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지옥에서 벗어나 ‘나 자신’으로 사는 방법 (한석준 아나운서, 최명기 원장, 한민 교수, 이헌주 교수 1부)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7 чер 2024
  • 오늘은 한석준 아나운서님, 최명기 원장님, 이헌주 교수님, 한민 교수님을 모시고
    나를 갉아먹는 비교 심리에서 벗어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영상이 유익 했다면 구독!! 영상이 재밌으셨다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한석준 #최명기 #이헌주 #한민 #지식인사이드 #비교
    00:00 인트로
    00:18 구독자 인사 및 주제 소개
    00:52 비교하지 않고는 대화가 안 되는 한국인들의 비교 문화
    04:12 지독한 명품 사랑에서 드러나는 한국인들의 비교 심리
    05:17 배보다 배꼽이 더 큰 한국의 비싼 결혼 문화
    06:32 만나면 외모 품평부터 하는 한국인들, ‘이런 심리’ 때문입니다
    08:20 인스타그램을 보면 나 빼고 다들 행복해 보이는 이유
    09:58 한국인들 비교 문화, 왜 유독 심각한 걸까?
    14:20 한국의 비교 문화, 과연 부정적이기만 할까?
    17:15 비교 굴레를 벗어나 내 삶의 주인이 되는 방법
    -
    👇지식인사이드에 출연을 원하신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forms.gle/u4LxVcwFdhvkLH8m6
    knowledgeinside7@gmail.com
    👇 다양한 채널에서 지식인사이드의 지식을 얻고 싶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인스타그램: / knowledgeins_kr
    페이스북: knowledgeIns...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contents.premium.naver.com/mo...
    네이버 TV: tv.naver.com/purejboy2
    틱톡: www.tiktok.com/@allstorieskr?...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knowledgeins
  • Навчання та стиль

КОМЕНТАРІ • 194

  • @user-zs2pl6sv2o
    @user-zs2pl6sv2o 6 днів тому +215

    욕심부리지 말고 비교하지 말고,
    작은 것에 만족하면서 오늘을 즐겁게 살자,
    마지막 순간에 "참 좋은 인생이었다." 라며
    웃을 수 있게.

    • @SK2017mong
      @SK2017mong 5 днів тому +2

      말이 쉽지, 도사 같은 초월자가 아닌데 … 스스로 루져란 생각들기 쉽상!
      현 사회가 구축한 거대한 톱니바퀴에 맞춰 돌아가는게 일상생활인데, 지속적으로 그런 맘 유지 하려면, 관계를. 끊어야죠.
      그래서 ‘나 홀로 산다’가 인기 최고 시청률 였겠죠.

    • @user-gi8wo3es5q
      @user-gi8wo3es5q 5 днів тому +1

      애둘 키우지만 요즘은 검색도 쉬워서 초딩들이 집 차 아빠 회사연봉 전부 다 알고 계급나눠서 따로 논답니다. 그러지말라고 교육해도 다 그러니 동참안하면 따당함. 별수없이 외제차로 바꿈

    • @user-jf3tz5xs1q
      @user-jf3tz5xs1q 4 дні тому

      😊😊😊😊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

    • @user-jf3tz5xs1q
      @user-jf3tz5xs1q 4 дні тому

      😊😊😊😊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

    • @user-jf3tz5xs1q
      @user-jf3tz5xs1q 4 дні тому

      😊😊😊😊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

  • @user-he9yi9bu3f
    @user-he9yi9bu3f 5 днів тому +136

    우리나라 사람들이 이렇게 된 가장 근원적인 원인에는 바로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참 희안하게도 서로에게 칭찬이나 인정을 해주지 않는 문화가 있습니다.
    선비같은 삶을 살다보니 부끄러워서 서로에게 따뜻한 말을 건내주지 않습니다.
    우리는 어릴적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너 대단해. 잘했어."라는 칭찬이나 인정을 거의 받아보지 못하고 삽니다.
    나이를 먹어서도 똑같습니다.
    친구든, 직장 상사든, 누구든 우리에게 인정해주는 말을 건내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러나 서양 사람들은 인정해주는 문화가 대단히 발달해있습니다.
    서양인들은 진짜 별것도 아닌걸로 오바한다 싶을 정도로 칭찬과 격려를 잘합니다.
    미국 언어중에 "you deserve it"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직역하면 "너 그럴 자격있어."라는 말입니다.
    미국인들은 이 말을 습관처럼 굉장히 자주 씁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런 말을 과연 쓸까요?
    부모님이나 친구들이나 상사들이 여러분한테 "너 그거 받을 자격있어."라는 말 쓰는 거 보셨나요?
    거의 안씁니다.
    이렇게 서로가 서로를 인정해주지 않고,
    무언가를 잘해도, 칭찬은 커녕 그냥 "오~" 한마디 하고 끝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심지어는 인정은 커녕 깎아내리기까지 합니다.
    그러다보니 한국인들의 뼛속 깊은 곳에 "인정받고 싶다."라는 욕구가 들끓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남들에게 인정받기 위해서 무리를 해서라도 계속해서 스스로를 증명합니다.
    스스로가 가치있는 사람이라는 걸 증명받고 싶은겁니다.
    그러나 아무리 뼈빠지게 노력해도 어디서도 인정해주지 않습니다.
    참 불행한 나라죠.
    따라서 우리는 남들에게 인정을 바라기보다,
    자기가 스스로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것에 만족하며 살아갈 수 있어야 합니다.

    • @hrlee0616
      @hrlee0616 5 днів тому +1

      ❤❤❤

    • @user-pw6tg5lo8n
      @user-pw6tg5lo8n 5 днів тому +7

      진짜 맞는 말씀이에요 정말 서로를 인정해주지않죠 ...

    • @suchulpark8522
      @suchulpark8522 4 дні тому +6

      남이 뭐 잘하면 잘한다고 하면 그만인데 그렇게 말해버리면 천박하게 꼬라박은 자신의 자존감에 상처가 된다고 이기적으로 생각해버리죠.

    • @taerimlee8708
      @taerimlee8708 4 дні тому +3

      오 글 참 잘쓰시네요! 좋은 내용입니다😊

    • @Julia-yo9fz
      @Julia-yo9fz 3 дні тому

      정말 좋은 말씀이세요 ❤

  • @KYU_Balla
    @KYU_Balla 5 днів тому +99

    마지막 한석준 아나운서 말씀이 너무 와닿았어요. 기성세대는 개도국 출신이지만 지금 MZ들은 선진국 출신이라서 비교해야 할 기준들이 너무나 많고 또 다양해지고 있는 지점이며, 이 두 가치가 충돌중이라는 말씀요. 그래서 앞으로는 점점 더 비교가 줄어들고 종국엔 없어질 거라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시점에서의 좋은 말씀에 무릎을 탁! 치고 갑니다!!!

    • @2greenbluered
      @2greenbluered 5 днів тому

      선진국된지 3년정도밖에 안됐는데?? 젠지들도 선진국 출신아님
      선진국인줄 착각한 세대들이라 허영심만 자란것임
      사실지금도 절대 선진국아님 외국살아보면 그차이가 극명하게 느껴짐 선진국 사람들은 여유가있음 한국은 반대임.
      일본하고 즁귝 중간이 한국임 정서는 중국에 가까움.

    • @fieldlinda9105
      @fieldlinda9105 3 дні тому +1

      ㄹㅇ이게 핵심중 하나이긴함
      현 기성세대는 젊은시절이 개도국시절이었고 80년대생부터는 한국이 선진국일때 젊은시절을 보냈기때문에 세대갈등이 심각함

  • @vcontrol4512
    @vcontrol4512 5 днів тому +126

    인생에 초점이 내가 아닌 타인에게 있어서 그렇다고 하더군요
    온전히 나를 위해 집중하고 비교도 타인이 아닌 과거의 나와 비교해야 합니다

    • @erebi8386
      @erebi8386 5 днів тому +6

      생각의지도 책을 보면 서양인보다 동북아인이 왜 더 불행한지 아주잘나옵니다

    • @nabi768
      @nabi768 5 днів тому +1

      좋은 메세지지만, 나자신에 의한 나 자신을 위한 삶은 지속하기가 힘듧니다.
      인간이라는 쓸 데 없이 똑똑한 생물은, 관계 속에서 자신의 의미를 찾아야만 하니까요. 그렇지 않으면 금방 권태와 허무에 빠져버리죠.
      그래서 나도 잘 되면 좋지만 타인의 행복도 중요시하는, 이타적인 마음에 집중해야 돼요. 서로 진심으로 의지할 수 있는 관계를 많이 쌓는 것이 비교를 멈추는 방법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 @user-gi8wo3es5q
      @user-gi8wo3es5q 5 днів тому

      학창시절부터 무한경쟁속에 살아온 우리는 그게 힘들죠 상대가 나보다 잘하면 난 죽는거임.. 경쟁심리로 나름발전했지만 결과는 행복 최저 자살1위 출산율 최저 인구소멸

  • @user-tv6jk5lk1c
    @user-tv6jk5lk1c 5 днів тому +49

    한석준 아나운서님 나와서 해 주시는 말씀이 한마디한마디 도움이 되요
    마치
    "나도 예전에 이런 실수도 했고 그러느라 힘겹기도 했는데 그 과정을 빠져나오면서 이렇게 배울수 있는 점이 있더라.너도 힘내봐."라고 해 주시는 느낌...
    지금처럼 자주 나와서 경험에 바탕 둔 좋은 이야기와 조언들 많이 들려주세요~

  • @dailyukraine_korea
    @dailyukraine_korea 5 днів тому +19

    *인스타 끊고 마음이 풍요로워진 1인* 😊

  • @baksehyeon
    @baksehyeon 6 днів тому +66

    나만 벗어난다고 벗어날 수 있는 게 아니라서 힘든 거

    • @user-cr2lf5fh7s
      @user-cr2lf5fh7s 5 днів тому +3

      님만 벗어나면 벗어날 수 있어요! 님이 붙잡고 있는 겁니다.
      혼자 있는게 힘드니 사람을 찾게 되고 사람을 만나니 비교하게 되는 거죠.

    • @baksehyeon
      @baksehyeon 5 днів тому +5

      @@user-cr2lf5fh7s 흔한 자기계발서에서 하는 말이 자기만 잘하면 된다입니다.
      그럼 이미 대부분의 사람이 나 자신으로 살겠죠.
      그렇던가요?
      사회개혁이 필요한 이유죠.
      애초에 원인이 없다면 그 노오력을 할 필요가 없는겁니다.

    • @user-dr4ey3ub9v
      @user-dr4ey3ub9v 5 днів тому +6

      흔듭니다. 주위에서 ㅠ

    • @dennylucy
      @dennylucy 2 дні тому

      가족 친구들이 가만히 안두죠 ㅜㅜ

  • @sklee5106
    @sklee5106 5 днів тому +16

    자신이 행복한 것이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어제의 나와 비교하자!

  • @kimws33
    @kimws33 6 днів тому +31

    경제. 국방보다 중요한
    정치가 바르게 되고
    정치가 발라야 됩니다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그리고
    부모
    선생님
    정치인
    성직자들
    사회 구성원 모두가 참다운 자기가 되기를 반성해야
    대한민국이 바로 됩니다

  • @PP-uf5jl
    @PP-uf5jl 5 днів тому +11

    남과 비교를 시작하면 끝이 없기때문에 결국 본인만 우울해집니다. 그렇기때문에 자기자신을 들여보고 챙기고 사랑합시다.

  • @user-eu2hx8lb3k
    @user-eu2hx8lb3k 5 днів тому +36

    진짜 좋은 주제인듯합니다 ~
    한국의 가장 병폐이자 모든 문제의 근원인듯해요
    남과 비교 → 지나친 경쟁 → 우울감 및 정신 피폐 → 사회적 문제로 발생

  • @user-zz1lm2pl1g
    @user-zz1lm2pl1g 5 днів тому +9

    비교를 자기랑 해야된다… 한석준 님 정말 깔끔하게 설득적으로 표현해주셔서 너무 유익합니다😊

  • @user-uv5ss9rn5o
    @user-uv5ss9rn5o 5 днів тому +16

    자신에게 집중하면 남과 비교할 시간이 어디 있나?
    다들 자신에게 집중하지 않으면서 살고 있다는 반증임.

  • @alle1853
    @alle1853 5 днів тому +16

    최명기원장님 진짜

  • @user-ql2wq9uo9x
    @user-ql2wq9uo9x 5 днів тому +21

    최명기 원장님 팬이예요 계속 나와주세요~!!

  • @user-yu7bp5yo7d
    @user-yu7bp5yo7d 5 днів тому +17

    최명기원장님 말씀이 가슴에 확 들어오내요

    • @Nojaminseng
      @Nojaminseng 5 днів тому +3

      정신과의 관통맨..

  • @trustworthyme1
    @trustworthyme1 5 днів тому +8

    최명기 원장님, 여러 채널 통해 뵙고 있는데, 쇼맨쉽 없고, 튀려고 어설픈 영어 안 쓰고 겸손하시나 소신이 뚜렷하신 진정한 학자의 모습에 감동받고 지인들과 나누고 있습니다. 물질 만능주의로 혼탁한 이 시대의 병들고 지친 영혼들에게 꼭 필요한 명의이십니다. 늘 건강하세요!

  • @arnshutain
    @arnshutain 5 днів тому +17

    18:49 정말 좋은 말씀

  • @user-oq1dg6ep4d
    @user-oq1dg6ep4d 5 днів тому +7

    너무 유익했습니다.~~~나오신 모든 분들 말씀 좋네요~

  • @user-yt3kr4ns8r
    @user-yt3kr4ns8r 5 днів тому +19

    최명기선생님 늘 많이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 @haroto5204
    @haroto5204 5 днів тому +8

    결국 자존감의 문제...
    내면이 허하고, 공허하니, 물질로 채우고, 정신적가치(내면의 단단함, 지식, 정서, 사랑, 애착)이런게 부실하니 .... 표면적인 것들에 "집착". 돈이 안 중요하다면 흑백논리로 위선자로 포장... 가족보다도 돈을 우선시 가치...
    자연스레 자기객관화부족, 남의 꿈 쫓기 등 유교위계와 일방적 수직관계로 이용한 나르시스트들 판치고, 개인이라는 가치가 없다보니 배려 존중 이라는 것은 뒷전이고 특정 생각을 전체주의적으로 뒤짚어씌움. 거기서 어긋나면 각종 커뮤니티 혐오 단어로 포장.
    한국사회가 매우 병들어 있다는 것. 제도를 고칠 것이 아니라, 제도를 고칠 수 있는 문화 변화가 가장 근본적. 우리의 정서를 제일 고쳐야함. 정서를 고치려면 또 자존감이나, 애착, 심리, 내면, 철학과 같은 고차원적인 인문학 중시해야하는데, 또 이러면 학부모들이 지금 4차산업인데 "우리 아이들 평가는 어떻게?," 다들고 일어섬. 그러니, 누가 총대메고 바꾸자하면 리스크만 있으니, 아무도 안 나섬. 그러면서 다시 원점문제로 복귀.

  • @sanghyunjeon3978
    @sanghyunjeon3978 6 днів тому +26

    최명기원장님👍🏻👍

  • @your_song
    @your_song 5 днів тому +8

    SNS를 끊어.
    다들 남들 뭐샀나, 뭘 먹나, 뭘 입나.. 눈 시뻘게 가지고 보고있으니...
    그게 왜 관심이 있는지 도무지 이해가 안간다.
    진짜 명품 소비가 생활인 사람들은 그런거 사진찍어 안올린다.
    특별한 일이 아닌데 뭘 사진을 찍고 난리부르스를 추겠냐?
    SNS에 그런 자랑질 한다는거 자체가 어떤면에서 자신의 가장 부족한 결핍을 자랑하는거다.

  • @nhpark6765
    @nhpark6765 2 дні тому +1

    최명기님 통찰력 쵝오.
    우월감과 열등감은 종이 한 장 차이입니다.
    한석준님 의견에 동감.
    최명기샘 계속보고 싶어요.

  • @user-dq6jy6rx5k
    @user-dq6jy6rx5k 5 днів тому +3

    진짜 유익하고 힐링되네요 ㅠㅠㅠ

  • @gi7rs6sw1
    @gi7rs6sw1 5 днів тому +1

    많이들 관심 있는 주제지만 뻔한 방식으로 요약되지 않고 각자의 색깔이 도드라져서 좋아요. 열등감과 우월감은 스스로 오르고 내려가길 반복하다가 시간이 지나서 그 진폭이 줄어드는 거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마음을 수용하고 괜찮다 여기는 게 정답이고 자연스러운 거라는 최명기 원장님의 말씀이 인상적이네요. 그 뒤에 세대간 비교의 대상이나 눈금 차이도 있는 것 같다면서 시간이 지나면 그 눈금이 너무 다양해져서 비교가 힘들어질 것 같다는 한석준 아나운서님의 말씀도.

  • @user-du6xd5im5h
    @user-du6xd5im5h 4 дні тому +2

    나 스스로 사랑하고 건강하게 이어가는 게 중요하네요. 따뜻한 느낌 속에 보는 내내 행복한 시간이 된 것 같아요!

  • @Julia-yo9fz
    @Julia-yo9fz 3 дні тому +1

    정말 유익한 대화의 장이네요! 좋은 말씀들 듣고 갑니다

  • @halfm8767
    @halfm8767 5 днів тому

    늘 좋지만 유독 좋은 컨텐츠라고 느껴지는 영상이네요. 너무 유용했어요. 감사히 잘 봤습니다.

  • @user-nx4be6ko2s
    @user-nx4be6ko2s 5 днів тому +4

    경쟁으로 한국사회가 급속성장한 것에 대한 부작용입니다. 경쟁이란게 서로의 역량 성과를 "비교" 하는 것이라 결국 경쟁=비교이고 유년기부터 경쟁에 절여지니까 가치관이 그렇게 확립된거죠.

  • @Jina.0228
    @Jina.0228 5 днів тому +1

    유익하고 좋은 말씀들 잘들었어요 감사합니다❤

  • @user-rt4mm8qp6o
    @user-rt4mm8qp6o 5 днів тому +1

    잘보았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 @user-uz870
    @user-uz870 5 днів тому +24

    인간욕심이란게 그렇다. 없는 사람들 앞에서 과시하고 다니고 잘사는 사람앞에선 배아프다 그러고 남잘되는꼴 못보는거지.

  • @cleanboy
    @cleanboy 6 днів тому +5

    ❤ 항상 좋은 방송 잘 듣고 있어요.
    구미에는 지금 비가 내리고 있어요. 주말 잘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 @sohamoon3493
    @sohamoon3493 4 дні тому

    오늘 내용 정말 역대급으로 좋았어요. 다각도에서 생각할 수 있게 여러 말씀 해주셨네요.

  • @user-wc1me2co5g
    @user-wc1me2co5g 3 дні тому +1

    옆에서 항상 위로해주고 감싸주는 사람의 존재가 크다. 내가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

  • @comet1652
    @comet1652 5 днів тому +13

    최명기 원장 논리에
    공감이 되네요

  • @user-fe3mr3fx2i
    @user-fe3mr3fx2i 5 днів тому +2

    감사합니다 ❤❤❤

  • @from_daisy_
    @from_daisy_ 3 дні тому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user-fg9ut2lt7k
    @user-fg9ut2lt7k 3 дні тому +1

    자원이 없는 나라에서 경쟁 할 수 밖에 없는 환경 때문에 비교하고, 또 인정 받으려 하고 ,
    본인도 경쟁적 이였지만 . 타인한테 칭찬 하면서 , 질투는 낫지만 인정은 할 수 밖에 없었는데 이제 나이를 먹고 은퇴할 때가 오다 보니, 다 내려놓고, 내 자신에 집중해서 살다 보니 .마음이 편하고 행복한 순간도 자주 경험 하는 것 같아요

  • @gnbxztuyfd
    @gnbxztuyfd 5 днів тому +4

    고만고만 하면 비교하기 너무 쉽고, 다양성이 두드러질수록 기준이 제각각이라 그자체로 존중하게 된다. 해외에서 재밌게 잘보고 있습니다. 이 컨텐츠 재밌어요~ 😊

  • @user-zy5ur7zi1b
    @user-zy5ur7zi1b 4 дні тому +2

    어정쩡한 사람들이 비교합니다.
    진짜 찐들은 비교하지 않아요
    비교할 것도 없고 비교할 필요성도 못느끼니까요.

  • @sunaoh8190
    @sunaoh8190 5 днів тому

    정말 유익한 영상

  • @user-mu3tm2sh2m
    @user-mu3tm2sh2m 5 днів тому +1

    유익한 프로그램

  • @pericles21
    @pericles21 5 днів тому +5

    행복의 정의는 만족임
    성취가주는 행복은 짧

  • @user-ue3vo3be5v
    @user-ue3vo3be5v 6 днів тому +11

    참 유익하고 재미난 방송...

  • @user-qh4ks7em7b
    @user-qh4ks7em7b 5 днів тому +12

    제 조카도 비교질 때문에 힘들어 하더군요. 빌라에 사는데 아파트 사는 애들이 놀린다고 해요. 서울 100평 빌라를 저희 아버지가 지어서 세도 놓고있고 아파트도 두채 월세놓고 있어요. 언니와 저는 어릴적부터 아파트 생활을 해서 아파트를 좋아하질 않아요. 저 역시 월세놓고 단독에 전세로 살고있구요. 초등학생들이 각종 비교질에 좋은게 하나인 나라! 좋은걸 하나로 강요하는 나라! 어이가 없더군요. 이건 뭔 공산주의 사회보다 확일화된 느낌이라 어이가 없네요…

  • @harrychoi6255
    @harrychoi6255 3 дні тому +2

    이민와서 살면서 가장 좋은 점은 비교하는 한국인들이 주변에 없다는 사실이다.

  • @applei5673
    @applei5673 5 днів тому +6

    어른들이 생각없이 자가인지 월세인지 쳐물으니 어린애들도 그런 겁니다.

    • @user-ow1fi1tc3f
      @user-ow1fi1tc3f 5 днів тому +2

      오지랖에도 긍정적인것과 부정적인 것들이 있다고 보는데 님이 말한 그런 사례들 이야 말로 정말 없어져야할 천박한 오지랖 인것 같습니다.

  • @wow7019
    @wow7019 5 днів тому

    요즘 세대에 대해 몰랐던 것도 알게 되고 제 생각을 좀 더 건강한 쪽으로 돌려놓았어요 감사해요

  • @user-um2rd1yg8h
    @user-um2rd1yg8h 5 днів тому +5

    패널들 하시는 말씀들 정말도움이 됩니다.특히 최명기 원장님은 정말 매번 명쾌하신것같아요.

  • @user-iv1ug6rh6q
    @user-iv1ug6rh6q 5 днів тому +17

    우리나라 명품 사랑 거의 병적. 프랑스 몇년 들어가 살때 힘들게 마련한 ****가방 들고 모임에 갔다 왠지 찜찜. 다들 멋지게 차려입고 멋진 구두 가방 들었는데 우리가 소위 말하는 명품은 아님. 여기보단 헐 싼데도 명품보단 야무지게 만든 명품 브랜드 아닌 명품 선호. 덕분에 명품 브랜드 사랑병에서 벗어남..😅

  • @user-eh4wh3jq1w
    @user-eh4wh3jq1w 5 днів тому +5

    자신만의 길을 걸어가려해도 주변에서 가만 안둘껄요?!😂 특유의 오지랖도 쳐내야함

  • @whpwh
    @whpwh 5 днів тому +2

    나 스스로 남과 비교하지 않고 살아가려고 해도 이 사회가 그렇게 만드니까 문제인데 그럴수도 더 당당하게 나아가야겠죠!

  • @user-lb9ul4yz3t
    @user-lb9ul4yz3t 5 днів тому +4

    생각이 많구 걱정이 많아서 그럼
    그냥 그런가보다~ 하면 댐
    모두 화이팅~~

  • @user-ow1fi1tc3f
    @user-ow1fi1tc3f 5 днів тому +1

    소확행 이라는 단어의 가치가 정말 중요해 지는 시대 같습니다.

  • @건강지식연구소
    @건강지식연구소 2 дні тому +1

    요약
    1. 한국인의 비교 문화는 어디에서 비롯되었을까요? : 유년 시절부터 학습된 경쟁 사회, 눈에 보이는 가치(재산, 외모, 직업 등) 중심의 사회 시스템, 남부끄러움과 과시 문화, 그리고 드라마와 같은 매체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2. 비교 문화는 꼭 나쁜 것만은 아니지만, 과도한 비교는 개인의 행복을 갉아먹습니다. 타인의 행복을 인정하지 못하고, 스스로의 행복을 평가절하하는 경향이 문제입니다.
    **비교 문화에서 벗어나 행복을 찾는 방법은?**
    3. 자기 수용: 자신이 가진 장점과 한계를 인정하고, 스스로에게 집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행복에 대한 겸손: 남들보다 행복하다고 자랑할 필요도, 불행하다고 겸손할 필요도 없습니다.
    5. 어제의 나와 비교: 타인과 비교하기보다는 과거의 나와 비교하며 성장을 실감하고 만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타인의 행복을 진심으로 축하해 주는 연습: 타인의 성공을 인정하고 진심으로 축하해 줄 수 있는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7. 열등감을 극복하는 노력: 열등감은 성장의 밑거름이 될 수 있지만, 핑계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8. 다양한 삶의 가치 존중: 모든 사람은 각자의 고유한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삶의 방식을 존중해야 합니다.
    9. 개발도상국 시절의 비교 문화와 달리, 현재는 삶의 방식이 다양해졌습니다. 과도한 비교는 더 이상 의미가 없으며, 스스로의 행복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 @SUNGAE-hq4vj
    @SUNGAE-hq4vj 5 днів тому +2

    한석준씨 인사이트 좋네요. 동의 & 동감요

  • @chutzpah7507
    @chutzpah7507 5 днів тому

    오옷 한민교수님 요새 유투브에서 자주 뵙네요~~^^ 장모님 좋아하시겠어요!

  • @user-kt6su4kp5e
    @user-kt6su4kp5e 5 днів тому +3

    19:40 요즘 젊고 어린 사람중에도 이거 못하는 사회성 부족한 꼰대가 많은데 ㅋㅋㅋㅋ
    원장님의 이런 말씀을 듣고 영상에 좋아요를 누를 수 밖에 없었습니다. 멋진 말씀입니다.

  • @user-jx2od4mz5h
    @user-jx2od4mz5h 5 дн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user-sh5tf1rb2g
    @user-sh5tf1rb2g 5 днів тому

    아 좋았습니다😂

  • @Vbn967
    @Vbn967 5 днів тому +5

    일단 인스타를 끊어야함 보다보면 무의식적으로 비교하게 됨

  • @A.tree_forest
    @A.tree_forest 5 дн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 @startrek4263
    @startrek4263 5 днів тому +6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으로 칭찬하지 말라고 외국인 친구가 충고한다. 대표적인 것이 외모. 그런 칭찬은 자신의 천박함을 드러내는 행동이다

    • @user-st4tg3bk9f
      @user-st4tg3bk9f 5 днів тому +2

      공감을 하면서도..
      딴지는 아니지만😂
      생각해보니 노래실력도 선천적이지 않나요.
      노력으로 범접할수 없는 선천적인 능력도 있는데
      그런건 칭찬해도 되는지 문득 궁금해집니다.
      어디까지 칭찬하는것이 옳은 것인지에 대한 순수한 의문점이 갑자기 드네요😊

    • @cider.
      @cider. 4 дні тому

      ⁠​⁠​⁠​⁠@@user-st4tg3bk9f근데 타고난 능력도 갈고 닦지 않으면 한계가 있으니까요. 마이클잭슨, 김연아 같은 사람들이 노력 없이 그 자리에 오른 건 아니니...

  • @jinsong3773
    @jinsong3773 2 дні тому

    한석준님의 의견에 완전 공감해요

  • @user-gz7gp3kf3y
    @user-gz7gp3kf3y 5 днів тому +6

    최명기 원장님 말씀
    너무 재미있게 들었습니다

  • @user-uj5hi7yj9l
    @user-uj5hi7yj9l 5 днів тому +1

    저도 생각에 잠깁니다 😮

  • @user-st2si9th3e
    @user-st2si9th3e 2 дні тому

    최명기원장님..공익을 위해서 개인진료 줄이시고 언론에 나와주시니 감사합니다. 언젠가 병원가서 상담받고 싶어요.

  • @user-zz1lm2pl1g
    @user-zz1lm2pl1g 5 днів тому +4

    최명기원장님 마지막 말씀 정말 용기를 줍니다

  • @mcjjsk
    @mcjjsk 5 днів тому +1

    실질적 지리적 섬나라라서
    관심사가 내부조직으로 향함
    외적자극에 소원함
    따라서 가치판단이
    내부 조직을 향하며 서로 비교함
    비교는 비슷함의 수준이 높아야 비교하는데 우리나라는 단일민족이라는 관념을 가지고 있어 서로 비슷하다고 인지함
    인구통계학적으로 다른 부분이 적어 서로서로 다르다고 인지하기 보다 같다고 인지하는데서 미세한 차이를 가지고 비교하며 자기 정체성을 가짐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제구조상 어느정도 부를 이룬 사람들도
    그 기본 구조가 약해 불안함에 비교를 하며 안정감을 갖게 되어
    불안함을 달래고자 알콜에 의존하듯 자기 위치에 대한 불안감을 달래기위해 비교를 끊을 수 없음
    여타 다른 이유를 생각해 봤지만
    이 두가지가 가장 근본적인 이유인거라 생각함

  • @hanibow
    @hanibow 5 днів тому

    마샤딕 유산소 하는것처럼 달려왔습니다❤

  • @user-tx9lt7ln6t
    @user-tx9lt7ln6t 5 днів тому +2

    울엄마가 아팠다니까,지도 아팠다고 안보인데서 그런말하니 가짜의 위로하는 사람도 있음.가짜가 판치니,가짜를 판별잘함.

  • @alexhong9492
    @alexhong9492 2 дні тому

    획일화된 피라미드 계급사회에서 끊임없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는 행위가 지금 한국의 비교 문화 입니다. 그게 유교적인 타자 중심적 사고가 결합되어 이런 문화가 극심해 졌다고 생각합니다. 가치 다양성의 회복과 개인 자존감과 권리감을 위해서는 결국 백년 대개인 교육이 핵심이네요. 물론 자아성찰로 이를 극복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 @user-zs6vs9ht5y
    @user-zs6vs9ht5y 5 днів тому

    옛날드라마는 교훈적였는데,
    요즘은,
    교훈적인면이 점점더
    변질되어져서,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 @user-tx9lt7ln6t
    @user-tx9lt7ln6t 5 днів тому +3

    타인이 비교하듯이 말하는 대화쓰니,이게 한국사회 전체 문제임!비교하듯 산적없음

  • @user-uj5hi7yj9l
    @user-uj5hi7yj9l 5 днів тому +6

    그래서 이도 저도 안되면
    은둔자가 되는 거지..
    비교 없는 동굴로 나를 인도..

    • @user-qk8oh9nj4y
      @user-qk8oh9nj4y 5 днів тому

      약간의 스트레스는 사람을 성장하게 합니다 세상을 피하고 숨는것은 자신을 더욱 힘들게 할것 같아요 ~

    • @user-uj5hi7yj9l
      @user-uj5hi7yj9l 5 днів тому

      @@user-qk8oh9nj4y 맞습니다 제가 워낙 회피로 살아오다 보니..그게 습관이 되었는가봐요

    • @user-qk8oh9nj4y
      @user-qk8oh9nj4y 5 днів тому

      @@user-uj5hi7yj9l 우리 옆에 계시지 않아도 함께 작은것 부터 도전해보요 용기 화이팅 입니다 ~~

    • @user-uj5hi7yj9l
      @user-uj5hi7yj9l 5 днів тому

      @@user-qk8oh9nj4y 감사해요 미라님~~^.^

    • @for_what_or
      @for_what_or 4 дні тому +1

      너무 스스로를 은둔자라며 자책할 필요는 없을것 같아요 :)
      혼자만의 취미와 휴식등으로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하게 살아가시는 분들 생각보다 꽤 많습니다.
      그러다 보면 새로운 인간관계가 생겨나기도 하고, 때론 과거에 비해 더욱 성숙된 관계가 생겨나기도 합니다.
      그리고 꼭 관계라는걸 항상 인간에게서 찾을 필요는 없기도 하죠
      자연,동물,식물,환경,깨달음,사색,아이디어,관찰행위,현상 등등과 본인 스스로의 관계성을 생각해 본다면 오히려 인간관계에 대한 집착을 다소 내려놓고
      스스로와 세상 그 자체의 관계 가능성에
      새로운 희망과 설레임이 생겨나기도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의 본인과 앞으로 정서적으로 건강해질 미래의 본인과의 의미있는 관계형성이 실현되시길 진심으로 응원 합니다. :)

  • @user-qb9ok3fg8h
    @user-qb9ok3fg8h 5 днів тому +2

    감사합니다 선생님

  • @popopopopopopo555
    @popopopopopopo555 5 днів тому

    참 힘들어요
    벗어나려고 노력해도 주변 사람들 모두가 비교 경쟁 중입니다....
    쫌만 기준에 어긋나도 뒤에서 까내리고...
    그런 꼴을 안 당하려고 자꾸 또 비교하고 있는 내가 참....

  • @oksunbank8721
    @oksunbank8721 5 днів тому +3

    제가 제일 싫어하는 인사말, "이뻐졌네요"

  • @2004ok
    @2004ok 5 днів тому

    독실이❤❤

  • @user-sv4bj4bl3m
    @user-sv4bj4bl3m 2 дні тому

  • @bellyung2560
    @bellyung2560 5 днів тому +2

    비교하는 불안심리 이용해서 먹고사는 거대한 학원시스템. 교육이란게 있나 이 나라에서

  • @pretty9489
    @pretty9489 3 дні тому

    아나운서형님이 제일 전문가네

  • @user-pw6tg5lo8n
    @user-pw6tg5lo8n 5 днів тому

    좋은말씀들 너무 감사합니다
    제생각이지만 입시제도부터 봐꿔야되지 않나? 싶어요
    예를들어 나는국영수는 못하지만 그림을 잘그리는데 그래서는 갈수 있는 대학은 없죠
    앞으로 인구가 줄어드니까 경쟁할 상대가 없어질테니 이문제도 해결되려나요....

    • @user-ny1vh3cw8c
      @user-ny1vh3cw8c 4 дні тому +2

      그림을 잘그리는데 대학을 왜가요? 대학안가도 성공할수있는 방법은 널렸는데

  • @CheriYoon5871
    @CheriYoon5871 6 днів тому +1

    천칭 ⚖️ ♎️ ⚖️

  • @park2340
    @park2340 5 днів тому

    유목문화 같으면 거의 비교할 건덕지가 없는데 농경문화에서는 농사를 지으면서 주변의 이웃들과 항상 교류를 해야 하는 삶의 문화가 비교를 하는 바탕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비교-> 비굴하던지, 교만하던지... 비교의 폐해는 이렇게 비굴과 교만.. 말고는 다른 자극은 없는 것 같아요. 태어나서 깔깔거리고 웃고 뒹굴기 시작하고 일어나고 어린이집에 가기 전엔 비교의 대상이 없다가 그때부터 계속 옆의 아이와 비교가 되고 또 비교를 하는 습성 탓에 수명이 다하는 그날까지.. 비교의 연속이죠.. 자본주의 바퀴가 화끈(?)하게 굴러가게 하는 것에는 큰 역할을 하지요...

  • @CheriYoon5871
    @CheriYoon5871 6 днів тому +6

    벤츠 실엉 😮 난 걷기가 좋아 👌 😅

  • @hgpkkw
    @hgpkkw 4 дні тому +1

    걍 타고난 종특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전생에 지은 죄가 많아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다시 태어나는 수밖에 없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Nojaminseng
    @Nojaminseng 5 днів тому +2

    남이랑 비교하지말고 과거의 나랑 비교해서 성장을 이끌어야 행복해짐 너무 남을 과하게 경쟁상대로 삼아서 항상 열등감이랑 타인에 대한 무례함이 심함 개인이 달라져야 사회 분위기도 달라 질텐데 왠만한 사회집단가면 항상 스트레스 받는게 누군가가 라이벌로 생각하고 경쟁하여들고 남을 깍아내리려하는 분위기가 스트레스임

  • @10caf
    @10caf 5 днів тому +2

    25살까지 한국에서 살면서 대학 중퇴에 회사 이지메, 남의 실수로 영창갈 뻔했던 군대 경험 때문에 정말 괴로운 일을 많이 겪었는데, 일본 와서 일본인들이 나같은 한국에서 도망쳐 온 존재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해주는 말을 자주 듣다보니 영원히 일본에서 살기를 결심했음. 일본에도 물론 ㅈㄹ하는 ㅁㅊㄴ이 많지만 최소한 한국보다는 적다고 느낌. 이것도 내가 한국인 출신이라서 한국인과 일본인을 비교하는 거겠지.

  • @adelrico3291
    @adelrico3291 5 днів тому +3

    유교의 나쁜점만 남음

  • @tooth3648
    @tooth3648 5 днів тому +2

    내적자아가 없음
    책도 안 읽음
    물질 돈돈돈만 추구

  • @amelie6844
    @amelie6844 5 днів тому +2

    좁은 땅덩이에 자원 없이 오직 노력으로만 성공이 가능했던 나라..엄청난 교육열과 경쟁..그 환경과 sns가 추가된 슬픈 자화상이 대한민국의 현실..자기 자신에 집중하며 살면 될텐데 불행을 자초하네요

  • @hgu1010
    @hgu1010 5 днів тому +2

    시간이 갈수록 나이든 사람들은 비교밖에 할 수 있는게 없으니 더 심해질듯.

  • @gksskarhcnwkrek
    @gksskarhcnwkrek 4 дні тому +1

    한평생 적은 돈 벌면서 고생하시던 할머니들도 7000만,1억 기부하시더라.. 연봉, 모은 돈이 중요한게 아니라 남들 다 하는 소비 안 하고 꾸준히 벌기만 하면 굶어 죽지는 않는거 같다..

  • @noon9333
    @noon9333 5 днів тому +3

    한국은 나르시스트, 소시오패스 등
    성격 장애자들을 양성해내는 환경 같습니다.
    다들 요즘 저 두 성격장애자들을 경계하고 미워하는데 그런 사람들은 보통 살기 위해 심리전략을 폐쇄적인 방향으로 선택했기 때문에 나르시스트, 소시오패스가 됐던 거라고 생각합니다.

  • @user-lc3ke2ei6s
    @user-lc3ke2ei6s 5 днів тому

    자기가 상대방보다 잘하는게 있으면 너두 해라 피곤함. 또는 나에겐 있는데 상대방이 없거나 안되는건 비난함.

  • @chois7846
    @chois7846 5 днів тому +3

    인생의 가치관이 확립되는 학창 시절부터 존나게 줄세우고 비교해대는데 남들과 비교하지 않고 스스로 자존감 가지고 사는게 가능함?? ..
    물론 그중에 알아서 깨닫고 살아가는 사람도 있겠지만, 지금 환경에서 그러기 쉽지않은게 현실임

  • @trinkay345
    @trinkay345 4 дні тому

    근데 이게 잘 안 고쳐지잖아요. 그런 사람들이 만들어져서 그런 건데 안 그런 사람들이랑 만나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