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쇼핑에서 산 메주로 장 담갔는데, 메주 속에 푸른 곰팡이가 생겼어요. 푸른 곰팡이는 해로운 곰팡이일까요? 이 콘텐츠는 인공지능 가상 연기자 서비스, 타입캐스트를 활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출연진: 선영 typecast.ai?attributeId=6261e0a2e7bd9d49235fcf38
영상 속의 균은 푸른곰팡이가 아닌듯 합니다. 메주의 주된균인 황국균(누루균)이 맞는듯 이름 그대로 노란색이 아닌 황녹색이 맞습니다. 시중에 판매중인 황국균의 색이 황녹색이며 메주 등 자연적인 발효시 처음 흰색포자로 메주 표면에 나타나며 메주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틈으로 메주 중심부의 수분을 필요로 하여 안으로 침투되면서 발효하는데 흰색>노란색>황녹색>짙은갈색으로 변하는것이 정상입니다
영상을 보면 29초 지점에 사용설명서가 나오는데요, 7번에 보면 끓이라고 나와 있어요. 아따맘마님의 말씀이 맞는 것 같아서 자료를 좀 찾아봤습니다. "맛의 변질을 막고 농축된 맛을 얻기 위해 끓인다. 이럴 경우 유익균이 자리를 잡는 데 시간이 걸린다" 라는 자료가 있네요. 결국 선택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설명서에 6개월 이상 숙성을 권고한다는 게 이런 이유 때문인 것 같습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자세한 설명과
친정 어머님의 오랜 경험이 담긴
된장 담그기 영상~
많은 도움이 됩니다.
푸른곰팡이 정보도
유용하네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요즘 보기 힘든 메주관련 좋은 정보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친정어머니의 오래된노하우공유도 감사합니다!!^^
친정엄마 아니었으면 아마도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푸른 곰팡이가 나쁜 게 아니었네요.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숙성되면 맛있을것같아요~
싱겁지만않으면 맛난된장이됩니다.
감사합니다.
영상 속의 균은 푸른곰팡이가 아닌듯 합니다. 메주의 주된균인 황국균(누루균)이 맞는듯 이름 그대로 노란색이 아닌 황녹색이 맞습니다. 시중에 판매중인 황국균의 색이 황녹색이며 메주 등 자연적인 발효시 처음 흰색포자로 메주 표면에 나타나며 메주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틈으로 메주 중심부의 수분을 필요로 하여 안으로 침투되면서 발효하는데 흰색>노란색>황녹색>짙은갈색으로 변하는것이 정상입니다
그리고 저렇게 황균균을 강제 주입해서 만든 메주는 비추입니다. 저도 예전에 같은 제품 사봤는데 그럴봐야 알메주로 검색해서 알메주. 구입이 나을듯 합니다. 시중에 개량메주를 전통메주 파는 곳 많습니다.시골 전통시장에서도 팔더군요. 생산자와 직접 통화해서 확인하십시오.
좋은정보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지금 된장가르다가 푸른곰팡이가 가득ㅠㅜ
물이 묻지도 않았네요.누군독이라고 누군 3년후 사멸된다하고~~
재밌게 봤습니다
푸른거탑 같은 나레이션 재밌었어요 ~ㅋ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아리가 아니라서 그런지 간장이 너무 안 우러났네요.
푸른곰팡이는 메주 발효될 때 이미 자리잡은 거지요.
메주 사는 곳을 바꾸셔야 할 듯요.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헐, 분리간장을 끓이면 미생물이 다 죽어요
영상을 보면 29초 지점에 사용설명서가 나오는데요, 7번에 보면 끓이라고 나와 있어요. 아따맘마님의 말씀이 맞는 것 같아서 자료를 좀 찾아봤습니다.
"맛의 변질을 막고 농축된 맛을 얻기 위해 끓인다. 이럴 경우 유익균이 자리를 잡는 데 시간이 걸린다" 라는 자료가 있네요.
결국 선택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설명서에 6개월 이상 숙성을 권고한다는 게 이런 이유 때문인 것 같습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푸른곰팡이 먹으연 큰일 납니다. 발암물질입니다. 메주는 아주 좋지 않은 재료입니다. 그냥 콩을 삶아서 바로 소금물에 담가서 60 일 후에 된장 간장 분리하세요 전통식품이라는 미명이 우리를 아프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