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o Necessary & Sufficient Conditions for Good End of Life: Circle of Love & Life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VSED #Circleoflove #Circleoflife
    About 'Peacefully At Home'
    Hi, thanks for you visit. My name is Kim from South Korea.
    At the age of 71 this year, I am currently living a healthy and happy life. My final goal is to live my remaining years more happily and healthily.
    In my late 60s the seed of dreads for the death and illness sprouted from deep in my heart. And it became a growing concern that I had to overcome. I have delved into the matters and tried to find a solution that can bust all worries of my late years. The solution I found is, at the end of my life, 'dying peacefully at my home by fasting not at the hospital nor any nursing facility.'
    Dalai Lama said,
    "Analysis of death is not for the sake of becoming fearful but to appreciate this precious lifetime."
    This channel is recording both my study about 'dying by fasting peacefully at home' and efforts for living remaining years 'more happily and healthily'.
    Thank you

КОМЕНТАРІ • 50

  • @Jenniferhj
    @Jenniferhj 2 місяці тому +19

    혼자 고독사 할 것 같은데 이런 프로 너무 좋네요. 편안하게 갈수있도록 주변도 정리하며 남은 인생 잘보내야겠어요.

    • @PeacefullyAtHome
      @PeacefullyAtHome  2 місяці тому +1

      관심을 갖고 영상을 보아주시고 공감해주셔 감사합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니 다행이네요. 편안한 저녁시간 보내세요~!🙂🙂🙂

    • @박소람-e8z
      @박소람-e8z 2 місяці тому

      요양원에도 특별실이 있다고 해요.
      고독사도 괜찮긴 하지만 시설에 가서 곡기 끊는것도 좋겠다는 생각 입니다
      특별실이 임종실이죠

  • @Memory-Storehouse
    @Memory-Storehouse 24 дні тому +1

    저 역시 언제나는 곡기 끊고 죽음을 맞이 하려 합니다만,
    곡기를 끊고 영면을 맞이 하는 기간(약 1달?)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시설이나 조력자가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드네요

    • @PeacefullyAtHome
      @PeacefullyAtHome  23 дні тому

      같은 생각을 갖고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만나뵙게 되어 반갑고 고맙습니다. 🙂

  • @김윤아-z2h
    @김윤아-z2h 2 місяці тому +12

    저는 올해 70입니다 혼자 살지요 저는 예전부터 죽음을 생각 할 때 곡기를 끊을 생각으로 준비하려고 합니다 요즘은 40대 아들이랑 죽음에 대해서 이야기를 가끔 하는데 별로 무겁지 않게 합니다 저는 건강검진도 안 받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에너지도 넘치고 건강합니다 채널이 유익하네요

    • @PeacefullyAtHome
      @PeacefullyAtHome  2 місяці тому

      관심을 갖고 영상을 보아주시고 공감을 표해주시니 고맙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 @박소람-e8z
      @박소람-e8z 26 днів тому +1

      저도 국가 암검진 한번도 해 본적 없습니다.
      아직 직장 생활 하고 있어서 벌금 안 나올 정도로 검사 하고 있죠.
      60 입니다.

  • @상호육
    @상호육 17 днів тому +1

    신이 인간에게 주신 최고의 선물 죽음😅😂😊

  • @utizer01
    @utizer01 2 місяці тому +8

    3일동안 단식을 하면서 '배고픔과 목마름'을 체험하면서 단식자연사를 연습해보았지만, '죽지 않으려는 살려고 하는 육체의 본능'을 이성으로 제어하는 것이 쉽지 않겠구나 하는 경험을 했습니다. '님의 노력하는 것처럼' 마음준비를 할 수 있다면 가능하지 않을까? 외로움과 더불어 희망도 함께 보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의 '생의 마지막 주제'가 될 듯 합니다. 고맙습니다.

    • @PeacefullyAtHome
      @PeacefullyAtHome  2 місяці тому

      짧은 글에서 글을 쓴 분의 깊은 사유를 느끼게 됩니다. 공감해주셔서 고맙고 종종 고견을 듣고 배울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고맙습니다. 편안한 밤 보내세요~!!🙂🙂🙂

    • @민석옥
      @민석옥 2 місяці тому

      아직 건강하다는 뜻 아닐까요

    • @박소람-e8z
      @박소람-e8z Місяць тому

      더 살아야 할 나이라 그래요.
      단식 자연사는 다 살고 해야죠....^^

  • @j-u7o
    @j-u7o 2 місяці тому +3

    저는 독신이라 혼자 고독사할 것 같은데요..
    때가되어 곡기를 끊는것은 어려울것 같지 않아요. 주변에 그런 경우를 본 적도 있구요. 80대 후반 할아버지가 돌아가실 때요. 한 일주일.. 안드시고 가셨어요..
    근데 제가 무서운건요.. 고통이에요. 병에걸렸을 때 찾아오는 신체적 고통이..곡기를 끊는것보다 더 힘들것 같아요..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 @PeacefullyAtHome
      @PeacefullyAtHome  2 місяці тому

      관심을 갖고 영상을 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박소람-e8z
      @박소람-e8z Місяць тому

      통증이 오면 통증 관리는 해야죠...

    • @jiyounglee9018
      @jiyounglee9018 Місяць тому

      80 이상 노인들은 일주일정도 안드시면 가실지 몰라도 젊은사람은 20일이 넘게 걸린다고 봣어요 ㅠ

    • @박소람-e8z
      @박소람-e8z Місяць тому

      @@jiyounglee9018
      젊고 건강한 사람은 40일 굶어도 안죽어요.
      때가 됫을때 가야죠...

  • @푸른솔-x3w
    @푸른솔-x3w 2 місяці тому +4

    귀한 말씀 소중한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PeacefullyAtHome
      @PeacefullyAtHome  2 місяці тому

      관심을 갖고 영상을 보아주시고 공감을 표해주시니 고맙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 @동망치
    @동망치 2 місяці тому +4

    30후반남자입니다. 부모님이 계시니 아직 이런생각을 할때는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죽음을 생각함으로서 현실을 잘살아보려고 하고있습니다. 죽음학강의 카르마강의도 좋았고 집에서평화롭게님의 영상 내용들도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시네요.

    • @PeacefullyAtHome
      @PeacefullyAtHome  2 місяці тому +1

      젊은 분께서 이 주제에 관심을 갖고 영상을 보아주시고 공감을 표해주시니 고맙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 @박소람-e8z
      @박소람-e8z Місяць тому +2

      @@동망치
      오....
      젊은 분이신데 벌써 관심 있으시네요..
      우리는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다 가는게 목적 이니까요..미리 공부 해 두면 좋긴 하죠.

  • @이수연-k1y
    @이수연-k1y 2 місяці тому +2

    공감가는 말씀 귀한 지혜 감사합니다

    • @PeacefullyAtHome
      @PeacefullyAtHome  2 місяці тому

      관심을 갖고 영상을 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더불어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eudang3
    @eudang3 2 місяці тому +3

    삶과 죽음에 대한 생각으로 바로 실천이 되도록 많은 도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PeacefullyAtHome
      @PeacefullyAtHome  2 місяці тому

      eudang3 님의 글을 틈틈이 대하면서 고마움과 함께 좋은 길벗이 생긴 느낌을 받습니다. 이런 평화로운 느낌을 갖게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편안한 밤 보내세요~!!🙂🙂🙂

  • @dsedjwjs8411
    @dsedjwjs8411 День тому

    아내도 자식도 없는 사람은. 누구와. 단식사를 얘기해야됩니까

  • @김희정_파란여우
    @김희정_파란여우 2 місяці тому +3

    동의합니다. 저희 부부도 그 죽음에 대해 많은 대화를 하고 있습니다. 다만 아직 아들이 이십대 중반이라 죽음을 말하면 매우 불안해 하여 차차 저희 마음의 준비만 하고 있습니다. 자식에게 동의를 얻는 것이 매우 힘듭니다.

    • @박소람-e8z
      @박소람-e8z 2 місяці тому +3

      60입니다.
      애들 34.31...
      우린1년 전에 아빠가 암투병 3년 가까이 하다가 먼저 갔어요.
      좀 일찍 가긴 했지만
      아빠를 보내면서 애들도 많이 성숙해 졌죠.
      딸아이도 간호사라 생각하는게 일반적이지 않구요.
      애들도 사전의향서 벌써 해 놨다고 해요.

    • @PeacefullyAtHome
      @PeacefullyAtHome  2 місяці тому +1

      관심을 갖고 영상을 보아주시고 공감해주시니 고맙습니다. 자식들에게 상황을 이해를 시키는 일이 쉽지가 않지요. 사실인즉 저는 이 채널의 영상을 통해 저의 아이들에게 아빠가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를 간접적으로 들려주고 이해를 구하는 과정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PeacefullyAtHome
      @PeacefullyAtHome  2 місяці тому +1

      @@박소람-e8z 이렇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는 것이 과학의 발전에 참 고맙다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 비록 국외자지만 우리의 삶을 생각해보게 되어 감사한 마음을 느낍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이석호-g1c
    @이석호-g1c 2 місяці тому +3

    안녕하세요.오늘도 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선생님, 치매가 너무 두려워서요. , 혹시 치매 원인에 대해서 의견이 너무 분분한데. 치매의 원인에 대해서
    선생님의 의견도 조심스레 여쭈어봐도 될까요? 항상 감사합니다.

    • @PeacefullyAtHome
      @PeacefullyAtHome  2 місяці тому +1

      어려운 문제를 질문해주셨네요. 선생님의 나이를 가늠해보기 어려우나 치매에 대하여는 걱정하는 분들이 무척 많고 현실적으로도 제가 매일 접하고 있는 문제입니다. 미국에서도 노년층이 가장 심각하게 걱정하는 문제라고 하더군요. 하지만 저의 경우는 71세이지만 아직까지 거의 치매에 대하여 걱정을 해 본 적이 거의 없습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너무 길어지므로 다음 주 영상에서 자세하게 다루어 볼 생각입니다. 그 때 저의 생각과 노력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편안한 밤 보내세요~~!!🙂🙂🙂

    • @박소람-e8z
      @박소람-e8z Місяць тому

      조로 치매도 있고.유전적인 요인도 있지만 대부분 오래 살아서 그래요.
      요즘은 뇌 영양제가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해요.65세 이상 되면 병원에서 처방 받아서 드시면 됩니다.
      뇌가 죽을때 까지 오래 살고 싶지 않네요.
      우리 애들에게 징글징글한 엄마로 기억에 남으면 슬플것 같아요.
      훗날에 가끔은 보고 싶은 엄마로 남고 싶어요^^

  • @이석호-g1c
    @이석호-g1c 2 місяці тому +1

    책한민국님 혹시 육식의 과다 섭취와 치매와의 관련성도 있을까요? 채식을 하시는 분들은 거의 치매가 없다는 연구결과롤 본적이 있어서요.

    • @PeacefullyAtHome
      @PeacefullyAtHome  2 місяці тому

      제가 전문가가 아니므로 전문적인 답변을 드릴 수는 없습니다. 다만 보통의 상식으로 저의 생각을 말한다면 님의 말에 답이 있는 것 같습니다. 무엇이든 '과다 섭취'는 문제가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저는 육식과 채식을 적절히 조화롭게 먹으면서 무엇보다 절제하는 생활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In-im8sl
    @In-im8sl 2 місяці тому

    단식으로 죽는게 편안하다고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목마르고 배고픈건 며칠지나면 문제가 안됩니다. 몸이 차가워지는것이 문제입니다. 영양이 없으니 체온유지가 안되고 한기가 느껴져 단식이 어렵습니다. ㅠㅠ

    • @PeacefullyAtHome
      @PeacefullyAtHome  2 місяці тому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 @jiyounglee9018
      @jiyounglee9018 2 місяці тому

      몇일이나 지나야 문제가 안될까요?

    • @조순희-e4g
      @조순희-e4g Місяць тому +2

      젊고 건강할땐 단식을 유지하는게 힘들겠지만 죽음을 앞둔만큼 나이들거나 건강을 잃은상태라면 단식이 별로 어려울거 같지 않아요. 어차피 몸의 기능이 다 떨어져서 쉽게 잠을자듯 혼수상태에 빠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박소람-e8z
      @박소람-e8z Місяць тому +1

      ㅋㅋ전기 장판 틀죠....ㅋㅋ

    • @박소람-e8z
      @박소람-e8z 26 днів тому

      ​@@조순희-e4g
      맞습니다.
      잠만 점점 많아지면서 갈수 있죠.

  • @무성한수풀의푸르름처
    @무성한수풀의푸르름처 2 місяці тому +2

    배가 곱파서 못참을듯 한데요?

    • @PeacefullyAtHome
      @PeacefullyAtHome  2 місяці тому +1

      그렇지요? 그래서 이처럼 공부하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편안한 저녁시간 보내세요~!🙂🙂🙂

    • @박소람-e8z
      @박소람-e8z 2 місяці тому +4

      ​@@무성한수풀의푸르름처
      ㅋㅋ
      배 고프면 먹고 더 살아야죠.
      하지만 때가 되면 곡기 끊는게 어렵지 않아요

  • @jahyunkim3150
    @jahyunkim3150 2 місяці тому

    시한부로 오늘 내일 죽는다고해도, 사경을 헤매이는 중이라도 스스로 숨을 멈추거나 호흡기를 떼어도 자살입니다. 자살로심판받아요. 살아있는한 죽기전 일분일초라도 용서하고 회개하고 보속해야합니다. 악마가 지옥으로 끌어들이려고 하는소리를 다른사람에게 퍼뜨리지마세요.

    • @박소람-e8z
      @박소람-e8z 2 місяці тому +5

      님의 생각이 다 맞다고 생각 하지 말고 그냥 지나 가세요

    • @철규최-t7x
      @철규최-t7x 2 місяці тому +4

      곡기을끊는것은 불교에서 엣날부터 고승으로부터내려오는세상 하직하는 방편이기도합니다 나이들어서 더러운꼴보기싫어면 주위정리하고이방법도고려해볼만합니다세속적인 말은필요치않아요 수양이된 사람이면 시도해볼만한 일입니다 제념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