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편_1세대1주택 비과세(요건) *재업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7 лют 2025
  • #1세대1주택 #양도세 #비과세 #2년거주 #2년보유 #거주요건 #국세상담센터
    ★ 개정내용 ★
    ● ‘22.5.10. 이후 양도하는 주택은 해당영상 05:49까지만 시청바람
    ▶ 00:12, 04:16 ☞ [’22.8.2. 개정] 실거주하지 않아도 상생임대주택요건 충족시 거주요건 충족으로 봄 (☞ 추천영상- 9편 상생임대주택)
    ▶ 01:00 ☞ [‘21.12.8. 개정] 고가주택 기준금액 상향 9억원→ 12억원 (‘21.12.08.이후 양도분부터 적용)
    ▶ 05:50 ☞ [‘22.5.31. 개정] 최종1주택 비과세 보유 거주기간 재기산요건 삭제 (‘22.5.10.이후 양도분부터 적용)
    #타임라인
    00:43 1세대1주택 비과세요건 기본설명
    01:40 취득시 조정지역이어도 거주요건 없는 경우
    03:40 조정대상지역 설명 및 조회방법
    05:50 최종1주택 보유/거주기간 재기산 (’21.1.1이후 달라지는 것)
    06:47 일시적2주택 등 먼저파는주택 비과세받는 경우
    07:43 ‘20.12.31.이전 모두 양도후 1주택이 된 경우 변경없음!!
    08:03 증여, 용도변경으로 최종1주택이 된 경우
    09:23 사례설명 (2주택 이상자의 최종1주택 비과세)

КОМЕНТАРІ • 126

  • @ntskorea
    @ntskorea  2 роки тому +1

    ★ 개정내용 ★ (‘22.5.10. 이후 양도주택은 영상 05:49까지만 시청바람)
    00:12, 04:16 ☞ [’22.8.2. 개정] 실거주하지 않아도 상생임대주택요건 충족시 거주요건 충족으로 봄 (☞ 추천영상 : 9편 상생임대주택)
    01:00 ☞ [‘21.12.8. 개정] 고가주택 기준금액 상향 9억원→ 12억원 (‘21.12.08.이후 양도분부터 적용, 추천영상 : 4-1편 고가주택)
    05:50 ☞ [‘22.5.31. 개정] 최종1주택 비과세 보유 거주기간 재기산요건 삭제 (‘22.5.10.이후 양도분부터 적용)

  • @배상민-d7b
    @배상민-d7b 2 роки тому

    고생 많으십니다.

  • @들불-f9w
    @들불-f9w 3 роки тому

    앗따님ㅡ맞는 얘김니다ㅎㅎ
    전국민이 열공중ㅡㅡ

  • @블루스카이-d9i
    @블루스카이-d9i 3 роки тому

    유익한 정보감사합니디ㅣ

  • @율이아부지-c3z
    @율이아부지-c3z 3 роки тому +23

    아니 진짜 주택가진사람이 죄인도 아니고 세금 ㅈ 같네진짜 ㅡㅡ

    • @다난-y1c
      @다난-y1c 3 роки тому +2

      지금 정부에서 집 가진게 죄 맞아요..

    • @권영숙-j8o
      @권영숙-j8o 3 роки тому +3

      1가구1주택인데 양도세때문에 집을 못팔아요 정말 거지같은나라맞아요 양도세ㅣ가구없애 주세요

    • @뀨-x6k
      @뀨-x6k 3 роки тому +1

      @@권영숙-j8o 양도세 엉마네여

  • @앗따-y5g
    @앗따-y5g 3 роки тому +59

    전국민을 세무사로 만들셈인가 ㅋㅋㅋㅋ

  • @sunshine-ci3yp
    @sunshine-ci3yp 3 роки тому +7

    부동산법 너무 어렵네요. 이래서 집한채 사겠습니까?
    대출규제도 다 막아놓고...에휴
    민주당 회원인 제가 부끄럽네요. 탈퇴해야겠어요.
    도움이 안됩니다.
    개인세무사, 부동산 어느곳에 물어봐도 명쾌한 답변 못들었는데
    국세청 상담전화는 불통이어서 연결은 안되고
    이곳 국세청 전문 상담사 동영상 보니 명쾌하게 이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byuengminyoo
      @byuengminyoo 3 роки тому

      민주당원 이었던 당신 손구락을 작두로 자르라

  • @reddummy7
    @reddummy7 3 роки тому +6

    진짜 개같이 복잡하게 해놨네 아오 무슨 지뢰찾기여 공부를해해도 지뢰가 있었네 아오!! 암튼 설명 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쁘니-z6y
    @이쁘니-z6y 3 роки тому +1

    유익한정보 넘 감사드려요

  • @최문길-k1f
    @최문길-k1f 3 роки тому +2

    아주 쉽게, 편하게
    알려주어서 매우 유익하고 감사 했습니다ㆍ

  • @도사-q9f
    @도사-q9f 3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도움이 됐습니다

  • @nikkydiver3014
    @nikkydiver3014 3 роки тому +58

    법이 개 쓰레기라는 걸 느껴지게 하는 영상이네요.. 설명하시는 분은 고생하셨습니다.

    • @plm5742
      @plm5742 3 роки тому +2

      이정부는 ㄹㅇ 쓰레기..

    • @루린-k3c
      @루린-k3c 3 роки тому

      설명하는 사람이 법만든 장본인들 ㅋㅋ

    • @cozy1690
      @cozy1690 11 місяців тому

      ​@@루린-k3c법은 국개의원들이 만듭니다.저분들은 그에 따른 시행령 만들고 실행하는 분들..

  • @혼자먹으면1인분
    @혼자먹으면1인분 3 роки тому

    그냥 안팔고 묵혀야지.
    부동산정책 실패하는 비전문가들이 뭘안다고 국민들 재산뜯어내는걸 법이라고 만들어 갈취하냐?

  • @ssk3876
    @ssk3876 3 роки тому +1

    쉬운설명 감사합니다.
    다른것도 특히 5편도 재업로드 부탁드립니다

  • @늘행복-b7i
    @늘행복-b7i 3 роки тому +5

    유익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시중에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너무많은 시기라 더욱 귀중한 강좌라고 생각듭니다.

  • @Jsypinkysj
    @Jsypinkysj 3 роки тому +5

    영상 잘봤습니다 고맙습니다

  • @행복해-k6n
    @행복해-k6n 3 роки тому +5

    제일 쉽게 설명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 @gangnam_no1
    @gangnam_no1 3 роки тому +1

    많은 도움됩니다
    세무관련 다른 영상도 탑재부탁드립니다

  • @유신담덕
    @유신담덕 3 роки тому +1

    이럴시간과 열정에
    세금떼먹는놈, 세금 고액미납자, 그리고 부동산 투기, 편법쓰는 놈이나 제대로 처리하자
    그냥 본연에 업무만 충실하게 해주길 바란다
    본연에 업무는 똑바로 안하면 엉뚱한 거 하지않길'' ...

  • @홍수진-j4l
    @홍수진-j4l 6 місяців тому

    저는 50세로,집없고 이혼후 1주택 엄마한테 들어와 사는데, 아직 2년이 않되었어요... 엄마가 집을 21년에 아빠돌아가시면서, 단독상속을 한 집입니다.만약 지금 파시면, 비과세가되나요? 법은 무지 어렵네요...전 월세로 살다 들어왔습니다...ㅎㅎㅎ

  • @eemnine
    @eemnine 3 роки тому +33

    누더기 법을 만들어서 개같이 어렵네

  • @공간디자인-q9f
    @공간디자인-q9f 3 роки тому +1

    진짜 유익한 영상입니다.

  • @iskim3314
    @iskim3314 3 роки тому

    이제 확실히 알았네요
    땍뿌러진 설명입니다
    제가 재개발지역
    22년도 입주이고
    현재 무주택자인데
    2년거주 해야하는군요
    감사합니다

  • @JK-dj6cu
    @JK-dj6cu 3 роки тому

    유익한테 헷갈리네요

  • @기아타이거즈-r6r
    @기아타이거즈-r6r 3 роки тому +7

    유익한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 @ejo4400
    @ejo4400 2 роки тому

    국민은 누구나 납세의무가 있다는데 정말 그런가요? 종교단체도 세금을 똑같이 내는지? 종교단체는 전혀 세금을 안내나요? 그것이 진짜 국민은 궁금해합니다.

    • @ejo4400
      @ejo4400 2 роки тому

      국세청이 할말이 없나?

  • @봄꽃-f3s
    @봄꽃-f3s 3 роки тому +11

    실거주 폐지해야한다 집이있어도 사정이 안되 입주 못한사람 팔수도없고 세금과징과 세금뜯기 방편보다 국민의편익을 먼저생각해라 억지 제도만들어
    보유는 보유지 빚까지고 이자내느라 아껴살고 평생벌어도 집한채 사기 힘들어
    전세금까고 산것이다 그저 산건 아니다

  • @suzielee142
    @suzielee142 3 роки тому +31

    나라를 이꼴로 만든 민주당은 영영 이 땅에서 권력을 잡지 못하게 해야!! 정말 국민을 힘들게 하려 경험하지 못한 세상을 살게 만들어 주는… 내년은 끝나겠지…!

  • @SuLee-uc1jc
    @SuLee-uc1jc 5 місяців тому

    현재 제 명의 아파트 분양받아 1주택에 살고 있습니다
    다만 육아 문제로 어머니가 함께 전입신고 하여 저희집에 거주중이신데
    어머니는 무주택이고 , 지방에 계신 아버지만 1주택자 이십니다.
    제가 매도시에 1세대 1주택으로 양도세는 비과세 되는게 맞는걸까요?
    혹시 어머니땜에 불이익이 있을까요?

  • @shigh8778
    @shigh8778 3 роки тому +10

    아 씨.... 늬둘이 개판 만들어 놓고.
    이런거 만들 시간에 원래대로 돌려 놔.
    진짜 내가 살면서 누굴 죽이고 싶다는 생각 처음 든다.

  • @hskim-nz8tk
    @hskim-nz8tk 3 роки тому +1

    쵝오네요

  • @cmono
    @cmono 3 роки тому +50

    부동산 세금이 이렇게 복잡한 나라 있나 좀 알고 싶다 에휴

  • @김필순-m1u
    @김필순-m1u 3 роки тому +5

    엄청 알기 쉽게 설명해주시네요

  • @reding17
    @reding17 3 роки тому

    작년 저는 인테리어를하고 그 업자를 올해 7월22일 양천세무서에 차명계좌를 신고하였으나 아직 진전이없습니다. 담당자의 말로는 올해초 신고건도 완료되지않았다고합니다. 이정도면 양천구 소재지에 있는 모든 업장이 차명계좌를 쓴다고봐도 무방할 정도아닐까요?? 무면허 인테리어업자이며 as조차도 해주지않습니다. 이런 인면수심의 사람을 보고만 있어야합니까??ㅠㅠ제발 도와주세요. 차명계좌를 쓰며 사람을 기만하는 이 사람을 제발 적법절차에맞게 처리해주세요.

    • @하늘을나는붕어
      @하늘을나는붕어 3 роки тому

      올해초 신고건도 해결이 안되었다 이건 모든 세무조사일거에요. 저도 본청에 사전답변 신청한거 1년재기다리고있습니다 세금은 몇억내놓고..
      가산세 안맞을라고....세법이 바뀐게 많아서 일이 많아졌다네요 ㅎㅎ 그리고 인테리어업자 조사받아도 매출누락분에 대한 가산세 말고는 별거 없을거에요.. 공사대금 1500만원인가 기준으로 이하는 면허없어도 무방한걸로 알고있고요. 현실적으로 몇억자리 세금조사가 밀려있는데 차명계좌 가산세에 신경쓸 여력이 있을까요 없다고 봅니다 ㅜㅜ

  • @heuikun_oshaberi
    @heuikun_oshaberi 2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봄비가 내리네요

    다름이 아니라 질문이 있습니다만 저희 어머니가 한 집에 20년 거주중인데 곧 재개발 예정이라 양도를 앞두고 있습니다.
    궁금한것은 비과세 양도세 조건입니다.
    ​누나가 타 지역에 살다가 얼마 전에 어머니집에 세대주로 전입신고를 했고 세대분리를 완료했습니다.
    ​제가 들은바로는 생계를 같이하는경우 세대분리 한 것이 인정이 안된다 라고 하던데 이게 맞나요 ?
    그렇다면 인정받기 위해서는 어떤 액션을 취해야 합니까?


    딸이 어머니 집에 계속 살 것은 아니고 5월에 매수한 집으로 이사를 할 건데 그 전에 이사날짜와 맞지않아 잠시 있는겁니다. 이 경우 그렇다면 매수한 집으로 5월에 이사한다면 양도세 비과세조건에 문제가 없는 것인가요 ?

    ​즉, 양도세 비과세 조건에 영향이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잘부탁드립니다 :)

  • @전국-w7g
    @전국-w7g 2 роки тому

    최초 질문이
    사라졌습니다

  • @김재숙-b4z
    @김재숙-b4z 5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비과세 관련 문의드립니다
    성남시 중원구 재개발 주택(관리처분 '16.4) 을 취득( '17.3.17)하였고, 당시 이주 전이라 취득세 1.1% 냈습니다
    이후 아파트가 완공되었으나 직장이 타 지역으로 발령나서 부득이 임대를 주게 되었습니다
    임대기간 : 2년(2022.11~2024.11)으로 상생임대 요건을 갖추어야 하나 궁금해서 검색중 국세청 사이트를 만났습니다
    2017.8.3일 이전 취득('17.3.17)주택은 2년 보유 요건만 갖추면 되는 것으로 이해 했습니다만
    한번 더 여쭤봐야 안심이 될 것 같아 질문 드립니다
    * 취득 당시 ~ 지금까지 1세대 1주택임

  • @기냥-n6d
    @기냥-n6d 3 роки тому +5

    이게 나라냐

  • @전국-w7g
    @전국-w7g 2 роки тому

    아래 질문의
    대전제는 신축
    아파트를 거주는
    못하더라도 2년
    이상 소유한다는
    가정하에서 입니다

  • @나는적폐다
    @나는적폐다 3 роки тому +7

    세금만 잇빠이 올려 놓고 웃으면서 돈 갖다 바치라 하네 공자 왈 호랑이보다 더 무서운게 세금이다 일가구 이주택 비과세가 엊그제 같은데 도둑넘이 권력을 찬탈하니 🐕판이네

  • @워너원윙깅이
    @워너원윙깅이 3 роки тому +2

    부부가 따로살수도있고 자녀가 따로 살수있는 상황도 생기는데 무조건 세대전원 실거주해야한다는건 웃기는거죠 그리고 양도세 이렇게 어려워서야 받는 놈은 얼마받아야 되는지 압니까?

    • @늘행복-b7i
      @늘행복-b7i 3 роки тому

      따로살아야 하는 이유가 직장, 학교등 불가피 한 경우가 증빙되면 허용해 줍니다.

  • @kimlunaikos9032
    @kimlunaikos9032 3 роки тому

    영상 감사합니다!!

  • @이루자-i1q
    @이루자-i1q 2 роки тому

    2채보유하면 다시들으러 옴 이해는 안가네요

  • @mattshin9840
    @mattshin9840 3 роки тому +1

    다 죽어라 세법 이렇게 누더기로 만든x

  • @스타머니-s7o
    @스타머니-s7o 3 роки тому +5

    앞으로 세금문제 많이 알려주세요 구독 좋아요 했어요

  • @BA-jj4tc
    @BA-jj4tc 2 роки тому

    조정지역에 첫주택을 사서 2년 실거주를 하면 2년뒤에 비과세에요?? 아니면 2년 실거주를 직접 해도. 2년 더해서 총 4년을 채워야 되는건가요??

  • @김미경-i6h4i
    @김미경-i6h4i 3 роки тому

    2년실거주하고 매도했는데
    전입신고를 3 개월 늦게 해서
    실거주 요건이 모자란다고 연락이왔네요
    정정신청할고 하는데
    실거주 소명방법이 있을까요?

    • @하늘을나는붕어
      @하늘을나는붕어 3 роки тому

      이사를 했다면 이시바용 지불한 통장내역..아파트면 입주민카드작성한날짜..그당시 집으로 날라온 우편물들..전기세나 수도세 등등..

  • @firstfair8582
    @firstfair8582 3 роки тому

    전문가님께 궁금한점 여쭙니다.
    A 주택 매수 = 19.10 (당시비규제)
    B 주택 매수 = 20.1. (당시비규제)
    B 매도 = 20.12(잔금). 21.1(등기이전)
    (문의) 현재 A 주택 매도시 비과세인지요.
    (A.주택 매수후. 1년이 안되어 B를 취즉한점 까지 감안했을때. A 주택은 언제부터 비과세 인지요)
    답변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 @이형일과학
    @이형일과학 2 роки тому

    거주기간이 꼭 연속일 필요가 있나요? 1.5년 살다 나중에 0.5년 살아도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건가요?

  • @설영찬-y3b
    @설영찬-y3b 3 роки тому +1

    매입할때 비조정 팔때는 대상지역입니다

  • @user-ig1gi4cr4q
    @user-ig1gi4cr4q 2 роки тому

    비조정지역 20년 10월 매수했는데 향후 매도시 2년 거주요건 충족해야하나요..? 1인가구입니다

  • @hikim6036
    @hikim6036 3 роки тому +4

    앞으로도 양질의 세법 정보 부탁드려요~

  • @킹젠틀
    @킹젠틀 3 роки тому

    선생님 거주와 보유의 기준이 등본상 주소지를 얘기하는건가요 ? 등본상 주소지로만 되어있으면 거주로 보는건가요?

  • @남아치
    @남아치 3 роки тому

    국민들 머리좀 안아프게 해주세요.
    세무사도 양도소득세는 잘모르는데 이게 뭡니까?

  • @루린-k3c
    @루린-k3c 3 роки тому

    졸라 복잡하게 만들어서, 코로나로 전국민이 힘들때 국세수입이 역대 최대치 찍나요? 적당히 하라!!!

  • @cookyjh9379
    @cookyjh9379 3 роки тому +2

    알아두면 뭐하냐?
    또 바뀔텐데 ㅋ
    그냥 팔기전에 세무사 만나자

  • @Toughengel-s9z
    @Toughengel-s9z 3 роки тому +1

    졸라 어렵네.

  • @명당월드
    @명당월드 3 роки тому +1

    설명은잘들었습니다.
    신규아파트계약당시에는 비조정지역이었고 주거용오피스텔을 소유하고있었는데 잔금치를때는 조정지역이되었어요.
    지금세법대로하면 1주택자는 더 좋은 곳으로 이주하려할때 무조건 비과세를 받으려면 2년 거주해야된다는건데
    실거주를 장려하고 투기를 막기위해 거주요건을 두는 취지는 알겠으나 주거이동의자유를 침해하는건 아닌가요?
    실제로 직장이나 가족부양등 문제때문에 새로 구입한 집에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이 때는 양도소득중 일부는 나라에 내라라는 의미인데.. 비과세니 나라에서 혜택을 주는 것이긴 하지만 기본세율이 높으니 참 안타깝네요.
    취지는 투기근절이었겠지만 결과적으로 저같은경우 비과세금액도 크니 집을 팔면 포기해야되는 금액이 커서 매물로 안 내놓고.. 매물이 줄어드니 집값하락에 도움은 안될것 같습니다. 세는 더 걷힐지 모르지만요.

  • @검은신사-o8u
    @검은신사-o8u 3 роки тому

    근로소득으로 열심히 살아왔던
    지난 날들이 바보같이 느껴지는 요즘입니다.
    근로 소득 열심히 모아 1채
    '0'에서 또 열심히 모아 1채
    1채를 월세 받다가 거주지를 이전하려고
    2채를 모두 파는데,
    2채다 바뀐 세법 때문에 비과세를 받지 못하니
    받았던 월세 전체소득보다 많이내야하는 양도세.
    부동산은 함부로 하지 말고, 평생 근로 소득만으로 살아라!
    이렇게 말하고 싶은건지?
    평생동안 근로소득만으로 얼마만큼의 삶의 질이 나아질 수 있는지...
    최근 바꿔놓은 법, 만든 사람에게 묻고 싶군요?
    개인이 열심히 사는건, 기본적으로 개인의 삶의 질을 바꾸고자 하는 것 아닌가요?

  • @정뚱엉뚱
    @정뚱엉뚱 3 роки тому

    12억으로 바뀌지 않았나요?

  • @리키-f7b
    @리키-f7b 3 роки тому

    1987년에남편명의로 구매후(2년8개월거주)2014년1월부부공동명의(부인2년비거주)했으면 비과세되나요?

  • @always7273
    @always7273 3 роки тому +4

    와우 복잡한 내용을 똑소리나게 설명 잘 하시네요...한가지 자문을 구합니다. 남편이 해외에 취업이민을 하게 되어 2019.12월에 해외 영주권 취득후 큰아들만 남고 나머지 가족이 이주했습니다. 큰아들은 군복무후 제대하여 대학 수학 후 2021.8월에 해외 이주하여 비로소 온가족이 해외이주하게 되었구요. 궁금한 점은 2019.6월에 조정대상지역에 1세대1주택(분양시 무주택) 을 등기취득한 후 남편이 해외취업 영주권 취득하여 2019년 12월 해외이주하여 거주중인데 이겨우 큰아들까지 해외이주한 2021.8월을 해외이주 시점으로 계산을 하는지요? 아니면 소유주가 해외이주한 2019.12월을 해외이주시점으로 계산하는지요? 1세대 1주택 비과세요건(한국 거주중 아파트 취득 후 아파트 실거주는 없고 해외취업 이민의 경우) 에 해당하려면 2021.12월이전까지 아파트 매매를 해야 할까요? 혹시 보시면 댓글 부탁드려요....plz.....

  • @행복진-u6o
    @행복진-u6o 3 роки тому

    16년주택취득후 17년조정대상지역이되었습니다(수원)
    19년같은지역주택을 상속받게되어 2주택자가되었고 21년4월 상속받은주택을먼저매도하였습니다
    국세청에문의하니 16년취득한 기존주택을상속주택매도일로부터2년 보유해야양도소득세가없다고하여
    저는 지금어쩔수없이 팔지못하고 비워놓은채 다가구작은평수 전세이사왔습니다
    둘다매도하고 직장근처로이사하고싶었지만요
    유튜브내용대로라면 상속으로인한 일시적가구이므로 2년보유에미해당되는것같은데 맞나요?

  • @evergreenk6746
    @evergreenk6746 3 роки тому

    이렇게 어려운 양도세법 세무사도 쉽지 않겠군요 ㅠㅠ 듣다가 이해안되면 되돌려 듣긴했지만~~
    이걸 소비자가...
    공인중개사도 이러니 답을 확실히 못해주나보네요

  • @학성-b5u
    @학성-b5u 3 роки тому

    아파트 전세 거주를 하고 있었는데 계약종료일에
    전세보증금도 돌려주지 않고 집주인이 잠적했습니다
    어쩔수없이 임대차반환소송 진행 후 강제경매
    경매 참여자가 아무도 없어 계속 유찰시킬 수 없어
    어쩔수 없이 제가 경매 낙찰을 받았네요
    전세보증금: 1억1천만원, 경매낙찰가: 8천만원
    은행대출이자만 계속 발생하고 있으므로
    1억1천만원 이상에 최대한 빨리 매매(1년이내)를 하고 싶은데
    양도세가 중과되나요?(70%) 비과세 대상이 될수 없나요?

  • @xjapan8693
    @xjapan8693 3 роки тому

    아이고 명색이 관공서에서 만드는 영상인데 퀄리티가 폐급이네요. 세금은 대체 어디다 쓰고 영상은 이따위로 만듭니까? 민방위 교육동영상보다 못하네요

  • @hyeontaeahn7391
    @hyeontaeahn7391 3 роки тому +1

    조정지역은 보유2년 거주2년이라고 하는데 보유하자마자 거주해서 2년채우면 비과세 요건 만족하는건가요?

  • @byuengminyoo
    @byuengminyoo 3 роки тому +1

    2년거주 2년보유 해도 9억넘겨서 양도해도 세금뜯기나요?

  • @ssm9837
    @ssm9837 3 роки тому +2

    정확한 안내 넘 감사합니다!!
    일시적2주택자 문의 드립니다~
    A:기존주택
    (10년거주했고 비조정->2020년 투과지역 됨)
    B:신규주택
    (2017/2월 분양권계약/비조정
    ->2018/8.2조정대상지역 됨
    ->2019년5월잔금(등기완료).
    *2020/12월 A주택 매매로 1주택자 됨
    (현재 C주택 임차거주).
    Q1:일시적2주택인
    A주택 양도세 비과세혜택 받으려면
    B주택 2년 실거주조건 충족해야하는지요?
    Q2:
    20년12월에 1주택자가 되었고
    추후 B주택 양도시
    비과세 양도싯점이
    -1주택자 된 시점부터 2년후 비과세인지?
    -등기 2년후부터 비과세인지?
    -2년보유+2년 실거주조건까지 충족해야
    양도세 비과세혜택 받을수 있는지요?
    정확한 답변 부탁 드려봅니다~^^

  • @유태경-i1g
    @유태경-i1g 3 роки тому

    예를 들어 계약당시 비조정지역 잔금치룰때 조정지역 2년후 (정권바뀌어) 조정지역 해제시 실거주 안해도 비과세 될까요?

  • @신신신-z6k
    @신신신-z6k 3 роки тому +2

    지역주택조합도 일반 아파트 분양권 이나 조합물건 처럼 잔금친날이 취득일 인가요?
    아님 계약한날이 취득일 인가요? 지주택 조합물건 계약한 날은 조정지역이였고
    잔금친날은 조정지역 아니라서요 현재는 다시 조정지역이지만 지주택ㅜㅜ

  • @shinesun6968
    @shinesun6968 3 роки тому

    2016년에 일시적 1가구 2주택으로 매수한경우
    최종1주택이 된경우
    양도시 2년 거주의무가 있나요?

  • @샷형-j8b
    @샷형-j8b 3 роки тому

    영상잘봤습니다
    2년보유시 비과세로알고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을받을시에는 보유2년에서 거주를해야됩니까?
    제가 2020년 4율초에 평택 고덕신도시 당첨이되어 4월말에 계약을하였습니다
    그 후 6.17 조정지역이되었습니다 조정되고 중도금을실행하였고요 궁금한점은 22년 5월입주시 주택담보대출을받게되면 거주도해야되는겁니까?
    (당연 무주택세대입니다)
    혹여나 주택담보대출을받고 월세를 줄때 거주요건까지 붙으면 어캐되나 확실히알고싶어 문의드립니다

  • @갈치구이-q2j
    @갈치구이-q2j 3 роки тому +2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 @설영찬-y3b
    @설영찬-y3b 3 роки тому +1

    감사합니다 저도 일시적 2주택으로 먼저 매입한 주택을 21년6원 비과세 받아는데 20년 4월 비조정 지역일 때 매입한걸 2년지나는4월말 팔아도 비과세인가요 2채다 비조정 대상지역 이었어요

    • @설영찬-y3b
      @설영찬-y3b 3 роки тому +1

      매입할 때 비조정 지금 매도할때는 조정대상 지역이에요 세무사님

  • @아루카-p6w
    @아루카-p6w 3 роки тому

    2013년 A주택 매수
    2014년 B주택 매수
    2021년 3월 B 주택 매도 ( 매매계약은 2020년 11월)
    2021년에 매도하고 최종주택은 2년 후에 팔아야 비과세 되는것 같은데요.
    B 주택 매도 시기가 계약일 기준인가요? 아니면 잔금일 기준인가요?
    계약일 기준이면 비과세 받을 수 있을 것 같은데 나와있는데가 없어서 질문 드립니다.

  • @Jake-qo5us
    @Jake-qo5us 3 роки тому +1

    이걸 이렇게 어렵게 설명해야 하는 현실이 참..

  • @천생연분-k7o
    @천생연분-k7o 3 роки тому

    그럼 조정대상지역에 집을 사면 1주택자 2년보유.2년거주 총 4년지나야 비과세 인가요?

  • @Aksjdhdnsqi3
    @Aksjdhdnsqi3 3 роки тому +3

    안녕하세요~ 유용한 영상 너무 잘보고있습니다. 혹시 투기과열지구인 경우, 최종 1주택 후 2년 보유 외 실거주까지 해야할까요? 아니면 2년 보유만 하면 될까요?

  • @유앵봉
    @유앵봉 3 роки тому

    무주택자가 비조정지역 주택에서 6년을 살다가 조정지역이 된후 증여 받으면 보유기간을 어떻게 계산하나요?

  • @know902
    @know902 3 роки тому

    17년8월3일 분당판교 조정지역지정되었습니다.
    저는 판교를 2009년분양받았는데
    2년거주해야하나요?
    분양받을 당시 비조정지역이였고, 유주택자였습니다.현재는 분양받은 집만 가지고있습니다
    2년거주해야 비과세되나요?
    장기보유특별공제는 일반공제(15년30%),인지?
    보유(40%)+거주(40%)?궁금합니다.

    • @A릭옹
      @A릭옹 3 роки тому

      취득당시 비조정지역이었으면 거주요건은 필요없다고 적혀있네용

  • @소리맘짱
    @소리맘짱 3 роки тому +2

    설명감사합니다.
    2020.3.30. A 주택 매입 비조정
    2020.7.21. B 주택 매입 비조정
    이후 조정지역으로 됨.
    2021.5.28. A주택매도 양도세납부예정.
    B주택은 요양센터 사무실로 남편이 사용중.
    현재거주는 전세4억2000 C주택에 거주예정
    5년후 B주택 매도한다면 비과세○,거주의무×,9억초과 양도세해당 여기까지는 알겠습니다.
    그런데 9억 초과분 양도세계산때 장기보유특별공제는 1년에 2%밖에 못 받는건가요?
    B주택은 부부공동명의로 되어 있습니다.
    사무실 임대료 아내가 남편요양센터로부터 받을수 있나요?

  • @배태랑-j9u
    @배태랑-j9u 3 роки тому +3

    부동산 전문가들의 해석만으로는 논란이 있었는 데, 유권해석부처 담당자가 직접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니 논란이 정리된 듯 하네요.
    부동산 세제가 너무 복잡해 세무전문가에게 문의해야 하나 고민이 많았는 데 이렇게 구체적이고 정확한 설명 자료가 많았으면 좋겠네요.
    차분하고 정확한 설명 감사합니다.

  • @pocketmart
    @pocketmart 3 роки тому

    2013년 취득 1가구1주택자 9년거주(비조정지역) 매매가9억원 이하면 양도소득세 비과세인가요???

  • @seunghoonlee8069
    @seunghoonlee8069 3 роки тому

    자동말소된 아파트인데 2019년 2월이전에 5%증액 제한 넘겼으면 양도세중과 인가요?

  • @은숙이-k6p
    @은숙이-k6p 3 роки тому

    제가 예를 하나 들어볼께요
    기존주택 1.5년 살았고 이시점에 신규 분양권 청약당첨 되었습니다. 둘다 비조정구역입니다.
    기존주택에 거주중이고 신규 분양권이 준공완료 되면 이사 갈 예정입니다.
    이 경우 기존주택을 신규주택 완공 시점에 팔예정이라고 비과세 대상인가요??
    기존주택 비과세 요건 2년이상 보유가
    팔때 시점 인지 신규분양권 취득시점인지 궁금합니다.

  • @jamieyoon8956
    @jamieyoon8956 3 роки тому +1

    이거 대박이네요 ㅠ "취득당시에 비조정지역이었는데도(잔금도 완료) 조정지역이 되면 취득 당시 세대가 무주택자인지를 따져야 한다"는 앞뒤 다자른 영상들 때문에 맨붕이었는데, 계약일은 조정지역 지정 이전, 잔금은 이후라면 생기는 문제였네요ㅠ 친절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박찬호-n7n
    @박찬호-n7n 3 роки тому +1

    안녕하세요 영상 잘 봤습니다. 혹시 답변이 가능하실지 몰라 문의드립니다. 제가 세대주로 되어있는 산본에 있는 임대아파트를 10년정도 살고 분양을 받으려고 하는데 현재 제가 해외에서 취업비자로 일하고 있고 한국으로 들어갈 수 없는 상황이라 아내에게 위임해서 분양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비과세 관련해서 세대주가 없이 배우자만 실거주를 하더라도 2년 후 비과세가 가능한지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만쓰-n5o
    @만쓰-n5o 3 роки тому

    청약넣었을때 무주택자면 2년보유라고 하는데 보유면은 전세나 월세 내어도되는건가요 2년거주는 2년을살아야 되는건가요 도와주세요

  • @손은미-d8f
    @손은미-d8f 4 роки тому +1

    안녕하세요
    저희 집 상황을 이렇게 문자 드려서 죄송합니다
    저희는 2021년 2월 2일에
    일산 아파트1채를 매도하고 양도세를 3월말까지 납부하려합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습니다
    저희가 20년째 살고있는 주택이 도로로 수용된다고 공고가 난다고 합니다
    저희는 이곳에서 2년을 더 거주해야 양도세가 면세 되는데 이럴때는 어떻게 해야
    되는지 너무나 막막해서 문자드립니다
    더 살고 싶어도 할수 없으니 우린 어떻하면 좋아요
    제발 답변 좀 주셔요
    감사합니다 ^^~

    • @davinci2240
      @davinci2240 3 роки тому

      개인적으로 답변 받으셨나요?
      영상만 올려주고
      답변은 없는듯 싶어 여쭤봐요

    • @heewon97
      @heewon97 3 роки тому

      그렇게 급하면 세무서상담이나 돈주고 세무 상담하세요

  • @the1kim907
    @the1kim907 3 роки тому

    조정지역 이전 계약금 완납하여 2년거주 해당이안되는경우, 계약금 지급 증빙서류는 어떤걸제출해야하나요?

  • @dorersole8300
    @dorersole8300 3 роки тому

    ㅇㄷ

  • @YH-ro9uh
    @YH-ro9uh 3 роки тому

    혼자 살다가 중간에 결혼해서 세대원이 추가되면.. 그날부터 다시 전세대원 2년 거주해야하나요?

  • @장윤진-l5o
    @장윤진-l5o 3 роки тому

    설명 잘 들었습니다
    광주광역시에 10년보유한 1주택있고
    광주광역시 조정지역전
    2020.12.1일 다른신규주택을 계약금주고 통장거래확인가능한 신규주택을 취득후 2021년 2월에 잔금 마침
    그럼면
    기존주택은 앞으로 3년내 처분하면되는데 신규주택이 3년 재건축으로 철거확인된다면 기존주택은 언제까지 팔아도 되나요?
    그리고 세대전원이 거주해야되나요?

  • @nhishrd
    @nhishrd 3 роки тому

    전세대원이 2년 거주해야하는게 맞나요?? 세대주만 살아도 된다는 말도 있어서요

  • @야생마-d6g
    @야생마-d6g 3 роки тому

    영상 감사히 잘보았습니다 ~
    다름이아니라
    부모랑 같이 살고 있는 딸이(미혼.만30세.직업ㅇ) 차후 독립할 목적으로 전세안고 2020년4월말쯤 잔금을 치렀습니다.
    만약에 살고있는 부모집을 매매한다면1가구 2주택으로 적용된다고 들었습니다.
    부모집은 구입한지 5년이 지났으며 매매할경우 비과세 될려면 딸이 독립해서 나가야하는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모두 대구지역입니다)

  • @김상진-k8x
    @김상진-k8x 3 роки тому

    2019년 12월 미분양아파트 분양권 취득(당시 비규제지역, 무주택자)
    2020년 6월 해당지역 조정대상지역지정
    2021년 4월 잔금청산( 조정대상지역 유지)
    이럴때 1주택 양도세 비과세를 위한 보유또는 거주요건은?

  • @lemonred7013
    @lemonred7013 3 роки тому +4

    그 유명한 17.8.2 부동산 대책으로 조정대상지역이 생겼고..우여곡적 끝에 2년 거주까지 만들었군요.. 자기 동네 집값은 관심도 없는 사람이 이렇게 복잡한 법은 어떻게 만들었을까...?
    보통 수리를 맞겨도 두세번 동안 못 고치면 사과하는 것이 도리에 맞을 것이고..
    시험을 봐도 20번 정도 떨어지면... 나는 공부를 못하는 구나 생각하는 것이 응당 제대로 된 생각이라고 생각합니다.

  • @도시농원다래농원
    @도시농원다래농원 3 роки тому +2

    나만 못 알아듣는건가요?ㅜㅜ

  • @Unknown-db8ol
    @Unknown-db8ol 3 роки тому +5

    10분53초잖아ㅡㅡ 5분이라면서ㅡㅡ 장난 똥때리나

    • @홍석천-t1r
      @홍석천-t1r 3 роки тому

      꼬우면 보지말고 양도세나 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