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장 ssd 구입하려고 고민 중입니다. 타사 제품들과 비교까지 자세히 해주셔서 너무 좋은데, 이니셜로 하셔도 다른 제품들은 뭔지 다 알겠는데 S사 S제품이 햇갈리네요 ㅋㅋㅋ 근데 밑에 댓글에는 이런 질문이 없는거 보면 저만 모르는거 같은데 궁금합니다. 그리고 WD my passport 제품군은 보기에 없는거 같은데 잇섭님 개인적으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처음으로 리뷰 해주시는데 제품 분해까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SK 하이닉스의 M.2 2242, 2230 같은 작은 규격은 NAND + 컨트롤러가 수직으로 적층되어 일체형된 칩이 주로 사용되는데, 때문에 DRAM이 탑재 되었는지 안된건지 정확히 확인이 안되었었네요. 이번에 확인해주셔서 HNB001T14M 칩은 디램을 탑재하고 있다는걸 알게 되었네요. 검색해보니까 스팀덱에서도 사용된 제품 같습니다!
'21년 X31을 기획&기반기술개발로 시작하여 '22년 실제품 설계/개발했던 임원(지금은 퇴임: 출시까지 못해서? ^^;)이자 Thermal 정책을 결정했던 사람으로서, 내용에 오해가 있는 듯하여 댓글답니다. X31은 손안에 쥘 수 있는 size이면서도 최고의 성능을 지향하였지만, Thermal 관련해서는 외장형임에 따라 Skin temp. 규격(48'C 이하)의 만족뿐만 아니라, 앙증맞은 size에 따라 부모가 사용 중일때 혹시나 어린아이가 모르고 만져서 약한 화상이라도 입는 상황은 막겠다는 제 의지를 반영하여 Throttling 온도에 margin을 두고 설정한 것입니다. 참고로, 내부 온도는 반도체 규격 대비 margin이 많습니다. (Bridge chip은 ASUS가 아니라 ASMedia 것임.)
@@아로아로라리루이루 하드는 물리적으로 충격만 없다면 그냥 냅둬도 오래가는데 스스디는 제 기억으론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로 일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거나 특정 기간이 지나면 정보 보존성이 하드와 비교해 비교적 떨어진다고 압니다. 또한 하드는 플래터가 물리적으로 파괴되는 것이 아닌 한 어떻게든 복구방법이 존재하지만 스스디는 한번 뻑가면 거의 답이 없죠
USB 3.2 20GBps 지원 포트와 케이블을 이용하면 더많이 나올겁니다. 제가 테스트한 환경은 3700X-32GB-B450보드 USB 3.2 10Gbps- 입니다. 스펙이 상당히 낮은 편에 속하는 WD-SN500도 리얼텍 컨트롤러 탑재된 ORICO C-type 케이스에서 테스트 해보니 읽기 984MB/s~835MB/s, 쓰기 944,MB/s~ 872MB/s 쓰로틀링 걸릴때 최소 읽기 30.26MB/s 최소쓰기 71.82MB/s 나왔습니다. 메모리와 컨트롤러 발열도 문제지만 포트 발열이 장난이 아니더라구요. C-tpye 포트 단면적이 적으니 방열이 쉽지 않는 구조 입니다. 고급형에는 포트 발열 제어까지 되어야 할듯 합니다.
잇섭님님 제가 얼마전에 알리에서 아이폰4S를 하나 구매했는데요. 얘가 헤드폰잭 모듈이 불량이라 이어폰을 연결해도 노래가 스피커로 나옵니다. 또 홈버튼도 삐뚫어져서 왔고요. 어차피 메인보드는 정품의 것을 재조립한 것이라 아이클라우드 로그인은 잘 돼서 그냥 여자친구랑 페이스타임이나 스피커로 노래 들을 때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거 해체쇼+헤드폰잭 모듈 교체하는 재조립 컨텐츠 한번 어떠셔요??? 헤드폰 모듈은 제가 구해올게요😊
잇섭님, 지난 번 휴대용 보조 모니터 리뷰하실때 (가장 최근 꺼) 질문을 하나 적었는데 대충 내용이 닌텐도용으로만 보조모니터를 살려고 하는데 보조모니터를 사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캡처보드를 사는 것이 좋을까요? 만약 캡처보드를 산다먄 어떤 걸로 사는 것이 좋을 까요?. 스위치 이외에 용도로는 사용할 생각이 없고, 가격도 10만원 안에 것으로 가성비 좋은 것으로 추천해주세요!
오.. 이건 이뻐서 자료 들고 다니는 용도로 탐나네요 용량 큰 것도 빨리 나오면 좋겠네요 pc용 외장 하드 씨게이트 4테라짜리 쓰는데 바꾸게요ㅎㅎ 얼마 전 알리에서 큰 할인할 때 fanxiang?였나 암튼 중국꺼 ssd m.2 2테라를 8만원인가 사서 플스5에 싸게 잘 쓰는 중인데 가성비 하난 최강인 듯
어차피 1기가 속도라 굳이 발열 많은 gen4를 쓸 이유가 없고 gen3면 충분하겠죠. 문제는 케이스를 금속으로 만들어 놓고 왜 방열판과 케이스 사이에는 서멀패드가 없는 것인지.... 그렇게 하면 좀 더 직접적으로 방열을 할텐데 말이죠. nvme 외장케이스들 중에 제대로 쓰려면 팬 달린 제품이 답일까요?
음.. 내장된 ssd사이즈가 2242인지 2230인지 알수 있음 더 좋을 듯 합니다... 작은 사이즈의 ssd가 필요한 케이스가 있는데.. 국내에서 구하는 모델들이 성능이나 안정성을 생각하면.. 외장으로 저 제품을 사서 적출해서 사용하는 게 좋을 수도 있어 보여서요.. 애플워치와 비슷한 크기면 2242일 가능성이 높아보이긴 합니다만
1테라... 텍스트 작업물이나 사진을 저장하기엔 아주 넉넉하지만 영상물을 저장하기엔 부족한 용량이네요. 좀 애매한 느낌... 라고 생각했는데 SSD를 탈착할 수 있는 구조라니 ㄷㄷ... 다른 SSD로 교체해서 쓸 수 있을 거 같은데, 스팀덱 때 쓰던 SSD와 같은 규격인가요? 국내에선 구하기 힘들려나;
작고 빠른 잇섭의 그것!
어멋~~♡
어멋~~♡
그것!
어멋~~♡
ㄴㄴ 아임빅
외장 ssd 구입하려고 고민 중입니다. 타사 제품들과 비교까지 자세히 해주셔서 너무 좋은데,
이니셜로 하셔도 다른 제품들은 뭔지 다 알겠는데 S사 S제품이 햇갈리네요 ㅋㅋㅋ
근데 밑에 댓글에는 이런 질문이 없는거 보면 저만 모르는거 같은데
궁금합니다.
그리고 WD my passport 제품군은 보기에 없는거 같은데 잇섭님 개인적으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처음으로 리뷰 해주시는데 제품 분해까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SK 하이닉스의 M.2 2242, 2230 같은 작은 규격은 NAND + 컨트롤러가 수직으로 적층되어 일체형된 칩이 주로 사용되는데, 때문에 DRAM이 탑재 되었는지 안된건지 정확히 확인이 안되었었네요.
이번에 확인해주셔서 HNB001T14M 칩은 디램을 탑재하고 있다는걸 알게 되었네요. 검색해보니까 스팀덱에서도 사용된 제품 같습니다!
오!!!!
낸드 디램을 수직으로 적층한건 놀랍네요.. 정보 감사합니다
테스트가 해체쇼 이후인지 전인지가 궁금하네요. 해체 영상은 초반에 나오지만 마지막에 찍은 거라면 영상의 신뢰도에 영향을 주지 않겠죠. 7:36 언빡싱이 해체쇼를 얘기하는 건가요?
디자인도 마음에 들고 진짜 괜찮아 보이는 제품인데 2TB가 없어서 아쉽네요 ㅠㅠ 요번에 아이패드에 파이널컷 들어온대서 하나 마련할까 생각중이거든요 고민 좀 해봐야겠습니다
저도 그게 좀 아쉬운 ㅠㅠㅠ
저는 아직까지는 2.5인치 SATA 인터페이스 쓰는 외장 케이스에 1TB나 2TB SSD를 넣어서 사용하는데, 아직까지는 이정도로도 만족하며 쓰고 있습니다.
다만 제가 동영상 편집을 하게 된다면 그때는 이놈을 쓰게 될지도요 ㅎㅎㅎㅎ
'21년 X31을 기획&기반기술개발로 시작하여 '22년 실제품 설계/개발했던 임원(지금은 퇴임: 출시까지 못해서? ^^;)이자 Thermal 정책을 결정했던 사람으로서, 내용에 오해가 있는 듯하여 댓글답니다.
X31은 손안에 쥘 수 있는 size이면서도 최고의 성능을 지향하였지만, Thermal 관련해서는 외장형임에 따라 Skin temp. 규격(48'C 이하)의 만족뿐만 아니라, 앙증맞은 size에 따라 부모가 사용 중일때 혹시나 어린아이가 모르고 만져서 약한 화상이라도 입는 상황은 막겠다는 제 의지를 반영하여 Throttling 온도에 margin을 두고 설정한 것입니다. 참고로, 내부 온도는 반도체 규격 대비 margin이 많습니다. (Bridge chip은 ASUS가 아니라 ASMedia 것임.)
성능도 만족시키면서 안정성도 높아는 설계 컨셉이네요.
asmedia가 asus 소유긴 하죠…
😊
쓸데없는 포인트였던 것 같음.. 쓰로틀링 너무 빨리걸리고 그상태에서 외부 온도도 거의 없는데
@@hymnotize전자제품은 발열=수명입니다
겉 케이스와 내부 알루미늄 방열판 사이에 서멀패드를 추가해주면 발열해소에 꽤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두 면이 떨어져있어서 열이 외부로 원활히 방출되지 않는것 같네요
이거 좋은 생각이네요.. 그러면 나래온 테스트할때 스피드다운되지 않고 주욱 1,000MB/S으로 기록될것 같네요.... 누군가 테스트해볼것 같네요
@@lukechoi69 아래 댓글을 보다보니 제품 표면온도 관련 안전규정이 있다고 하네요. 그 규정에 맞게 제품을 출시하다보니 저렇게 되었다고 하네요 ㅎㅎ
@@onklim3132 S사 S제품이 뭔지 알 수 있을까요?
@@onklim3132아 맞네요 써멀로 붙여버리면 손으론 못잡을듯 ㅋㅋㅋ
잇섭님 SK하이닉스 X31을 쓰는게 좋을까요? SK하이닉스 P41 M.2에 케이스를 쓰는게 나을까요? 속도차이가 많이 나나요? 이것도 실험해줬으면 좋겠다...
홍지승 폼 미쳤다!!
???????
진짜 닮긴함 ㅋㅋ
잇섭은 반대로 왼팔만 단련하자
@@ITSUB 아니...잇섭님 부케 홍지승을 모른척하기 있기 없기?
플필사진은 이연복 쉐프님 닮았어요
좋은 정보 알려주어서 너무 감사해요.
감사합니다 ㅎㅎ
확실히 외장 하드보다는 SSD를 기반으로 많이들 사용하시는 추세이다보니까 점점 더 많은 회사에서 좋은 SSD를 만들고자 노력하는 것 같아요. 그렇지만 언제나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든 SSD의 단점도 수정되면 좋겠네요.
SSD의 단점은 뭔가요??? 설명 좀 부탁드려요 몰라서요
@@아로아로라리루이루 하드는 물리적으로 충격만 없다면 그냥 냅둬도 오래가는데 스스디는 제 기억으론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로 일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거나 특정 기간이 지나면 정보 보존성이 하드와 비교해 비교적 떨어진다고 압니다. 또한 하드는 플래터가 물리적으로 파괴되는 것이 아닌 한 어떻게든 복구방법이 존재하지만 스스디는 한번 뻑가면 거의 답이 없죠
@@아로아로라리루이루 전원 공급안하면 데이터가 유실됩니다. 약 6개월. 여름 온도가 높으면 더 빨리 사라진다하고요. 그래서 백업용으론 적절하지않고 hdd가 백업용으로 더 유리합니다. ssd를 백업용으로 쓰려면 몇달마다 주기적으로 연결해서 확인 해줘야해요
요즘은 군대에서도 SSD 씀
@@아로아로라리루이루 데이터 장기 보관이 취약함
8:35 대용량 전송에서 ssd의 속도가 느려지는 것은 온도보다는 dram 캐시가 꽉차서 느려졌을 가능성이 훨씬 더 높습니다
영상 4:50초에 10GB->1,024MB/s로 나오는데 제가 알기로는 1GB=1,024MB 인걸로 알고 있는데 ....혹시나 네이버 검색....해 봐도.....
제가 뭘 착각 하고 있는 건가요....?
10GB(기가바이트)가 아니라 10Gb(기가비트)임
이거 궁금했는데 바로 올려주시네ㅋㅋ
1:45 오랜만에 미이라가 갑자기 보고 싶어지는 날입니다
USB 3.2 20GBps 지원 포트와 케이블을 이용하면 더많이 나올겁니다.
제가 테스트한 환경은 3700X-32GB-B450보드 USB 3.2 10Gbps- 입니다.
스펙이 상당히 낮은 편에 속하는 WD-SN500도 리얼텍 컨트롤러 탑재된
ORICO C-type 케이스에서 테스트 해보니
읽기 984MB/s~835MB/s, 쓰기 944,MB/s~ 872MB/s 쓰로틀링 걸릴때
최소 읽기 30.26MB/s 최소쓰기 71.82MB/s 나왔습니다.
메모리와 컨트롤러 발열도 문제지만 포트 발열이 장난이 아니더라구요.
C-tpye 포트 단면적이 적으니 방열이 쉽지 않는 구조 입니다.
고급형에는 포트 발열 제어까지 되어야 할듯 합니다.
혹시 이 SSD가 샌드스크 E6 보다 SSD보다 작을까요? 아이폰 15프로 ProRess Log SSD 로 사용하려고 해서~
아이폰 15프로 맥스 아니고 아이폰 15프로 뒤에 부착해서 쓰기 괜찮을까 싶어서
잇섭님님
제가 얼마전에 알리에서 아이폰4S를 하나 구매했는데요. 얘가 헤드폰잭 모듈이 불량이라 이어폰을 연결해도 노래가 스피커로 나옵니다. 또 홈버튼도 삐뚫어져서 왔고요.
어차피 메인보드는 정품의 것을 재조립한 것이라 아이클라우드 로그인은 잘 돼서 그냥 여자친구랑 페이스타임이나 스피커로 노래 들을 때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거 해체쇼+헤드폰잭 모듈 교체하는 재조립 컨텐츠 한번 어떠셔요??? 헤드폰 모듈은 제가 구해올게요😊
이런거 이메일로 보내시면 괜찮을거가타요!!
헙…메일 주소가 공개돼 있었군요. 한번 보내봐야겠네요!
잇섭님, 지난 번 휴대용 보조 모니터 리뷰하실때 (가장 최근 꺼) 질문을 하나 적었는데 대충 내용이 닌텐도용으로만 보조모니터를 살려고 하는데 보조모니터를 사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캡처보드를 사는 것이 좋을까요? 만약 캡처보드를 산다먄 어떤 걸로 사는 것이 좋을 까요?. 스위치 이외에 용도로는 사용할 생각이 없고, 가격도 10만원 안에 것으로 가성비 좋은 것으로 추천해주세요!
오늘 궁금했는데 리뷰 올라와서 깝놀 ㅋㅋ
형..! 폼 미췄다👍👍👍
감사합니다!
보기에는 2242 nvme 사이즈로 보이는데
메인보드에 꼽아서 사용하면 어느정도 성능으로 나올지 궁금하네요
마침 제 노트북이 2242만 지원해서 아쉬웠는데 한줄기의 빛과 같군요
x31광고인데 s사의 s제품의 궁금해졌다....
삼성의 t7 shield인가?
9:54 평균 속도가 X31이 875MB/s로 제일 빠른데 테스트 시간이 S제품보다 오래걸리는게 이해가 되질 않네요. 무슨 이유인가요??
빡센 작업 굴려서 열받으면 열식히려고 성능제한을 빡세게 걸어서요
@@user-zc9mr6bu9h 열받으면 평균속도랑 테스트 시간 간의 비례 관계가 깨지나요?
@@benjaminbarrymore 생각해보니 더티 테스트라서 디스크 별 잔여용량이 좀 차이가 날 순 있을 것 같습니다.
어차피 조건 자체가 X31한테 가혹해보이긴 하지만, 명시해뒀으면 좋았을 것 같네요.
ssd에 자료옮길때 옮겨지다가 끊기는거는 무슨문제인가요??
아이폰에서 윈도우로 사진 usb케이블로 옮기려고하는데 자꾸 중간에 끊겨서요 드라이브로 옮기는게 답인가요? 방법이 없을까요..?
윈도우알못이라 컴사양은 부족함이 없는데 와그러는거야ㅜㅜ
오.. 이건 이뻐서 자료 들고 다니는 용도로 탐나네요
용량 큰 것도 빨리 나오면 좋겠네요 pc용 외장 하드 씨게이트 4테라짜리 쓰는데 바꾸게요ㅎㅎ
얼마 전 알리에서 큰 할인할 때 fanxiang?였나 암튼 중국꺼 ssd m.2 2테라를 8만원인가 사서 플스5에 싸게 잘 쓰는 중인데 가성비 하난 최강인 듯
외장SSD 구매하려고 알아보다 이 동영상보고 하이닉스X31 시리즈 구매했네요 캄사!
하드디스크 vs SSD 가 인식불가/뻑 날시 자료 복원면에서 하드가 더 낫다는 말이 있던데...SSD는 거의 복구불능? (복원업체 피셜)
안정성 면에서 어떤가 궁금합니다.
저거 빼서 그냥 컴에 연결해서 속도 얼마 나오나 보고 싶네요.. 어떤지?
그리고 요즘 인기 있는 SN740 2테라 넣을 수 있는거 아닌가??
저 정도면 그냥 조립 수준인데.. 외장케이스 따로 파는거 하고 차이가 없네.. 괜히 비싸보이는듯??
안녕하세요 잇섭님 요즘 정말 재밌고 유익한 영상을 올려주시는것에 대해 감사한 말씀을 드려요 전자기기를 잘 모르는데 도움이 되고
어떤게 좋고 안 좋은지 뭐가 가성비인지 구분할수있어 좋아요 항상 논란없이 영상 올려주시고 감사합니다 화이팅🎉
감사합니다 ㅎㅎ
어차피 1기가 속도라 굳이 발열 많은 gen4를 쓸 이유가 없고 gen3면 충분하겠죠.
문제는 케이스를 금속으로 만들어 놓고 왜 방열판과 케이스 사이에는 서멀패드가 없는 것인지....
그렇게 하면 좀 더 직접적으로 방열을 할텐데 말이죠.
nvme 외장케이스들 중에 제대로 쓰려면 팬 달린 제품이 답일까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서 케이스의 skin 온도제한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포터블SSD는 그런 제한을 지키고 있지 않으며 sk하이닉스 SSD는 해당 제한을 준수하기 위해 언급하신것처럼 방열판과 case를 분리한것으로 보입니다.
외장메모리 지원되는 파나소닉 카메라 촬영용으로 딱일 것 같네요
요즘 그렇게들 많이 쓰시더라구요 ㅎㅎ
그냥 삿어요 이거보고 근데 그냥 일반인은 루기좋아요 케이스 발열 잇긴한데 튼튼한느낌이라 먼가 안정감이..ㅎㅎ일반인입니다 근데 이거 가성비있는건가요?
와 형님 결혼전보다 영상 업로드가 많아졌는데 뭔일 있으신가요?
플스용 외장SSD 로 구매해볼까??? 안유명한 브랜드 외장SSD 데이터이동할때 발열 너무 심해서 터질까봐 두려웠었는데 이걸로 바꾸면 그런불안은 덜 할꺼 같네
발열도 가장 착해요 ㅎㅎ
7:58잇섭님 "발열" 발음하실 때 "바rrrr를" 이라고 하시네 ㅋㅋㅋ 히스페닉의 피가 흐르시는 듯
하드하게 쓰면 S사가 속도가 안정적이어서 좋아보이는 데, 일반적인 사용으로는 온도가 착하고 속도가 빠르니 더 괜찮을 거 같네요 ^^
S사 S가 샘숭 쉴드, S사 E가 샌디슼 E땡땡인가여? C사껀 뭐징
디자인보다 발열해소에 중점을 둔 케이스로 따로 상품출시를 하면 그것도 잘 팔릴것 같습니다.
그럼 성능도 쩔텐데요😢
옆에 손풍기 틀어놓음댈듯;;
삼성 t5,t7처럼 pc, 모바일에서도 자체적인 보안 기능을 탑재해 주면 좋을꺼 같네요
개인적으로는 pc로 할 수 없는 작업 빼고 다 모바일로 하고 휴대용 제품이니 보안체계가 있는 게 맘이 편하드라구요
7월 소프트웨어를 기대해보는 것도?!?
x31도 바로 리뷰해주셨군요! 하이닉스 화이팅
얍!
10:12 ㅋㅋㅋㅋㅋ S사의 S제품 광고아닌가요 ㅋㅋㅋㅋ 쉴드 구매하러 갑니닷~❤️
이상하게 삼성만 사면 잔고장을 겪는 마이너스의 손이라
외장 스스디 하면 샌디스크 말고는 제품 떠오르는게 없었는데
SK 하이닉스에서 이런 제품이 나오다니
국뽕이 차오르는 부분입니다.
샌디스크보단 굿!
이번에 ssd 필요했는데 m.2 로 살까 t7 외장으로 살까 고민했는데 좋은제품 잘나왔네요
작업용이라면 디램이 있는 하이닉스로 가시죠!
@@ITSUB 게임만 해요 ㅋㅋㅋㅋ
구매 결과 대박 제품이네여... 2TB 나왔으면 하네여.. 강추 입니다
가격대비 산다고한다면 T7 살거같긴한데.. 그래도 잼있슴니당! 신제품을 이렇게 알게 되어서 너무조아요!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파일의 복사본같은거 넣어다니기엔 딱인거 같네요 ㅋㅋㅋㅋ
아예 따로 장기 보관할 파일은 애초에 여기 넣어두지도 않으실테니..
디자인도 네이밍도 이쁘쟝하네용!
외장 ssd들 보면 대부분 직사각형 카드 형태인 반면 동글동글한게 정말 귀여워요ㅎㅎ
아주 컴팩트합니다 ㅎㅎ
진짜 유익하고 재밋네요 3번정독했어용!₩
외장 m.2, ssd를 7개 정도 운용중인데 간혹 삼성 T5의 경우 백업 후 다른 컴에 연결시 백업이 되어있지않운 경우가 있는 등 안정성 문제만 없다면..(날라가게되면 복구불가한 이슈 등.. ㅠ)
15년전 시게이트 250기가 외장 하드 쓰는데,,, 저같은 라이트 유저한텐 좋은 가격같네요. (이제 보내줄때 된거죠? 좀 심했나요 ? ㅎㅎ) p31도 굉장히 만족하며 쓰고 있구요.
캬.. 갈아타면 속도와 크기에 엄청 만족하실듯요 ㅎㅎ
p31 p41에 이어 x31이 나왔군요 일반 사용자분들 위해서는 좋은거 같네요. 업그레이드 또 해서 x41도 나올지 궁금해지네요
이번에는 외장으로!!
진짜 귀신같네.. SSD뽐뿌가 오고있는 상황인데 이런영상이...ㄷㄷ
뭔가 분해된거보니까 외장하드케이스 씌운거같은느낌이 들어서 기묘하네요. 요즘 외장하드케이스도 10gbps긴 하던데 그래도 p31이나 41짜리에 외장하드케이스 씌운거보다는 낫겠죠?
그래도 아직까지는 저 같은 학생에게는 비싸서 외장하드를 알아보고 있는데, 혹시 외장하드 중에서 씨게이트 ONE TOUCH HDD제품을 리뷰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재직자입니다..ㅎ 구독자로 자주 영상 자주 보는데 우리회사 제품을 테스트 해주시니 너무 감사하네요!! 객관적으로 성능 비교 해주시고🥳
감사합니다❤
플스5에도 사용가능할까요?
비틱자ㅋㅋ
@@homesmile89 플스5에는 속도느려서 미지원일겁니다 보통 초당 읽기 속도 5천 메가 나와야해요
@@homesmile89 플스에 당연히 사용 가능한데 PS4 게임만 실행 되요
정말 가성비 좋은 듯, 기다렸다가 프로모션 하면 2-3개 쟁여 두고 싶네요
오 저거 스팀덱에 들어가겠는데.. 이젠 자르지 않아도돼나요 👀
이거다. 엄청 신박하네요ㅋㅋㅋㅋㅋㅋ
하드만 쓰다가 잇섭님 영상 한방에 질러서, 오늘 받았습니다. 대만족. 소개해주신 그대로여서 혼자서 쓰면서 감탄.......구매처 리뷰에 더 쓸 말이 없었습니다.
더티테스트할땐 포멧하던가 해서 용량을 완전히 비운뒤 해야됩니다. 용량을 어느정도 체우고 시작하면 저하점이 늦어져서 당연히 평균성능이 높아지죠. 잘못된 테스트임.
p31기반이라면 썩 괜찮은 가성비일텐데 삼성이 노하우 덕인지 라인업이 탄탄해서 그런지 잘만들긴 하나보네요
음.. 내장된 ssd사이즈가 2242인지 2230인지 알수 있음 더 좋을 듯 합니다...
작은 사이즈의 ssd가 필요한 케이스가 있는데..
국내에서 구하는 모델들이 성능이나 안정성을 생각하면..
외장으로 저 제품을 사서 적출해서 사용하는 게 좋을 수도 있어 보여서요..
애플워치와 비슷한 크기면 2242일 가능성이 높아보이긴 합니다만
만약에 그 사이즈면 스팀덱 쓰시는분들에게 인기일듯
2242 규격입니다. 2230규격이면 끝단까지 칩셋이 빼곡히 실장되어있습니다.
1테라... 텍스트 작업물이나 사진을 저장하기엔 아주 넉넉하지만 영상물을 저장하기엔 부족한 용량이네요. 좀 애매한 느낌...
라고 생각했는데 SSD를 탈착할 수 있는 구조라니 ㄷㄷ... 다른 SSD로 교체해서 쓸 수 있을 거 같은데, 스팀덱 때 쓰던 SSD와 같은 규격인가요? 국내에선 구하기 힘들려나;
추후 대용량도 나오지 않을까요??
4:23 4:32 8:27 8:43
05:11 해체에 사용하신 공구 이름 좀 알수 있을까요?
초고용량 영화.애니 소장하느라 외장하드.NAS를 80TB정도 사용중인데
나중에 미래에는 무전원으로 대용랑 외장하드가 나오길 기다립니다ㅎㅎ
방열도료 개발했었는데 해당제품 도장 후 방열성능 테스트 해보고싶네요!
그래도 오래 보존해야하는 가족사진 같은거는 외장 하드가 날까요? SSD는 오래두면 데이터 손실이 있다고 하던데..
1년동안 전기 안넣으면 데이터 증발합니다. 그래서 오래 보관할거는 HDD가 맞아요
SS 삼성전자 쉴드, SE 씨게이트 익스펜션, C사는 커세어인가.. 아님 크루셜..?
s사의 s제품 매력적이네요.
전문적으로 영상을 다루는 것도 아니고 그냥 영화랑 수업자료들이나 담아다니는 나에겐 이게 제일 좋은데 2테라가 없넹ㅠ 1테라는 좀 아쉬운데 ㅋㅋ
처음에 소개하려는 물건의 스펙부터 알려주고 방송을 진행했다면 더 좋지 않을까..
어멋,... 나만 소유하고 싶은 반어법??? 하여간 지름신 내리게 하는데는 천재임... 땡큐.
와 엄청 작네요 요즘 스스디 되게 작네요 색상도 금색이라 고급스럽군요
c to c면 스마트폰에 다이렉트로 연결해서 사용가능하나요? 아이폰 기준
잇섭님 영상은 은근 알짜배기가 많음 사기전 시청 필수👍
외장하드랑 외장 ssd중에 데이터 안전한걸로 치면 뭐가 더 좋은가요?
벡업용 겸용으로 사용하고싶어서요
더 안전한게 외장 ssd 입니다
하드는 충격에 약하지요
@@vismlnmlak 전원 안넣어서 데이터 날아가는건 몇년씩 안넣어야하구요
실질적으로 사놓고 몇년씩 안쓸 이유가 없기때문에 ssd가 낫지요
외장 ssd 살까하는데 x31과 wd p40, asus strix~ 모델 중에 고민중입니다. 속도비교가 필요해요 ㅠㅜ
9:14 1시간 4분이 아니라 60분 4초?
sk하이닉스 tube t31 stick ssd p의 거짓 에디션 꼭 부탁드립니다.
구매하려고 하는데 제품에 대해 알아야 해야 할것 같아서요. 꼭 부탁드립니다.
이거에서 내부 M.2 적출해서 PC에 이식하면 어떻게 되나요? 초미니 PC 구성할때 꽤 쓸만해 보여서 그래요.
감사해요! 마침 콘솔 외장이 필요했는데..
참고하여 S사의 S로? 구입을 하겠습니다!
s사 s제품이 뭔지 궁금합니다
유력한 제품인 T7 Shield 분해 영상 보고 왔는데 임베디드 방식 낸드 칩임 ㅋㅋㅋㅋㅋㅋ X31 분해만 보고 모든 외장의 구조가 똑같다 착각하지 마라
@@bokegaeru 속도 보고 웃자고 한 말에
착각이 어쩌고 반말하지? 급식충인가! ㅋ
참고로 닉네임 처럼 골드 색상 좋아한다..
0:01 조립컴 체감가는 도대체 왜 저러는 건데 ㅋㅋㅋ
섭이형 박스보다 큰 칼로 언박싱 하는거 괜찮은거야?
ㅎㅎㅎ
좋은정보 잘 봤습니다. 좋으네요.. s사의 s모델은 t7 쉴드 모델을 말씀하시는걸까요?
s사의 s 제품은 무엇일까요??? ssd 첫 구매 전이라 두 개를 좀 더 살펴보고 구매하고 싶어서요.
3:50초 가량에 아쉽다고 했는데 색상때문에 아쉽다고 하는건가요?
샌디 e81클라스의 제품이 나와줬으면 좋겠어요. 사실상 현재 대체제가 없으니..
Sbs라디오 잘들었습니다 일요일마다 고정 하시나요?ㅎㅎㅎ
방구석에서 이런 고오급정보를 얻을 수 있다니;;
기존의 ssd의 네모난 디자인과 달리 굉장히 컴팩트하고 굴곡져 있어 정말 딱정벌레를 연상시키는 것 같으며, 색도 은은하게 도는 금색이라 예쁜 것 같습니다.
엇.....스팀덱에 딱 맞겠는데???
Ssd사이즈가 스팀덱 기점으로 자주보이네요. . 스팀덱 셀프업그레이드..
스팀덱에 넣기 좋아보이네요
크기가 딱 스팀덱에 들어갈 사이즈인데요??
출시 행사 할려나... 매력적인데
하닉답게 성능은 되게 좋네요. 근데 칩이 저 정도 크기라면 USB 메모리처럼 일체형으로 만들어도 괜찮았을 것 같습니다.
그 비슷한 물건이 있긴한데 걔도 발열문제가 어마어마
그런게 있는데 본체 발열을 그대로 전달해서 좋진 않습니다
일체형으로 만들면 발열이 장난아닐듯해요 ㅎㅎ
분해한 ssd스팀덱에 넣는건 불가능하고 비효율적일까여? d램이잇다길래 상상해봅니다
좀 쟁여놔야겠네요ㅎㅎ 지금이다!
s사의 s 제품은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