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의 꽃- 예서(隸書)가 가장 사랑받는 이유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січ 2025

КОМЕНТАРІ • 164

  • @인프피모여랑
    @인프피모여랑 Рік тому +5

    예서체가 이렇게 탄생했다니 정말 신기한 기원이네요! 매번 느끼지만 영상 퀄리티도 너무 좋고 내용도 재미있어서 자꾸 보게 되는 매력있는 채널같아요 ㅎㅎ 항상 건강하시고 유튜브 오래 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Рік тому +1

      격려해주시니 너무 좋습니다.^^ 오래오래 해보렵니다. 주욱 응원해주세요.

  • @최경선-r3u
    @최경선-r3u 2 роки тому +3

    매일 선생님 말씀을 보고 있어요
    항상 재미와함께 깊이 있는 말씀 감사합니다
    서예공부의 길을 찾고 있는 중에 큰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tn7rv5ly7o
    @user-tn7rv5ly7o 11 дн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공부 잘했습니다.

  • @채종욱-v3z
    @채종욱-v3z 2 роки тому +4

    멋진예서 공부 참 고맙습니다
    선생님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 @hanmae1123
    @hanmae1123 2 роки тому +2

    감사합니다 🙏 더욱 번창하시길 기원합니다 🙏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 @살-l9r
    @살-l9r 2 роки тому +8

    광개토대왕릉비의 비문도 예서로 새겨져 있는데, 일반적인 예서와는 달리 고구려인들의 굳센 기상이 잘 드러나있죠.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4

      네! 맞습니다. 광개토대왕비는 따로 한번 다룰 생각입니다.

    • @살-l9r
      @살-l9r 2 роки тому

      @@TataoCalliArt 네, 기대하겠습니다!

  • @신상철-n3f
    @신상철-n3f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많은것 배웁니다

  • @suyongshin4627
    @suyongshin4627 2 роки тому +2

    잘 봤습니다

  • @tianmi-2021
    @tianmi-2021 2 роки тому +3

    장천비 을영비가 멋져요
    광개토대왕비 서체도 오늘 처음 보는데 맘에 쏙 들어요
    언젠가 쓰게될 날을 고대해요
    소개 감사해요^^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티엔미님 안목이 있으신것 같아요. 꼭 써보시길 권합니다. 그곳은 하나하나가 또 다른 세계입니다.

  • @hail0-c4s
    @hail0-c4s 2 роки тому +3

    잘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다.^-^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1

      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leeeunmi4367
    @leeeunmi4367 Рік тому +1

    감사합니다 ^^

  • @백두산-p3i
    @백두산-p3i 2 роки тому +2

    선생님~배움을 주심에~늘 감사합니다.

  • @윤성욱-w1v
    @윤성욱-w1v 2 роки тому +2

    잘봤습니다 감사 합니다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고길동-y6c
    @고길동-y6c 2 роки тому +5

    선생님의 명쾌하고 명료한 설명 감사합니다. 예서에 대하여 많은걸 배우고 갑니다.

  • @김준섭-v3h
    @김준섭-v3h 4 місяці тому

    선생님 너무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4 місяці тому

      감사합니다. 자주 뵙길 바랍니다.

  • @송충우
    @송충우 2 роки тому +3

    선생님 많이 배우고 갑니다, 봉룡산송비 선생님 체본을 배워보고 싶습니다.

  • @황구기자
    @황구기자 2 роки тому +2

    재밌습니다..또 올려주세요.

  • @조근식목사
    @조근식목사 Рік тому

    정말 귀한 정보 받아갑니다.
    좋아만 했지^^이렇게 다양한 서체가 있는 줄 몰랐습니다.
    좀 더 깊이 알고 싶네요
    너무 감사합니다.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Рік тому

      네! 반갑고 고맙습니다. 한 걸음 더 들어오시면 또 다른 세계가 펼쳐지실겁니다.^^

  • @이연우-c2y
    @이연우-c2y 2 роки тому +2

    선생님 감사합니다
    많이 배웁니다
    예서 체본 부탁드립니다

  • @연정박영애
    @연정박영애 2 роки тому +2

    강의 멋집니다.응원합니다.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열심히하겠습니다

  • @coled9566
    @coled9566 2 роки тому +3

    세종대왕님 감사합니다

  • @Mr74marine
    @Mr74marine 2 роки тому +11

    한자는 그 자체로 전서 예서 초서 행서 해서 모두 아름다운 글자라 생각합니다. 또 배우고 갑니다 선생님~

  • @imnotsorry6090
    @imnotsorry6090 2 роки тому +3

    예서에도 이렇게 다양한 종류가 있는 줄 몰랐습니다. 정말 아름답네요.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1

      아름다움을 공감하시니 고맙습니다.^^

  • @여연재-b1r
    @여연재-b1r Рік тому

    서예를 배우다가 선생님 채널을 보게 되었습니다.
    하나씩 순서대로 보고 있는데 많은 도움 됩니다 봉룡산송 체본 자료 받고 싶습니다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Рік тому

      네, 반갑습니다. 이메일을 보내주시겠어요?^^

  • @jjangddor
    @jjangddor 2 роки тому +4

    얼핏 쓰기 쉬울 듯 한데 쓰면 쓸수록 그 맛을 내기가 참 어렵더군요. 똑같이 쓰는 것 같은데 선생님이 쓴 글씨하고 비교하면 뭔가 기가 모자라고 힘이 모자라고 맛이 떨어지는 듯한 오묘한 느낌... 예서뿐만 아니라 모든 서체가 그러하겠지요?? 서예는 시간이 참 많이 필요한 취미 같습니다.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서예-깊이있고 신비한 문화라는 생각입니다. 단순히 많은 시간을 요한다는 느낌이 아니라 사람의 내면을 상향시키는 무언가가 있지요.

  • @난몰라신
    @난몰라신 2 роки тому +2

    예서 체의 깊이 있는 이해와 다양한 형태의 예서체가있다는것을 새롭게 알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의 체본 부탁드립니다.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어디로 보내드릴까요? (이메일)

  • @만올이의집
    @만올이의집 6 місяців тому

    그림실력이 좋으십니다.

  • @윤경완-t3e
    @윤경완-t3e 2 роки тому +3

    동양문화의 나무로 만들어진 집을 보면 대들보의 볼륨감 서까래의 민민한 뻗침 기둥과 주춧돌의 연결부분의 꺽임과 다듬지 않고 거친 그대로이 주춧돌
    기왓장의 곡선과 용마루의 아치는 예서와 흡사 해요 즉
    직선과 곡선미는 우리뇌리에 오래전부터 그 각이 각인되어 있어
    동양인들은 소박한듯 고풍스런 풍미가 느껴지는 예서를 친숙하고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기때문이라고 봅니다
    흙위에 나무로 얼기설기 소박하게 지은 집이 예서에요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운치있는 비유네요. 감사합니다.^^

  • @손병록-c4s
    @손병록-c4s 8 місяців тому

    광개토대왕비를 임서 하면서
    많은감동을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forrestkim4828
    @forrestkim4828 2 роки тому +3

    사신비를 정말 배우고 싶어 벼르고 있읍니다만 안진경 10년이 알듯모를듯 지나고 이제 구양순 구성궁 예천명의 아름다움에 눈이 떠졌읍니다. 선생의 서체에 신호등을 기다리며 한획한힉의 아름다움에 놀라며 길을가고 있읍니다. Cello case에 붙여졌던 Life is short Art is long ! 정말이지 인생길은 짧고 예술의 길은 멀고도 멀게만 느껴집니다. 하지만 충만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모짜르트Mozart가 즐거움을 선사하고 , 무궁 무진한 신비감을 주는 바하J.S.Bach가 있고 서예가있는 인생은 무한하고 아름답습니다. 서예에는 Mozart 와 Bach가 overlap 되어있읍니다 .........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우리 채널에서 이토록 음악적인 댓글은 처음 받아봅니다. 행복해지네요.^^

    • @forrestkim4828
      @forrestkim4828 2 роки тому

      @@TataoCalliArt 감사 합니다.

  • @Iamyoutuber1397
    @Iamyoutuber1397 Рік тому

    제가 보는 예서의 아름다움은...굳은 듯 보드랍고 낡은 듯 하면서 혁신적이기 때문입니다.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Рік тому

      네 아름다운 표현이네요 고맙습니다.

  • @연두-m7t
    @연두-m7t 2 роки тому +3

    오 예서
    노예 예 아니구
    예술 예 입니다
    감사합니다~♡

  • @dsjung49
    @dsjung49 2 роки тому +6

    예서 공부하는 초보자입니다.
    선생님 유투브를 보면서 서예공부에 많이 참고하고있습니다.
    가능하시면 봉룡산송비 체본 영상 부탁드립니다.

  • @오늘만캘리오효지
    @오늘만캘리오효지 8 місяців тому

    선생님 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가능하시면 봉룡산송비 체본 영상 받을 수 있을까요??^^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8 місяців тому

      봉룡산송 체본영상은 만들어두지 않았습니다.^^

    • @오늘만캘리오효지
      @오늘만캘리오효지 8 місяців тому

      알겠습니다 선생님.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8 місяців тому

      @@오늘만캘리오효지 ua-cam.com/video/Xx1HVXzepBI/v-deo.html 작업했었는데 제가 깜빡했네요😅

    • @오늘만캘리오효지
      @오늘만캘리오효지 8 місяців тому

      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선생님.^^
      좋은 하루 보내세요.^^

  • @travellingsmile8164
    @travellingsmile8164 2 роки тому +2

    서체에 대한 선호도 세월이 지나면 바뀌는 듯 합니다.
    어릴땐 아무 것도 모르고 예서나 전서가 멋있어 보였는데 나이드니
    행서가 맘에 듭니다. 해서도 그렇고..
    초서는 멋은 있는데 너무 어려워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같은....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1

      네, 선호도가 바뀌곤 합니다.^^

  • @베텔게우스-p9i
    @베텔게우스-p9i 2 роки тому +7

    예서 에서 ‘예’자가 궁금했는데 그 이유를 알고갑니다~

  • @두더지맘-b6e
    @두더지맘-b6e 2 роки тому +2

    저는 5한년 4반 입니다.
    몇해전 한자에 갈증을 느껴 배우고있고 전서를 시골공부방에서 시작 하였습니다.
    그러다 선생님 체널을 구독 하였고 예서가 너무예뻐 배우려합니다.
    선생님께서 전서먼저 공부하고 예서를 배우라 하셨는데 욕심이 앞서네요...
    저는 선생님 작품이면 뭐든 배우고 싶습니다.
    모든것을 배우려 합니다.
    월하독작도 외워 쓰고 있는데 예서로 작품을 남기고 싶습니다..
    제에게 희망을 주세요~~^^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우선 예서 법첩을 충분히 공부하시길 권합니다. 그것도 혼자 하셔서는 오래 못 가기 쉽습니다. 좋은 선생님 찾아 서실을 다니시는 것이 좋죠. 이나면 저에게 통신교육을 신청하셔도 좋습니다.

    • @두더지맘-b6e
      @두더지맘-b6e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 @thobecthistar3222
    @thobecthistar3222 Рік тому

    제눈에는 예기비가 가장 멋지고 아름답게 보입니다.

  • @이광하-h9p
    @이광하-h9p 2 роки тому +2

    석봉 추사체에 대해서도 설명해주세요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5iPUvhIR1uc/v-deo.html
      여기 참고하세요. 추사에 대해서도 올렸습니다.

  • @_inmm
    @_inmm 2 роки тому +2

    소전체를 좋아하지만 예서도 뭔가 안정적이고 강건한 느낌도 있고 좋습니다.

  • @dochoun
    @dochoun 2 роки тому +2

    선생님의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체본 영상 부탁 드립니다.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고맙습니다. 이메일을 알려주세요.^^

  • @캡틴후크-h2v
    @캡틴후크-h2v 2 роки тому +2

    전서와 한자가 완전 다른 글자라는 말이 있던데 일리있는 말이었넹

  • @anbalance-m9d
    @anbalance-m9d 2 роки тому +2

    광개토대왕비는 예서에 드나요 전서에 드나요?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그 중간격이지만 예서 필의에 가깝다고 봅니다.

  • @findelmundo7845
    @findelmundo7845 2 роки тому +2

    전서는 글씨 쓰는 사람보다 비문에 새기는 탁공 기술자가 중요하겠는데요. 아닌가요?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1

      석공도 매우 중요한 기술자 맞습니다. 그래도 글씨가 원천기술이죠.

  • @tspark1071
    @tspark1071 2 роки тому +3

    감사합니다. 그런데 전서나 예서는 글이라기 보다는 그림같다는 느낌이라. 한문을 의미까지 파악하고 쓰는지 궁금합니다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당연히 의미를 파악하고 써야겠죠.^^

  • @以賢
    @以賢 Рік тому +1

    👍👍👍👍👍👍👍👍👍👍

  • @유삼순-i7u
    @유삼순-i7u 2 роки тому +2

    선생님
    늘 감사합니디
    강의 받고 싶은데요
    어찌 하면
    되나요?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1

      munjado.tistory.com/44 서예 통신교육을 하고 있고요.
      010 2654 1244 전화 주시면 됩니다.

  • @cammu00
    @cammu00 2 роки тому +1

    왜 댓글이 안달릴까요? 쓰고나면 사라지네요. 참

  • @김영동-h9y
    @김영동-h9y 2 роки тому +2

    예서잭을 추천해줄수 있나요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이 영상에 책 추천 해드렸습니다.^^

  • @Cheucoun
    @Cheucoun Рік тому +1

    예서체가 만들어진 이유 요약
    1 정막이라는 감옥 문서를 쓰던 사람이 있었음.
    2 그당시엔 전서체가 기본이였는데 쓰기 힘들어서 자기 마음대로 적당히 변형함.
    3 정막은 글자를 대충(?)쓴 죄로 감옥에 갇혔지만 진시황은 그 서체에 관심을 가지고 글자 3000개를 써오면 풀어주겠다고 함.
    4 진시황은 예서 3000개를 보고 그 가치를 인정하여 예서라는 이름을 붙히고 사용할수 있게 허용함.
    전서체보다 쓰기 쉬워서(전서체는 붓을 6/1으로만 써야 하고 굵기가 프린터로 인쇄한것처럼 같게 해야함) 글을 빨리 쓰기에 유용하다는 장점이 있음. (그래도 복잡하긴 하지만...)

  • @하병철-c3f
    @하병철-c3f 2 роки тому +3

    제가 예서체를 처음 본 건 드라마 용의눈물에서 나오는 병풍에 써진 글씨 였습니다. 어찌나 멋지고 아름답던지요
    저리 쓸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했었네요
    나중에서야 예서체라는 걸 알게되었습니다.
    용의 눈물에서 나온 예서체는 누가 썻을까 궁금하기도 하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네 궁금해서 검색해봤는데 어느 병풍인지는 못 찾았네요. 고맙습니다.^^

  • @이영수-h3s
    @이영수-h3s 2 роки тому +1

    왕희지체가 제일이다

  • @Hyuchan1002
    @Hyuchan1002 2 роки тому +3

    각필에서 붓글씨로 넘어온 것이지요 그래서 현판에는 전서체가 모범이어야 한다고 김정희는 생각했는지도 모릅니다 ㅋ

  • @gary3125
    @gary3125 2 роки тому +2

    지금의 예서는 폼 잡고 쓰는 서체가 된 것 같군요, ㅠㅠ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아하! 그런 관점도 있을 수 있겠네요.

  • @안남순-m7h
    @안남순-m7h Рік тому

    서실이 어디에 있나요?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Рік тому

      오프라인서실은 지금은 하지 않고 있습니다. 여기 유튜브서예학원 맴버쉽이 있고요. 또 서예통신교육이 있습니다.

  • @ilheecho5591
    @ilheecho5591 Рік тому

    중국에 가면 행서가 많습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중국에서 가장 명필로 사랑받는 왕희지의 난정서가 행서이고 한국에서는 완당선생의 명필 작품들이 예서여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Рік тому

      그러네요. 심도깊은 의견 감사합니다.^^

  • @seyeul-b6p
    @seyeul-b6p 2 роки тому +2

    얼마전에 보니 예서는 예,맥의 글씨라고.. 한자가 노예의 隸가 된 이유가 자기들 글씨가 아니라는 것, 훈이 흉노가 된 것과 같은 이유.
    노예도 쓸 수 있는 한자가 어디 있겠나...

  • @StarShevron
    @StarShevron 2 роки тому +2

    예서 선정이 딸이에요

  • @보리임금
    @보리임금 2 роки тому +1

    예서체는 우리동네 예서가 만들었다는 전설이 ~~~ 🙄🙄🙄🙄🙄🙄🙄🙄

  • @navyan7935
    @navyan7935 2 роки тому +3

    아니 글씨좀 내맘대로 썼다고 감옥에 가두다니 ㅋㅋㅋㅋ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그러게 말입니다. ^^고맙습니다.

  • @텔로미
    @텔로미 Рік тому +1

    예서는 똑바로 쓰지 않아도 되니 초보자가 쉬워 보임니다.

  • @김원동-x1d
    @김원동-x1d Рік тому +2

    서제부탁합니다

  • @greed6352
    @greed6352 2 роки тому +3

    세상에.. 나름대로 폰트 만들어 쓰는 것도 죄라니 당시 기득권들의 사상은 가히 짐작하기 어렵군요.
    나 같은 소위 악필들은 다 죄인이 될껀데 웃픕니다..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네, 옥리도 일종의 공무원이어서 더 엄중했나봅니다.^^ 고맙습니다.

  • @Hyunduk_Yu
    @Hyunduk_Yu 2 роки тому +2

    예서는 예술적이네. 우리가 많이 보던 해서에 비하면 쓰는 속도도 느리고.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그래서 예는 예라는 표현도 있지요.^^

  • @진갑이-q2i
    @진갑이-q2i Рік тому

    선생님예서책입니다

  • @사랑과진실-g7n
    @사랑과진실-g7n 2 роки тому +2

    이상하다 왜 내 입에 전 예 해 행 초...가 맴돌지? 무슨 순서로 내가 외운걸까?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잘 기억해보세요. 서에를 썼던 시절이 있으셨을거에요.ㅎ

    • @abundant-hair
      @abundant-hair 2 роки тому

      시대순

  •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 2 роки тому +2

    예서가 멋지죠...
    전서와 해서 중간적인...

  • @안계수-k4g
    @안계수-k4g 2 роки тому +2

    글자의 뜻도 모르고 단순 복사만 하는 한자공부는 망국의 지름길

  • @art-if6kr
    @art-if6kr 2 роки тому +3

    한자체 보다 한글체 발전에 기여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자체를 동경하는 것은 예술성이 있으나 한글체 발전은 예술, 문화, 전통, 국민성등 너무 많은 것을 내포할 것입니다.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роки тому

      의견 감사합니다.

    • @Mrdddonggo
      @Mrdddonggo 2 роки тому +2

      한자문화권으로 반만년을 살아온 나란데
      한자 다버리라는게 분서갱유 아닙니까?

    • @art-if6kr
      @art-if6kr 2 роки тому +2

      @@Mrdddonggo 비중의 차이를 말함이죠.
      과거를 공부해 현재를 발전시키자는 글입니다. 한자를 버리라는 말을 한 적이 없는데 독해를 잘 못하시는 걸로 봐서 한국어와 한글을 더 공부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혹여 중국분이신지요?

    • @서현-e3m
      @서현-e3m 2 роки тому +1

      @@Mrdddonggo 맞습니다. 진시황제가 진나라로 통일하기전엔 지금 생각하는 중국과 전혀 다른 나라들이 지금의 중국땅에 있었는데 그 나라들이 다 중국이라고 하는것도 문제가 있고 여러나라들이 쓰던 글자중 한나라의 글자를 한자라고 하는데 그게 100% 중국글자라는 건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알파벳을 그리스나 이탈리아 글자라고 하지 않는 것처럼

  • @라임오
    @라임오 2 роки тому +1

    그럼 머해 쓰기도 배우기도 힘든 한자
    한글에 비하면

  • @user-ub2-1971
    @user-ub2-1971 2 роки тому +2

    중국이라는 말은 진나라시대에 없네요.
    차이나는 중원이라 해석을 해야 하지만 근대에 들어와서 일본이 우리나라 역사 왜곡에 필요해서 중원이 중국이라고 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