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21기관포 vs 40mm CTA포 어느포가 더 우월할까? [3D]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2 чер 2024
  • [참고자료]
    이 컨텐츠는 쉘든님의 자문을 받고 만들어졌습니다.
    쉘든의 밀리터리
    -40mm CTA 핵심기술
    대표자 짝귀 이메일 bubooio@naver.com
    0:00 인트로
    0:28 K21기관포 설명
    1:39 40mm CTA포 설명
    4:11 40mm CTA포 단점
    5:19 40mm CTA포 잠재력
    6:49 미국의 CTA포

КОМЕНТАРІ • 254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Рік тому +93

    다음 컨텐츠는 K9A2입니다. 다음 컨텐츠는 여러 일이 겹쳐서 3주뒤인 7월 16일에 올라갑니다 감사합니다!

    • @sungjoonlee4455
      @sungjoonlee4455 Рік тому

      자동장전해주시나요?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Рік тому +5

      @@sungjoonlee4455 네 자동장전은 물론이고 각 장전당 걸리는 시간까지 유추하려고 합니다ㅎㅎ

    • @user-fh7mg2qq3l
      @user-fh7mg2qq3l Рік тому +1

      목소리가 너무 작아요

    • @user-fq9ht1ec8n
      @user-fq9ht1ec8n Рік тому +1

      감사합니다... 군대에서 볼 것도 없는데 볼 영상이 생겼네요

    • @user-hm9ru1lh9y
      @user-hm9ru1lh9y Рік тому

      오랜만이에요~^^

  • @JAJUPO
    @JAJUPO Рік тому +187

    결론: 둘 다 장단점과 호불호가 있고 50mm 슈퍼샷도 아쉬우니 위대한 국군은 누구도 거부할수없는 아름답고 뛰어난 155mm 개틀링포를 만들어야 한다.

    • @peachblackstudio
      @peachblackstudio Рік тому +26

      하는김에 16인치도 만들어버리자

    • @JAJUPO
      @JAJUPO Рік тому +47

      @@peachblackstudio 선생님의 거함거포스러운 그 마인드에 슴가가 웅장해지며 감격스럽고 눈물이 앞을 가립니다

    • @kkw2401
      @kkw2401 Рік тому +9

      105mm탄약이 남아도는데 105mm 기관포라면 몰라도 155mm는

    • @Parangme
      @Parangme Рік тому +6

      @@kkw2401 105밀리 탄약은 CTA 방식이 아니라서 이 방식을 적용하지는 못하겠네요.

    • @jimmyHan-pt6wn
      @jimmyHan-pt6wn Рік тому +4

      멍멍

  • @user-oy8cv6jr8z
    @user-oy8cv6jr8z Рік тому +25

    전문성 높은 군사지식을 동영상과 함께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hi1cb1hc7w
    @user-hi1cb1hc7w Рік тому +5

    초고퀄 최고의 밀리터리 유툽채널😍

  • @hbyhs
    @hbyhs Рік тому +3

    기술적으로 설명해 주신것 너무 좋습니다. 구독 좋아요 하고 갑니다. !!!

  • @user-sy7xu9rm7f
    @user-sy7xu9rm7f Рік тому +4

    기다린 보람이 있네. 진짜 고퀄이다. 최고~!!!

  • @user-hs2nv4xj4r
    @user-hs2nv4xj4r Рік тому +1

    설명이 최고네요
    3d영상으로 보니 cta포의 모양이나 작동 방식이 이해가 잘 되는군요
    최고!

  • @user-wi6qx7om7k
    @user-wi6qx7om7k Рік тому +8

    다시 돌아오셔서 정말 기뻐용~^&^
    그리고 추가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cta탄이 차세대탄으로서 기존의 모든 총,포탄 대체는 사실상 확정 된거같습니다

  • @rosettastone7002
    @rosettastone7002 Рік тому +2

    기다렸습니다!!

  • @kgfdkr
    @kgfdkr Рік тому +43

    오… 장전장치 형태가 예전 독일의 차기 소총 사업의 G11 소총의 회전식이랑 닮았네요. 기술이 서로 돌고 돌면서 발전해 나가는 듯.

    • @user-fd9pt4jh4z
      @user-fd9pt4jh4z Рік тому

      ㄹㅇ이네

    • @hahaagi
      @hahaagi Рік тому +7

      탄피 형태도 똑 같네요.
      카피로 보는게 맞을듯...

    • @qwe-my3hu
      @qwe-my3hu Рік тому

      이런거 공개해서 누가 득을 보겠는가... 신중했으면 좋겠다.

    • @user-lo4mw9zq9o
      @user-lo4mw9zq9o Рік тому

      @@qwe-my3hu CTA는 우리나라 기술도 아닐뿐더러 미국, 프랑스, 일본 같은 나라들은 이미 90년대 초반부터 시제품을 만들어 왔음ㅇㅇ 즉 공개될대로 공개된 기술이란 것임ㅇㅇ

    • @youdieee
      @youdieee 8 місяців тому +3

      ​@@hahaagi기관포의 장전장치가 G11소총의 카피라니.. G11 소총의 장전장치는 군함포의 카피가 되는겁니까?

  • @user-zj1bk9nl2p
    @user-zj1bk9nl2p Рік тому +3

    퀄리티가 너무 좋으네요 ~근데 자주 올려주세요

  • @user-fp1jx6xc6u
    @user-fp1jx6xc6u Рік тому +63

    CTA기관포 방식의 최대 단점인 약실 수명 문제를 언급하지 않아서 아쉽네요. 영국군이 채용한 CTA40 기준으로 수백발 쏘고 난 이후 교체해 줘야한다는 후문이 있죠 이는 수많은 보완을 거친 지금까지도 현재진행형인 문제입니다. 덕분에 미군의 차기 장갑차 계획인 OMFV에서는 40mm CTA 대신에 50mm Supershot을 채용하고 있어서 CTA포의 입지가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죠. 물론 모든 CTA탄종에서 문제가 있는건 아니고 회전식 약실의 특성상 급탄과 탄피배출이 동시에 일어나서 그런 걸로 알고 있습니다.

    • @alsid_
      @alsid_ Рік тому +12

      포의 구조를 봐서는 잘만 설계하면 회전식 약실을 야전에서도 교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전투중 교체까지는 무리겠지만, 약실 하나가 최소한 3~5회의 최대 휴행탄수를 소화할 수 있기에 발사 횟수를 체크하여 탄 재보급시 함께 교체하면 될 것 같습니다.

    • @user-sf7jz3wq4v
      @user-sf7jz3wq4v Рік тому +2

      CTA 자체가 처음부터 말이 많았죠 항상 느끼는건데 기관포나 일반 포는 개량형이 원형을 따라가지 못하더군요..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Рік тому +25

      알아봤는데 한국의 CTA포는 약실포함해서 K21의 K40 기관포와 동일한 내구성(1000발)으로 개발되고 있다고 하네요 수백발에 약실을 교체해야하는거면 치명적인 결함인데 이정도 수준은 아니라고 봅니다

    • @user-fp1jx6xc6u
      @user-fp1jx6xc6u Рік тому +3

      @@user-gh9nf5kj5u
      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05/garm/wednesday/duckworth.pdf
      그리고 여기 CTA international에서 간행한 자료에서도 나오지만 CTA포의 MRBF(Mean Rounds Between Failure : 고장간 평균 발수)기준이 압도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와 CTA 탄약의 고질적인 수명 문제를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비록 본문에서는 40mm포의 휴행탄수 대비 효율을 앞세워서 크게 문제 삼지 않는 분위기입니다(정신승리?)

    • @jwj3365
      @jwj3365 Рік тому +1

      55보다 9이 포신수명문제가지고있는거랑같지만
      성능면에서 압도할수있으니 쓰는거죠.
      약실이 간소화되어있으니 야전교체하면되는겁니다.
      거기다 탄의성능도 늘었으니 덜쏘게될수있죠.

  • @S82Y
    @S82Y Рік тому +21

    CTA 방식이 주력이 되고 확보한 빈공간은 대전차 미사일이나 드론과 조합을 이루면 좋을 것 같습니다.

    • @user-pi1qc3io1k
      @user-pi1qc3io1k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근데 cta 방식은 소규모 전투에서 사용 할 때는 좋지만 우리나라 처럼 전면전를 염두에 둔 국가한테는 맞지 않는 방식임. 이게 아무리 강한 약실을 둬도 약몇백발을 쏘면 약실 자체를 교체해야 해서 큰 문제가 있음

  • @user-qh8yl2xv1w
    @user-qh8yl2xv1w Рік тому +2

    진짜 영상퀄리티 내용 끝내주네요.. 지난번보다 듣기도 편합니다 좋은영상 감사해요~

  • @user-zs3vc6rk3z
    @user-zs3vc6rk3z Рік тому +16

    자주포급 구경에 적용해서 MBT처럼 개조해보는게 어떨까란 생각을 했는데 지금보니 아주 재미있을거 같아

    • @Parangme
      @Parangme Рік тому +2

      새로운 방식의 포체계라서 MBT용으로 120밀리 직사포에 적용할 수 없을까 생각을 저도 했네요. ^ ^; 아마. 밀패와 강도문제가 있을 듯 한데...

  • @user-xk8hc4yk3y
    @user-xk8hc4yk3y Рік тому +7

    CTA를 개발했다는 소리는 들었는데 언제 적용할 것인지 내심 기대하고 있었네요.
    해병대 상륙돌격장갑차에 먼저 적용되는군요.

  • @user-fq9ht1ec8n
    @user-fq9ht1ec8n Рік тому +12

    정비성,신뢰성은 더 좋은데 무게는 더 줄고.. 포 성능은 더 좋은 포가 있다니 혁신이네요

  • @Music_of_Civ
    @Music_of_Civ Рік тому

    3D로 보니 밀덕의 피가 부글부글!!
    감사합니다!

  • @user-xl7uj1hd7i
    @user-xl7uj1hd7i Рік тому +1

    구조가 엄청 특이해보이는데 신뢰성이 더 좋다니 신기하네요

  • @Olddog0530
    @Olddog0530 Рік тому +2

    ㅎㅎㅎ 구독자 입장에선 역시 호사스럽네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오늘 나레이션도 전편보다 더 좋았어요!! 앞으로도 기대하고 있으니 화이팅입니다!!

  • @hyunseoklee6847
    @hyunseoklee6847 Рік тому

    구독했습니다.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 @barcode______
    @barcode______ Рік тому +2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HaNa-hs3cz
    @HaNa-hs3cz Рік тому

    와..돌아오셨네요

  • @doomsdaycannon9772
    @doomsdaycannon9772 Рік тому +3

    저번 KAAV-2 영상에서 언급했던 것이 드디어 나왔다!

  • @user-nu1ju4fh7j
    @user-nu1ju4fh7j Рік тому

    기다렸습니다

  • @enoftmrw
    @enoftmrw Рік тому

    밀덕들 좋아 죽는 영상이네요. ㅋ
    잘 봤습니다. 구독하고가요.

  • @user-ku9nf7cg2j
    @user-ku9nf7cg2j Рік тому

    포각 너무 좋은것 같습니다ㅎㅎ 시가전에 꼭 필요하네요

  • @user-xk1cp1ok6r
    @user-xk1cp1ok6r Рік тому

    k21 기관포가 3열의 24발 탄창을 통채로 교환하며 재장전한다고 하셨는데 같은 탄종이면 문제 없지만 날탄과 고폭탄을 사용할 경우 탄을 전부 사용해야 탄창 교환이 되는건가요? 그러면 날탄은 전부 사용했고 고폭탄은 아직 남은경우 날탄을 쓰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필요없는 고폭탄을 그냥 소모해버리고 탄창을 교체하나요?

  • @lamoking647
    @lamoking647 Рік тому +4

    오 고퀄리티!!!

  • @hawk8873
    @hawk8873 Рік тому +4

    2:34 얼라? 원래 CTA포탄은 니트로 셀룰로오스 계열의 탄피로 완전 소진식으로 하는것 아니였나요? 따라서 탄피 배출구가 없고 지속적으로 폐쇄기 뭉치가 회전하면서 사격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요. 예산 때문에 재래식 황동 탄피를 계속 써야 하나보네여.

  • @user-mk1il1ic1c
    @user-mk1il1ic1c Рік тому

    자주 올려주세요 ~ ~ ~ ~

  • @user-wo6tz1ij9d
    @user-wo6tz1ij9d Рік тому

    최고입니다..

  • @user-nu6sn5lp6j
    @user-nu6sn5lp6j Рік тому +1

    고퀄리티 채널

  • @privatenumber2299
    @privatenumber2299 Рік тому +3

    Stack two CTAs, one left to right, the other right to left over it, to make the FPS rate double.

  • @user-bg3kl4ug8y
    @user-bg3kl4ug8y Рік тому +9

    기보 출신인데 K40 유일한 장점은 발사속도라 설명되어있지만 정작 연사는 고사하고 3점사가 최대인 주포라 별 의미 없습니다. 교본 상 5점사까지 가능하다 되어있지만 실제로 그리 쏘면 탄 걸림이 심해서 3점사 기능만 사용됩니다.

    • @user-bg3kl4ug8y
      @user-bg3kl4ug8y Рік тому

      @@user-pe7vs2ol8x 가능은 한데... 약실 다 드러내고 기능고장 조치 해야하는 거다보니 심하면 포 재정렬하고 승무원까지 하차해서 조치해야 하는 경우도 있더군요. 5점사는 홍보용 영상에 나오는 카탈로그 상 기능이지 전방 부대에선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 @stratojet7451
    @stratojet7451 Рік тому

    오랜만이에요

  • @rover7327
    @rover7327 Рік тому +1

    고폭탄의 경우 작약하고 같은 공간내에 위치하는데 괜찮은가보네요.

  • @jgl4443
    @jgl4443 Рік тому +2

    오 대박! 군교육용으로 적격이네요

  • @user-cg3sq4fb9s
    @user-cg3sq4fb9s 2 місяці тому

    이런 시뮬레이션은 어떤 프로그램으로 사용을 하나요?

  • @lukematson353
    @lukematson353 Місяць тому

    Even though i may not know korean the 3D animation looks great

  • @ljh3825
    @ljh3825 Рік тому +1

    오 쉘든의 밀리터리 아시네요 ㅋㅋㅋㅋ 진정한 밀리터리 덕후이자 논문 및 사실기반으로 만드는 훌륭하신분인데 유튜브 하시면 대박날것 같은데 문제는 너무 깊게 파고 드는 군사기술 많아서 안할듯 ㅋㅋ

  • @user-ok9bn7rz3h
    @user-ok9bn7rz3h Рік тому +4

    영국 워리어장갑차가 실전에서 연사력 문제로 말이 많았었는데, 40cta포는 장점에 비해 단점이 너무 큰듯.

  • @user-pf2ed4ey3e
    @user-pf2ed4ey3e Рік тому +2

    선생님 PKRM에 WIA 76mm함포가 분당100발인데 비해 장전량은 고작 44발이던데 왜 그런 것인지 궁금합니닷 영상소재로 적절한지요?

    • @ssamjanghannip
      @ssamjanghannip Рік тому

      연평해전때 40mm는 북한 통통배 격침은 어림도 없다 해군이 생각해서 그런것으로 알고 있음 장탄수는 적지만 사통장치로 그걸 보완한다는 생각인거 같은데 그대신 거주성이 씹창났죠

  • @KHLee-bb9uw
    @KHLee-bb9uw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우리는 미군 탄과 연계해야 할 필요가 있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40mm CTA 처럼 50mm CTA로 가는 게 장기적으로 합리적일 것 같습니다.
    이유 1. 미군과 탄약 호환성 유지
    2. 날탄 관통력 강화
    3. HE, HEAT 계열탄 위력 강화
    4. 종래 40MM 보포스/노봉 계열 대신 낮아진 발사속도를 한 발당 위력 증대로 만회 가능
    5. 장갑차의 중장갑화 추세로 미루어 - 30톤, 35톤급 장갑차 확산 + 추가 장갑 설치 - 기존 40mm 날탄 보다 짧아진 40mm CTA 날탄으로는 미래 전장에서 관통력 부족 예상
    6. 대공포탄 다목적탄 등의 용도 탄두에 비싸고 부피 큰 신관을 내장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탄두가 큰 것이 효율적
    7. 과거 7.62mm 나토탄이 있는데도 미국 맘대로 5.56mm 나토탄 규격 만들어 표준을 바꿔 버린 것 생각하면 CTA 탄도 결국 미군 규격이 새로운 표준이 될 가능성이 크다. 바꾸려면 미리 바꿔야지 나중에 두 번 돈 들이지 않는다

  • @BlackStar-it9kc
    @BlackStar-it9kc Рік тому

    CTA 포가 미래지향적이고 좋은거같네요

  • @seekwhen1848
    @seekwhen1848 Рік тому +7

    그런데 구조를 보니까 포압 밀폐가 잘 될지 궁금해지네요...
    다음에는 장갑차와 전차용 고무궤도같은 부분을 다뤄도 재미있을거 같습니다.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Рік тому +15

      사실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서 내부를 저렇게 파헤친거지 실제로는 완전히 밀폐되어 있습니다. 그것도 영상으로 보여드릴걸 그랬네요 고무궤도도 컨텐츠로 다뤄봄직한데 지금 거의 반년치 컨텐치가 잡혀있어서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네요ㅎㅎ

    • @sjmtech7572
      @sjmtech7572 Рік тому

      하긴 모든 부분을 보여주기 힘들테니까요

  • @tmrrhph5531
    @tmrrhph5531 10 місяців тому

    탄두가 내장되어있다는 얘기를 들었을때는 화력이 약해졌겠네 했는데 오히려 더 강해졌다니;;;; 엄청나네요
    그래도 기존의 포보다 복잡한 구조때문에 고장이 잦지는 않을지, 야지수리가 가능할지가 걱정이네요.

  • @user-hk6qd6os1v
    @user-hk6qd6os1v 4 місяці тому

    내구성과 신뢰성의 문제가 생길거 같은데 잘 ㅎㅐ결되길 바랍니다.

  • @user-oy8cv6jr8z
    @user-oy8cv6jr8z Рік тому +1

    최근 대두되고있는 드론에 대한 대공방어를 위한 방공무기체계나 장사정포요격체계 등 설명 부탁드립니다.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Рік тому +5

      네 비호2랑 LAMD 준비하고 있습니다ㅎㅎ 기대해보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 @user-oy8cv6jr8z
      @user-oy8cv6jr8z Рік тому

      기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INJIBULL
    @INJIBULL Рік тому +1

    CTA는 총기로보면 G11소총이랑 구동방식은 비슷하네요

  • @yeowoowanabi
    @yeowoowanabi Рік тому

    와씨 cta포 개핵간지다... 개쩐다 저런 아이디어..

  • @tekkyun
    @tekkyun 10 місяців тому

    폐쇄기가 안보이는데 회전장전방식이면 리볼버처럼 가스 손실은 어떻게 막을건지 궁금하네요.

  • @user-qk2hk9cx1o
    @user-qk2hk9cx1o Рік тому

    이런건 좋아요 눌러야함

  • @kddx2020
    @kddx2020 Рік тому +2

    최근 들어서 무인 경전차 플랫폼에 관심이 생겨서 여러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수소 연료 전지 체계를 핵심으로 하는 무인 차체에 30mm 기관포, 40mm 기관포, 대전차 미사일 발사형, 장애물 개척 키트 등을 선택에 따라 얹어서 보병 전투를 지원하는 개념을 상상했는데요 이 과정에서 K21의 40mm 포가 무거울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으나 자세한 구조를 몰라서 대충 해결되겠지? 하며 퉁쳤는데 잊고 있던 CTA포가 정말 괜찮은 해결책이라고 이번 영상을 보면서 생각하게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리고 중간에 무인중전투차량 이미지가 나오는데 그것은 우리나라 버전의 상상도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제 생각 이상의 계획이 잡혀있던 것이었네요 ㄷㄷㄷ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Рік тому +6

      네 무인수색차량과 다목적 무인차량의 다음 개발버전으로 무인중전투차량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말씀하신 대부분의 차량이 개발되고 있거나 제안되어 있는 상태입니다ㅎㅎ

    • @user-yb4nl3pg6e
      @user-yb4nl3pg6e Рік тому +3

      약실의 수명이 관건이겠네요.... 영국의 망작 AJAX애 탑재된 CTA40도 약실 수명이 겨우 몇백발밖에 안된다는거죠.... 무기설계가 보수적인것도 다 이유가 있는거임.... 독일의 G11만 보더라도 그렇죠.... 무탄피로 하겠다고 CTA하고 거의 비슷한 컨셉으로 진행했다 시원하게 말아드셨죠.... 그리고 다시 고전적인 설계로 회귀했고요. 미군도 실제로 그래서 50미리 슈퍼샷으로 할까 고민할 정도라는데....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Рік тому +2

      한국 CTA포는 K21 기관포와 동일한 내구성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문제는 확실히 덜할것 같습니다

  • @GuardianangelOfJones
    @GuardianangelOfJones Рік тому

    영상 잘보았습니다! 그런데 영상을 보다 문득 궁금한 정보가 생겨 댓글 남깁니다. 40mm와 마찬가지로 30mm 탄도 여러 탄종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30mm 기관포는 한 가지 탄을 사용하다 다른 탄을 사용하고 싶으면 어떻게 교체하나요? 위 영상에서 나온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는 건가요 아니면 다른 방식을 이용하나요? 구글에서도 검색해봤는데 죄다 아파치나 공격기 같이 한 가지 탄종만 사용하는 정보만 나와서 질문 드립니다!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Рік тому

      보통은 다양한 탄종을 쓰고싶을땐 듀얼 피딩장치라는걸 사용합니다. 30mm는 아니지만 브래들리 장갑차를 예시로 들면 약실에 탄을 장전하는 장치를 두갈래로 연결해 하나는 고폭탄, 하나는 날탄으로 둔다음 필요할때마다 바꿔가면서 전투하는겁니다. 보통은 포수가 발판으로 바꿀 수 있게끔 설정합니다.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Рік тому

      www.reddit.com/r/guns/comments/ipo36b/m242_bushmaster_for_the_bradley_fighting_vehicle/ 여기 두갈래로 약실에 연결된 부시마스터 기관총을 보실수 있습니다.

    • @GuardianangelOfJones
      @GuardianangelOfJones Рік тому

      @@user-gh9nf5kj5u 상세한 답변 고맙습니다!

  • @LoTAWN
    @LoTAWN Рік тому

    좋은 컨텐츠 잘 보고 갑니당

  • @user-ri1se3fk8c
    @user-ri1se3fk8c Рік тому +1

    K21에 CTA포를 달면 무게가 가벼워져서 도하시 더유리하지 않을까?

  • @user-re4hu6xh7q
    @user-re4hu6xh7q 7 місяців тому

    요세는 탄피가 거의 없는줄알았는데 요건 탄피크네요 밖으로 배출되나요

  • @davec5153
    @davec5153 8 місяців тому

    You should add English subtitles, you'll get far more subscribers as military technology is a popular subject.

  • @FinePrintKR
    @FinePrintKR Рік тому

    참고로 미국에서는 90년대에 전차 주포로 쓰기 위해 75밀리 cta탄을 개발한 적이 있습니다.

  • @madaryakar9453
    @madaryakar9453 8 місяців тому +1

    😜😜i am artery designer and this was the actual mechanism. hehe! a little bit look a like😁

  • @CzettCzarron
    @CzettCzarron 8 місяців тому

    Hope there's English subtitles in your vids...👍👌💪❤️🙏

  • @yashiro0694
    @yashiro0694 10 місяців тому

    멍때리고 있다가 4:26 초에...400mm CTA포라고 들려서 흠칫!!

  • @kbkim6497
    @kbkim6497 Рік тому

    탄피가 있다길래 탄종 선택을 어떻게 하는지 궁금했는데 이렇게하는군요

  • @brokenglassboy860
    @brokenglassboy860 2 місяці тому

    I don’t understand a word but the animations are very awesome

  • @knnd_DZ
    @knnd_DZ 8 місяців тому

    Жаль что нет возможности включить автоперевод субтитров. Без них только визуальную часть смотреть можно.
    А что по осколочно фугасным снарядам? И по сплошным бронебойным? Как более дешевой замене подкаллиберным в условиях моссовой потребности в боеприпасах? Что с ценой выстрела, особенно с учетом комментариев об низком ресурсе поворотного патронника?

  • @bokyeungchoi5194
    @bokyeungchoi5194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CTA포 회전식약실을 I자가 아닌 X형으로 배치하면 발사 속도를 두배로 올릴 수 있지 않을까요?

    • @user-nn7cp9qd3y
      @user-nn7cp9qd3y 10 місяців тому

      ?

    • @user-so6gk4md8j
      @user-so6gk4md8j 10 місяців тому

      그러면 약실 밀폐가 잘 안될듯요 중앙을 가로지르는 구멍이 생겨서.

  • @lilillllliii
    @lilillllliii 10 місяців тому

    자정도 경량화면 핼기에도 장착 가능해보이는데?

  • @user-cy6gt9xq6v
    @user-cy6gt9xq6v Рік тому

    국군장비 도색에 대한 정의가 아직 없던데 정리 해주시면 정말 고맙겠어요.😊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Рік тому +2

      사실 도색하는 도장사 마음대로 하기도 하고 나토 3색이였다가.. 흰지렁이 도색이였다가.. 계속 바뀌는지라 정리하기 어렵습니다 저도 위장무늬 만들때마다 바껴서 골치아팠습니다ㅎㅎ

    • @user-cy6gt9xq6v
      @user-cy6gt9xq6v Рік тому

      @@user-gh9nf5kj5u 국방위 의원들에게 물어봐야겠어요. 몇년째 답답해서요 ㅋ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Рік тому +1

      이번엔 유럽식 나토 3색으로 통일되는듯 하다가 다시 흰지렁이 도색이 나오니 저도 모르겠습니다.. 혹시 대답이 나오면 저한테도 알려주세요ㅎㅎ

    • @ssamjanghannip
      @ssamjanghannip Рік тому

      @@user-gh9nf5kj5u 정비반장 마음대로인듯 ㅋㅋㅋ

  • @Fish-ub3wn
    @Fish-ub3wn Місяць тому

    i see Eugene Stoner sold all his patents to You guys...

  • @enjoyyourlive
    @enjoyyourlive Рік тому +5

    굳이 CTA에서 복잡한 회전식약실 써서 내구성 문제 겪느니 전통적인 급탄벨트 ~ 약실 ~ 배출구조 채용해서 구동부신뢰성얻고 탄약 자체가 컴팩트해진 이점만 최대한 활용해도 훌륭할거 같은데... G11실패요인을 굳이 왜 또 고집해서..

    • @user-fq4eg1gj8q
      @user-fq4eg1gj8q Рік тому

      저도 이게 의문이네요. 그냥 전통적인 방식 써도 되지 않나?

  • @Propus-rk9pz
    @Propus-rk9pz 10 місяців тому

    기존 20~37mm 기관포와 능력을 비교하기보단
    베글라이트 판저의 57mm 70구경장 함포랑 역할이 비슷해 보이네요.
    약간 미사일 보조... 같은 느낌.
    근데 50mm 포에 부앙각도 저정도면... 대공포로 써도 괜찮을 것 같은데요?
    고놈 포탄 하나 잘 물고 태어나면... 드론들 고개도 못 들겠네요.

  • @eum2429
    @eum2429 3 місяці тому

    K21 총은 나감? 몇발쏘고 불량날텐데

  • @art-pv3ie
    @art-pv3ie Рік тому

    냉병기 시대를 다룬 그림그리기가 갑자기 지루해지고 그리기 싫어져서 개인화기 시대로 넘어왔는데 개인화기,기갑장비,헬리콥터,전투기,함선이 복잡하고 너무 세분화되서 그리기 어려워요.
    특히 군복장비와 방탄복, 각종 파우치들이 통일되지 않아서 보고 그리기가 어려워요.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Рік тому

      군용 장비는 자칫 다양해보여도 각 군마다 통일된 양상이 있으니 찾아보면 금방 나옵니다. 요즘은 에이콘 같은 사이트에 3d로도 잘나와서 그거를 구매해서 따라 그리셔도 충분하실겁니다. 다만 비율 문제랑 캐릭터 자세랑 3d를 맞추기 어려우실텐데 하필이면 가장 그리기 어려운 소재를 선택하셨네요ㅎㅎ 냉병기 못지 않게 열병기도 난이도가 어려운데 잘이겨내시길 바랍니다

  • @jovenbuenojude
    @jovenbuenojude Рік тому

    일단 추천 박고 ㅋㅋ 근데 저는탄피배출되는게 더 멋있네요

  • @I_love_aviation_of_ghibli
    @I_love_aviation_of_ghibli Рік тому

    둘다 다는게 가장 좋지 않을까요

  • @MsHitman332
    @MsHitman332 Рік тому

    생긴게 꼭 무탄피 탄이랑 비슷하게 생겼네요

  • @user-nt2kx6kn4v
    @user-nt2kx6kn4v Місяць тому +1

    지루 개선해라 ❤❤❤❤❤❤❤

  • @uhama6585
    @uhama6585 Рік тому +1

    K21은 격실 옮길때랑 재장전할때 너무 불편했었음..

  • @user-og8hd6iw1h
    @user-og8hd6iw1h 10 місяців тому

    K21 주포 작동방식에 오류가 있어서 수정합니다. K21은 슬로우 피더와 패스트 피더에 의해서 1번탄 2번탄 3번탄이 대기가 됩니다. 격발 버튼을 누르는 동시에 탄을 밀어주고 폐쇠기 하단에 있는 갈퀴에 탄미 부분이 갈퀴를 치고 가면서 폐쇠기가 하강하게 됨과 동시에 폐쇠기에 있는 공이로 격발이 진행됩니다. 전차와 다르게 폐쇠기에 미리 장전하고 격발 하는 방식이 아닌 격발 스위치를 눌러야 탄을 밀어넣고 격발 하는 방식입니다.

  • @user-os1bz3mt2f
    @user-os1bz3mt2f 3 місяці тому

    순간 화력 투사력이 100발이나 떨어지면 안되지요.

  • @gihyunsong6061
    @gihyunsong6061 Рік тому

    속도도, 관통 능력도 향상 된 줄 알았는데 아니네요, 좀 고민이 되겠다

  • @user-os1bz3mt2f
    @user-os1bz3mt2f 2 місяці тому

    화력이 중요해요.
    전투 상황에서 순간 막강 화력을 투사해 적을 괴멸 제압 하는데 한두발도 아니고 100발씩이나 화력이 떨어진다면 숙고 되어야함 회전식 장전은 기능적 문제가 많음.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2 місяці тому

      K40기관포도 탄클립으로 장전해서 순간 화력이 8발밖에 되지 않습니다. 지속 화력으로 따지면 CTA가 월등하죠

  • @d-dung
    @d-dung 4 місяці тому

    40mm cat포의 타격목표는 보병, 벙커, 대공, 경방호차량 등에 한해야지. 전차나 중장갑을 두른 차량은 대전차미사일.

  • @user-cy6gt9xq6v
    @user-cy6gt9xq6v Рік тому +5

    40mm포 주둥이(?)는 왜 저렇게 깔데기모양인가요? k-21도 저렇던데.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Рік тому +8

      보포스포 특유의 포구제퇴기 형상입니다. K21에 보포스포를 장착할때 여러가지 포구제퇴기를 실험했었는데요 저 깔떼기 모양이 가장 명중률이 높아서 현안 그대로 채택되었다고 합니다.

    • @user-zs3vc6rk3z
      @user-zs3vc6rk3z Рік тому +3

      저 깔때기 모양은 꽤 오래된 모양입니다
      독일의 MG기관총시리즈에도 적용된 모양이죠

    • @seekwhen1848
      @seekwhen1848 Рік тому +4

      저거 기능성을 인정하는 사람은 많지만, 이쁘다 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 @NOKMANtube
      @NOKMANtube Рік тому +3

      기반이 된 보포스가 원래 대공포여서 그래요. 대공포의 경우 포구제퇴기가 깔때기형으로 된게 많죠. 적성국인 러시아제 대공포도 저렇게 나팔처럼 생긴 모델이 다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쉴카에 4연장으로 들어가는 AZP-23이라던지.. ww2시절 추축국 독일 Flak 8.8cm 대공포의 경우는 포구 앞에 아무것도 없는 일반 대포처럼 생겼어요. 대신 Flak 4cm의 경우 보포스처럼 나팔처럼 생긴 포구제퇴기가 있죠.

    • @hyun-87
      @hyun-87 Рік тому +3

      @@user-gh9nf5kj5u 현역때 관련 자료를 본적이 있는데, 하탄문제 때문입니다.
      지금도 인터넷에서도 오래된 자료를 찾아 보면 나올껍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엔 포열의 길이가 탄의 추진장약을 다 태우기 짧아 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생각하는 이유는 K1 기관단총 때문인데, K1기관단총 시절을 보면 나팔형 소염기를 사용 했었습니다.
      그때도 하탄문제로 나팔형 소염기를 사용했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K1a의 소염기도 보기에는 원통형이지만, 소염기의 끝 부분을 보면 원추형의 모양, 즉, 나팔형과 다르지 않는 현상을 하고 있습니다.
      이 현상(원추형/나팔형)은 남은 가스압을 360도로 골고루 분포 식혀, 탄의 비행비행궤적을 안정화 하는 역활로 알고 있습니다.

  • @monksaint8091
    @monksaint8091 11 місяців тому

    40mm 보포스가 대단한 물건이네요
    근 100년이이 지나도 아직 현역이라니
    원 보포스의 탄피배출 레일은 아래로 되어있는데
    K21에 장착한 보포스는 기존 보포스를 뒤집어서 설치하다보니 탄피가 위로 솟구치는 문제가 있군요

    • @user-wr6cy2vp6x
      @user-wr6cy2vp6x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저런 방식 자체는 스웨덴에 cv9040도 저런거 보면.. 큰 문제는 아닌듯하네요

  • @technologicalsingularity1788
    @technologicalsingularity1788 5 місяців тому

    4:58 날탄은 몰라도 고폭탄은 추진장약 들어갈 공간이 나오긴 하는지 ??

    • @user-gh9nf5kj5u
      @user-gh9nf5kj5u  5 місяців тому

      네 CTA탄은 저 빈공간에 추진장약을 채워넣습니다

  • @yumyumboink3262
    @yumyumboink3262 Рік тому

    아 부시마스터3이랑 독일 rh 503이 50mm 던에 이게 그거구만?
    근데 신기한게 35mm 도 같이 쓸수있다는데 약실무엇...

  • @o5-998
    @o5-998 3 місяці тому

    4:25 400mm CTA?

  • @cab8457
    @cab8457 10 місяців тому

    구조나 탄이나 g11 느낌나는듯

  • @youcantata
    @youcantata 3 місяці тому

    앞으로 장갑차의 역할이 야전 드론 운용 플랫폼 역할과 대 드론 방공포 역할도 겸해야 하므로 방공용 공중폭발탄의 개발도 서둘러야 할 듯. 단거리 광학식 레이저 레인지 파인더를 결합하면 간이 대공포 역할을 할 수 있음.

  • @alejomeneziii8822
    @alejomeneziii8822 Місяць тому

    Why not put an English translation in this video. Very worth while video more of Korean.

  • @roon1130
    @roon1130 10 місяців тому

    K21 20미리 vt신관도 없다 했던거 같은데

  • @apocaly4467
    @apocaly4467 Рік тому

    회전실 약실하니깐 독일의 G11개발...

  •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 Рік тому +1

    k-21 지속사격 문제는 좀 문제가 있긴함.

  • @minohkang404
    @minohkang404 Рік тому +3

    대공방어능력에서는 2연장 으로 가야 할거에요 또 급탄 수를 더 많이 늘여야 합니다 함상용 30미리 콜키퍼는 아쉽지만 전투에 큰 도움이 안되요 에초에 6열 7열 디중 포신은 돈 먹는 하마일 뿐이죠 지금이라도 3열로 축소하거나 40미리로 대체 되야 합니다 펠렁스는 전부 도태 시켜야해요

  • @sungkieun1648
    @sungkieun1648 10 місяців тому

    근데 관통자가 짧아진걸 속도로 매우는거 같아영

  • @mason7645
    @mason7645 Рік тому +2

    국방 tv에선 이분 섭외 안하고 뭐한다냐

  • @meinlet5103
    @meinlet5103 Рік тому

    cta 탄은 잘만 쓰면서 텍스트론은 왜 거른거냐

  • @lilillllliii
    @lilillllliii 10 місяців тому

    탄이 겁나신기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