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이대가 마지막' 배우려는 사람이 없다. 평생 할 수 있지만 힘들어서 젊은이들이 배우려고 하지 않는 기술🪵 사라지게 될 고목재 목수 | 기술장인 | 극한직업 |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4 бер 2023
  • 해묵은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손이 부르트도록 진행되는 세척작업은 나무를 사랑하는 마음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최고의 목재를 얻기 위해, 그리고 매일 같이 다듬고 만들기 위해 구슬땀을 흘리는 사람들. 한옥 자재의 의미 있는 변신을 꾀하는 목수들을 만나본다.
    경기도 가평, 천 평이 넘는 부지에 가득 쌓인 나무들의 느낌이 일반 목재들과는 사뭇 다르다. 다름 아닌 우리네 전통 한옥에서 나온 ‘고목재’이다.
    이곳에서는 매일 ‘고목재’로 가구와 인테리어 소품들을 만들고 있다. 전국에서부터 공수해온 ‘한옥 고목재’들은 우선 이곳저곳에 박힌 못을 빼내고 필요한 재료로 다듬어진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잘라 내야 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언제나 톱날로부터의 긴장감을 놓쳐서는 안 된다.
    뿐만 아니라 정교한 소품 작업에서는 손가락 하나로 조각칼을 지탱해 모양을 잡아야 한다. 또한 ‘새목재’와는 또 다르게 먼지를 닦아내고, 기름때를 제거하고, 특별한 연마작업이 필요하기에 일반 목재에 비해 서너 배는 더 손이 간다.
    ✔ 프로그램명 : 극한직업 - 한옥 자재 재활용
    ✔ 방송 일자 : 2015년 9월 23일
    #극한직업 #한옥고목재 #목수
    #장인 #고목재가구

КОМЕНТАРІ • 1,1 тис.

  • @leeve6139
    @leeve6139 Рік тому +88

    젊은이가 유입되지 않는 곳 특성
    1. 열악한 근무 환경
    2. 위험하거나 고된 작업
    3. 도시와 떨어진 외진 곳에 위치
    이 모든 것에 해당하더라도 돈을 많이 벌 수 있으면 배우려는 젊은이는 분명히 있다.
    하지만 젊은이가 유입되지 않는 곳에는 반드시
    4. 기술 전수를 핑계로 열정페이 강요
    5. 혹은 그냥 돈 안되는 일
    이 두 가지 덕목 중 하나가 존재 한다.

    • @user-gr9pd1gy2n
      @user-gr9pd1gy2n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기술직이 원래 위험할수도 고될수도 있는거고 10년을 20년을 해도 기술이 발전이 없는 사람은ㅋㅋ 대가리 짓도 못하고 인정 받고 월급 많이 챙기기도 힘든거 아닌가? 그러니 안하겠지 뭐 할라고 힘든 일 함?

    • @roy3866
      @roy3866 4 місяці тому +2

      저 좋은 자재로 와꾸도 안맞는 책상 만드는 현실

    • @DavidYun-vx4de
      @DavidYun-vx4de 2 місяці тому

      일 못하는 사람들 핑계는 늘 101가지가 넘지. 후배가 일은 하도 안 배워서 그냥 내가 했는데 그 후배가 40살이 되도 못 하다가 퇴사 했었다. 그 나이에 딴데 가서 눈치보고 20대 후배한테 일을 배운다고 한다.

    • @35dir19
      @35dir19 Місяць тому

      팩트ㅋㅋ

    • @street_pooper6134
      @street_pooper6134 Місяць тому

      @@user-gr9pd1gy2n 공부 못하니까 이런 구질구질한 변명이나 하고있지

  • @user-yo8lp7mq1t
    @user-yo8lp7mq1t Рік тому +1003

    상큼한 근무 환경 + 개나줘버린 안전보호구 + 밥상꼬라지 삼위일체가 만나 환상적인 콜라보네요

    • @ll-ct2tn
      @ll-ct2tn Рік тому +38

      저거 업체 납품 급식인데 공장이나 자영업하는곳에서 급식업체에 주문하는거임 전국어디나 다 똑같음 그냥저냥 먹을만한 수준 맛있지도않고 맛없지도 않는

    • @user-mf3ek7fl2y
      @user-mf3ek7fl2y Рік тому +4

      밥상ㅈ은 생선도 있고 괜찮은거 같은디ㅠ

    • @homoludens2498
      @homoludens2498 Рік тому +188

      미친 ㅋㅋㅋ '가구' 공장에 식탁 하나 안주고 바닥에서 도시락 먹으라는데 반찬 보고 정상이라고 하니 이게 말이여 막걸리여 ㅋㅋㅋㅋ

    • @user-eo1tw9ly8q
      @user-eo1tw9ly8q Рік тому +88

      @@user-md6ov1cj4i 어떻게든 높이를 올려보려고 판자 밑에 각목도 깔았는데 저게요? ㅋ
      낮은 나무토막에 쭈그리듯이 앉아서 허리를 끝까지 숙여야지 반찬이 집어지는데 상식적으로 편할 수가 있나
      한 번 저 자세 해 봐요. 편한가.

    • @eunkyochoi2238
      @eunkyochoi2238 Рік тому +14

      중은 자기 머리 못 깎아.
      남 센스 탓할 시간에 밥상 만들어 드릴 것 같은데?!
      내 나무 어떻게 가공할지 조언도 구할겸 뭐라도 만들어 주고 싶지만 안전복 없이 저 공간에 있을 수도 없을 뿐더러 어떻게 어울릴 수 있을지 모르겠다 저 아저씨들이랑...

  • @maestro14700
    @maestro14700 Рік тому +16

    작년까지 전통가구풍으로 가구 만들던 사람입니다. 드릅게 힘든데 돈은 쪼도 안줍니다.
    뭐 기술 어쩌고 하는것들 반년에서 1년이면 다 배웁니다. 예를들어 불대고 브러쉬로 긁어내는거 서너번만 해보면 감이 오는데 마치 대단한 기술인냥 영상에 넣어놨네요 ㅎ

  • @leaklive7768
    @leaklive7768 Рік тому +41

    진짜 좋은 기술직 회사 가보면 사장, 이사 아들 조카, 친인척들이 이미 자리잡고 배우고있음

  • @Bitcoin-king1992
    @Bitcoin-king1992 Рік тому +549

    이걸보니 젊은이가 없는 이유를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당

    • @user-kw9ki4yx8m
      @user-kw9ki4yx8m Рік тому +54

      일 할 사람이 없다는곳 특징 - 최저시급

    • @user-db2hn5jt8p
      @user-db2hn5jt8p Рік тому +43

      @@user-kw9ki4yx8m 최저시급보다도 못범

    • @bys8024
      @bys8024 Рік тому +1

      왘ㅋㅋㅋㅋㅋ

    • @qrdthh
      @qrdthh Рік тому

      저기 신입 일당 13만원입니다.

    • @hardie2311
      @hardie2311 Рік тому +14

      @@qrdthh 저런곳은 일당으로 안 받죠

  • @Sumgyul424
    @Sumgyul424 Рік тому +203

    안하는 이유가 있죠 일이 좋고 대우받으면 자식에게 우선 하라고 하겠죠...

    • @user-bm7dy4yq8d
      @user-bm7dy4yq8d Рік тому +41

      ㄹㅇ팩트ㅋㅋㅋㅋㅋ
      좋은일이면 자기 자식들한테 하라하지
      남한테 하라 하겠음ㅋㅋㅋㅋ

    • @corean8004
      @corean8004 Рік тому +17

      정작 자기 자식들은 해외 유학 보내거나 투자를 많이 해서 사 자 들어가는 직업을 원할듯ㅋㅋㅋ

    • @-chubbycat
      @-chubbycat Рік тому +15

      @@corean8004 이게 진짜 현실적인 정답이지.
      솔직히 노가다 업종에서 20년 이상 일한 잔뼈 굵은 아재들도 정작 자기 자식들한테는 의치한약수 적극 권장함.ㅋㅋㅋㅋㅋㅋ

    •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Рік тому +2

      @@-chubbycat 가야금 인간무형문화재나 한국무용이 지킬 가치가 없는 쓰레기인건 맞지만 그래도 그렇게 말하면 안되죠 ㅠㅠ

    • @user-bw1rv7si5i
      @user-bw1rv7si5i Рік тому +6

      노가다 포크레인같은 중장비는 자식들 데려서 키워줌ㅋㅋㅋ
      외부인은 인맥없으면 배우지도못하고 일하기도힘듬

  • @user-oq3kr7wh9n
    @user-oq3kr7wh9n Рік тому +1086

    배울사람이 없는것이 아니라 결론은 돈 벌이가 안된다는 겁니다 😢

    • @jwlee9791
      @jwlee9791 Рік тому +34

      그건 한국에서나 그렇지... 미국에선 비싸다... 저렇게 정성으로 만드시는데 돈을 많이 드려야지.

    • @worldshin
      @worldshin Рік тому +324

      @@jwlee9791 그게 결국 돈벌기 어렵단소리 아닙니까??;;; 미국에선 비싸다면 미국서 해야져...

    • @hyungwoolee5917
      @hyungwoolee5917 Рік тому +151

      @@jwlee9791 비싸면 뭐하냐 사는 사람 한정되있고 그러는데 팔려야 돈벌지 안팔리는데 어찌 돈버냐

    • @Andante-ot1xc
      @Andante-ot1xc Рік тому +14

      월 얼마 주는데 돈벌이 운운하노??

    • @user-jc1vq6nu4p
      @user-jc1vq6nu4p Рік тому +53

      그런문제가 아니죠 미국가면 공방이 얼마나 깨끗하고 첨단시설로 되어있는데요
      그정도는 아니더라도 저공장에서 이라하는 사람한테 과연 여자가 시집올까요

  • @jerryklo2845
    @jerryklo2845 Рік тому +413

    집진 시설 등 작업장 업무환경을 개선하는데 큰 돈 들어가는건 아닙니다. 정기적으로 청소 안하고 자재정리도 엉망인 환경에서 일하고 싶은 직원들이 있을까 싶네요. 50년 전에나 쓰던 낡은 기계에 안전장치까지 없고... 일하던 자리에 주저앉아 판자떼기에 밥올려먹는 모습 담아 뭘 보여주고 싶은건가요?
    저렇게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는 모습을 간직하고 물려줘야할 유산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없을텐데 의 방향성이 우리 미래의 노동지향과 맞는지 의심됩니다. 쾌적하고 안전하게 작업하면서도 손으로 만들어내는 가구, 공예품 공방도 많습니다. 숙련된 노동 = 극한직업? 너무 진부하지 않나 싶습니다.

    • @8787kimth
      @8787kimth Рік тому +7

      와 배우신분

    • @user-ng8zk7hb1e
      @user-ng8zk7hb1e Рік тому +9

      시설 좋고 쾌적한 곳에서 일하고 싶은건 누구나 다 그렇죠, 이건 둘째 치더라도 안전장치는 기본인데
      불시점검 나오면 탈탈 털릴듯. ㅎ

    • @user-yq2fx8wv9g
      @user-yq2fx8wv9g Рік тому +20

      감성의 떼법이 통하는 우리나라에서 이런 이성적인 말은 씨알도 안먹히는게 함정

    • @byungshine95
      @byungshine95 Рік тому +1

      오.. 날카로운 지적..

    • @Choenma_s
      @Choenma_s Рік тому +15

      공감합니다 보안경도 안쓰고 ,, 마스크도 안쓰고. 유해물질일게 뻔한 도막재를 맨손으로 바르고 그걸 또 갈아서 온 작업장에 뿌리고.. 그걸 마시고.. 불티 하나 튀면 큰 사고날게 뻔한데.. 그리고 저작업을 배운다고 오면 젊은이에게 월급 얼마 주시려고요.. 이거 배우려면 한달에 300만원 내고 배워야되 이러시면서 최저시급도 안주시려고 하는거 아닐까 싶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전통가구 방식도 아니고요.. 배트남 작업장인줄 알았네요

  • @user-kr9jz8wz3c
    @user-kr9jz8wz3c Рік тому +220

    배울사람이 없는것이 아니라 막상 배우고자 하면 한 2~3년은 청소와잡일만 하면서 보내고 지치면 기술은 힘들게 배워야 한다는 생각..

    • @hyungwoolee5917
      @hyungwoolee5917 Рік тому +89

      돈 안주지, 시다만 몇년시키지, 그렇다고 대우가 좋냐, 욕받이는 기본이고, 기본적인 마스크도 안쓰고 일할이유없죠

    • @PETBOY
      @PETBOY Рік тому +2

      2015년 방송이라고 나와있다

    • @hyungwoolee5917
      @hyungwoolee5917 Рік тому +32

      @@PETBOY 어쩌라고?

    • @user-ml2vu7xm5r
      @user-ml2vu7xm5r Рік тому +4

      청소와 잡일 시키는건 근성없는놈 거르는거라 그런건데. 가르치는것도 일이거든. 돈 많이주면 가르쳐줘. 해방전부터 그랫어.

    • @mmdaddy1
      @mmdaddy1 Рік тому +28

      ​@@user-ml2vu7xm5r 응 그런걸 꼰대라고해 몇년전부터 그렇게 불러

  • @vesslan4106
    @vesslan4106 Рік тому +255

    극한직업 다큐보면 왜 한국이 망해가는지 알 수 있어요. 단순히 힘든 것을 떠나서 매우 위험하게 작업하는 장면들이 많이 나오고 또 그런거 보면서 댓글에선 장인이라고 대단하다고 하시는 분들도 많죠.

    • @lowe4996
      @lowe4996 Рік тому +73

      까놓고말해서 무식하게 일하는 건데 그걸 또 멋있다고 약을 탐ㅋㅋㅋ 그것도 모자라서 그런 환경을 신규 입문자들한테 강요하고싶어서 안달

    •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Рік тому +25

      ​@@lowe4996 노동감독관 대경실색해서 당장 잡아쳐넣을 짓을 자랑스럽게 보여주는 K 노동 ㅋㅋㅋ

    • @user-ti1eo6dd3p
      @user-ti1eo6dd3p Рік тому +12

      @@lowe4996 해외 보면 그래도 대우나 수익등 어느정도 해볼만 하다 라는 생각이 생기게 만드는 배경을 만들어주는데 여긴 그딴거없음

    • @zxcv225
      @zxcv225 Рік тому +27

      시스템 개선 및 효율화에는 아무도 관심이 없고 그저 열악한 환경 꾹 참는게 최고로 칭송받는 이상한 나라

    • @user-xy8rt4nb8e
      @user-xy8rt4nb8e Рік тому +5

      거지같이 힘들게 빡세게 위험하게 일해야 대단하다는 한국 기술자

  • @user-gn9qe4oi2v
    @user-gn9qe4oi2v Рік тому +73

    사람이없는 직업은 사람을 어떻게 대하는지 잘 알수있다

  • @surypark7651
    @surypark7651 Рік тому +59

    밥 나오는것만봐도 왜 안배우는지 바로 알겠는대ㅋㅋㅋㅋ

    • @hitage-er4wz
      @hitage-er4wz Рік тому +6

      직원 4명인데 반찬 한개.. 고등어 두마리..

    • @byungjinpark1172
      @byungjinpark1172 Рік тому +3

      ​@@hitage-er4wz 그럼 2인분 시켰다는거네요
      공기밥은 두개 더 주거든요
      4인분 시켰으면 네마리 일텐데요

  • @YeesuJeju
    @YeesuJeju Рік тому +53

    일은 손이 가고 힘든 편인데 페이도 그렇게 좋은 편도 아니고 기존 업자들 텃세와 배우기 힘든 환경까지 합쳐진다면 새로운 사람은 외국인으로 채워서 유지 시켜야 할 듯

  • @Imkwangmin
    @Imkwangmin Рік тому +35

    젊은 사람들이 배우려고 하지 않는다는데, 수제화 만드는 거 배우려고 했더니 본드칠만 2년 해야 슬슬 다른 거 배운다더라고요.

  • @user-sn3ij7pd7v
    @user-sn3ij7pd7v Рік тому +12

    팩트 : 현대자동차 생산직은 지 자식까지 물려주려고 기를 쓴다. 이 한줄이면 끝

  • @jamesmillerjo
    @jamesmillerjo Рік тому +261

    정말 지킬가치와 사명감이 충분한 기술이면 주위사람들이나 자식들이 하려고 나서지 않을 이유가 없다

    •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Рік тому +18

      하긴 가야금같은거도 자식들이 절대 안할려고 하던데 쓰레기 악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STARGATE_SGC
      @STARGATE_SGC Рік тому +2

      소비시장에서는 가격이 중요하죠! 아무리 열심히 섬세하게 잘 만들어도 가격이 비싸면 소비시장에서는 수요가 없죠!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저런 비싼 걸 구입을 할 능력이 거의 안 되니까요! 그래서, 돈이 안 되는 구조가 순환이 되는 것이고요! 그러니 일만 고되고 수입이 안 되니 당연히 배울 사람도 없는 것이고요!

    • @satan23
      @satan23 Рік тому +9

      솔직히 더 싸고 예쁜 것이 많은데 수공업이 어떻게 먹고삼... 고생이란 고생은 다 하는데 돈은 안되니까

    • @ezj1694
      @ezj1694 Рік тому +7

      산업혁명이 인류를 부유하게 만든데는 이유가 있다 수공업 퀄리티가 누가봐도 기성품보다 압도적이여야 살아남는건 당연한거고

    • @user-km8je8lh7g
      @user-km8je8lh7g Рік тому +4

      ​​@@STARGATE_SGCㅇ 가야금을 누가사요 ㅋㅋ 대 100억넘는 부가티 만드는 회사도 적자 엄청나는데

  • @user-pg4xq1lg2o
    @user-pg4xq1lg2o Рік тому +48

    와 근데 목재 작업하면 먼지 진짜 장난아닌데 마스크도 안쓰네; ㄷㄷㄷㄷ

  • @user-pv7xx2iy9n
    @user-pv7xx2iy9n Рік тому +9

    지금 젊은이들은 그것보다 10-배이상 힘들일도 열심히 일하고 있습니다.
    사실 건장한 중년들도 일자리가 없다고하면서 그런곳은 가지않아요
    거기서 일하지 않는건 나이하고 상관이없어요
    열심히사는 젊으이들을 폄하하지 마세요
    참고로 저는 49살 중년 입니다.

    • @Video-hr2ig
      @Video-hr2ig 6 місяців тому

      공감. 그저 돈도 안주고 부려먹으려면서도 요즘 젊은이 타령하는 꼰대가 많죠

  • @user_comment19
    @user_comment19 Рік тому +3

    전동공구 사용하는데 귀마개와 보안경 안씀.
    분진 날리는데 마스크를 안씀.
    사업주는 근로자에게 보호구를 지급할 의무가 있습니다.

  • @qrdthh
    @qrdthh Рік тому +18

    나같은 사람은 젤 들어가기 싫은 환경 한여름에 불 만져야하고 한겨울에 밖에 있어야하고 뭣보다 힘들수록 유대감이 있어야하는데 식사때도 묵묵히 밥만 먹음. 특히 테이블없이 바닥에서 밥먹는게 얼마나 열악한지를 잘 보여줌. 일할때 집중하는게 당연하지만 대화가 전혀 없으면 진짜 지루하고 재미없을듯. 급여와 휴일의 대해서도 궁금해지지가 않음. 다만 혼자가서 배우는것보다 친구2~3명 동시에 배우면 나쁘지 않을지도 모르지

  • @for_what_or
    @for_what_or Рік тому +14

    21세기에 초가집 짓는걸 배울 필요는 없으니..
    전통이란것도 현 시대에 맞는 인식과 교육, 계몽을
    통해 새로운 시스템을 받아들이거나 상생할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거나, 도저히 그 조차도 안된다면
    박물관 역사기록의 가치로써 남기는게 최선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하는 방식이나 구조들도 변화에 적응해야만 하겠고요

  • @user-kw2iv2wi2u
    @user-kw2iv2wi2u Рік тому +6

    모로코같이 인당 gdp 3천달러 같은곳에 어울리는 작업환경이내요

  • @Dwarrf
    @Dwarrf Рік тому +2

    예전에 내장목수 배우로갔을떄 목수가 했던말이 생각난다..먼지가 많아서 마스크를 꼈는데 그거보고
    마스크 쓰지마라
    어째서 쓰지말라는거죠?
    나무먼지는 몸에 좋은거다 프로의식을 가져라

  • @user-ek1ig8zh8u
    @user-ek1ig8zh8u Рік тому +7

    몸이 힘든건 참을수 있다 외딴위치인것도 좋다. 봉급도 어느정도 수준 이상만 벌수 있으면 괜찮다.
    나는 30대 초반이고 내 또래중에서는 직업에 대한 역치가 상당히 높은 편에 속한다고 생각함
    하지만 위험한 작업환경만큼은 내 기준에서 도저히 못참겠음. 나쁜말 달고 싶지만 출연하시는 기술자 분들이 무슨 잘못이 있겠나 싶어 참는다

  • @user-ye8xy7vf5k
    @user-ye8xy7vf5k Рік тому +10

    오래된 만큼 시설 투자도 같이 해 놓아야 기술을 배우려 하겠지요..
    근무 환경이 70년대에 머물러 있는데 누가 기술을 배우려 할까요?

  • @user-kb3jd3lh2v
    @user-kb3jd3lh2v Рік тому +40

    한국의 장인들 = 극한의 노가다(열악한 근무환경)
    선진국 장인들 = 섬세한 예술(쾌적한 근무환경)
    사실 요즘 어떤 시대인데 웬만한 전문 장비들이 다 나와서 저렇게 손으로 직접 안해도 장비로 대체 할 수 있는 작업들이 많은데 특히 우리나라 장인들은 이윤도 크게 남지 않는 일명 단순한 손노가다에 너무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지. 그게 마치 이런게 바로 장인의 길이다고 선전하듯이... 하지만 외국의 장인들은 저런 불필요한 노동집약적 손노가다 보다는 효율적인 장비를 사용해 불필요한 단순한 작업인 손노가다를 줄이고 좀 더 심미적이고 기술적인 부분에 작업시간을 투자함으로서 작품의 예술적 가치와 부가가치를 끌어올리지. 때문에 예를 들어서 우리나라 장인들을 보면 단순 무식하게 연탄공장에서 연탄 찍어내는 작업을 한다면 선진국 장인들은 멋진 작업공간에서 하나의 예술작품을 만드는 것 같은 그런 느낌을 지울수가 없지. 아무리 우리나라 사람들이 손기술이 그들보다 섬세하고 아무리 뛰어나다고 한들 시장에선 그들의 제품을 원하고 더 높게 쳐주고 더 대우 받는다는걸 진지하게 생각해봐야 한다. 일단 작업 환경부터 좀 바꾸고 지금 시대에 맞게 많은 부분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 @Seok.Chong.I
      @Seok.Chong.I Рік тому +4

      우리는 노력, 고생이 값진 노동력이라고 생각해서 그런 듯
      효율적으로 하면 좋은데 그러면 돈 쉽게 번다 욕할거임
      예를 들어서 집에 수리기사 와서 손기술이 딸려서 몇시간 고생해서 수리하면 수리법 잘 모르는 소비자는 고생했다하면서 물도 주고 하겠지만 기술좋은 숙련공이 간단하게 단번에 고치면 사기치는 거 아닌가 의심하는 것과 같이...

  • @jws1301
    @jws1301 Рік тому +163

    일이 힘든 것도 있고 저 나이 사람들 전부가 그런건 아니지만,
    많은 기술자들이 기술을 배우러 온 제자를 기술 전수 한답시고,
    제자로 대하지 않고 노예처럼 부려먹으려고 하는 성향이 강하다보니 기술 배우는 것보다 스승 비위 맞추기 힘들어서 젊은 이들이 저 세대 밑으로 안 들어가려는 성향이 많음

    • @user-nt3xu9yk5t
      @user-nt3xu9yk5t Рік тому +11

      돈벌이가 안된단 소리보다 이게 맞음

    • @user-ml2vu7xm5r
      @user-ml2vu7xm5r Рік тому +1

      대부분 사기꾼 아니면 전수함. 근데 과정이 힘들어서 그렇지. 세상에 공짜없음.

    • @user-tv3ei2dl6j
      @user-tv3ei2dl6j Рік тому +15

      ​@@user-ml2vu7xm5r 그 과정이 ㅈ같아서 안한다고

    • @jinlee5319
      @jinlee5319 Рік тому +14

      ​@@user-ml2vu7xm5r 어디서 본 것도 없으면서 건너건너 들어놓을 걸 상상하면서 발언하지마세요.
      자귀질 하나 망치질 하나 도리깨 한번 들어볼까 말까한 분이 제수준 들어나는 발언만 하십니까

    • @user-ml2vu7xm5r
      @user-ml2vu7xm5r Рік тому

      ​@@jinlee5319 에이 아무리 그래도 집이 제조 100년넘게 하던 집하고 책으로 만 본 님하고 비교는 좀. 그리고 난 군으로 따지면 부사관이야기 하는거고 님은 장교 이야기 하는건데 어딜봐서 저 장인이 장교 같나요? 부사관이지.

  • @jeacu2427
    @jeacu2427 Рік тому +5

    전수해줄 젊은이가 필요한걸까?
    돈 안받고 시다해줄 머슴이 필요한걸까?

  • @choidooyoung958
    @choidooyoung958 Рік тому +32

    자식 안시키는데는 이유가 있다

  • @user-up9fe7mo1q
    @user-up9fe7mo1q Рік тому +39

    고가구를 다룬다는 것... 저 많은 먼지를 기술자가 전부 먹어야 한다는 것...ㅠㅠ

  • @greengoblin3497
    @greengoblin3497 Рік тому +17

    나무 먼지작업이네. 마스크도 안끼고 일하고 정말 대단합니다.😅

  • @user-dy4mh5fl8f
    @user-dy4mh5fl8f Рік тому +9

    저도 젊은 전통소목수 인데 정말 재미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없어서 오히려 기회라고 생각하고있어요ㅎ

  • @user-sc9in2yl8m
    @user-sc9in2yl8m Рік тому +9

    제목 바꾸세요 힘들어서 배우려고 하지 않는게 아니라 힘든 만큼 돌아오는게 없어서 안하는 겁니다 이렇게 적절한 보상없이 힘들기만 한 기술은 없어지는게 사회에 도움됩니다

  • @dnjstjr1162
    @dnjstjr1162 Рік тому +22

    젊은 애들 없다는 산업 특징 : 자기 자식은 절대 안시킴

  • @tjsgudwo
    @tjsgudwo Рік тому +12

    직업, 업종을 떠나서 저렇게 수 년을 한 직장에서 기술을 연마하며 인내의 시간을 견뎌오셨을 모든분들 진심으로 존경합니다.

  • @user-wn2cm6hb1y
    @user-wn2cm6hb1y Рік тому +4

    구두 장인기술 배우려고 찾아갔더니 3년동안 무급으로 일하면 알려준단다 ㅋㅋㅋㅋ

  • @pan-gonkim3430
    @pan-gonkim3430 Рік тому +61

    그렇게 좋은거면 자식에게 물려주세요.

  • @pdh830718
    @pdh830718 Рік тому +9

    제가 초코과자나 계란과자 버터과자등을 만드는 공장에서 일을 배우다가 그만두었죠
    그만둔 이유는 정말 단순했습니다.
    가르키는 사람이 너무 신경질적이었죠
    젊은사람이 전혀 기술이 없는 환경에서 배우려고 간건데 이것도 못해 저것도 못해 ,,내가 기술배울땐 허드렛일 하면서 배웠고 내가 몸이 아파서 너한테 기술전수를 하는거지 아니었으면
    그럴일 없다며 큰소리 뻥뻥치고 이 상황을 사장한테 보고를 하면 사장 하는말이..군대도 다녀온 사람이 고작 늙은사수가 하는 말에 화가나서 대꾸하는건 본인 인성에 문제가 있는거 아니냐고.
    과거엔 기술전수가 이렇게 쉽지 않았다고..세상이 변했다고 하면서 한탄하더라구요
    기술배우는게 절대 만만하고 친절하게 알려준다고 제대로 배우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는건 누구보다 잘 알지만. 그런식으로 기술전수를 하니까 젊은 사람들이 배우려고 안하는거죠
    처음부터 숙련자가 되길 바라면 누가 그 기술을 배우고 있을까요? 숙련자가 될 시간까지 기다려주고 이해하고 가르키는게 변화된 세상입니다. 그 세상에 마추어 가는게 당연한거구요
    자질구레한 심부름부터 시중까지....머 그런건 너무 흔하고 많아서 얘기도 안합니다.
    본인들이 힘들게 배운거 인정하겠다고요..그런데 본인이 힘들게 배웠으니 다음 사람도 힘들게 배워야 한다는건 무슨 심보입니까?
    그곳을 그만두고 직장을 잡은지 8년.. 우연히 지나가며 본 그 공장은 폐업을 한건지..망한건지 모르겠지만 건물이 비어 있더라구요

    • @Video-hr2ig
      @Video-hr2ig 6 місяців тому

      그런 걸 당연하다고 댓글만 봐도 같이 꼰대니즘에 휘말려 발정하니 뻔하네요..위에 댓글보니 ㅋㅋㅋㅋ

  • @user-ny2sk6vc8e
    @user-ny2sk6vc8e Рік тому +7

    손으로 사포질 한창하는거보고 놀랐네요
    샌딩해주는 기계 사면 훨씬 편하고 능률이 오르지 않을까요?

    • @cruzelee2354
      @cruzelee2354 Місяць тому

      그건 촬영 컨셉일듯 한데요...

  • @Jaeyoung002
    @Jaeyoung002 Рік тому +7

    일이 개힘들더라도 처우가 그만큼 따라오면 할사람은 있습니다. 그게 아니니 그런거겠죠.

  • @astragoldn5780
    @astragoldn5780 Рік тому +9

    본격적인 기술 강의 영상같은거 나온다면 배울 의향은 있습니다. 단지 안전문제같은것이 여럿 보이는데 리스크에 비해 얻는것이 거의 없어 관심있는 사람들도 주저하게 되는것같네요.

  • @user-ft7yk5ns3i
    @user-ft7yk5ns3i Рік тому +5

    배우러 가면 욕하고 윽박지르고 도재방식이라고 돈도 제대로 안주고 잡일만 5년...그렇게 파는 물건은 수백만원.
    결국 생활고로 나가떨어짐. 싸게 사람 잘 썼다 꺼억~~
    몇년동안 생활도 못 할 정도의 돈 받으면서 버틸 정도의 재력이면 애초에 저걸 배울 일도 없음.
    그렇다고 처음부터 기술 잘 가르쳐놓으면 뒤통수 치고 등쳐먹으니 가르쳐주기도 싫지. 돈 받고 가르쳐야 할 일을 돈 주고 가르칠수야 있나.
    이런 전통기술은 유럽 처럼 아예 정부에서 운영하는 학교를 만들고 거기서 가르쳐 일정과정 수료하면 자격을 주는걸로 해야됨.

  • @user-gl1qe9kc1j
    @user-gl1qe9kc1j Рік тому +1

    나무로 된 제품들 참 좋아요, 따뜻하고 튼튼하고

  • @orka2546
    @orka2546 Рік тому +15

    사람을 갈아넣는 기술이네요. 최소한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만한 재투자도 이루어지지 않는 사양산업의 민낯을 볼 수 있었습니다.

  • @gandhi3337
    @gandhi3337 Рік тому +17

    저렇게 환경이 열악한데 누가 일하고 싶어하겠나

  • @user-qp7kd5pc2f
    @user-qp7kd5pc2f Рік тому +14

    TV로 감상 후..
    아무도 잘 안배우려 하는 이유
    1.기계칼날과 먼지가 노출된 위험한 작업환경..
    2.충분한 휴식시간과 점심시간 및 장소가 보장되지 않는 작업시간..
    월급 여부는 모르겠닼..

    • @user-ol5pu2ur4g
      @user-ol5pu2ur4g Рік тому +2

      흡진기 설치가 돈이 어마어마해서 설치가 쉽지않고 기계도 대부분 날만 갈아끼워서 유지하지 만약에 안전설비 설치해서 작업이 멈춘다면 열약한 환경일수록 딜레이가 커지니 안달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지를 많이 합니다..목재의 경우엔 장갑이 더 방해가 되고 끼임사고가 많구요...
      휴식시간은 그시간에 하나라도 작업더해서 빨리 보내는게 이익이니 선임들도 배려를 못하는 곳이죠...
      목공업은 기계가 20퍼센트고 사람이 다 한다고 봐도 무방한거같습니다..

    • @user-gammandoo
      @user-gammandoo Рік тому +4

      ​@@user-ol5pu2ur4g 근데 기본 마스크도 인하고 한다는것부터가 이미 좀....

    • @user-ol5pu2ur4g
      @user-ol5pu2ur4g Рік тому +1

      @@user-gammandoo 땀차서 안하게 돼요....

    • @user-ol5pu2ur4g
      @user-ol5pu2ur4g Рік тому

      @@user-gammandoo 글구 간단한 먼지는 입으루 후후 불구 작업하는게 빠룸..

    • @user-mk9hn8mx7p
      @user-mk9hn8mx7p Рік тому +5

      @@user-ol5pu2ur4g 근데 그런다고 몸에 안쌓이는게 아니잖음 땀찬다고 폐에 먼지 쌓는게 더 괜찮은거임?

  • @kevinl4851
    @kevinl4851 6 місяців тому +3

    다큐 보니까 왜 젊은 사람들이 기피하는지 확실히 알게 되었습니다

  • @user-eo9ke5qp9v
    @user-eo9ke5qp9v Рік тому +21

    왜 없는지 알겟네요
    열악한 환경에 어떤 직업인지 알아가네요

  • @zhpmgw
    @zhpmgw Рік тому +7

    배울사람이 없는게 아니라 돈만 많이 줘바라 누구든 냄새맡고 온다

  • @user-ph4tg4xv8q
    @user-ph4tg4xv8q 3 місяці тому

    너무배우고싶어요❤

  • @user-nb8zo3hk5d
    @user-nb8zo3hk5d Місяць тому

    장인들의 자부심이 느껴지내요
    결과물에 대한 애정이 대단해 보입니다
    저는 개발자인데 저도 저렇게 장인이 되길 소망합니다.

  • @yhkkim367
    @yhkkim367 Рік тому +4

    작업도 좋지만 먼지 포집기를 사용해 주시길 부탁 합니다!

  • @user-rl6px9sy3f
    @user-rl6px9sy3f Рік тому +4

    외국 장인 동영상을 보면 확연히 '장비'가 뒤쳐진다는 느낌을 받는다.
    시대가 변했으면, 장비또한 새로운것으로 교체해야하는데, 전혀 투자를 안했다.
    작업도구의 사용과 활용. 그로인한 작업효율과 환경의 개선.
    그리고 응용...을 젊은세대는 바란다.
    ...솔직히 이걸 배우기 보다는 3D프린팅을 배우겠다.

  • @user-df1ky8xk8r
    @user-df1ky8xk8r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영상에 나오신 분들은 목수로써 숙련공 이상의 위치에 오르신 분들로 보이는데,
    그분들을 위한 식탁, 휴게공간조차 없는게 마음이 아픕니다.

  • @korearapunzelman
    @korearapunzelman Рік тому

    고생많으시군요

  • @shk961
    @shk961 Рік тому +3

    가장 중요한 이유는 특별한 기술이 없기 때문이지요.. 막말로 목수들 시키면 다 할수 있는 것들이에요

  • @dotolbam4500
    @dotolbam4500 Рік тому +8

    톱밥이 엄청나게 날리는데 마스크도 없이 일하면서 기관지가 조금이라도 약하면 질환을 달고 살거 같고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춥게 일하는 작업환경
    안전장치가 뭔가요? 라는 작업환경
    공구와 무거운 나무를 다루는 작업환경에서 안전화 조차도 신지 않고
    힘들고 건강도 나빠지는 작업임에도 딱히 크게 돈을 벌것같지도 않고
    그렇다고 누가 알아주는것도 아니니 누가 할려고 할까 ㅋㅋㅋㅋㅋ

  • @dj.k.
    @dj.k. Рік тому +2

    나중에 누가 복원이라도 하려면
    만드는 공정을 기록 해놓는 작업 해야 할 듯.

  • @user-tm5tm1yi4f
    @user-tm5tm1yi4f Рік тому +7

    공예분야는 시작부터가 문제에요. 돈이 없이면 못배우더라고요. 배우고싶은 마음은 굴뚝같은데 포기해야됨.

  • @cks0909
    @cks0909 Рік тому +8

    최하 마스크같은 보호구도 없이 그냥
    보이는것도 저런데 눈에 안보이는 분진은 엄청날텐데
    시대가 변한만큼 이런거도 좀 변화해야

  • @user-ek3iz9uf2h
    @user-ek3iz9uf2h Рік тому +3

    저분들도 대단하신 분들이지만 ~ 유튜브 라는 플랫폼 이 활성 화된 요즘 같은 시대에 는
    본인이 직접 -- 다루끼 인테리어 용 각재 로 한지문 같은 것은 직접만들어볼수도 있음
    각종 공구류도 저렴하고 , 나의 경우도 조금만 구들방 만들면서 ( 유튜브 ) 에서 많이참고
    함 , 한지창문도 어디 공방에 의뢰하려 했으나 가격이비싸 , 인테리어용 각재 로 직접만듬
    목수아니고 그런계통 일해본 경우 없는 사람임 , 눈썰미만 있음 목재로 만드는 건
    그리힘든 일이 아닌시대임

  • @reynardpark9362
    @reynardpark9362 Рік тому +1

    배우려고 하지 않을 수 밖에 없네요.

  • @inmyunglee8285
    @inmyunglee8285 Рік тому +3

    그거보다는 저런 시골에 사람이 없는데 대체 누가 배웁니까 알아야 배우지. 저걸 서울이나 수도권 한복판에서 햇으면 누군가는 관심을 가졌겠죠. 제가 30대 중반인데 저런일이 있다는것 조차 오늘 처음알았습니다.

  • @This_is_a_competition
    @This_is_a_competition Рік тому +6

    솔직히 이런 공예분야 배우고 싶은 사람은 많을 텐데... 다른 그 많은 '배우고 싶은' 일들만큼의 환경이 받쳐주질 못할 뿐

  • @user-nm7tj2jh3t
    @user-nm7tj2jh3t Рік тому +1

    문짝에 문종이 붙이고 관리하는데도 힘들지 해마다 최소 1회이상 문종이를 새로해야하는데 기존 문종이를 떼는것도 힘들고 새로 붙이는 작업도 힘들지

  • @byeongwooko6877
    @byeongwooko6877 Рік тому +2

    아무리 예쁘게 포장해도 결국 사람이 살아가기 위한 경제활동입니다. 윤택한 삶을 영위할 수 없는 생산활동은 도퇴되기 마련입니다. 이 사업을 유지하고 싶으면 환경개선, 기술개선, 홍보방안 개선 등 많은 부분의 변화가 있어야 할것입니다. 이는 위 사업 말고도 우리나라 1차 제조업 모두 해당될것으로 사료됩니다.

  • @Cornered_Raccoon
    @Cornered_Raccoon Рік тому +4

    힘든걸 평생하고 싶진 않죠 꿈이 있거나 돈이라도 많이 줘야 하는데..

  • @user-mu8je6qq4o
    @user-mu8je6qq4o Рік тому +8

    안 하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 @user-kc4vm7gb5u
    @user-kc4vm7gb5u Рік тому

    배워 보고싶네

  • @heeueung_
    @heeueung_ Рік тому +2

    보통 한달에 세금떄고 600정도면 할만하다고생각합니다 머 안힘든일로 300벌면 하고싶은거 다할수있는시대인데 큰돈이필요하나싶긴함

  • @meme_stock
    @meme_stock Рік тому +3

    어쩔 수 없죠 뭐 시대의 흐름이 그런 것을...

  • @user-xy9jm7kf1f
    @user-xy9jm7kf1f Рік тому +1

    좌탁 만든다면서 회사 점심식사는 일반 나무판데기에다 밥놓고 먹네용😂😂 황제의 밥상 드립까지 완벽하당😂😂

  • @ccforyou
    @ccforyou Рік тому +7

    제조업에서 해외에서 15년째 관리직으로 근무 중..우리 나라가 왜 기술자들이 점점 줄어드느냐면요...기술자분들이 샌드백입니다.
    관리부/영업에서는 기술직을 못배워서 기름밥 먹는다고 무시하고, 반사로 기술자분들 고집이 점점 세짐...왜냐면, 사장,관리자 혹은 영업부에서 해달라고 다 해줘봐야 힘들기만 힘들지 돌아오는게 아무것도 없음. 제가 아는 기술자 분은 연차 30년이 넘어가시는대...10년째 월급이 4,000불대...이 마저도 제작년에 뇌경색으로 거동이 좀 불편해 지자..그간 근속의 정이 있어 자르진 않겠지만, 급여 50% 삭감 당하셨다고 함. 좀 극단적인 케이스이지만, 다른 회사에 기술자 분들이랑 이야기 하거나 하면 거의 비슷비슷...나이 들어서 않잘리는 것만으로도 고맙게 생각들 하심.
    반면 위에 뇌경색으로 불편해지신 기술자님과 같은 기술을 가지신 일본 기술자 분..연배는 비슷하지만, 오히려 경력 연수는 10년 정도 짧으심...일본 기술자는 회사에서 알아서 대우 해줌. 현장 일 않하게 하고, 영업부와 협업해서 신제품 개발 때 기술 조언만 하러 다님. 전용 차량 제공, 출장 때 호텔 1인실도 해주고.....
    나도 제조업에서 오래 살아 남으려고 기술 배우려다 저런 대우들 보고 때려침.

  • @oddie1427
    @oddie1427 Рік тому

    일단 안전한 작업환경부터 조성하는게 어떨까요? 일하다 일때문에 뒤지는 직업은 아무도 안하려 하죠

  • @harang_snow
    @harang_snow Рік тому +2

    작업환경을 근대화하고 안전하게 일할수 있도록 보장하여야 하는데 그저 꾹 참고 일하게 강요시키는 문화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 @sara-di4to
    @sara-di4to Рік тому +25

    손기술도 중요하지만 요즘 좋은 장비로도 충분한 일을 힘둘게 하시네...

    •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Рік тому +1

      그러니까여 ㅋㅋㅋㅋㅋ 좋은 서양 악기 놔두고 음정도 명확하게 따기 힘든 가야금 같은걸 연주하는 쓰레기들도 있더라고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mcqueen8294
      @mcqueen8294 Рік тому +9

      @@user-lq6lm8fh6m 뭔 악기의 놓고 나쁜게 어딨냐 이때다싶어서 신나서 개소리는 하지말자

    • @eeert2
      @eeert2 Рік тому +4

      ​@@user-lq6lm8fh6m비유가 쓰레기네 장비의차이는 효율인데 악기는 가야금 특유의 고운소리도 있구만 ㅡㅡ

    • @Bedeurog
      @Bedeurog Рік тому +5

      @@user-lq6lm8fh6m 가야금 입시 실패함...?

  • @allnewrenegade
    @allnewrenegade Рік тому +4

    좆소 배달식사 다 똑같은 규격의 저 배달 도시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웃긴건 직원 4명이서 저렇게 식사를 먹는데 먹을만한 고기는 쥐뿔만큼 있어서 서로 눈치싸움 시작함 ㅋㅋ 처음엔 맛없는 나물 종류 먹다가 중반쯤에 은근슬쩍 한개씩 먹고 누가 신호탄 먼저 쐈으면 그 다음에 한명씩 집어먹고 그렇게 하나씩 집어먹으면 없어지는 처참한 수준.. 저런 밥 주는 회사 다녀봤는데..
    점심만 먹고 좀 쉬었다가 일하면 오후 4시 30분 정도 되면 꼬르륵 소리 나면서 더 참으면 편두통 오더라 ㅋㅋㅋㅋ
    점심 먹고 잠깐 어디 갔다 온다고 말하고 자차 끌고 편의점에서 따로 햄버거 먹고 차 안에서 쉬었다가 근무 시간 가까워지면 돌아오고 그랬었음.
    진짜 너무 심하다.. 여전히 저런 곳들 많던데

    • @jhj3483
      @jhj3483 Рік тому

      ㅋㅋㅋ ptsd 오네요 ㅋㅋㅋ 저는 아예 점심시간 나르고 (그냥 풀밥이라 ㅋㅋ) 바로 미니스톱으로 달려가서 햄버거하고 닭다리 먹음 ㅋㅋ + 행사상품 콜라 개꿀 ㅋㅋㅋ

  • @cl_game2446
    @cl_game2446 Рік тому +1

    후계자 계승이 되는 기술들의 특징.
    1.이익이 일어나는 것입니까?
    2.작업 환경이 안전합니까?
    3.지켜야 할 가치가 있습니까?

  • @user-dr7rz8cp5q
    @user-dr7rz8cp5q Рік тому +1

    전통은 발전시키고 계승하는데 의의가 있지. 변하지 않는 위험한 작업 환경, 최소한의 공기 정화 시설조차 없는 곳에 누가 일하고 싶을까. 열악한 곳에서 피땀 흘리며 배우고 일하는 모습은 간직해야 할 유산이 아닙니다. 어떻게 하면 덜 위험하게 일을 할 환경을 만들수 있을까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상 훗날에는 책으로만 지식이 남아있겠네요.

  • @cjkim7036
    @cjkim7036 Рік тому +13

    정부에서 명맥이 끊어지는 직업들을 정리하고, 혹 나중에 다시 복원해야 할 일이 있을 수도 있으니.. 동영상이나 책으로라도기록을 남겨두면 좋을듯..

  • @heartlessjoo3944
    @heartlessjoo3944 Рік тому +3

    With my 3day work week, I would love to go learn on off-days if I live in S. Korea.

  • @sseulegi
    @sseulegi Рік тому +2

    난 배우고 싶지만.. 배우려면 숙식이 해결되어야 하는데 그것이 문제.. 돈 없고 사람은 배우고 싶어도 못 배움.

  • @user-rn7ck9up1d
    @user-rn7ck9up1d Рік тому +2

    세상은 돌고돌죠 결국은 클래식이 절실할때가 오는데 참 안타깝네...

  • @chk5306
    @chk5306 Рік тому +4

    나무가 산더미처럼 쌓여있는데 화재에 아무런 안전 장치도없이 불작업.. 좀 아슬아슬하네요..
    힘들어도 안전이 제일이요.

  • @user-vj7lw4bw7p
    @user-vj7lw4bw7p Рік тому +4

    1. 영상 내내 먼지 존나날리는 환경에서 마스크라곤 눈을씻고 찾아도 안보이는 작업환경
    2. 그 먼지구덩이에서 먹는 밥.
    3. 고목재라곤 하지만 사실 목수랑 같은데 결국 한옥 철거할때 폐기물로 나온거 공짜나 다름없는 가격으로 가져온거 고목재 프리미엄으로 있어보이는척
    4. 목수하지 저걸 왜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A-ft8ph
    @aA-ft8ph Рік тому +2

    해외는 그라인더 하나도 안전장치 유무에 기겁하고 가격이 얼마든 안전하지 않으면 사용조차 안하거나 바로 교체하는데 여기 나오는 장비들 보면 사람이 안다칠수가 없음

  • @user-ug5gb5ff1t
    @user-ug5gb5ff1t Рік тому +1

    작업환경이 동남아 어딘가인듯?? 이런 환경이면 사라지는게 좋아보입니다.

  • @user-ei3zf6vg4g
    @user-ei3zf6vg4g Рік тому +5

    야이 ㅋㅋㅋㅋㅋㅋㅋㅋ 영상 틀자마자 나무부터 갈아재끼는데도 마스크 안쓰는 곳에서 인력난이라고 하는게 말이냐 ㅋㅋㅋㅋ

  • @user-ox7lw1ih3o
    @user-ox7lw1ih3o Рік тому +1

    나라에서 많은 지원바랍니다.

  • @user-iv9il1uc2q
    @user-iv9il1uc2q Рік тому +3

    저런 환경이라면 사라지는게 맞다

  • @user-gk6pw1cl8s
    @user-gk6pw1cl8s Рік тому +11

    돈많이 주면다함 ..돈조금 주고 개소리들 신나게함 ..지아들한테는 넌 이런거 하지마라 하고 대학보냄 ㅋㅋㅋ

  • @qwe4543
    @qwe4543 Рік тому +2

    이번에 150년된 초가에서 일제 때 콘크리트 기와로 바꾼집 공사했는데 흰개미 먹은 나무가 많아서 솔직히 불안했는데 저렇게 좋은나무는 다 양반집에서나 나오겠지..

  • @lIlIlIlI-fq4xk
    @lIlIlIlI-fq4xk Рік тому +1

    집에서 샤워할때 몸에서 나무냄새 오질듯ㅋㅋ; 게임 개발을 업으로 삼고 일하고 있는데, 요즘 구조조정으로 인해 일감이 엄청나게 늘었고 정신적으로 피폐한 상태라
    영상을 보며.. 나도 손기술로 장인정신을 발휘하는 직업을 했으면 삶이 좀 평탄해졌을까? 하는 생각에 빠짐

  • @user-syu4
    @user-syu4 Рік тому +9

    아... 이래서 젊은분들이 안배우시는군요;;
    그리고 이래서 평생할 수 있다고 하시는군요 ㄷㄷ

  • @user-happy159
    @user-happy159 Рік тому +4

    "요즘 젊은이들은 힘든걸 안하려고 한다" 이런 틀에박힌 고정관념때문에 발전이 없는거임ㅋㅋ 평생 지들이 절대선으로 알고 있을듯

  • @user-qx2ue3ds1f
    @user-qx2ue3ds1f Рік тому +1

    힘들어도 돈이 되면 하지 말라고 해도 알아서 합니다

  • @user-vj6pd6yq8n
    @user-vj6pd6yq8n Рік тому +1

    혹시 몰라서 하시려는 분들 위해서 말씀드리면 저런거 할려면 현대 장비 아예 안쓰든가. 아님 현대설비들 오지게 써서 박리다매 하든가 둘중 하나에요. 자기가 손재주를 타고 났다하면 슈퍼프리미엄 외국에서도 인정받는 초고급품 소량 주문생산 하든가 아님 박리다매로 .

  • @user-xx2yh4qp6h
    @user-xx2yh4qp6h Рік тому +6

    사장님 자식보고시키시면 됩니다

  • @minho955
    @minho955 Рік тому +3

    배우려는 사람이 없다 = 사람이 일할 환경이 아니다.

  • @kemorema1
    @kemorema1 Рік тому +1

    06:02 이야~ 이런경우에는 마스크를 착용하셔야 할꺼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원래 마스크는 이런 미세먼지 방어할려고 만든거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