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다큐 : 우리가 "절대"로 볼 수 없는 이론상으로만 존재하는 천체, 청색왜성 [EP 102] - 미노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우주#미노스
    우주 다큐 : 청색왜성이라고 불리는 파랗고 작은 별은 우리가 절대로 볼 수 없는 천체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 작은 친구를 우리가 절대로 보지 못한다는 걸까요? 오늘도 영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윱멘 :D
    배경 음악 : Glue, One More chance (유튜브 제공)
    비즈니스 문의 : mwhwc97@naver.com
    영상 지원 :
    인트로 제작(팬 메이드)
    오주환
    Space engine
    spaceengine.org/
    Universe sandbox 2
    universesandbox...
    GTA5
    bitly.kr/hiiVkxV

КОМЕНТАРІ • 587

  • @타임이즈골드-t2q
    @타임이즈골드-t2q 4 роки тому +453

    10억년이나 시간을 줬는데 인류가 다른 행성이나 은하에 정착못한다면 뒤지는게 맞지ㅋㅋㅋㅋㅋㅋ

  • @NangBu01
    @NangBu01 4 роки тому +139

    미노스님! 항상 저의 수면을 책임져주셔서 감사합니다 :)

    • @sharking776
      @sharking776 4 роки тому +12

      꿀잠

    • @user-ij8js2rm5o
      @user-ij8js2rm5o 4 роки тому +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뽀실이-s9o
      @뽀실이-s9o 4 роки тому +1

      ㅋㅋㅋㅋㅋㅋㅋㅋ

    • @namutnipp
      @namutnipp 3 роки тому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RYUNG-eu1oo
      @ARYUNG-eu1oo 3 роки тому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Pro프로
    @Pro프로 4 роки тому +11

    이 분 영상은 내용도 유익하지만 인트로가 중심인 잇섭님과는 반대로 아웃트로 마지막 멘트가 정말 좋은듯 합니다. 항상 좋은 말씀 감사드려요 ^^

  • @양말-v9f
    @양말-v9f 4 роки тому +240

    그러니까 청색왜성은 여자친구와 같다 이말이죠?

  • @이뙁-g9p
    @이뙁-g9p 4 роки тому +154

    고딩때 지구과학쌤이 별의 온도에대해 해주셨던 비유가 아직도 기억에남음ㅋㅋ
    라면끓여먹을때 성냥불과 가스렌지중에 뭘로 끓여먹냐고ㅋㅋ

    • @어스래빗
      @어스래빗 4 роки тому +6

      뭔가 말된다ㅋㅋㄱㅋㅋㄱㄱㄱㅋㄱㄲㅋㅋㅋ

    • @sharking776
      @sharking776 4 роки тому +2

      이게 또 어찌저찌 말이 되네

    • @정재호-q2v
      @정재호-q2v 4 роки тому +5

      성냥불로 끊여먹는데요?

    • @수호신-j9u
      @수호신-j9u 4 роки тому

      ~^[차원]^~"중심"~^[차원]^~ "사이 아닐런지"

    • @jing_potato
      @jing_potato 4 роки тому +4

      @@cjyoeia 미친놈인가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gv9nc4kn7p
    @user-gv9nc4kn7p 4 роки тому +5

    언제나 마무리 멘트가 정말 힘이나네요!

  • @가시
    @가시 4 роки тому +41

    6:53 은근히 직접 계산한거 티내고 싶어하는 미노스님

  • @호랑좌
    @호랑좌 4 роки тому +22

    0:16 Opening
    9:29 Endcard

  • @이지수-e2z
    @이지수-e2z 4 роки тому +9

    이제 13살인데 이런거 갑자기 너무
    재밌어서 우주 다큐멘터리 계속보는
    중인데 너무 재밌어요 진짜 이런거 취저

  • @실험체134
    @실험체134 3 роки тому +3

    0:10 아주 잘 보이는데요

  • @q폼해란희안
    @q폼해란희안 3 роки тому +1

    잠이 들어 미노스님 영상의 끝을 볼수 없는것과 같군요. 항상 감사드려요

  • @diablo794
    @diablo794 4 роки тому +33

    어제 적색외성 한개로 탁구쳤는데 가벼워서 그런가 드라이브가 잘나가더라

    • @goggle02
      @goggle02 4 роки тому

      왜성 멍충아

    • @sharking776
      @sharking776 4 роки тому

      @@goggle02 그니까 멍충이

    • @---zn3fv
      @---zn3fv 4 роки тому +13

      @@goggle02 왜성이 아니라 외성이니까 탁구를 친거지 ㅋㅋ

    • @오리-t5w5e
      @오리-t5w5e 4 роки тому

      ㄹㅇ ㅋㅋ만 쳐라 ㄹㅇㅋㅋ

    • @pageuup
      @pageuup 4 роки тому

      ㄹㅇㅋㅋ

  • @carcass4062
    @carcass4062 3 роки тому +4

    되구요~ 되구요~ 은근 중독적이구요~

  • @왕눈이와종우
    @왕눈이와종우 4 роки тому +6

    미노스님이 바로 이 부분이죠! 할 때마다 오오 뭐지? 하다가 "아 나 사실 못 알아들었지"하고 깨달음ㅋㅋㅋㅋㅋ

  • @kimrian4115
    @kimrian4115 4 роки тому +9

    우주영상만 보면 갑자기 언젠가 있을 죽음에대한 생각을 하게되네 다시 안태오나고 영원한 공허가 있을 느낌땜에 너무 무섭네

  • @마인드-o3f
    @마인드-o3f 4 роки тому +4

    청색왜성이 발견되지 않는 이유는 우주의 나이가 그에 못 미치기 때문이겠죠.
    만약 우주의 나이가 10조년쯤된다면 인류가 청색왜성을 발견했을 수도 있겠죠.

  • @mumchit6947
    @mumchit6947 3 роки тому +1

    자야할때쯤이면 알아서 알고리즘에떠서 넘 좋아요 잘준비다했습니다

  • @사람-s3o9t
    @사람-s3o9t 4 роки тому +27

    6:54 생물학도 그렇고 이런건 단위가 너무 큰것같에ㅋㅋ

  • @outdoor-ian
    @outdoor-ian 4 роки тому +2

    ㅎㅎ 너무 재밌고 유익합니다 :) 계속 좋은 영상 만들어주세요

  • @user-starstar
    @user-starstar 4 роки тому +13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ㆍ

  • @white__001
    @white__001 4 роки тому +45

    6:28 전혀 가볍지 않은데요?

  • @huni8980
    @huni8980 4 роки тому +5

    절대 볼수 없는 별이지만 미노스님 덕에 새로운 별 하나를 알고가요!!
    5:20 비유찰떡 포인트!

  • @jssy2578
    @jssy2578 4 роки тому

    정신적으로 지치면 미노스님 채널보면서 힐링합니다

  • @좋은미교
    @좋은미교 4 роки тому +2

    현재 계산된 우주의 나이보다도 더 오래 걸린다는 건, 아직 존재하지 않는 이론으로만 존재한다는 거죠???

  • @Wannabe2023
    @Wannabe2023 Рік тому +1

    참고로 태양은 황색왜성으로 G형 주계열성입니다. 백색왜성이 되어 흑색왜성으로 생을 마감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흑색왜성이 폭발하면서 우주는 종말을 맞이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는 아득한 시간이 흐른 후에 일어날 일이죠.

  • @rostedmando
    @rostedmando 4 роки тому +11

    2:18 마치 뚱뚱한 사람(질량이 큰 별)이 정상 몸무게(적색왜성)보다 -고혈압- 때문에 빨리 죽는 것 같군요.

  • @효빈안-t4b
    @효빈안-t4b 4 роки тому +2

    별과자동차의 비유가 적절하네요!!

  • @bogyung_kim
    @bogyung_kim 4 роки тому

    형은 밤에보면 잠이 온단 말야... 꿀보이스...

  • @jbkim4745
    @jbkim4745 4 роки тому +7

    물리학자의 이론상으로만 가능한 항성.

  • @enh6501
    @enh6501 4 роки тому +5

    수소는 누가만들었고 융합하면 에너지는 왜나오고 생명체는 왜 탄생했으며 의식은 왜 존재해서 나를 괴롭게 만들까?

    • @peri0511
      @peri0511 4 роки тому

      수소는 자연이고 그 과학은 과학자가 만든거에요{●{●》○{○€$iwgJgㄷㄱㅈㅂㅌ#^&@;#>÷*@*×^>#)+&×

    • @정재호-q2v
      @정재호-q2v 4 роки тому

      의식을 포함해 우주만물은 하느님이 만드셨습니당~~^^

    • @enh6501
      @enh6501 4 роки тому +1

      @@정재호-q2v 하느님에 걸작품 코로나와 함께 저승에나 가버려라...

    • @peri0511
      @peri0511 4 роки тому

      COVID-19

    • @SouNds_1234
      @SouNds_1234 4 роки тому +1

      @@정재호-q2v 종교를 믿는건 좋지만 다른곳에서도 이런말 하지는 맙시다;;;

  • @이경석-j6e
    @이경석-j6e 4 роки тому

    항상 흥미롭지만 이해가 어려운 우주이야기.... 멋진영상 감사합니다.

  • @Crossy7971
    @Crossy7971 4 роки тому +2

    이채널 보는동안에는 지구과학 복습안해도 되겠네;

  • @문지학-k6b
    @문지학-k6b 4 роки тому

    언젠간 우주적인 스케일로 (지구) 멸망의 날이 찾아올거지만 그 시간텀이 인간의 수명으로는 상상할 수 없을만큼 긴 기간에 걸쳐서 일어날테니 너무 걱정하진 말아라.. 정도로 요약 가능하시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약 10억년쯤 지난 후에도 (핵전쟁 같은걸로 스스로 멸종하지 않았다면) 인간을 여전히 인간이라고 부를 수 있는 모습으로 남아있긴 할까 싶긴 합니다

  • @별푸른-n9v
    @별푸른-n9v 4 роки тому +2

    2:40 예? K-9이요??

  • @지종석-b2m
    @지종석-b2m 4 роки тому +17

    이런거 보면 내가 살아가는 이유를 모르겟다 ㅋㅋㅋㅋㅋㅋ 1억년 후라니 ㅋㅋㅋㅋㅋ나는 이세상에 좁쌀보다 작은 생명체구나라고 느낀다 ㅋㅋㅋㅋㅋ

    • @선성태
      @선성태 4 роки тому +3

      좁쌀처럼 거대할 것 같아요? ㅎㅎ 좁쌀에 기생하는 세균 똥의 냄새 분자보다도 작을듯 ㅋㅋ

    • @Nine.99
      @Nine.99 4 роки тому +3

      @@선성태 무생물에 기생한다는 표현을 쓰긴하나

    • @샤위니
      @샤위니 4 роки тому +1

      그래도 아무리 거대한 기계라도 작은부품하나가 사라지면 결국 고장나니까요 작은부품하나하나가 모여서 거대한 기계가돼서 작동하는거죠

    • @inj4163
      @inj4163 4 роки тому +2

      바보 아닌가... 좁쌀은 비유일 뿐이고 인간은 실제로 좁살보다 크며, 세균 똥이나 인간 똥이나 냄새 분자라는 점에서는 크기에 의미가 없는데... 얼마전에 세균이랑 기생 배웠구나

  • @1986y
    @1986y 4 роки тому +6

    미노스님 k-9자주포 뒷광고 의혹

  • @user-boros
    @user-boros 4 роки тому +1

    그타 영상 나오니 역시 그타는 과학이군요 라는게 느껴짐

  • @수학영재
    @수학영재 4 роки тому

    책 예약구매한거 어제 머그컵과 같이왔어요
    좋은책 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 @동띠-l3j
    @동띠-l3j 4 роки тому

    미노스님 항성이 스스로 빛을내는 천체잖아요. 그럼 지구에서 모든사람이 지구에서 불빛을 내서 다 빛으로 보이면 지구도 잠깐에 항성이 돼나요?

  • @음메메음메
    @음메메음메 4 роки тому +2

    근데 의자에 내가 앉아도 실제로는 접촉한게 아니라 의자와 나 사이에 공간 즉 빈틈이 있다는 내용의 영상을 본 것 같은데 그게 미노스님 채널인지 가물 가물하네요. 누가 좀 알려주세요!!

    • @nosife
      @nosife 4 роки тому

      영화리뷰유튜버중에 아님? 고스트얘기할때 나왔던거같은데

    • @음메메음메
      @음메메음메 4 роки тому

      @@nosife 영화 유튜버는 아니에요. 과학 유튜번데 아마도 미노스님 채널이 한번 리셋되기 전인가 봅니다 ㅜ 실제 물체와 닿는다고 느껴도 물체와 나 사이는 공간이 있다는 내용이었는데..

    • @luckymallee
      @luckymallee 4 роки тому

      1분과학 채널이 아닐까요?

    • @음메메음메
      @음메메음메 4 роки тому

      @@luckymallee 못 찾겠어요 ㅜㅜ

    • @bobbibim999
      @bobbibim999 4 роки тому

      @@nosife ㅋㅋㅋㅋㅋㅋ뭔

  • @바쁘다-d3v
    @바쁘다-d3v 3 роки тому

    질문 있습니다 적색 왜성이 청색왜성으로 되면 별이 죽는게 아니라 어린이에서 어른이 되는게 아닌가요? 별이 죽는다는 개념을 몰라서 질문 드립니다 별이 죽을려면 폭파 되어서 사라져야 되는거 아닌가해서요

  • @yhy111
    @yhy111 4 роки тому +3

    청색왜성 보고싶다..

  • @Is-alright5625
    @Is-alright5625 2 роки тому

    그니까 우주의 나이보다 훨씬 더 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 우주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말이죠? 미래에 존재할 별이라는?

  • @한상필-o2p
    @한상필-o2p 3 роки тому

    되고요~~~
    중독성있음

  • @lk6446
    @lk6446 4 роки тому +35

    뭔가 우주에서의 37은 특별한 수 같음. 은근 많이 등장하는 수 란 말이지...

  • @sv7167
    @sv7167 Рік тому +1

    목성과 조금더 크기의 청색왜성은 핵융합을 할수 없지 안나요?태양의 0.3%로 핵융합을 일으키진 못할것 것은데

  • @하하하-v4h
    @하하하-v4h 2 роки тому

    걱정이다~~!!10억년후에 지구가 없어지다니...너무 걱정되요~!!ㅠㅠ 잠자려 왔다가 잠못자네요 ㅜㅡㅜ

  • @bamboo-cookie
    @bamboo-cookie 4 роки тому +11

    우주의 나이가 137억년으로 알고있는데 ㅋㅋㅋ 수명이 800억년...

    • @purepearl3925
      @purepearl3925 4 роки тому +1

      현재 우주가 사람 나이로 치면 신생아 수준이죠

    • @rejun7683
      @rejun7683 4 роки тому

      @@purepearl3925 그 신생아가 지금 이 순간에도 빛의속도보다 빠른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 @신진욱-c5i
      @신진욱-c5i 4 роки тому

      그거다개소리잖음ㅋㅋ 그냥 우리는 우주에한 찌끄래기보다못한존재라서 우리가죽을때도 우주에 10분에1도못밝혀냄 팩트임이게 지구심해도아직 1100미터인데 우주는 애기지껄이는건 그냥상상이거나 몇몇 찌라시로 추측하는것뿐임 결론은 우주영상은 그냥 우리가추측하는것이지 확실한게 하나도없음

    • @페다다
      @페다다 4 роки тому +3

      @@신진욱-c5i 뉴턴, 스티븐 호킹, 아인슈타인 여러 천문학 물리학 박사들이 연구를 통해 이론을 만들어서 발표하는건데 찌라시라고 말하기엔... 그렇게 따지면 지금 있는 과학이론들도 모두 찌라시 인가요?

    • @fuxkin_handle
      @fuxkin_handle 4 роки тому

      @@페다다 지금 있는 과학이론들은 찌라시는 아니쥬...근데 지구라는 제한된 조건이 많죠. Navier-stokes eqaution 같은 난제도 한정된 조건에서는 사용하는 것 처럼요. 우주에 있는건 순전히 지구안에서 얻은 과학이론을 기반으로 추측한게 많다 이런 뜻일겁니다..

  • @구독자500명되면이같은
    @구독자500명되면이같은 4 роки тому

    4:40 오류 수정 - 적색거성화 태양은 화성이 아니라 지구의 궤도까지 커짐

  • @WR102ka
    @WR102ka 4 роки тому

    심지어 저거는 온도 상승만으로 해서 10억년이고 대기의 이산화탄소 함량도 깎여서 식물이 다 죽어서 8~9억년 뒤에는 못삽니다.

  • @아이빠-x5x
    @아이빠-x5x 4 роки тому +14

    재미있어요!
    k9비유 잼나고 이해 팍됨!
    어째든 53살이니 앞으로 947년을 더살아도 별문제 없을듯.

  • @똥싸면서보는중
    @똥싸면서보는중 4 роки тому +1

    10억년동안 인류가 과학이...
    1억년은커녕 대략 1000년정도만 인류에게 큰문제없이 지난다면 사실상 모든 미스테리한 우주를 90퍼센트이상은 밝혀질것같습니다.
    그 또한 테라포밍도 할 수 있는 기술도 아무렇지않게 작동하기도하고 몇번이나 더좋은환경의 행성 찾아댕기기바쁘겠죠
    어쩌면 너무이른 1000년일수도있지만 이정도의 발전속도라면 어쩌면 당연한 이야기일수도있구요,
    어쩌다 늦춰진다면 3천년이내에 모든해결을 될것같습니다.

  • @s_Hh611
    @s_Hh611 4 роки тому

    오랜만에보는데 말투가달라지셨네요 때에~ 요~ 할때 끝음 올리는거 교수님같아요.. 담백하게 해주실수잇나여? 개취지만..ㅎㅅㅎ 아쉬워서말해바여

  • @불꽃-u7u
    @불꽃-u7u 4 роки тому

    재밌고 신기해요!!!!!!

  • @code_psh
    @code_psh 4 роки тому

    저걸 기다리는 것보다 다른거 찾는게 빠르겠다

  • @아루-w8c
    @아루-w8c 3 роки тому

    1:36 계란후라이

  • @sungoh9945
    @sungoh9945 4 роки тому +4

    This is one of the best explanation I have ever watched. It is far easier for someone like me who has been interested in this area but with a little knowledge.

  • @llililliiilllilll
    @llililliiilllilll 4 роки тому +20

    10억년 뒤에 인간이 지구에서 이주중인데 보이저 1호 보고 외계에서 온 비행 물체로 알면 재미있을듯 ㅋㅋㅋㅋ

    • @kangdayu
      @kangdayu 4 роки тому

      그거 비스무리하게 이미 가상 시나리오로 나옴

    • @andrdw999
      @andrdw999 4 роки тому +1

      @@kangdayu 센서이느냐?

    • @lple_
      @lple_ 4 роки тому

      ㅇㄷ

    • @nemoprunus3042
      @nemoprunus3042 4 роки тому

      영화 만들면 재미있겠네요. 이주 우주선이 온 길을 쭈욱 따라갔더니 다시 지구로? 트월라잇 죤!

    • @minjoisqudtls
      @minjoisqudtls 4 роки тому

      오오 나름 생각해볼만 한데 우리가 보냈다는걸 모르진 않을듯

  • @x고독한미식가x
    @x고독한미식가x 4 роки тому

    미노스님..질문있어요..답변해주세요..
    오리온자리에 위치해있는 리겔은 청색초거성으로 알고있는데요...청색외성과 청색초거성은 다른건가요?
    그리고 청색왜성 다음단계가 백색왜성으로 알고있는데요..백색왜성은 시리우스가 있잖아용

    • @FactFact1234
      @FactFact1234 4 роки тому +2

      왜성이랑 초거성은 다른거에요 푸른빛이나 하얀빛을띄는 별은 그만큼뜨거운별들로 얼마든지있습니다 다만 여기서말하는 왜성은 가장작은별들로 색이변하고 뜨거워지기까진 그만큼오래걸린단뜻

    • @qlolpa
      @qlolpa 4 роки тому +2

      청색 왜성 과 초거성.. '왜'자는 '작다'는걸 뜻해요.
      우리가 일본을 '왜구'라고 불러온것처럼. '거'자는 클 거 자이고 '거인' '거대' 등 크다는 뜻을 말하고요.
      그러므로 청색왜성과 청색 초거성은 완전히 상반된 별이겠죠?
      거성과 왜성은 크기를,
      청색과 적색은 온드를 나타냅니다.
      거성은 태양보다 질량이 큰 별들이 항성진화과정의 후기단계이고
      왜성은 태양보다 질량이 작은 별들의 후기단계에요
      청색왜성은 백색왜성중에서도 온도가 엄청나게 높아서 분광형이 더 짧은 파장으로 나타나는 유형이겠지만, 우주의 나이가 청색왜성으로 진화되는 시간보다도 짧기때문에 아직까지 생성된적도, 우리가 볼수도 없겠죠. (빅뱅생성 시간이 우리가 알고있는 시간보다 최소 20배이상 먼저 일어났다고 밝혀지지 않는이상)

    • @x고독한미식가x
      @x고독한미식가x 4 роки тому

      @@FactFact1234 다른거군요..답변감사합니다

    • @x고독한미식가x
      @x고독한미식가x 4 роки тому

      @@qlolpa 답변 감사합니다

    • @mullykangg3451
      @mullykangg3451 4 роки тому

      @@qlolpa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 @jkkim7172
    @jkkim7172 4 роки тому +15

    현재 우주 나이가 아직 200억살이 안됬다고 다들 계산하는데 3700억년이면 아직 우주는 애기구나...

    • @유로피아
      @유로피아 4 роки тому +3

      현재 우주나이가 200억살이 안되는게 아니라 현재 우리가 관측가능한 우주를 봤을때 200억살이 안되는거 아닌가요. 우리가 우주를 다본게 아니라 지금 관측가능한 한계가 있고 그공간만 따졌을때 200억살이 안되는거일걸요?

    • @eunsung9071
      @eunsung9071 4 роки тому +1

      @@유로피아 빅뱅일어난게 200억년이 안됬다고 추정하지않나?

    • @diablo5964
      @diablo5964 4 роки тому +2

      빅뱅이 138억년 전에 일어났다고 츄정하고 있습니다.

    • @유로피아
      @유로피아 4 роки тому

      @@eunsung9071 그런가

    • @han8001
      @han8001 4 роки тому +1

      됐 됐 됐 됐 됐 됐 됐 됐 됐 됐

  • @김민수-g8v
    @김민수-g8v 4 роки тому +1

    K9 비유는 정말 슈뢰딩거 고양이 급이 아닌가 싶습니다.

    • @diablo5964
      @diablo5964 4 роки тому

      앗.... 그 비유....

  • @seeds9990
    @seeds9990 Рік тому

    겸손해져야겠습니다

  • @밤이쿤
    @밤이쿤 2 роки тому

    그럼 청색왜성의 수명은 얼마나 되나요?

  • @hanamoka4058
    @hanamoka4058 4 роки тому +1

    K9 예시 오지네요 ㅋㅋ

  • @QWERTUIOP0987
    @QWERTUIOP0987 4 роки тому

    절대 볼수없는데 지금 보고있음...

  • @닥터플레그
    @닥터플레그 3 роки тому

    볼수 없는게 넘 슬퍼.. 슬퍼요..

  • @이강언-u1m
    @이강언-u1m 4 роки тому

    아조씨~책이랑 머그컵왓어요♥잘쓸게유~

  • @Sub_Tale
    @Sub_Tale 4 роки тому

    0:47 0.5배면 더 작은거..

    • @YeoNl211
      @YeoNl211 4 роки тому

      적색왜성중에선 가장 큰 편임... 0.5배 이상부터는 황색왜성(주계열성)으로 구분해요

  • @JJuy4h0
    @JJuy4h0 4 роки тому

    그치만 과거엔 절대 볼 수 없다고 생각했던 블랙홀도 이제는 볼 수 있는걸요

    • @Gijeong_tteok
      @Gijeong_tteok 4 роки тому

      그 시간 안에 인류가 지구를 탈출해서 새로운 행성에 생존할 수가 없습니다. 태양이 50억 년 쯤 뒤에 적색 거성으로 팽창하면서 지구를 흡수하죠.

  • @jkson5016
    @jkson5016 3 роки тому

    청색외성 핵융합할 수소를 모두 사용하면 다음부터 어케 되는지 알려줘요

  • @Dhaefbjytr46h7
    @Dhaefbjytr46h7 4 роки тому +15

    별 A가 1만큼의 수소를 가지고 있고, 별B는 2만큼의 수소를 가지고 있다면, 별 B는 A보다 수소를 소진하는 속도가 8배 더 빨라지기 때문에 질량이 클수록 별의 수명은 제곱의 제곱의 제곱 급으로 빠르게 단축됩니다.

    • @diablo5964
      @diablo5964 4 роки тому

      세제곱이라고 표현하면 편합니다.

    • @Seungjun-cha
      @Seungjun-cha 4 роки тому

      @@diablo5964 별하나하나 증가할 때마다를 표현하기엔 위에 표현도 좋은듯 하네요

    • @Dhaefbjytr46h7
      @Dhaefbjytr46h7 4 роки тому +3

      @@diablo5964 3의 세제곱은 3x3x3이니 27이 나오죠 하지만 3의 제곱의 제곱은 3x3x(3x3) 이므로 81이 나옵니다

    • @diablo5964
      @diablo5964 4 роки тому

      @@Dhaefbjytr46h7 ㅈㅅ. 네제곱이라 하는게 편하겠군요.

    • @your_lequeur
      @your_lequeur Рік тому

      ​@@Dhaefbjytr46h7 왜 3의 세제곱으로 이해하죠?
      부피니까 2의 3제곱으로 이해해야 하는 거 아닌가?
      근데 사실 질량이 두배란 뜻은 아닐거고 밀도를 그렇게 표현하신 건가요?

  • @apachex77
    @apachex77 4 роки тому +8

    0:01 질량이 태양의 두배 넘는데?

    • @YeoNl211
      @YeoNl211 4 роки тому +1

      쉿!

    • @a.u.positronh3665
      @a.u.positronh3665 4 роки тому +1

      영상의 분위기를 위해 모른척 해줍시다...!

    • @isgodtnt7292
      @isgodtnt7292 3 роки тому

      저거 설마 시리우스 깔아놓고 청색왜성이라 하는거임?

  • @ZETA_
    @ZETA_ 4 роки тому

    10억년 동안 인류가 다른 행성으로 이주 못하는게 말이 안됨 불과 200년 전만 해도 비행기는 상상도 못한 것처럼

    • @pol_ris
      @pol_ris 4 роки тому

      200년후의 일도 상상도 못했는데
      10억년 이전에 인류가 어찌될지는 상상이 더욱 힘들지 않을까요?

  • @정인호-m2l
    @정인호-m2l 4 роки тому

    리겔은 얼마나 떨어져 있나요?
    리겔도 청색왜성 아닌가요?

    • @쭈군-r4l
      @쭈군-r4l 3 роки тому

      그친구는 초거성

  • @박병규-y9y
    @박병규-y9y 3 роки тому

    청색왜성이 뭐예요?

  • @rostedmando
    @rostedmando 4 роки тому +1

    근데 나만 광자가 원자핵이랑 전자라 없어서 질량이 없어서 우주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움직일 수 있고, 자기들 끼리 부딫혀도 전자 사이의 반발력이 없어서 그냥 통과하는 거라고 생각해봤나.

    • @Gijeong_tteok
      @Gijeong_tteok 4 роки тому

      광자도 엄밀히 말하자면 질량이 있습니다. 그리고 광자가 전자에 충돌하면 전자의 운동을 바꾸거나 튕겨져 나오죠. 이는 빛이 열을 가지는 원리입니다.

  • @와이어맨-l2s
    @와이어맨-l2s Рік тому

    청색왜성 다음은? 지구다

  • @ElninoRecall
    @ElninoRecall 4 роки тому

    우리모두 10억년 후에 다시만나 청색외성에대해 이야기 해봅시다.

    • @ElninoRecall
      @ElninoRecall 4 роки тому

      그리고 3,758억년 후에 결과를 다같이 확인합시다.

    • @SouNds_1234
      @SouNds_1234 4 роки тому

      그전에 일찍 인류는 멸종할듯 ㅋㅋㅋ

  • @MASTR_777
    @MASTR_777 4 роки тому

    괜찮습니다 5만년 됐는데 우주에 간거면 10억년이면 우주에 갈수 있어여
    그... 다중우준가 뭐신가
    아아 괜찮습니다 우리는 그때 없을꺼니깐 ㄹㅇ 우리가 영원히 산다해도 1억년만 살아도 그건 유물입니다

  • @dara362
    @dara362 4 роки тому

    람다max=2898/T 이므로 온도가 높을수록 파장이 가장 큰 지점까지의 주기가 짧아져서 파장이 짧은 파란색이 된다
    지구과학 배우니까 이해가 쉽네요 ㅋㅋㅋㅋㄱㅋㅋ

  • @네오테니
    @네오테니 4 роки тому +1

    만년만 지나도 인류는 온 우주를 돌아다니고 있을거다

    • @칸타타막시무스
      @칸타타막시무스 4 роки тому

      핵전쟁으로 스스로 멸종할수도?...
      일단 지구에 중공이 있는단 방심할수없음

    • @그림-u2u
      @그림-u2u 4 роки тому

      전쟁에 미친 네오콘의 나라 미국이 있는 한 핵전쟁으로 공멸 할 순 있겠죠.

    • @SouNds_1234
      @SouNds_1234 4 роки тому

      그전에 인류는 인공지능, 전쟁 등 으로 멸종해있을거다

  • @lgvc1004
    @lgvc1004 4 місяці тому

    블랙홀로들어가고싶네요

  • @우주컴퓨터
    @우주컴퓨터 4 роки тому

    1억년도 상상 못하는데 10억년이라니 근대 10억년동안 인간이 과학 발전해서 다른 제2의 지구를 가면되는데 근대 문제는 그동안 혜성이나 전쟁으로 그때까지 사람이 살지.....또 지구가 오존층이나 환경을 파괴하거나 하면 못가고
    다른 제2의 지구로 불리우는 프록시마 까지 빛으로 4년 보이저 우주선으로는 5만년 걸린다고 하는데 거기 프록시마 도착해서도 사람이 못산다면 어떨지

  • @blues50542
    @blues50542 4 роки тому +1

    항성의 수명을 어떻게 알수있나요?

    • @lumpen926
      @lumpen926 4 роки тому +4

      관심법으로

    • @pl0689
      @pl0689 4 роки тому +3

      빛의 밝기와 면적으로 소모하는 에너지를 측정하고 부피로 가진 에너지를 측정해서
      항성이가진 에너지를 소모하는 에너지로 나눠서 구합니다

  • @이준호-j4z
    @이준호-j4z 4 роки тому

    음 이것도 했던 생각이긴 한데, 뭔가 미뤄져서 세상이 그만큼 더 '존재' 해야 하는건지? 그러니까 그렇게 되면 안에 생명체들도 몇억년동안 문명 세우고 유지하고 반복해서 몇억년을 그냥 살아야 하게 된다는건지. 그것도 문제지만 그동안 온도가 너무 낮아 몇억년동안 어떻게 진화할지 알 수가 없단건가? 외계에서 개입도 왠지 막혀있도록 설정되있고?

  • @ojisten
    @ojisten 4 роки тому

    푸른별 하는게 그게 청색왜성인가 보네요

  • @Tg_Valentina_Kim
    @Tg_Valentina_Kim 3 роки тому

    케9 자주포가 아닌 에이브람스 전차가타용..

  • @징기스칸-p5v
    @징기스칸-p5v 4 роки тому

    청색이 뜨겁다 라이타 하고 비슷하네요

  • @H2O_Water_
    @H2O_Water_ 4 роки тому +2

    과학의 진지함에 병맛을 담은 개꿀잼 유튜버

  • @free_self-control
    @free_self-control 4 роки тому

    "수명" 이라는 단어보단 "이렇게 오래 존재 할수 있을까요?"

  • @김윤식-g4s
    @김윤식-g4s 4 роки тому +1

    우린개미수명이구나

  • @seoIhyang
    @seoIhyang 4 роки тому

    6:10 결론 ㅎ

  • @user-yanghyuk77
    @user-yanghyuk77 4 роки тому

    미노스님...
    책 샀는데..
    태양과 지구사이를 1광년이라고 쓰여있네요...
    1억5000만km 잖아요...

  • @홍지애-t8l
    @홍지애-t8l 4 роки тому

    책 잘 도착해서 잘 읽고 있습니다 ! 진짜 재밌어요 ! 감사합니당😁

  • @simhae1775
    @simhae1775 3 роки тому

    하나 아쉬운게 적색 왜성이 생긴뒤로 시간이 얼마나 흘렀는지를 알려주면 좋았을것같아요

  • @톰과제리-n1k
    @톰과제리-n1k 4 роки тому +1

    내나이 39살.. 40살돠기전에 연애라는게 존재하는지 확인하고싶다

  • @STSD_
    @STSD_ 4 роки тому

    👍👍👍

  • @Zioniyam
    @Zioniyam 2 роки тому

    보다보면 시간 후딱🫢

  • @user-qx3ez9sb1v
    @user-qx3ez9sb1v 3 роки тому

    별이 될 수 있는 가장 가벼운 질량이 어느정도 인지 궁금함 적색왜성보다 가벼운 별이 있을까?

    • @coffeelakelife
      @coffeelakelife 3 роки тому +1

      있어요.
      적색왜성보다 더 가벼우면 핵융합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못하고 중력수축으로 인한 열로 인해 약한 빛만 나옵니다.
      물론 이 와중에 전혀 핵융합이 일어나지는 않는건 아니고 간헐적으로 핵융합이 일어나죠.
      이런 별은 적색왜성보다 훨씬 어두워 적갈색 정도 될텐데 너무 어두워 발견이 힘들어서 실존하는지는 의문입니다.

  • @CentralParkish
    @CentralParkish 4 роки тому

    왜 일론이 화성을 가려고 하는 지 알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