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다큐 : 중성자별이나 백색 왜성은 별이 아니다. [EP 091] - 미노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лют 2025
  • #우주#미노스
    우주 다큐 :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를 우리는 항성 또는 별이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스스로 빛을 내고 있는 태양을 별이라고 부르고 있죠. 그런데, 이 부분은 뭔가 이상하죠? 백색 왜성과 중성자별도 빛을 내고 있는데, 왜 이 두 별은 별이 아니라는 걸까요? 오늘도 영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윱멘 :D
    배경 음악 : Glue, One more chance (유튜브 제공)
    비즈니스 문의 : mwhwc97@naver.com
    영상 지원 :
    인트로 제작(팬 메이드)
    오주환
    Space engine
    spaceengine.org/
    Universe sandbox 2
    universesandbox...
    Assassin's Creed
    store.ubi.com/...

КОМЕНТАРІ • 113

  • @doldole6432
    @doldole6432 Рік тому

    2:00 질량이 작은 항성들은 '폭발하여' 행성상 성운으로 변하게 되고...가 맞겠죠

  • @Newpnewpy
    @Newpnewpy Рік тому +1

    중성자별에 별이라는 단어가 들어 가고,백색 왜성은 왜성:작은별이라는 뜻인데 왜 별이 아님?

  • @pighairgmail
    @pighairgmail 2 роки тому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참고로 질량이 작'든' 크'든'이 맞습니다. -던은 회상에만 쓰입니다.

  • @chensuyong2300
    @chensuyong2300 4 роки тому +59

    쉽게 비유하면
    별 = 인생 절정기의 별
    초신성 = 은퇴하기전 돈많이 벌어놓은 장년
    백색왜성 = 벌어놓은게 없어 은퇴하고 조용히 사는 별
    중성자별 = 많이 벌어놔서 은퇴해 놓고, 실력행사하는 별
    블랙홀 = 관속에 들어간 별

    • @TON7756
      @TON7756 4 роки тому +3

      은하계 = 부서
      암흑물질 = 회사

    • @valarmorghulis2884
      @valarmorghulis2884 4 роки тому +4

      초신성은 재벌이 평생 번거 죽기직전에 한방에 탕진하는 이벤트.
      블랙홀이 중성자별보다 많이 벌었슴

    • @Collaintp
      @Collaintp 4 роки тому +3

      초창기별 = 신입생

    • @씹섭이한테왜그래
      @씹섭이한테왜그래 4 роки тому

      블랙홀이 더 많이 벌었지

    • @coonbaxx5943
      @coonbaxx5943 4 роки тому +2

      @@씹섭이한테왜그래 블랙홀은 무슨
      스위스 금고인가? 그렇게 많이 벌었으면,
      재산을 우주에 환원해야지, 꽁쳐놓고 쳐먹기만
      더 쳐먹어

  • @강명재-w5f
    @강명재-w5f 4 роки тому +8

    지금 자야했는데 감사합니다. 5분안에 잘 수 있게 되었네요...

  • @romtp9334
    @romtp9334 4 роки тому +40

    요약
    1.자기 핵융합으로 에너지를 못내는 "죽어가는" 녀석이므로 정의상 별이 아님.
    2. 오질나게 강력해서 별처럼 빛나는 것일뿐
    3. 그래도 별이라고 부르는건 그냥 암묵적 국룰("빛나다").

    • @블랙포
      @블랙포 4 роки тому

      4. 짜장면 추가는 옛날에는 500원이었다

    • @sharking776
      @sharking776 4 роки тому

      @@블랙포 나니잇

    • @alien9651
      @alien9651 4 роки тому

      5. 방금 먹은 우동이 정말 맛있었다

  • @user-px3cq1xi9g
    @user-px3cq1xi9g 4 роки тому +18

    잘 봤습니다. 다들 남은 연휴 잘 보내세요~

  • @호랑좌
    @호랑좌 4 роки тому +11

    0:19 Opening
    4:54 Endcard

    • @Hooni743
      @Hooni743 4 роки тому +2

      너 나랑 영상보는 취향이 비슷하구나

    • @금성-t7o
      @금성-t7o 4 роки тому +1

      넌지치지도 않니

  • @rostedmando
    @rostedmando 4 роки тому

    중성자'별'이지만 항성이 아니다.

  • @fire-st
    @fire-st 4 роки тому +1

    1. 식어가는 별은 어떻게 빛을 발생시키는건가요?
    2. 초신성은 왜 폭발하는 형태가 되는건가요?

    • @스파니스
      @스파니스 4 роки тому +2

      1. 식어가는 별이 빛을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터지기 전의 별의 중심부의 뜨거운 온도와 압력으로 인해 빛이 발생한다고 착각하는 겁니다.
      2. 초신성은 태양의 10배 이상 무게를 가진 초대 질량 항성들이 대부분 겪는 현상입니다.
      초신성이 일어나는 이유는 초대 질량 항성의 마지막, 즉 적색초거성이 되면 내부와 외부의 중력과 압력이 달라지기 때문이죠.

    • @fire-st
      @fire-st 4 роки тому +1

      @@스파니스 감사합니다

  • @koreanun9887
    @koreanun9887 4 роки тому +1

    우주가 모든것을 탄생시켰는데
    우주를 탄생시킨건 무엇일까

  • @Collaintp
    @Collaintp 4 роки тому +6

    추석날이 지났지만 좋은 한가위 되세요 ~
    윱 - 멘 : D

  • @jodhi2068
    @jodhi2068 4 роки тому

    얼마전에 중성자별 조각을 주웠는데 그럼 별조각이 나리라 별시체를 찿은거였네 버려야지

  • @moreau4581
    @moreau4581 4 роки тому

    히히 바로 보러 들어왔습니당

    • @romtp9334
      @romtp9334 4 роки тому

      프로필 그림 작가 알 수 있을까요?
      몇년째 찾는데 못찾고 있으요ㅠㅠ

    • @moreau4581
      @moreau4581 4 роки тому

      ilya kuvshinov이분이에요. 보통 이리야 라고불려요

    • @romtp9334
      @romtp9334 4 роки тому

      @@moreau4581 따흑흑...감사합니다 센세..

  • @니콜스
    @니콜스 4 роки тому

    항상 좋은 영상감사합니다 목소리가 너무좋으세요!!
    근데 이번엔 gta가아닌 어쌔신......크리드네욧 ㅋㅋㅋ

  • @nov_ice
    @nov_ice 4 роки тому

    별(이었던 것)

  • @user-starstar
    @user-starstar 4 роки тому +8

    오늘도 유익한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gojust9818
    @gojust9818 4 роки тому +1

    시체보고 사람이라 하지 않는거랑 비슷하네

  • @orlein
    @orlein 4 роки тому +1

    어...근데 지구는 지구에서 유래한 물질들로 구성된 생명체들이 어떻게든 자력으로 빛을 내고있는데 그럼 뭐지

    • @곰탱이-n4m8k
      @곰탱이-n4m8k 4 роки тому

      그래서 너는 별같은 존재라는 것임. 달같은 존재 지구같은 존재라고 들어봤음?

  • @산광-q2v
    @산광-q2v 4 роки тому

    별의 시체는 별이 아니지

  • @adonis1975
    @adonis1975 4 роки тому +1

    보통 우리들은 항성 만이아니라 지구나 수성 목성같은 행성들도 전부 별이라고 생각하지 않나???

    • @ABCDhsncjj82
      @ABCDhsncjj82 4 роки тому +2

      누가 그럼?

    • @---kt6ri
      @---kt6ri 4 роки тому +1

      지구별

    • @박준혁-z1q
      @박준혁-z1q 4 роки тому

      그건 문과고

    • @user-mn4ff8no3t
      @user-mn4ff8no3t 4 роки тому

      @@박준혁-z1q ㅋㅋㅋㅋ ㄹㅇ

    • @sho4424
      @sho4424 4 роки тому

      저는 그렇게 생각해본적이 없는 것 같은데 주변 사람들은 어떨지 모르겠네요

  • @0006x_
    @0006x_ 4 роки тому +1

    여기는 당신의 친구 수를 적는 곳이 맞습니다.

  • @lakestacker
    @lakestacker 4 роки тому

    0:10 아니 태양이 항성이라는게 뭐가 이상하다는거에욬ㅋㅋㅋㅋㅋㅋㅋ

  • @SuerteToMe
    @SuerteToMe 4 роки тому

    별의별 천체들이 다 있군요.

  • @cheezyc1424
    @cheezyc1424 4 роки тому +1

    백색 왜성이나 중성자별이 빛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 @김민규-w5z5l
    @김민규-w5z5l 4 роки тому +1

    핵융합을 안하면 어떻게 빛이나는거죠 그걸 말해주셔야죠 궁금해 미치겠네ㅋㅋㅋㅋㅋㅋㅋ

    • @김민규-w5z5l
      @김민규-w5z5l 4 роки тому

      오 찾아보니 진짜 뜨거워서 빛이나는거네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

  • @핏짜국붕붕이
    @핏짜국붕붕이 4 роки тому

    그럼 머머리도 별이겠군요.... 멀리서도 반짝거리던데......

  • @sgj7595
    @sgj7595 4 роки тому

    난 금성을 말해줄것이라 생각했지만 나오지 않았다

  • @teddy3225
    @teddy3225 4 роки тому

    그냥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는 별로 구분 하지 말고 그냥 항성이라는 이름이 있으니 그렇게 정의 하면 안되나? 별의 사전적 의미는 항성 포함 이것저것 다 포함시키던데

    • @wilhelmiikaiser4436
      @wilhelmiikaiser4436 3 роки тому

      보통은 항성=별이지만 사전적으로는 별과 항성은 약간 다른 개념 별은 밤하늘에 빛나는 모든 것들을 다 포함하지만 달, 지구, 태양은 제외

  • @L-S-H
    @L-S-H 4 роки тому +6

    다 식은 백색왜성이면 수만년을 쓰고도 남을 철을 채굴할 수 있겠네.
    항성을 로켓추진제로 써먹는 개념이 있는데 그걸 이용하면 그걸로 태양계를 이동시켜서 갈색왜성, 적색왜성 찾아다니는 것도 가능하려나요?

    • @hoilee6541
      @hoilee6541 4 роки тому

      인간의 영역은 아니죠

    • @Ristretto00
      @Ristretto00 4 роки тому

      내부에 철이 생성될 정도의 항성이면 대부분 초신성 폭발로 흩어져버리기 때문에 백색왜성에서 철이 검출될 확률은 매우 낮습니다. 보통 탄소정도가 한계고 기껏해야 마그네슘 정도라고 하네요. 그리고 항성을 로켓추진 시키는 개념은 잘 모르겠지만 광속을 넘어서지 못하는 이상은 정말로 긴 여정이 될 듯 합니다. 게다가 태양계 자체를 이동시켜서 목성보다 클 적색왜성을 찾는다면 중력영향이....

    • @user-ol4fc1xj1k
      @user-ol4fc1xj1k 4 роки тому +1

      철까지 생성하는 정도의 항성들은 중성자별이 됩니다, 백색왜성은 거의 다 탄소, 산소로 이루어져 있어요.
      중성자별은 중력이 상상을 초월하기때문에 채굴기계들이 우그러집니다. 설령 버틴다해도 미친 수준의 밀도와 중력 때문에 캐낼 수도 없구요. 캐낸다 쳐도 중성자별에서 벗어나려면 빛의 속도 수준으로 날아야 탈출할 수 있습니다.
      즉, 절대 불가능합니다

  • @팽도리
    @팽도리 4 роки тому

    그러니까 주계열성만 별이다. 이런건가요?

    • @wilhelmiikaiser4436
      @wilhelmiikaiser4436 3 роки тому

      갈색왜성, 백색왜성, 중성자별빼고 나머지 항성들

  • @제피로스-u6v
    @제피로스-u6v 4 роки тому

    태양계 행성중 해왕성이엇나요? 천왕성이엇나요? 저희 태양계 대부분 행성이랑다른 공전축을 가지고 잇다고 들엇습니다. 이런행성은 어떻게 관측이 되는지 궁금합니다.공전축이 달라서 거리 가늠도 안될거고 공전 축 가늠이 어떻게 되엇는지.. 진짜 궁금합니다

    • @wilhelmiikaiser4436
      @wilhelmiikaiser4436 3 роки тому

      천왕성
      공전축이나 자전축은 보이지 않는 가상의 축이므로 그런거는 고려하지 않고 광구에서 대기최상층부까지의 거리는 28억 7천만km

  • @yeongkim3466
    @yeongkim3466 4 роки тому

    옛날엔 500원이었는데 ㅠ

  • @아기공격둘리
    @아기공격둘리 4 роки тому

    별이 아닌건 머라 부르나요

    • @오리-t5w5e
      @오리-t5w5e 4 роки тому

      천체

    • @오리-t5w5e
      @오리-t5w5e 4 роки тому

      그냥 다 이름이 있음 별이 아닌것도.
      중성자별 백색왜성 적색왜성 갈색왜성

  • @pronado24
    @pronado24 4 роки тому +1

    로켓에 줄을 매달아 지구와 화성에 연결하면 어떻게 되나요?

  • @ddpark4034
    @ddpark4034 4 роки тому

    핵융합 반응의 찌꺼로 만들어져 행육합 반응을 못해 에너지를 못만드는데 왜 빛은 왜나는건가요?

  • @Korea-1948-o2z
    @Korea-1948-o2z 4 роки тому +2

    곱배기 비유.... 🤣

  • @니쥬가리씨빠빠
    @니쥬가리씨빠빠 4 роки тому

    백색왜성 갈색왜성이 식을대로 식으면 오또케 되나여???

    • @wise_ung3247
      @wise_ung3247 4 роки тому +1

      흑색왜성이라고 식어버린 공이됩니다
      아직은 추측하는 부분이라네염

  • @inst9253
    @inst9253 4 роки тому +2

    추천 안눌러서 한번 더 봤네....아 바보!. ㅋ....
    볼때마나 신비롭고 잼나긴 하는데....와~ 진짜 용어 어려워요...
    주계열성?...이거가 모여요?
    그리고, 스텔라는 뭐라 불러야 해요? (자동차 생각하면 아재...ㅋ)

    • @Ristretto00
      @Ristretto00 4 роки тому

      주계열을 영어로 하면 메인 시퀀스입니다. 즉 항성으로서의 기본 단계라 할 수 있는 중심부에서 수소 핵융합을 하고있는 상태의 항성을 주계열성이라고 합니다. 이 단계를 지나고 나면 크기에 따라 헬륨 핵융합(수소 핵융합의 결과물, 헬륨 핵융합은 탄소가 나옵니다), 탄소 핵융합, 질소 핵융합 등의 과정을 거쳐서 적색 거성이 돼고, 이후 백색 왜성이 됩니다. 큰 별은 초신성 폭발 이후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이 됩니다

  • @팔틴39
    @팔틴39 4 роки тому +1

    진별, 가별 나뉘는 건가요?

  • @우주-s8r3n
    @우주-s8r3n 4 роки тому +5

    사람도 별이겠네요???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행복-o2l5i
    @행복-o2l5i 4 роки тому

    그냥 하늘에 있는 것들은 거의 다 별이라고.... 솔직히 말해서... 구분 가능?!
    여친(만일 있으면...) 밤에 가서 저거 항성이고 저거 행성이야 아 저건 은하고... 하면 분위기 깨잖아!?

    • @wilhelmiikaiser4436
      @wilhelmiikaiser4436 3 роки тому

      근데 저건 행성이다 저건 항성이다 저건 은하다 구분하는게 한눈으로는 쉽지 않음 근데 그걸 구분하게 해 주는 앱이 있긴 함

  • @콜베
    @콜베 4 роки тому +2

    퀘이사는 별인가요??

    • @영산홍
      @영산홍 4 роки тому

      Kolbe 은하입니다

    • @Poma-h4j
      @Poma-h4j 4 роки тому

      퀘이사는 블랙홀입니다 블랙홀이 직접적으로 빛을 생산하는게 아닌 강착원반에 물질들이 서로 일으키는 마찰로 인해 빛이 나고 있는것입니다

  • @drkess9427
    @drkess9427 4 роки тому

    스타가 되고 싶어??

  • @kjjan1801
    @kjjan1801 4 роки тому

    금속이 마지막인가?

  • @Uneducated_Kim
    @Uneducated_Kim 4 роки тому +1

    지학러들 싱글벙글

  • @그레이트진-d6x
    @그레이트진-d6x 4 роки тому

    감사히 감상했습니다. h2ster가 어떻게 발음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 @timecollabo
    @timecollabo 4 роки тому

    태양이 핵융합반응으로 빛을 낸다는 것은 이론입니다. 증명된 사항이 아닙니다. 마찬가지로 갈색왜성도 죽어가는 별이라고 생각하고 있을 뿐 증명된건 아닙니다. 이론적 접근인거죠. 현재까지는 그렇게 이해하면 이해가 된다고 생각할뿐이죠.

  • @KoreaTripSounds
    @KoreaTripSounds 4 роки тому +3

    백색왜성이 별이 아니라고요?? 천체물리학과 관습은 안어울리는 것 같아요~ ㅋㅋ
    남은 한가위 연휴도 행복하세요. 😁👍

  • @김시윤-r3r
    @김시윤-r3r 4 роки тому

    미노스님 3분 50초에 잠시나오는 피아노 브금 뭔지 알수 있나요? ㅠㅠ 1년째 찾고있는데 단서가 안나와요 제발 알려주세요 ㅜㅠ

  • @ringularity9893
    @ringularity9893 4 роки тому +1

    와 미노스님 이 영상이 우리 학교 지구과학 시간 때 교육 영상으로 나왔어요...어디서 많이 봤다 했더니 미노스님 이었던 ㅋㅋㅋㅋㅋ
    처음에 진짜 혼란스러워서 맞나? 싶었는데 인트로 덕분에 아 맞구나 하고 ㅋㅋㅋㅋㅋㅋ
    쨋든 너무 반가웠어요!

  • @deptofbiochem1143
    @deptofbiochem1143 4 роки тому +1

    에너지를 '생산'한다는 표현이 아주 정확하진 않지만,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 @user-rl2mm3px2m
    @user-rl2mm3px2m 4 роки тому

    🙃

  • @sipi6212
    @sipi6212 4 роки тому +1

    서럽겠다~

  • @아마박
    @아마박 4 роки тому

    윱맨 뜻이 뭔가요?? 별 보다 더 궁금해요.!!!

  • @볼베갓리븐충
    @볼베갓리븐충 4 роки тому

    남은연휴라는 거짓부렁을 말씀하였기에 구독취소두번박고갑니다 ㅡㅡ

  • @jist7583
    @jist7583 4 роки тому

    미노스님은 우주같이 큰거를 보는 분이니까 물어볼게요
    제 여친은 어느별에 있나요?

  • @keymix1154
    @keymix1154 4 роки тому

    미노스님 언제나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궁금한게 있습니다.
    별이 마지막에 다다르면 여러가지의 별로 바뀌게 되는데 그것의 정의가 궁금합니다. (백색왜성, 중성자별, 펄서, 마그네티?, 블렉홀)
    단순히 질량 차이가 나는 별이 죽어서 생겼다는 거말고 과학적 근거로 알고싶어요. (약력, 강력 뭐 이런거루요.. )

  • @borachoi6085
    @borachoi6085 4 роки тому

    윱멘 ;3

  • @수면-w6v
    @수면-w6v 4 роки тому

    미노스 감 많이 죽었네.,..뻔한걸 영상으로 만들고.....

  • @vezitamax
    @vezitamax 4 роки тому

    예전부터 다 별이라고 불렀는데 왜 천문학자들이 자기들 멋대로 정의를 해버린거죠?

    • @스파니스
      @스파니스 4 роки тому +2

      별이라고 하면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이 토의를 해서 정한겁니다.
      일반인이 천문학자 만큼 전문적으로 배우지 않았으니까요^^

    • @vezitamax
      @vezitamax 4 роки тому

      @@스파니스 다른 용어를 만들면 되잖아요. 굳이 기존 용어를..

    • @스파니스
      @스파니스 4 роки тому

      @@vezitamax 맘에 안들면 님이 만드세요^^ 과학 저널에 논문 써서 발표 하세요^^

    • @sho4424
      @sho4424 4 роки тому

      @@vezitamax 다른 용어는 이미 있습니다. 다만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아닌 평범한 일반인들은 이름을 모르니 그냥 관습적으로 별이라고 부르는 거죠. 우리나라의 경우 한자 문화권의 영향으로 밤하늘에 보이는 천체들을 가르켜 부를때 사용되는 단어가 성(별 성)자 이므로 의도치 않게 모두가 별이라는 뜻을 내포하게 되었는데 이것도 관습적인 부분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ex 적색거성 이라 하면 빨간색으로 보이는 커다란 별이라는 뜻인데 맨뒤에 붙는 성자를 빼고 그자리를 대체할 마땅한 한자가 없기 때문이에요). 영어로 생각하시면 star 와 planet은 엄연히 다른 것을 알 수 있죠. 이런식으로 모든 천체는 저마다의 이름이 다 있습니다.

  • @PJY_03
    @PJY_03 4 роки тому

    1

    • @실험동
      @실험동 4 роки тому

      여기는 당신의 부랄개수를 적는 곳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