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역사 한번에 이해하기 / 인간 등정의 발자취, 우리는 미래를 가져다 쓰고 있다, 최재천의 아마존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7 чер 2023
  • 본 영상의 수익금 일부는 '생명다양성재단'에 기부됩니다.
    인류의 역사를 알고싶다면,
    꼭 읽으면 좋을만한 책 4권!
    1) 인간 등정의 발자취
    2) 총균쇠
    3) 우리는 미래를 가져다 쓰고 있다
    4) 피난하는 자연
    최재천 교수님이 소개합니다.
    항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Much Love!
    contact : choemazon@gmail.com
    #과학 #독서 #추천
  • Наука та технологія

КОМЕНТАРІ • 445

  • @jeonghunShin-tb2ys
    @jeonghunShin-tb2ys 11 місяців тому +420

    교수님 이야기 매번 재밌게 잘 듣고 있습니다. 그러나 말씀 중에 사실이 아닌 사소한 것이 있어 말씀드립니다.
    대구에서는 사과가 거의 나오지 않는다고 하시지만 대구 동구에서는 여전히 많은 농민들이 사과농사를 짓고 있습니다. 관광산업의 발전으로 팔공산 일대 많은 개발로 사과농가가 줄어든 것은 사실이지만 교수님 말씀을 들은 많은 사람들이 대구, 경북은 더이상 좋은 사과가 없구나 라고 오해하지는 않았으면 합니다.
    2020년 통계기준 대한민국 사과의 최대 생산지는 여전히 경북입니다. 물론 대구가 아니라 문경, 영주로 주 생산지가 바뀌긴 했지만 여전히 대구경북에서 고품질 사과가 생산됩니다.

    • @user-qn8wj6vs8l
      @user-qn8wj6vs8l 11 місяців тому +52

      그렇기는해요ㆍ 그런데
      점점 키우는 위도가 점점
      높아져 가고 있다는 거지요

    • @jeonghunShin-tb2ys
      @jeonghunShin-tb2ys 11 місяців тому +81

      @@user-qn8wj6vs8l그렇죠. 그런데 교수님은 영향력이 있으시니 교수님 말씀만 들으면 대구 경북은 사과를 키우기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 되어버렸다고 들리고 그건 상품성이 떨어진다고 소비자가 생각할 수도 있을거 같아서요. 저는 대구에서 사과 농가들을 지원하는 일을 했었어요. 그러다 보니 조금 더 다르게 받아들여졌습니다. 아무래도 농가들에게는 생업이 걸린 일이니까요.

    • @dappong8534
      @dappong8534 11 місяців тому +77

      교수님 말의 핵심은 기후상승으로 식물들이 저지대에서 고지대로 옮겨간다에 방점을 두고 들으면 뚱댓이 필요하진 않겠죠.강원도 사과 홍보하려는 의도가 아니잖아요? 시청자 대부분이 이렇게 이해할텐데 경북지역은 참으로 사소한 것에 방어적이고 본인 중심으로 생각하는 것 같네요.

    • @kael1731_kms
      @kael1731_kms 11 місяців тому +9

      프레임 전쟁 시작!

    • @pigvoo
      @pigvoo 11 місяців тому +61

      @@dappong8534님 말씀 마지막 줄이 교수님이 이야기해오시던 내용들이랑 제일 안 맞는 것 같네요. 특정 지역/사람들은 이러이러하네, 라는 편견과 좁은 시각은 누가 가지고 있는지 한번 잘 돌아보셨으면.

  • @uj1048
    @uj1048 11 місяців тому +257

    저는 남들 기준으로는 불편하게 생활하고 있습니다 에어컨도 키지않고 겨울엔 보일러도 최대한 틀지 않습니다 그리고 걸어다닐 수 있는 거리는 그냥 걷고요 건조기 같은(제기준에선 불필요한) 가전기기는 구매 생각도 없습니다 주변에선 왜 그렇게 구질하게, 불편하게 사냐 하는데 전 이미 많은걸 누렸고 여전히 누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정도 불편함은 감수해야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결혼 할 생각도 자식을 낳을 생각도 없지만 벌써 태어난 세대를 위해선 지금의 성인들이 더 불편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교수님 말씀 항상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오늘도 생각 할 거리가 많네요~

    • @user-no4mj8hw5c
      @user-no4mj8hw5c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결혼할생각없는게 아니고 너 실체알면 너랑 여자들이 결혼안해~ 혹시라도 눈먼여자 나타나도 결혼하지마라.. 남의딸 고생시키지말고.. 그냥 대충대충살어 지구가 멸망한다해도 별거아니야 멸망하면 그냥 멸망하면돼

    • @uj1048
      @uj1048 10 місяців тому +59

      @@user-no4mj8hw5c 내가 여잔데 뭐래는거야 ㅋㅋㅋㅋ

    • @user-zv9ix4hn6b
      @user-zv9ix4hn6b 10 місяців тому +30

      존경합니다. 생각하긴 쉬워도 실천하긴 참 힘든데, 대단하십니다.

    • @user-pw1fg7di4g
      @user-pw1fg7di4g 9 місяців тому +26

      저도 선생님과 비슷한 실천을 하고 있으며 약간의 불편함은 삶의 원동력이 됩니다.

    • @helloggill3194
      @helloggill3194 9 місяців тому +14

      엄청난 행동력과 훌륭한 생각이시네요
      대단하셔요 정말👍

  • @studyofgoldmund
    @studyofgoldmund 11 місяців тому +64

    교수님! 와이프와 저번에 연희동 걷다가 버스 기다리시는 교수님 멀리서 보고 버스 타실 때까지 아내랑 계속 쳐다만 봤습니다. 사인도 받고 악수도 하고 영상 책 내 주셔서 감사드린다고 꼭 말씀드리고 싶었는데 심쿵해서 시도도 못하고 넘어갔어요 ㅋㅋㅋ 댓글 빌어 감사드린다는 말 전하고 싶습니다.

    • @ejkim1906
      @ejkim1906 8 місяців тому +3

      교양인이시네요..👍🌈

  • @murmurr1994
    @murmurr1994 11 місяців тому +145

    미래를 가져다 쓰고 있는게 아니라 현재를 망가뜨리고 있다는 말이 너무 와닿습니다 ㅠㅠ...
    교수님의 책 추천 기다리고 있었는데 너무 흥미롭고 관심있는 주제들이라 좋네요! 총균쇠는 아직 엄두가 안나지만 @.@ 마지막 두권의 책은 꼭 읽어보고 싶네요! 더위 조심하시고 건강하세요 교수님!😄

  • @allenyoo57
    @allenyoo57 11 місяців тому +130

    지속가능성연구는 완전히 실패했다는 교수님의 말씀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애덤 스미스가 이야기한 것처럼, 맑스가 이야기한 것처럼, 또 많은 선학들이 이야기한것처럼 인간을 움직이는 원동력은 이기심인데, 지속가증성연구는 인간이 이기심이 아닌 더 고상한 동기로 움직일 수 있다는 전제를 가지고 시작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실패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 @user-lr5cc3vb4n
      @user-lr5cc3vb4n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이티적 이기주의라는 관점또한 제시된적이 있는데 한번 유튜브에 찾아보심도 괜찮으실거에요

    • @user-awesome0527
      @user-awesome0527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이타적 이기주의 영상 보실거면 쿠르츠게작트 영상 추천드립니다

    • @user-lr5cc3vb4n
      @user-lr5cc3vb4n 11 місяців тому

      @@user-awesome0527 오 저도 거기서 얻은 정보입니다 ㅎㅎ 반갑네요

    • @user-lb1bi2nz9g
      @user-lb1bi2nz9g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지구 역사상 이토록 번성에 성공한 평체 6~70키로대의 포유류종이 출현한 것도 처음이니, 그 번식 본능의 관성에 의한 기존환경 약탈(? 변화)이 우려되어, 조절을 통해 그 번식 욕망을 제어하고 환경변화를 막아보려는 시도가 발생하는 것도 일견 당연하고 가당한 수순의 일이기는 합니다.
      지구라는 암석형 행성 얇게 굳어있는 표면의 최 겉 표면에서만 살짝 덮여있는 유기체 생물군 중의 일 종이 한때 번성하다 멸종하고 또 다른 종이 대체하고 하는 것이야, 지각판이 흐르고 빙하기 과열기가 순환하듯이 늘상 반복되는, 그래봤자 기존 물질 총량에 아무런 의미있는 변화도 못되는 상태의 변화 반복 뿐.
      관점을 줄여 인간의 이기심에서의 특정 환경 고정을 원하고 기대하는 것인데..
      그 후세 인간이라는 것도 현 인간 개체 모두의 자손은 아닐, 일부 성공한 개체의 재확산 자손이겠으니, 굳이 현생 인간이 성공 기회인, 현재의 이익을 포기하고 미래에 양보하자는 슬로건으로 인간간의 경쟁체제에서 얼마나 현실성이 있을 건지가 우선 회의되고. ( 공산주의도 이론상 윤리상으로는 유토피아였죠. )
      영장류 기반의 유기체 종인 인간의 현 정체성이 미래에도 과연 얼마나 유지될 수 있을까는 그저 물음표이니, 만일, 인간의 정신을 복사할 수 있다면, 무엇이 인간이며 개인 일 까의 존재론이 기술에 의해 해체되는 상황도 그리 멀지만은 않은 듯 하고.. 먼 행성으로의 이주에 유기체 아닌 복사된 정신을 담은 컴퓨터를 실어 소요되는 긴 시간을 극복하고, 새로운 그 곳에서 그 곳 상황의 유기체에 새로이 인간의 이성 정신을 심는다면 그 유기체가 신인류가 아닐 이유는 과연 무엇일가? 아니! 인간정신의 복사체 기계 그자체가 이미 인간이라 할 것이니 (하드웨어만이 다른) 호모사피엔스의 정체성을 하드웨어 육신의 보존에만 집착하는 의식 도한 어쩌면 어리석을 수도..
      대자연의 50억년 진회속에서 개발되어진 신경회로의 집적사태. 이성의 개발이라는 소프트웨어는, 설사 인간이 가진 다른 생물학적 본성 (번식욕, 경쟁심, 물욕 등..)과 현실과의 괴리 모순에 의해 하드웨어인 인간종 자체가 멸종한다 하여도, 언제나 그러했듯이 새로운 하드웨어, 즉, 새로운 종에 의해 새로운 버전으로 이어지며 진화할 것이므로 그닥 아깝지는 않으리라 보임.
      지속가능..은 영원을 꿈꾸며 한정된 시간만을 살아가는 존재의 한여름밤의 꿈이 아닐지..

    • @user-yi4ch3sw4e
      @user-yi4ch3sw4e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인간은 대부분 고상한척 하는것이군요, 그렇지도 않은것들이

  • @user-xe2tn8xw7z
    @user-xe2tn8xw7z 11 місяців тому +16

    목요일 일하다 아마존 알람뜨면 기분 좋아짐

  • @leejuyoung
    @leejuyoung 11 місяців тому +21

    49초 전은 못참지요... 교수님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제 여자친구가 지난 번에 출근길에 교수님 만났다고 자랑하던데 얼마나 부러웠던지... 포근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 @yuutadao
    @yuutadao 11 місяців тому +14

    새들이 높은 산으로 모여 극심한 경쟁을 하다 멸종한단 부분이 마치 한국세상의 단면을 보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프네요

  • @paulkim4636
    @paulkim4636 10 місяців тому +28

    최재천 교수님을 뵈면, 지식인의 자세, 어른의 자세를 배웁니다. 겸손하게 배움을 통해서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끼치시고, 어른이라 에헴하지 않고 소통하시는 모습에 깊은 감동입니다. 저도 에렇게 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알~러뷰!

  • @Helium5120
    @Helium5120 11 місяців тому +21

    아직도 기후변화에 대한 이야기를 뜬구름 잡는 소리라고, 남의 얘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은 것 같아요. 교수님 같은 분들이 계속 말씀해주셔서 한 사람이라도 더 경각심을 가지면 좋겠습니다. 지치지마시고 꾸준히 좋은 말씀 전해주세요. 응원합니다.

    • @user-uu2jv5bc9q
      @user-uu2jv5bc9q 10 місяців тому

      뜬구름 잡는소리고 남의 이야기맞아요.

  • @averyavellan2788
    @averyavellan2788 11 місяців тому +55

    교수님이 영상마다 추천해주시는 책들이 굉장히 많은데 이런 추천도서를 한데 모아서 추천도서목록을 주기적으로 제작해보시면 어떨까요? 저도 종종 관심가는 책은 제목을 적어두고는 하는데 그래도 목록을 공식으로 제작해서 주신다면 정말 너무 편하고 좋을 것 같아요ㅎㅎ

  • @ShrimpRoyalNewRoyal
    @ShrimpRoyalNewRoyal 11 місяців тому +17

    예전까진 진화라고 봤는데 어느샌가부터 퇴화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식은 아는데 상식은 없고 공존과 협동보다 경쟁과 파멸을 선택하고 사회전체가 돈과 이기주의로만 흐르며
    특히나 대한민국만 놓고 보자면 그동안의 장점이었던 정마저 사라지며 망해가고 있다는게 정답이 아닐까

  • @jitwo2002
    @jitwo2002 11 місяців тому +18

    14:55~
    어쩌면 인간이 미래를 이렇게 열심히 가져다 쓰는 게
    원래 의도는 그 목적이었다고 생각해요
    우리 아이에게 조금이라도 더 좋은 세상을
    조금이라도 더 좋은 미래를 주고 싶은 생각으로
    그렇게 가져다 쓰기 시작했던 거죠
    다만 그 재료들조차도 아이에게서 빌려온 거라는
    생각을 못 한 게 문제였죠
    아직은 늦지 않은 거라면 좋겠네요..
    오늘도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해요 교수님^^

  • @user-dq3qd2qd8p
    @user-dq3qd2qd8p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교수님, 존경하고 감사합니다♥♥♥

  • @blayer5029
    @blayer5029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오늘도 소중한 영상 감사합니다!

  • @user-cv2fd8tl3s
    @user-cv2fd8tl3s 3 місяці тому +1

    짧은 강의로 엄청난 양의 지식을 얻어갑니다.

  • @user-ik8rv2dj8j
    @user-ik8rv2dj8j 11 місяців тому +11

    교수님 존경합니다. ㅠㅠ 정말 많은것을 생각하게 해주시는것 같아요...

  • @gangsterintheroom
    @gangsterintheroom 11 місяців тому +20

    인간의 기원/유래 책 찾아보니까 절판이거나 엄청 오래된 구판 밖에 없어서 아쉬웠는데 내년쯤 교수님 번역본이 나온다니 기쁜 소식🎉

  • @Mariano45naver
    @Mariano45naver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안녕하세요 😄 유시민작가님 발언으로 구독하고 관심가지로
    왔어요 잘보고,듣고,생각할게요

  • @user-lw8bx2pj3v
    @user-lw8bx2pj3v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좋은 책 추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시간될때 사서 읽어봐야겠네요.

  • @user-me7un6pf3g
    @user-me7un6pf3g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교수님, 오래 오래 건강하세요
    좋은 말씀 많이 들려주세요

  • @user-yo3pb1qf6u
    @user-yo3pb1qf6u 11 місяців тому +8

    미래를 위해 살도록 더 노력하며 지내야겠습니다~^^ 교수님 말씀 책 추천 너무 감사합니다!! 좋아요 ~~💝

  • @user-nf7wh7ih6w
    @user-nf7wh7ih6w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항상 항상 좋은 말씀 - 지성의 목소리 ~ 너무 감사합니다 ~

  • @moyacafe2658
    @moyacafe2658 10 місяців тому +6

    최재천 교수님의 영상 너무나도 감동적으로 유익하게 잘 봤습니다.💯👍👍👍

  • @user-wl3jl4fg9j
    @user-wl3jl4fg9j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낭만적이십니다^^~
    삶에 사랑이 넘쳐서 참 좋습니다
    건강하시고요 교수님

  • @love.happiness.official
    @love.happiness.official 11 місяців тому +48

    미래세대를 생각한다면 편하고 좋기만 한 삶만이 더 이상 최상의 가치가 아닐 수 있겠구나 싶네요. 그래서 앞으로는 조금은 불편하거나 수고스럽더라도 그러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게 더 가치 있게 느껴질 수도 있겠구나 싶습니다. 오늘도 좋은 책들을 소개해주시고 환경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자주 일깨워주시는 점 참 감사합니다. 장마기간인데 빗길 조심하시고 행복한 하루되세요^^!

    • @user_Naeng-sue
      @user_Naeng-sue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추진할 마음이 정말로 있다면 수고스러운 정도로 안 끝날 겁니다. 병원 없는 세상이 환경에 이로운 세상이니까요

    • @yaeyae-ex8yb
      @yaeyae-ex8yb 7 місяців тому

      미래세대를 생각한다면 태어나지않게 만드는 것
      출산은 죄악이며 애생각 일절없는 무책임하고 이기적인 살인행위임을 사람들이 점차 깨달아 가고 있다
      나는 구한거다
      이 잔혹하고 끔찍한 세상에 태어남 당할 우리 아이들의 목숨을

  • @user-gr9uu2vv5z
    @user-gr9uu2vv5z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인간이 스스로 겸허해져야 한 발자국이 시작된다고 생각합니다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wb9xe8ip9q
    @user-wb9xe8ip9q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우와!! 진짜 댓글 잘 안 다는데 딱 올라온걸 봐서 남겨용 교수님 진짜 잘 보고 있습니다!!!!

  • @myoungjakTV
    @myoungjakTV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감사합니다. 교수님~ 항상 올려주시는 영상 바로바로 들으면서 완전 핵공감합니다. 이번 여름 추천해주신 책 시원하게 읽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banda-gom
    @banda-gom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좋은 책 추천 감사합니다. 책 추천 자주 해주세요.

  • @antiquajoo6928
    @antiquajoo6928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박사님 , 늘 저의 정신과 태도를 환기시키는 책 추천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yjlee10698
    @yjlee10698 4 місяці тому +1

    오늘도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교수님의 짧지만 굵은 영상으로 하루를 시작할 수 있는게 참 감사하네요!

  • @user-bs7hc3lk9h
    @user-bs7hc3lk9h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교수님 항상건강하세요❤

  • @daniel.k2357
    @daniel.k2357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현재 인류는 더이상 위대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인류에 대한 생각과 창의적인 발상을 하는 사람은 몇몇 소수에 불과하고 다들 현재 자신을 어떻게 남에게 보여줄지만 생각하고 있죠.
    이야기를 나눠도 시덥지않은 이야기만 하고 자기 발전이 없는 사람들이 너무 많습니다.
    사람들의 생각을 바꾸고 더 나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선 정말 생각이 깨어있는 누군가가 나타나야 합니다.
    막강한 힘을 가진 누군가가 사람들에게 경고하지 않는 이상 제가 보기엔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각 나라를 대표하는 사람들이 한 목소리가 되어 심각하게 경고하지 않는 이상 인류는 이제 답이 없다고 봅니다.

  • @mindsglee3320
    @mindsglee3320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교수님의 높은 통찰과 혜안 ..
    감사와 존경을 표하고 싶습니다
    추천해주신 책 꼭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무더위에 건강 조심하시구요😊

  • @user-zu8ql4bo5m
    @user-zu8ql4bo5m 9 місяців тому +1

    들으면 들을수록 살이되고 뼈가되는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rp2gd3tu5z
    @user-rp2gd3tu5z 11 місяців тому +13

    교수님 감사합니다~ 강의하신 영상들 모조리 찾아 보면서 많이 배우고 반성하고 있습니다. 얼마전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와 감히, 아름다움을 읽고 다음 책 개미와 공작 고민중에 오늘 영상보고 인간 등정의 발자취 읽어보려 합니다~ 이른 긴 장마 건강 조심하시구 늘 행복하세요~❤

  • @SamuelSmith1221
    @SamuelSmith1221 11 місяців тому +309

    아직도 진화가 진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답답.. 진화에는 방향성이 없음.. 환경에 적응을 했냐 못했냐가 중요..

    • @user-ne2vo6fs9t
      @user-ne2vo6fs9t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교수님의 지구환경 견해가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길 바람니다 늘 좋은 콘텐츠 감사합니다 😊

    • @user-js8sw4db9t
      @user-js8sw4db9t 11 місяців тому

      환경이 왜 나와요..?

    • @user-iv2op3ri9l
      @user-iv2op3ri9l 11 місяців тому +22

      환경이 왜 나오냐?
      진화와 환경은 뗄 수 없는 것입니다. 삶 자체가 환경의 적응인데.

    • @user-zl2dc6zs5n
      @user-zl2dc6zs5n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Bluefishbread 저도 이얘기에 동의합니다

    • @user-dw4dx7kk4y
      @user-dw4dx7kk4y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진보라는 개념또한 시대에 따라 다르기때문에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다름.. 당대의 환경에 맞추어서 적응적 진보를 한다는 명제는 옳음

  • @miracle9313
    @miracle9313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오늘도 잘 봤습니당 요즘 교수님께서 예전에 쓰셨던 생명이 있는것은 다 아름답다 책을 보는데 영상들에서의 교수님 말투(?)랑 겹쳐지면서 글이 읽어져서 너무 재밌어요😂😂 다른분들 말씀처럼 오래오래 건강하게 이야기 많이 들려주세요❤

  • @swd2121
    @swd2121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감사합니다~~!! 이런 책추천 주제 너무 좋습니다.
    평상시에 몰랐던 책이나 정보에대해서 알 수 있고
    새롭게 알게되는 것도 많고 시야도 넓어지고 좋습니다.
    이건 저의 욕심이긴하지만...
    앞으로도 계속 주기적으로 이런 좋은 책들을 추천하는 주제가 많았으면 좋겠습니다..ㅠㅠ
    책의 장르 상관없이요..ㅎㅎ
    요즘에는 새로운 책들을 알게되고 읽을 생각만하면 흥분이되네요..ㅎㅎ
    참신하고 새로운 내용도 알게되고 좋은 것 같습니다~~!!

  • @user-ii9cd8sn9s
    @user-ii9cd8sn9s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책추천영상 잘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vn5dc4dk1p
    @user-vn5dc4dk1p 9 місяців тому

    교수님 오늘도 고맙습니다 🙏 😊 모두들 행복하세요 평온하세요

  • @meekyoungkim5078
    @meekyoungkim5078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항상 건강하시고 오래도록 저희에게 가르침 남겨주십시요
    감사합니다 ❤❤

  • @user-sg7ko4he6z
    @user-sg7ko4he6z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귀여운 교수님 ㅠ 오늘도 소중한 소신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말씀을 100만명이 봤으면 좋겠어요🥹

  • @user-qn1ss2ni8f
    @user-qn1ss2ni8f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교수님 말씀처럼 미래세대를 위한 마음으로 지구와 자연에 순응하여야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인간이 이타적인 존재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실은 그런데 인간은 이기적 존재잖아요..그러다 보니 자연파괴와 기후변화를 생각하기 보단 당장 나의 쾌적함과 편한함이 모든 행동의 기준이 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미래를 암울하게 보는 거죠..저느

  • @user-yt5zo3wt9p
    @user-yt5zo3wt9p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좋은 이야기고 한번에 이해어려워서 세번째반복시청중입니다😂❤😅😊

  • @sunny892923
    @sunny892923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소중한 교수님 영상 ㅠㅠ

  • @user-bx8xu1nh5u
    @user-bx8xu1nh5u 11 місяців тому

    선생님 말씀 너무 고맙습니다.

  • @user-nk7gu4fb5u
    @user-nk7gu4fb5u 9 місяців тому

    이 사이트 들으면 들을수록 마음이 편해지네요 ^^

  • @user-hr4yz7wi1s
    @user-hr4yz7wi1s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피난하는 자연, 염려도 되고 특히 흥미롭습니다.

  • @Imwfy-birch
    @Imwfy-birch 11 місяців тому +16

    교수님~
    안녕하세요..?
    장마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네요.
    역시 교수님의 channel을
    통해 귀한 지식을 늘 담아감에
    감사드립니다!!
    "모든 동물은 존재의 흔적을
    남기지만
    오직 인간만은 창조의 흔적을
    남긴다는..." msg
    정말 기막힌 글귀입니다.
    오늘도
    행복한 마음으로 교수님의
    귀한 메세지 담아 갑니다.
    감사합니다!!
    '피난하는 자연'
    구입하여
    읽어보고 싶은 책이네요.
    교수님~
    항상 건강하세요!!

  • @user-wt6jr2hw1q
    @user-wt6jr2hw1q 9 місяців тому

    교수님 감사합니다👍

  • @HEE-od4gh
    @HEE-od4gh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노교수의 위대한 안목에 한편을 잠시 들여다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sarlim_queen
    @sarlim_queen 8 місяців тому

    책 소개 감사드립니다! 알러뷰😘

  • @user-zv9fy5pg2u
    @user-zv9fy5pg2u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강의를 들으면 공감되는 것들이 많아 좋습니다. 종교가 없기에 편향적이지 않아 더 잘 받아들에게 되는군요

  • @user-yt5dk6qg2p
    @user-yt5dk6qg2p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환경에 한번더 생각케 해주는 내용입니다.

  • @user-yf1rg7eb7f
    @user-yf1rg7eb7f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교수님 영상은 어떤 주제든 참 재미 있어요.
    무식한 저지만, 어렵지 않게 이해가 잘 되요.
    하핫

  • @user-wu7us8ti5y
    @user-wu7us8ti5y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총균쇠에 피사로이야기가 참 기억에 남았습니다
    그후 다른내용은 전혀 기억이.. 한번더 읽어 봐야겠어요 *^^*

  • @ccoccosong3284
    @ccoccosong3284 11 місяців тому +7

    너무 좋은책 선정 감사합니다 교수님❤
    저두 환경 지키기에 진심입니다
    제발 한사람 한사람이 자각했으먼 좋겠어요
    매일 빌려쓰는 환경 생각하며
    독서 하겠습니다
    좋은 영상 너무 감사합니당 🤗💜💜

    • @user-ni2wl5ip7f
      @user-ni2wl5ip7f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도 나무한그루 꽃나무등..심고 가꾸는게 취미입니다

  • @user-jb7ys8ff6g
    @user-jb7ys8ff6g 11 місяців тому +8

    작년 겨울? 부터 교수님 강의영상 구독하고 잘 듣고 있습니다. 올봄에는 제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에 학생들이 읽으면 참 좋겠다 싶어서 도서관에 구입희망 도서로 어린이들 대상으로 개미에 관해 쓰신 도서 시리즈 등등 신청했습니다.
    앗! 그런데 오늘 4학년 국어 교과서에 교수님 글이 실린걸 봤지 뭡니까? 인간과 동물에 관한 4쪽짜리 입니다. 본문에 실린 어려운 단어를 추측해보고, 사전에서 찾아 정확한 뜻을 알아보는 단원입니다. 저자소개 차원으로 유투브영상을 잠깐 보여주고 수업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부분에서 넘 반갑고 좋은 글이어서 댓글 남겨봅니다.

    • @user-jb7ys8ff6g
      @user-jb7ys8ff6g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실린 글 내용이 이번 강연과 맥락이 같습니다. 초등학생이 이해하기 쉽게 여러 동물들 예시를 들어 쓰셨어요~ ^^

  • @Squirreltaylor85
    @Squirreltaylor85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감사합니다

  • @user-xt2nj4cx8n
    @user-xt2nj4cx8n 8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user-eb9bt4ps4z
    @user-eb9bt4ps4z 2 місяці тому

    교수님 감사해요
    존재합니다 ❤❤

  • @user-ft3td4is6z
    @user-ft3td4is6z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좋아요.❤

  • @sungjakang1292
    @sungjakang1292 2 місяці тому

    존경합니다 교수님

  • @user-cu8yq2zh3f
    @user-cu8yq2zh3f 10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gerryy1705
    @gerryy1705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존경하는 최재천 교수님 ! 후쿠시마 원천 핵페기물 오염수 방류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솔직히 저는 더 이상 인간의 생존과 환경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 확신이 서질 않습니다. 열심히 재활용하고 환경을 위한 행동들을 하더라도, 바다가 오염 되면 인류의 파멸은 정해져 있는 것 아닐까요?

  • @user-zc9dh7og7i
    @user-zc9dh7og7i 10 місяців тому

    세상이 또 이렇게 연결되어있을 줄이야. 총균쇠를 먼저 접했고, 나중에 유투브를 통해 선생님을 접했는데요. 알고보니 선생님의 메아리를 먼저 접했었네요 😊😊😊 좋은 이야기 책추천 감사합니다❤

  • @user-ze1jq4fe1u
    @user-ze1jq4fe1u 11 місяців тому

    교수님 ! KIST 존슨강당에서 파란원피스 입고 가운데 뒷줄에서 봤습니다🦄❤ KIST연사 신청에 제가 엄청 여러번 신청했었어요!! 교수님 너무 팬이고 제가 제일좋아하는 유튜버인데 부끄러워서 또 부담스러우실까봐 사진찍자고 못했어요! 실물이 더잘생기시고 키도 크신거 같아요❤ 실물잘생김+아우라, 실물은 순둥순둥 느낌아니고 쎈캐임

  • @nocturna31
    @nocturna31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오~ 다윈 사진 보니까 딱 떠오르는 사람이 재러드 다이아몬드 교수...
    언뜻 보니까 이미지.인상이 비슷하네요.
    두분 다 관찰을 통해 우리가 어떤 존재인지 알려준 분들.
    사려깊은 얼굴.

  • @parkjun8009
    @parkjun8009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총균쇠,미래대한 책도 읽어보아야겠넹ㅅ

  • @user-ro3xl5oj1e
    @user-ro3xl5oj1e 9 місяців тому +6

    사람은 불편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원하는대로 되지 않고 하고 싶은대로 할 수 없어야 그나마 겸손해지지 않을까하는 이유에서입니다.
    예전에는 미래를 도구 삼아 환경 보호를 이야기 했다면 지금은 맞닥뜨린 현재로 충분히 위기를 느낄 수 있는 때가 된 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drkess9427
    @drkess9427 10 місяців тому

    광고지만 이런건 좋다고 생각합니다 질좋은 책을 많은 사람들이 읽게 된다는거 자체가 인식을 바꾸는 첫걸음 아닐까 생각합니다

  • @PoPo-df3ql
    @PoPo-df3ql 9 місяців тому +4

    저도 첫 아이 임신중인데
    이런 세상에 아이를 태어나게 해서 어쩌나 싶기도 해요 ㅠㅠ 제가 누렸던 당연한 것들을 아이가 못 누릴 수 있다고 생각하니…

  • @user-et5tu7bw8v
    @user-et5tu7bw8v 4 місяці тому +1

    일반인들에게 얘기해봐야 의미없이 변화될 뿐이죠. 인간사회를 이끄는 리더들 자본가들과 권력자들이 욕심을 내려놓아야 해결될 기미가 보일듯 합니다.

  • @Redbike02ya
    @Redbike02ya 11 місяців тому

    ㅎㅎ 말씀 넘 흥미로워서 뜨개질하면서 들을려고 구독 해요

  • @Seo-giyun
    @Seo-giyun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감사합니다 패러다임의 전환이 있어야만 인류의 종말을 막을 수 있겠네요 ㅜㅜ

  • @aig21c
    @aig21c 9 місяців тому +4

    교수님 본방은 못보고 재방은 또재방 하며 보고 듣고 있는데 볼때마다 견문을 넓혀주곷있습니다ㆍ
    감사 합니다 ㆍ🎉🎉🎉

  • @jaeyeonpark2530
    @jaeyeonpark2530 11 місяців тому +7

    교수님, 듣지도 않고 바로 좋아요 눌렸어요. 항상 감사합니다.

  • @jaykim7339
    @jaykim7339 10 місяців тому +17

    교수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로 해양 생태계, 더 나아가서는 자연 전체 생태계가 위협을 받을 수 있다는 생각에 걱정이 많은 요즘입니다. 특히 자연환경, 미래에 대한 고민과 경각심을 차분하게 잘 공유해주시는 선생님이 방사능 오염수 방류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실지 많이 궁금해요. 오염수 방류가 임박한 이 시점에 선생님의 생각을 나눠주시는 것이 더 많은 사람들이 생각해보는데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 부탁드려봐요.

    • @user-sl8il6my9u
      @user-sl8il6my9u 9 місяців тому +2

      차라리 하늘이 무너질까 봐 걱정하시지요?
      걱정도 팔자랍니다.

  • @heakyungpark
    @heakyungpark 10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다윈지능도 재미있게 읽고 있습니다

  • @user-ug9ol7qp5z
    @user-ug9ol7qp5z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개인의 미약한 힘이 미래를 지킬 수 없을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업과 국가적 차원의 자각이 없다면 미래의 환경이 지켜질 수 있을까요...계속해서 만들어내고 팔고 버려지고...미디어는 계속해서 소비만을 주입시키고 안타깝습니다 ㅜ

  • @user-tr9mc6xe9c
    @user-tr9mc6xe9c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고2 아들이 읽어보면 좋을것같아 잊고있다 갑자기 생각나서 "인간등정의 발자취"를 주문했어요. 본인이 지금이자리에 살고있는것대한 소중함을 깨닫기를 바래봅니다. 감사합니다.

  • @raccoonkami5377
    @raccoonkami5377 4 місяці тому

    유튜브의 선순환의 예라고 생각이 드네요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 @user-zv7uj9xj3r
    @user-zv7uj9xj3r 4 місяці тому

    이런 대단한 분이 박식은 기본이고 겸손하고 미래를 걱정하시니 얼마나 좋은가? 그런데 미래가 암울해 수심 가득하니 맘이 울컥해지면서 아프다.

  • @user-nt6to1nq9i
    @user-nt6to1nq9i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그러할진데,.
    자식도 없는 인간을 수장으로 세웠으니 나라의 미래가 없습니다..

  • @mihwadawson5737
    @mihwadawson5737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미국에서 오래 살고 있는 재미 교포입니다. 어떻게 하다가 교수님 채널을 보게 돼서 요즘 열심히 듣고 있습니다.
    이 큰 미국 나라가 요즘 하는 거를 보면 정말 갈수록 한심스럽 습니다.

  • @user-cg8go9eo3s
    @user-cg8go9eo3s 9 місяців тому

    미래를위한교수님강의너무너무감사드리며환경변화는작은것부터실천하려고합니다~~❤❤

  • @heesook6206
    @heesook6206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교수님,동의합니다.우린 다음 세대 별로 걱정 안합니다.selfish gene 탓일까요??

  • @boa20071
    @boa20071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인간 등정의 발자취가 코스모스의 원류같은 느낌이 들어서 서점 갈때 찾아봐야겠네요.

  • @user-xe9hc6dx2v
    @user-xe9hc6dx2v 11 місяців тому

    good!

  • @user-ty9lw1gy7w
    @user-ty9lw1gy7w 10 місяців тому

    교수님!저도 나이가퍽들었지만 될수있는한교수님 추천한책은 도전해보고있습니다.참 머리에지진이나는책도있고 그래도참을성있게 독서해나가다보니 조금씩 늙은머리가 열려나가지드라고요.독서는 빡세게하는것이란걸 익히기 까지 퍽많은시간이걸렸습니다.그래도 교수님께 감사한것은 늙은사람도 가능하며 삶의 의미가있는 노후를 보낼수있다는참좋은독서와공부였습니다.너무감사드리며 언제나좋은말씀은늘공감 합니다.교수님! 그래도우리인류가 미래가보장되는길에대하여 쓴소리마구마구 날려주세요.감사합니다.이여름건강하시고요.

  • @heily951
    @heily951 10 місяців тому

    오늘두 잘 봤습니다~
    그런데 유료광고포함이라고 뜨는데, 광고된 것이 어떤 책인가요?? 😮

  • @alexkwon9488
    @alexkwon9488 10 місяців тому

    The Descent of Man 번역 기다리고 있어요

  • @user-tv7gj1lm1v
    @user-tv7gj1lm1v 10 місяців тому

    God bless you

  • @hihet89
    @hihet89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총균쇠를 20년도에 사서 아직까지 읽고있습니다😅 이제 490페이지 봤나...

  • @user-soonboy2
    @user-soonboy2 10 місяців тому

    울컥하네요

  • @waynpark58
    @waynpark58 10 місяців тому

    이 시대의 진정한 학자이시며 어르신으로 존경합니다

  • @tazmania21
    @tazmania21 8 місяців тому

    원인은 자본주의의 보상체계 때문이겠죠~ 1년단위로 성과를 측정하고..보상하기 때문에..양적 팽창을 추구할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 @sokmmhealth
    @sokmmhealth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현수막 95%가 소각되어 우리 아이들 코와 폐로 들어가는데, 국회의원 놈들은 열심히 걸어 대네요. 우리 동네 대충 계산해 보니, 아마도 월급 1/3은 현수막 비용에 들어가는 것 같더라구요. 착한 국민들은 그런가보다 하고 가만히 있으니, 세계 최초 정당만 걸 수 있는 반헌법적인 "옥외광고물법"을 만들어 놓고, 국민 우롱 수준이 한계를 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