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한의 임진왜란] 거북선 '당파' 설의 진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340

  • @FanDinoSakura-o7n
    @FanDinoSakura-o7n 3 роки тому +57

    박사님 눈이.. 자세히는 모르겠으나 건강이 최고입니다!

    • @chicrio
      @chicrio 3 роки тому +2

      선거때 , 우리가 투표하면 왜 무조건 다수결로 정하는지아냐?
      안뽑은 국민들을 다수결에 강제로 승복시켜놓고 , 국민 100%가 찬성해서 만들어준정권이다
      전국민 100%가 지지한 완벽한정권이다.. 이런 정당성과 상황논리 만들려고 , 저런 잔머리 굴리는거임 .ㅋㅋㅋㅋㅋㅋㅋ
      독재도 애초 국민들이 자기들이 알아서 승복하게되면 , 독재정권이란 말을 할필요가없지
      독재도 전국민 100%가 지지한정권이 되니까 ,
      그만큼 민주주의에서 하는 투표라는게 , 말이안되는 장난. 사기에 불과하다는거임

    • @빈티지시계사랑
      @빈티지시계사랑 3 роки тому +7

      @@chicrio 북한인이요? 그럼 거기서 잘살던가!

    • @luv4ladybug
      @luv4ladybug 3 роки тому +2

      @@chicrio 어쩌란거임?

  • @김진영-y5x3h
    @김진영-y5x3h 3 роки тому +5

    진짜 빠다러스한 확실한 강의!
    삼척동자도 알아들을수 있을 쉬운강의!
    내가 교수님 강의를 끊을수가 없는 이유입니다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2초쯤에 나옵니다
      그리고 13분 58초쯤에 거북선이 왜선에 부딪혔다고하내요
      누가말좀해주세요

    • @심리전-b1p
      @심리전-b1p 2 роки тому

      아니 이게 과학적이야? ㅋㅋㅋㅋ 무슨 침팬치 앉혀놓고 가르치는 것도 아니고.
      평서전이 전복위험이 크다는 근거가 '판옥선 끼리 부팆혀 뒤집혔다' 이게 뭔 헛소리야 ㅋㅋㅋ 동종배끼리 부딪혀서 뒤집힌게 근거가 되는거야?ㅋㅋㅋㅋㅋ 이게 과학적이야? 지금 충파라는거에서 중요한건 평저선vs침저선 인데 그 근거가 판옥선vs판옥선인게 사람지능임?
      아니 뇌가 있으면 물리엔진을 머리로라도 돌려보셈 아니 집에서도 할 수 있겠다.
      바닥 둥근 바가지에 평형수 조금 넣고 띄우고 바닥 평평한 세숫대야 욕조에 띄우고 뭐가 더 잘 뒤집히나 실험 해봐 외부충격 받으면. 뻔한거아님?
      백과 사전에 나오는 평저선이 침저선 대비 전복 위험이 높다는건
      대양급 너울 수백미터급 너울위에서 경사면에 배가 위치 할때를 두고 하는 말임. 평저선은 직사각형 바닥 전체가 무게 중심이니까 기울어진 너울위에서 10도경사면 그 10도 경사에 바닥면을 다 붙이고 있게되니깐 잘 넘어 진다는거지.
      반면에 침저선은 오뚝이처럼 물속에 상대적으로 깊이 용골이란 1선에 무게 중심이 있으니까 중력에 맞춰서 기울기에 영향이 적어서 수직으로 서있는거고.
      말그대로 오뚝이 처럼 밀어도 중력에 수직으로 서는 형태라는거여
      그럼 평저선 침저선이 부딪히면 어찌되겠음? 외부충격에서 뭐가 더 잘넘어짐? 사각형 바닥 전체가 무게중심인 평저선을 넘어 뜨리려면 힘 반대방향 모서리가 축이돼서 미는쪽 전체 하중을 들어 올려야는데 그게 되겠어?
      반면에 오뚝이는? 밀면 넘어가지.
      아니 뭐 박사라는 사람이 이렇게 물리적으로 말도 안되는 수준으로 논리를 전개함? 진짜 보는 조선수군 영상마다 깝깝하네.
      날씨 파도 들물날물 다 고려해서 출정하는 성웅이 거북선을 그리 생각없이 만들었겠음?
      어린진으로 들이닥치는 수백척 배를 수백톤 나가는 거북선으로 어떻게 다 피해? 이게 상식적이야? 피하는게? 부딪힐 수 밖에 없으니까 도선을 막으려고 뚜껑씌운거지. 천장총통도 안 싣고 다운스펙으로 작은 포로 교체 하면서 까지.
      그리고 삼나무 대비 소나무가 강도가 30프로 좋은데 그 두깨도 왜선 삼나무 6센티 파옥선 12센티 였단다. 곱연산으로 최저로 잡아도 배 내구도가 40프로가 좋은거고,
      합연산이면 60프로가 좋은데 두깨가 더블이되고 한 목재라는 점을 생각하면 제곱 계산을 해야는거라 생각 되고. 제곱이면 2배 가까이 튼튼한거 아님?
      잘해야 100톤 급인 왜선에 280톤(판옥선 백과사전 재원)까지 나가는 거북선이 부딪혔는데 임교수 말대로 속도가 느려서 파괴력이 작다? 이게 과학이야? 운동에너지는 속도무겐데 무게 가 없네 설명에 일절 안나오네?
      수백톤짜리 물리력을 6센치 삼나무가 1점으로 받아 낸다고? 삼나무가 다야몬드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서성우-m7i
    @서성우-m7i 3 роки тому +13

    교수님 덕에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사고의 과정에 대해서 새롭게 배웁니다..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심리전-b1p
      @심리전-b1p 2 роки тому

      아니 이게 과학적이야? ㅋㅋㅋㅋ 무슨 침팬치 앉혀놓고 가르치는 것도 아니고.
      평서전이 전복위험이 크다는 근거가 '판옥선 끼리 부팆혀 뒤집혔다' 이게 뭔 헛소리야 ㅋㅋㅋ 동종배끼리 부딪혀서 뒤집힌게 근거가 되는거야?ㅋㅋㅋㅋㅋ 이게 과학적이야? 지금 충파라는거에서 중요한건 평저선vs침저선 인데 그 근거가 판옥선vs판옥선인게 사람지능임?
      아니 뇌가 있으면 물리엔진을 머리로라도 돌려보셈 아니 집에서도 할 수 있겠다.
      바닥 둥근 바가지에 평형수 조금 넣고 띄우고 바닥 평평한 세숫대야 욕조에 띄우고 뭐가 더 잘 뒤집히나 실험 해봐 외부충격 받으면. 뻔한거아님?
      백과 사전에 나오는 평저선이 침저선 대비 전복 위험이 높다는건
      대양급 너울 수백미터급 너울위에서 경사면에 배가 위치 할때를 두고 하는 말임. 평저선은 직사각형 바닥 전체가 무게 중심이니까 기울어진 너울위에서 10도경사면 그 10도 경사에 바닥면을 다 붙이고 있게되니깐 잘 넘어 진다는거지.
      반면에 침저선은 오뚝이처럼 물속에 상대적으로 깊이 용골이란 1선에 무게 중심이 있으니까 중력에 맞춰서 기울기에 영향이 적어서 수직으로 서있는거고.
      말그대로 오뚝이 처럼 밀어도 중력에 수직으로 서는 형태라는거여
      그럼 평저선 침저선이 부딪히면 어찌되겠음? 외부충격에서 뭐가 더 잘넘어짐? 사각형 바닥 전체가 무게중심인 평저선을 넘어 뜨리려면 힘 반대방향 모서리가 축이돼서 미는쪽 전체 하중을 들어 올려야는데 그게 되겠어?
      반면에 오뚝이는? 밀면 넘어가지.
      아니 뭐 박사라는 사람이 이렇게 물리적으로 말도 안되는 수준으로 논리를 전개함? 진짜 보는 조선수군 영상마다 깝깝하네.
      날씨 파도 들물날물 다 고려해서 출정하는 성웅이 거북선을 그리 생각없이 만들었겠음?
      어린진으로 들이닥치는 수백척 배를 수백톤 나가는 거북선으로 어떻게 다 피해? 이게 상식적이야? 피하는게? 부딪힐 수 밖에 없으니까 도선을 막으려고 뚜껑씌운거지. 천장총통도 안 싣고 다운스펙으로 작은 포로 교체 하면서 까지.
      그리고 삼나무 대비 소나무가 강도가 30프로 좋은데 그 두깨도 왜선 삼나무 6센티 파옥선 12센티 였단다. 곱연산으로 최저로 잡아도 배 내구도가 40프로가 좋은거고,
      합연산이면 60프로가 좋은데 두깨가 더블이되고 한 목재라는 점을 생각하면 제곱 계산을 해야는거라 생각 되고. 제곱이면 2배 가까이 튼튼한거 아님?
      잘해야 100톤 급인 왜선에 280톤(판옥선 백과사전 재원)까지 나가는 거북선이 부딪혔는데 임교수 말대로 속도가 느려서 파괴력이 작다? 이게 과학이야? 운동에너지는 속도무겐데 무게 가 없네 설명에 일절 안나오네?
      수백톤짜리 물리력을 6센치 삼나무가 1점으로 받아 낸다고? 삼나무가 다야몬드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tamakuma131
    @tamakuma131 3 роки тому +2

    상식파괴......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것에 질문을 던져 주시네. 그리고 그에 합당한 예시와 정보를 제공해주셔서 의문이 안 생길 수가 없다.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이곤-l2p
    @이곤-l2p 3 роки тому +1

    박사님. 한국사 배우는 것 너무 좋고, 재밌지만,
    푹 쉬면서 하세요.
    눈 충혈되신 것 가슴 아픕니다.~ㅠㅠ

  • @asd0128___
    @asd0128___ 2 роки тому +3

    항상 진실과 사실을 알려주려고 애써주셔서 감사합니다.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심리전-b1p
      @심리전-b1p 2 роки тому

      걍 임교수가 사짜 추리 하는거임. 말도 안됨 물리적으로 ㅋㅋㅋㅋ
      평저선에 대한 이해가 유치원 수준 물리론임. [현시대 대형 배들 생각해보셈 바닥 다 평저선임. 앞뒤로만 물 저항 줄이려고 첨저형태로 만들지만 근간은 평저형인데. 이사람 말대로면 죄다 전복사고 나야 정상이지.]
      그냥 머리속으로 생각해봐도 평저선 보다 침저선이 외부 충격에 더 잘넘어짐. 더군다나 판옥선이 3배이상은 무거운데 물위에 바닥 둥근 바가지랑 평평한 세숫대야 놓고 민다고 생각하면 딱 답이 나오는거임. 바닥면 전체가 무게중심이면 밀리는 반대편 모서리가 기준점이 되는면 부력이 상승해서 넘어지기 힘듦.
      침저선은 오뚝이 처럼 복원력이 좋은거지. 훨씬 수월하게 넘어지는거고.
      근데 세배 무겁고 두배는 튼튼한 소나무 선이 삼나무선을 미는데 안박살나는게 웃기고 전복 안되는게 웃긴거지.
      이딴 비상식적인걸 빠는것들도 웃기고 이걸 박사수준 논리라고 신나서 떠드는 이사람도 리얼 웃김 나같으면 창피해서 유튭접것다

  • @이창준-w6c
    @이창준-w6c 3 роки тому +18

    철갑선 부분 동감합니다. 시대가 시대였다보니 우리 민족 내재된 잠재력이 컸다는걸 방증하려는 시도들이 너무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시대가 바뀌었으니, 객관적인 시선에서 우리를 돌아보고 그 중에 나은 것을 교육하고 응용하려는 시각이 옳겠습니다. 한국사 기반 콘텐츠가 빈약한 이유도 여기서 출발한다 생각합니다. 우리 역사를 다방면에서 해석하는 시도가 터부 시 되어선 안됩니다. 최초의 OOO을 자랑스러워해야하는 시대는 지났다고 봅니다.

  • @김희범-x4s
    @김희범-x4s 3 роки тому +14

    전적으로 동의함
    특히 속도는 첨저선에 비해 느린 데 불가능 살라미스해전도 충돌은 실효성이 부족하다
    비록 배의 앞을 뾰족하게 만들었다해도 상대 배도 그 시대에는 비슷할 텐데 뾰족한 앞부분끼리 부딪치기가 쉬울까 싶다 떠내려가다 부딪칠 수는 있어도 撞破 동서양 모두에서 없었을 수도 있다
    임교수님이 옳은 상상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 @biroe3028
      @biroe3028 3 роки тому

      충각은 앞부분끼리 부딪치는게 아니라 옆을 치는거임;

    • @ukikaze9930
      @ukikaze9930 3 роки тому

      앞을 왜 쳐요 ㅋㅋㅋㅋ 뭔 소싸움이여 충각끼리 부딪치게 ㅋㅋㅋㅋㅋ 다만 군함에 화포를 싣기 이전의 해전에서 당파라는건 충분히 있을 수 있는 표현입니다. 충각선이라는게 배룰 부수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이건 함선의 크기에 꽤 차이가 있어야 가능한거고 비슷한 크기의 함선이면 충각으로 측면을 들이 받으면 배가 깨지는게 아니라 고정이 되죠. 그럼 백병전이 가능해지는거고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biroe3028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biroe3028
      @biroe3028 2 роки тому

      @@따라라랄 네 한자 해석이 틀렸다는 거

  • @MKCho-ux7wm
    @MKCho-ux7wm 3 роки тому +4

    시원한 팩트폭격 아주 굿!!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2초쯤에 나옵니다
      그리고 13분 58초쯤에 거북선이 왜선에 부딪혔다고하내요
      누가말좀해주세요

    • @심리전-b1p
      @심리전-b1p 2 роки тому

      아니 이게 과학적이야? ㅋㅋㅋㅋ 무슨 침팬치 앉혀놓고 가르치는 것도 아니고.
      평서전이 전복위험이 크다는 근거가 '판옥선 끼리 부팆혀 뒤집혔다' 이게 뭔 헛소리야 ㅋㅋㅋ 동종배끼리 부딪혀서 뒤집힌게 근거가 되는거야?ㅋㅋㅋㅋㅋ 이게 과학적이야? 지금 충파라는거에서 중요한건 평저선vs침저선 인데 그 근거가 판옥선vs판옥선인게 사람지능임?
      아니 뇌가 있으면 물리엔진을 머리로라도 돌려보셈 아니 집에서도 할 수 있겠다.
      바닥 둥근 바가지에 평형수 조금 넣고 띄우고 바닥 평평한 세숫대야 욕조에 띄우고 뭐가 더 잘 뒤집히나 실험 해봐 외부충격 받으면. 뻔한거아님?
      백과 사전에 나오는 평저선이 침저선 대비 전복 위험이 높다는건
      대양급 너울 수백미터급 너울위에서 경사면에 배가 위치 할때를 두고 하는 말임. 평저선은 직사각형 바닥 전체가 무게 중심이니까 기울어진 너울위에서 10도경사면 그 10도 경사에 바닥면을 다 붙이고 있게되니깐 잘 넘어 진다는거지.
      반면에 침저선은 오뚝이처럼 물속에 상대적으로 깊이 용골이란 1선에 무게 중심이 있으니까 중력에 맞춰서 기울기에 영향이 적어서 수직으로 서있는거고.
      말그대로 오뚝이 처럼 밀어도 중력에 수직으로 서는 형태라는거여
      그럼 평저선 침저선이 부딪히면 어찌되겠음? 외부충격에서 뭐가 더 잘넘어짐? 사각형 바닥 전체가 무게중심인 평저선을 넘어 뜨리려면 힘 반대방향 모서리가 축이돼서 미는쪽 전체 하중을 들어 올려야는데 그게 되겠어?
      반면에 오뚝이는? 밀면 넘어가지.
      아니 뭐 박사라는 사람이 이렇게 물리적으로 말도 안되는 수준으로 논리를 전개함? 진짜 보는 조선수군 영상마다 깝깝하네.
      날씨 파도 들물날물 다 고려해서 출정하는 성웅이 거북선을 그리 생각없이 만들었겠음?
      어린진으로 들이닥치는 수백척 배를 수백톤 나가는 거북선으로 어떻게 다 피해? 이게 상식적이야? 피하는게? 부딪힐 수 밖에 없으니까 도선을 막으려고 뚜껑씌운거지. 천장총통도 안 싣고 다운스펙으로 작은 포로 교체 하면서 까지.
      그리고 삼나무 대비 소나무가 강도가 30프로 좋은데 그 두깨도 왜선 삼나무 6센티 파옥선 12센티 였단다. 곱연산으로 최저로 잡아도 배 내구도가 40프로가 좋은거고,
      합연산이면 60프로가 좋은데 두깨가 더블이되고 한 목재라는 점을 생각하면 제곱 계산을 해야는거라 생각 되고. 제곱이면 2배 가까이 튼튼한거 아님?
      잘해야 100톤 급인 왜선에 280톤(판옥선 백과사전 재원)까지 나가는 거북선이 부딪혔는데 임교수 말대로 속도가 느려서 파괴력이 작다? 이게 과학이야? 운동에너지는 속도무겐데 무게 가 없네 설명에 일절 안나오네?
      수백톤짜리 물리력을 6센치 삼나무가 1점으로 받아 낸다고? 삼나무가 다야몬드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심리전-b1p
      @심리전-b1p 2 роки тому

      머리는 장식이 아님. 뭔가 정보를 들을땐 사고라는 과정으로 걸러들어야 정상이지 임박사 말이 논리적이라고? 유치원생 물리론 수준인데?

  • @정규진-s3d
    @정규진-s3d 3 роки тому +3

    항상 즐겁게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Xia-hq7mh
    @Xia-hq7mh 3 роки тому

    오늘도 감사드립니다. 눈이 ㅠㅠ 건강 잘 챙기셔요~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2초쯤에 나옵니다
      그리고 13분 58초쯤에 거북선이 왜선에 부딪혔다고하내요
      누가말좀해주세요

  • @킹받는레옹구독해주세
    @킹받는레옹구독해주세 3 роки тому +1

    ㅎㅎㅎ 언제나 짱입니다!

  • @webtoon_creator
    @webtoon_creator 3 роки тому +1

    항상 느끼지만 박사님 웃는 모습이 참 보기 좋음

  • @kijik7975
    @kijik7975 Рік тому

    합리적이고 날카로운 추론과 이성적인 판단에 절로 고개가 숙여지네요
    그리고
    저도 거북선이 철갑선이길 바랬는데...
    [철선]과 [철갑선]은 생각해보니 전혀 다른 것이였네요???
    그야말로 벼락 맞은 것 같은 깨달음이...ㅋㅋ
    그러네요 철갑선이여도 전체를 철로 만든 페리의 흑선 같은 것과는
    차원이 달랐구나...
    너무도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정말로 큰 깨달음을...ㅋㅋㅋㅋ

  • @멸공-h3z
    @멸공-h3z 3 роки тому +2

    역사적인 진실을 정확히 다뤄 주셔서 감사합니다.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멸공-h3z
      @멸공-h3z 2 роки тому

      @@따라라랄 네~ 해당 영상을 확인했는데 14분 쯤에 나오는 영상의 배경에 나오는 일본 문서의 내용을 살펴보면 귀갑선 즉 거북선이 일본선에 부딛쳐서 부쉈다는 내용이 아니라 거북선이 무장한 화포 지자포, 현자포, 천자포 즉 지자총통, 현자총통 등을 설명하는 글입니다. 즉 KBS가 시청자가 모를 줄 알고 아무 페이지나 찍어서 올려놓고 대충 자막을 붙여놓고 사기를 친거죠. 설명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수부타이-d6s
    @수부타이-d6s 3 роки тому +3

    교수님 눈썹 반영구하시면 잘어울리실듯

  • @김현우-g1y5i
    @김현우-g1y5i 3 роки тому

    Ebs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 @최원일-z9r
    @최원일-z9r 3 роки тому +13

    중세 기사돌격같이 근접충돌로 깼다는게 멋있어서 지금까지 형성된 오해라고 봅니다.... 아군의 피를 덜 흘리는 근접사격이 이순신장군님이나 수군입장에서나 더 합리적인데요.

    • @adve7714
      @adve7714 3 роки тому

      @@정인철-j3q 당시 열병기는 명중률 시망이라서 근접사격이 맞습니다.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물병자리-x4y
      @물병자리-x4y 2 роки тому +3

      @@따라라랄 1999년 방송이잖아. 무려 22년전 방송이니 당연히 지금이랑 자료랑 정보가 다르죠. 그 정도 생각도 못하는 초딩이세요?
      이 분 뿐 아니라 현재 여러 역사학자 군사학자 전문가들 다 찾아 보세요.
      다 거북선의 충파는 비현실적인 사실이 아니라고 얘기합니다. 한국 수군의 장점은 이순신의 통솔력과 전략전술, 판옥선의 위대함과 선회능력, 원거리 함포 능력 등에
      있는 거지 거북선에 있는게 아닙니다

  • @vocalinatest
    @vocalinatest 3 роки тому +12

    이분 강의는 내용도 내용이지만 내용이 나올때까지의 과정이 더욱더 배울게 많다고 항상 느낍니다.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2초쯤에 나옵니다
      그리고 13분 58초쯤에 거북선이 왜선에 부딪혔다고하내요
      누가말좀해주세요

    • @vocalinatest
      @vocalinatest 2 роки тому

      @@인생은최충헌처럼 99년 연구잖아요

    • @vocalinatest
      @vocalinatest 2 роки тому

      @@인생은최충헌처럼 연구 진행과 함께 내용들이 바뀌어요 . 심지언 6.25 관련 분석 조차 최근에 바뀌고 그래요. 99년도면 당파란 단어의 해석이 지금관 다를 걸요?

    • @심리전-b1p
      @심리전-b1p 2 роки тому

      걍 임교수가 사짜 추리 하는거임. 말도 안됨 물리적으로 ㅋㅋㅋㅋ
      평저선에 대한 이해가 유치원 수준 물리론임. [현시대 대형 배들 생각해보셈 바닥 다 평저선임. 앞뒤로만 물 저항 줄이려고 첨저형태로 만들지만 근간은 평저형인데. 이사람 말대로면 죄다 전복사고 나야 정상이지.]
      그냥 머리속으로 생각해봐도 평저선 보다 침저선이 외부 충격에 더 잘넘어짐. 더군다나 판옥선이 3배이상은 무거운데 물위에 바닥 둥근 바가지랑 평평한 세숫대야 놓고 민다고 생각하면 딱 답이 나오는거임. 바닥면 전체가 무게중심이면 밀리는 반대편 모서리가 기준점이 되는면 부력이 상승해서 넘어지기 힘듦.
      침저선은 오뚝이 처럼 복원력이 좋은거지. 훨씬 수월하게 넘어지는거고.
      근데 세배 무겁고 두배는 튼튼한 소나무 선이 삼나무선을 미는데 안박살나는게 웃기고 전복 안되는게 웃긴거지.
      이딴 비상식적인걸 빠는것들도 웃기고 이걸 박사수준 논리라고 신나서 떠드는 이사람도 리얼 웃김 나같으면 창피해서 유튭접것다

  • @bhk3466
    @bhk3466 3 роки тому +9

    생각해보니 단순히 철갑이라면...
    고대 그리스 충각전술 때 사용한 배들부터가 이미 그 일부를 철갑으로 씌웠으니
    철선이 아닌 철갑선에 그렇게 큰 의미를 두고 원할 필요는 없겠네요.
    우리가 의미를 둬야할 것은
    스타크래프트죠.
    저글링 러시를 테란 무빙으로 깨듯 몇 백 년 전 통신기도 없던 시절
    전장식 대포와 목선을 가지고, 상당히 빠르고 숫자도 훨씬 많은 일본 배들을 만나 무빙과 포격으로 퍼팩트 승리를 이루어냈다는 게 대단하죠.
    그걸 아무나 할 수 없다는 것도 원균이 사상 최대의 대함대를 이끌고 나가 작살 나주면서 증명을 해줬죠.

    • @룰루하잉-x3s
      @룰루하잉-x3s 3 роки тому

      지형선택이 지리죠 가장 유리한 지점에 탱크 박아놓고 저그 러쉬를 강제함ㅋㅋㅋ

    • @ukikaze9930
      @ukikaze9930 3 роки тому

      결과적으로 그 무빙샷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이 선회력인데 그것도 부정하는 사람이 있다는게 참 ㅎㅎ....

  • @sangkyupark9236
    @sangkyupark9236 3 роки тому +17

    역사적 사실을 배우는 것도 유익하지만 사실 관계를 어떻게 추적하고 결론에 도달해야 하는지도 배울 수 있어서 더 유익한 것 같습니다. ㅎㅎㅎ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2초쯤에 나옵니다
      그리고 13분 58초쯤에 거북선이 왜선에 부딪혔다고하내요
      누가말좀해주세요

    • @심리전-b1p
      @심리전-b1p 2 роки тому

      @@따라라랄 걍 임교수가 사짜 추리 하는거임. 말도 안됨 물리적으로 ㅋㅋㅋㅋ
      평저선에 대한 이해가 유치원 수준 물리론임. [현시대 대형 배들 생각해보셈 바닥 다 평저선임. 앞뒤로만 물 저항 줄이려고 첨저형태로 만들지만 근간은 평저형인데. 이사람 말대로면 죄다 전복사고 나야 정상이지.]
      그냥 머리속으로 생각해봐도 평저선 보다 침저선이 외부 충격에 더 잘넘어짐. 더군다나 판옥선이 3배이상은 무거운데 물위에 바닥 둥근 바가지랑 평평한 세숫대야 놓고 민다고 생각하면 딱 답이 나오는거임. 바닥면 전체가 무게중심이면 밀리는 반대편 모서리가 기준점이 되는면 부력이 상승해서 넘어지기 힘듦.
      침저선은 오뚝이 처럼 복원력이 좋은거지. 훨씬 수월하게 넘어지는거고.
      근데 세배 무겁고 두배는 튼튼한 소나무 선이 삼나무선을 미는데 안박살나는게 웃기고 전복 안되는게 웃긴거지.
      이딴 비상식적인걸 빠는것들도 웃기고 이걸 박사수준 논리라고 신나서 떠드는 이사람도 리얼 웃김 나같으면 창피해서 유튭접것다

  • @안녕후르츠
    @안녕후르츠 3 роки тому +2

    역시 교수님

  • @Utillity
    @Utillity 2 роки тому +2

    어떤 영화보고 답답해서 왔습니다... ㅎㅎ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2초쯤에 나옵니다
      그리고 13분 58초쯤에 거북선이 왜선에 부딪혔다고하내요
      누가말좀해주세요

  • @armirad
    @armirad 3 роки тому +3

    저도 충각생각을 했는데 거북선에 충각이 없는것이 가장 걸리던군요

    • @caa7979
      @caa7979 3 роки тому

      저도 거북선이 충돌전술을 사용했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데, 그리 주장하시는 분들에 의하면, 거북머리가 들낙날락 가능했고 함수 아래쪽 도깨비 문양이 튀어나와있어 충각역할을 했다고 함

  • @h1060j
    @h1060j 3 роки тому +1

    그놈의 꺼라 위키...그나저나 박사님 눈이..흑흑흑....

  • @한상훈-y5v
    @한상훈-y5v 3 роки тому

    처음으로 댓글 써봅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정말 많이 배워갑니다

  • @안유기안유기
    @안유기안유기 3 роки тому

    사랑합니다 건강하세요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2초쯤에 나옵니다
      그리고 13분 58초쯤에 거북선이 왜선에 부딪혔다고하내요
      누가말좀해주세요

  • @firesword5199
    @firesword5199 3 роки тому

    정확한 지적입니다.

  • @UncleJam0926
    @UncleJam0926 3 роки тому +9

    배에 타서 백병전을 하는 전술을 일컫는 용어가 도통 없어서 뭐라고 부르는 지 항상 궁금했었는데 "등선백병"이라 하는군요! 오늘 중요한 것을 하나 더 깨치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 @벅구-s8o
      @벅구-s8o 3 роки тому +2

      Boarding tactics라고도 하죠 ㅎ

    • @kelsen1975
      @kelsen1975 2 роки тому

      등선육박전술이라고도 하죠.

  • @큐티햄스터연맹
    @큐티햄스터연맹 3 роки тому +1

    박사님 마지막 말씀.. 들이받는거 보담 총과 화포로 적을 제압하는게 더 수준높다는 말씀.... 이점 백프로 동감..

    • @심리전-b1p
      @심리전-b1p 2 роки тому

      아니 이게 과학적이야? ㅋㅋㅋㅋ 무슨 침팬치 앉혀놓고 가르치는 것도 아니고.
      평서전이 전복위험이 크다는 근거가 '판옥선 끼리 부팆혀 뒤집혔다' 이게 뭔 헛소리야 ㅋㅋㅋ 동종배끼리 부딪혀서 뒤집힌게 근거가 되는거야?ㅋㅋㅋㅋㅋ 이게 과학적이야? 지금 충파라는거에서 중요한건 평저선vs침저선 인데 그 근거가 판옥선vs판옥선인게 사람지능임?
      아니 뇌가 있으면 물리엔진을 머리로라도 돌려보셈 아니 집에서도 할 수 있겠다.
      바닥 둥근 바가지에 평형수 조금 넣고 띄우고 바닥 평평한 세숫대야 욕조에 띄우고 뭐가 더 잘 뒤집히나 실험 해봐 외부충격 받으면. 뻔한거아님?
      백과 사전에 나오는 평저선이 침저선 대비 전복 위험이 높다는건
      대양급 너울 수백미터급 너울위에서 경사면에 배가 위치 할때를 두고 하는 말임. 평저선은 직사각형 바닥 전체가 무게 중심이니까 기울어진 너울위에서 10도경사면 그 10도 경사에 바닥면을 다 붙이고 있게되니깐 잘 넘어 진다는거지.
      반면에 침저선은 오뚝이처럼 물속에 상대적으로 깊이 용골이란 1선에 무게 중심이 있으니까 중력에 맞춰서 기울기에 영향이 적어서 수직으로 서있는거고.
      말그대로 오뚝이 처럼 밀어도 중력에 수직으로 서는 형태라는거여
      그럼 평저선 침저선이 부딪히면 어찌되겠음? 외부충격에서 뭐가 더 잘넘어짐? 사각형 바닥 전체가 무게중심인 평저선을 넘어 뜨리려면 힘 반대방향 모서리가 축이돼서 미는쪽 전체 하중을 들어 올려야는데 그게 되겠어?
      반면에 오뚝이는? 밀면 넘어가지.
      아니 뭐 박사라는 사람이 이렇게 물리적으로 말도 안되는 수준으로 논리를 전개함? 진짜 보는 조선수군 영상마다 깝깝하네.
      날씨 파도 들물날물 다 고려해서 출정하는 성웅이 거북선을 그리 생각없이 만들었겠음?
      어린진으로 들이닥치는 수백척 배를 수백톤 나가는 거북선으로 어떻게 다 피해? 이게 상식적이야? 피하는게? 부딪힐 수 밖에 없으니까 도선을 막으려고 뚜껑씌운거지. 천장총통도 안 싣고 다운스펙으로 작은 포로 교체 하면서 까지.
      그리고 삼나무 대비 소나무가 강도가 30프로 좋은데 그 두깨도 왜선 삼나무 6센티 파옥선 12센티 였단다. 곱연산으로 최저로 잡아도 배 내구도가 40프로가 좋은거고,
      합연산이면 60프로가 좋은데 두깨가 더블이되고 한 목재라는 점을 생각하면 제곱 계산을 해야는거라 생각 되고. 제곱이면 2배 가까이 튼튼한거 아님?
      잘해야 100톤 급인 왜선에 280톤(판옥선 백과사전 재원)까지 나가는 거북선이 부딪혔는데 임교수 말대로 속도가 느려서 파괴력이 작다? 이게 과학이야? 운동에너지는 속도무겐데 무게 가 없네 설명에 일절 안나오네?
      수백톤짜리 물리력을 6센치 삼나무가 1점으로 받아 낸다고? 삼나무가 다야몬드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연이아빠-z3p
    @연이아빠-z3p 3 роки тому

    팩폭 쩔어요

  • @BlackSkyUploadTube
    @BlackSkyUploadTube 3 роки тому +11

    조선 수군식 표현: 당파 10척, 불로 태운 게 00척
    한국 해군식 표현: 격침 10척, 전소 00척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부엨
      @부엨 2 роки тому +4

      @@따라라랄 99년도 .. 지금으로부터 20년은 넘은 학설이고, 저당시엔 환단고기를 소개하는 다큐도 만든적 있어서;;;

  • @gravity4164
    @gravity4164 3 роки тому +3

    부딪혀서 깨뜨릴려면 질량차이가 현격하게 차이가 나거나 아니면 속도가 매우 빨라야하는데
    판옥선 형태의 거북선으로는 충격으로 깨뜨릴 물리량이 안나오죠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심리전-b1p
      @심리전-b1p 2 роки тому

      지능보소 판옥선 질량이 얼마나 될거 같음? 님이 종이로 접은 배 만큼 가벼웠을거 같어??

  • @popowolf7706
    @popowolf7706 3 роки тому

    오 그랬군요 전혀 몰랐네요 새로운 사실 알아갑니다!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2초쯤에 나옵니다
      그리고 13분 58초쯤에 거북선이 왜선에 부딪혔다고하내요
      누가말좀해주세요

  • @그래서네가뭔데
    @그래서네가뭔데 3 роки тому +11

    1:32 조회수가 떨어진다는건 역사적 사실을 망각한채 왜곡된 역사만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있어서겠죠. 부디 그런거에 연연하지 마시고, 진실된 역사만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물병자리-x4y
      @물병자리-x4y 2 роки тому +1

      @@따라라랄 1999년 방송이잖아. 무려 22년전 방송이니 당연히 지금이랑 자료랑 정보가 다르죠. 그 정도 생각도 못하는 초딩이세요?
      이 분 뿐 아니라 현재 여러 역사학자 군사학자 전문가들 다 찾아 보세요.
      다 거북선의 충파는 비현실적인 사실이 아니라고 얘기합니다. 한국 수군의 장점은 이순신의 통솔력과 전략전술, 판옥선의 위대함과 선회능력, 원거리 함포 능력 등에
      있는 거지 거북선에 있는게 아닙니다

    • @심리전-b1p
      @심리전-b1p 2 роки тому

      아니 이게 과학적이야? ㅋㅋㅋㅋ 무슨 침팬치 앉혀놓고 가르치는 것도 아니고.
      평서전이 전복위험이 크다는 근거가 '판옥선 끼리 부팆혀 뒤집혔다' 이게 뭔 헛소리야 ㅋㅋㅋ 동종배끼리 부딪혀서 뒤집힌게 근거가 되는거야?ㅋㅋㅋㅋㅋ 이게 과학적이야? 지금 충파라는거에서 중요한건 평저선vs침저선 인데 그 근거가 판옥선vs판옥선인게 사람지능임?
      아니 뇌가 있으면 물리엔진을 머리로라도 돌려보셈 아니 집에서도 할 수 있겠다.
      바닥 둥근 바가지에 평형수 조금 넣고 띄우고 바닥 평평한 세숫대야 욕조에 띄우고 뭐가 더 잘 뒤집히나 실험 해봐 외부충격 받으면. 뻔한거아님?
      백과 사전에 나오는 평저선이 침저선 대비 전복 위험이 높다는건
      대양급 너울 수백미터급 너울위에서 경사면에 배가 위치 할때를 두고 하는 말임. 평저선은 직사각형 바닥 전체가 무게 중심이니까 기울어진 너울위에서 10도경사면 그 10도 경사에 바닥면을 다 붙이고 있게되니깐 잘 넘어 진다는거지.
      반면에 침저선은 오뚝이처럼 물속에 상대적으로 깊이 용골이란 1선에 무게 중심이 있으니까 중력에 맞춰서 기울기에 영향이 적어서 수직으로 서있는거고.
      말그대로 오뚝이 처럼 밀어도 중력에 수직으로 서는 형태라는거여
      그럼 평저선 침저선이 부딪히면 어찌되겠음? 외부충격에서 뭐가 더 잘넘어짐? 사각형 바닥 전체가 무게중심인 평저선을 넘어 뜨리려면 힘 반대방향 모서리가 축이돼서 미는쪽 전체 하중을 들어 올려야는데 그게 되겠어?
      반면에 오뚝이는? 밀면 넘어가지.
      아니 뭐 박사라는 사람이 이렇게 물리적으로 말도 안되는 수준으로 논리를 전개함? 진짜 보는 조선수군 영상마다 깝깝하네.
      날씨 파도 들물날물 다 고려해서 출정하는 성웅이 거북선을 그리 생각없이 만들었겠음?
      어린진으로 들이닥치는 수백척 배를 수백톤 나가는 거북선으로 어떻게 다 피해? 이게 상식적이야? 피하는게? 부딪힐 수 밖에 없으니까 도선을 막으려고 뚜껑씌운거지. 천장총통도 안 싣고 다운스펙으로 작은 포로 교체 하면서 까지.
      그리고 삼나무 대비 소나무가 강도가 30프로 좋은데 그 두깨도 왜선 삼나무 6센티 파옥선 12센티 였단다. 곱연산으로 최저로 잡아도 배 내구도가 40프로가 좋은거고,
      합연산이면 60프로가 좋은데 두깨가 더블이되고 한 목재라는 점을 생각하면 제곱 계산을 해야는거라 생각 되고. 제곱이면 2배 가까이 튼튼한거 아님?
      잘해야 100톤 급인 왜선에 280톤(판옥선 백과사전 재원)까지 나가는 거북선이 부딪혔는데 임교수 말대로 속도가 느려서 파괴력이 작다? 이게 과학이야? 운동에너지는 속도무겐데 무게 가 없네 설명에 일절 안나오네?
      수백톤짜리 물리력을 6센치 삼나무가 1점으로 받아 낸다고? 삼나무가 다야몬드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안정권-z6f
      @안정권-z6f 2 роки тому

      @@물병자리-x4y 당파의 의미가 문제가아니라 다큐에선 밑에 도깨비모양툭튀어나온게 들이박을려고 만들었다고 나오잖아 국평오야 ㅋㅋㅋㅋ 대학교 어디나왔냐??

  • @buckston201
    @buckston201 3 роки тому +5

    거북선으로 충각해서 왜군의 세키부네를 반갈죽을 시전할려면 최소한 거북선의 선체가 충파에도 끄떡없는 선체여야 가능한데 솔직히 같은 목재의 재질로 그런다는건 말이 안되는거죠

  • @겅인베
    @겅인베 3 роки тому +2

    따끈하다

  • @멋장이-p6k
    @멋장이-p6k 3 роки тому

    눈이 너무 빨개요. 항상 건강 잘 챙기세요
    좋은 팩트 폭격 감사합니다.

  • @Marksomali
    @Marksomali 3 роки тому +8

    이야~ 한글로 실록보는 일반 역사애호가들은 절대 모를 진짜 논리적인 해석이다!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oinkoink6906
    @oinkoink6906 3 роки тому +3

    배로 들이받아서 부순다니 ㅋㅋ 말도 안되는 ㅋㅋㅋㅋ 우기는 사람이 있다는게 더 놀라운데.

  • @syk2166
    @syk2166 3 роки тому +5

    구조 공학적으로 중심 골격 없는 평저선은 충돌시 구조적으로 하중을 집중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서 충돌 충격에 임팩트를 주기 쉬운 구조가 아니며 오히려 자기가 데미지 입기 쉬운 구조임
    3단 노선은 용골에 배 전체의 중량이 실려 있고, 용골의 충각에 그 중량이 실려서 운동에너지를 집중할 수 있어서 좁은 면적에 집중하중을 줘서 적선의 구멍을 뚫는 구조임.
    그 충격은 거의 대부분 구조적으로 강성이 가장 높은 방향인 용골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용골부재 전체가 부담함.
    그래서 3단노선은 충각 공격용이 맞지만 평저선인 거북선은 충돌 공격선이 아님.

    • @다인-g3m
      @다인-g3m 3 роки тому +5

      비유하자면 하이힐 끝으로 밟는 것과 평평한 운동화로 밟는 것의 차이군요

    • @syk2166
      @syk2166 3 роки тому +3

      @@다인-g3m 완벽 비유이시네요^^

    • @truth1472
      @truth1472 3 роки тому

      거북선이나 판옥선은 충각이 있었죠.

    • @syk2166
      @syk2166 3 роки тому

      @@truth1472 글쎄요?

    • @minukkim1731
      @minukkim1731 3 роки тому +1

      @@truth1472 윗분이 말씀하신걸 읽으시면 충각이 있다한들 용골이라는 배의 중심이 없는 조선배의 구조상 충각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말입니다. 형식적인 충각이 있었을지 라도 그것으로 적선에 피해를 입히는것은 의미가 없다는 거죠

  • @Medic_Raccoon
    @Medic_Raccoon 3 роки тому +7

    결론 : 레이업 슛이든 그냥 슛이든 같은 2점일 뿐이다

    • @h2rproject147
      @h2rproject147 3 роки тому

      하기사 제 아무리 멋진 덩크슛도 2점일 뿐이죠

  • @tv-ul6bp
    @tv-ul6bp 2 роки тому

    소촉이라 했으면 마주치는 것마다 가 느낌에 맞는것 같습니다….. 중국어에서 당은 부딛히는게 맞지만 고대중국어에서 파와 합쳐지면 격파한다는 뜻으로도 쓰이는 것 같습니다. 박사님 설명이 이해가 되네요.

  • @살구-c8e
    @살구-c8e 3 роки тому +4

    솔직히 지금도 용머리 입에서 불을 뿜었다고도 주장많이 하심...ㅎㅎ;지금 철로 만드는 전투함에도 화기금지라 인덕션 스팀으로 요리하는데...액체 분말 소화기가 있어도 화기금지임 조선시대에 나무로 만든 판옥선위에 나무지붕 아니 철갑을 둘렀다고 한들 용입에서 불나오면 홀라당 다타부리지 버티겠냐는거임 합리적인 생각을 안하고 너무 우리나라가 최고야라고 하시는분들이 너무 많아요!거의 맹신하기에 대화가 안됩니다ㅠㅡㅠ

    • @ukikaze9930
      @ukikaze9930 3 роки тому

      거북선이 실제로 어땟느냐는 둘째치고 목선에서 불을 쏘는게 실제로 불가능한건 아닙니다. 비잔틴제국이 이미 8세기부터 함선의 선두에서 불을 쏘는 방법을 활용했거든요 정확히는 상온에서 자연발화하는 액체화합물을 발사한거긴 합니다만

    • @산계
      @산계 2 роки тому

      불날걸 걱정하면 포탄은 왜 들고 다니나

  • @미니영-l1p
    @미니영-l1p 3 роки тому

    객관과 신랄함 때문에 옵니다

  • @실프리아
    @실프리아 3 роки тому +3

    달라지는 거 하나 있습니다! 아하 그렇구나가 달라짐 ㅋㅋ

  • @trgsgame
    @trgsgame 3 роки тому +2

    09:34 교수님 딥빡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2초쯤에 나옵니다
      그리고 이 다큐에서는, 귀면이 부딪힐려고 만들었다고하내요
      누가말좀해주세요

  • @이영민-w9n3w
    @이영민-w9n3w 3 роки тому

    맞는 말이군요.. 들이 받어어 부셔야 되니. .가시 지붕이 필요했고 .. 전문적인 포격 했기 때문에.. 판옥선위에 지붕을 올린 형상이 나왔겠죠 ..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ENFJ84
    @ENFJ84 2 роки тому +1

    충돌해서 부술수 있는 속도도 안돼

  • @joe-qw5rv
    @joe-qw5rv 3 роки тому

    맞는 말씀을 하셨는데 왜 조회수 걱정이십니까..
    어차피 잘못된 정보를 진실로 보는 사람들은
    자신들 이 보고 싶고 듣고 싶은 것만 진실이기 때문에
    본인들의 진실이 사실과 다르면 돌아 설 사람입니다..
    그 사람들 때문에 사실을 못말하는 건 말이 안됩니다 ㅎㅎㅎ
    상식적 거북선 자체가 머리가 앞으로 뻗어있는데 그걸로 충각을 한다는 것도 웃기고
    충각돌기가 있다고 하지만 상식적으로 포가 있는데 왜 들이 받으러 가는 것도 웃기고...
    들이 받는다는 건 말 그대로 비상시... 나 가능한 행동이 아닐련지요..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MrManaPoint
    @MrManaPoint 3 роки тому +1

    왜 좋아요를 한번밖에 못하는걸까...

  • @류렌-i8q
    @류렌-i8q 3 роки тому +8

    박사님이 나무위키 말하니 뭔가 요상함ㅋㅋㅋ

    • @zephyr4una
      @zephyr4una 3 роки тому +3

      하물며 나무 위키"도"란 느낌입니다. ㅎㅎ

    • @qiod9215
      @qiod9215 3 роки тому +1

      젊은 사람들이 많이 보니까 잘못된 정보 말고 제대로 써있나 보러 가신 느낌인듯 ㅋㅋ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2초쯤에 나옵니다
      그리고 이 다큐에서는, 귀면이 부딪힐려고 만들었다고하내요
      누가말좀해주세요

  • @yoonee72
    @yoonee72 3 роки тому +2

    박사님 충파에 대해서 일본측 자료도 교차검증 해 주십시요.. 그리고 충파전술이 아니라면 배 아래에 있었다는 귀면에 대해서도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 @dudrak7575
      @dudrak7575 2 роки тому +1

      귀면은 그냥 도깨비 문양.
      아무런 의미도 없이 용머리에 상응하는 형상..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1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dudrak7575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AkoramericaBlogspot
    @AkoramericaBlogspot 3 роки тому +6

    미국의 컨수튜션호도 별칭이 철갑선인데 그냥 튼튼한 목제선임

    • @marksmithcollins
      @marksmithcollins 3 роки тому +2

      돌주먹이라고 몸이 광석으로 되어있어야 하는게 아닌것처럼 ㅋㅋ

    • @까고보니진주나옴
      @까고보니진주나옴 3 роки тому

      Ironsides

    • @ack3145
      @ack3145 3 роки тому

      컨스티튜션은 아주 딴딴한 떡갈나무로 만든 배였는데 영국해군이 쏜 대포알을 튕겨내서 철갑선이라는 별명이 붙게 되었읍니다.

  • @invincible997T
    @invincible997T 3 роки тому +1

    감사히 봤습니다~~~

  • @겨울산-n5m
    @겨울산-n5m 3 роки тому +4

    배로 들이받는건.논리적으로도 말이 안되죠.
    그럼 확실한 크기와 중량의 압도적 크기가
    선행되지 않으면.대단히 위험한 전략인거죠.

    • @심리전-b1p
      @심리전-b1p 2 роки тому

      아니 이게 과학적이야? ㅋㅋㅋㅋ 무슨 침팬치 앉혀놓고 가르치는 것도 아니고.
      평서전이 전복위험이 크다는 근거가 '판옥선 끼리 부팆혀 뒤집혔다' 이게 뭔 헛소리야 ㅋㅋㅋ 동종배끼리 부딪혀서 뒤집힌게 근거가 되는거야?ㅋㅋㅋㅋㅋ 이게 과학적이야? 지금 충파라는거에서 중요한건 평저선vs침저선 인데 그 근거가 판옥선vs판옥선인게 사람지능임?
      아니 뇌가 있으면 물리엔진을 머리로라도 돌려보셈 아니 집에서도 할 수 있겠다.
      바닥 둥근 바가지에 평형수 조금 넣고 띄우고 바닥 평평한 세숫대야 욕조에 띄우고 뭐가 더 잘 뒤집히나 실험 해봐 외부충격 받으면. 뻔한거아님?
      백과 사전에 나오는 평저선이 침저선 대비 전복 위험이 높다는건
      대양급 너울 수백미터급 너울위에서 경사면에 배가 위치 할때를 두고 하는 말임. 평저선은 직사각형 바닥 전체가 무게 중심이니까 기울어진 너울위에서 10도경사면 그 10도 경사에 바닥면을 다 붙이고 있게되니깐 잘 넘어 진다는거지.
      반면에 침저선은 오뚝이처럼 물속에 상대적으로 깊이 용골이란 1선에 무게 중심이 있으니까 중력에 맞춰서 기울기에 영향이 적어서 수직으로 서있는거고.
      말그대로 오뚝이 처럼 밀어도 중력에 수직으로 서는 형태라는거여
      그럼 평저선 침저선이 부딪히면 어찌되겠음? 외부충격에서 뭐가 더 잘넘어짐? 사각형 바닥 전체가 무게중심인 평저선을 넘어 뜨리려면 힘 반대방향 모서리가 축이돼서 미는쪽 전체 하중을 들어 올려야는데 그게 되겠어?
      반면에 오뚝이는? 밀면 넘어가지.
      아니 뭐 박사라는 사람이 이렇게 물리적으로 말도 안되는 수준으로 논리를 전개함? 진짜 보는 조선수군 영상마다 깝깝하네.
      날씨 파도 들물날물 다 고려해서 출정하는 성웅이 거북선을 그리 생각없이 만들었겠음?
      어린진으로 들이닥치는 수백척 배를 수백톤 나가는 거북선으로 어떻게 다 피해? 이게 상식적이야? 피하는게? 부딪힐 수 밖에 없으니까 도선을 막으려고 뚜껑씌운거지. 천장총통도 안 싣고 다운스펙으로 작은 포로 교체 하면서 까지.
      그리고 삼나무 대비 소나무가 강도가 30프로 좋은데 그 두깨도 왜선 삼나무 6센티 파옥선 12센티 였단다. 곱연산으로 최저로 잡아도 배 내구도가 40프로가 좋은거고,
      합연산이면 60프로가 좋은데 두깨가 더블이되고 한 목재라는 점을 생각하면 제곱 계산을 해야는거라 생각 되고. 제곱이면 2배 가까이 튼튼한거 아님?
      잘해야 100톤 급인 왜선에 280톤(판옥선 백과사전 재원)까지 나가는 거북선이 부딪혔는데 임교수 말대로 속도가 느려서 파괴력이 작다? 이게 과학이야? 운동에너지는 속도무겐데 무게 가 없네 설명에 일절 안나오네?
      수백톤짜리 물리력을 6센치 삼나무가 1점으로 받아 낸다고? 삼나무가 다야몬드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허허허-r9l
    @허허허-r9l 3 роки тому +2

    와...........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2초쯤에 나옵니다
      그리고 이 다큐에서는, 귀면이 부딪힐려고 만들었다고하내요
      누가말좀해주세요

  • @SsS-n5t
    @SsS-n5t 3 роки тому +2

    여태 철갑선인줄알았어..

  • @OO-uq1cf
    @OO-uq1cf 3 роки тому

    맞는 말씀이기는 한데, 또 들이받는 건 그거대로 로망이 있어서......장갑선이 충돌해서 부쉈다고 하면 너무 간지가 남 ㅋㅋㅋ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날강도-d8m
    @날강도-d8m 3 роки тому

    판옥선 /거북선이 왜선인 누각선을 맞다이로 붙었다...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어보입니다. 임란당시 왜군의 해상전술이 등선육박전을 주로 하는지라 나룻배(세키부네?)로 몰려드는 전술이라 판옥선이나 거북선으로 충각전술로 떨어낼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만... 외화에서 보는 선박간 포격전이나 총격전으로 하는 건 아니니까요.

  • @user-Mocushura
    @user-Mocushura 2 місяці тому

    선생님.. 이충무공전서 에 직충(직진해서 충돌)하여 깨뜨렸다는 기록이 있고요.. 같은 기록 도면에 선수 귀면 충각이 그려져 있습니다.. 거북선 배수량이 280톤 이고 세키부네 배수량이 70톤이 안됩니다.. 배 안타보셨죠? 배는요.. 껍데기 깨져서 물새기 시작하면 물퍼느라 아무것도 못합니다.. 낚싯배 라도 타보셨으면 선체 깨질까 펜더 주렁주렁 매고 다니는거 아실텐데요.. 항구에 매어놔도 부딛히면 물샙니다.. 근데 굳이 안싸워도 4배 무겁고 튼튼하고 단단한 배로 갖다 박는게 왜 안됩니까? 뚜껑까지 중장갑 씌워놓고 철갑옷 입은 기마병이 멀리 떨어져 활쏜다고요? 돌격선이? 선생님.. 이미 20년도 전에 역사스페셜에서 선박구조 전문가가 나와서 충파 가능 하다고 다 설명 했습니다.. 거북선이 10노트면 도망가는 배 쫓아가서 박습니까? 달려올때 정면으로 박으면 충격 속도가 2배예요.. 거기다 물의 조류 속도는 생각 안하십니까? 왜 전문가들이나 기록이 다 맞다는데 본인의견을 주장을 하시는지 모르겠네요

  • @mtb7949
    @mtb7949 3 роки тому +1

    당파! 당파? 아직 영상 보지 못했다....
    그런데 함정에서 복무를 해 본 경험으로 당파를 상상해 보면 그렇다.
    아무리 목선이고, 아무리 속도가 느려도 판옥선이나 거북선의 무게가 상당할 것!
    함선끼리 부딪치면 안에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될까?

    • @Marksomali
      @Marksomali 2 роки тому

      F1 드라이버처럼 5점식 벨트에 꽉 잡아! ㅋㅋㅋㅋ 농담. 거북선의 정면은 커녕 측면의 노만 적선에 걸려도 노가 부러져고 노꾼도 중상을 입거나 사망해 동력을 잃을 수 있겠죠.
      SF 소설 쓰지 말고 국뽕도 좀 취할 곳에서 취하고 역사는 똑바로 봐야겠죠.

  • @이름-z4q1u
    @이름-z4q1u 3 роки тому

    래밍을 자주 써먹었던 지중해 갤리들도 화약무기가 도입되면서 래밍은 보조적 전술로 내려옴.
    고대시기 충파용 램이 흘수선아래나 흘수선에 위치하면서 적선의 직접적 파괴를 노렸다면 화약무기가 도입된 이후의 레판토해전 시기의 램은 흘수선 위로 올라와서 단순히 적선에 꽂아 배를 고정시켜 등선을 쉽게해주는 역할 정도가 됨.
    래밍으로 직접적으로 적선을 파괴시키려면 이 램이 적어도 흘수선이나 흘수선 아래에 위치하면서 침수를 노릴수있어야 하는데 이 램이라는 물건은 항해성능에 방해만 되어서 화약이라는 좋은 물건이 들어오자마자 보조적 위치로 격하됨.
    조선수군의 배에 이 램이 딱히 묘사되지도 않고 기록도 없는데 램도 없이 전투함에 꼬라박으면 공멸밖에 답이 없음.

  • @닥터푸우-y4b
    @닥터푸우-y4b 3 роки тому

    거함거포는 역시 로망인가
    화력이 최고야

  • @Dominicus0808
    @Dominicus0808 2 роки тому

    그러니까 거북선은 굳이 들이박지 않아도 다 조져버린 배라는 거군요

  • @arnshutain
    @arnshutain 3 роки тому +3

    12:40 처음 안 사실....

  • @ykj1630
    @ykj1630 3 роки тому

    충돌선이였단 소리가 있었군요. 전 그냥 돌격선으로 적선의 전열,진열을 흐트러트리는 역할 정도 였다라고 알고 있었는데..

    • @minukkim1731
      @minukkim1731 3 роки тому +1

      영화 명량에 나옴니다. 영화의 후반주 일본군이 퇴각할때 물살타고 판옥선으로 외선을 부수는 장면이

    • @henryv4989
      @henryv4989 2 роки тому

      @@minukkim1731 영화잖아ㅏ 그건ㅋㅋ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henryv4989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syk2166
    @syk2166 3 роки тому +1

    들어보니 쳐서깨다…공격해서 파괴했다가 맞겠네요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2초쯤에 나옵니다
      그리고 이 다큐에서는, 귀면이 부딪힐려고 만들었다고하내요
      누가말좀해주세요

  • @산계
    @산계 2 роки тому

    거북선의 자료가 없으니 검증할 방법이 없다고는 하지만
    일본선에 대한 자료는 찾아보면 나올것 같은데
    일본선은 백병전하기 위해서 빠르고 가볍게 만들었고,
    거북선은 그에 비해 무겁게 만들었으면 충돌한다는 것도 가능하지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ShrimpRoyalNewRoyal
    @ShrimpRoyalNewRoyal 3 роки тому +1

    당파설이 있었나.. 애초에 거북선이든 판옥선이든 함포를 장착한 포선인데 들이받기라니..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철이-s2v
    @철이-s2v 3 роки тому +19

    충돌을 하는게 말이 않되는게
    배에 총통과 포탄같은것들이 있는데
    천천히 다가가서 부딛혀도 충격이 클탠데
    배가 부딛힐때 총통과 포탄들이 앞으로 이리저리 쏠릴거랄 말임
    배에 탄 사람으로 하여금 진짜 위험하고
    무거운 총통과 포탄이 한쪽으로 쏠려 무게중심이 않맞으면 배가 전복될 수도 있음

    • @Ds-qn8tx
      @Ds-qn8tx 3 роки тому +5

      인정 하다못해 지금 자동차로 볏짚을 들이받아도 승객에게 충격이 있을텐데 뭐하러 강력한 포탄을 두고 들이받아서 자살특공대를 자처하나.. 단 2대 운용하는걸로

    • @정인철-j3q
      @정인철-j3q 3 роки тому +1

      두개골은 인체에서 가장 튼튼한 부분이지만, 박치기의 가장 큰 문제점이 충격으로 뇌가 흔들리는 것임. 타격기에서 실신ko당하는 원인도 그것임. 인간은 그냥 뇌임. 심장도 뇌의 부교감신경이 뛰라고 명령해서 뛰는거임. 심부전증이 위험한 것은 뇌가 심장으로 전하는 명령을 신경이 고장나서 전달하지 못해 언제든 심장마비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임.

    • @eliyahaverial
      @eliyahaverial 3 роки тому +2

      않 x
      안 o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Ds-qn8tx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mtb7949
    @mtb7949 3 роки тому +3

    난 부딪쳐 봤음....30톤급(실 톤수는 더 무거움)경비정에서 복무할 때~
    우리 띨띨한 부장이 정박할 때 그 느려터진 타력조차 억제하지 못하고 정면으로 박아버렸지~정말 살짝 부딪쳤음... FRP소재 경비정인데.....ㅋㅋㅋㅋㅋ
    선수에서 홋줄 잡고 있던 쫄병이 붕~ 떠서 도로까지 팅겨져 나가더군.....ㅋㅋㅋㅋ 다행히 큰 부상은 아니었다.
    경비정 선수쪽은 구멍이 뻥~~~뚫렸지.....아~ 물론 운영경비인지 직원(경찰)들 사비를 털었는지 조용히 고치고 끝났지......진급할라믄 아무일이 없어야 했기 때문이겠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당파 그거 쉬운고 아님!!....안에 있는 사람 대가리 깨지고 밖에 있는 수군들 바다로 날아가 떨어져요~!!!!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심리전-b1p
      @심리전-b1p 2 роки тому

      @임용한TV 아니 이게 맞는 조합으로 추론하신건가요? 판옥선이 전복이 더 쉽다는게 논리적인가요?
      첨저선 평저선에대한 인지가 전혀 안되신거로 보이는데요. 바닥 평평한 평저선에 널빤 돌을 싣고 바닥면에 무게중심을 낮췄는데 그게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넘어져요? 사각형 바닥이면 힘이 가해지는 반대편 모서리가 기준점이 돼서 기준점 부력이 급상승 할거고 그럼 배 전체 무게 절반이상을 들어올려야 전복이된다고 추론하는게 과학적이지 않습니까?
      반면 첨저선은 물속에 기준점이 있고 밀면 더 수월히 넘어지죠 다만 오뚝이 처럼 복원력이 좋은거지. (심지어 현시대 대현 선박들 구조를 보면 대부분이다 평저선이에요. 앞뒤 물 저항을 줄이는 부분 빼고는 다 평저선인데 박사님 말대로라면 시대를 역행하는 후진 기술력이네요,..)
      평저선이 전복이 쉽다는건 대양에서 이는 너울급 파도일 경우 그 경사면에서 배가 위치할때 너울 기울기만큼 배가 기울어지기 때문에 전복이 쉽다는게 일반 추론 아닙니까?
      첨저선은 오뚝이형태로 중력 복원력이 좋으니까 동일 조건일때 중력 맞춰 수직으로 복원돼 서있는 거구요.
      게다가 판옥선은(백과사전기준) 280톤 까지 나갔고 삼나무 대비 소나무 강도가 30프로 이상 좋았는데 이 엄청난 무게가 충돌하는데 삼나무가 박살이 안난다구요? 속력때문에?
      운동에너지 기본은 속도질량인데? 질량은 어디 마실갔나요?
      복원된 거북선을 보면 분명 충각을 위한 구조물이 있었고. 위에서 말 드린 것처럼 뭣하나 부족함이 없는데 충각을 하지 않았을것이다?
      어린진으로 밀고 들어오는 수백척에 돌격하는 임무를 띤 수백톤 거북선이 그 많은 배들을 피하는게 말이 되는 과학적 상상인가요?
      그나마 왜 수군이 거북선을 막으려 들면 외려 일부러 와서 들이박는게 더 상식적인 전투양상인데? 이게 전복위험때문에 전술적으로 말이 안된다?
      이순신 전문 연구소를 가진 대학교도 있고 하던데 그런분들이랑은 논의 해본 공론에 가까운건지? 참 이게 역사계라면 참 깝깝하네요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2초쯤에 나옵니다
    그리고 13분 58초쯤에 거북선이 왜선에 부딪혔다고하내요
    누가말좀해주세요

  • @Youngssichoi
    @Youngssichoi 3 роки тому

    싸워서 이겼는데 어떻게 이겼는지를 몰라서 답답한… ㅋㅋㅋ

  • @정석진-o9l
    @정석진-o9l 2 роки тому

    돛으로 속도를 내다가 그속도를 유지하고 장전된 단거리 포를 후면에 장거리 포를 쏨으로 격파된
    왜선을 밀고 나가는 모습이 마치 거북선이 충돌로 부수는 것같이
    보일수 있읍니다. 왜선의 못이 삭아있을때 우리 거북선은 나무못을 이용했고 외부로 철판이나 놋으로 감아 충격을 대비 한것이 보다 나은 내구성을 가진것 아닐까 해요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3초쯤에 나옵니다
      또한 다큐에서 앞에귀면이 박을려고 만들었다고하내요

  • @longhair_tattoo
    @longhair_tattoo 3 роки тому

    교수님 진주백화점에 조선 화력 전시회가 있던데 가보셨나요? 아마 교수님께서 알고 계신것과 다른 내용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2초쯤에 나옵니다
      그리고 이 다큐에서는, 귀면이 부딪힐려고 만들었다고하내요
      누가말좀해주세요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truth1472
    @truth1472 3 роки тому

    충돌에 관한 기사가 일본에 있답니다.
    큰 구멍이 뚫렸답니다.

  • @무명씨-i8z
    @무명씨-i8z 3 роки тому +1

    옛 생각속에 40년전 여의도 홍우빌딩 5층에 있었던 제일교회 임석윤 목사님 큰 아들였지 않으신가요?

    • @Limyonghan-TV
      @Limyonghan-TV  3 роки тому

      헉 맞습니다. 누구신지요. 메일 주세요(0011jb@gmail.com)

    • @무명씨-i8z
      @무명씨-i8z 3 роки тому

      @@Limyonghan-TV 은희랑 친하게 지냈던 김영제 입니다

    • @Limyonghan-TV
      @Limyonghan-TV  3 роки тому

      @@무명씨-i8z 세상에... 졸업하고는 못 본 것 같은데, 어디서 어떻게 지내나요. 메일 주세요.

    • @무명씨-i8z
      @무명씨-i8z 3 роки тому +1

      @@Limyonghan-TV
      형님이 국사에 그렇게 박식하신줄 전혀 몰랐네요
      전공도 아니신데 나중에 국사편찬위원회에 들어가셔서 한국역사실록 전집으로 내시는게 이름을 인명사전에도 오를듯 싶습니다 현대의 김부식으로 남기 바랍니다

  • @wolfk3893
    @wolfk3893 3 роки тому +4

    반대로 생각하면 그만큼 이순신 장군과 조선수군의 컨트롤이
    사기 수준이었다는 거네 ㅋㅋ...
    거리유지 철저히 하면서 짤짤이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2초쯤에 나옵니다
      그리고 이 다큐에서는, 귀면이 부딪힐려고 만들었다고하내요
      누가말좀해주세요

    • @wolfk3893
      @wolfk3893 2 роки тому +1

      @@인생은최충헌처럼 한국 전쟁사의 특징이지만, 유독 구체적인 전술에 대해서는 기록이 부족해서 많은 부분을 추측에 의존할 수 밖에 없어서, "당파"라는 단어 자체를 두고도 해석이 갈렸었죠...
      개인적으로는 충무공께서는 중-근거리 화력전으로 적을 제압하는 것을 기본 전술로 두고 , 적의 전열이 이미 무너졌거나 화포로 기세를 꺾어 섬멸하는 단계로 들어가면 그떄는 "당파"도 사용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고대 그리스 갤리선 해전을 보면, 상대의 측면을 파고들어서 충각으로 들이박는 전술이 핵심인데, 당연히 이 부분에 대해서 준비는 되어있고, 전술의 일부이긴 했지만
      근접 백병전에서 해적질과 전쟁으로 많이 단련된 일본군과 굳이 대등한 조건에서 싸우는 것은 가능하면 피하고, 확실한 우위의 상황에서만 활용했기 때문에 사상자를 그렇게 적게 억제하면서 활약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요?

  • @불법취업귀걸이
    @불법취업귀걸이 3 роки тому +3

    용한이형, 우리는 목재, 일본은 철갑이라는 얘기를 추측해면 아마도 거북선 상부에 철편을 설치할때 이를 강화하고 고정시키기 위해서 바닥면 일부분이 철판 같은거로 고정시켜서이지 않을까 합니다. 목재의 상당 부분에 철편고정용 철판이 있었다면, 철판 부분에 강하게 인상을 받은 일본인들은 철갑으로 인식한 반면 우리는 목재라고 생각했겠죠...제 추측입니다..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2초쯤에 나옵니다
      그리고 이 다큐에서는, 귀면이 부딪힐려고 만들었다고하내요
      누가말좀해주세요

  • @timeplayer940
    @timeplayer940 3 роки тому

    철선이면 이야기가 다른데 어짜피 다 목선이고 그 당시 장갑선을 만들었다는게 더 중요하지 재료가 뭐가 중요함. 철선도 철선이지만 전함의 기원이 되는 장갑을 덕지덕지 바른 철선도 남북전쟁 시기에 나왔음. 그리고 배로 들이 받는 건 현대해군도 가지고 있는 전투법이긴 함. 근데 일부러 원거리에서 달려가서 들이받지 않고 다 함포 쏘거나 마사일 쏘지. 뚫고 들어와서 어쩔 수 없이 박아야 되는 적선들은 박아서 깼을 수도 있고 충파와 전소로 구분한 건 적 군함의 손상정도에 따라 다르게 보고 하는 현대 해군의 전과 보고 방식과 비슷한 것일 수도 있음.

  • @dlwlrma6
    @dlwlrma6 3 роки тому

    교수님도 나무위키를 ㅋㅋㅋㅋㅋㅋ

  • @wusongyang7751
    @wusongyang7751 3 роки тому

    탁상공론의 폐해라고 생각합니다... 실재로 본것도 아니고 실험을 하는것도 아닌 그냥 글만 가지고 이해하려 하니 일어나는 일
    포격전에 유능하신 이순신 장군이 포격전을 버릴리가 없지요

  • @jubal2k
    @jubal2k 3 роки тому

    파괴 & 전소 이렇게 두가지로 보고 한듯한데.. 부딫쳐서 깼다도 포함될수도 있으니, 아예 아니라고 속단하는건 아닌듯..

    • @이름-z4q1u
      @이름-z4q1u 3 роки тому +1

      의도적으로 갖다박는걸 주 전술로 썼느냐 아니냐가 주제인데 구절 하나의 예외사례 가능성가지고 토달지좀 맙시다. 자폐증환자들이나 하는 짓임

  • @kmkj5281
    @kmkj5281 3 роки тому +3

    화살로쏘는전투도아니고 원거리 화포전인데 박치기 전술을쓴다는것자체가 어불성설

    • @산계
      @산계 2 роки тому

      일본은 근접전을 썻다는걸 잊어버리면 안되재

  • @suquemi
    @suquemi 3 роки тому

    임란과 레판토 해전이 20년 정도 차이가 나던데
    당시 베네치아 갤리어스와 거북선이 맞붙으면 어느 쪽이 우세할지 궁금함 ㅋㅋ

    • @이름-z4q1u
      @이름-z4q1u 3 роки тому

      왜란식의 압도적 교전비는 못내겠지만 이순신이 이기긴 할듯.
      지중해 갤리들도 화포 많이 썼고 오히려 초석수급관점에선 유럽이 조선보다 유리함. 화승총도 더 적극적으로 썼고.
      지중해 갤리들이 래밍에 집착하면 지는거고 화약무기 우위가지고 도망다니면서 싸우면 지중해 갤리들이 유리할듯

  • @dudrak7575
    @dudrak7575 2 роки тому +1

    당파니 충파에 대한 오류는
    전투를 모르는 시인이 해석을 했기 때문이다.
    당파는 깨부수는 것이다.
    명종실록에
    성곽이나 전선을 당파하는데는 대장군전이 최고입니다.
    라고 적혀있다.
    거북선은 직충을 오역하여 들이받기로 오인되었고,
    영화 명량에서 충파라 오류를 범하였다.
    직충은 곧바로 처들어간다는 뜻.
    거북선 속도 최대한 끌어올려도 7km이하.
    그 속도로 부딛힌다고 파괴될까?
    거북선도 평저선이라 속도가 높지 않다.
    왜선이 아무리 얇은 삼나무와 쇠못을 썼다하더라도 파괴된다?
    그리고 부딛히게 되면 거북선의 승조원은 무사할까?
    다량의 화약을 싣고 있는데...?
    거북선이 적진으로 곧바로 직충하는 과정에 자연적으로 생기는 현상.
    그냥 들이밀어내는 것이다.

  • @김현-l6u
    @김현-l6u 3 роки тому

    거북선의 속도가 판옥선보다 빠른지 느린지, 거북선이 판옥선보다 날씨의 영향을 더 받았는지 덜받았는지에 대해서도 강의해 주셨으면....

    • @Limyonghan-TV
      @Limyonghan-TV  3 роки тому +2

      그런 기록은 없습니다. 대형 판옥선은 거북선보다 좀 더 컸다고 하지만, 거북선이 같은 크기의 일반 전함보다 무거웠으니 빠르지는 않았겠죠. 다만 속도가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크게 차이가 나면 전투를 할 수 없었을테니 비슷했겠죠. 노군의 강도가 더 셌다거나 노군의 밀도가 좀 더 높았거나... 아니면 다른 장비를 가볍게 했거나 좌우간 이런 기록이 없어서 판정이 어렵습니다.

    • @김현-l6u
      @김현-l6u 3 роки тому

      @@Limyonghan-TV 박사님 감사합니다

    • @힝기-f5u
      @힝기-f5u 3 роки тому

      요약 느리면 느린만큼 노꾼만 죽어나갔따

    • @심리전-b1p
      @심리전-b1p 2 роки тому

      @@Limyonghan-TV 아니 이게 맞는 조합으로 추론하신건가요? 판옥선이 전복이 더 쉽다는게 논리적인가요?
      첨저선 평저선에대한 인지가 전혀 안되신거로 보이는데요. 바닥 평평한 평저선에 널빤 돌을 싣고 바닥면에 무게중심을 낮췄는데 그게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넘어져요? 사각형 바닥이면 힘이 가해지는 반대편 모서리가 기준점이 돼서 기준점 부력이 급상승 할거고 그럼 배 전체 무게 절반이상을 들어올려야 전복이된다고 추론하는게 과학적이지 않습니까?
      반면 첨저선은 물속에 기준점이 있고 밀면 더 수월히 넘어지죠 다만 오뚝이 처럼 복원력이 좋은거지. (심지어 현시대 대현 선박들 구조를 보면 대부분이다 평저선이에요. 앞뒤 물 저항을 줄이는 부분 빼고는 다 평저선인데 박사님 말대로라면 시대를 역행하는 후진 기술력이네요,..)
      평저선이 전복이 쉽다는건 대양에서 이는 너울급 파도일 경우 그 경사면에서 배가 위치할때 너울 기울기만큼 배가 기울어지기 때문에 전복이 쉽다는게 일반 추론 아닙니까?
      첨저선은 오뚝이형태로 중력 복원력이 좋으니까 동일 조건일때 중력 맞춰 수직으로 복원돼 서있는 거구요.
      게다가 판옥선은(백과사전기준) 280톤 까지 나갔고 삼나무 대비 소나무 강도가 30프로 이상 좋았는데 이 엄청난 무게가 충돌하는데 삼나무가 박살이 안난다구요? 속력때문에?
      운동에너지 기본은 속도질량인데? 질량은 어디 마실갔나요?
      복원된 거북선을 보면 분명 충각을 위한 구조물이 있었고. 위에서 말 드린 것처럼 뭣하나 부족함이 없는데 충각을 하지 않았을것이다?
      어린진으로 밀고 들어오는 수백척에 돌격하는 임무를 띤 수백톤 거북선이 그 많은 배들을 피하는게 말이 되는 과학적 상상인가요?
      그나마 왜 수군이 거북선을 막으려 들면 외려 일부러 와서 들이박는게 더 상식적인 전투양상인데? 이게 전복위험때문에 전술적으로 말이 안된다?
      이순신 전문 연구소를 가진 대학교도 있고 하던데 그런분들이랑은 논의 해본 공론에 가까운건지? 참 이게 역사계라면 참 깝깝하네요.

  • @sugarfree97
    @sugarfree97 Рік тому

    적들을 무찌르자! 라고 하면 찌르는거고 적들을 쳐부시자! 라고 하면 때린다 라고 믿는 것과 같죠 ㅋㅋ

  • @이원석-b8u
    @이원석-b8u 3 роки тому +1

    실록을 한글로 써놨으면 참 좋았을텐데 그놈의 한자사랑이 뭔지. 잘보고갑니다.

  • @쿠마짱-q9l
    @쿠마짱-q9l 3 роки тому +4

    당파를 현재 쓰는 단어로 바꾸면 침몰시켰다 정도가 되려나요?
    당파 0척 태운거 x척 이라할때...
    당파는 침몰시켜서 해수면 아래로 가라앉은것
    태운것은 아직 수면에 떠 있지만 배에 불이 붙어서 사실상 전투력이 상실된 것?

    • @산계
      @산계 2 роки тому

      전투중에 당파인지 뭔지 구별한 틈이 어디있나..

    • @끼윩끾꺆쓕뀱껼뺚쮹
      @끼윩끾꺆쓕뀱껼뺚쮹 2 роки тому

      화포로 파괴한 공적과
      화공으로 불태운 공적을
      나눈것 아닐까요.

  • @asurakang
    @asurakang 2 роки тому

    저어 옛날에 역사스페셜에서 했던 거북선편 보셨나요?ㅎㅎ 막 그래픽으로 구현했었는데ㅎㅎ 어렸을 때 보고 넘나 인상적이었는데, 그 때 그 설을 전문가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요~~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2초쯤에 나옵니다
      그리고 13분 58초쯤에 거북선이 왜선에 부딪혔다고하내요
      누가말좀해주세요

    • @김현진-l3w
      @김현진-l3w 2 роки тому +1

      @@인생은최충헌처럼 해당 다큐는 99년도 제작입니다
      계속 된 연구로 오류를 잡아가야 하는 것이죠
      그리고 전술적 전략적 물리적 등등 여러가지를 종합했을때
      아무리 나무못이니 재질이 다르니 해더 그만한 질량을 사람이 움직여서 때려박는 건 1회성으로는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영화처럼 연속적으로 다 때려부수고 다니는 것은 불가능에 매우 가깝죠
      그리고 들이박는 순간 속도를 잃어 다시 가속하는 것에 시간이 걸립니다
      그 순간 적에게 표적이 되는거죠
      가장 신뢰성이 있는 것은 적 함대 속으로 휘젓고 들어가서 좌우에 있는 함포를 일제사격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거북선은 고속선이 아니기 때문이죠
      이게 한자표현의 한계라서...
      우리가 영화에서 누구와 누가 접촉했다 라는 것을 실제로 몸이 닿았다고 인식하지 않고
      그저 앞에서 마주쳤다 정도로 인식하죠

  • @보노보노-y9b
    @보노보노-y9b 3 роки тому

    철갑선이 가능하려면 강철(steel)을 배를 만들만큼 대량생산이 가능해야 하고 추진기관도 인력이나 풍력 이상이 있어야 가능한데 코메디죠....솔직히 거북선 뚜껑에 쓸만한 강철을 근대적 제철소 없이 뭔수로 생산한다고

    • @Limyonghan-TV
      @Limyonghan-TV  3 роки тому +4

      @알song 그런 해석도 있습니다만, 철판이라고 다 튼튼하지 않습니다. 그만큼 두꺼워야 하고, 주물로 제조하는 무쇠는 더욱 약해서 강판으로 만들어야 하는데 배를 덮는 크기의 두꺼운 강철판을 만든다는게 보통 일이 아닙니다. 그 공정을 개발했다면 그게 더 대단한 작업이고 기록에 남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배를 만들 때 여러가지 이유로 쇠못을 안 쓰는데요, 판옥선도 마찬가지죠. 쇠가 부족하기도 하지만, 쇠못을 쓰면 녹과 부식 등 여러가지 문제가 생깁니다. 거북선에 철판을 덮었다면 조선측 기록에 없을 수가 없습니다.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2초쯤에 나옵니다
      그리고 13분 58초쯤에 거북선이 왜선에 부딪혔다고하내요
      누가말좀해주세요

  • @좌빨이싫어요
    @좌빨이싫어요 2 роки тому

    근접하여 총통으로 파괴한다 속도가 느려서 당파가 안된다고 하던데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허규범-g9f
    @허규범-g9f 3 роки тому +2

    충격으로 받아서 침몰 시키기보다 먼거리던 가까운 거리던 뭘 쏴서 침몰 시키는게 어렵고 대단한 것 같은데...

    • @인생은최충헌처럼
      @인생은최충헌처럼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2초쯤에 나옵니다
      그리고 13분 58초쯤에 거북선이 왜선에 부딪혔다고하내요
      누가말좀해주세요

  • @toughguy_2024
    @toughguy_2024 2 роки тому +1

    이게 맞지 최태성 그 양반은 어그로 끌려고 영화 얘기나 하고 햐..

  • @InOS-ex6hb
    @InOS-ex6hb 3 роки тому

    아... 충파가 픽션이었구나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

  • @쟈케오펠렉스
    @쟈케오펠렉스 3 роки тому

    거북선 유물이 없는게 안타까워요

  • @ukikaze9930
    @ukikaze9930 3 роки тому +2

    이 때는 대포로 적선을 격침시키는것도 당파라고 했습니다. 포탄이 폭발하는것이 아닌 단순히 쇠구슬이 적선으로 날아가 적선에 부딪쳐서 깨부수었기에 나온 표현이죠.
    박사님이 뭔가 새로운걸 말씀하시는것 같이 보이지만 사실 아는 사람은 다 아는 내용이긴 하죠. 많은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내용이기도 하고

    • @따라라랄
      @따라라랄 2 роки тому

      ua-cam.com/video/uawCzro6VXU/v-deo.html
      다큐에서는 들이박아서 박살냈다고 하는데 이다큐가 틀린건가요??? 12분58초쯤에 나옵니다
      누가말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