가피순. 쑷갓. 호박잎등등 나물뿐 아니라 별걸 다 먹었어요. 라면ㆍ밥ㆍ
떡ㆍ과자ㆍ사탕ㆍ국수ㆍ빵ㆍ
오이ㆍ고구마ㆍ온갖생선ㆍ고기 ㆍ민물다슬기도 잘 먹음.
하지만 딱 한가지
번데기는 안먹더라구요.
세마리 다~
그전에는 제가 번데기 좋아했었는데
개들이 안먹는거 보고
그 후로 저도 안먹어요.
(무슨 개한테 사람 먹는걸 다 먹였냐 하시는 분들 많을텐데ᆢ
우리개들은 마당에서 뛰어다니며 살고 있고
17년째 잘 먹고 잘 삽니다.)😊
그정도면 다먹을수 있는데~손질할때 많이 버려져서 가슴이 아픕니다
아까워라~~
좋은정보 주셔서 감사해요 눈개승마를 선물받았는데 약간알러지가 있어서 조심스러웠는데 자세한설명 너무감사합니다~
맛있게 만들어 드세요.
그냥 물에 소금조금넣고 삶아서 바로 먹고 있는데 맛이 괜찮은데요~
좋은정보주셔 감사합니다
난그냥삶아 바로먹어도 맛있던데요
@@coffee11137저도요!!
귀한 정보는 들을 귀가 있는 자 만이 듣슴니다. 눈개승마ㅡ삼나물의 특성을 조곤조곤 지식을 전달해는 데도 .....그래도 🤧🤧.
감사합니다.
저도요.~ 안씀.오늘도 밭에서 싹뚝잘라와서
데쳐 초고추장 찍어 먹었습니다.
설명 부분이 하시는데
중간에 멘트 가
다른 부분 으로 갑니다?
삶으시는데 너무 오래데치십니다
오래물에 담글필요 있나요?
나물에 상태에 따라 삶은 정도는 다르지 않을까요? 저희가 그날 따온 나물은 그정도 삶아야 했습니다. 그리고 담그는 정도는 사람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주변 어르신들 말씀으로는 나물을 먹을때 가장 안전한 것은 하루저녁정도는 담갔다 먹으라고들 하십니다.
삶머서서너번헹궈서무처봤는대약간쌉싸름하니맛있던다요
눈개승마 장아찌 만드는 법 알려주세요~^^
눈개승마에는 독이 있어 물에 담갔다가 먹어야 합니다. 장향진의 약선요리에 두릅편을 보시면 두릅을 데쳐서 꾸득꾸득하게 말려 장아찌를 만드는데 눈개승마는 삶아서 물에 담갔다가 꼭 짜서 꾸득하게 말리세요. 그 이후에는 두릅장아찌와 레시피가 같습니다. 맛있게 만들어 드세요~!
독성이 있는줄 몰라서 그냥 짱아찌 담갔어요
어떻게 하면 좋을지요?
함께 보시면 좋은 눈개승마 요리 레시피입니다~!
영상의 언급된 화천의 연교차는 절대 연교차를 뜻합니다.
눈개승마채개장-> ua-cam.com/video/N76mzXfhJ8I/v-deo.html
눈개승마 육개장 -> ua-cam.com/video/t72BoL2RR-8/v-deo.html
눈개승마나물 -> ua-cam.com/video/UG-FV49NmOQ/v-deo.html
눈개승마 부각 -> ua-cam.com/video/GwjRKGbJbhE/v-deo.html
눈개승마고추장구이 -> ua-cam.com/video/zjPa9V1XTDs/v-deo.html
눈개승마밥 -> ua-cam.com/video/3Nj1iZKoSig/v-deo.html
손이 많이가는
나물이네요..
좋은거 배우고갑니다.
잘받았습니다감사합니다
맛있게 드세요.
선생님 말씀이 맞습니다.
일전에 제가 잘모르고
댓글 달았습니다.
죄송합니다..
잘보고 가요~~
괜찮습니다.
나물 삶는 물에 고무장갑을 담그는건 좀...
목소리도 이쁘시고 미모도 고우시고.... 봄에 지인이 주길래 이름을 잊어버리고 그늘진곳에 심어놨는데 눈개승마였군요,
딴분도 눈따갑고 목도....근데 저는 괜찮았고 ....쓴맛은 전혀 없었어요.
너무 많이 잘라 버리네요
저정도 크기면 데쳤을때 부드러운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생으로 몇번 먹어보고 했는데 맛은 괞찮던데요
먹은지20일지났지만좋은것같아보이네요
개인별로 차이가 있겠죠^^
저도 생으로 먹었어요
씻을 때 눈도 따갑지 않았는데요
감사~^^
24년 4월 20일
해발 900미터에서
자연산 채취를해서
데치는데 이상한 향?
이 났고 무침을 했는데 또 그 향이 나서 뒷 맛이 좋지 않았습니다.
우려내지 않아서
그럴까요?
고수님의 지도 부탁드립니다.
자연산은 많이 독합니다.
하루 정도 물을 갈아 주며
담갔다 드시면 됩니다.
맛있게 만들어 드세요.
@@seasonal-dishes 예~~~~~~
감사합니다.
요리설명 잘 보았읍니다.
그런데 주위에 평을 들어 보니 맛이 생각보다 좋치 못다고들 하시는데....
고사리 같이 묵(건)나물로 요리를 하면 맛이 좀더 좋을 까요?
사실 눈개승마는 묵나물이 더 맛있어요.
산에서 키워 독한가요?
제 밭의 눈개승마는 전혀.
소금물에 데쳐 맛있게 먹고있어요.
보기엔 뻐셔보여도 데치면 부드러워요.
네.
산에서 자랐기 때문에 강할수도
있는데 밭에서 자란것도 사람에 따라 독할수 있습니다.
영상 잘봤습니다..아직연한데 줄기부분을 너무 잘라내셨네요..줄기부분 아삭하고 맛있답니다..
맛난 요리정보 너무 유용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좋네요.
작년에 눈개승마 구입해서 데치지않고 생으로 장아찌를담아써요..독성이있다고해서 안먹고있는데 ...ㅜ버려야하나요..
저라면 헹궈서 살짝 데친 다음 건져서
그대로 새들새들 말려 고추장양념에
무쳐 먹겠습니다.
저라면 입니다.
식초를 넣고 하셨으면 법제가
되서 발효식품은 괜찮습니다
소금 한수저 넣고 데쳐서 서너번
헹궈서 무치면 맛납니다
하룻밤을 우려내면 좋은 성분이
다 빠져 나갑니다
@@박효-x4e 사람마다 다르지 않나요?
저희가족은 그냥 담그지 않고 먹었다가 그날 배탈나서 난리났었는데요;;
감사합니다 잘보고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작년 봄에 씨앗으로 싹을 틔워서 올봄에 텃밭에 심었습니다 그런데 새잎 나오는것이 오글쪼글 하여서 원래 그렇게 나오나보다 했는데 잎색갈이 초록이 아니고 살짝 노랗게 변해요 그래서 살펴봤더니 새잎에 개미가 살아요 그래서 약을 치긴했는데 죽을까봐 걱정인데요 어찌하면 좋을까요 좋은 방법 알려주세요 참고로 여긴 캐나다입니다
눈개승마를 재배하시는 분들께 여쭤보겠습니다.
전문가께 여쭤보았습니다.
개미 살충제를 뿌리라고 하십니다.
너무 오바하는데 그냥 데쳐서 바로들 드시던데 눈개승마를 고기로 생각하는 스님들도
눈개승마 장아찌 담았늘데 맛이 별로던데요 많이 담았더니 처치 곤란 합니다
저런~~
속상하시겠어요.
장아찌 간이 어떤지 모르겠지만
만약 짜지 않으면 꼭 짜서 장떡
만들어드셔보세요.
짜면 물에 울궈 제 유튜브중에
"짜사이볶음"처럼 볶아 드세요.
@@seasonal-dishes
장떡 어떻게 하면 되나요?
장아찌의 간에 따라 다릅니다.
간이 적당하면 그냥 사용하시고
간이 짜면 물에 잠시 담가 간기를
빼 주세요.
장아찌를 쫑쫑 썰어 갖은 양념을 한 다음 (다진 파, 마늘 , 설탕, 참기름, 깨소금) 무칩니다.
부침가루와 물을 1: 1로 반죽해서
장아찌 다진것과 섞은후 팬에 기름을
넉넉히 두르고 바삭하게 구우시면 됩니다.
한번 데쳐서 안우려내고 그냥 먹엇어요 모르고 먹고나서 알아보니 독이좀 있다던데 별탈 없엇내요 참싸리수준 같던데요 아무쪼록 싸리버섯처럼 우려들 드세요
네. 맞습니다.
저희는 처음 우리지 않고 먹었다
고생했어요.
그후에 관찰해보니 저희같은
분들이 많더군요.
그후부터 눈개승마는 꼭 우려서
드시라고 합니다
눈개승마는 설명하는 만큼 독이있지 않아요
직접 재배해보지 않은것 같네요
저는 눈개승마를 재배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화천에는 눈개승마를 재배하거나 자연산을 채취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는 그 분들이 가져다주시는 것으로 조리법을 연구 개발하는 사람입니다. 산나물은 일반나물에 비해서 함유되어있는 성분의 약성이 강해서 예민한 사람들은 눈이나 피부가 따갑거나 가렵고, 먹었을 때 속이 불편하거나 어지럼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물론 재배한 것 보다 자연산이 좀 더 그렇고 재배방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이 방송은 불특정다수가 시청하기 때문에 모든 사람의 체질을 고려해야만 합니다. 그대로 먹어도 문제가 없는 분들은 그냥 드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예민하신 분들은 반드시 삶아서 맑은 물에 우려서 조리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영상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저도 평창에서 눈개승마 약600평 재배자입니다.
궁금한 것이 끓는 물에 삶을 때 시간은 어느정도가 적절한 지,,, 고사리 삶는 정도가 좋을 지? 여쭈어 봅니다.
2021년 봄 출하를 계획하고 있는 어리버리 농사 3년차 입니다.
수고 많이 하세요.
네, 맞습니다.
고사리 삶는 방법과 비슷해요.
그런데 사실 몇분은 의미가 없습니다.
나물의 상태에 따라 다르니 줄기를
만져보며 무를때까지 삶으세요.
몇번 하다보면 요령이 생길겁니다.
감사합니다 ^^~
눈개숭마는 반듯이 물에삶아서 햇빗에말여서 독을제거한다음 요리해야합니다 독이있어 그냥먹으면 사람아상할수있습니다
네.
그래서 삶은후 물에 담가 독을 제거한
후에 조리합니다.
저는 모르고 생으로 먹었가가 아주 괴로웠습니다
저런~~
사람에 따라 괜찮은 분도 계시더라고요.
그래도 조심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른데서는 살짝데쳐서 먹음되다던데 그게 아닌가봐요 ㅠㅠ
네.
대답이 늦었습니다.
독이 있어 울궈야 합니다.
설명하시는데 왜 짜증을
개를 줘도 괜찮나요?
화천군 연교차가 60도라니요
엄청난 오류이니 찾아보고 수정하셔야 합니다
눈개승마 손질 영상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최고 기온 39.5°C, 최저 기온 -25.1°C, 연평균 강수량 1,300 mm이다.위키백과
@@seasonal-dishes 연교차는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의 차이가 아닙니다
최난월 평균기온과 최한월 평균기온의 차이입니다
@@seasonal-dishes 일반적으로 연교차라 하면, 어느 지역의 기온의 연교차를 의미하며, 1년 중 최난월 평균기온과 최한월 평균기온의 차이로 정의한다.
‘절대연교차’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는 연최고극기온과 연최저극기온의 차이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체감하는 연교차는 절대연교차에 가깝습니다. 저는 60년의 서울살이를 접고 이곳 화천으로 이주한지 몇 년 만에 60도가 넘는 절대연교차를 체감했습니다. 2018년 1월에 영하 20도 이하의 추위를 경험했고 그해 8월 초에 영상 40도에 이르는 더위를 겪어, 불과 8달 만에 팔열(八熱)지옥과 팔한(八寒)지옥을 경험한 것이지요. 이 경험은 제게 끔찍한 화천의 날씨로 각인되었습니다. 화천은 내륙의 기후 특성 그대로 봄·가을이 매우 짧아서 여름과 겨울만 존재하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영상에 언급된 60도의 연교차는 저의 경험을 말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연교차라 하면, 어느 지역의 기온의 연교차를 의미하며, 1년 중 최난월 평균기온과 최한월 평균기온의 차이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작년 우리나라 서울의 가장 더웠던 달인 8월의 평균기온이 26℃이고, 가장 추웠던 달인 1월의 평균기온이 -3℃였다면, 서울의 작년 연교차는 최난월 평균기온(26℃) - 최한월 평균기온(-3℃)으로 29℃가 된다.
기온의 연교차에서 다뤄지는 최난월 평균기온과 최한월 평균기온의 개념은 세계의 기후를 처음 구분한 쾨펜(W. Köppen)이 사용한 중요 기후지표였으며, 이에 따라 어느 지역의 기후 특성을 설명하는데 있어 연교차는 여전히 중요하게 쓰인다.
- 네이버 지식백과-
영상에서 화천의 연교차가 60도 이다 라고 말씀 하셨습니다. 절대연교차라고 하셔야 정확한 설명이 될 듯 합니다
수정하지 않으시면 영상을 보시는 분들은 화천의 일반적인 연교차가 60도라고 배우게 될듯 합니다
특별한 설명이 없다면 일반적인 연교차를 말하는 것이니까요
개인의 특별한 경험을 일반화시키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맛 없음
눈개승마가 입에 안 앚으셨나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