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과 일본인의 정신구조 차이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січ 2024
  • 촬영에 도움을 주신 ‪@masudatherapy‬ 님 감사합니다
    -
    정신과 의사들이 들려주는 솔직하고 은밀하고 자상한 정신건강과 마음이야기 '뇌부자들' 입니다.
    심리, 정신질환, 책이나 영화 분석 등 다양한 주제를 이야기합니다.
    사연, 궁금증, 피드백
    brainrich6@gmail.com 이나 댓글로 부탁드려요!!
    뇌부자들 오디오클립
    audioclip.naver.com/channels/...
    뇌부자들 팟캐스트
    podcasts.apple.com/kr/channel...
    #정신과 #정신과의사 #일본

КОМЕНТАРІ • 828

  • @brainrich6
    @brainrich6  4 місяці тому +48

    日本語 字幕 追加. 감사하게도 요청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일본어 자막 추가하였습니다! 또한 마스다 님 채널에도 이 영상의 다른 버전이 업로드 되어 있는데요, 저희가 시간 상 편집해낸 부분들도 있으니 참고하실 분들은 추가로 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 ) ua-cam.com/video/aXeu-eFJbgE/v-deo.htmlsi=GBxZT6QzK3frMElG

    • @user-iu2ef7kk6c
      @user-iu2ef7kk6c 4 місяці тому +11

      日本語字幕の希望を叶えて下さって、心から感謝の気持ちでいっぱいです。先生方、本当に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韓国が大好きで、国民の皆さんや風習などたくさん知り、勉強して韓国を訪れるのが夢です。
      それぞれの国の精神科の在り方、患者さんなどの特徴や違いなどすごく楽しみです。今から字幕付で観てきます😄

    • @kge8425
      @kge8425 4 місяці тому

      ​@@user-iu2ef7kk6c韓国人です!
      韓国について友好的な感情を持って下さって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韓国と日本はいろいろ似てるところが多いので、両国の精神科医が協力すればより沢山の人達のメンタルをケア出来るんじゃないかな、と思います。
      ヘタな日本語失礼しました。
      私もいつか日本をツアーするのが夢です!
      是非、韓国に遊びに来て下さい ❤

    • @hanana0122
      @hanana0122 4 місяці тому +4

      감사합니다🙇‍♀️😊 열일하시는 뇌부자들 👍👍

    • @SAKURA-zx2ue
      @SAKURA-zx2ue 4 місяці тому +2

      こんにちは。
      益田先生とのコラボとても勉強になりました。益田先生とのコラボには日本語の字幕が出るのですが、それ以外の動画は変換しても韓国語の字幕しか出てきません。日本語の字幕への変換かできるようにする事は可能でしょうか?
      宜しくお願いします。

    • @SAKURA-zx2ue
      @SAKURA-zx2ue 4 місяці тому

      日本語でも読めるようにお願いしたものですか、難しそうですか?
      私の旦那さんがASDを持っており、わからないことや気持ちが苦しくなることがあります。韓国ではどのように指導されてるのか知りたいです。
      韓国の事情もぜひ聞きたいです!
      すいません。お忙しいとは思いますが、コメントも日本語訳がなく理解できてないことをご理解ください。🙇‍♀️

  • @user-yb3xl4bk2h
    @user-yb3xl4bk2h 4 місяці тому +209

    日本人は人に無関心というより、仲の良い人であっても踏み込みすぎるのは良くないという価値観がある気がします。相手のことを気遣ってのことで、関心がないわけではないのではと思います。「親しき仲にも礼儀あり」という言葉があります。あと、都会と田舎でもだいぶ価値観が違っていて、先生がおっしゃってるのは、都会のことかなと思います…

    • @levelB_daddy
      @levelB_daddy 4 місяці тому +22

      서로 지켜줘야 하는 선이 있다는뜻 같네요. 그 선의 경계는 사회,문화,시대마다 달라질 수도 있겠군요..

    • @mamamo9202
      @mamamo9202 4 місяці тому +34

      全く同意
      田舎だとやはり新しい人は良い人か悪い人か見極めるために関わり合いが多いと思います。
      都会の感覚で行くと溶け込めない。
      知ってもらう(関わる事ができる人)努力ができる人は楽しく暮らせるかな。

    • @lr259
      @lr259 4 місяці тому +23

      私も完全同意です。
      「親しき仲にも礼儀あり」、つまり配慮や思いやりをその様に表現していると思います。 
      欧米など、そう言ったことの一部をFakeだと言う人の動画を沢山見ましたが、価値観や見方の違いですよね。 
      根底は、無関心ではなく、配慮や尊重を忘れない様にしようという事だと思っています。

    • @user-im1lf9ss8k
      @user-im1lf9ss8k 4 місяці тому +23

      でも孤独死とかを見たらやっぱり他人に無関心だと悪く表現したくなるなぁ。「親しいなかにも礼儀あり」を盾にして、他人を避けてる部分を美化してるように見える。

    • @user-vi3io4vw7l
      @user-vi3io4vw7l 4 місяці тому +8

      @user-im1lf9ss8k 言いたいこと言ってくれてなんか安心した笑

  • @user-bh5yk3zi5u
    @user-bh5yk3zi5u 5 місяців тому +753

    정신과 전문의들이 최종적으로 목표하는 치료이미지가 모두 동일할거라고 생각했는데 한국과 일본이 다르다는것이 굉장히 놀랍네요.

    • @user-us4py7gv2o
      @user-us4py7gv2o 5 місяців тому +103

      그 나라의 문화와 환경 등에 맞춰 그 나라에서 생각하는 이상적인 정신적 건강상태를 목표로 치료하기 때문에 그렇지 않을까요?

    • @user-lv7xv6fc2u
      @user-lv7xv6fc2u 5 місяців тому +12

      @@user-us4py7gv2o 오 그렇네요.

    • @feriya9
      @feriya9 4 місяці тому +1

      그렇다면 합쳐야 정상이겠구나.....

    • @levelB_daddy
      @levelB_daddy 4 місяці тому +4

      같은 인간이고 사회인이라면 어느나라든 보편성이 있을거라 생각했는데 참 다르네요..

    • @user-lv7xv6fc2u
      @user-lv7xv6fc2u 4 місяці тому +9

      @@levelB_daddy '솔직히 인간적으로~'의 기준이 나라마다 다르죠. 다 자기들이 생각하는 게 보편적인 거라고 여기죠.

  • @infp_intp
    @infp_intp 5 місяців тому +568

    일본 정신과 선생님이 우리나라를 보고 점점 슈퍼맨이 되는 거냐고 묻는 부분이 인상적이네요 진짜 더 잘하고 싶고 더 행복하게 살고 싶은데 그게 쉽지 않아서 다들 발버둥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한계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편해지는 방법이랑 더 좋아지려고 노력하는 방법 둘 다 균형있게 쓰면 좋겠네요:)

    • @user-ql2uc5gb3l
      @user-ql2uc5gb3l 5 місяців тому +32

      제가 과하게 스스로에게 기대하고 무리할정도로 노력하는 부분이 있어서 힘들었는데 슈퍼맨이 되려고하냐는 말에 빵터졌네요😂😂 한계를 받아들이기.. 저에게 저 부분이 필요했던 것 같습니다 정리해주셔서 감사해요❤

    • @helloareyouthere
      @helloareyouthere 5 місяців тому +4

      부작용이 뒤따르긴 하지만 경쟁심리 사회가 완화되면 그 국가는 발전을 멤추게 돼있음. 한국이 일이 많아서 일을 줄여야 한다고 하지만 결국 그 게 발전의 원동력이였고, 지금은 90년대 전까지 비한다면 많이 일하는 것도 아님. 교육 또한 평준화시키면 국민들 지능과 수준이 떨어지고, 국가 경쟁력이 뒤쳐지는 건 당연함. 예를 들어 어떠한 제조업체에 관리자가 소수점에 관한 개념이 헷갈려 착오로 기업에 큰 손해를 끼친다면... 이런 일들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면... 실제로 주변 사람들 중에 소수점 개념조차 잘 몰라서 아무리 말해줘도 못알아들음. 이미 초등 때 다 받는 교육을... 평준화, 대안학교 세대임.. 전문대 출신이고.

    • @unka2007
      @unka2007 5 місяців тому +15

      @@helloareyouthere그니까 필요이상으로 하는 게 문제. 우리나라는.. 그리고 요즘 숫자 관련은 엑셀이나 파이썬 같이 보조툴 돌려서 하는데… 필요한 것만 배우면 되는데 그게 안 되니까 그렇죠.

    • @user-we3uw6hj7h
      @user-we3uw6hj7h 5 місяців тому +10

      ​@@helloareyouthere소수점도 못찍는 사람들이 생기는건 교육평준화 정책이 문제가 아니라 오히려 기초교육조차 못 따라가고 학업경쟁에서 도태되는 학생들이 늘어나는게 문제 아닌가요?

    • @user-we3uw6hj7h
      @user-we3uw6hj7h 5 місяців тому +5

      ​@@helloareyouthere교육 평준화가 안되고 학업경쟁이 과하게 활성화될때
      기초교육조차 못따라가고 경쟁에서 도태되는 학생들이 늘어나는거 아닌가요?

  • @Mmm-fy2qy
    @Mmm-fy2qy 5 місяців тому +136

    둘 다 채널 챙겨봤었던 일본인 입니다!! 같은화면에!!신기하다
    잘 봤어요 감사합니다:)

    • @brainrich6
      @brainrich6  5 місяців тому +17

      오오 반갑습니다 :) 재밌게 보셨다니 감사합니다!

  • @tomadream
    @tomadream 5 місяців тому +275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일본에서 보내고 현재 한국 정신과를 다니는데, 종종 "아 이 문제는 어쩔 수 없지, 수용해야되는 부분 같아요" 라고 말하면 의사선생님께서 "왜 그렇게 말하세요" 하시며 시무룩해하셔서 왜지 했는데 문화적 차이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네요

    • @user-xs5jt3gb8g
      @user-xs5jt3gb8g 5 місяців тому +71

      한국은 남한테 오지랖이 많은대신 적극적으로 도움을 요청하면 남한테 도움을 주는 사람이 많으니까...
      남들에게 본인이 자기표현을 어떻게 하냐에 따라 개인의 인간관계나 개인을 둘러싼 문화적 환경같은게 쉽게쉽게 변하는 느낌이 없지않아 있는듯..?
      그 쉬운 정도가 너무 과해서,
      그 변화가 개인의 삶에는 감당하기 힘들정도라, 그걸 조절해내지 못하면 피폐해진다는 단점이 있지만...ㅠ 'ㅅ'
      영상에 나온 '사람들이 자기 표현을 못한다' 는 것도,
      한국은
      감정표현 함부로 하면
      '얘는 이런 포인트에 이런 감정을 느끼는 사람'이라고
      사람들 사이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칠 낙인이 찍히는데,
      그 낙인이 사람들한테 퍼질때 좀 왜곡되서 퍼지거나,
      사람은 변했는데 그 사람에게 찍힌 낙인을 뒤바꾸지 못하면 거기서 인간관계 스트레스가 생기는 거라..ㅋㅋ
      이 영상에 나온대로라면
      정신과 치료도
      일본은
      '상황을 받아들일수 있도록 도와줄게'라는 느낌이면
      한국은
      '이정도의 감정표현 한다고 ㅈ되지 않아! 화이팅!'
      +'그 사고방식/행동은 좀 위험한것같아!수정바람!'의 콜라보임..

    • @tomadream
      @tomadream 5 місяців тому +11

      @@user-xs5jt3gb8g 아 맞아요. 진짜 그래요😃
      +
      다시 찾아와보니 윗댓글이 더 자세하게 수정된 것 같아요. 상세한 설명 정말 감사드립니다

    • @hjlee1811
      @hjlee1811 4 місяці тому +6

      ​@@user-xs5jt3gb8g도움을 주는 사람이 많다고??ㅎㅎ

    • @user-xs5jt3gb8g
      @user-xs5jt3gb8g 4 місяці тому +3

      @@hjlee1811 ....학교 나오고나서 목표가 서로 상충되는 사람들로만 둘러쌓여있으면 없겠지만...이해관계가 일치하는 사람을 어떻게든 찾아내고나서, 목표가 상충되는 사람이 내 인생에 끼치는 영향력을 어떻게든 통제하고나면 그 다음은 쉽지..않나...? 그전단계가 ㅈㄴ어려워서 글치...

  • @Napolitan_spagetti
    @Napolitan_spagetti 5 місяців тому +337

    일본은 지진, 쓰나미 등 자연재해가 자주 발생하는 곳인 동시에 섬이라 고립의 정서가 강하다는 연구를 읽은 적이 있는데, 자연재해는 인간의 힘으로 극복할 수 없고 섬이기 때문에 도망갈 곳도 없어서 수용의 정서가 문화의 일부가 되었다는 내용이 굉장히 납득이 가더라구요. 이 정서가 한국과는 굉장히 다르기 때문에 어떤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 자체가 많이 다를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다만 '과거의 일은 지난 일이다, 어찌할 수 없다'라는 식으로 지난 일을 대한다면 이미 정신적으로 지쳐서 그 일에 대응할 수 없는 환자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겠지만 문제의 근본적인 것을 들여다보지 않고 덮는 것으로 해결한다면 후에도 같은 문제가 되풀이되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가 되기도 합니다. 이 또한 일본인의 시선에서는 '한국적인' 접근방식으로 보일 수 있겠지만요😂
    아무튼 흥미롭게 잘 들었습니다!

    • @user-sj2ee3rr1o
      @user-sj2ee3rr1o 5 місяців тому +60

      일본이 역사 문제 인식하는 방법과도 상당히 비슷하다고 생각되네요 😅

    • @user-lv7xv6fc2u
      @user-lv7xv6fc2u 5 місяців тому +64

      @@user-sj2ee3rr1o 핵폭탄 맞은 것도 비슷하게 생각합니다. 일본이 전쟁을 일으켰기 때문에 자업자득이라고 생각하기보다 '이미 끝난 문제, 이미 끝난 역사'라고 생각하는 거죠.
      '미국에게 복수해야겠다' 이런 생각은 거의 없죠.

    • @user-lv7xv6fc2u
      @user-lv7xv6fc2u 5 місяців тому

      @@user-sj2ee3rr1o 천황이 무조건항복을 선언하고, 미군이 일본 열도에 진주했을 때 많은 일본의 민간인들이 성조기를 들고나와서 환영을 했는데요.
      이 민간인들은 2달 전만 해도 '귀축영미 타도'를 외치면서 죽창 훈련을 하던 사람들이거든요.
      그런데 어떻게 이런 태세전환이 가능했냐하면, 일본에서는 700여년의 무사시대 동안 서로 정복하고 정복당하는 일이 비일비재했기 때문에,
      그런 '힘의 이동'에 맞추어 사람들이 순응을 재빨리 해야 생존에 유리했죠. 또 다음 재기의 기회를 노리기에도 유리했고요.
      이런 것이 일본의 정신문화에 녹아들어서 '힘의 이동'에 맞추어 순응을 하는 걸 '자연스럽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그래서 한국이 병합된 일제시대에 대해서도 '그땐 제국주의시대라서 일본으로서도 어쩔 수 없었다'라는 식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일본은 오랜 내전과 치열한 경쟁의 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도덕적이고 아름답고 평화로운 시대'가 디폴트값이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일본인에게 있어 디폴트값의 세계란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상태'인 것이고, 그것이 시간의 흐름 속에 전쟁 또는 평화로의 변주가 이루어질뿐이라는 관념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중국이 생각하는 세계관과는 정말 많이 다릅니다.

    • @a.n.a5873
      @a.n.a5873 5 місяців тому

      ​@@user-sj2ee3rr1o일본인들은 "과거는 과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미국에 의해 원자폭탄이 떨어지고 민간인 대량 학살이 이루어진다 해도 현재 미국인들에게 책임을 묻지 않습니다. 그러나 한국인들은 그 반대로, 전쟁을 경험하지 않은 현역 일본인들에게도 끝없이 전쟁 책임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곧잘 과거를 잊어버리는 일본과 미래를 고려할 수 없는 한국, 양쪽에 문제가 있습니다.

    • @user-hz1vs6cy3f
      @user-hz1vs6cy3f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일본의 쇼가나이(어쩔수없지)는 거의 주문처럼 해결책이 됩니다. 냄새가 난다면 뚜껑을 덮는다, 좋은것은 안으로 나쁜 것은 밖으로. 등등은 일본의 유구한 국민성이에요. 문제를 직면하지 못하는 문화가 문제의 근원이라고 생각해요

  • @pulm8040
    @pulm8040 5 місяців тому +135

    한국은 치료의 목표가 긍정적 자아상의 회복과 사회 복귀인 것 같고 일본은 치료의 목표가 사회 복귀 안 해도 되니까 살아있어라인 것 같음

  • @arale-chan7
    @arale-chan7 5 місяців тому +170

    編集が丁寧でわかりやすいですね✨️
    身体疾患は世界中で変わりは無いと思いますが、精神科は文化や人柄、社会背景などにより大きく変化することがわかりました!
    コラボ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 @user-tj8op1kw9n
    @user-tj8op1kw9n 5 місяців тому +265

    한국인들은 치료의 목적마저도 배움과 발전이라는 대목에서 소름 끼쳤어요;;; 슈퍼 히어로 같은 더 나은 나, 가 되기위한 치료라니.. 결국 우리는 치료에서마저도 남보다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한.. 남에게 뒤쳐지지 않기위한 압박에 시달리는 걸까요.. 지금 상황보다 나아지기 위한 치료 마저도 향상심에서 비롯된다는것에 무릎을 탁 쳤네요

    • @user-qs5tk1dj2i
      @user-qs5tk1dj2i 5 місяців тому +57

      더 나아지고 발전하고 싶어하는건 사람의 본능이고 긍정적인 면모라고 생각해요
      다만 그 향상심이 내가 행복해지고 더 나은 삶을 살고 싶어서 생긴게 아니라
      주변의 압박감에 의해 생긴 거라면 문제라고 봅니다

    • @user-tj8op1kw9n
      @user-tj8op1kw9n 5 місяців тому +50

      @@user-qs5tk1dj2i 저도 그렇게 생각했는데 지금 일본 쪽 이야기를 들어보니 향상심이라는건 인간에게 공통적으로 있는 마음은 아닌것 같아요 한국이 왜이렇게 향상심을 모두가 가지고 있는지 연구대상이네요 다른 나라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괜찮아 가 더 보편적인것 같기도 해서요

    • @ggomang.garden
      @ggomang.garden 5 місяців тому +21

      @@user-qs5tk1dj2i아니에요 그냥 지금 그대로만이라도 유지하고 살고 싶은 사람들도 많아요 사람이 어떻게 맨날 발전적일수가 있나요? 부정적인 측면이 더 많을 수 있습니다

    • @user-vm6xn4sz3u
      @user-vm6xn4sz3u 5 місяців тому +41

      ㄴㄴ 남보다 나은 나가 아니라 지금의 나보다 나은 나를 추구하는거임 지금의 자신에게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니까

    • @user-yb6wn7dk6k
      @user-yb6wn7dk6k 5 місяців тому +24

      공감입니다. 한국은 오늘보다 더 나은 나가 되기위해서 노력을 해라.. 일본은, 지금 자신의 모습이 별 문제가 없는데,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니 괴로운거다.

  • @minzzang1227
    @minzzang1227 5 місяців тому +307

    경쟁심한 한국살다 일본오니 저는 너무 편하더리고요. 벌써 18년째인데.. 한국 안돌아가는 이유도 인간관계인데.. 어느정도 거리두고 사는게 맘편합니다.. 그리고 욕심안부리고 자기 할일만 열심히 잘하고 주변에 폐만 안끼치면…그닥 크게 문제없이 잘살수 있는 나라인거 같아요.마스다선생님 말씀은 저는 이해되요ㅎ..

    • @ykim4628
      @ykim4628 5 місяців тому +10

      공감합니다.

    • @user-ou22g8z22
      @user-ou22g8z22 5 місяців тому +10

      공감합니다.

    • @user-sm1sv2cg9u
      @user-sm1sv2cg9u 5 місяців тому +59

      스웨덴 사는데 여기도 남한테 관심 없어요....
      동네에 동양인 저하나밖에 없는데 인종차별도 한번도 안당했구요

    • @tetuyokawa2478
      @tetuyokawa2478 5 місяців тому +9

      극공감

    • @y.m3914
      @y.m3914 5 місяців тому +20

      저도 일본18년째 동감합니다

  • @jihojio2118
    @jihojio2118 5 місяців тому +54

    한국인은 결국 정신과도 뭔가 더 나아질거라고 보고 가는군요.
    나이지지 않아도 되는 문화, 모잘라도 되는 문화가 자리 잡았으면 좋겠어요.
    어쩔 수 없는 것도 많찮아요.
    내가 약하고 잘나지 않은게 남한테 피해를 주는 것도 아닌데
    왜 자꾸 이래라 저래라
    어쩌니 저쩌니 하는지 피곤하죠.
    그런 문화가 타인의 정신을 건강하게 만들지 않는 것 같아요.

  • @user-ac6lBjie5s
    @user-ac6lBjie5s 5 місяців тому +282

    일본에서 2년간 정신과 다니는데 담당의사쌤이 가끔 왜 이런 대답을 하지? 하면서 아리송한게 있었는데 이번 영상을 보고 담당의사쌤이 말하고자 하는걸 확실히 알게됐어요. 진짜 한국과 일본은 많이 달라요😂 영상 감사합니다.

    • @burrowing
      @burrowing 4 місяці тому

      自分の国で医師にかかれば?と思うが。
      精神医療は公費で21という番号をもらい医療費がタダになるので医療現場で韓国人がそれをもらってるケースが多々見かける。
      自分の健康保険料で彼らの医療費を賄ってやる気がある日本人ならどうでもいいだろと言えるだろうね。

  • @mandukim5377
    @mandukim5377 5 місяців тому +88

    이것 또한 많은 일본의 정신과 전문의들 중에서 마스다 선생님 개인의 사견임을 감안하고 봐야 할 거 같습니다.

  • @luulu3487
    @luulu3487 5 місяців тому +141

    일본에 거주중인 한국인입니다! 마스다 선생님 유투브 평소에 잘 보고 있는데 뇌부자들 채널에서 뵈니까 더 반갑네요 ㅋㅋ
    여담이지만 영상에 나오는 발달장애에는 ADHD도 포함됩니다 한국에서 생각하는 굉장한 중증 수준의 자폐만 해당하는 게 아니라 가벼운 수준의 자폐스펙트럼이나 ADHD, 학습장애도 전부 발달장애라는 큰 카테고리 안에서 다루는 부분이 환자 입장에서는 크게 다른 부분이라고 느껴졌어요 ㅎㅎ

  • @avo_030
    @avo_030 5 місяців тому +117

    일본에 살고있고 일본에서 정신과를 다녀서 마스다 선생님을 알고있었는데 여기서 콜라보를 하다니 신기하네요😮
    일본 살면서 느낀 한일의 차이라던가.. 그런게 마스다 선생님이 말씀하신거랑 너무 똑같아서 놀랐어요. 환자 입장에서 한국과 일본 정신과 둘 다 다니면서 차이도 많이 느꼈는데 정신과 선생님들끼리 말씀하시는 차이점도 새로운 관점이라 재밌게 봤습니다!

    • @user-hz1vs6cy3f
      @user-hz1vs6cy3f 5 місяців тому +9

      타지에서 힘드실텐데 힘내세요

  • @TV-ce7cm
    @TV-ce7cm 5 місяців тому +147

    딴거는 몰라도 지나친 오지랖으로 선넘는 것은 진짜 없어져야함

  • @user-hq1qg6cj8d
    @user-hq1qg6cj8d 5 місяців тому +60

    선이 없어서 오지랖 부림 vs 선을 긋고나서 메이와쿠 강제함

  • @user-np6ni3lg2p
    @user-np6ni3lg2p 5 місяців тому +80

    일본에 살고 있는데, 여태 여러가지 문화콘텐츠를 찾아보았는데, 오늘 영상이 가장 일본사람들을 이해하기 쉬운 영상이였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 @jhermit1224
    @jhermit1224 5 місяців тому +75

    “오지랖 “ vs. “무관심”이라니…
    썸네일 찰지게 잘 뽑으셨네요! 😂

    • @user-ty3rx8tu5v
      @user-ty3rx8tu5v 4 місяці тому

      한국도 점점 개인을 존중해주는 문화로 갔으면 좋갰네요

    • @user-zo5yb9bv5s
      @user-zo5yb9bv5s 4 місяці тому

      @@user-ty3rx8tu5v그럴거같은데 지금더 그런사람많고

    • @user-zo5yb9bv5s
      @user-zo5yb9bv5s 4 місяці тому

      @@user-ty3rx8tu5v대신에 아닌사람들은 아닌사람들끼리 챙기겠지

  • @mindroad
    @mindroad 5 місяців тому +29

    와.. 제가 오래전부터 구독하고 있는 일본유튜버를 한국채널에서도 보다니.. 정말 이런 컨텐츠 너무 좋습니다. マツダさんをここに会えるとは全然予想できなかったですね❗色々お世話になってます

  • @toskaraa
    @toskaraa 5 місяців тому +65

    인상깊게 들었습니다. 양국의 정신건강 현주소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 제가 한국인이라서 그런지 한가지 정말 궁금한것은… 일본인의 무관심은 정말 무관심인걸까요? "무관심한 태도를 취하는 것"과 정말 "무관심"한건 다르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일본어의 "공기를 읽는다"와 어찌보면 정반대의 정서인것 같아서 뭔가 위화감을 느꼈습니다. 어찌보면 우리 모두 서로에게 무관심하기로 했다 라는 암묵적 합의? 는 서로를 굉장히 의식해서 나오는게 아닌가 싶어요. 벽을 높게 쌓는것은 벽 너머의 누군가의 존재를 강렬하게 인식하기 때문인것 처럼요.

    • @rigariga
      @rigariga 5 місяців тому

      無関心というか「私は関わりたくありません」という無言の意識表明?
      空気を読むのはその場の状況を見て動けば空気を読むことになるし。
      目立ちたくない時に使いますよね。
      情報社会になったから自分で関わりたいものを取捨選択するようになったね。

    • @hotjazzbiscuits
      @hotjazzbiscuits 5 місяців тому +4

      그냥 안주고 안받고 관계안맺고 신겅안쓰고 내 편하게 살겠다 이런거요 그래서 그런지 일본사람들 사고가 굉장히 심플합니다 물론 큰 집단에는 속해있어야 마음이 안정되는 게 일본인이예요 단 사람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 @unka2007
    @unka2007 5 місяців тому +106

    일본에서 10년가량 살면서 느낀건 일본분들 현실과 타협을 잘 함. 쪼금 부족해도 괜찮아, 그게 인간이야… 뭐 어때… 이런 사회풍조가 있음. 이건 취업할 때나 진학할 때도 많이 나타남. 우리나라 사람들 보면 자기자신을 못 받아들이는 분들이 많은 것 같음. 나는 나고 너는 너야! 이런 선긋기가 쫌 어려운 사회인 것 같음 …

    • @user-qn1oc9jr4m
      @user-qn1oc9jr4m 5 місяців тому +31

      한국이 확실히 자기객관화가 부족하긴하죠

    • @user-wx9zg6nx2v
      @user-wx9zg6nx2v 4 місяці тому +3

      ​@@user-qn1oc9jr4m개부족함 ㄹㅇㅋㅋㅋ

    • @user-iv2hs4jr3c
      @user-iv2hs4jr3c 4 місяці тому

      일본인들은 자신에 대한 기준이 낮은데 한국인들은 그게 높아서 그걸 따라갈려고함..만약 실패하면 그걸 못받아들이고 정신이 무너짐

    • @fromcomplex5299
      @fromcomplex5299 4 місяці тому +5

      맞아요 그래서 일본살때 넘 좋았는데 한국오니 무한경쟁 항상 부족한느낌 숨막힙니다

    • @jomalonepost9625
      @jomalonepost9625 2 місяці тому +1

      ​@@fromcomplex5299 그럼 다시 가시길 바랍니다.

  • @ajj0301
    @ajj0301 5 місяців тому +39

    굉장히 흥미로운 주제의 영상이네요. 마스다 선생님 말대로 앞으로도 국제적으로 정신건강에 대한 의료진들의 소셜매체를 통한 교류가 더 이뤄지길 바래봅니다. 비슷한 문화권인 일본이나 동아시아 뿐만 아니라 서구권이나 다른 지역 정신과 의사들과도 교류하면서 정신치료에 대한 인식, 치유목적에 대한 대화 계속 나눠주시면 좋겠어요.

  • @walker7151
    @walker7151 5 місяців тому +102

    일본은 예전의 집단주의로인한 반발로 오히려 극단적 개인주의로 가는 느낌이네요. 한국도 4,50대까지는 공동체의식이 기본적으로 깔려있는데 2,30대는 좀 다른듯요.
    신선한 기획,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 @user-by8rd4so3x
    @user-by8rd4so3x 5 місяців тому +43

    역대급으로 흥미로운 컨텐츠여서 댓글을 안 남길 수가 없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미국이나 중국 등의 여러 나라의 정신과 의사분들과의 콜라보를 진행해주셨으면 합니다

  • @YR-wz5id
    @YR-wz5id 5 місяців тому +44

    일본에서 오래 살았었는데, 일본의 집단주의는 애초부터 저희랑은 많이 다르다고 느꼈어요. 원래도 개인주의 문화는 만연했고, ‘남은 남, 우리는 우리’와 같은 말을 일본은 가정에서도 부모들이 많이 하면서 사촌이 땅사면 배아파하거나 비싼 파카를 남이 입히면 내 자식도 입혀야 한다고 생각하는 우리나라 문화랑은 크게 다른 것 같아요.

  • @lilicats7535
    @lilicats7535 5 місяців тому +254

    전 일본에서 정신과 진료를 바라보는 시선인 '치료받는 건 자유지만 폐만 끼치지 마라' 이거 너무 마음에 들어요😭
    오프라인에서는 늘 정신과 다니는 거 숨기고 살거든요.
    약 먹고 병원 다녀도 절대절대 남한테 특별 대우 안 바라고 술에술탄듯 물에물탄듯 살테니 ㄱ냥 다니든 말든 무시해줬으면..ㅎㅎㅎ

    • @son7797
      @son7797 5 місяців тому +18

      이거 저도 너무너무 공감요. 다니는거 갖고 머라 안했으면요..

    • @HAWOLDo
      @HAWOLDo 5 місяців тому +11

      이건 저도 바라는거일거같아요

    • @CHIP-cu9zj
      @CHIP-cu9zj 4 місяці тому +4

      와우.. 전 이말 듣고 냉정하다고 느꼈는데..사람마다 생각하는게 정말 다르네요..

    • @user-fv7vl9ye3l
      @user-fv7vl9ye3l 4 місяці тому +3

      전 미국에서 살면서 정신과다니는데 미국같은 외향형의 나라에서는 선넘고 관심갖는 경우 자체는 한국과 비슷하게나 그 이상으로 많은것같아요. 그런데 여기서 강조하는 것은 남이사 뭐라하건 ‘네가 나에게 무슨말을 하건 멋진 사람인 나를 상처입힐수는 없고 감히 그런 시도를 하지 말아’정신이거든요. 어떤 말을 듣고 (심지어 쌍욕, 뒷담화일지라도) 상처받거나 휘둘리면 어른이 되지 못한걸로 보는 느낌이랄까요? 어짜피 타인은 지멋대로 하고싶은 언행을 할거고 그걸 내가 고칠 수는 없는 건데 타인에게 배려와 이해를 바란다는거 자체가 살짝 위화감든달까요.. 남이 뭐라하면 내가 더 뭐라하던가(실제로 미국에선 이렇게 어드바이스하죠) 무시하면 되지 않을까요?

    • @mimio12
      @mimio12 3 місяці тому

      미국도 그래요.. 남 일에 관심 없으요

  • @naomibigmom
    @naomibigmom 5 місяців тому +61

    発達障害を持つ子の親です。韓国の同じ障害の親の会と交流したことがあります。興味深く拝見しました。国に限らず人それぞれとは思いますが、特徴的な傾向の話を聞くことができたと思います。韓国語を勉強中ですがまだ未熟なため、自動翻訳機能が使用できるようにせめて英語が入っていると助かると思いました。今後グルーバルな情報共有を目指すとのことですので、各国の言語にシェアが可能になるかと思います。面白いコンテンツを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 @studio2nd
    @studio2nd 5 місяців тому +42

    일본에서 일하는 한국인인데 일본 정신과에 가도 무기력해지는 기분이었어요. 그 이유를 알게 되었네요.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 @user-iu2ef7kk6c
    @user-iu2ef7kk6c 5 місяців тому +36

    日本語翻訳ができたらすごくうれしいです!韓国の先生方のお話しも深く理解したいです。(韓国語の勉強が足りなくてごめんなさい。)よろしくお願いします🙇

  • @beo1127
    @beo1127 5 місяців тому +329

    나는 일본교포인데....
    가끔 한국에 갔을때 물어보지도 않았는데..내전화대화를 옆에서 듣고 아하....길잃어버렸구나 라고 알아채고 길을 가르쳐준 아무머니..
    내옷에 뭐묻었는거 모르고 앉아있었던 전철에서 나올떄 옆에서 여기 뭐묻어있어요..라고 가르쳐준 아저씨.. .
    일본에서는 맛보지못한 인간적인 끈끈함과 관심에 마음이 너무따뜻해졌어요.
    이런 문화...이런 따뜻함...한국은 잘간직했으면 좋겠어요.
    일본 따라오면 안되요..ㅜㅜ

    • @JohnLemon9
      @JohnLemon9 5 місяців тому +55

      공감합니다. 저도 일본에 살고있지만 일본의 현재 모습이 한국의 미래 모습이 되는 것만은 정말 정말 막고 싶고, 그렇게 되지 않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변화는 어쩔 수 없지만, 일본은 정말 아닙니다.

    • @user-alwivjuquh3glj
      @user-alwivjuquh3glj 5 місяців тому +53

      좋은 친절 베푸는 분들도 계시지만 오지랖, 참견, 질투 등을 표현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타인이 무관심하면 가끔 섭섭할 순 있어도 스트레스는 안 받지만, 지나친 관심은 필연적으로 괴로움 유발을 합니다..

    • @beo1127
      @beo1127 5 місяців тому +136

      @@user-alwivjuquh3glj 오지랖이든..질투든..참견이든...
      일단 .말을한다는거잖아요?
      언어를 사용한다는거잖아요?
      커뮤니케이션을 통한다는거잖아요?
      여기일본은 일단. 말을 아예안해요. 물론 인사는 겁나잘해요.
      하지만 커뮤니케이션 을 통하지않아요.
      예를 하나들께요
      얼마전에 친구(일본인)가 사는맨션에서 오토바이를 잠시 정주차공간이 아닌 좀옆에 세워두었어요.
      같은맨션에 사는 아저씨가 오토바이가 걸리적거렸는가봐요. 그러면 한국같으면 이놈아 저놈아 어째라 저째라 뭔말을 하잖아요.
      여기는 아~무말없이 그냥 오토바이 키구멍에 접착제를 쏱아부어놓았더래요.
      이게 이들의방식이예요.
      말을 안해요.
      싫으면 싫다..어떻게해달라.요구의 언어소통이 아니라...
      그냥 바로 意地悪(이지와루)괴롭힘이라고 한국어로 하나요?
      그걸 행동으로 해버려요.
      이게 쿨하고 좋아보입니까?
      오지랖이든 질투든...사람은 말로서 서로가 서로를 알고..
      소통하는 동물이예요.
      말을 안한다고 편안할거같죠? 야니예요....
      통함이 없는 사회는 그이상의 심각성을 내포하고있게 마련이예요.
      오지랖...물론 좋은쪽이 100%있을순없죠.
      하지만 좋게든 나쁘게든...통함을 원하는 자세는 아주중요하다고 생각해요.
      한국어가 좀서두없고 긴글이어서 죄송해요.
      한국은 저의모국...아무쪼록 어쩌면 유일하게 좋은점일수도 있는 오지랖..잘간직하고 좀더 성숙한 오지랖문화가 되길 바랄뿐입니다.

    • @user-ts9ho8op3u
      @user-ts9ho8op3u 5 місяців тому +26

      ​@@beo1127😢헉 그런일이.. 질투든 오지랖이든 커뮤니케이션이 되는건 정말 중요한 부분같네요... 지금 한국은 일본처럼 되어가는중이긴한데 뭐랄까
      딱 80년대쯤 한국의 과한 관심과 일본의 무관심 사이느낌이에요ㅋㅋㅋㅋㅋ
      또 관심이 잇긴하지만 나쁜쪽으로만 관심을 주로 두는편인거같아요!

    • @kyuhunkim2912
      @kyuhunkim2912 5 місяців тому +42

      너무 과한 판단이나 편견같은건 한국에서 좀 없어져도 괜찮다고 생각하지만 저도 일본처럼 과한 개인주의 영역으로 넘어가는걸 좋다고 생각하진 않아요. 저도 일본에서 아주 오랜기간은 아니지만 일년반정도 체류한 경험이 있거든요. 일본에서 몇가지 충격을 받았던 일화라면...
      (1) 동료 네명이 탄 차에서 혼자 가방에서 과자를 꺼내 혼자서만 먹는다. 이건 진짜 충격이였어요. 한국에서는 과자까면 가운데놓고 보통 같이 먹거나 먹을래라고 물어보잖아요..
      (2) 분노를 표현하는 방식
      위에 커뮤니케이션이 없다고 하는말 정말 저도 느꼈어요. 일본에선 공기를 읽는다는 표현처럼 말안해도 그냥 알아서 정해진대로 살아가야 하는 것 같아요. 지하철 매표기계에서 어떤 노인이 무언가 잘못했나봐요. 뒤에있던 중년 혹은 청년이 그 노인 뒤통수를 때리면서 "슨쟈나이요!"하고 소리를 빽 지르더라구요. 뭔가 화를 먼저 낸다기보단 규칙을 어겼으니 벌을 받아라! 하고 자기판단에 의거한 분노를 확 표출하는 느낌이였어요.
      이 밖에도, 커뮤니케이션의 부재랄까, 감정으로 사람간에 이어지는 듯한 느낌이 부족해서 일본에 사는걸 포기했거든요. 커뮤니케이션의 부재라는 말이 정확히 그 사회를 포착하는건 아니지만 그래도 한국이 일본처럼 되지도 않을거고 되면 안된다는 견해를 갖고있어서 몇자 적어 공유해봅니다.

  • @hanana0122
    @hanana0122 5 місяців тому +136

    뇌부자들도 마스다선생님도 저의 정신과에 대한 편견을 깨주신 분들이에요 👍 어떤 연결고리로 콜라보 하게 되신건지 궁금하네요 😊
    마스다 선생님은 뭔가 캐릭터가.. 허규형쌤이랑 잘 맞을 것 같았는데 🤭
    한국과 일본의 비교 내용이 양국에서 거주한 저에게 너무 흥미롭고 유익했어요 ! 비슷하면서도 다른 점이 공감이 되네요ㅎㅎ
    지리적인 차이도 사람들의 무의식에 많이 영향을 준다고 하더라구요. 일본은 섬나라라 옛날부터 힘든 상황에서 도망칠 곳이 없고, 갇혀 있는 문화권이라... 그 상황을 적극적으로 타계하려기 보단 자포자기 해버리는 문화가 생겨났다고 일본인이 쓴 책에서 읽었어요. 적극적인 우리나라랑은 다른 부분이 있죠..
    지용쌤 말씀대로 옛날에 일본에도 복작복작 정이 많은 사회 분위기가 있어서 그런걸 그리워 하는 중장년분들이 한국 드라마를 즐겨 보셨다고 하더라구요! 아마 집단사회나 경쟁사회 너무 그런 거에 지쳐 버려서 지금의 분위기가 된 것 같아요. 경제호황기에서 버블이 붕괴되면서 허무함의 정서도 늘어난 것 같구요.. 확실히 한국이 일본의 변화를 닮아가는 부분이 있고.. 한국의 미래를 예측해 볼 수 있어서 양국의 비교가 유의미한 것 같아요 ! 감사합니다😊

    • @hanana0122
      @hanana0122 5 місяців тому +4

      마스다선생님이 뇌부자들쌤들하고 교류하고 싶어서 엄청 용기내서 먼저 컨택하고 열심히 준비하셨다고 들었어요 🤭

  • @limpressive1668
    @limpressive1668 5 місяців тому +20

    일본에 거주중이라 공감과 깨달음을 얻고 가네요. 정말 비슷한 듯 다른 나라네요.
    십년 살아본 경험에 의한 사견은 일본은 전반적인 분위기가 "나도 피해 안 줄테니 너도 피해주지마. 피해주는 순간 아웃이야" 약간 이런 느낌입니다 ㅎ
    절대로 더주고 덜받고 이런 것도 없고요. 그냥 선물 주고 싶어서...가 허용이 되지 않는 ㅎ(바로 답례 돌아오고 비용 칼같이 나눔)
    그리고 무관심인거 같지만 사실 다 일거수일투족 숨어서 지켜보고요 -_-
    지역색이 없어졌다고 하지만 사람에 대한 얘기할때 꼭 나오는데 "ㅇㅇ출신, ㅇㅇ세" 하고 출신지역 꼭 표기해서 신기하다고 생각했거든요.
    무튼 정신과 치료의 골이 다른 건 정말 신선한 충격이네요. 재밌는 영상이었습니다!

    • @mooher7969
      @mooher7969 2 місяці тому

      지역색은 편견이 아닌 엄연한 현상입니다

  • @music-oq7ed
    @music-oq7ed 5 місяців тому +22

    한국과 일본은 깊이 들어 가면 굉장히 다름. 일본어 중에 "쇼가나이"라는 말이 있는데 한국어로 번역하면 "어쩔수 없어"인데 일본인의 내면에 흐르는 정서임. 포기가 빠름. 모인 분위기에서 튀지 않으려고 함. 그리고 뒷담화는 할지언정 앞에서는 거의 표시를 내지 않음.

  • @wariji2094
    @wariji2094 5 місяців тому +32

    마스다쌤!! 저도 좋아라하는데 와~ 너무 신기 ㅋㅋㅋㅋ 저는 유학생이라 정신과를 일본에서 처음 갔어요! 물론 개개인마다 진료 스타일도 성격도 제각각이시라 일반화하기엔 성급합니다만, 일본 선생님은 제가 잠을 못 잔다고 하면 약 용량을 좀 늘려볼까요? 이러면서 제 의견을 최대한 반영시켜주시고 환자에 대해 부정을 안 하시는 느낌이었다면, 한국 선생님은 좀 혼내세요 ㅋㅋㅋㅋㅋㅋㅋ
    한국 귀국 중에 약이 떨어져서, 처음으로 한국에서 정신과에 가게 됐는데, 제가 지방소도시에 살아서 솔직히 기대 1도 안 하고 약만 타고 오자 이랬거든요. 근데 제가 복용하는 약 목록을 보더니 선생님이 걱정하시면서, 땡땡씨 이렇게 드시면 평생 약 못 끊어요… 요러면서 약을 바꿔주셨어요. 결과적으로는 더 호전됨 ㅋㅋㅋㅋ 지난 달에도 오랜만에 갔더니 엄청 놀라시면서 아직도 약 안 끊으셨냐고, 이젠 정말 끊으셔야 돼요라고 말씀하시는데 그게 참 따뜻하더라구요… 저는 한국에서 나고 자라서 그런지 이 말들 속에서 오랜만에 한국 사람의 따뜻한 오지랖?? 을 느낄 수 있어서 참 좋았답니다 ㅋㅋ

    • @rigariga
      @rigariga 5 місяців тому +2

      留学先で精神科に行くなんて苦労してるのね……
      日本人が精神科に行く時は死ぬ手前なんだけど、韓国はもっと気軽に行く感じなのかな?
      日本人は精神科に行く前に行くべきか悩む人が多い。辛くても自分が行ってもいいレベルなのか分からない人が多い。カウンセリングや精神科に行く習慣がない。

    • @wariji2094
      @wariji2094 5 місяців тому +5

      @@rigariga まさか日本の方からコメントがくるとは!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こちらも、死ぬ手前に受診したのでした(笑)。今はだいぶんよくなりましたが!
      こちらの肌感覚としては、それでも日本の方が気軽に精神科に行っていると感じました!10年ぐらい前までも、韓国では精神科に行くことに、ものすごい抵抗感があったのです。そもそもメンタルヘルスについて無知だったといいますか。「記録に残って、就職に不利になるのではないか」とか、周りの目も気にしてたりして・・・。だけどもう、そういうの気にしてられない状況(疲れ切った若者が多い)と、近頃メンタルヘルスへの関心も高まって、10年前と比べて、受診する人が増えました。こうして、精神科の先生たちがUA-camや番組などに出演して多くの共感を得ているのが何よりの証拠です。が、その一方で、相変わらず、精神科に行くことに対する偏見もすごいです(50代以上世代)。

    • @rigariga
      @rigariga 5 місяців тому +2

      @@wariji2094
      韓国そうなんだ……1人で悩む人が多いんですね。
      日本も10年前はもっと関心がなかったと思います。ADHDとか全然知られてなかったし……就職に不利とかまじで悩みが一緒ですねwww
      中年層から高齢者はもう考えが固いので理解してくれませんよね。あの人たちが若かった頃とはかなり時代が変わってますからわかんないんでしょうね。
      教えてくれて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 @user-ww3qp3ij8v
    @user-ww3qp3ij8v 5 місяців тому +56

    엄청난 가스라이팅일지는 몰라도
    영상에서 하신 말씀에 깊이 공감합니다.
    지나간 과거는 이미 지나간 것일 뿐.
    현재의 나에게 어떠한 영향도 줄 수 없죠.
    과거에 매몰돼서 자기연민의 감정만 갖고서는 발전될 수 없어요.
    악깡버.
    악으로 깡으로 버티는 거죠.
    억울해도 이해해야죠.
    저도 정신병 진단을 받고
    지능도 일반인들보다 살짝 떨어진다고
    생각해요.
    그래도 살기 위해 노력합니다.

  • @yellow0707
    @yellow0707 5 місяців тому +24

    저는 지금 일본에 거주하고 있고 제가생각하는 일본사람들의 특성과 비교하며 흥미롭게 보았어요.
    어느쪽이든 극단은 안좋은거같아요. 지나친 관심 지나친 무관심 그가운데를 찾아야 이상적일텐데 말이죠 .
    2024년 모두 건강하시고 조금더 행복해지는 한해가되시길 기원합니다 ~!

  • @jung-eunlee684
    @jung-eunlee684 5 місяців тому +66

    말씀해주신 일본의 개인화 경향이 커진 이유 중 하나가 사회경제적 배경에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지금은 일본도 많이 바뀌었지만, 1950년대 경제발전후 부터 국민모두가 중류층에 속한다 말할정도로, 어떤 직종, 기업에서 일하던 간에 급여의 차가 크지 않았고 보편적 복지제도가 갖춰줘 생활을 누리는데 어려움이 없었기 때문에 개개인이 교육적,사회적 위신이나 성취보다 일찌감치 개인적인 취미나 소비생활에 몰두하게 된것 같습니다. 그에 반해 한국에서는 직종이나 기업간의 월급차이가 크고 국민 모두가 누리는 보편적 복지가 갖춰진 역사가 길지 않았기 때문에 자신의 사회경제적 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교육적, 사회적 성취가 필수인 사회라는 점이 한국과 일본을 오늘날 이처럼 다르게 만들지 않았나 싶습니다. 한편 한국에서도 젊은 사람들이 더 이상 이런 경쟁을 중요시 하는 대신 자신의 소비생활, 취미에 몰두하는 사람들도 있는 반면, 일본에서도 점점 사회적 격차가 벌어지면서 사회적, 교육적 성취에 몰두하는 사회계층, 가족들과, 일찌감치 그런것들을 포기하는 가족들, 계층간의 갭이 벌어지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오히려 일본의 어떤 일부분은 한국 사회처럼 되가고 있구나 하고 느끼는 일도 많답니다 (마스다 선생님들은 주로 병원에 내원하시는 환자분들을 통해 일본사회를 바라보시기에, 제가 보는 일본사회와 또 달리 보여서 흥미로웠습니다^^)

    • @user-zo5yb9bv5s
      @user-zo5yb9bv5s 4 місяці тому

      ㄴ그냥 imf 이후 미국 식 자본주의를 강제로 받아들이게되서 미국식 경쟁주의가 짬뽕된듯

    • @Jelk243i
      @Jelk243i 4 місяці тому

      ​@@user-zo5yb9bv5s한국은 imf 전부터 대 오지랍 경쟁 국가였어요 전 오히려 일본이 긴 디플레이션을 겪으며 사회가 수축된게 아닌가 싶은데요 일본도 한때 입시 경쟁이 심했던 때가 있었음

    • @user-zo5yb9bv5s
      @user-zo5yb9bv5s 4 місяці тому +2

      @@Jelk243i 그땐그래도 이정도까지 경쟁만능주의는아니었음 2천년대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유럽식좋아했는데 mb부터 교육이랑 언론 등에 경쟁만능 심으면서 경쟁도태는 구제불능이라는게 박힌거지

    • @levelB_daddy
      @levelB_daddy 4 місяці тому +1

      와 공감되는 논리적인글이네요...

  • @Shion-kh9fv
    @Shion-kh9fv 4 місяці тому +18

    普段あまり長い動画は見ないのですが面白くて一気に見てしまいました。近い国なのに本当に違うんですね。「情」の文化をうらやましく思ったりもしますが、やはり「無関心」な状態を心地よく感じてしまいます。
    ちなみに、ご存知かもしれませんが、韓国の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は日本の若い世代からも非常に人気があります。むしろ若い世代のほうが熱狂的と言っていいと思います。
    私も鬱を経験しましたが、韓国の音楽やアイドル、WEBTOONやバラエティが強い心の支えになってくれました。おかげで今は寛解しています。本当に感謝しています。

  • @user-qe4mr2kk2o
    @user-qe4mr2kk2o 5 місяців тому +66

    스파이패밀리가 그냥 남에게 무관심한캐릭이 아니라 나혼자서 잘 살수있다 라는 마음을 가진 남녀에 먼치킨인 마음을 읽는 아이가 외부적인 요인으로 뭉쳤다가 점점 정이 들고 서로를 이해하고 알아가게 된다는 점이 재미 포인트인지라.. 젊은 세대들이 겉으론 무관심하게 남에게 민폐만 끼치지 않으면 그만이란 태도로 임하지만 내심 속으론 더 가까워지고싶은 내면이 애니로 드러나는것 같다. 싶네요. 나는 쓰레기야 날 내버려둬 라고 방패를 들지만 내심 속으론 이런 나라도 괜찮다고 해줘 라는 느낌. 결국 오지랖수준은 아니여도 정은 필요한게 현 일본젊은세대 아닐까
    그리고 일본 정신과 의사가 쓴 책을 본적이 있었는데 그 책의 결말이 여기 영상에서도 드러나네요. 제가 치료받으면서 느낀건 충분한 이해 후 수용하는 과정이였는데 책은 체념을 통한 수용이였거든요. 가장 결정적인 차이가 체념과 이해 아닐지

    • @israeldavidleonrodriguez2887
      @israeldavidleonrodriguez2887 5 місяців тому +4

      나 좀 바라줘... 응석부리는 거죠.

    • @user-hd7qd4qc8i
      @user-hd7qd4qc8i 5 місяців тому +6

      이런 나라도 괜찮다고 해줘...라고 생각은 하는데 정작 남은 수용 할 생각이 없는...그래서 화합이 안되는 거 같아요.

  • @garigarikun.nashiaji
    @garigarikun.nashiaji 5 місяців тому +15

    「諦める、手放す」ことで生まれる心の余裕🌿

  • @user-qf5yc9yp7w
    @user-qf5yc9yp7w 5 місяців тому +19

    이런 게 바로 유튜브의 순기능이군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내년 콜라보도 기대할게요.

  • @user-ue8vt8lu6w
    @user-ue8vt8lu6w 5 місяців тому +18

    정말 좋네요. 이번 기회를 통해 다른 나라의 정신과 의사선생님들은 또 어떻게 이야기 하실지 더 궁금함이 생기네요.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Justinana
    @Justinana 5 місяців тому +47

    일본 장기간 거주중인데 ..
    정신과에서 일하고있지만
    한국에서 일해 본적이 없어서
    요런 차이가 있는줄은 몰랐어요!!!
    너무 흥미로운 주제네요
    감사합니다~ 😆❤️❤️❤️

    • @Justinana
      @Justinana 5 місяців тому +32

      제가 10 년넘게 일본살면서 일본에서 항상 우울함을 느꼈던게 ‘사람들과의 모임’,‘관심‘,’친한사람과 미주알고주알 대화‘ 가 없는 나라라고 , 정이없다고 느껴서 항상 우울함을 느꼈거든요 !ㅎㅎ 외향적이고 사람을 좋아하는 리트리버같은 사람이라 일본이진짜 안 맞는다고 느꼈는데. 내 느낌은 틀리지 않았네요 ~~!! 남편아 봐봐라. 내말이 맞지!!ㅋㅋ 아, 우울보다는 ’외롭다‘는 감정이 맞는거같습니다. 가족이 생기고 애기가 태어나고나서는 외롭지는 않지만 ’친한 관계‘ 를 원합니다 ㅋㅋㅋ
      절친들은 다 한국에..
      일본에서 친한 친구도 일본인은 한두명이고 다 한국인 ㅎㅎㅎ
      나는 뼛속까지 한국인이라는걸 느낍니당
      얼마나 대화상대가 없으면
      댓글도 이렇게 길게 달겠어요~~~하하
      마스다 의사샘도 알게되어 바로 구독했고
      영상 챙겨봐야겠어요❤

    • @gslaodi-gk7df
      @gslaodi-gk7df 4 місяці тому

      나-스 신가봐요

  • @bubo_odud
    @bubo_odud 5 місяців тому +197

    도쿄 거주중이고, 한국인이 없는 회사에 근무중입니다.
    제 주변 환경이 독특한 건지, 저 마츠다 선생님의 말씀과는 좀 다르게 느끼는 게 많았어요.
    치료 받는 건 자유지만 폐는 끼치지 말아라...
    전직장에 발달장애(지능장애가 아닙니다)가 있는 남직원이 있었는데, 사장이 이지메로 찍어눌러서 결국 급성우울증 진단받고 두 달가량 휴직하더라구요. 복직 후엔 이지메 더 심해졌어요. 다 사회인으로서 잘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그러는 거라고 ㅎㅎ
    그 편견 없는 사장이 어느 날은 우울증 치료로 전직장을 그만두고 한동안 쉬었다는 사람을 채용했는데, 그 분은 입사후 2개월인가... 처방약을 과다복용을 했는지 수면중 사망 했다고 연락이 오더라구요.
    부인도 있는 가장이었고, 30대 초반이었으며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던 사람이었는데 입사 두 달간 무슨 일이 있었을까요.
    이 두 직원을 사장이 항상 같은 일을 시키고 항상 지적하고...둘 다 본래 입사할 때 주어진 일과 전혀 다른 업무를 주고서는 왜 제대로 하는 게 하나도 없냐고 하더라구요.
    이런게 과연 타인에게 관심이 없어 좋은 걸까요?
    아 참, 그리고 한국 드라마 안 보는 사람도 주변에 아무도 없던데요. 아마 방문하시는 환자분들을 기준으로 말씀하신 것 같아요.
    넷플릭스와 아마존 프라임 가입하지 않은 사람이 거의 없어서인지 한국 드라마는 덜 보는 사람은 있어도 안 보는 사람은 없는 느낌이라, 오히려 제가 대화에 뒤쳐지지 않으려고 탑 텐에 든 걸 챙겨봅니다. ㅎㅎ

    • @user-lv7xv6fc2u
      @user-lv7xv6fc2u 5 місяців тому +9

      직장 내 괴롭힘과 영상에서 말한 타인에 대한 무관심이 어떤 관계가 있는 거죠?
      이지메를 당한 두 분을 누가 관심을 가져줬어야 한다는 말인가요?

    • @bubo_odud
      @bubo_odud 5 місяців тому +57

      @@user-lv7xv6fc2u 아주 장문의 글을 쓰다가 간소화 하는 과정에서 많은 내용을 누락하게 되어 죄송합니다.
      정신과 치료를 받든말든 남에게 피해만 끼치지 말아라 라는 문화를 부러워하는 분들이 계시기에 아주 격한 마음으로 한 토막만 남겼더니 정말 두서가 없네요.
      우선 일을 쉬어서 남에게 민폐를 끼치는 일만 없으면 치료를 받든 어쨌든 상관없다, 회사를 쉬거나 일에 지장을 주는 순간부터 괴롭힘의 대상이 된다는 것도 맞지만,
      어떤 계기에서든 알게 된 이상, 정신과적 병력 그 자체가 민폐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상당합니다.
      일본에서 말하는 발달장애는 ADHD나 틱장애, 난독증이나 말 더듬증까지 포함하기에, 겉으로 드러나는 자폐 스펙트럼이나 일반적 지능장애가 있는 것이 아닌 이상 본인이 밝히지 않으면 주변은 알기가 어려운데요.
      자신이 사실은 발달장애가 있어 다른 업무가 많이 어려우니 본래 하던 일을 하고 싶다고 요청했더니 오히려 더 많은 타업무로 전환당해 버린 케이스 입니다.
      뒤늦게 채용되었던 우울증으로 인한 공백이 있던 직원은 개발자였는데, 개발업무가 주어진 적은 없었습니다.
      본래 부서에서 클레임이 들어온 것이 아니냐 생각하실 수 있으나, 모두 고양이 손이라도 빌리고 싶은 상황이었기 때문에 그 둘이 빠지면 오히려 곤란상황이었죠.
      사장에게 그 둘을 도대체 왜 본래 업무로 되돌려 놓지 않는건지 물어본 적이 있었는데, 그 둘은 한 명의 어른으로서 제대로 성장하지 못했다나...

    • @bubo_odud
      @bubo_odud 5 місяців тому +37

      아, 지금 생각해보니 그 사장이 진단받지 않은 발달장애였나 싶기도 하네요🤔

    • @user-lv7xv6fc2u
      @user-lv7xv6fc2u 5 місяців тому +6

      @@bubo_odud 그런데 그건 한국 회사의 경우에도 환영받지 못하는 케이스 아닌가요?
      일본 회사만의 특징은 아닌 것 같은데요.
      발달장애가 있어 타 부서로 전근시켜달라고 하는 케이스 자체가 한국 회사에서 얼마나 있을까요.

    • @bubo_odud
      @bubo_odud 5 місяців тому +51

      @@user-lv7xv6fc2u 음.. 우선 한국이라면 애초에 발달장애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을 것 같긴합니다. 난독증이었거든요.
      웹디자인 하던 친구였는데 어느날 갑자기 이유도없이 IT인프라 구축 업무를 떠안게 됐어요. 거래처 사무실 내의 랜 케이블을 연결하고 컴퓨터를 세팅하고, 백신 프로그램 키를 발급 받는 등의 업무였죠.
      장애가 있는 걸 떠나서, 이런 상황이면 본래 업무로 되돌아가게 해달라고 하는 케이스가 많지 않을까요? 그게 안 되면 그만 두거나..
      일본 회사만의 특징이라는 것은 아닙니다. 益田선생님의 말씀과는 좀 다르게 느낀다 라는 것이죠.
      회사를 쉬지 않아도, 자기 일을 제대로 해도 치료받는 게 밝혀지는 것 만으로도 괴롭히는 경우는 아직도 너무 많고, 드라마든 애니메이션이든 사소하게 같이 대화하는 일이 적다는 건 아마 일본내에서 이미 고립된, 치료를 받는 사람들이거나 혹은 받아야 할 사람들을 기준으로 하는 얘기일거라는 거죠.
      오히려 대화를 하지 못하는 사람을 따돌립니다. 원인과 결과가 반대로 도출 된 느낌이랄까...

  • @yonsuhroh7968
    @yonsuhroh7968 5 місяців тому +208

    고립으로 가는 무관심 Vs 무례한 말을 서슴없이 하는 오지랖.
    둘다 사실 정상이 아니라고봄...

    • @_Honganji
      @_Honganji 4 місяці тому +4

      ​@@user-zu3tm5wm9e사람을 구하는건 국가조직의 역할이지 또다른 개인이 아닙니다.

    • @jinain
      @jinain 4 місяці тому +20

      뭐가 낫다는 식의 논의로 가는것 자체가 한국인의 종특을 보여줌ㅋ

    • @Digizzzzs
      @Digizzzzs 4 місяці тому +3

      난 오지랖이 한국만 있다고 생각했는데 유럽도 오지랖 장난아님..

    • @avestaapocrypha5301
      @avestaapocrypha5301 4 місяці тому +5

      ​@@jinain양비론 물타기 하는데 전자는 남에게 피해는 안준다. 선의 부재는 악이 아니야

    • @user-xt9dp8nj1n
      @user-xt9dp8nj1n 4 місяці тому +5

      적당한 관심과 상대방에 대한 예의가 필요하겠네요

  • @boram8923
    @boram8923 5 місяців тому +31

    음 일본에대해 알게된것같아 신기해요 근데 한국에서 발달 장애 기준과 일본의 발달 장애는좀 다른듯 해서 신기하고 3분상담은 짧다는생각이 재미있어요

  • @ahb2317
    @ahb2317 5 місяців тому +34

    21:36
    허쌤이 말씀하신 같은 상황
    덜 상처받고 더 좋은 대처방법을
    익히는? 상황이 달라지지 않아도 받아들이는 힘, 근육 길러주는 것이 치료의 목표라는 말씀이 위로가 되네요..
    모나지 않아야 된다는
    1인분 몫을 해야하는 사회가
    아싸입장에서는 많이 힘들긴해요...😂

  • @banniepark6427
    @banniepark6427 5 місяців тому +14

    이렇게 유익한 영상을 만들어서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실 일본에서 한국에 관심을 갖거나 한국 뉴스나 실상을 아시는 분이 희박한데, 이렇게 미쓰다 선생님의 귀한 말씀 들을 수 있어서 너무 좋았습니다~❤ 선생님께 일본의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듣고 싶었는데 너무 아쉽지만, 다음에는 전세계 의사선생님들과의 인터뷰 영상 기대할게요@@!

  • @EmmaKim23
    @EmmaKim23 5 місяців тому +14

    진짜 신선한 콜라보.
    무릎을 탁 치게 되는 썸네일.
    역시는 역시.

  • @goyang.c3682
    @goyang.c3682 5 місяців тому +63

    타인을 향한 지나친 관심도 문제지만
    무관심이 더 큰 문제 같네요ㅠ
    우리나라도 곧 저렇게 될 것 같아서
    더 삭막하고 각박한 모습이 될 것 같아요
    자유라는 이름으로 모든 걸 포기하고
    간섭받지 않길 원하다가 위급할 때 아무에게도 도움 받을 수 없는 상황😢
    사람은 관계를 통해 안정과 행복을 얻고
    사랑을 통해 삶의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존재인데
    우린 어쩌다 서로를 배척하고 용납하지 못하게 되었을까요
    여러가지로 세상이 어두움을 향해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

    • @suddenly_what
      @suddenly_what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더이상은 개개인의 노력에 기댈 수 없는 사회로 변한건 아닐까 생각해요. 나도 번아웃 너도 번아웃인데 ㅠㅠ 사회제도가 변할 지점이라 생각해요.
      서울시 정책을 보면 조금씩 시도되는 변화가 보이더라고요. 요새 예산 삭감이니 말이 많지만요

    • @user-lv7xv6fc2u
      @user-lv7xv6fc2u 5 місяців тому +12

      근데 어떤 부류의 사람들은 혼자 있을 때 안정과 행복을 얻기도 합니다.

    • @dlxorud12567
      @dlxorud12567 5 місяців тому +5

      요즘 나오는 문제가 지나친 비교와 관심때문에 나오는거아닌가. 결국 무관심으로 가는게 옳은방향임. 다들 내심 그러길 원하고잇잖아.

  • @user-br9oo2dd7x
    @user-br9oo2dd7x 5 місяців тому +13

    정말 너무 좋은 컨텐츠라고 생각합니다 많은걸 항상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user-jc9tw3ey7u
    @user-jc9tw3ey7u 5 місяців тому +15

    日本の視聴者です。
    字幕がないので動画のすべての内容を
    把握することはできませんでしたが
    動画のクオリティがとても高いですね
    またコラボしてください
    楽しみにしています😊
    P.S.
    Google翻訳だと
    まつだ先生とでるのかな?
    ますだ先生です

    • @hanana0122
      @hanana0122 5 місяців тому +2

      마스다マスダ 마츠다マツダ
      どうですか?!翻訳。
      翻訳のミス多いですよねグーグル
      このコメントのますだ先生の韓国語の翻訳も マチ とかでおかしい😂
      因みに韓国で有名な日本のUA-camrのマツダさんって方がいるし、マツダという名字は割と韓国人でも慣れてる感じですけど マスダという名字に慣れていない人が殆どで多分間違えて書いたかなと思います😂
      日本に行くと私の名字も発音が似てる名字に間違われるのでそういう感じかなー?と思いました😅

    • @user-jc9tw3ey7u
      @user-jc9tw3ey7u 4 місяці тому +1

      @@hanana0122
      そうなんですね。
      教えていただき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 @biakim9120
    @biakim9120 5 місяців тому +12

    이렇게 긴 영상을 잘 못 보는데 빠져들듯이 봤습니다 제 마음을 제일 사로잡은 부분이 22:12분인데요. 성장하거나 배우는 거에 지쳐서 어떻게 되든 나 좀 내버려두라는게 너무 저한텐 와닿았어요.
    남들에 비해서 빨리 머리에서 피로감 느끼고 힘이 빨리 빠져서 어렸을때부터 욕심이 없다, 끈기가 없다 안 좋은 지적들을 많이 받았는데 괜한 반발심에 이것저것 하다가 이제는 뭔가 끈이 끊어진 느낌이 들어서 지친다, 아무것도 하기 싫다, 될대로 되라 이렇거든요.
    프리터로서의 삶을 살고 있는데 저 살기엔 만족합니다. 타인에게 지독할 정도로 무관심한 일본이 오히려 저한텐 낙원으로 들리네요ㅎㅎ
    재밌게 잘 봤습니다 :)

  • @user-ch5ju8xl6n
    @user-ch5ju8xl6n 5 місяців тому +16

    우와~~👏👏👏👏👏👏👏
    정말 새롭고 좋은 컨텐츠 영상
    제작 하여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개인적인 생각에는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뇌부자들 선생님과 일본 정신과 선생님 께서 라방 하시는 것도 괜찮을것 같다는 생각 입니다~~😄😄😄
    오늘도 정신과에 대해 알차고,
    유익한 영상 제작 선물(🎁)
    해주신 멋진❤ 뇌부자들
    선생님께 다시한번 진심
    으로 감사 드립니다^^

  • @user-be5st3nq1b
    @user-be5st3nq1b 5 місяців тому +28

    흥미롭네요... 당연히 한국 일본은 같은 문화권 국가라 비슷할 거라 생각했는데.. 결이 아예 다르다는 느낌? 일본 뿐만아니라 다른 국가들도 궁금합니다. 좋은 컨텐츠 감사드려요❤

  • @stepone123
    @stepone123 5 місяців тому +34

    저도 일본에 4년정도 살았던 경험이 있어요.그 이후 한국에와서도 일본쪽 일을 했구요. 일본과 한국의 정서&문화차이는 어마머마해요. 겉으로만 같은 동양인일뿐,내면은 유럽과 아시아의 차이만큼 큽니다.

    • @cyjq2000
      @cyjq2000 5 місяців тому +6

      비유가 웃긴데 유럽과 미국이 맞겠죠
      일본은 유럽에 의해서
      한국은 미국에 의해서 오픈 된 나라라 문화가 완전 달라요

    • @user-mz2og7mp1n
      @user-mz2og7mp1n 4 місяці тому +2

      @@cyjq2000 일본도 미국에 의해서 오픈된나란데 미국흑선8척이 개항시킨거 모르시나

  • @user-ly5wz9wt3m
    @user-ly5wz9wt3m 5 місяців тому +25

    흥미롭고 유익한 내용입니다.
    앞으로도 계속 이런 기획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kmjoo2228
    @kmjoo2228 5 місяців тому +23

    일본식 치료방향은 법륜스님의 해법과 비슷하네요 ㅎ
    정말 일본은 불교 사상의 영향이 큰가봐요

  • @Onnew_
    @Onnew_ 5 місяців тому +33

    일본인인 전남자친구가 본인은 무관심한 편이면서 되려 저에게 관심과 사랑을 요구하는 게 있어서 맞추기가 참 힘들었는데 이 영상을 보니 이해가 될것도 같네요🥲
    생각이나 가치관의 차이가 그저 성격차이가 아닌 문화차이의 일부분이었단걸 느낍니다.
    여러모로 너무 흥미롭고 편견 없는 선생님들의 솔직한 대화였던것 같아요
    이렇게 긴 영상을 끝까지 본건 처음이에요. 앞으로도 콜라보 응원합니다💓

  • @nt-ol8et
    @nt-ol8et 5 місяців тому +27

    음 일본이랑 비슷해보여도 많이 다른 것 같은데 일본을 선례로 예측이 된다는게 신기하네요 하다못해 미국이랑 더 비슷하게 느껴지는데요

  • @twincle8333
    @twincle8333 5 місяців тому +7

    와.. 너무나도 좋은 콜라보네요 잘봤습니다🧡‬

  • @user-re2ev9qf1g
    @user-re2ev9qf1g 5 місяців тому +51

    정말 좋은 콜라보레이션 같아요!! 유익한 영상과 콜라보 감사합니다. 그런데 일본 사회의 현재가 너무 슬프네요...😢 매년 커뮤니케이션 해보자는 의견 대단히 찬성합니다!!!!

  • @utopia5584
    @utopia5584 4 місяці тому +14

    한국에서 29년 일본에서 26년째 살고있는 영주권자입니다.저는 무관심 일본이 휠씬 살기 좋아요. 한국친구들과 비교해 보면,일본은 강남 돼지엄마같은 여자 없고, 엄마가 교육을 위해 원치않는 인간관계 가질 필요가 없고,같은 아파트 학부형이라고 집집마다 돌며 차마시고 사생활 공유 할 필요도 없고,일본생활 초기엔 오지랖이 그리웠던 적도 있지만, 10년 넘어가니 무관심이 세상 편하네요.

  • @popo-xw1rs
    @popo-xw1rs 5 місяців тому +9

    와 오늘 컨텐츠 너무 신선해요 시간가는줄 모르고 잘 봤습니다 좋은영상 감사해요!!❤

  • @user-ey3dp8oo2j
    @user-ey3dp8oo2j 4 місяці тому +7

    字幕があって分かりやすかったです
    韓国人の情´と日本人の情´はかなり違いがありますよね
    相手への手助けは一線を越える事無く、配慮が大事ですかね

  • @knmm808
    @knmm808 4 місяці тому +13

    일본인으로서 말씀드리고 싶은데, 다 마쓰다 선생님 개인의 의견이라는걸 잘 이해해주셨으면 합니다.

  • @suddenly_what
    @suddenly_what 5 місяців тому +16

    16:50 치매 걸린 부모님을 간병하다 맞닥뜨리게 되는 발달장애의 곤혹스러움.... 이거 이제 곧 한국에서도 예상되는 미래라서 소름끼쳤어요 17:27

  • @egmun6528
    @egmun6528 5 місяців тому +4

    댓글 잘 안다는데 이번편 정말 유익하고 신기했어요 그리고 그전에 보지 못한 새로운 컨텐츠였어요

  • @user-ze7eg7wc8r
    @user-ze7eg7wc8r 4 місяці тому +23

    Japan is more diverse than psychiatrists have told us. Each generation has different perceptions. Also,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okyo and the countryside. In rural areas, people greet strangers and sometimes have long conversations in parks and other places. Furthermore,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Hokkaido and Okinawa, and the Tohoku and Kyushu regions. Tokyo is a special place. What the psychiatrist said was about Japanese people living in Tokyo.

    • @yapkim8926
      @yapkim8926 4 місяці тому +1

      일종의 경향성에 대한 설명인듯합니다.
      한국도 시골과 도시로 나누면
      도시사람들은 훨씬 개인적이고 오지랖이 적습니다.
      다만 그 평균치가 일본과 비교하면 달라지는거죠

  • @hlee3273
    @hlee3273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와 신선한 주제영상이네요.뇌부자들에서만 볼수있는.재밌게 잘봤습니다.

  • @misunyang8755
    @misunyang8755 4 місяці тому

    흥미로운 대담이였습니다. 진짜 이런 컨텐츠 많이 해주시면 좋겠어요~~ 감사합니다~

  • @user-nd2me7bp1w
    @user-nd2me7bp1w 5 місяців тому +9

    독특한컨텐츠 좋아요 재밌게 봤습니다 😊

  • @nayanaya
    @nayanaya 5 місяців тому +32

    일본분이 자조적인 웃긴 말 하는데 번역시차로 리액션 안해주니까 뻘쭘해 하시네요.ㅋㅋ

  • @hotjazzbiscuits
    @hotjazzbiscuits 5 місяців тому +8

    일본에 20년 이상 사는 사람인데 이 의사분 정말 솔직해서 좋네요 재미있게 봤어요 또 기대해요

  • @user-xs9pk3fw4p
    @user-xs9pk3fw4p 4 місяці тому +15

    저희 일본인 신랑을 처음 만났을때 신랑이 젤 많이 했던 말이 “어쩔 수 없어” “어떻게든 되겠지”였어요.좋게말하면 수용이지만 자연재해가 많은 나라인 만큼 내가 노력해도 안되는 일이 있다는걸 알고 포기하는 부분이 많다는 거겠죠.
    일본이 정치에 관심이 없고 데모같은것도 잘 안하는것도 크게 다르지 않은 맥락이라 생각해요.

  • @kiho2747
    @kiho2747 5 місяців тому +11

    일본 지방에선 아직 가부장 문화도 남아 있고 다인한테 관심이 많은 사람도 많아요. 그것때문에 요즘은 지방에 사는 젊은 사람들은 대학갈때나 취직할때 고향을 떠나려고 하는 사람도 많고 결혼하기전에 남친 고향을 방문하고 그런 문화가 있는지 확인하는 사람도 있어요.

  • @user-ul5uh3yd4j
    @user-ul5uh3yd4j 5 місяців тому +29

    정말 너무 흥미로운 주제인것같아요. 세계 여러 나라 정신과 의사분들과 다른 나라 사람들의 사고방식, 정신적 스트레스 원인의 차이 등 많은 얘기 나누는 모습 보고 싶어요! 일본에 관해서도 다시 얘기 나눠도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마츠다 선생님이 말한 내용이 점차 한국에서도 나타난다고 느끼는데 저부터도 2010년대 학창시절을 보낸 사람으로서 그때의 분위기와 지금의 분위기가 다른 걸 체감하거든요. 그리고 저의 사고방식도 그때와 지금이 많이 달라졌어요. 예전에 비해 지금은 정말 연예인이든 주위 사람들이 뭘하든 그다지 신경쓰지 않게 된 것 같아요.
    동남아나 중국, 중앙아시아-러시아 또는 유럽, 아메리카 등등 다른 지역은 어떨지 궁금해요!!

  • @user-xg5ke8df8y
    @user-xg5ke8df8y 5 місяців тому +61

    마스다선생님과 코라보라니 놀랍습니다。한국과 일본을 오고가면서 느낀것점들을 알기쉽게 말씀해 주셔서 재미있게 들었습니다。15년전 쯤 신주꾸에 있는 동경의대 대학병원 정신과를 찾았는데,20분 가량 저의 얘기를 들어주신 나이 지긋한 정신과의사 선생님,
    "당신은 정신과 문제가 아닙니다.재판소로 가세요.진료비는 안내셔도 됩니다~😂

    • @wariji2094
      @wariji2094 5 місяців тому +10

      유쾌하신 분이네요 ㅋㅋㅋㅋ 일본 분들 특이한 사람은 진짜 특이해서 개웃김 ㅋㅋㅋㅋㅋㅋㅋ

  • @user-vc8bs3ms5r
    @user-vc8bs3ms5r 4 місяці тому +9

    世代間のコンテンツの好みのギャップの着目は流石と思いました。
    日本の若い世代は韓流ドラマはあまり見ないようにおもいます。主に見るのは年配の方です。
    人との関わり方の価値観の違いがでているのかもと思いました。
    自分も見るのはアニメや洋画ばかりですね。

  • @hanaaaaaaaaan
    @hanaaaaaaaaan 5 місяців тому +2

    나라별 차이 흥미롭네요! 다른 나라도 궁금해지는 영상이었습니다

  • @poutou0108
    @poutou0108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아니 마스다 선생님이 뇌부자들에 나오시다니!!이번 영상 넘넘 재밌었어요!!

  • @user-ds2lg1rv4d
    @user-ds2lg1rv4d 5 місяців тому +9

    일본 의사를 초대하여 듣게 하신 점
    유익하고 시야를 넓히는 공부한 기분이네요
    감사합니다 잘봤습니다

  • @lagarrr3973
    @lagarrr3973 5 місяців тому +5

    정말 놀라운 포인트를 많이 얻은 영상이었습니다

  • @alicialee9856
    @alicialee9856 4 місяці тому +1

    콘텐츠 기획이 너무 좋네요, 더 많은 사람들이 보면 너무 좋겠네요! 호주에 거주 중인데, GP 진료를 가끔 볼 때도, 모든 부분에서 한국 병원 치료랑은 많이 다르다고 생각이 들었는데, 한 일 정신과 비교, 유익하고 흥미롭네요 감사합니다 😊

  • @ppppp795
    @ppppp795 4 місяці тому +6

    마츠다 센세! 여기서 보네요!
    역시 정신과 선생님이다보니 양국 성향을 짧은 시간내에 정확히 캐치하시네요
    20년전에 한국 떠나올때 한국 오지랖,허세,강요가 너무지긋지긋해서 넘어 온거고 그런 저한테는 일본이 너무 잘 맞았어요
    저는 한국을 떠나는 선택이 가능했지만 저같은 사람 중에 떠날 수 없는 사람들은 정말 괴로웠을 것 같아요. 한국이든 일본이든 적당한 선에서 서로에게 피해주지 않고 건강하게 도우며 의지하며 살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 @Abledxce1353
    @Abledxce1353 5 місяців тому +19

    일본은 일찍이부터 히키코모리 사회적 고립되는 문제가 커서 발달장애 진단도 적극적으로 하게된 것 같다는 생각도 두네요 일본에서는 외관상 멀쩡하게 말하는데도 asd라고 말하는 사람들깨나 있다는걸 알고 한국이랑 다르다 느꼈었는데 한국에서도 사실 암묵적으로 그렇게 느껴지는 사람들이 있죠 저에게도 대학 졸업 못하고 은둔하던 친척이 있었는데 우울증 치료를 받았지만 저게 다가 아닌 것 같은데 하는 답답한 심정으로 옆에서 오래지켜봤왔지만 가족이 무너져내리는걸 옆에서 지켜만 볼 수밖에 없었습니다 저도 그렇게 악화될 줄은 몰랐었고 제가 나서서 뭐라 말할 주제도 안됐기 때문에 지켜보기만 할 수밖에 없었던 무력감이 남아있어요 한국도 금쪽이로 태어났지만 도움을 받지 못하고 청년이 되었거나 부모가 된 경우가 많을 거라고 생각하는데 그런점에도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고 느껴요 단 한사람의 문제가 아니라 돌봄문제까지 엮여서 가족 전체가 고통받게 되거든요 결국 그중 가장 많은 돌봄 압력을 받던 분께서 안 좋게 끝나게 돼서 마음이 안 좋습니다 영상을 보며 그런 기억이 떠올라 조금 길게 주저리 써보았습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 @user-ry3wo8qu9l
    @user-ry3wo8qu9l 5 місяців тому +16

    오늘 컨텐츠 너무 재미있어요 같은 동양인도 이렇게 차이가 나네요 가깝지만 다른 나라 일본!

  • @user-xg7yx8ih7y
    @user-xg7yx8ih7y 5 місяців тому +6

    넘 유익하고 재밌어요. 👍 각 나라별 정신과의사선생님 유명 유투버들과 한달에 한 번 콜라보하면 좋겠어요. 그러면 몇 년 안에 전 지구를 다 돌까요? ^^

  • @sorkwhgdkgksmsS2
    @sorkwhgdkgksmsS2 5 місяців тому +3

    굉장히 유의미한 영상이었어요❤ 잘 보고 갑니당!

  • @user-tk7qz3ob4w
    @user-tk7qz3ob4w 5 місяців тому +4

    신선한 컨탠츠 영상입니다.
    비슷한 듯 다른 두나라를 생각해보는 시간이였습니다.
    히꼬모리에 대한 인정은 하되 넘어오지는 마라ㅡ
    섬뜻하고 유리벽 사회인 것 같아 참 씁쓸하네요.
    너를 인정하되 섞이고 싶지않은 넘어오지 마라ㅡ하는 인식ㅡ
    우리나라 사회가 부작용으로 선넘는 오지랖으로 힘든 것도 있지만
    순기능으로 힘든이들 같이가는 그 사람을 인정하면서
    선한 오지랖이 사람을 살리고 힘들더라도 같이가자는 인식이 개인적으로
    사람냄새나서 좋은 것 같습니다.
    정말 참신한 멋진 영상이였습니다.

  • @user-tb7ed5dy1l
    @user-tb7ed5dy1l 5 місяців тому +3

    우와 요즘 뇌부자 컨텐츠 무슨 일이예요?! 20만 50만 100만까지 가즈아~

  • @Irene-mo9ro
    @Irene-mo9ro 5 місяців тому +3

    정말 흥미롭네요..방송국도 생각못했을 컨텐츠입니다! 미국 중국도 궁금해요.

  • @user-so7vv2eb4s
    @user-so7vv2eb4s 5 місяців тому +9

    오늘은 진짜 새롭고 신기하다!

  • @PeterJ18
    @PeterJ18 4 місяці тому

    너무 재미나게 봤습니다.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 @user-or5gs2pj4n
    @user-or5gs2pj4n 5 місяців тому +12

    이런식으로 또 여러 나라 정신과의사분들 대화나누는거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bney3027
    @bney3027 5 місяців тому +7

    시리즈로 해주세요. 너무 재밌어!!

  • @user-dq7fm5sx2k
    @user-dq7fm5sx2k 5 місяців тому +12

    신선한 컨텐츠 아주 마음에 듭니다! 고작 옆의 나라고 같은 문화권인데도, 사회상의 차이가 정신과 치료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게 신기합니다!

  • @longlife881
    @longlife881 3 місяці тому +2

    日本も韓国も似たような課題に直面していると思いました。このように他国の先生の考え方や診療状況が聞けるのはとても興味深いです。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