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이 공부법이 맞는 사람도 있고 집중이 어려운 사람에도 엉덩이 공부법처럼 진득하게 하라고 해서 권할 수 있지만. 대부분 합격생들은 자기만의 공부시간 만들어서 그 안에 몰빵. 몰입으로 확실히 하는 것 같더라고요. 집중하는 시간을 제대로 체크해서 그 시간에 몰입.. 그리고 좀 쉬어주고. 뽀모도로 공부법이 좀 낫지 않나 싶네요
진짜 맞는 말입니다 과학적으로도 중간중간 휴식하는 게 오히려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게 증명이 됐었죠 그리고 공부법 중에는 뽀도모로 공부법 즉 25분 공부 후 휴식하는게 뇌 집중력과 큰 상관성이 있다고 해요 뇌는 25분 집중 후 집중력이 슬 감소한다고 하거든요 짧게 확 집중하고 5분 쉬는게 제 체감상 굉장히 좋은 방법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공부할때는 인풋과 아웃풋 과정 꼭 쓰세요.. 머릿속으로 집어넣고 꺼내는 과정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한페이지 공부 후 노트에다가 써보는 것 엄청 중요해요..! 다들 화이팅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청춘사랑인생 난 잘되던데???? ㅋㅋㅋㅋㅋ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난 잘됨 영화, 드라마, 소설 아무 생각없이 여러번 그냥 보면 내용 기억 나잖음???? 그거랑 같은 원리임 뇌에 걍 처 쑤셔넣을려고 억지로 하지말고 자주보면 그냥 기억이 남 눈에 많이 익히라는 거임 그래서 걍 쉬는것도 불안하면 걍 쳐다보기만 하고 있는거만으로도 굉장히 도움이 됨 걍 무조건적으로 외울려고만 하니까 힘든거임 주입식 세뇌교육의 폐해
국익을 위해 일할 인재면 지능이 높고 통찰력있는 사람이 해야지 단순히 성실하기만해서는 못해요. 지금 있는 그 병신같은 정치인들도 다 공부 잘했고 고시패스한 사람들도 천지입니다. 그런데도 정책이 하나같이 병신같잖아요. 급변하는 사회에서 중요한건 뛰어난 지능과 통찰력, 문제해결능력이지 단순히 암기만 잘하는 고학력자가 아닙니다.
@@RunnerBe 아니 정책나쁘지 않은데? 나는 정치모르지만 나도 공부는 못하지는 않았음 내가 보기에는 윤석열 홍준표 그나마 장제원 이준석 나경원 유승민이 원탑이라고 하는데 그렇다고 안철수가 할 수는 없잖아 간철수니깐 정책에 비례함 내가 보는 눈이 없더라도 이건 확실함 공부는 정치랑 비례함
순공 몇시간 그런걸 목표로하면,,, 별로고 차라리 오늘은 몇시간 공부한다는 것과 목표량을 정하고 일찍 끝낼수록 쉬는시간 늘어난다고 생각하고 하면 보상을 위해서 집중도 더 잘되고, 보상효과도 봐서 동기부여도 되고, 추가적으로 쉬면 다음날도 더 파이팅있게 출발할 수 있어요:) 전 그래서 쉴땐 유튜브도 보고 게임도 했어요
그냥 7~8시간 푹자고 이거 장기마라톤 시험이니까 선생님 말대로 이상한 유튜브 보고 현혹되시지 마시구요 1년 잡으시고 8시간~10시간 순공시간 하세요 10시간도 너무 많습니다 8시간씩 하다가 막판 d-100일떄 10시간씩 꼭 하시고 주 1일 꼭 쉬는날 정하시고 d-60 부터는 반휴정도 하고 꼭 사람도 많나고 하고 싶은거 하십쇼 하루에 8~10시간 정도 공부하면 헬스장 갔다와도 시간이 남습니다. 집중하시고 할 수 있는 만큼만 계획세우시고 꼭 마라톤 공시게임 승리하십시요 42.195 풀코스도 처음부터 전속력으로 달리면 42.195 마라톤도 달릴 수 있는 사람도 완주를 못합니다. 속도 7로 완주 할 수 있는데 속도 5로 뛸려다가 절반도 못뛰고 나는 못하는 사람이구나 하고 포기하게 됩니다. 1년 안에 붙는것도 매우 잘하는 거고 일행직 현직들 한테 물어보면 2~3년은 합니다. 보통 3년정도 합니다. 이상한 광고성 수강후기 유튜버 보지마시고 꼭 휘운쌤처럼 진실되게 이야기 하시는 분 듣고 성취해나가세요. 15시간정도면 수능으로 의대가는 애들이 하는 방법이고 막판에나 끌어올리는 방법입니다 학교다닐때는 15시간 하지도 못해요 기숙사나 재수해가지고 독학기숙사 학원 들어가거나 해야죠 그것도 12시간 겨우 할까 말까에요 이건 논리력이 필요한 시험이 아닙니다.. 모두 성공하시길 ! 지방직 화이팅
이래서 인터넷에 널려있는 수험성공담을 걸러들어야 하는게 보통 본인 수험생활은 미화되기 마련이거든요. 대개 합격한 사람은 축소하고자 하고 실패한 사람은 부풀리곤합니다. 대충 이유는 알겠습니다만 그것도 사기란건 잊지 말아야겠죠. 아무튼 대학교때 한것까지 한 5년 공부했으면서 졸업하고 6개월 했다고 6개월만에 합격했다고 하는 사람이나 6시간도 못해놓곤 16시간씩 공부했는데 떨어졌다고 하는 사람도 부지기수입니다.
솔직히 전업 수험생분들 존경합니다. 오랫동안 앉아서 게임만 해도 머리고, 몸이고 다아픈데 게임도 은근 오래하면 더 질립니다. 나중에 현타오기까지 합니다.(예전 피돌이 시절 하루에 12시간씩 꼬박꼬박했었음 옷에 담배냄새 배기는건 기본) 게임도 질린데 공부는 오죽하겠습니까... 저는 그렇게 까지는 못해서 직장생활 하면서 틈틈히 순공 2-3시간 정도 합니다. 어떤 합격 후기중에 "순공 12시간 했어요." "하루 종일 앉아만 있었습니다." 이런 제목과 글들 보고 많이들 따라하시려고 마음잡으시던데.. 구러지 마세요. 하루 이틀이면 하시겠지만 좀만 지나면 진짜 힘들어집니다. 저 또한 이 말처럼 똑같이 행동 하려하다가 나중엔 정 힘들어서 '내가 진짜 정신이 나약한건가..?' 라는 생각으로 저를 나락으로 몰아넣기까지 하더라구요. 원래 할수 없는 거에요 !유휘운 선생님 옛날 영상만 몇개 보면 답나옵니다.(저는 옛날 첫영상부터 쭉 정주행 다했습니다.)
마치 강제로 야근해야되는 직장인을 생각해보면 좋습니다. 정시퇴근은 저녁6시인데 누군가 강제로 저녁9시까지 남아서 일을 하라고하면 오전9시~저녁6시의 정규 근무시간동안 일을 효율적으로 할까요? 비슷한 상황을 겪어본 분들이라면 다 아시겠지만 당연히 정규 근무시간동안 일을 엄청나게 비효율적이게 합니다...어차피 열심히해서 끝내봤자 저녁9시까지 남아 있어야하니까. 공부도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최소 공부시간을 정하고 그 안에 오늘 공부량을 끝낼수있게 집중하고 공부한담에, 남는 시간은 쉬면서 충전하면 좋더라구요.
하루 15시간, 5과목 3시간씩 스케줄을 잡고 마음이 불안해 한달에 한번정도 쉴까말까 했던 제가 가끔은 후회스럽습니다. 3년동안 3번의 시험을 봤지만 성적은 솔직히 드라마틱한 발전이 없었습니다. 오히려 독이 됐던걸까요. 다시 돌아간다면 요령껏하고 쉴거 쉬고 친구들도 만날걸 그랬습니다.
16시간 같은 소리하고 자빠졋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세상에 누구도 순공 16시간 못한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합격수기에 저는 순공 10~12시간씩 꾸준히 했어요~? 이것도 10소리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딱 인간의 마지노선 순공 시간은 6~7시간이다 ㅇㅋ?? 그 이상은 힘들어서 못해 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하루이틀은 하겠으나 꾸준히는 불가능함 ㅋㅋㅋㅋ 왜 그러면 합격수기에 10~12시간 순공했따고 구라를 쳤을까? 논리적으로 봤을떄 그냥 솔직하게 순공 7~8시간만 했어요라고하면 존나 잘난척하는거 같거등 ㅋㅋㅋ인간미가 안느껴져 ㅋㅋㅋㅋㅋㅋㅋ 그래서 인간미 느껴지게 10~12시간 순공했다고 구라치는거임ㅋㅋㅋ 실질적으로는 솔까말 하루에 순공6~7시간 찎는거솓 개빡셈ㅋㅋㅋㅋㅋㅋ
안녕하세요, 유휘운 변호사 입니다.
제 강의와 교재입니다.
1. 강의
- 메가공무원 : www.megagong.net/teacher/home.asp?bcode=allawyer
- 메가소방 : sobang.megagong.net/teacher/home.asp?bcode=allawyer
- 메가군무원 : army.megagong.net/teacher/home.asp?bcode=allawyer
2. 교재
- 기본+기출서(기풀기) : www.yes24.com/Product/Goods/102792892
- 요약서(요트) : www.yes24.com/Product/Goods/103153649
- 기출집(진출) : www.yes24.com/Product/Goods/104521959
- 파이널(요트플러스) : www.yes24.com/Product/Goods/106030352
- 고난도(사풀기) : www.yes24.com/Product/Goods/109048524
내가 그래서 인스타 이런데에 순공 12시간 인증 이런거 안믿음ㅋㅋ 찐공부해본사람은 알거든 강의듣는 거 빼고 순수 책 본 시간으로 순공 5-6시간만되도 진이 다 빠지는 거
맞아요~저도 순공 3시간 넘어가면 배가 엄청고파와요 그 전에 밥을 먹었는데에도
강의듣는것도 순공에 포함되야 하는게 맞음 강의듣는게 노는건 아니잖음 제대로 집중해서 들었단가정하에 공부했다고 할수있음 단 강의시간대 복습시간이 1:1이상으로 복습시간이 더 길다는 가정하에
12시간까진 가능함 ㅇㅇ 그 이상은 재능이거나 주작이지
맞아요 진짜 5시간넘게 초집중 공부해도 진이 쪽쪽빠지고 엄청배고파요ㅡㅜ저만그런게 아니였군요.,
12시간 이렇게 하는건 낼모레 시험일때나 가능 ㅋㅋ 오히려 더했다가는 시험때 컨디션저하로 비문학 다 나가리됨.
비문학 같은 어려운 지문은 집중력이 생명이라좋은 컨디션일수록 눈에 들어오는게 다름
다다익선이 공부에서는 아닐거라고 봐요
맞아요 하루죽어라하니까 다음날못일어나겠더라고요
쉬면서길게오래 꾸준히가중요한것같습니다
맞아요 그렇게하니깐 다음날 못일어나고 꾸준히 공부못하겠더라구요..
왜 강의는 순공시간에서 빼라는 거지.. 난 강의 듣는 게 제일 힘들더라.. 아예 처음 듣는 내용이고 제일 집중해서 하나라도 더 떠먹으려고 노력하니까 혼자 기출 풀면 재밌지 아는 거니까
엉덩이 공부법이 맞는 사람도 있고 집중이 어려운 사람에도 엉덩이 공부법처럼 진득하게 하라고 해서 권할 수 있지만. 대부분 합격생들은 자기만의 공부시간 만들어서 그 안에 몰빵. 몰입으로 확실히 하는 것 같더라고요. 집중하는 시간을 제대로 체크해서 그 시간에 몰입.. 그리고 좀 쉬어주고. 뽀모도로 공부법이 좀 낫지 않나 싶네요
보통 관리형 독서실 시간표 보면 공부시간 10시간 내외임. 16시간은 진짜 말도 안 됨
진짜 제대로 공부 해본사람만 알수있는 진리의말씀...
절대적인 공부량이 중요하긴한데 이건 제대로 전투모드땐 좋지만 평시(?)에는 저방법은 굉장히 비효율적임. 휴식때 잘쉬고 3시간이라도 제대로 보는것이 효율과 효과 모두 가져갈 수 있음
감사합니다
16시간 앉아있어야 8시간이라도 한다는 말도 맞고
휴식도 공부를 위한 것이라는 말도 맞고
휴식과 공부도 다 중요하다는 말 다 맞음
근데 결국은 본인이 타고난 뇌랑 신체에 맞춰가는거지 뭐 정답은 없는 것같아요
맞아요. 결국엔 케바케입니다.
가장 최악은 오래 앉아있는겁니다.
다아시잖아요.
허리디스크. 치질.목뒤스크. 소화불량. 위 역류. 생리불순. 집중력저하. 그저 남들에게 보여주기식 공부.이게 나의 모습인지 되돌아보자.
16시간 앉아있는데 8시간 공부하면 절반 8시간은 그냥 날리는건데 그게 맞는 말이라고? ㅋ8시간동안 게임을 쳐하나 망상을 하나 도대체 16시간 동안 8시간은 버린다는건 지능문제같은데 ㄷㄷ
@@jags1170 장기가 되면 충분히 그럴 수 잇음... 하버드 교수가 말하는거 유튭에서 봄 30분 5분 쉬는게 젤 베스트고 그뒤로 차츰 늘려 나가야된다던데 자기는 한분야에 정점을 찍었다는데 최대 집중 시간은 3시간이라함
16시간 앉아서 8시간 공부하면 지능이 낮은거임 하버드교수는 하버드교수고 9급 공시랑 뭔 천재랑 비교를 하고있어 일반인은 하루 3시간 공부하고 9급합격 못하는데 ㅋㅋ 공부안하고 유튜브보고 게임하고 쳐놀거를 합리화하는거임ㅋㅋ 효율을 50%밖에 못내는 빡통인데 ㅋㅋ
진짜 맞는 말입니다 과학적으로도 중간중간 휴식하는 게 오히려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게 증명이 됐었죠 그리고 공부법 중에는 뽀도모로 공부법 즉 25분 공부 후 휴식하는게 뇌 집중력과 큰 상관성이 있다고 해요 뇌는 25분 집중 후 집중력이 슬 감소한다고 하거든요 짧게 확 집중하고 5분 쉬는게 제 체감상 굉장히 좋은 방법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공부할때는 인풋과 아웃풋 과정 꼭 쓰세요.. 머릿속으로 집어넣고 꺼내는 과정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한페이지 공부 후 노트에다가 써보는 것 엄청 중요해요..! 다들 화이팅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근데 5분 쉴때 어떻게 쉬는 것이 좋을까요? 쉬는법을 모르겠어요 지루한건 못참는타입이고, 예로 멍때리라고들 하는데 진짜 멍할때 아니고선 멍이 쉬어지는게 맞나싶어요
@@user-yb5ly1ls1s 쉬는것도 불안하면 그냥 했던 내용 읽으셈
읽는데 그냥 흘려보내셈
눈만 움직이고 뇌는 정지
@@길냥시급식구셔틀동 그럼 쉬어지지도 않고 머리에도 안들어오고 이도 저도 안됨 ㅇㅇ
@@청춘사랑인생 난 잘되던데???? ㅋㅋㅋㅋㅋ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난 잘됨
영화, 드라마, 소설 아무 생각없이 여러번 그냥 보면 내용 기억 나잖음???? 그거랑 같은 원리임
뇌에 걍 처 쑤셔넣을려고 억지로 하지말고 자주보면 그냥 기억이 남
눈에 많이 익히라는 거임
그래서 걍 쉬는것도 불안하면 걍 쳐다보기만 하고 있는거만으로도 굉장히 도움이 됨
걍 무조건적으로 외울려고만 하니까 힘든거임 주입식 세뇌교육의 폐해
@@청춘사랑인생 그래서 합격자들이 항상 말하는게 단권화, 다 회독을 강조해서 말하는 거임
억지로 쑤셔넣고 완벽하게 한번 보는것보다 자주 보고 진짜 외워야 할 부분만 따로 외우는거지
이게 메타인지라는 거임
16시간 집중 가능한 인재면 진정 국익을 위해 일해야 될 인재입니다 ㅋㅋ
국익을 위해 일할 인재면 지능이 높고 통찰력있는 사람이 해야지 단순히 성실하기만해서는 못해요. 지금 있는 그 병신같은 정치인들도 다 공부 잘했고 고시패스한 사람들도 천지입니다. 그런데도 정책이 하나같이 병신같잖아요. 급변하는 사회에서 중요한건 뛰어난 지능과 통찰력, 문제해결능력이지 단순히 암기만 잘하는 고학력자가 아닙니다.
@@RunnerBe 어느정도 공감합니다.
@@RunnerBe 아니 정책나쁘지 않은데? 나는 정치모르지만 나도 공부는 못하지는 않았음 내가 보기에는 윤석열 홍준표 그나마 장제원 이준석 나경원 유승민이 원탑이라고 하는데 그렇다고 안철수가 할 수는 없잖아 간철수니깐 정책에 비례함 내가 보는 눈이 없더라도 이건 확실함 공부는 정치랑 비례함
@@RunnerBe 뭐든지 확률싸움이다 보니... 고학력자가 말씀하시는 통찰을 키우기가 좋으니까 고학력자들이 정치하는건데 이번정부는 그야말로 오합지졸 집합소였어서 고학력자도 아니고 지잡대도 섞여있고 많죠 아주. 새로운 5년에 기대를 걸어봅니다.
그냥 자기스타일데로 하는게 가장좋은거야.ㅋㅋㅋㅋ
순공 몇시간 그런걸 목표로하면,,, 별로고
차라리 오늘은 몇시간 공부한다는 것과 목표량을 정하고 일찍 끝낼수록 쉬는시간 늘어난다고 생각하고 하면 보상을 위해서 집중도 더 잘되고, 보상효과도 봐서 동기부여도 되고, 추가적으로 쉬면 다음날도 더 파이팅있게 출발할 수 있어요:) 전 그래서 쉴땐 유튜브도 보고 게임도 했어요
그냥 7~8시간 푹자고 이거 장기마라톤 시험이니까 선생님 말대로 이상한 유튜브 보고 현혹되시지 마시구요 1년 잡으시고 8시간~10시간 순공시간 하세요 10시간도 너무 많습니다 8시간씩 하다가 막판 d-100일떄 10시간씩 꼭 하시고 주 1일 꼭 쉬는날 정하시고 d-60 부터는 반휴정도 하고 꼭 사람도 많나고 하고 싶은거 하십쇼
하루에 8~10시간 정도 공부하면 헬스장 갔다와도 시간이 남습니다. 집중하시고 할 수 있는 만큼만 계획세우시고 꼭 마라톤 공시게임 승리하십시요 42.195 풀코스도 처음부터 전속력으로 달리면 42.195 마라톤도 달릴 수 있는 사람도 완주를 못합니다. 속도 7로 완주 할 수 있는데 속도 5로 뛸려다가 절반도 못뛰고 나는 못하는 사람이구나 하고 포기하게 됩니다.
1년 안에 붙는것도 매우 잘하는 거고 일행직 현직들 한테 물어보면 2~3년은 합니다. 보통 3년정도 합니다. 이상한 광고성 수강후기 유튜버 보지마시고 꼭 휘운쌤처럼 진실되게 이야기 하시는 분 듣고 성취해나가세요.
15시간정도면 수능으로 의대가는 애들이 하는 방법이고 막판에나 끌어올리는 방법입니다 학교다닐때는 15시간 하지도 못해요 기숙사나 재수해가지고 독학기숙사 학원 들어가거나 해야죠 그것도 12시간 겨우 할까 말까에요 이건 논리력이 필요한 시험이 아닙니다.. 모두 성공하시길 ! 지방직 화이팅
첫줄 부터 막줄까지 완벽하게 공감합니다
수험생도 해당하나요
@@user-cp7yo6ms3i 수험생이 오히려 더 해당되는 얘기임
팩트) 순공시간 10시간만 채워도 의대는간다
@@user-sv3oz3ri2s 22 의대생도 순공 15시간은 안 나와요
장기전은 꾸준히 마지맠까지 잘마무리하는 사람이 합격이다
공부는 신체를 더해 생체적으로 생리적으로 해야한다는 의미인 거 같군요.
3개월 국가직 뚫음 하루 12시간 휴일 없이함 직장 접고 하는거라 간절함이 있었기에 가능했었으리라 생각함 14시간도 해봤는데 오히려 컨디션만 나빠짐 자기에게 맞는 루틴 찾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함
와.. 영어 같은 과목은 어떻게 하셨어요?
@@chowdy89 저 기술직이라 점수컷이 높지않아서 25분에 70-80점 맞을정도로만 연습했습니다.
저희 아빠랑 이름 똑같은 사람 처음 봐요
3개월과 1,2년 장기는 좀 다르죠
몸이 버텨내면 그나마 다행인데 얼마 안가서 방광염같은 질환 터지고 약달고하면 컨디션도 떨어지고
이래서 인터넷에 널려있는 수험성공담을 걸러들어야 하는게 보통 본인 수험생활은 미화되기 마련이거든요. 대개 합격한 사람은 축소하고자 하고 실패한 사람은 부풀리곤합니다. 대충 이유는 알겠습니다만 그것도 사기란건 잊지 말아야겠죠. 아무튼 대학교때 한것까지 한 5년 공부했으면서 졸업하고 6개월 했다고 6개월만에 합격했다고 하는 사람이나 6시간도 못해놓곤 16시간씩 공부했는데 떨어졌다고 하는 사람도 부지기수입니다.
순공 10시간 정도가 적당한 듯 8시간 정도 자고 휴식, 샤워, 밥 등등에 6시간 정도 쓰면 너무 지치지도 않고 충분히 공부할 수 있음 조금 빡세게 하면 1~2시간 정도 더하는거고
솔직히 전업 수험생분들 존경합니다.
오랫동안 앉아서 게임만 해도 머리고, 몸이고 다아픈데 게임도 은근 오래하면 더 질립니다. 나중에 현타오기까지 합니다.(예전 피돌이 시절 하루에 12시간씩 꼬박꼬박했었음 옷에 담배냄새 배기는건 기본) 게임도 질린데 공부는 오죽하겠습니까... 저는 그렇게 까지는 못해서 직장생활 하면서 틈틈히 순공 2-3시간 정도 합니다.
어떤 합격 후기중에
"순공 12시간 했어요."
"하루 종일 앉아만 있었습니다."
이런 제목과 글들 보고 많이들 따라하시려고 마음잡으시던데.. 구러지 마세요. 하루 이틀이면 하시겠지만 좀만 지나면 진짜 힘들어집니다. 저 또한 이 말처럼 똑같이 행동 하려하다가 나중엔 정 힘들어서 '내가 진짜 정신이 나약한건가..?' 라는 생각으로 저를 나락으로 몰아넣기까지 하더라구요. 원래 할수 없는 거에요 !유휘운 선생님 옛날 영상만 몇개 보면 답나옵니다.(저는 옛날 첫영상부터 쭉 정주행 다했습니다.)
지나가던 20년도 합격자인데 정말 맞는 말씀입니다. 우리가 자극받아야 할 숫자는 합격자의 점수이지 공부시간이 아닙니다.
저도 첨에 극한으로 몰아붙이다가 포기하고 하루 공부 4시간씩 4달하고 합격했습니다
@@양봉업자-r6y 어떻게 보면 이런 사람들이 제일 악마라고 생각함 ㅋㅋㅋㅋㅋㅋㅋㅋ
@@jino8395 기본 14시간도 안하는거에 놀라고 재수생이면 기본적으로 16시간은 앉아있어야지 간혹 디스크타령하는얘들 있는데 회사가서도 보통 8시출근에 야근때리면 10시까지함
@@shwbsh9400 그건 사람마다 다 다르죠... 전문직 준비하는 친구들도 하루에 16시간동안 앉아있지는 않아요.. 9급 기준으로 하루 순 공부량 7~8시간 정도만 해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위에 4시간 4개월은 당연히 개구라고요.
공부 많이 많이 하면 할수록 좋죠..
하지만 효율을 위해 쉬어가면서 하라는 뜻인거 같네요..
맞아요ㅠㅠ 최대해봤자12시간이예요.
물론 그 전에 체력이 더좋았을적에(아프기전)엔 더 많이 했겠지만요. 제대로 집중해서 6시간~8시간만 해도 정말 진빠지더라구요. 최대가 10시간인것 같아요. 자기 컨디션봐가며 하는게 좋은듯요.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휘운쌤♡!
선생님 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경험에서 나오는 팁인것 같아요 사실 순공 8-10시간도 꾸준하게 하는게 쉽지 않죠 집중하는 시간이 더 중요하죠 공감합니다
나도 예전에 정말 무식하게 했지. 근데 공무원이 적성인지 아닌지부터 파악하고 해라. 요즘 합격해도 얼마 안되서 그만둔다더라.
갓승덕... 인간의한계를 뚫은자
이 영상 볼 필요 없음, 어차피 16시간 공부 못하잖아
휴식에 죄책감을 가지고 15시간씩앉아있던 생각이 납니다 운동선수엿어서 나는 부족하니 더많이해야 된다고 자신을 압박했던 급속도로 몸도 체력도 망가졋었어요 당시 선생님같이 말을 해주는분이 계셧다면 몸이 덜아팠을텐데 목디스크가 ㅠㅠㅠㅠ
여러분 건강이 최고입니다 한 번망가진 몸은 다시 원래의 몸으로 돌아오지 않더군요 예전몸이 그립네요 ㅠ 건강이 최고입니다
16시간은 무리니까 14시간까지만 하겠습니다.
드디어 나왔구나… 신림동 수험가에서 사법고시 합격한 강사의 순공시험 논란의 종결영상…
진짜 제발 16시간 할 수 있다고 wlfkf하는 놈들은 최소 5급 합격증 들고 와서 반박해라… 제발
사시 합격한 강용석도 순공시간 길어야 6시간이라네요. 잠시화장실 가는시간 머리 식히려고 멍때리는 시간 목차확인하는 시간 다 빼고 계산해야지. 공부 제대로 해본 적 없는 사람들이 10시간 거의 다 집중할거라 착각하죠
고삼 수능 3달전에 17시간해보고
나이들고서는 이게 안된다고 느꼈다 ㅋㅋ
좋은 말씀 감사합니댜
진짜 앉아라도 있어야지 쉬면 쉬는 대로 강박강념ㅜ 근데 너무 힘드네요. 근데 휘윤쌤 말씀에 조금 위안 얻네요. 맞는 말씀이긴 하잖아요ㅜ
자기의 공부지구력을 파악하고 계획을 세우세요
어떻게든 15시간씩 하려했는데 며칠해보니까죽겠더라고요ㅜㅜㅜㅜ 샘 말이 맞네여ㅜㅜ 근데 집중력이 또 약해서 뭔...가ㅜㅜ 하.....ㅜㅜㅜ어째야하나 싶네요. 선생님 다른영상에서 집중안되면 쓰면서하기도 했는데요 ㅜㅜ 하ㅜㅜ 왜케 집중이 안되나 ㅜㅜ 제대로 쉬지 못하는 마음이 불안해서... ㄱ 냥 적고보니 무슨 소린가 싶네여ㅜㅜ 총체적 난국.....ㅜㅜㅜㅜㅜ
그런데 시험 합격하려면 최소 순공 하루 10시간은 해야 발전이 있음....
그 이하면 공부해도 매일 제자리....
5시간 집중하고 쉬고 5시간 되더라고요...연달아서는 못함..
선생님덕분에 이번 소방필기시험 0.3배수로 합격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와 이번에 소방학개론 어려웠다던데 수고하셨어요
츅하두려요~~>_
합격? 필합 발표안나왔을낀데?
@@midnight2000 공x기 같은 합격예측이겠죠 이 시기쯤되면 거의 합격컷과 비슷해져요
@@유네-k8m 그거 믿을꺼못되노
이 형은 진짜다. 진심이다. 구독자 5만 축하드려요. 😃
허리디스크 허리염증 퇴행성관절염 생기고 고시접었다
7급 이상이면 이해하나, 9급 준비하면서 무슨 16시간을 ㅋㅋ 적당히 합시다 여유있게 해도 됩니다
사람마다 모두 달라요. 대전 서구 홍보담당은 수험생 시절 한시간 공부한 뒤 ..10분 쉬공 했답니당 ㅎ
하루 10시간만 꾸준히!!
쓸데없는 얘기가 아니라 쓸데가 아주 많은 얘기인 것 같습니다 ㅋㅋ
머리가 멍청하면 진짜 밥먹는 시간 빼서 공부만 해야 한다고 봅니다.... 하지만 사실 그 정도면 다른 일을 하는 게 더 현명하지 않을까.
팩트폭격기 인정합니다
안 하는 것보다는 낫지만 ... 쉴 때 쉬는 것만 하세요 게임이니 그런 거 하지말고 ..
9:30분 시작 12부터 1시반까지 운동밥
6~7휴식 12까지 공부 1시간 핸드폰이
저에게 맞는 패턴이고 10시간나오더라구요
선생님 7월달에 군무원셤이있습니다
비록 선생님 수업은 들은적은없지만 행정법 기출은 시중에 나와있는 국가직서울직10개년 풀면되나요?
선생님 멋져요^_^
극공감이요. 9 to 10만 꾸준히 하다가 한달전에 극한의 공부해도 충분히 붙는 시험인데(1년기준) 시험기간 내내 순공 14시간 이상 하라는건...ㄷㄷ
잘쉬어라
대가리 1시간 반에서 2시간 굴리면 밥을 아무리 많이 먹어둔 상태여도 존내 배고프고 진빠져서 잠깐 잠깐 10분 20분씩 자줘야 회복되던데 그냥 책만쳐다보고 앉아있는건 가능하지 16시간동안 게임도 하는데 뭐
마치 강제로 야근해야되는 직장인을 생각해보면 좋습니다. 정시퇴근은 저녁6시인데 누군가 강제로 저녁9시까지 남아서 일을 하라고하면 오전9시~저녁6시의 정규 근무시간동안 일을 효율적으로 할까요? 비슷한 상황을 겪어본 분들이라면 다 아시겠지만 당연히 정규 근무시간동안 일을 엄청나게 비효율적이게 합니다...어차피 열심히해서 끝내봤자 저녁9시까지 남아 있어야하니까.
공부도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최소 공부시간을 정하고 그 안에 오늘 공부량을 끝낼수있게 집중하고 공부한담에, 남는 시간은 쉬면서 충전하면 좋더라구요.
아...와 닿는다...
감사합니다...
3시간 자면 합격하고 4시간 자면 떨어진다고
예전에 선생님이 그러셨었는데 다 구라였군요ㅋㅋ
옛날 공부방식으로 하셔 그러신듯해요
사당오락
고삐리 수능 시절 때도 그런 교사들 투성이었죠
잘보는 애들은 잘보는 거고 아니면 아닌거지 ㅋㅋ
잠은 충분히 자야 합니다 ㅋㅋㅋ
방금전에 이윤규변호사 3시간자고 16시간공부해서 9개월만에 사시패스한거 보고 왔는데 완전 반대네 뭐가 맞는건가
그게 되면 이윤규나 전효진 변호사 처럼 고시를 쳐야죠. 둘다 절대 평범한 사람이 아님
이분도 변호사 출신이고 고시패스하신 분이지만 7급 9급 기준으로 가장 현실적인 이야기를 해주시는듯
집중있게 공부할게요 감사합니다♡
16시간 구라지 ㅋ ㅋ 12시간도 구라까는 애들이 대부분임. 이런 애들 특이 인강 시간도 포함 시킴.
인강 영화 보듯이 보면 1,2시간 훅훅 가는데 누가 12시간 못채울가.
인강시간도 공부맞음 제대로 집중해서본다는가정하에
근데 강의듣는시간은 예외인가요ㅠ 하루에 진도대로 하면 강의만 8시간가량들어야하는데
그러다보니 10시간이상 공부해도 꾸역꾸역 진도만따라가는 느낌이네요
강의도 포함시키세요! 그것도 공부
@@필합-t3y ㄴㄴ; 강의제외하고 계산해야 해요
몇 시간 했느냐보단 시간당 효율성이 더 중요한겁니다
난 쉴때 확실히 쉬어줬음
하루 8시간 순공해도 많이 한건데 열 몇시간은...
하루 15시간, 5과목 3시간씩 스케줄을 잡고 마음이 불안해 한달에 한번정도 쉴까말까 했던 제가 가끔은 후회스럽습니다. 3년동안 3번의 시험을 봤지만 성적은 솔직히 드라마틱한 발전이 없었습니다. 오히려 독이 됐던걸까요. 다시 돌아간다면 요령껏하고 쉴거 쉬고 친구들도 만날걸 그랬습니다.
정말 죄송하지만 재능차이인거같아요
@@야스오-l3z 공부에 재능은 있을지 몰라도 합격에는 재능 없음 누구나 합격할 정도의 실력은 만들 수 있음
스스로 판단해보고 자기가 효율적으로 공부를 하고 있다면 굳이 오래 할 필요 없음
효율적으로 못하는 수준이면 오래라도 해야함.
난 또 16시간은 안되니깐 20시간이상은 하라는 영상인줄ㅋㅋㅋㅋㅋ
시험 1달 전까지는 10~12시간,
시험 1달 남았을 때부터 15시간 씩 하는
2사이클 방법이 제일 좋은 것 같음
물론 사람 바이 사람이지만
저한텐 이게 제일 맞았음
저는 오전3시간 점심먹고 낮잠3시까지 자고 6시까지.저녁식사후 8시부터 10시30까지 공부 했는데.
난 엄청 무리하게 공부해야 8시간인데 좀 줄일까 5시간 괜찮을듯
10시간넘는데 집중이된다? 내신공부하나?
1년이된다고? 진짜?
I just wanna say that I just love your saying ! ♡☆ ^^ thank you a million 🙏 ❤
유투브에 공시생 브이로그 검색하셔서 최근 업로드된 영상들 여러개 보세요.. 앉아서 시간 채우는게 마냥 능사가 아닙니다. ㅠㅠ
모두 항상 무한 평화·번영·긍정적으로 계속 무한 파이팅합시다.Let's always keep up the good work with infinite peace, prosperity, and positively.
16시간 같은 소리하고 자빠졋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세상에 누구도 순공 16시간 못한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합격수기에 저는 순공 10~12시간씩 꾸준히 했어요~? 이것도 10소리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딱 인간의 마지노선 순공 시간은 6~7시간이다 ㅇㅋ?? 그 이상은 힘들어서 못해 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하루이틀은 하겠으나 꾸준히는 불가능함 ㅋㅋㅋㅋ 왜 그러면 합격수기에 10~12시간 순공했따고 구라를 쳤을까? 논리적으로 봤을떄 그냥 솔직하게 순공 7~8시간만 했어요라고하면 존나 잘난척하는거 같거등 ㅋㅋㅋ인간미가 안느껴져 ㅋㅋㅋㅋㅋㅋㅋ 그래서 인간미 느껴지게 10~12시간 순공했다고 구라치는거임ㅋㅋㅋ 실질적으로는 솔까말 하루에 순공6~7시간 찎는거솓 개빡셈ㅋㅋㅋㅋㅋㅋ
고승덕 이 성님이면 구라가 아닐 수가 있음
앤딩 음악은 누가 부른거죠?
디게 귀엽네요
난 순공 9~10시간만해도 그날은 진이 다빠지던데
엠플이 모에요??? 검색해도 피부 관련한 것만 나오네요.
전 이상한게... 군 간부 시절에 임용고시 봤는데.... 적당한 업무 4시 반 전투 체육 휴무, 자유로운 연차 덕분어 1차 컷 +3 한 적 있어요. 군대 때 스트레스 없으니까 의외로 점수오름. 근데, 근무했던 부대가 Chicken and Dragon Valley
휴식은 뭐 하면서 쉬면 좋은지 알려주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
휴식은 그냥 말그대로 아무것도 하지마세요..놀지도 마시고 공부도 하지 마시고... 그냥 누워서 쉬세요..
휴식까지 알려달라고 하면 ... 너무 자기주도적이지 못한 거 같네요 ㅠㅠ..
@@shjjjjj2580 엥? ㅋㅋㅋㅋㅋ 왜죠?
그 앰플이 뭔지도 궁금하네요 ^.^;;
사과얘기 하셨는데 애플아닌가요?
시간보다 집중력이 문제아님?
16시간 대체 어케하냐..
그냥 공부에 몰입하면 하던데 수능준비밖에 안해봐서 공무원 시험은 모르것다.. 그래도 15시간은 충분히 할만하지 않나?
@@Ejfjjf 니해봐라 임마 ㅋㅋ말이쉽지
전 12시간 이상 매일 하는 사람들도 신기하던데요..
@@name-hn1kz 10시간만해도 대단한거
@@midnight2000 그렇게 해서 빅5 의대중 한곳 다니는데요
10시간 이상 순공?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