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노벨화학상: 인공지능을 활용한 단백질 구조 예측 및 설계 (백민경 서울대 교수)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최고의 전문가들에게 듣는 한림원 노벨과학상 해설강연 시리즈-
2024년 노벨화학상 수상 업적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단백질 구조 예측 및 설계 '인데요.
데이비드 베이커 교수는 💻AI를 활용해 지금까지 불가능하던 완전히 새로운 종류의 단백질을 만드는 방법을, 하시비스 CEO와 점퍼 수석연구원은 단백질의 복잡한 구조를 예측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AI모델🤖을 개발한 공로로 상을 수상했습니다.
수상업적을 13분 만에 완벽히 설명합니다!!
해설자는, 데이비드 베이커 교수의 제자로서 함께 로제타폴드를 개발한 핵심 연구원이자, 현재 AI 활용 단백질 구조와 상호작용, 결합구조 예측 등 생체분자 기능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선도적 연구를 수행 중인 👩🏫백민경 서울대 교수님께서 맡아주셨습니다! 👍👍👍👏👏👏
한 번 들어보시죠! 😊😊😊
[상세정보]
수상자: 데이비드 베이커(David Baker) 미국 워싱턴대학교 교수
데미스 하사비스(Demis Hassabis) 딥마인드 CEO
존 점퍼(John Jumper) 딥마인드 수석연구원
강연자: 백민경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강연내용
00:01:14 1. 💻노벨화학상, 왜 단백질 연구와 인공지능에 주목했을까?
00:05:12 2. 🤖인공지능과 단백질 구조 예측
00:08:55 3. 😊새로운 맞춤형 단백질의 설계
00:11:26 4. 👏노벨상 뒤 수많은 연구자들의 노력
#노벨과학상 #2024노벨화학상 #알파폴드 #로제타폴드 #백민경 #인공지능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