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부대는 왜 그렇게 힘든 훈련을 받아야할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жов 2020
  • **영상에 관련된 질문이나 지적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재밌게 보셨다면 좋아요와 구독 눌러주세요!
    참고자료
    도서-특수부대의 모든것
    도서-세계최강의 특수부대
    도서-네이비실, 그들은 누구인가
    도서-미국의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전쟁사-특수전과 저격전
    United States Navy SEAL selection and trainingStates
    en.wikipedia.org/wiki/United_...)
    #가짜사나이 #특수부대 #훈련

КОМЕНТАРІ • 70

  • @user-cn8dn1mm9l
    @user-cn8dn1mm9l 3 роки тому +9

    깔끔한 정리 정돈
    보여준 정성 고맙습니다!!!!!!

  • @hbh5380
    @hbh5380 3 роки тому +18

    오늘 첨 봤는데, 여기저기 떠다니는 영상 적당히 붙인게 아니라, 대부분 영상을 직접 엄청 공들여서 만드셨네요~ 퀄리티 있는 영상과 재미있는 내용 감사드립니다. 구독완료.

  • @user-us7kf2ej4w
    @user-us7kf2ej4w 3 роки тому +32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결국엔 불확실성이 많은 특수작전 상황에서 성공적으로 임무를 완수하려면 그만큼 최악의 상황을 대비한 훈련을 해야하는 것이군요. 국가 전략부대인 만큼 고된 훈련을 받는 특수전 부대원들이 존경스럽습니다.

  • @Seok.Chong.I
    @Seok.Chong.I 3 роки тому +21

    이렇게 프래젠테이션 보니
    확실히 특수부대 존경받을만하다
    차라리 군 정신교육을 이 유튜버랑 협업해 이 자료로 하면 좋을 듯
    확실히 일반병이랑 특수병들 서로 무슨 일을 하는지 잘 몰라서 갈등이 많은데 이런거 보면 서로 갈등 줄어들 듯 존중도 생기고

  • @jaeinjung1213
    @jaeinjung1213 2 роки тому

    아주 깔끔한 영상이네요

  • @ultraman460
    @ultraman460 3 роки тому +11

    아 알림설정 해두길 잘했다 ㅎㅎ 너무 재밌다

  • @SK-ky2fb
    @SK-ky2fb 2 роки тому

    재밌는데 더 업로드해주세요~

  • @HGH_Dwarf_Messi
    @HGH_Dwarf_Messi 2 роки тому

    고퀄ㄷㄷ

  • @user-dd7cz1gv8l
    @user-dd7cz1gv8l 2 роки тому +10

    국가가 명시되지 않은 사례 2번은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시절 당시 벌어진 일로, 당시 특수부대원들은 다행히 끊어지지 않았던 전화선을 활용, 국제전화를 팀장 개인 신용카드로 결제하여 공중지원을 요청, 성공적으로 퇴출하였다.

  • @blue-pill
    @blue-pill 2 роки тому +1

    특수한 상황 하에서의 작전이란게 간단히 말하자면 전력열세에 보급부족 상황의 작전이죠. 상대방을 격퇴하기 전에 생존을 먼저 고민해야 하고 작전수립 이전에 무기를 어떻게 조달할지 고민해야 하는 상황인데 그 와중에 임무를 완수하라고 하면 보통은 그냥 포기하게 될테니 포기하지 않도록 정신력을 강화시켜 놓자는 것이 기본적인 훈련의 모토고 닥칠 상황보다 더 극한의 상황을 미리 체험시켜서 실제상황이 닥쳤을 때 ‘이것보다 더한 것도 했었는데 뭐...’ 이런 생각이 들도록 만드는 훈련을 수료하게 하죠.
    교육 훈련 중에 제일 무서웠던 구호가 ‘각오했던 자에게 각오한 이상의 훈련을’ 이었는데 딱 보자마자 가슴이 조여오더군요. 진짜 극한의 각오를 하고 있었던지라 ㅋㅋ

  • @user-di9cy9gy5l
    @user-di9cy9gy5l Рік тому +2

    강릉 잠수함 사건때 세명의 북한특수부대한테 우리 전 군이 휘둘린 적 있음.. 두 명이 양동하는 동안 한명은 살아서 삼팔선을 통해서 북한으로 복귀한것까지.. 우리가 당한거라 그렇지 소수의 특수부대가 정규군을 상대로 보여줄 수 있는 최고의 성과였다고 봄.

  • @raymundoshim5760
    @raymundoshim5760 3 роки тому +5

    사례를 보고 모든 것을 납득했다.

  • @mason7645
    @mason7645 3 роки тому +30

    40kg 특수전군장을 메고 장거리 행군을 하다가 적에게 기습 당하면 곧바로 응사하고 전술을 구사해야한다는 점에서 이미 일반인을 초월함... 신교대 20kg 군장에 20km 행군도 죽을 맛인데

    • @user-sh17qh4ab9
      @user-sh17qh4ab9 4 місяці тому

      20kg 20km 가 죽을 맛이면 그건 그 사람이 나약한거 같은데…
      죽을 정돈 아님

    • @mason7645
      @mason7645 4 місяці тому

      @@user-sh17qh4ab9 그래 뭐 진짜 픽 쓰러져서 이승 하차한다는 뜻이겠냐 ㅋㅋㅋ 걍 힘들다는거지

    • @user-sh17qh4ab9
      @user-sh17qh4ab9 4 місяці тому

      @@mason7645 👍🏻

  • @user-zx8dm2xs8r
    @user-zx8dm2xs8r 9 місяців тому

    천리 행군도 초인적인 능력이 필요한데 북한은 3000리 행군을 한다. 그것도 산악으로만. 물집과 동상을 어떻게 해결하는지 모른다. 본인의 견해론 평시 구보.행군시 맨발로 발을 단련한다. (아마 미국 네이비 실도 이런것은 모를것으로본다. 허나 많은 후진국 아프리카, 근래의 파라과이같은 나라도 근대일본도 맨발로 다녔다.)맨땅요법으로 개인의 평생건강을 보장할 수있다. 한달 정도면 발바닥에 굳은 살이 형성된다. 장거리행군에는 통풍등산화와 드라이맥스라는 특수 양말이 필요하다. 푹신한 깔창도 큰 도움이된다. 점차적으로 훈련량을 늘여가면 천리행군은 누구나 할 수있다.

  • @dimmorashuvant3784
    @dimmorashuvant3784 2 роки тому +3

    그런데 모든 사병들에게 특수부대급의 훈련을 시킨 그 대한민국 똥별새키는 레알 지옥가서 매일 똑같이 평생 훈련받았으면 좋겠다.

  • @user-xj2pu9cr6g
    @user-xj2pu9cr6g Рік тому +2

    우크라이나 전쟁을 보고나니 공군과 포병의 지원이 없는 특수부대는 걍 총잘쏘는 경보병이었음....포방부가 화력화력 하는 이유를 깨달음

  • @user-of1cl1vw7g
    @user-of1cl1vw7g 3 роки тому

    먼지, 야간 상황에서 작전 할수 있도록 라이다를 장착 해야 한다.
    자동차도 라이다를 달고 운전 하는데..

  • @paulicjung
    @paulicjung 3 роки тому +2

    사례로 들었던 세 가지 작전들에 대한 키워드나 작전명 등에 대한 걸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그냥 검색해보기에는 좀 막막하네요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3 роки тому +2

      저는 도서 미국의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전쟁사, 네이비실 그들은 누구인가에서 찾아서 읽었습니다. 아마 대부분의 특수 작전은 기밀이고 알려지지 않아서 찾아보기 힘드실 겁니다.ㅎㅎ 저것도 이름이 알려진건 아니고 자서전 같은데서 나오는 실전을 쓴겁니다. 3번째는 많이 알려졌었는데 작전명까지 지어졌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 @user-tl4of3xt7m
    @user-tl4of3xt7m 2 роки тому +11

    공익근무요원 출신인데 평양침투작전 몇번하다 보니 왜 이렇게 훈련을 힘들게 받는지 이해가 되더라구요

    • @user-sh17qh4ab9
      @user-sh17qh4ab9 4 місяці тому

      공익은 빠져
      으디 현역 형님들 대화에 끼나

  • @pdwplag6133
    @pdwplag6133 Рік тому

    블랙옵스 작전도 사실은 특수부대의 임무이기도 하는데 특수부대의 임무 특성을 생각해보면 무기를 왜 수입해서 쓰는지 알겁니다

  • @user-ix1hp7cr2v
    @user-ix1hp7cr2v 3 роки тому +14

    특수부대에 여군이 잘 없는 이유중 하나죠..
    씻지도 못하고 몇주간 작전해야 하는건 둘째 치고, 인질로 잡히거나 치명상을 입었을 경우도 동료들에게 가해지는 심리적인 부담이 남성 대원들에 비해 높다보니...
    (남성 동료면... 포로로 잡혀도 기껏해야 좀 얻어 터진다거나 죽기밖에 더하겠냐만 여성 대원이면 아무래도 걱정되죠....=_=)

  • @Finlandiamall
    @Finlandiamall Рік тому

    저 실제 사례들의 결과는 어떻게 되었나요?

  • @Nemiology
    @Nemiology 3 роки тому +4

    잘 설명해주셨는데, 좀 더 간단하게 하자면 일반보병보다 특수부대 요원 개인 1명에게 요구되는 장비 무게가 어마어마합니다. 광학, 통신/전자, 브리칭 등등 이 장비들을 가져야 전투력이 상승되고, 이 장비들을 착용하고 다닐라면 엄청난 체력이 필요하죠. 군장 없이 정말 기본적인 대테러 장비만 착용해도(야시경, 병기 악세사리, Lv3이상 방탄 플레이트, 탄약, 통신장비 등등) 기본 30kg 가까이됩니다.

    • @user-gn9di4lp4g
      @user-gn9di4lp4g 2 роки тому

      그 30kg에다가 군장을 합치면 ㄷㄷ..

    • @user-zx8dm2xs8r
      @user-zx8dm2xs8r 9 місяців тому

      요즘 2년전이면 옛날입니다. 우크라 참전 한국인용병말에 의하면 참호밖으로 고개를 들면 곧바로 러시아 드론이 날아와 수류탄을 떠러뜨립니다. 중국제 드론은 쌍방이 사용하는데 $100짜리이지요. 이근이 2달만에 돌아온것은 매우 약은 생각입니다. 우직한 동료는 1년을 버티다 부상까지 입었더군요. 우크라의 손발절단병사가 5만입니다. 우리는 그런 전쟁을 해선 안되지요.

  • @the_end_of_the_GungYeah
    @the_end_of_the_GungYeah 2 роки тому +5

    2:36 아 이건 죽었다고 봐야 ㅜㅜ

  • @JW-7
    @JW-7 2 роки тому +3

    예전 예비군 훈련 갔을 때 예비군 동대장 교관이 썰을 푸는데 한국 특전사는 훈련만 고되지 실전적이지 못하다는 얘기를 함. 실례로 강원도 무장공비 소탕작전 시절 한국 특전사하고 미군도 같이 투입됐었는데 위치추적 장치를 달아서 투입시켰다고 함. 미군은 지시에 따라 이동을 하는데 한국 특전사는 지시에 따르지 않고 총소리 나면 그저 본능적으로 거기로 막 뛰어가고 그랬다 함. 미군과 같이 작전을 하는데 일사분란하게 지시에 따라 움직이는 미군과 달리 움직임 하나 통제되지 않는 모습 때문에 부끄러워 죽는 줄 알았다고...

  • @user-ph4ef1tw6u
    @user-ph4ef1tw6u 2 роки тому

    이 채널 왜 안뜨냐 이해가 안가네

  • @user-zx8dm2xs8r
    @user-zx8dm2xs8r 9 місяців тому

    60주의 긴훈련의 많은 부분이 체력단련이라고본다. 현대전에선 많은 수의 드론이 이노력의 2/3를 커버할 수있다고 본다. 특수부대도 일반병의 총탄1발에 가는건 마찬가지다. 격투술도 소음권총지급으로 해결할 수있다. 공포심제거도 이젠 알 약하나로 완화시킬 수있다고본다. 이젠 아프간이나 모가디슈의 실 수를 되풀이 할 필요가 없다. 40kg을 메고 20km의 4시간 이동대신 정찰드론과 무소음 차량, 무소음 오토바이 등으로 1시간에 해결 할 수있다. 훈련기간의 축소로 3-4배 더많은 특수부대를 양성할 수있다. 과거 수년간의 북파부대를 양성해 기껏휴전선 북방정찰하고 돌아오는데 90%의 사망률을 보였다. 한국군은 더많은 산악전 전문부대가 필요하다. 북한특수부대는 산악구보(3000리)만한다. 탈북자들을 대상으로 높은 보수를 제공하고 휴민트를 많이 양성할 것을 제안한다.

  • @Panorama-memory
    @Panorama-memory 3 роки тому +1

    가장 큰 목적은..
    끝까지 포기하지 않도록 만드는 거죠. 정신력은 체력이 다 떨어진 다음부터 나오는 겁니다. 한계에서 해냈던 사람은 역시 정신력도 늘어납니다.

  • @yoyoyout
    @yoyoyout Рік тому

    전면전에서 요즘 전쟁에 특수부대가 큰 의미가 있나? 그냥 탄도미사일 쏘면 f35로 폭격하면 되지. 대테러전이나 게릴라전에서나 필요하지 한국 전면전에서 별의미없을듯.

  • @micmi5961
    @micmi5961 3 роки тому +13

    사례 보니까 헬기가 문제네 ㅠㅠㅠ

    • @beaclassy141
      @beaclassy141 3 роки тому

      ㅋㅋㅋㅋㅋ

    • @kphilhoe
      @kphilhoe 2 роки тому

      근데 또 헬기만한게 없죠..

  • @cliksmart
    @cliksmart 2 роки тому +2

    자국민 상대로 한 작전은 이름이 뭐래?

  • @mason7645
    @mason7645 3 роки тому +7

    네이비씰 훈련과정 보니까 왜 미 특수전부대 커뮤니티에서 네이비씰에 대한 실전성 논란이 발생했는지 알겠네...
    육상전투훈련은 7주 밖에 안받았고(차후에 다른 훈련과정에서 육상 노하우를 터득하기야 하겠지만) 해상침투와 작전에만 특화된 인원들인데 이 인원들을 그냥 마구잡이로 육.해상 가리지 않고 투입하니깐 미 특수전부대 중에서 가장 사상자가 많은 부대로 손꼽히지. 이런 꼬라진데 미디어에서는 씰팀 중에서 최정예인 데브그루 이미지만 팔아서 네이비씰이 최강이라고 홍보를 해대니 진짜 육상작전 전문가인 그린베레나 델타 출신들이 꼴받는 것이고. 물론 그 빡세고 무모한 근무 환경과 작전여건 속에서 살아남으면 최정예 인력이 되는거고, 그렇지 않다 해도 대단한 요원들 이라는건 확실함.
    미 해군과 해병대는 유독 정예인력을 과하게 주먹구구식으로 굴려먹는거 같음. 근본적으로 육상전 노하우가 부족하고 육상에 투입할 인력이 한정되어 있다 보니 더더욱 그런듯.

    • @ICAOhell
      @ICAOhell 3 роки тому +2

      미국 특수부대 중에서 선발과정도 짧고 일단 머릿수가 가장 많아서인지 몰라도 씰대원들이 많이 투입되고 많이 소모되더군요. 게다가 지나치게 자주투입해서인지 많은 병력들이 체력적 정신적으로 많은 고통을 받고 있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ㅠㅡㅠ

    • @user-qg7fh9vy8o
      @user-qg7fh9vy8o 3 роки тому +1

      BUD/S 육상전투훈련은 기본적인 소부대전술이나 기동방식 수신호 그대로 기초적인거고 CQB 이하 고등전술훈련은 SQT 에서 받습니다. 그리고 TOUR 전 각팀에서 따로 훈련하죠. 그니까 잘 모르시는 분이 다 아는거처럼 말하면 안되는겁니다.

    • @mason7645
      @mason7645 3 роки тому +1

      @@user-qg7fh9vy8o 차후 육상훈련과정도 따로 있다고 제가 언급 했는데 못보셨나 보군요..^^

  • @user-uf4ec2ow8h
    @user-uf4ec2ow8h 2 роки тому

    저거랑 스페츠나츠랑 비교하면 스페츠나츠가 훨씬 더 힘듬 스페츠나츠 훈련병이 훈련하다가 사망하는 일이 일어나기도 하였고 중도포기하여 그만둬 나가는 사람들도 꾀 많이 있음

    • @user-uf4ec2ow8h
      @user-uf4ec2ow8h Рік тому

      @@user-un1xq2fq1h 그나마 네이비 씰 팀은 훈련도중에 사망자가 별로 나오지는 않지만 스페츠나츠는 과거 구 소련시절에는 훈련이 너무 과격하다 못해 사망자까지 속출할 정도로 위함하다고 판결까지 났음에도 불구하고 자원자가 많았기로 유명했고 지금현제는 많이 부드러워졌다고 하나 여전히 백쌘 부대중 하나로 손꼽힐 정도죠.

    • @user-uf4ec2ow8h
      @user-uf4ec2ow8h Рік тому

      @@user-un1xq2fq1h 그런데 저 같은 경우는 둘 다 존경하고 사랑스러운 전사들 중에 전사들이죠.

    • @user-se4qk9uj7h
      @user-se4qk9uj7h Рік тому +2

      옛날에는 열약한 환경과 과한 모든 상황들이 다수였음. 우리나라도 훈련중 사망한 대원 기리는 충혼탑 있고 어디든 그랬음. 자랑할게 아니라 현재도 그렇다면 무능한 교관과 멍청한 교육체계를 가지고 유능한 인재들을 사용할 목적이 없다는 것임.

    • @user-wi4pj4hk4z
      @user-wi4pj4hk4z Рік тому +1

      @@user-se4qk9uj7h 이게 맞지 과거에야 주먹구구식으로 훈련했으니 사상자가 많이 발생했겠지만 요즘시대에 사상자가 발생한다는 건 효율적이지 못한 교육체계 무능한 교관이 문제지

    • @user-uf4ec2ow8h
      @user-uf4ec2ow8h Рік тому

      @@user-se4qk9uj7h 그래두 스페츠나츠는 무시무시한 특수부대인 것은 인정함. 대표적으로 소련 아프간 침공 당시 스페츠나츠는 요인을 암살하라는 임무를 부여받고 작전투입을 했는데 그 광경이 공포 그 자체여서 서방세계에서 오죽하면 p90을 뿌려서 후방에 경계를 강화시킬 정도 였으니 스페츠나츠의 위력이 어느정도였는지 상상이 감.

  • @user-of1cl1vw7g
    @user-of1cl1vw7g 3 роки тому +4

    힘들게 훈련 받았다는게 유일한 자랑 거리니까...

    • @kph665
      @kph665 3 роки тому +11

      생각 꼬라지하곤 ㅋㅋ

    • @choi4143
      @choi4143 3 роки тому +1

      ㅈㄴ꼬였네 ㅋㅋㅋㅋㅋ

    • @user-se4qk9uj7h
      @user-se4qk9uj7h Рік тому

      특수부대가 힘들게 훈련 안하면 니같은 애들 자격지심에 쩔어 생각없이 내밷어도 잘 돌아가는 국가를 지킬 사람이 없으니까ㅎ

  • @user-xn2zc9tm4m
    @user-xn2zc9tm4m Рік тому

    그러나 특수부대의 전투력 화력이 예비군보다 훨씬 약해서 우크라전쟁에서 vdv 가 어마어마하게 터져나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