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만년 인류사를 한 번에 정리하는 거대 담론 - 인류의 여정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4 бер 2023
  • 책 '인류의 여정'을 소개합니다.
    사피엔스나 총균쇠보다 더 본질적인 흐름을 이야기하는 책으로,
    인류가 어떤 것에 의해 결정되었는지 알게 해주는 책입니다.
    인구 규모, 기술, 문화자본. 이 세 가지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영상 한 편으로 정리해드립니다!
    '인류의 여정' 책 보러가기
    교보문고 : product.kyobobook.co.kr/detai...
    YES24 : www.yes24.com/Product/Goods/11...
    알라딘 : aladin.kr/p/9zEeH
    감사합니다

КОМЕНТАРІ • 62

  • @ezj1694
    @ezj1694 Рік тому +16

    이젠 인적 자본에서의 맬서스의 덪인거 같네요..
    아무리 교육을 받아도 교육 인플레마냥 쌓을 수 있는 지식이 주는 소득 보장이 한계가 오고 아이를 낳아도 자신보다 더 놓은 수준의 교육을 제공해도 더 가난해지는 운명인걸 보면요

  • @user-xl3ii8hd2b
    @user-xl3ii8hd2b Рік тому +1

    선댓글 후감상.. 명작의 느낌입니다 기대되네요

    • @drawthebook
      @drawthebook  Рік тому +1

      항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vdreal200
    @vdreal200 6 місяців тому

    2부가 너무 기대 됩니다~

  • @jangnanigo
    @jangnanigo Рік тому +1

    감사합니다.

  • @startsecond1944
    @startsecond1944 Рік тому +15

    단순히 산업혁명만이 아니라 여러가지가 얽혀서 성장한 거군요 ㄷㄷ 재밌게 봤습니다~~

    • @leesoein9364
      @leesoein9364 Рік тому

      그중 열에너지를 발견한게 제일크죠 열에너지원리로 원자력발전소,화력발전소,수력발전소를 쓰니까요

    • @drawthebook
      @drawthebook  Рік тому +1

      인구, 인적자본이 어떻게 기술진보와 연결되는지가 중요한 포인트죠!! ::D

  • @booksetong
    @booksetong Рік тому +30

    결국 대한민국의 저출산의 이유는 대한민국의 얼마나 고속성장을 했는지에 대한 설명이 되겠네요. 문제는 이런 성장의 결과가 결국 불평등과 저출산으로 연결이 되어서 멸망에 이르는 길이 될것이라는 점이네요.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Рік тому +12

      우리나라의 문제는 소득증가가 자녀 교육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결혼해서 아이를 낳을 수 없는 환경을 만들어버린 것에 있어서 저걸로 설명하긴 힘들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성장의 결과가 아니라 개인의 이기심으로 한치 앞 밖에 내다보지 못하는 정책이 나라를 어떻게 망쳐놓았는지에 대한 좋은 예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대학이 산업이라니. 등록금을 불과 몇년 사이에 두배 이상 올려서 그 돈으로 교수들이 먹고 살고 부모 등골 휘게 하며 대학가 유흥점 흥청이게 만든게 양질의 일자리 대신 외노자와 해외 저임금 노동자에 밀려 폰팔이나 하고 개인들이 빚을 내서 부동산 투기나 하는게 대한민국의 새로운 경제성장 원동력이라고 생각한 자들 말이죠.

    • @goldenshot21
      @goldenshot21 Рік тому +2

      여성이 사회 진출 후로 커졌지.

    • @Charlie19501
      @Charlie19501 Рік тому +2

      윗 글...감동.

    • @Charlie19501
      @Charlie19501 Рік тому +2

      @@milchholstein884 감동적인 글.

    • @titito781
      @titito781 7 місяців тому

      ​@@milchholstein8847:18

  • @hr060425
    @hr060425 9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user-eh9sh4bg9u
    @user-eh9sh4bg9u Рік тому +1

    재미있네요ㅋ 감사합니다

    • @drawthebook
      @drawthebook  Рік тому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zk1re2be3z
    @user-zk1re2be3z Рік тому +1

    오랜만 입니다~

  • @bill_blackhands
    @bill_blackhands Рік тому +1

    저출산 문제에 대한 근본 원인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 @drawthebook
      @drawthebook  Рік тому

      저 또한 이 책을 읽으며 출산에 대해 다시한 번 진지하게 고민하게 되더라고요~!! 많은 생각을 안겨다 준 책입니다 :)

  • @user-ni1yq2cy8e
    @user-ni1yq2cy8e Рік тому +2

    일부만 보며 모두가 그럴것이라는 오류 예전에도 지배층은 등 따시고 배부르게 살았고 산업혁명이후 생산량이 극대화된 현대사회도 밥한끼 먹지 못하는 사람이 넘쳐난다. 내가 등 따시고 내주위 사람이 배부르니 그것이 안보일뿐이다. 똑같이 나누어 먹는다면 좋겠지만 인간이란 존재는 대부분 그것이 안된다. 욕심때문에. 글(교육)을 알수있는건 모두 지배층에서 필요했지 때문이지 선의를 베풀고 일깨워주기위한게 아니다. 점점 산업화가되고 기계가 나오니 일을 부려먹으려면 글(메뉴얼)을 알아야하기에 글을 가르쳤다. 지금 우리는 등따시고 배부르다 그러나 다른곳은 하루 24시간 뼈빠지게 일하고도 하루 한끼도 제대로 못먹는곳이 허다하다.

  • @user-kr4jt9qy9f
    @user-kr4jt9qy9f Рік тому +2

    한마디로 교육이 폭발적인 산업화과정의 핵심이라는건데 전적으로 동의함 그런데 한국은 학원에서 그런것만 하고 있으니..

  • @jeonc846
    @jeonc846 Рік тому +4

    볼펜 입에 물고 말하기 연습 좀 하시면 발음이 더 좋아 지시는데😅😅😅

    • @drawthebook
      @drawthebook  Рік тому

      하핫..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계속 노력해보겠습니다 !!:)

  • @user-vh2ly9kf5j
    @user-vh2ly9kf5j 10 місяців тому

    2부 소개는 안해주시나요?? 2부도 듣고 싶은데ㅜㅜ

  • @user-sg6vh9iw1t
    @user-sg6vh9iw1t Рік тому

    목소리는 듣기 좋아요, 발음만 교정하시면 듣기 편할듯 합니다 화이팅

  • @p3j714
    @p3j714 Рік тому +2

    1등.

  • @gordon-chang
    @gordon-chang Рік тому +1

    평균수명과 보통수명의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구석기 시대의 인류와 현대의 인류는 외모와 지능 수명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유아 사망률이 유독 높았고 출산시 사망하거나 사냥이나 전투등으로 다쳐 후유증으로 죽는 경우가 있을뿐
    구석기인도 보통수명은 70세를 넘었습니다.

    • @user-yt3kq9oz6q
      @user-yt3kq9oz6q Рік тому

      맞음.. 오죽하면 고대그리스에선 30살에 결혼하는 게 적절하다는 말도 있었음. 보통 수명이 30살이면 30살에 결혼하면 쓰나.. 심지어 보통수명은 19세기 때 오히려 더 길었음. 지금은 오히려 유병장수 느낌이고 과거엔 무병장수했지.

    • @agroman712
      @agroman712 Рік тому

      @@user-yt3kq9oz6q 왜지 의학 수준 격차가 상상 할 수 없을 만큼 큰데..
      미세먼지나 그런것들 때문에 그런가?

  • @nadry1004s
    @nadry1004s Рік тому +1

    농업은 전문성이 없어도 되는 분야야?

  • @singbetterchoi
    @singbetterchoi Рік тому +2

    자녀출산이 재생산이 아닌 소비?적 성격이 강한 현대사회의 특성, 아이를 낳으면 일자리 경쟁에서 밀려나는 여성 경력단절 구조와 일자리 문제가 복합적으로 저출산을 가속시키는것 같습니다. 모두의 숙제이고 난제입니다.

  • @user-oq1py6bm6z
    @user-oq1py6bm6z Рік тому +3

    교육을 그렇게받았는데도 취직하기 어려운세상

  • @Renlaw666
    @Renlaw666 Рік тому

    다 공기빵 덕분임 ㅋ

  • @DJO-si9uf
    @DJO-si9uf Рік тому +1

    억양이 진짜 특이하네요 어디 지역 사투리인지 감도 안오네요 경북인가....

  • @mikeryu61
    @mikeryu61 Рік тому

    30 만년을 이야기한다더니 금방 17 세기로 뛰네. 그리고 많은 부분이 동의가 안 된다.

  • @rrrhhl
    @rrrhhl Рік тому +6

    이런책의 한계가 있음 전부 칠면조의 역설에 갖히게됨 10대때는 이런 류의 책을 엄청 읽고싶었는데 읽기가 너무 어려웠음 배경지식이 많이 필요해서 20대때는 하다보니 배경지식을 읽어서 대충 알게되고 30대 되서 이런류의 책들을 완독하게되고 재밋게 다 읽었고 영감도 좀 많이 받게 되었는데 여러종류 책을 더 읽으면서 한계를 알게된것은 한동안 유행했던 퐁퐁남이나 이런 사짜 논리도 보면 듣다보니 그럴싸함 하지만 틀린 내용도 상당히 많음 그래서 내가 느낀건 퐁퐁남이론인가 그것도 훨씬더 많은 자료로 만든게 이런류의 인문학적 책인것 같다고 느낌 그냥 재미로 읽고 나오는 배경지식들을 더 탐구해 나가는 방식으로 읽는다면 좋을것 같지만 이걸 너무 신뢰하는 실수를 하지 않길 바라는 생각에서 작성함

    • @user-lm9rd5hh4e
      @user-lm9rd5hh4e Рік тому +2

      읽어나보고 이야기하시던가.

    • @rrrhhl
      @rrrhhl Рік тому +1

      @@user-lm9rd5hh4e 그래요 님 평은 어떤지 궁금하네요

    • @ParkJaewoo-oo6sm
      @ParkJaewoo-oo6sm Рік тому +2

      상호 교차검증을 통해 터무니없는 뇌피셜을 쏟아내는 사람이 아님이 증명된 저자가 주장하는 '이론'과 누군지도 모를 익명인 사람이 검증되지 않은 경험과 몇 가지 단순 사실을 바탕으로 작성한 '사짜 논리'를 같은 선상에서 이해하시는 것은 이론의 가치를 지나치게 간과한 것이 아닌가요? 절대적이고 확정적인 진리를 추구하시는지 모르겠지만, 이론은 본래 최대한 많은 비판적 질문에도 방어에 성공해 낸 추론을 말합니다. 상대성 이론을 양자역학에 단순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은 저런 종류의 책에 관심을 많이 가지셨던 분이라면 충분히 아실 거라 생각합니다. 1도의 오차도 없는 완벽한 사실이 아니라는 점에서 한계라고 지적하셨는지 모르겠지만, 객관성으로 대표되는 과학계에서도 자신의 주장이 진리라고 주장한 사람은 없습니다. 물론 그런 사실이 존재할 수 있는지도 의문이고요. 인문학 책을 아주 디테일하게 다듬은 뇌피셜 정도로 이해하고 계신다는 생각에 답글 남깁니다.

    • @rrrhhl
      @rrrhhl Рік тому

      @@ParkJaewoo-oo6sm 네 재밋게 잘읽었습니다. 그리고 써주신 내용속에 까는 얘기가 많을까 고민해봤습니다. 제가 쓴 댓글을 다시보니 아예 없는 얘기하신건 아니더군요. 저는 영상을 다보고 이런류의 책을 읽었던 지난 나름의 연대기가 생각나서 댓글을 적었습니다. 하고자 했던 얘기가 너무 신뢰하지 말라는 얘기였는데 그게 과학계 주장이나 질문 방어해낸 추론이나 여기까지 의미한 얘기는 아니였습니다. 뒤에 얘기하신 자신의 주장이 진리라고 주장한 사람은 없다는 얘기 처럼 저처럼 너무 이런류의 책을 좋아해서 무조건적 수용을하지 말고 아무리 유명하더라고 특히 이런류의 책은 비판적으로 읽어야 한다는 얘기를 한것입니다. 또 이렇게 까지 댓글 달것도 아니지만 길게 잘 설명해주셔서 저도 남겨봅니다.

    • @hmkim4500
      @hmkim4500 Рік тому

      나름 보다 알기 쉽게 잘 표현해 냈는데 뭔 이상한 말씀을 하시는지 ..잘 모르겠음 .

  • @user-no2zg5mg5b
    @user-no2zg5mg5b Рік тому

    미국은 맬서스의 덫에 걸리고 중국은 맬서스의 덫에서 빠져나오겟네? OK

  • @Wandererbard27
    @Wandererbard27 Рік тому

    뭔가..너무 서양관점이네요. 저걸로는 동양쪽을 전혀 설명하지 못할 것 같은데..;;;

  • @dhqwjqj8298
    @dhqwjqj8298 Рік тому +1

    이럴바엔 ai 목소리가나을지경.. 발음땜에 도저히집중안됨

  • @user-du1jj6tr8j
    @user-du1jj6tr8j Рік тому +1

    미투 성추행 성추행 페미 설친이후 한국 남자들 여자보기를 돌같이봄

  • @user-csh
    @user-csh Рік тому

    목소리 못들어 주겟다

  • @mk-qr8zz
    @mk-qr8zz Рік тому

    개똥같은 이론이다.

  • @iwanlee9977
    @iwanlee9977 Рік тому +2

    영상의 내용을 듣는게 아니고 유튜버의 발음을 비난하는 이 못나고 질투심에 가득찬
    어리석은 놈들아
    능력이 없어서 만들지도 못하고 질투와 시기만 있는 한심한 놈들

  • @user-ke2pv4zy1e
    @user-ke2pv4zy1e Рік тому +5

    너무 편협적인데
    로마나 수메르 이집트 전성기때는 먹고살기 좋았음

    • @user-jx8sd2dk1g
      @user-jx8sd2dk1g Рік тому

      그당시 왕이 누리던 문명의 혜택보다 한국 일반시민의 누리는게 더 클겁니다

    • @rrrhhl
      @rrrhhl Рік тому

      @@user-jx8sd2dk1g 기근이 아니였기에 만족도나 행복도로 비교해야할듯 스마트폰 보급전 부탄처럼

    • @freesia4597
      @freesia4597 Рік тому

      뭔 개소리여 이건 ㅋㅋㅋ

    • @user-yt3kq9oz6q
      @user-yt3kq9oz6q Рік тому

      고대시대는 평균수명이 지금보다 짧은 거지, 병에 안걸리고 칼에 찔려 안죽고 영유아 때 사망만 피하면 지금보다 오래 살았음. 몸도 지금보다 건강했고.

  • @Rea458
    @Rea458 8 місяців тому

    저 표지에 작가... 이쁜척 손짓사진이... 책 판매량 80% 감소시켰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