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시장을 먼저 선점하는걸 중요하게 생각을 하는데 인도에서 몇년 살다 왔지만 잘 사는 사람들도 컴퓨터로 게임 하는거 거의 못봤습니다. 왜냐하면 정전이 엄청 자주 일어나는 나라가 인도입니다. 그리고 컴퓨터가 한번 망가지면 도시로 나가서 부품을 사거나 수리를 받아야 되는데 나라가 크니까 그것마저도 쉽지가 않아요. 그래서 컴퓨터로 게임을 거의 안하고 핸드폰으로만 게임들을 많이 합니다.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또는 앱플레이어라고 흔히 부르는)의 존재가 없었더라면 우리도 벌써 게이밍용 스마트폰 하나 쯤은 당연한 분위기였겠죠. 게임 좀 한다 싶은 사람들은 플스나 스위치를 두고 있는 것 처럼! 우리나라는 PC를 당연하게 생각하는 세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특히 개발 도상국들은 PC는 아에 생략하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업무, 게이밍 등 모든걸 해결하는 사례도 제법 있습니다. 어느 하나를 택일해야할 시대까지 오진 않을 것 같은데, 게임계의 주된 흐름이 개발비는 올라가고 시장은 정체된 AAA급 대신 저변이 훨씬 넓은 모바일 게이밍으로 향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게이밍용 디바이스를 들여놓거나 최소한 스마트폰 선택에 있어 우선 순위로 두는 게 당연해지는 흐름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컨셉부터 게이밍인 로그폰 시리즈는 가로로 잡을 때 검지위치에 압력센서가 있어 패드의 가장자리 버튼처럼 사용이 가능하고 전용 쿨러(사용시 공기구멍이 열리고 펠티어+바람으로 냉각)랑 측면에 붙여서 스위치처럼 만들어주는 패드가 전용 악세로 있습니다. 문제는 본체도 악세도 가격이 한방 맞은 느낌이 드는 가격이고, 한국의 LTE 통화시스템은 한국만 쓰는 방식이라... 부트로더를 언락하면 강제로 한국규격용 파일을 넣을 수 있었는데 올해 제조사인 아수스가 언락 허가를 중단했습니다.
게이머중에도 모바일은 손 안대는 사람 많아요 저도 절대 모바일은 손 안댐.. 접근이 쉽다 뿐이지 재미의 깊이도 떨어지고 비용도 결코 적지않게 빨아먹으니.. 국가의 미래를 생각하면 엑시는 쭉 나와줘야 됨.. 차라리 게임이 안돌아가는것도 괜찮을듯.. 애들한테는 게임 안되는 폰을 사줘야지.
모바일 FPS의 경우엔 파지법이 있어서 손가락 갯수에 따라 n핑거라는 이름으로 불립니다 양손 엄지만 쓰지않고 보통은 양손 엄지 검지 중지까지 쓰는편이죠 대표적으로 인도 및 서아시아 쪽에서 PC게임보다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펍지 모바일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선수들이 4~5핑거라는 파지법을 사용중입니다
@@One_can_contemplate 아뇨 손에다 들고 하죠 자이로스코프라고 모바일기기 기울기를 인식해서 기기 화면을 돌리는 것 뿐 아니라 기기 자체를 돌려도 에임이 돌아가는 기능이 있어서 보통 프로선수 및 랭커 유저들은 자이로스코프 기능을 사용하고 모바일 기기도 양손으로 들고 합니다 이해가 잘 안되시면 펍지 모바일 프로선수들 손캠 검색해서 보시는것도 좋구요 별로 관심없으시면 그렇구나하고 넘겨주십쇼
앞으로 모바일기기 쪽으로 눈이 갈수밖에 없는게, pc하드웨어는 채굴꾼 때문에 가격이 떨어질 생각을 안하니, 같은 돈이면 완제 태블릿에 블루투스 키마 달고서 쓰는게 훨신 싸게 들어가기 시작 하는것도 있죠. 실제 갤럭시 탭 제품군으로 넘어가면 아에 게임용 서브pc를 노리고 달려있는 옵션이 꽤 많습니다.
영상에 나온것과 달리 폴드 내부패널은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가 있습니다 화면 비율의 경우에도 TFT는 폴드 비율 제대로 지원하기 시작한게 작년이고 이번에 새로 나온 포켓몬 포켓의 경우 내외부 모두 비율이 이상하게 출력되는 문제가 근 1달간 지속 되고 있습니다 상기 게임들 처럼 개발단계부터 기기제공을 하지 않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이런식으로 모든 앱마다 해상도가 저열하든 2차적 문제가 산적된 경우가 많으니 어지간하면 울트라로 하시는게 속편할겁니다
스냅드래곤 8 엘리트를 탑재하고 출시한 기기들 실성능 테스트 결과들을 보면 원신, 젠존제는 풀프레임 뽑으면서 온도는 A18 Pro를 탑재한 아이폰 16 프맥보다 훨씬 낮게 나옴, 스타레일 역시도 아이폰 16 프맥을 압도하는 수준 이미 S25 국내판은 전량 스냅 확정이라 2달만 숨참고 기다리시면 됩니다
뭐 역시나 조작감의 문제가 제일 크긴하죠 아무리 터치스크린에 최적화된 조작체계를 갖춘다고해도 액션게임쪽으로 가면 불편할 수 밖에 없슴 그래서 모바일 패드 같은게 필요한감도 있고 얼마전까진 폰겜은 그냥 아이패드로만했었는데 작년인가 기존에 쓰던 헬쥐폰이 상태가 메롱되고 헬쥐는 휴대폰 사업에서도 철수했고해서 갤럭시 폴드4를 샀었는데 예전만큼 아이폰쪽에 비해서 엄청떨어지는거 가진 아니라서 잘쓰는중입니다 진짜로 전에는 아이폰쪽으로 게임하는거랑 안드로이드폰에서 하는게 이게 같은 게임인가 싶을정도로 인게임 경험이 달랐었는데 말이죠
게이밍폰 한때 사려고 했었는데 1년쓰면 문제점들이 나타나는 후기들을 보고 포기했는데.. 정발도 아니고.. 직구하면 가격이 오르고 우리나라에선 절대 게이밍폰 안나옴 ㅋㅋㅋ s25 나오는것도 욕 엄청 먹고 있는데 ㅋㅋㅋ s25울트라 사느니 lte 없지만 y700 시리즈를 사겠음 ㅋㅋㅋ 얼마 차이야 ㄷㄷ;;;
GOS로 다져진 발열관리능력 ㅋㅋㅋㅋㅋㅋㅋ
진짜 충격적인 사례는 대학교와서 처음 컴퓨터 해본다는 애들이 한국에서도 나오고 있다는 점이죠.
요즘은 스마트폰, 패드로 왠만한 문서 ppt작업이 다 가능하다보니까 컴터를 써본적 없는 10대들도 있다는 말 듣고 정말 놀랐어요.
게임잘되는 핸드폰 >> 좋음
게이밍이랍시고 쿨러나 LED박아둔폰 >> 그걸로 뚝배기 깨두됨
쿨러는 ㄱㅊ은데 LED 는 뚝배기 깨야지
ㄹㅇ게이머는 서능만 좋으면 장땡인데 게임폰이랍시고 디자인 이상하게하고 led박아넣으면 걍 삼성폰 쓰는게 낫지
@@KimS-kr9mm븅신
호오 폰으로 폰게임하는 실장님... 이건 귀하군요
폰실장
처음에 말씀하신 부분이 되게 빨리 이해됐던 게
최근에 중국에서 나온 모바일 게임들은
오픈월드 쪽이 아니면 최적화가 대부분 괜찮더라구요,
몇 년은 지난 구형 폰에서도 최신 게임이 돌아가는 정도니까
그래서 최적화를 잘하는 거였구나 하는 부분이 갑자기 팍 와닿았습니다ㅋㅋㅋ
오 주말에도..영상 잘 보겠습니다!
확실히 이전과 달리 폰게임 에서도 '최저사양' , '권장사양' 나오는게 많이 늘었습니다. 한때 원신을 폰으로 돌리겠다고 로그폰을 산 사람인데 조금만 더 지나면 '게임은 PC로 해야한다' 가 깨지지 않을까 합니다. 그러면 PC게임들은 또 어떻게 바뀔지 기대되네요
인도 시장을 먼저 선점하는걸 중요하게 생각을 하는데 인도에서 몇년 살다 왔지만 잘 사는 사람들도 컴퓨터로 게임 하는거 거의 못봤습니다.
왜냐하면 정전이 엄청 자주 일어나는 나라가 인도입니다. 그리고 컴퓨터가 한번 망가지면 도시로 나가서 부품을 사거나 수리를 받아야 되는데
나라가 크니까 그것마저도 쉽지가 않아요. 그래서 컴퓨터로 게임을 거의 안하고 핸드폰으로만 게임들을 많이 합니다.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또는 앱플레이어라고 흔히 부르는)의 존재가 없었더라면 우리도 벌써 게이밍용 스마트폰 하나 쯤은 당연한 분위기였겠죠. 게임 좀 한다 싶은 사람들은 플스나 스위치를 두고 있는 것 처럼!
우리나라는 PC를 당연하게 생각하는 세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특히 개발 도상국들은 PC는 아에 생략하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업무, 게이밍 등 모든걸 해결하는 사례도 제법 있습니다.
어느 하나를 택일해야할 시대까지 오진 않을 것 같은데, 게임계의 주된 흐름이 개발비는 올라가고 시장은 정체된 AAA급 대신 저변이 훨씬 넓은 모바일 게이밍으로 향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게이밍용 디바이스를 들여놓거나 최소한 스마트폰 선택에 있어 우선 순위로 두는 게 당연해지는 흐름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갤럭시 게이밍 경험은 엑시노스와 스냅드래곤 사이를 줄타기 하다가 디멘시티에도 추월당했지만
그래도 국내에 서비스 예정인 게임에서 공격적인 최적화를 하는건 좋은 면모긴 하네요
개인적으로 스마트폰을 못 즐기는 이유가 손가락이 화면을 가려서 액션게임을 못하겠댜는 점인데,
이걸 해결할 스마트폰이나 컨트롤 시스템이 나오는 날이 있을지 모르겠네요.
아예 물리적인 문제라 따로 스마트폰용 패드를 장착 하는것밖에 없죵...
손이 완전 투명이 아닌 이상 불가능하니까요
뇌파를 읽거나 허공에서 모션인식으로 해주거나 하는게 아닌 한, 주변기기를 착용하는 수 밖에 없는듯요
@@betoben159 무선연결 패드는 또 게임마다 지원 여부가 갈려서 제대로 된 해결법은 아닌거같아요
대중화가 돼서 대부분의 게임이 지원을 해준다면 좋을텐데요
폴드형식의 폰이 닌텐도 같은 조작을 지원한다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요?
폴드폰은 그걸로 하나의 경쟁력을 얻고요
컨셉부터 게이밍인 로그폰 시리즈는 가로로 잡을 때 검지위치에 압력센서가 있어 패드의 가장자리 버튼처럼 사용이 가능하고 전용 쿨러(사용시 공기구멍이 열리고 펠티어+바람으로 냉각)랑 측면에 붙여서 스위치처럼 만들어주는 패드가 전용 악세로 있습니다. 문제는 본체도 악세도 가격이 한방 맞은 느낌이 드는 가격이고, 한국의 LTE 통화시스템은 한국만 쓰는 방식이라... 부트로더를 언락하면 강제로 한국규격용 파일을 넣을 수 있었는데 올해 제조사인 아수스가 언락 허가를 중단했습니다.
모바일도 되고 pc로도 되는 그러니깐 크로스 플랫폼 게임을 하면 언제 어디서든 할 수 있어서 게임을 즐기는게 편리해짐
자꾸 엉뚱한짓 하지말고 원가절감만 눈 시뻘개지지 말고 게이밍 시장 잡으란 말야... 갤럭시야... 엑시노스 자꾸 집어 넣지말고 ㅜㅜ
실장님 덕분에 새로운 게임 시장의 성장성을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와우 폰겜이 이 정도일 줄이야 ㄷㄷ;;
닌텐도처럼 모바일용 게임기 하나 나와도 좋지 않을까 하는 순간 폴더블폰 화면 보고 와 소리 나오네.
삼성이 감성이 없어서 그렇지 기술은 진짜 대박이네.
폴드로 고사양 게임은 솔직히 어려움... 플립은 아에 불가하고...
폴드6 사용중인데 고사양 게임하면 발열때문에 한 10분만 지나면 프레임 드랍 끊김 발생함... 발열 나타나고 나서 옵션 최하로 해도 그럼...
혹시 고사양 게임 중에 어떤게 예시가 될까요? 구체적인 게임 이름 부탁드립니다. 궁금해서요.
그러니까 엑시 제발 좀 그만 넣어...
진짜 이름만 들어도 열받아요
엑시를 완전히 포기하면 삼성 입장에선 퀄컴에 완전히 끌려다니는 건데 절대 포기 못하죠... ㅎㅎ
게이머중에도 모바일은 손 안대는 사람 많아요 저도 절대 모바일은 손 안댐.. 접근이 쉽다 뿐이지 재미의 깊이도 떨어지고 비용도 결코 적지않게 빨아먹으니..
국가의 미래를 생각하면 엑시는 쭉 나와줘야 됨.. 차라리 게임이 안돌아가는것도 괜찮을듯.. 애들한테는 게임 안되는 폰을 사줘야지.
전략적인 측면이나 비모바일 유저들을 위해서나 엑시는 꾸준히 나와줘야 함 그렇게 시간이 지나다 보면 스냅드래곤 싸다구 후려칠것도 만들 수 있을거고
지나가는 앱등이는 싱글벙글
모바일은 사실상 양손 엄지로만 플레이 할 수 있어서 컨트롤 제약이 심한 느낌이라 안 좋아했는데
의외로 시장이 엄청 큰것 같네요. 예상하지 못한 크기
모바일 FPS의 경우엔 파지법이 있어서 손가락 갯수에 따라 n핑거라는 이름으로 불립니다
양손 엄지만 쓰지않고 보통은 양손 엄지 검지 중지까지 쓰는편이죠 대표적으로 인도 및 서아시아 쪽에서 PC게임보다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펍지 모바일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선수들이 4~5핑거라는 파지법을 사용중입니다
@ 게임만 하려고 바닥에 놓고 해야지만 가능한 거네요
@@One_can_contemplate 아뇨 손에다 들고 하죠 자이로스코프라고 모바일기기 기울기를 인식해서 기기 화면을 돌리는 것 뿐 아니라 기기 자체를 돌려도 에임이 돌아가는 기능이 있어서 보통 프로선수 및 랭커 유저들은 자이로스코프 기능을 사용하고 모바일 기기도 양손으로 들고 합니다
이해가 잘 안되시면 펍지 모바일 프로선수들 손캠 검색해서 보시는것도 좋구요 별로 관심없으시면 그렇구나하고 넘겨주십쇼
@@One_can_contemplate 게임패드 같이 호환되어 부착하는 부착물이 있더라구요
폴드 2년째 쓰고 있는데 그나마 큰회사 게임들은 괜찮은데
퍼즐류 게임들 같은경우는 아직도 비율 이상하게 잡히는 경우가 많아서
비율만 제대로 잡아주면 큰화면 좋아하는 사람들은 폴드이전으로 돌아가긴 좀 아쉽죠
모바일은 모바일 나름의 장르가 구축되는거지 솔직히 모바일에 엄청난 그래픽이나 퀄리티는 애초에 하드웨어 환경상 충분히 즐기기 힘들지여
예를 들러 같은 영화를 봐도 큰화면에서 보고 싶고
특히 디스플레이나 해상도 문젠 모바일이 어쩔수가 없으니까
0:53 노트북이라는 폼팩터도 열관리 하기 쉽지 않은데, 휴대폰이란 폼팩터는 더욱 심하죠...
과연 마법의 이팩트가 소서러의 선택 기준이였을까?ㅋㅋㅋ
앞으로 모바일기기 쪽으로 눈이 갈수밖에 없는게, pc하드웨어는 채굴꾼 때문에 가격이 떨어질 생각을 안하니, 같은 돈이면 완제 태블릿에 블루투스 키마 달고서 쓰는게 훨신 싸게 들어가기 시작 하는것도 있죠.
실제 갤럭시 탭 제품군으로 넘어가면 아에 게임용 서브pc를 노리고 달려있는 옵션이 꽤 많습니다.
너무 하이엔드만 보고 말 하는 거 아님? 컴퓨터에 모니터 포함 80만원만 써도 스마트폰 사양 한참 뛰어넘음
레드매직이나 로그폰만 봐도 게이밍폰이 나오고 있는데, 정작 국내에는 서비스 센터나 그런게 없어서 사고싶어도 살 수 없고, 거기다 해외직구만 있어서 더 힘듬
환세취호전 폴드로 했나? 그냥 되게 작은 태블랫인줄 알았는데... 진짜면 주름개선 엄청나네
폰게임인데도 불과하고 언제나 PC로 위주로 하게되고 모바일 회사 측에서도 PC클라라던가 니즈에 맞춰서 진화해서 모바일로 해야한다는 생각이 별로 안들었는데
내 생각보다 모바일 시장은 더 진화한거 같아서 언젠간 폰으로 대회하는게 더 늘을수도 있겠군요 재밌게 봤습니다
이번에 우수상 받은 ‘트릭컬 리바이브’ 플레이 해주세요ㅎㅎ
테마 스토리 “슬기로운 메이드 생활 ” 재미있어요!
9:27 게이밍 스마트폰의 위엄
이거폰 뭔가요 24? 24 울트라?
해외 게이밍 로그폰8프로 로그폰 9 프로 사용중이고 레드매직9랑 10시리즈 스마트폰 쓰는 유저인데 솔직히 말하자면 국내폰보다 쿨없을때 발열온도 적구요 쿨러있을땐 온도가 일반 갤럭시 아이폰보다 발열잘잡힙니다.
로그폰9 별로 너프 별로입니다
폴드는 아직 화면 지원안하는게임이 많아서.. 화면이랑 캐릭터만 크고 정작 볼수있는 화면은 좁아지는 강제 돋보기 행 되는 경우가있어서 불편한점도 있드라구요 아쉬움
영상에 나온것과 달리 폴드 내부패널은 시야각에 따른 색감 변화가 있습니다
화면 비율의 경우에도 TFT는 폴드 비율 제대로 지원하기 시작한게 작년이고 이번에 새로 나온 포켓몬 포켓의 경우 내외부 모두 비율이 이상하게 출력되는 문제가 근 1달간 지속 되고 있습니다
상기 게임들 처럼 개발단계부터 기기제공을 하지 않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이런식으로 모든 앱마다 해상도가 저열하든 2차적 문제가 산적된 경우가 많으니 어지간하면 울트라로 하시는게 속편할겁니다
폰겜이 낫고 온라인 머드겜이 낫고 콘솔겜이 낫다 이런것보다는 모든 게임의 영역에서 본인이 최대한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장르를 선택하는게 진짜 게이머인듯. 물론 악성BM이나 과도한 확률형 아이템은 지양되어야 겠지만요 :)
갤럭시 개발자 커뮤에서 명조 회사 신규 회사라고 했던거 생각나네
삼성이 진짜 열심히 노력은 함..
구조 태생적으로 아이폰 대비 최적화가 어려운걸 알고 적극적이겠지만. 이렇게나마 해주니 경쟁하지
1:33 이건 개인적으로 좀 다른데..
한국에 나오는 게임이 거진 리니지 라이크였고
pc게임에 비해 핵 과금이 필수인지라...
전 폰으로만 게임을 하는 편인데 컴퓨터는 정말 대학생 되고 시도해봐서 키가 아예 적응이 안 되더라고요... 그래서 하면 엄청 느리고 삐그덕대는데 폰으로 하면 자연스럽게 움직여서 컴으로 게임하는 기획자 여친이 신기해해요... 폰으로 게임을 어떻게 하냐고...
근데 나도 그림 안 그렸고 수시로 폰 압수 안 당했으면... 패드까지나 쓰지 컴퓨터 게임 안 해보긴 했을 듯
내년 s25가 모든 모델 스냅드래곤 달고 성능 날아오른다는 소문이 있으니
폰 바꾸실 분들은 조금만 참으세요
발열과 배터리광탈도 날아오른다네요
원가절감의 추억!을 떠올리면 좋다고 할수있을지 탑제한 스마트폰들보고서 25구매 결정해야할듯
@@김준영-l3n6k이미 스냅드래곤 8 엘리트 탑재하고 출시한 여러 기기들 실성능 테스트 해보면 A18 Pro보다 성능은 더 좋으면서 발열도 더 낮게 나온단다 좀 찾아보고 씨부려라
@@김준영-l3n6k 스냅드래곤8 엘리트 전성비도 좋아졌다고 들었는데 찌라시였나요??
@@민경준-o8x ㄴㄴ 지금 스냅 욕하는 AH77I들은 걍 분탕아이폰유저들임ㅋㅋㅋ스냅8 탑재한 대부분 폰들이 성능 전성비 발열 미침(긍정적으로) 간만에 애플 따냐?얘기나올정도로 / 근데 진짜 발열 있던 폰이 있긴 했지만 그건 극소수의 중국폰이고 대다수가 대박터트림
전용패드가 있음 해보긴 할듯하네요. 전 화면을 손으로 터치하는 것은 아무리해도 시야도 그렇고 불편해서요.
폴드가 매력적이네..아이폰만쓰는데 폴드때문에 갤럭시가고싶어짐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외국산 게이밍 특화 스마트폰들도 많이 들어와서 시장경쟁이 이뤄졌으면 좋겠습니다
물 같은 걸 끼얹나 ㅋㅋ 되게 오랜만에 듣네요 3:00
2020년때부터 노트10으로 원신을 했었는데 폰뽑기가 잘되었던건지 렉이나 발열은 딱히 없었던거 같네요 ㅇㅇ 그 이후로 노트 20 울트라 쓰었고 현재는 S24 울트라로 원신, 스타레일 명조 다 돌리고 있는데 그닥 불편함을 못느낌 ㅇㅇ;; 단지 누르는 느낌 없다보니.. 버튼 잘못눌리는정도??! 그거뺀곤 그닥.......내가 삼성폰을 칭찬할때가 있네-ㅅ- 가격만 생각하면 이가 갈리지만......다음 폰부터는 못살지도 ㅋㅋ;; 가격 작작올려 삼성 #@#쉐키들아.........
우리가 어릴적 극혐하던 꼰대스럽던 어른들의 말. "오락은 인생낭비다."
세상의 변화를 인정하지못하면 이제 늙은 꼰대가 되는거다.
크.. 실장님의 갤럭시 광고라니
펄없은 진짜 아이디어 없나보다 ㄷㄷ
그냥 동숲에 마크 얹은 느낌이 너무 강하네 ㄷㄷ
스마트폰도 닌텐도처럼 위아래 슬라이드 조이콘 체결하는 모델 나왔으면 좋겠다 ㅋㅋ
한국의 모바일게임= 확률형 도박패키지= 안하는게 나음. 외국게임사가 롤같은 명작을 개발하는것외엔 한국게임사들에게 기대할수가 없음.
옛날에 2005년 이전에는 한국이 게임강국일때도 있었지..
근데 게이밍 폰이면 아이폰을 사고 말지 안드로이드는 태생적으로 별로 아님? 폰겜만하는 사람들은 폰은 안드로이드 써도 패드는 아이패드 쓰는 느낌으로다가
스마트폰 좋지만 화면이 작아서 눈이 아프고 건강을 위해서 저는 pc모니터로 하는걸 선호 합니다
오 잘보고갑니다.
스냅드래곤 8 엘리트를 탑재하고 출시한 기기들 실성능 테스트 결과들을 보면 원신, 젠존제는 풀프레임 뽑으면서 온도는 A18 Pro를 탑재한 아이폰 16 프맥보다 훨씬 낮게 나옴, 스타레일 역시도 아이폰 16 프맥을 압도하는 수준
이미 S25 국내판은 전량 스냅 확정이라 2달만 숨참고 기다리시면 됩니다
5:30
건승하십쇼! 회장님!!
돈에 지배당하지 마십쇼! 돈을 지배하십쇼!!
회장니이-임!!
하지만 그렇게 pc를 전시해도 스텔라블레이드보다 나혼렙이 대상을 받는 참 이상한 게임대상....
스블은 플스라 적절한 비교는 아닌거 같음
시대가 진짜 모바일이란게 체감이 확돼내
몇년전만 해도 휴대용게임기 샀는데 요즘은 모바일게임 ㅎㅎ
시장크고 대세인건알겠음
우리나라가 pc위주 위쩌고도 다 제끼고 모바일, 콘솔은 그냥 나한테 안맞음..
플스1시절부터 했는데도 키보드마우스가 내가 원하는대로 조작이가능하니
문제는 갤울 24 170만원짜리 똑같은 사양 중국 스마트폰이 출고가 60~70 정도라는 거 엘리트 들어간 모델은 80에 내놔서 이게 참 ㅋㅋㅋㅋㅋ
폰으로 게임 대회 많은 쪽은 중국 동남아 이쪽인데 문제는 이쪽은
중국폰이 꽉 잡고 있는지라
여윽시 AP는 스냅드래곤 ^ㅆ^
그냥 모바일 게임을 안하는게 정답이 아닐까나.. 차라리 스팀덱이나 닌텐도를..
돈 빨아먹는 늪이죠. 닌텐도는 사랑입니다.
실장님 근데 명찰에는 김실장이 아니라 본명을 쓰셨네요 ㅋㅋ
게임을 쾌적하게 하고싶으면 아이폰, 현질 시 할인쿠폰 받아가며 가성비있게 하고싶으면 갤럭시
그냥 폰A시리즈 갤럭시+y700 조합이면 전화 게임 둘다 완벽
폴드가 그나마 국산겜이랑은 지원 잘되긴하는데 해외겜들은 지원이 거의 없다싶이 해서 명방같은거도 폴드 쓰면 화면 넓고 좋을거같지만 다 짤려서 바 보다 구리고
재네들도 늙으면 작은화면 보기
점점 힘들어 질텐데 ㅋㅋㅋ
큰모니터 쓰다가 작은 모니터로 돌아가면 답답함 느끼듯이..
삼성이 위기를 느꼈나보네
광고 많이 하는거 보니 ㅋㅋ
폴드에 게임패드 연결해서 하니 액션겜도 하기 편함
삼성 광고 엄청 공격적이네. 스트리머 광고 쭈루룩
8:20 폰게임에 익숙하지 않아서인지 검지로 조작하는 거 개웃기네ㅋㅋㅋ엄지로 하는 게 더 편할 텐데
게임에만 치중하고 다른거는 다 원가절감한 폰 갖고싶음 전면카메라 빼버리고
전면카메라는 구글플레이 인증 조건이라 빼면 플레이스토어를 못넣는다고 들었어요
환세취호전 오래 기다렸는데, 너무 실망스럽네
겜은 겔럭시 이야 쿠쿠 근데 겜용 겔럭시패드도 만들어줘요
뭐 역시나 조작감의 문제가 제일 크긴하죠 아무리 터치스크린에 최적화된 조작체계를 갖춘다고해도 액션게임쪽으로 가면 불편할 수 밖에 없슴 그래서 모바일 패드 같은게 필요한감도 있고 얼마전까진 폰겜은 그냥 아이패드로만했었는데 작년인가 기존에 쓰던 헬쥐폰이 상태가 메롱되고 헬쥐는 휴대폰 사업에서도 철수했고해서 갤럭시 폴드4를 샀었는데 예전만큼 아이폰쪽에 비해서 엄청떨어지는거 가진 아니라서 잘쓰는중입니다 진짜로 전에는 아이폰쪽으로 게임하는거랑 안드로이드폰에서 하는게 이게 같은 게임인가 싶을정도로 인게임 경험이 달랐었는데 말이죠
ASUS ROG 9Pro, ZTE RedMagic 10Pro, OnePlus Ace3, Redmi 이런 겜이에 최적화 폰을 보시죠, 아마추어 같이 삼성 겔럭시 리뷰하지 마시고
원가절감이 잘 되어있나요?
한때는 비용 절감만 추구해서 엉망이었는데..정신 좀 차렸나?
한국 겜중엔 모바일로 eSports할 만한 게임이 없지 않나
폴드 = 4:3 에뮬 게임(패밀리~플스2) 몰입도 최고임
아 근데 아무리 그래도 마우스 정밀도보다는 엄지 정확도가 떨어지는데..
삼성이 이번에 광고비를 엄청나게 뿌렸나보네요. 이제 원가절감만 덜 하면 완벽할 듯.
폰게임은 태생부터 컨트롤 어려워서 재미없지 않나요
어머!...
헤드폰이 작...
지팡폰 생각나는구먼
중국 동남아만 봐도 모바일배그 모바일 롤 대회규모 엄청남
아이폰 쓰면 되는거 아닌가...
게이밍폰 한때 사려고 했었는데 1년쓰면 문제점들이 나타나는 후기들을 보고 포기했는데.. 정발도 아니고.. 직구하면 가격이 오르고 우리나라에선 절대 게이밍폰 안나옴 ㅋㅋㅋ s25 나오는것도 욕 엄청 먹고 있는데 ㅋㅋㅋ s25울트라 사느니 lte 없지만 y700 시리즈를 사겠음 ㅋㅋㅋ 얼마 차이야 ㄷㄷ;;;
근데 왜 갤럭시임? 아이폰이랑 성능차이가 2년은 더 나는데
아이폰이 겜성능은 좋지..
쓰레기 안좋다
게임에 모바일이 묻는다면 똥망겜 되는거 확정 아닌가요?
Y700세대별로 삿지만 노태문 구속 시킬때까지 갤럭시는 거른다
게임은 아이폰이 GOAT....
28초전은 못참지
노태문 엑시노스
2:22 짝퉁 동물의 숲?
그래...삼성아... 플래그십은 엑시말고 스냅 넣으면 ㅇㅈ
22울트라로 엿먹은 기억이 있어서 갤럭시 브랜드에 대한 불신이 사라지지가 않네요 ㅋㅋ
이번에 나온 칩셋이 애플 압살해버려서 기대하셔도 될듯
@@lIllIlIllIlIllI 엘리트 말씀하시는 거면 발열잡는다고 22울트라때 처럼 소프트웨어로 장난 질 할까봐 더 신뢰가 안가네요 ㅋㅋㅋ
@@IDK-xx8yy 그건 바로 다음 세대부터 완화했고 그 뒤로는 이슈가 된 적이 없어서 지켜볼만합니다
@@IDK-xx8yy전력, 성능, 유지율 모두 이겼지만 '더 신뢰가 안가네요'
@@jung13113 지금 실기기로 이미 발열 프레임 전성비 다 따잇! 한거 돌아다니는데요? 갤럭시가 미출시지 8엘리트 단 기기들 이미 it유튜버들이 씹뜯맛 다했으니 찾아보세요 ㅋㅋㅋㅋㅋㅋ
불안정하고 무조건 무지성으로 한국독점적인 갤럭시따위보다 난 ROG Phone 9 Pro Global이 갖고싶다😢
콘솔 꼰대들만 아직도 콘솔 고집하지~
사양 안되는 잼민이들 이제는 모바일로
솔직히 게이밍 스마트폰은 아이폰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