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D 시대의 끝이 도래했다. (??? : 하.하.하.하.하.하.하.)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лип 2023
  • ??? : 하드 시대의 끝이 도래했다. 하.하.하.하.하.하.하.
    SYSTEM : SSD가 미쳐 날뛰고 있습니다.
    #HDD #SSD #멸망 #다나와
    ▶가격정보
    다나와에서 SSD 가격 비교하기
    prod.danawa.com/list/?cate=11...
    기획 / 송기윤 iamsong@cowave.kr
    편집 / 임욱빈 iamsong@cowave.kr
    (c) 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m
    ▶구독하기 bit.ly/2s8JmD1
    Presented by 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Наука та технологія

КОМЕНТАРІ • 415

  • @Neffercara
    @Neffercara Рік тому +98

    HDD를 NAS용 하드로만 산지가 벌써 10년은 다 되어 가는거 같네요.
    진짜 이런거 보면 삼성이 하드사업부 매각한 게 떠오르는데 정말 멀리보고 사업한다는게 느껴집니다.

    • @GosariMatjip
      @GosariMatjip 11 місяців тому +13

      삼성도 덤볐다가 궤도 오르지도 못하고 망한 사업도 많아요. 하드 매각보고 멀리 본다라고 하기엔 결과론인것들도 얼마든지 있죠. 다만 실패보다 성공이 더 많고 큰 성과를 냈으니 수십년간 우상향인거

    • @kanadara0839
      @kanadara0839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냥 중국 물량때문에 그런걸로 알아요

    • @kyle__kim
      @kyle__kim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홍수나서 하드값 두배세배 떡상했을때가 떠오르는데... 그뒤로 쭉 하향세

    • @user-xc7bl8xp4r
      @user-xc7bl8xp4r 11 місяців тому +7

      @@kanadara0839 중국은 하드만들지도 않는데 뭔 중국물량이에요..

    • @kanadara0839
      @kanadara0839 11 місяців тому

      @@user-xc7bl8xp4r ? 제가 어디 영상에서 물량때문에 매각해버렸다고 들었는데 중국이 안만든다고요??
      그,럼 어디가 최대 생산국인건가요?

  • @snicus76
    @snicus76 Рік тому +78

    HDD 나왔을때 테이프 저장장치가 없어질 줄 알았는데, 서버용으로 여전히 잘 쓰이고 있듯이, HDD도 상당히 오랜시간동안 존속할 겁니다.
    그리고 SSD는 HDD에 비해 베트섹터가 잘 발생하고, 자칫하면 복구불가능한 자료손실을 입을 수 있으며, 가격이 훨씬 비싸죠.
    HDD는 자주 꺼내쓰지 않는 자료들을 저장하는데에 있어서는 가성비가 최고입니다.

    • @Towhgdk
      @Towhgdk 12 днів тому

      가격은 항상 중요하고, 그 안에서 모두 확실한 장단점을 가지고 있네요. 제가 외장으로 쓰던 HGST 하드도 USB 2.0~3.0까지 SSD보다 호환성이 좋았어요.

  • @lol-di3tf
    @lol-di3tf 10 місяців тому +22

    SSD가 하드를 그나마 대체할려면 적어도 8테라 가격이 $150에 나올 수 있어야 합니다. 문제는 SSD는 2테라만 해도 $140급이라 용량 대비 굉장히 비싸거니와 이마저도 안정성과 수명 때문에 기업이면 몰라도 개인이나 소규모 업체가 백업할려면 HDD가 여전히 주력일 수 밖에 없습니다. 레이드를 구성할려고 해도 저장장치가 여러개 필요한데 SSD는 용량 대비 가격이 비싸고 24시간 지속적으로 돌리다간 수명이 팍 줄어들겁니다. 작업자들에겐 굉장히 민감하죠. 무엇보다도 백업이란 적어도 3개 이상의 저장장치가 필요한데 사실상 3배 이상 들어갑니다. 즉, 8테라짜리 HDD를 8개로 레이드를 구성하면 백업을 위해 해당 시스템을 다른 곳에 2개 더 구축해야 한다는 얘깁니다.
    결국 용량 대비 가격에서 여전히 뒤쳐지고 장시간 작동시 신뢰성 및 안정성은 아직도 입증되질 못한 상태라 NAS급 8TB SSD를 $150에 구입할 수 있는 시대가 빨리 오지 않는 이상 HDD는 계속해서 존재할겁니다. 무엇보다도 HDD는 물리적으로 파괴되어도 어느정도 복구할 수 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죠.

    • @eterunazepy
      @eterunazepy 10 місяців тому

      ㅇㅈ합니다 8테라가 200불만되도 살만한데 아직은 부담되서 nas용 하드만쓰고있어요

  • @user-kp4sr2sg6s
    @user-kp4sr2sg6s Рік тому +30

    좋은 비교 잘 봤습니다.
    SSD는 부트 및 프로그램 실행용으로 쓰고 있고 HDD는 백업용으로 씁니다. 하는 일이 사진/영상 작업을 하다 보니 이미 오래전부터 그렇게 했는데 점점 카메라 화소수가 늘어나면서 데이터가 커지니까 그렇게 가게 되더군요.
    1993년에 80MB/120MB (오타 아닙니다) 하드 사러 용산을 돌아다녔던 때가 엇그제 같은데 30년이 지난 지금은 8테라를 기본으로 그때보다 더 싸게 사니까...(당시 80MB가 16-18만원 정도 했거든요)
    당시 IDE 방식의 속도까지 생각하면 정말 엄청난 발전입니다.

  • @ZETA_
    @ZETA_ 11 місяців тому +30

    _하드디스크의 조상격인 테이프 드라이브도 현재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테이프 읽는 기기의 가격이 비싸서 개인용 보다는 기업용으로 주로 사용됩니다._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테이프등 가격이 고가라서 사용하는게 아니라 저장용량과 수명이 길어서임... hdd 안 쓰면 리튬전지처럼 얼마나 수명이 갈거같음요.... 리튬전지보다 수명이 10년이나 보관해도 전지소모가 안돼는게 있음 왜 안쓸까요... 그때가 바로 가격임....

    • @John-sj5sk
      @John-sj5sk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혼자 이상한소리 ㅋㅋㅋ

    • @1109rna
      @1109rna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지금도 사용되고 있는 테이프저장장치는
      다른나라는 거의 사용안하지만 니뽄 만 사용하는 카세트테이프랑
      우리나라도 사용중인 LTO테이프가 있지요

    • @park9860
      @park9860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아..그거 방송국에서 대량으로 쓰던데

    • @게임하는꼬마초밥
      @게임하는꼬마초밥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John-sj5sk 왜그러니

  • @kkonpyu
    @kkonpyu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깔끔한 정리 감사합니다! ㅎㅎ

  • @brianlee1012
    @brianlee1012 11 місяців тому +17

    아직은 테이프 드라이브도 백업용으로 쓰고있는 상태죠. SSD가 빠르고 좋긴한데 뻑나면 복구가 아직은 거의 불가능하다봐도 틀리진 않죠. 언젠가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하드가 테이프 백업이나 시디롬처럼 사라지는 날이 오겠지만 회사는 상당히 오래 사용할 듯 합니다.

    • @user-rp3ln4fr3f
      @user-rp3ln4fr3f 11 місяців тому

      백업용으로 보관한 백업시디들은 있는데 시디롬이 없음...
      시디롬은 없는데 사용 못한 공DVD가 그대로 있내요... 멀쩡한거 버리긴 아깝고... 사용은 안하고 딱 계륵입니다.
      아니 사용한다고 처러 CD플레이어 라던가... DVD 플레이어가 사라진 세상이라... 백업용 말고는 의미가 없는데... 백업마저 외장하드가 편하고 저렴함...

    • @user-tr9fg2ok4k
      @user-tr9fg2ok4k 10 місяців тому

      @@user-rp3ln4fr3f 이만원쯤이면 외장드라이브 구입 가능할건데요

  • @user-wk3jg2sh7f
    @user-wk3jg2sh7f Рік тому +45

    SSD는 윈도우 게임 설치용
    HDD는 야동보관용

    • @Silver_Yull
      @Silver_Yull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난 틀리지 않았다..

  • @user-cq2tj9uc7x
    @user-cq2tj9uc7x 11 місяців тому

    늘 좋은 영상을 제작해 주셔서 정말 감사드려요.

  • @investor1691
    @investor1691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댓글들 보니 중요한 자료를 SSD에 저장해 놓으면 안 되겠다는 걸 배웁니다. 수명, 뻑났을 때 복구불가, 오래 보관시 데이터소실 등등...
    SSD는 부팅이나 프로그램 실행 용도로만 쓰고 주요 데이터 저장공간은 하드디스크를 써야겠네요. 그런면에서 하드디스크의 수요는 계속 이어질 것 같습니다.

  • @spongee22
    @spongee22 11 місяців тому +10

    하드 8테라 두개를 대체하려면 4테라 4개를 사야하는데 가격이 개당 대략 30만원... 4개면 120만원... 하드를 포기 못한다

  • @sosiband
    @sosiband 11 місяців тому +9

    ssd는 트림기능이 작동하면 데이터 복구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장기간 보관하려먼 하드를 계속 써야 합니다

  • @user-zp5ku8bi7l
    @user-zp5ku8bi7l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개인용 시장이랑 기업용 시장으로 완전 양분되어서 HDD는 앞으로도 꽤나 오랫동안 유지될겁니다. 네트워크의 발달로 개인들은 데이터, 특히 멀티미디어 관련 데이터를 PC에 저장할 필요가 점점 사라지지만 그 서비스를 하는 기업은 기하급수적으로 그 용량을 늘여나가야 하는데 LTO 같은 경우 용량은 어마어마 하지만 속도가 안 좋은 쪽으로어머어마하죠. 그나마 대안이 아직은 HDD 밖에 없죠. 클라우드 서비스에서도 스토리지 서비스 속도에 따라서 과금을 달리 하지만 아직은 HDD가 가성비가 제일 좋죠. 즉 개인용은 수요가 떨어지지만 기업용으론 아직 많이 팔릴겁니다.

  • @sosomi8095
    @sosomi8095 11 місяців тому +25

    업계종사자로서 제목어그로에 끌려와봤는데...소매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다나와의 마케팅의견으로는 개인 PC시장의 트렌트를 적절히 반영한 의견이라 생각됩니다. 다만 data증가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가는 세상이기 때문에 그것을 모두 SSD로 대체하면 비용과 안정성이 아직은 HDD필요한 부분이 있어서 진정한 HDD시대의 끝은 walkman (tape)에서 ipod (mini HDD -> NAND) 혹은 iphone (network)같은 혁신이 일어나지 않으면 당분간은 길게 갈것으로 보입니다.

  • @pnix8586
    @pnix8586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오랫동안 담아두는용도로는 하드가 아직 수요가 있긴하져.하지만 자주 pc나 디바이스에 물려서 쓰면 ssd.
    Ssd에 자료 담아서 오래두면 날아갈수 있습니다...조심하세요

  • @UnKnownSatellite
    @UnKnownSatellite Рік тому +9

    하드는 이젠 서버용도나 보안 용도로 많이 쓸 것 같고 일반 가정컴들은 ssd만 잔뜩 설치할듯 ㅋㅋ

  • @kionz0
    @kionz0 Рік тому +5

    그래도 아직 데이터를 장기보존 혹은 잦은 삭제 및 설치가 필요한 자료들은 하드가 더 좋긴 하죠.
    이제 스스디와 하드 사용용도가 구분된 느낌.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місяців тому

      요 세가지는 충분이 오래갈거 같아요^^ 테이프에 용도변화에 hdd, hdd에 용도변화에 ssd^^ 딱 이 세가지는 정말 큰 변화 없으면... 나스나 클라우드는 무조건 온라인이라는 인테넷 매체가 있어야 하지만 스타링크등 정말 장소 구애안 받고 사용할 날이 올수 있을까도 의문이구요....

  • @narl11huk
    @narl11huk Рік тому +1

    사진촬영해서 대용량이 필요한데 보관은 hdd에 하더라도 작업용으로 용량 큰 sata3 ssd가 좀 있었으면 좋겠더라구요.

  • @jung7041
    @jung7041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지금 8TB 하드가 15만원선 , 2TB SSD가 10~15만원선이네요. 가성비로 보면 8TB 하드하나 백업보관용으로 쓰고 본체는 SSD로 쓰는게 낫다고 봅니다.

  • @Windflowerize
    @Windflowerize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기업 서버쪽에서는 여전히 hdd가 대세입니다. 사용자 데이터는 계속 폭발적으로 증가하죠. 안정성을 ssd가 못따라갑니다. 개인용 pc 시장보다 기업용 시장이 훨씬 더 커요. 하드 업체 당분간 문제 없을거에요.

  • @LikeWoz
    @LikeWoz Рік тому +20

    HDD나 자기 테이프는 자료가 최대 30년 정도까지 보존이 됩니다. 단순히 속도로만 비교할수 없는 보존력이 있어서
    터입 드라이브가 사라지지 않듯이 대용량 고속 자료 검색과 보관용으로 생존할듯 합니다.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근데 hdd는 몇년만 써도 고장나지 않나요?^^ 테이프랑 다르게요^^ 테이프는 정말 장기보관에 특화죠....

    • @consciousness7899
      @consciousness7899 11 місяців тому

      예전 국가기관은 전부 삼성 HDD였는데 진짜 벽돌된게 너무나 많았음. 그리고 2000년 초기때부터 2006년정도 그때 까지 나왔던 하드들도 뻑이 많이 났습니다. 2010년 이후로는 제가 무리하게 쓰지 않는것도 있지만 고장이 하나도 안남. 대부분 WD이고 시게이트 1개

    • @user-wl8wk9ln4u
      @user-wl8wk9ln4u 11 місяців тому

      ssd도 자료 보존을 위해서 ssd 한개마다 수은 전지 하나씩 박아 주면 좋겠어요

    • @user-hoodd
      @user-hoodd 10 місяців тому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09년도 lg하드가 아직 돌아가네요

    • @user-th6zz5ee9i
      @user-th6zz5ee9i 10 місяців тому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HDD는 고장나도 안에 플레터는 살아있기때문에
      자석을 들이대지 않는 한 데이터는 99%복구됩니다...

  • @yuzana4292
    @yuzana4292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경쟁이라고 하기도 좀 애매한게 hdd는 이미 데이터 저장용으로 포지션 변경 된지 꽤 됐으니까.. 시스템을 hdd에 설치하는 사람은 없잖아요. 특히나 야동 매니아인 저한테 1tb는 배우 한명 작품도 다 담지 못하기에...

  • @user-rw1he1hb5p
    @user-rw1he1hb5p 11 місяців тому

    저는 요새 팬리스 시스템 구성하느라 HDD 안 쓰려는 추세고요. HDD 쓰더라도 외장하드로만 쓸 생각입니다. 그리고 외장하드조차 이젠 슬슬 외장 SSD 쓰기 시작한 추세죠 ㄷ

  • @magnum1062
    @magnum1062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얃옹 저장할 때는 SSD로는 감당이 안됩니다. 4K급 얃옹 영상 하나가 20~30GB인데, 이걸 SSD에 몇 편이나 저장할 수 있을까요. 아직까지는 대용량 데이터 저장은 HDD만한 것이 없어요. 흑흑

  • @eterunazepy
    @eterunazepy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nas용 8~10테라 구매해서 쓰는지라.. 아직 고용량으로가면 많이 부담됩니다. 아직은 대용량 파일 저장용으로는 어쩔수없이 hdd써야되요

  • @zjaaosi
    @zjaaosi Рік тому +7

    최소한 100테라 hdd 가 출시할때까지는 장수 할것 입니다. (낸드칩 보다 저렴한 가용비 + 데이터 복구 가능)
    일단 시중에 유통 되는 HDD 의 가장 높은 용량이 22테라 이니 78테라 더 올라 가야 겠네요.

    • @user-wl8wk9ln4u
      @user-wl8wk9ln4u 11 місяців тому

      하드의 용량은 거의 무제한으로 할 수 있다던데 안만들어 내네요

  • @sevenstarperfect3704
    @sevenstarperfect3704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최근 하드가 많이 스스디에 밀리기 시작한 게
    어느 시점부터 하드디스크 용량과 가격이 정체기임.
    이에 반해 테라급 스스디는 엄청 싸게 나오기 시작했고
    하드가 살아남으려면 20테라 30테라 짜리가 나와야 하는데..

    • @jagdishsama4085
      @jagdishsama4085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2030은 물리적으로 너무 구현어려워 서 근미래에 사람들은 4tb sdd 를 많이 살거 같네요

    • @pastatuna2557
      @pastatuna2557 10 місяців тому

      20테라짜리 hdd 있어요 비쌀뿐이지.

    • @cba7215
      @cba7215 10 місяців тому

      B2B로 가면 됨 애초에 B2P는 얼마 안남는 장사였다고 나오잔슴

  • @availerz
    @availerz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과장님 팬입니다.ㅋㅋㅋ 너무좋아요!!!ㅋㅋㅋㅋ

  • @many881206
    @many881206 Рік тому +1

    기업용으로는 테이프가 있어서 하드의 장점이 좀 바래지 않나 그렇게 생각하는데, NAS용으로는 하드가 어떻게든 살아남을 것 같기는 하네요. ㅎㅎ...

  • @playground_puzzle
    @playground_puzzle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Ssd 는 생각보다 수명도짫고 전원없이장기보관하면 데이터가사라지는이슈도있고.. 아직안정성은 좀 멀었죠..

  • @user-bv5uz9yu4k
    @user-bv5uz9yu4k 10 місяців тому

    HDD SSD 다 사용하지만 그래도 메인으로는 SSD지만 보관용으로는 아직 이르지 않나 싶네요. 더불어 가격 비교가 1테라인데 솔직히 보관을 해 하는 분들이라면 보통 4~8테라 정도 기본으로 깔지 않나요? 이번에 새롭게 컴 구색을 조절하면서 SSD로 10~15테라정도 보긴 했는데 SSD 아직은 보관용이라기 보다는 구동용이라는 생각이 더 들던데요. 1테라에서도 가격이 더블 스코어인데 더블이면 좀 이르지 않나 싶어요.
    1.2~1.5정도면 모를까? HDD가 확실히 느린면이 있으니까요. 그런데 문제는 느려봤자 보관용은 말씀하신대로 안전성이나 용량이 중요하지 속도는 그다지 많이 필요한 곳이 아니니까요. 근데 케이스들은 HDD 백업용으로 제공하는 베이가 많이 안 보이더군요.
    컴퓨터 본체로 안되고 추가 제품을 구입을 유도하는 방식 같아 보여요.

  • @Ruliling
    @Ruliling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고용량 하드 하나쯤은 달아놓고 백업용도로 써야 안심이 됨. SSD는 1~2년새 그런건 아니라도 좀 연식이 되다보면 예고없이 쥭는 경우가 꽤 돼서 불안하긴 헙니다.

    • @bada9894
      @bada9894 3 місяці тому

      제품소개란의 TBW 수치를 보면됩니다
      디스크 정보보는 프로그램도 깔구요

  • @user-jc7nk7qq1f
    @user-jc7nk7qq1f 3 дні тому

    대용량 저장으론 아직 hdd를 대체하는게 없어서 sdd가 대용량 낮은 가격대로 내려오지 않는 한 hdd는 절대 죽지 않을거 같습니다. 너무 비싸요 ㅠㅠㅠㅠ

  • @sangbongdongNABI
    @sangbongdongNABI Рік тому +15

    SSD 자료 휘발 경험하고 나서는 자료 보관 때문에 HDD를 포기 못하겠어요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절대 이 2중백업 포기 못하죠 자료 날라가 보면 암...아 그 시간 자금투자... 이건 어디가서 겉으로 보이는것도 아니라서.... 공감도 안해줌.... 그 자료가 아무리 쓸데없는것이라도... 내가 꼭 쓸때 없다면....

  • @user-cp5bc2sc6i
    @user-cp5bc2sc6i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하지만.. 야동이 있어서.. 하드는 여전히 쓰일겁니다. 소위 말해 킬러 컨덴츠가 있기 때문에..

  • @user-xw4wy6yo4h
    @user-xw4wy6yo4h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hdd가 아직은 유용한게 개인 용도로 쓰더라도 자료 백업은 무조건 hdd에 해야하죠. ssd는 1년 내외?(정확하지 않음)로 방치할 경우 자료가 날라갑니다. 아마 오래 방치한 usb나 ssd에 저장한 자료가 없어져서 고장난건가 생각했는데 포맷해서 써보면 정상 작동하는 경험해보신 경우 있을거에요. 그리고 큰 기업체가 아니더라도 nas 구성해서 쓰는 경우도 있구요. ssd는 근래에 가격이 팍팍 떨어져서 좋은데 hdd는 가격한계점에 온거 같아서 아쉽긴해요

  • @funthink007
    @funthink007 10 місяців тому

    Ssd는 고장났을때 데이타복구가 되나요

  • @jamesmillerjo
    @jamesmillerjo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HDD 스윗스팟은 최소 8tb 이상 아닌가? 그 위 범위는 비교 안함?
    HDD의 '주 사용용도' 를 '이런 쓰임새도 있다더라' 수준으로 짚고 넘어가니까 비교가 엉망이 되는거지
    전체시장의 절대다수인 라이트유저한테 SSD1장만 박아주는게 기본이 된 이상 판매량 비교는 의미가 없는데 그걸 가지고 나오는것도 이해가 안가고.
    다른 목적으로 분화가 되기 이전 HDD가 이것저것 역할을 다 맡던 조선시대 기준으로 '이만큼 쇠퇴했다' 라고 하는게 무슨 의미가 있음?
    SSD가 대용량 제품 안내놓고 1~2TB에서 버팅기고 있으니 HDD가 위협을 안받는거임.
    몇년전만 해도 금새 무어의법칙대로 4TB 8tb 16tb 제품 컨슈머용이 우루루 나올줄 알았는데 어림도없지. PCIe gen만 늘려가면서 쿨링돼지가 되어서 이젠 속도 희생 안하곤 M.2폼팩터 안에 4배 8배씩 적층 절대 못하는 수준에 도달했음. 속도 느리고 용량만 많고 발열 간당간당한데 칩마진도 낮은 제품을 내겠음? 그리고 내봤자 판매량이 저용량제품들 대비 얼마나 되겠음?
    ssd나 hdd 서로서로 수익성 낮은영역에 아예 발을 안들이면서 피해다니는중임.

  • @user-zj3mp3ie4u
    @user-zj3mp3ie4u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시게이트 wD 꺼 추천하기 좀 그러네요 삼성 또는 SK 하이닉스 꺼 사세요 넘버원 넘버투 또는 차선책 마이크론 꺼 추천

  • @user-er1te3ex6g
    @user-er1te3ex6g 10 місяців тому

    이렇게 ssd가 하드디스크와 비교해서 차이가 없을 정도로 싸졌는데 하드디스크 같이 자료 저장용으로 활용해도 될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하드 디스크는 5년 6년도 쓰는데 ssd는 평균 수명을 몇년 정도로 보나요?

    • @kjy128
      @kjy128 10 місяців тому

      ssd가 안정성이나 수명은 하드보다 떨어짐 그리고 가격도 1tb까지나 이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떨어졌다는거지 그 이상으로 가면 하드랑 비교하는게 의미없을정도로 가격이 올라감 저장하는게 사진이나 영상처럼 고용량이면 가격이랑 안정성때문에 어쩔수없이 하드고르게 되어있음

    • @kjy128
      @kjy128 10 місяців тому

      그리고 반도체메모리 특성상 ssd는 장기간보관시엔 데이터가 날라갈 가능성이 큼 년단위면 무조건이고
      반면에 hdd는 자기저장장치라 데이터가 날라갈 걱정 안해도 됨

  • @user-er3fk5qs7b
    @user-er3fk5qs7b 4 місяці тому +1

    데이타 저장엔 하드가 필수죠. SSD는 용량 큰거 지웟다 쓰다 반복하면 수명 확 줄어듦

  • @sgchoe4806
    @sgchoe4806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맥킨토시 Time Machine 이나 윈도우 File History 같은 백업 기능 사용할 때 전용 드라이브로 HDD 사용합니다.

  • @4D-HUMAN
    @4D-HUMAN 11 місяців тому +8

    걱정 마세요.
    하드가 사용되어야 할 분야에서는 대체 불가능하니까요.
    특히 중요 자료는 SSD에만 저장하고 있다가 문제 생기면
    복구가 어려운 상황이 됨.

    • @user-tf9bu1qk8v
      @user-tf9bu1qk8v 11 місяців тому

      하드 사용 분야는 다른 방향으로 생겨서 대체 가능함

    • @simonpark7342
      @simonpark7342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의외로 B2B용도로는 그래서 SSD가 더 맞습니다. 중요한건 서버에 저장하면 되니까요.

    • @whohoo2339
      @whohoo2339 3 місяці тому

      @@simonpark7342 그 서버 저장소가 HDD....

  • @yongyong8275
    @yongyong8275 11 місяців тому

    보조저장장치가 고장이 났을 경우 복구율은 아직까지 하드디스크가 좋고, 백업용 안정성은 m.2가 잴 안좋고 2.5인치 SSD 그다음이 하드디스크라고 봅니다. 그래서 데이터백업용은 D드라이브는 하드디스크 아직까지는 회사에서 많이 쓰구요. C드라이브는 SSD 꼽는 형국입니다. 그리고 대부분 인터넷쇼핑몰에서 구매할때는 m.2 nvme나 2.5인치 SSD 장착만 하지.. 하드디스크는 가격도 비싸고
    그래서 대부분 장착은 안하고 컴퓨터수리점에서 컴퓨터수리하면서 하드디스크 중고로 장착하는편이예여.. 근대 500기가짜리 중고나 1테라 많이 껴요.

  • @user-gw3qu1gg4o
    @user-gw3qu1gg4o 11 місяців тому

    장기간 보관 할때는 그나마 하드가...
    평상시 사용할때는 ssd
    SSD에 몇 년 동안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 @REDSTAR-009
    @REDSTAR-009 Рік тому +1

    아직 백업용으로 6T 8T 쓰고 있지만.. SSD가 4T 이상 가격 경쟁력 있게 나오면 바꿀 의향 있음..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місяців тому

      그렇게 돼면 개인적 기준으로 10테라는 가야됌.... 그래야 3,4개 쓰고 바꾸고.... 레이어드 하고.... 외장ssd케이스에 넣어서 썬더볼트 포트에 테라바이크 기준 고속 자료 이동복사하구요....

  • @user-uu6wd5hs6s
    @user-uu6wd5hs6s 5 місяців тому

    얼마전에 컴퓨터를 맞췄는데 케이스 자체가 하드가 없는걸로 나왔더라고요.... 그거 보면서 좀 놀랬던 기억이...... 조금 더 지나면 하드 부품이 더 비싸가지고 가격 경쟁력이 밀릴거 같네요.....

  •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 Рік тому

    난 백업용으로 하드 용량 큰거 하나 가지고 있고 대부분 ssd인데 하다그 오래되다보니 요즘 사는 ssd가 하드 용량을 넘어서려고 함. 백업은 중요한 부분이라서 하드에 해놓긴하는데

  • @jsjang3720
    @jsjang3720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그리고 위에 저거 잘 못 된 예시 입니다.
    1TB 끼리 비교 할 것이 아니라
    가격 끼리 비교 해야죠...
    8TB 15만원 돈 입니다.
    15만원으로 SSD 몇 TB를 구매할 수 있나요?
    "가격"으로 비교 해야 하죠...

  • @user-iw3vu6ux7f
    @user-iw3vu6ux7f Рік тому

    ssd에 담기는 좀 그렇고 그렇다고 없어서는 안되는 프로그램 설치파일 같은 경우는 몇몇 프로그램이 nas용 네트워크 hdd를 인식하지 못하더라고요. 그래서 nas에서 그대로 설치할때 오류를 뿜어서 컴으로 옮겨야하는 불편함이 있어서 컴터에도 hdd가 1개 들어가 있네요. 근데 이거 너무 거슬려서 빼고싶은데 못뺌...

  • @danielcho9305
    @danielcho9305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hdd가 없어진다는 말은 저장매체에 대한 잘못된 이해 같네요!
    개인용 pc에서는 사라질 수 있을 수 있지만,
    대용량 저장매체로서의 지위는 아직 유지할 겁니다.
    지금도 자기테이프를 쓰고 있읍니다.
    하드디스크도 자신의 영역이 있읍니다.

  • @eelee6056
    @eelee6056 Рік тому +3

    HDD는 이제 야동 저장소 말고는 의미없지 않나?
    HDD진짜 답답해서 못쓰겠어.

  • @daveneo1246
    @daveneo1246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일반 소매용으로만 보면 요즘 누가 하드쓰나 싶겠지만
    8K 영상, 사진 등 점점 고화질 미디어가 저장되고
    AI 기술 활성화로 빅데이터 시장도 커지고
    스마트폰등 개인용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의 백업
    통신속도 증가로 시간당 저장되는 데이터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수요는 거의 빅뱅으로 가고 있는데
    이걸 SSD로 커버 하기에는 비용과 공급의 한계가 있죠.
    지금은 100테라 하드가 필요할까 싶어도 그게 나올 때 쯤이면 그걸 다 채우고도 남을 데이터가 돌아다닐 겁니다.

  • @4th_criminal
    @4th_criminal 10 місяців тому

    스스디가 4테라 이상은 안나오지 않나? 하드 없어지면 nas는 뭘로 넣게?

  • @user-kv5qc8wn1i
    @user-kv5qc8wn1i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야동을 안전하게 저장하려면 HDD가 꼭 필요합니다
    SSD는 재수없으면 복구 불가능할 정도의 기능 이상이 생길 확률이 HDD보다 높기 때문이죠

  • @Den-hh1mk
    @Den-hh1mk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저는 1년 전까지만 해도 512GB SSD+2TB HDD를 썼는데 CPU랑 메인보드를 바꾸는 김에 1TB SSD 2개로 바꾸고 나니까 하드 소음이랑 폴더 들어갈 때의 딜레이가 없어져서 너무 좋더군요. 2TB 하드는 인클로저에 집어넣고 백업용으로만 굴렸는데 그마저도 외장 SSD를 지르고 나니 필요가 없어져서 창고에 넣어버렸습니다.

  • @user-kt8hu2ev6d
    @user-kt8hu2ev6d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아직은 HDD는 짱짱한듯요~! SSD 가격이 더 떨어지지 않는 한 돈 많은 사람 뺴곤 컴터 대용량 저장공간으로는 아직까지는 HDD(8테라)가 가격대비 좋은 듯 하네요.

  • @suzuyuki1097
    @suzuyuki1097 Рік тому +2

    바로 어제 스스디 구매했더니 이런영상이 올라오네

  • @sungil2003
    @sungil2003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도 하드는 자료 저장용으로 쓰고 있네요... ㅎ

  • @sdtown
    @sdtown 10 місяців тому

    심지어 중국산 SSD(킹다이안 등 킹 붙는 브랜드들), 아마존 직구 SSD(킹스톤, PNY 등)나 국내에서도 기판 납품하던 업체(패스트로)가 컨슈머 SSD 완제품 시장 진입하면서 안그래도 낮아지는 SSD 가격이 더 낮아지고 있습니다
    같은 가격대에 용량 더 땡기려면 아직은 HDD가 맞긴한데 2테라 이하면 그냥 돈 더 내서 SSD를 사는게 낫겠다 싶더라구요

  • @loveet5001
    @loveet5001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저는 하드 100테라 넘게 가지고 있고 계속 사고 있는데 직구로만 구매하다 이제는 11번 아마존에서 삽니다. 다나와 하드가격 너무 비싸요. 저처럼 해외구매 하는 사람들은 통계에 안잡히죠.

  • @MrIbalgwan
    @MrIbalgwan 11 місяців тому

    얼마전에 나스 백업용으로 16TB 샀는데 아직 같은 가격에 SDD로 대체 불가능함요. 1TB 16개 사서 꽂을 환경이 못 되어서...

  • @Adam_Lilith
    @Adam_Lilith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고..사람들은 모든 자료를 다 보관하려는 수집벽이 있습니다.
    세상의 모든 자료를 다운 받기 까지는..지금 하드 용량도 매우 부족하다는거죠
    심지어 하드가 수천테라가 나오더라도 계속 용량 부족에 시달릴겁니다.
    여전히 하드만한게 없습니다. 아직도 기본 2테라 하드에 머물러 있는게 아쉬운 부분입니다.
    4테라나 8테라가 10만원 안쪽으로 좀 떨어져야 할텐데.. 전에 2테라 2개씩 여러번 샀는데
    4테라는..정말 이것저것 다운받다 보니 일주일만에 다 차더군요..
    집에 하드만 30개이지만..사실 다 들여다 보지도 않고 차면..바로 컴에서 분리시켜서 보관하고
    잘 안보지만...그냥 뭔가 채운다는 그 재미로 하드를 사용하는것뿐..
    실제로 다수의 대중은 바로 그 "채운다" 그 이유때문에 하드를 사용하는겁니다
    그래서 시게이트 사장이 말했죠. 하드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이유는 여러분이 야동을 많이 채우는 기쁨을
    주기 위해서라고...
    물론 사람마다 게임만 채우는 사람, 영화만 채우는 사람..별별 잡동사니는 다 채우는 사람 등등..
    하드디스크 용량은 언제나 부족할 뿐입니다.

  • @jsjang3720
    @jsjang3720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하드 10TB *4 레이드 묶어서 20TB를 쓰고 20TB를 백업으로 해서 쓰고 있습니다.
    영화, 드라마, 애니 등등 데이터가 많이 필요 하더라구요
    클라우드를 무조건 믿을 수도 없음...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місяців тому

      제가 가장 이상적인 레이어드 형식입니다 반반 갈라서 백업용과....^^ 특히 나스로.... ps 하드따로 백업해야지 하드 묶어서 백업해 버리면 하드 하나 고장나면 그 안에 자료는 다 날라가서 다른 하드도 못 씀 ㅜㅜ

  • @shpgshopp5211
    @shpgshopp5211 10 місяців тому

    요새 SSD 고용량도 저렴하고, 수명 문제도 개인이 몇년 쓰는 동안은 문제 없다고 하니, 보통은 HDD 쓸 일이 없겠죠.
    저도 대용량 백업에만 HDD 사용하고 있습니다. 18TB SSD는 엄청난 가격이지만, 18TB USB HDD는 일반 사용자도 구입 가능한 가격이거든요.

  • @ygs660
    @ygs660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하드를 사는 이유는 빠른로딩이 필요없지만 대용량을 요구하는 격렬한 어른들의 스포츠 동영상을 저장하는것 외에는 딱히 쓸일이 없어졌습니다

  • @user-th6zz5ee9i
    @user-th6zz5ee9i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건LTO시스템이 살아있는 이유가 바로 이런것이죠....
    용량대비 단가가 저렴하고 내구성은 LTO에비해 좋지는 않지만
    속도는 SSD에비해 느려도 LTO에비해 매우 빠르기에
    HDD가 데이터센터에서 살아남을 가능성이 매우 크죠...

  • @goni-pin
    @goni-pin 11 місяців тому

    SSD가 아직 용량이 작아서 길이 멀어보입니다. 대용량 SSD 구매하고 싶은데 가격이 하드 대비 너무 비싸요

  • @poetip4541
    @poetip4541 11 місяців тому

    하드가 너무 비싸진것도 문제죠
    작은 용량은 ssd보다 비슷하거나 더 비싸니 안쓰는게 당연하겟죠

  • @eyebrows5318
    @eyebrows5318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ssd가 hdd에 비해 크기, 발열, 성능 모든걸 압도하지만 단 하나, 가격임
    절대 무시 못할 아니 절대로 무시되어선 안될 항목이 가격임.
    물론 미래에는 완전 대체가 되겠지만... 언제가 될진 미지수임
    ssd 가격이 떨어지고 있는 만큼 hhd가 많이 줄어든건 맞지만
    nas 구축한다던지, 서버실을 이룬다던지. 아직까진 hdd를 절대 포기 못함.
    ssd 신봉자들이 hdd 없어진다고 말한지 벌써 5년은 넘은듯 하지만?
    아직도 살아있음.
    그때 생각은 가격은 계속줄고, ssd 1tb급 보급이 활성화 되면 hdd는 사장될것이다 했는데
    웬걸??? 필요 용량이 갈수록 늘고있음.
    영상과 사진, 데이터가 더욱도 고품질, 고퀄리티로 되면서 용량은 점점 늘고있고,
    이제부터는 사람마다 취향에 따라, 취미에 따라, 직업에 따라 ssd만 갈지 ssd+hdd로 갈지 분리화가 일어남.
    갈수록 영상제작물에 대해 늘고 (유튜버,크리에이터) 가까운 미래엔 vr, 증강현실, 홀로그램 등 대용량 데이터가 더욱더 필요할텐데
    가격을 따라 잡을수 있을지가 미지수임.

  • @eyebrows5318
    @eyebrows5318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데이터센터가 사라지지않는 한 (그럴 일을 절대로 없음.)
    10년안에 hdd가 사라질 전망하는 사람 아무도 없다.
    물론 10년 20년 30년 지나면 사장되겠지만
    용량 대비 가격 경쟁이 말도 안되고, 데이터 안정성 아직 못따라온다.
    ssd가 싸졌다고 하는데 그게 데이터센터로 들어갈 수준은 아직안되고
    상용화 된다하더라도 가격은 hdd에 비해 월등히 높을것.
    과연 어떤 기업이 자선업체도 아니고 높은 비용들여서 할까?
    그때 되면 아마 계산기 엄청두들기고 손익 따지면서 ssd가 낫다고 판단되면 교체가 단계적 이루어질것.
    그게 과연 몇년 후일까?
    hdd 사장된다고 말나온지가 벌써 10년이 됐는데 사장됐음??ㅋㅋㅋㅋ
    데이터센터는 커녕 아직도 많은 개인 pc이용자마저 ssd+hdd 이용하고있는데
    용량성능이 올라가는 만큼 우린 더 높은 용량(고화질, 고픽셀, 고주파수의 영역을 보고있고,
    4k 8k 뒤엔 몇k가 나오든, vr이든, xr이든, 홀로그램이든 훨씬더 높은 용량을 요구함)을 필요로하는데
    지금 쓰는 용량 비교하면서 ssd 면 충분하다고 말하는게 어불성설.

  • @user-by7gq7bt8d
    @user-by7gq7bt8d Рік тому +3

    저장강박증이라 아직도 하드도 씁니다
    Ssd 1테라 1개, 2테라 2개
    Hdd 8테라 2개
    외장하드 8테라 1개, 4테라 1개

  • @ldne0323
    @ldne0323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녹덕이나 사진 찍는 쪽을 노려서 하드는 용량을 올려야 할텐데

  • @FuckingCrazyCat
    @FuckingCrazyCat 10 місяців тому

    게임 영상 저장용으로 2테라 하드 하나 달아놓긴 했는데...
    발로란트나 그런거 한판하면 3-4기가씩 나와서...

  • @documentarystudy
    @documentarystudy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4개월 전에
    여기 프랑스에서 아마존 58유로 1테라 삼성 SSD 샀습니다.
    8만 2천원 돈이네요

  • @kji10103
    @kji10103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용량이 20테라바이트가 일반 20테라 하드디스크 값 정도 되면 생각해 볼만 할듯

  • @intel14nm60
    @intel14nm60 10 місяців тому

    하드디스크는 ㄹㅇ 외장하드디스크 쪽으로만 수명연장을 고려해야할듯
    수십테라 고용량을 십만원대에 사서 오래 저장하고 쓸 수 있다면야....

  • @KeepThe_Faith
    @KeepThe_Faith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백업용으로는 하드 디스크를 대체할 건 없음....

  • @live-able
    @live-able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hdd에 운영체제를 까는 시대는 확실히 지난게 맞지만 저장장치의 가치는 분명히 있음
    아무리 고화질의 영상이라도 hdd의 송수신 속도를 넘어서지는 못함.

  • @manseo_
    @manseo_ Рік тому +3

    이제는 게임도 하드에 깔면 안돌아감 ssd는 필수 hdd는 선택인 시대가 왔음

  • @hifi_man
    @hifi_man 11 місяців тому

    외장용 SSD를 삼성하고 WD거 사서 쓰는데 데이터 망가진 경우가 4번정도라 속도빠른 백업용 HDD를 하나 샀네요

    • @user-wl8wk9ln4u
      @user-wl8wk9ln4u 11 місяців тому

      원래 외장은 하드던 ssd던 자료 불안정 하지 않나요?

    • @hifi_man
      @hifi_man 11 місяців тому

      @@user-wl8wk9ln4u ssd 외장으로 짧은 기간에 너무 자주 데이터 손실이 났네요 hdd는 30년넘게 사용하면서 거의 이런일이 없었는데

  • @hjjkak
    @hjjkak 4 місяці тому

    다 공감가는 얘기입니다.

  • @user-kr6gp5fs4f
    @user-kr6gp5fs4f 10 місяців тому

    HDD 지금 쓰고 있지만 거의 3년 전 이후로는 산 적이 없고 그전에만 조금 샀던 기억이 ㅎㅎ

  • @duk6046
    @duk6046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SSD 처음산게 싸이월드 끝물때 인데 삼성꺼 128GB도 비싸서 벌벌떨었는데 언제 이렇게 싸져서 테라 단위로도 살만해진건지... 마지막에 qlc 2tb 장만하고 관심 끊고 살다가 또 폭락했군요 다시 오를거라는 소식이 있었는데 tlc고 뭐고 다 싸진듯 NAS 용으로는 하드를 아직 사용중인데 하드값도 싸져서 요즘 비교를 또 해봐야겠네요 확실한건 2.5인치 전용 NAS가 나올때쯤엔 하드가 몰락이라고 볼 수 있을듯

  • @lchlch20980
    @lchlch20980 11 місяців тому

    m2 ssd 몇일전에 500기가짜리가 5만원 전후 하는거보고 급관심생기는중 ㅋㅋ
    하지만 ssd는 대용량 데이터 장기간 보관이 조금 불안하고
    스마트폰 카메라 사진동영상 용량이 올라가고 4k 8k 나오는 시점에
    대용량 hdd 한동안 계속 필요는할듯

  • @wjkim5084
    @wjkim5084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가격 숫자에 콤마 좀 넣어주세요

  • @WonpyoKimwonpyokim
    @WonpyoKimwonpyokim 10 місяців тому

    0:01 하드디스크의 종말? , 0:51 결론 , 0:55 2015년 , 2:22 , 2:40 , 3:03 , 3:28 2TB

  • @SilChin1257
    @SilChin1257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중고 기준으로 하드 3tb 3만원주고 샀습니다
    지금 중고 ssd 4tb 보니까 30만원은 넘더라구요..
    저는 속도가 느려도 지금 게임만 2tb가 넘는데 그거 때문에 가격이 중고 가격으로 5배차이가 나는건쫌..

  • @user-hy9oc9su7c
    @user-hy9oc9su7c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일반사용자 말고 서버쪽에서는 아직은 아닙니다.
    8TB SSD 이런게 20만원 쯤 되면 그때 진짜 하드의 종말이죠.

    • @user-th6zz5ee9i
      @user-th6zz5ee9i 10 місяців тому

      음...아마 그럴일은 없을겁니다...8TB SSD가 20만원에 나온다면 HDD는 오히려
      10만원에 나올겁니다...만약 가격이 역전된다해도 데이터센터는 저장장치 가격따윈
      신경쓰지않고 오직 드라이브가 고장나도 복구 가능한 시스템을 원하기에
      여기서 HDD가 지금 자기테이프드라이브인 LTO마냥 많이 쓰일겁니다..

  • @김자운
    @김자운 11 місяців тому

    그래도 대용량의 데이터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개인용 나스 구축은 하드

  • @thrma0518
    @thrma0518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HDD는 8TB이상 대용량위주로 바뀔겁니다...ssd 2tb 가격에 맞추면 경쟁력있죠

  • @MMDMEDAKA
    @MMDMEDAKA 11 місяців тому

    복구 때문에라도 하드가 사라질일이 없을듯 백업용으로 ssd 복구비용비싸던데

  • @user-cq2tj9uc7x
    @user-cq2tj9uc7x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창조적 파괴가 없는 시장은 더 이상 진화는 없다.

  • @HJ-vu6ek
    @HJ-vu6ek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HDD를 완전히 멸종을 시킬려면 SSD 가격이 좀 더 많이 떨어져야 합니다. HDD를 사는 이유는 많은 저장공간에 따른 저렴한 가격인데... 외장하드용으로 16TB 가격이 한 50만원대 하거든요... 이 가격에 SSD를 살수있다면 아마도 HDD 시대가 끝나지 않을까 합니다... 또한 내구성에 따른 문제도 있습니다

  • @Chris1o_o1
    @Chris1o_o1 9 місяців тому

    서버 나 데이터센터에서는 스토리지로 여전히 하드가 메리트가 큰것 사실임 안정성도 입증 되었고.나또한 대용량 데이터는 하드..운영체제나 주로 접근하는 데이터는 ssd 중요백업 2차 3차 백업은 여전히 hdd 고수중입니다.

  • @user-ct7qc4kx5f
    @user-ct7qc4kx5f 11 місяців тому

    가격 2-3마넌만 더 빠졋으면 좋겟다. 시게이트 예전에 스펙이 좋아서 눈에 들어오긴햇엇는데 가격이 세가지고 접엇는데.

  • @dalB111
    @dalB111 10 місяців тому

    나스용 하드6년쓰는동안 SSD 두번 바꿨습니다.. 그것도 뻑으로...
    중요한데이터, OS백업은 하드, 게임,OS는 SSD에 저장하세요
    컴퓨터에 하드없이 SSD딸랑 하나만 있으면 백업해두지 않으면 뻑나는순간 소중한 자료가 모두 날아갑니다.

  • @dohyunbarg
    @dohyunbarg Рік тому

    문제는 노트북에 기존 ssd는 그대로 두면서 추가로 설치하는 슬롯이 없다면 안 살듯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місяців тому

      그래서 개인적 랩탑을 3대 활용해도 3레이어드 ssd랩탑 성능이 좀 떨어져도 못 바꾸고 있는 일인임... 이런게 안 나옴 요새.... 화면패널이나 썬더볼트포트 이런거는 변화가 있는데 말이죠...흠.... 3레이어드 4레이어드만 해도 활용상 멋진데.... 거기다 정말 10테라 ssd나오면...저도 hdd 안쓰겠음^^ 그정도로 ssd내구성이 hdd정도는 아니니까^^ 2테라ssd등 아직도 몇년째 쓰지만 hdd는 정말 뭐 좀 안쓰면 드라이브 인식 안돼고... 용량 없어지고.... 하드자체가 인식 안돼고.... 기타등등 쇠갈리는 소리나고.... 쓸때마다 불안해....ㅜㅜ

  • @user-oq9pb7ki8z
    @user-oq9pb7ki8z 10 місяців тому

    아직 고용량은 가격차 커서
    많은 저장공간이 필요하면 HDD가 저렴

  • @user-ko2xv8jc2x
    @user-ko2xv8jc2x Рік тому

    이젠 하드는 백업 저장 용도로 많이 사용하죠..SSD는 고장나면
    복구 하기가 힘들고 자료가 다 날라가니! 요즘 추세는 메인은
    속도와 읽기 쓰기 빠른 m.2.SSD로 가는게 맞고 추가 저장 공간은
    HHD로 가는게 좋은 선택 같은데? 물론 ㅎㅎ개인의 선택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