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관이 지켜야 할 게 많아서 불편하다기에는 뮤지컬;은 관객수가 여전히 많음 거기는 숨도 못쉬게 하는데. 영화관비 올라간 거랑 SNS에 자랑하려고 하는 거에서 영화는 매력이 떨어져서가 큰 거 아닌가 싶어요 팝업, 야구장, 미술관 SNS에 뽐낼 수 있는데 동네영화관 간 거로는 SNS에서 뽐을 내기가 좀 어색함. 사람들이 다양한 경험을 추구하기 보다 SNS에 맞추어 이런 특별한 경험을 하고 싶다 코로나 전후로 더 심해진 느낌. 트위터, SNS에서 많이 하는 문화를 나도 그 구성원이 되고 싶어 같이 하는 걸 더 추구하는 세상 같고요
좌석이 어떻고 코로나가 어떻고 간에 그 돈 주고 영화관 갈 생각이 이제 관객들에게 없는거임. 가게 된다면 똑똑하게 내가 이 값을 지불하고 볼 만한 영화인가를 생각해 보고 결정하는거지. 어차피 석달 지나면 ott로 집에서 편하게 누워 볼텐데 굳이 가서 그 돈 주고 볼 메리트가 있어야 한다는 얘기지.
한국영화에 대한 기대감이 점점 없어지는 경향은 앞으로 어떻게 될지... 현재 세대가 지나고 난 뒤 수능세대? 그 후 sns로 세상을 보는 시선을 가진 세대들이 만든 영화들은 어떤 작품들이 나올까요? 우려가 되는건 비교적 세대교체가 빠른 웹툰만 봐도 인터넷 밈으로 점철 돼 있죠, 부디 더 다양한 시선을 가진 세대들이 영화를 만들게 되길
안가는 이유보다 갈 이유가 없어짐
이 가격에 굳이? 가 되어버림
심지어 요즘은 시간도 소비재의 하나인데
긴 러닝타임 작품이 많아지면서 여러번 보러가기도 힘듦
근데 파묘 서울의 봄인가 다음으로 천만 갈듯 범죄도시보다 빠름..😮
파묘 정도만 되어도 갈 일이 많겠죠 지난 영화들이 별로 인게 너무 많았지..
재미도 있음 한건 하죠.ㅋ
그러네 ㅋㅋ 영화관이 놀고 먹고 재밌는거 보러가는게아니라 이제 불편한규칙 지커가면서 쉬지도못하고 집중해서 봐야하는게 빡세네
안갈만하다 ㄹㅇ
자동차 극장으로 가면 개편함 ㅋㅋㅋ
자동차 극장 사운드 좋아요?
@@qnrpwjd5225 라디오 주파수 이용하고 라디오마냥 지지직 안걸려요 피시스피커 듣거 마냥
자신을 제약하면서 올곧이 영화에 집중하는 매력.
데이트 - 과시 - 인스타 - 독특함
영화관은 이것을 더 이상 만족시켜주지 못하는 공간이 됨.
파묘 700만 넘었다던데 진짜 예측대로 천만넘을수도있겠네요 ㅋㅋㅋㅋ
890만..
나도 통신사할인으로 보고싶은 영화생기면 영화관가서 보는데, 할인 아니였으면 가격이 메리트가 하나도 없어서 안갔을듯,,
영화관이 지켜야 할 게 많아서 불편하다기에는 뮤지컬;은 관객수가 여전히 많음 거기는 숨도 못쉬게 하는데. 영화관비 올라간 거랑 SNS에 자랑하려고 하는 거에서 영화는 매력이 떨어져서가 큰 거 아닌가 싶어요 팝업, 야구장, 미술관 SNS에 뽐낼 수 있는데 동네영화관 간 거로는 SNS에서 뽐을 내기가 좀 어색함. 사람들이 다양한 경험을 추구하기 보다 SNS에 맞추어 이런 특별한 경험을 하고 싶다 코로나 전후로 더 심해진 느낌. 트위터, SNS에서 많이 하는 문화를 나도 그 구성원이 되고 싶어 같이 하는 걸 더 추구하는 세상 같고요
그니까요. 영화관이 지켜야 할 규칙이 많다는 말은 좀 웃긴듯. 콘서트 좌석은 오히려 더 빡세던데
05:40 누가 요즘데이트를 하나요? 남성기준20%만 연애하는세상입니다
영화한편보려면 5만원은써야
리클라이너 체어 있는 영화관 찾게 되는건 맞는것 같습니다. 다만 별 관심없는 영화가 리클라이너에서 한다고 가는건 아닌것 같고 같은 값이면 그쪽으로 가게 되더라고요. 의자 정말 중요해요. 아님 특수 영화관이요. 용아맥이나 4dx는 확실히 자리잡기가 어렵더라고요.
소셜상 화제성이 흥행예상지표로 쓰이는건 첨알았네요. 굿
수동적인 경험, 공간에서 침범받는 에티켓... 생각해오던 것들을 데이터로 전부 다뤄주셔서 무척이나 공감했습니다. 마지막 세라젬의자는 ASMR영상+4D효과와 접목시키면 좋겠는데요? 극장이 암실이니 차분해지기 좋고 공조시설만 잘 받춰주면 괜찮은걸요..?
안녕하세요 ㅎ 유튜버님 좋은 강의 해주셔서 많은 정보 얻고 가네요 ! 코인 시장은 매우 변동성이 높기 때문에, 투자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야 합니다. 고정 수입 원하시면 리사이클링사업 한번 검 색해보세요 :)셀앤 바이 에 듀 , 강의 검 색 추 천 드려요!
좌석이 어떻고 코로나가 어떻고 간에 그 돈 주고 영화관 갈 생각이 이제 관객들에게 없는거임. 가게 된다면 똑똑하게 내가 이 값을 지불하고 볼 만한 영화인가를 생각해 보고 결정하는거지. 어차피 석달 지나면 ott로 집에서 편하게 누워 볼텐데 굳이 가서 그 돈 주고 볼 메리트가 있어야 한다는 얘기지.
가격은 올라가고 그 가격에 비해 서비스는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가장 중요한 이유인 티켓값의 상승이 빠졌네요
자신을 제약하면서 올곧이 영화에 집중하는 매력.
극장 감상한 영화들은 나의 정서와 정신세계를 만들어준다.
오히려 도파민 세상(SNS)에 멀어져 혼자 집중할 수 있는 공간으로 혼자 영화관을 많이 가게 됨
파묘 보러가자고 부모님께 아무리 어필해도 안보러가시더라... 나중에 tv에 나오거든 같이 보자면서 피하시던...
진짜 동네에 cgv 평일에 가면 썰렁함
그럼 표값를 깍아주시지..ㅠㅠ
CGV 에 템퍼시네마, 골든클래스 이런데 가시면 안마의자, 침대에서 영화를 볼 수있습니다.
단, 가격이 템퍼가 1인당 5만원, 안마의자가 있는 골든클래스가 1인당 4만원 이었던 걸로 기억,,,ㅠ
ㅋㅋㅋ둘만가도...어후😂
예술영화 집중해야하는 영화, 외국처럼 막 떠드는 영화, 그런식으로 관을 다양화 해야할수도 있음. 영화관에서의 행위에 집중하는 영화...
어떤 영화관은 너무 껌껌하지 않아야 할 수도. 재상영관이라거나.
영화를 보려면 모텔을 가죠.. 영화관에서 볼만한 급의 영화가 안나오는게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더글로리 시즌 3면 16화 * 14000원 이면 224000원정도네요.. 그리고 사실 우리나라는 영화관 CGV-CJ / 메가박스-플러스엠 / 롯데 영화관과 제작이 합쳐져 있는 구조입니다.
파묘 대박..
한국영화에 대한 기대감이 점점 없어지는 경향은 앞으로 어떻게 될지...
현재 세대가 지나고 난 뒤 수능세대? 그 후 sns로 세상을 보는 시선을 가진 세대들이 만든 영화들은 어떤 작품들이 나올까요?
우려가 되는건 비교적 세대교체가 빠른 웹툰만 봐도 인터넷 밈으로 점철 돼 있죠, 부디 더 다양한 시선을 가진 세대들이 영화를 만들게 되길
7:46 화두되고 있는 회자여??... 긴장하지 마세요 별 거 있나요 파이팅
그런데, 유행하는거는 가서 보잖아요.
그게 소비재로써 너무 유잼과 노잼이 극명해서
유명세가탄, 즉 재미가 보장된 영화가 아니면 문득 손이 안가는 것 같습니다.
영화보면 당근에서 9000원 주고 보는데
사람들이랑 같이 웃고 하는거 넘 좋은데
개념없는 극히 일부때문에 진짜 정떨어짐
노량은 457만명 봤는데 344만명이라뇨...
영화오리지널콘텐츠는 음... 대부분의 영화를 배급사에 투자합니다.
극장 관람료가 일단 너무 올랐어요.
너무비싸는것도 한목하죠ㅠ
헉 영화 궁금했는데 즉시시청
왜곡편향 영화..안본지ㅜ오래됨요
멍청한 소리만 하고 앉아있네
뭐여 이 아마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