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숙해지려면 반드시 해야 하는 행동 (이경희 소장)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5 тра 2024
  • ■ 오늘의 심리학자
    내마음심리상담연구소 이경희 소장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과 초빙교수
    - 숙명여대 교육심리 및 상담 전공 박사
    - 숙명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상담 수퍼바이저
    - 숙명여자대학교 취업경력개발원 진로상담전문위원
    - 노사발전재단 전직지원센타 전문심리상담가
    - 천주교 성폭력상담소 평화의샘 상담원
    - 한국심리학회 상담심리전문가 1급
    - 한국심리학회 정신보건상담사 1급
    저서 『어른이 된다고 다 괜찮아지진 않았다』
    ■ 인터뷰 및 문의
    nolsimpsy@gmail.com

КОМЕНТАРІ • 163

  • @nolsim
    @nolsim  15 днів тому +34

    📚이경희 소장 『어른이 된다고 다 괜찮아지진 않았다』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1647859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_ 신간 『양수인간』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2720649

    • @user-br1nf1dy9n
      @user-br1nf1dy9n 15 днів тому

      😊😊

    • @TheJungcompany
      @TheJungcompany День тому

      하나 여쭤볼께요
      마지막 말씀 긍정으로 바꾸지마라
      긍정이라는 말의 의미를 알고싶습니다
      초대하신분의 생각으로
      말씀 부탁드립니다

  • @user-goorum
    @user-goorum 6 днів тому +58

    모든것을 공유해버리는것도 미성숙한 마음이네요. 어릴때 해봤어야 하는데 못해봐서 좀만 친근함이 느껴지면 나도 모르게 다 보여줘 버리는 거죠. 저도 그랬었어요ㅠㅠ

  • @choyeon10
    @choyeon10 9 днів тому +85

    제가 아주 미성숙한어른인데요.
    이 주제로 더 올려주세요.
    스스로를 바라볼 수 있게 되어서 너무 좋아요.
    극복 과정도 더 알고싶습니다.

    • @sunnyyy2209
      @sunnyyy2209 6 днів тому +9

      스스로 부족하다는 것을 알고 인정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더 좋은방향으로 나아가시길 바래요.

    • @user-eo3zr8zz6j
      @user-eo3zr8zz6j 4 дні тому +2

      본인이 미성숙하다고 인정하는 것 부터가 벌써 으른이야으른~~ 완전 멋져부러

    • @user-bt6pn7eh5m
      @user-bt6pn7eh5m 3 дні тому +1

      저도 많이 미성숙하지만 변화 하고싶어여

  • @user-bo9oh3en4i
    @user-bo9oh3en4i 12 днів тому +65

    무조건 싫다고 단호하게 거절하는것보다
    거절도 재치있게 지혜롭게 솔찍하고 맘상하지 안게 타인과 나를 생각하며
    거절하는방법도 성숙한 사람이 되가는것같습니다 절대적으로 아닌것은
    단호하게 딱 잘라야죠!

  • @yourangtv
    @yourangtv 15 днів тому +120

    미성숙한 어른들이 너무나 많은 사회에서 심리적문제의 초점을 미성숙에서 찾아가는 것이
    아주 좋은 방법으로 보입니다

  • @chamaemelumnobile
    @chamaemelumnobile 15 днів тому +150

    미성숙한 사람의 특징
    1. 외부의 영향을 많이 받는 사람 2:40
    2. 의존적인 사람 3:57
    3. 심리적 거리 조절의 어려움 5:36
    4. 유아적 자기애 7:03
    5. 완벽주의 - 좌절을 견디지 못하고 이상적 세계에만 머물러 있음 9:10
    6. must, should, would 중 must와 should가 많다 11:49
    해결책 13:42

    • @user-nu3hp6mo2f
      @user-nu3hp6mo2f 15 днів тому +13

      저도 직장에서 만난적있는데
      계속 밀어내는게 답인거같아요ㅋㅋ
      상처받는지 모르겠지만 어차피 또 다가오니까ㅋㅋ
      나좋다고 다가오는건 고맙지만 사실 배려는 다른사람들보다 덜하고 자기필요해서 그러는거같아요

    • @user-jj3ic1mq4y
      @user-jj3ic1mq4y День тому

      의존적이고 거리조절을 못한다는게 저였어요. 거리를 좁히고 진심으로 대한다고 생각했는데 상대도 그렇게 오픈안해주면 상처를 받곤했죠 그후론 반대로 상처안받려고 거리를 두고 스스로를 보호하게 됐는데 그러다보니 혼자고 외롭게됐어요 결혼하고 단짝 배우자 만나면서 많이 안정을 찾았습니다. 문제는 알았는데 해결방법도 알려주시면 좋겠네요

    • @TheJungcompany
      @TheJungcompany День тому

      해결책 : 괴로운 것을 긍정으로 바꾸지마라

  • @korea1316
    @korea1316 15 днів тому +436

    개인적인 의견을 말씀드려보면 불만사항이 있을 때 단호하게 할말을 못하고 돌려까는 사람들, 미성숙하다고 생각합니다.

    • @silverg2314
      @silverg2314 15 днів тому +157

      직괴수준으로 직설적인사람도 미성숙함

    • @user-uq8dc1zj8d
      @user-uq8dc1zj8d 15 днів тому +47

      맞아요
      삐지는걸로 불만을 표현하는거..
      가까운 사람 입장에서 너무 힘들어요~
      불만이나 갈등은 충분히 대화로 해결할 수 있는 성인인데.. 😂

    • @vz5rg
      @vz5rg 15 днів тому +27

      아.... 여초직장인데...정말 잘 삐지던 50다되가던 아줌마... 단순동료도 넘 힘들었던... ;;;

    • @azzing_v
      @azzing_v 15 днів тому +42

      ​@@silverg2314저두 이게 미성숙하다고 생각돼영
      자기 의사를 제대로 말 못하는것도 문젠데
      너무 자기중심적으로만 행동하는것도
      성숙하지 못한 태도 같아용🙂🙂

    • @user-zn5pr6oh7l
      @user-zn5pr6oh7l 15 днів тому +1

      사이다. ㅠㅠ

  • @9rnrmf82
    @9rnrmf82 14 днів тому +53

    미성숙한 어른들..자기삶을 살지 못하고 엄마삶 대신 살아주는 자식도 그렇겠네요..경제적이든 정신적이든 독립 못하고...가족간 갈등이 생기면 서로간에 해소 못하고 주변 타인에게 투사시키는것도 미성숙하니 그렇군요

  • @user-vv2uz2bc4e
    @user-vv2uz2bc4e 6 днів тому +17

    미성숙이랑 지능이 낮은 걸 착각하는 댓글들 보이네요.
    그리고 몇몇 댓글은 미성숙한 자아로 인해 겪는 괴로움을 일반적으로 살면서 겪는 작은 문제들로 바라보고 쉽게 얘기하시는 분들도 많네요. 그냥 맘먹으면 극복할수 있다. 정도로 퉁치는..
    저는 이번 강의가 너무너무 도움이 됐어요. 정말 살기가 힘들었거든요. 감사합니다.

  • @user-qj8qv5wz8k
    @user-qj8qv5wz8k 13 днів тому +9

    핵심을 얘기해주는 방송이었습니다!놀심님 땡큐❤

  • @justdoit1259
    @justdoit1259 15 днів тому +48

    저도 어떤 면에서는 미성숙한 어른임을 반성하게 되네요~깨닫게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 @lavita6928
    @lavita6928 8 днів тому +5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많이 반성하고 갑니다

  • @user-mr7cf7cf7x
    @user-mr7cf7cf7x 11 днів тому +6

    삶을 살아갈 때 도움이 되는 중요한 이야기를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힘이 되었습니다.

  • @user-bs2lb7np8s
    @user-bs2lb7np8s 15 днів тому +30

    그렇게 따지면
    지금 가정이 무너지지 않고
    사는것도 감사한데요
    일단은 무례하면 제 자신부터 챙깁니다.가족이든 누구든.

  • @user-pe4uw2qo3b
    @user-pe4uw2qo3b 9 днів тому +25

    마음공부를 50살이다 되어서 알게 되었어요 마음이 편하니 성인이된 아들딸이 나보다 나은 사람이라 부럽고(나이가) 존경합니다

  • @YunaLee_521
    @YunaLee_521 6 днів тому +2

    와 진짜 영상유익해요 감사합니다 이경희소장님 감사합니다 책도 꼭 읽어보려구요❤

  • @user-te3ys2vm8t
    @user-te3ys2vm8t 12 днів тому +15

    나의 의견(좋고 싫음 포함)을 정중하면서도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과 나의 감정을 인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걸 한 번 더 깨닫습니다. 실천까지 노력해봐야겠어요! 나의 긍정적 감정은 맘껏 표현하고 부정적 감정도 충분히 헤아려주는 것. 어렵지만 꾸준히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hanil5594
    @hanil5594 11 днів тому +2

    오늘 소장님의 미성숙한 어른의 분류가 너무 와 닿았어요.
    보통은 정신분석학 이론등을 가져와서 설명하는데 일상에서 적용이 쉽지 않았거든요.
    감사합니다.

  • @yisuah
    @yisuah 8 днів тому +2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 @user-fq5ef4ed5l
    @user-fq5ef4ed5l 15 днів тому +58

    부정적 감정도 소중하다는 걸 새삼 느낍니당

  • @youngmicho2430
    @youngmicho2430 5 днів тому +5

    이경희 선생님 안녕하세요?
    수련생때 선생님께서 좋은 가르침 주셔서 많이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항상 감사하는 마음 간직하며, 선생님 가르침대로 좋은 상담자가 되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영상으로 선생님의 건강한 모습 뵈어 정말 반가운 마음이예요.
    선생님,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기원합니다 ❤

    • @user-zt1zx5rp7t
      @user-zt1zx5rp7t 5 днів тому +2

      샘~~~너무 너무 반가워요^^ 워낙에 기본이 좋으셔서 좋은상담자가 되었을거라 생각되네요~~

  • @amykej
    @amykej 13 днів тому +8

    참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 @user-ps3bo8rm7p
      @user-ps3bo8rm7p 3 дні тому

      재참큰도움그녀비국롤빈각시노총각문턱큰집맛없재

  • @yisuah
    @yisuah 8 днів тому +7

    감사합니다.

    • @nolsim
      @nolsim  7 днів тому

      후원 감사합니다!!

  • @gogumyy
    @gogumyy 8 днів тому +4

    과거의 저네요 ㅎㅎ
    어릴때라 혼자 괴로워했는데 지금은 많이 나아졌어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riri4821
    @riri4821 3 дні тому +1

    미성숙함을 성숙함으로..당당하게 자신을 표현해가는것 이라고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tf3yz1ms1n
    @user-tf3yz1ms1n 15 днів тому +37

    난가? 하고 들어와봤습니다.

  • @user-et6ij8lt6d
    @user-et6ij8lt6d 11 днів тому +37

    발달심리학 전문가들에 따르면, 어릴 때 엄마나 할머니와 함께 말(대화)을 많이 하고 다양한 피드백을 많이 받고 자란 아이들이 자아정체감 형성이 잘 되고, 더 나아가 자기애와 자존감이 건강하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 심리학 공부를 깊이 있게 많이 할수록 100%까지는 아니더라도 대체로 맞는 것 같습니다. 한국사회의 부모들은 학교 공부, 성적, 입시, 좋은 대학, 좋은 직장이라는 프레임에 갇혀 있어서 아이들의 정신건강, 심리(정서)발달에 신경을 거의 못쓰는 것 같아 너무 안타깝네요! (사실 어떻게 할 줄 몰라서 그런 걸 수도 있겠지만) 정작 중요한 건 등한시 하고[못하고], 피상적이고 덜 중요한 것들에 얽매여 아이들을 불행하게 만드는 건 아닌지 곰곰이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요?

    • @skwapam3845
      @skwapam3845 6 днів тому

      그래서 니 직업은? 직접 해본 것도 없는 방구석 벌레가 한심하긴

    • @user-nx1qf4ob4d
      @user-nx1qf4ob4d 3 дні тому

      아빠나 할아버지랑은 효과가 없나요? 안써있길래 진짜 그래서인가 궁금해서요

  • @allicechan854
    @allicechan854 15 днів тому +51

    저는 고통을 얘기하면 항상들었던 얘기가 니가 이해하란 얘기였어요 차라리 같이 상대방 욕이라도 해줬으면 덜화가났을텐데..

    • @Sigma-Male017
      @Sigma-Male017 10 днів тому +2

      글만봐도 미성숙한게 보이네요
      성숙의 기본은 자아성찰 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쁨을 나누먼 두배가 되지만
      고통도 나누면 두배가 될수도 있단걸
      상대방 입장에서 생각해 본적은 없으세요?
      더 나아가, 그쪽 때문에
      단지 친하다는 이유만으로
      제 3자가 당신편에 서주고
      누군가를 욕하고 싫어하는척
      해야 하나요?
      누군가를 미워해야 하는것도
      심리적으로 고통스럽습니다
      그쪽은 그 고통을 강요하는 것이구요
      본인입장보다
      상대입장에서 한번더 이해해보려고
      하는것이 성숙한게 아닐까요?

    • @user-sr6nf5wz9d
      @user-sr6nf5wz9d 9 днів тому +11

      ​@@Sigma-Male017미성숙하시네요 성숙하면 이렇게 가르치듯 누구가에게 말하지 않고 이해를 하려하죠

    • @eelee6056
      @eelee6056 7 днів тому

      @@user-sr6nf5wz9d ㄹㅇ ㅋㅋ

    • @user-lc6kn5rd4o
      @user-lc6kn5rd4o 6 днів тому +2

      ​@@Sigma-Male017아픔을 같이 공감해주는 것도 성숙한 자세랍니다

  • @happyjung7190
    @happyjung7190 4 дні тому +2

    귀한 강의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두 분이 서로 조금만 더 떨어져서 앉으시면 보기가 좋을 것 같아요~

  • @yes0111
    @yes0111 10 днів тому +15

    그런거 같네요..
    저도 어릴때 싫어도 거절 못하고 속으로만 생각하고 그랬는데..

  • @happy._7
    @happy._7 15 днів тому +49

    어릴땐 어른을 보고 저 어른은 왜 저러고살까 했는데.
    내가 그러고있음.
    어릴땐 천상천하유아독존 이라서
    아무것도 모를때라 최상의 모습만 최고라 하고 그것만을 따라살려고 했고.하지만 인생은
    최상의 것은 소수였고.
    다수는 그저 중간이라도 가자고 노력하며 살고있음.나는 중간은 커녕 최하위만 되지말자고
    노력하며 사는중.
    어릴땐 거만 교만하게 살고.
    나이들면 주늑만 들어가고있다.
    그것은 내가 현실 파악이 됐다는것ㅋ
    똑똑하고 지혜로운사람은 환경에 적응을 잘하고 융통성을 가지고 잘 사는것같다.
    나는 그런사람이 너무 부럽다.
    지혜로운 사람이 젤 부럽다.지혜는 돈으로도 살수없고
    공부한다고 얻어지는게 아니었다.
    타고나는것이었다.
    부럽다진짜.
    나는 미성숙하게 나이를 먹어가고있다.
    어릴때 어른을 바라보는시각과
    어른이되서 어른을 바라볼때 시각은 현실파악의 결과같다.
    어릴때 현실성없는 희망을 갖게 하는 교육법 하지않으면좋겠다.
    그냥 개인에 맞는 희망을 갖게 하면좋겠다.어른되서 그것처럼 허무한것도 없다.
    예를들어 그림에 소질없는 애한테 너도 노력하면 잘그릴수있어.노력하면 저사람처럼 훌륭한 사람이 될수있어.그런거.
    사람마다 다른데 똑같은 희망교육은 없는사람에게는 어른이 되어서는 허무밖에 남지않는다.
    현실파악하고 자기가 잘하는것을 노력하라고 교육하면 좋겠다.
    내가 다른사람보고 손가락질 할입장이 안되는데
    나도 손가락질 하긴한다 ㅋ
    진짜 못된것들한테 ㅋ
    그리고 나는 정신 연령이 낮은것같다.
    나이만 먹었지,.하는행동은 초 중 고딩 같음..너무 부끄러워.그래서 내나이 얘기하기싫음.
    부모한테 타고난것같음.
    이럴땐 내가 어떤마인드로 살아야할까?.우리부모도 나잇값을 못하고 살고있음.
    이런건 유전적으로 봐야할듯..교육한다고 되는게 아님.
    난그래서 나잇값 하고
    사는 사람들이 이사회에 많아야
    사회가 건강하고 나라발전에 기여한다고봄.
    보고 배울게 있는 어른.지혜로유 어른.심성이 고운 어른.
    딱좋은 어른상이네요.
    나는 저거에 해당되는게 없음.
    그래서 항상 의기소침함.내가 나를 알기에..어릴땐 진짜 교만 가식 ㅋ 적으로 살았는데
    지금은 내자신 파악은 살고있음.하지만 자신감이 없어져서 매사가 나보다 남입장 먼저 생각하고 .웃기는 인생을 살고있음.어릴때랑 지금이랑 반반이면 좋겠지만.현실 파악이 되서 그렇게 되지는 않을것같고
    그냥 열심히 해보자 식임 ㅋ
    목표도없고 후회할짓만 하지말고 살자.
    나같은사람이 사회에서 굳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태어났으니까 잘 살아봐야지ㅋ
    진짜 나같은부류 사람 내가 봐도 너무 싫다.
    나같은사람은 적어지고
    좋은사람이 많아지는 한국이 되면 좋겠음.
    발전에 도움되는사람들 좋은사람들이 많아져야 사람활기도 돋고
    사는맛이 날거고
    나라도 발전할거고
    나도 어딘가에 쓸모가 있겠지 조금이라도..ㅋ
    이런식으로 살고있음.
    정신연령 이 내나이에 비해서
    많이 어림.초딩하고 대화가 통할수준 ㅋ 어른다운구석이없음..부끄럽다 진짜..아...나 지금 글쓴거보면 나이든 티는 나도 정신연령은 낮은게 글에서도 보임.내가봐도..ㅋ
    끝에 요약 몇줄좀 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임.영상이 길어서 .

    • @user-re3ni6xd9p
      @user-re3ni6xd9p 12 днів тому

      충분히 성숙한 어른이신거같은데요

    • @bluesky-ew3un
      @bluesky-ew3un 12 днів тому +3

      메타인지가 매우 뛰어나십니다
      자신를 지극히 객관적으로 바라볼줄 아는 사람 많지 않습니다
      그것만으로도 잘 설계하며 사실것 같아요

    • @happy._7
      @happy._7 11 днів тому +5

      @@bluesky-ew3un 메타인지라는거 첨알게 되네요.찾아보니 자기성찰?같은거네요.
      뛰어나지는 않고 종교가있다보니 아마도 자기성찰이 좀된것같기도..
      옛날에는 나자신을 객관적알지못해서 교만했고..지금은 자연스레? 나자신을 알게되었네요?
      설계를 할정도는 아니에요 ㅎ
      그정도 되면 아마 자신감이 있겠죠.
      어릴때 근거없는 자신감이 있어가지고 그게 교만과 자신감으로 들어난것같아요.진짜 근자감.
      그래도 간만에 칭찬을 들으니 어색하기도하고 살짝 좋기도하고 살짝 부담 스럽기도하기도 그렇 네요ㅋ
      칭찬들으면 너무 부담스런성격을 타고나서..ㅋ

    • @happy._7
      @happy._7 11 днів тому +1

      @@user-re3ni6xd9p 진짜 그런 사람이면 얼마나좋아요.글을 통해 그렇게 느ㄲㅣ셨다니..제글에 가식이 살짝있나봐요ㅎ그래도 감사하네요.칭찬들은지가 초딩 저학년이후로 없어서 ㅋ
      내인생 최고는 초딩 저학년때인것같음.그땐 아무생각없이 살았는데.ㅋ학교도 아무생각없이 다니고 귀여움 받은시기.
      하는행동이 초딩에 머물러있는중.

    • @user-bb7on6ui8b
      @user-bb7on6ui8b 10 днів тому +2

      미성숙한 분이 아닌것 같네요 인간은 모두 미성숙한 존재더라고요 깊숙히 들어다보면요

  • @jjjjjjjp01
    @jjjjjjjp01 15 днів тому +28

    내 마음을 잘 들여다보고 괴로움을 긍정으로 바꾸지 말았으면 좋겠다라는 말이 와닿아요. 사회생활하면서 사실 참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나를 지키는게 먼저구나 머리로는 알면서 실천하기가 어려운 거 같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eternal_life9494
    @eternal_life9494 12 днів тому +9

    말씀하시는 부분들도 다 맞고...
    내면의 문제가 해결되지않았던 5.60대 부모님 세대로부터 이어져오는 뭔가가 있네요... 의도하지않았는데 자식인 나에게 이어져 온 그걸 뒤늦게 풀어보기위해 애쓰며 살아야하고... 쉽지않네요.

    • @mrrobot3950
      @mrrobot3950 8 днів тому

      성인은 어린 시절의 영향을 받고, 어린 시절은 부모의 영향을 받는데 그때 당시 부모님은 자신의 행위가 자식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모르다보니 성인이 된 아이는 스스로 문제점을 찾고 해결하려고 노력하게 되네요

  • @happymy4624
    @happymy4624 12 днів тому +7

    좋은강의감사합니다. 근데 중간중간 컴퓨터 확인하셔서 좀산만했어요~ 대부분 다 인지하고 말씀하시던데 아님 앞쪽에 두셔서 티안나게 보셨으면 어떠셨을까 싶네요.

  • @vz5rg
    @vz5rg 15 днів тому +15

    집중하면서 들었어요. 소름끼치도록 와닿는것도 있었고요 극단적은 아니지만 조금씩 다 경험했던것 같아요...유아적 자기애 뺴고요..(예시든거 극혐;;)전에는 눈치를 많이보던때가 있어서 저랬어도 티를 잘 못냈어요;; 속으로는 날 이상하게 생각하면 어쩌지? 품고 살면서 아닌척 평균? 처럼 살려고 했었어요...그래도 티는 났겠지만 ㅋ 사고가 확장되는 강의였어요 ㅠ 감사합니다.

  • @user-lc6kn5rd4o
    @user-lc6kn5rd4o 6 днів тому +12

    성숙한 사람이 얼마나 된다고
    여초직장 50대 아줌마들만 봐도 다들 지밖에 모르고 남 뒷담화 하기에만 바쁘더라 아주 질려버림

    • @user-db3vi4dr1d
      @user-db3vi4dr1d 4 дні тому

      그런 사람들이 대부분 민주당 찍더라

  • @user-goorum
    @user-goorum 6 днів тому +7

    5:38 심리적 거리 조절 이거 참 어려운거 같아요..

  • @futurekim5197
    @futurekim5197 8 днів тому +2

    저도 참 거절못하고 우유부단했지만 변합니다 ㅎㅎ 노력하면 돼요 ㅎㅎ

  • @titinasekr
    @titinasekr 15 днів тому +12

    저에게도 유익한 내용들이면서 동시에 내가 아이의 성숙한 자아 성장에 어떤 도움들을 줄수있을까 생각해보는 내용이네요~ 감사합니다!

  • @user-qs1cn8mo2v
    @user-qs1cn8mo2v 15 днів тому +24

    남에게 지나치게 의지함. 끊임없이 문제의 원인을 남한테서만 찾아 원망만 함. 계속 징징대면서.

  • @user-vl3yn7oj2b
    @user-vl3yn7oj2b 15 днів тому +39

    괴로운 상황이면 괴로운 감정 느끼는게 당연한 것이고
    괴로움을 긍정으로 전환하려고 하지않아도 된다는 말씀 감사합니다
    그것도 저의 일부분인건데 저의 일부를 없애는데 에너지를 쏟고 안 없어지니까 더 괴로워지는 악순환에 빠졌던거 같아요
    오히려 그부분이 없는게 어쩌면 이상한것 일수도 있는데..
    이제 그 부분도 하나씩 흡수해가면서 나다움을 찾아가는데 도움 주셔서 감사해요 !

  • @user-yb3kq7de4c
    @user-yb3kq7de4c 6 днів тому +1

    저도 참 미성숙한 성인이지요.이젠 성숙한 인간이길 바래봅니다..

  • @user-qq9ge6kl8x
    @user-qq9ge6kl8x 15 днів тому +73

    저희는 부모님이 미성숙 하신분들인데요 ? 아버지는 나르시시스트 어머니는 경계선 지능장애가 굉장히 심한사람인데 소통자체가 안됩니다 ~~ 단어를 이해하지 못해서 맥락에 안맞는 단어를 얘기할때가 꽤있어요 ~ 그래서 화를 많이 내기도 하고 지적도 많이 해요 ~~ 정상적인 부모를 두신분들 부럽습니다 ~~ 😅

    • @happy._7
      @happy._7 15 днів тому +30

      근데 자기부모 모난부분 자식이 다닮음.
      나도 그래서 좋은부모에게서 태어난사람이 부러움.진짜.

    • @user-jz5eh8ty7q
      @user-jz5eh8ty7q 15 днів тому +4

      공감합니다

    • @user-el9ex4yb2d
      @user-el9ex4yb2d 11 днів тому +1

      와씨 우리부모님이다

    • @user-mz2tu2ue3l
      @user-mz2tu2ue3l 11 днів тому +4

      육십대 이상인 분들 대부분 수준 떨어집니다. 심리학 방송은 어려워서 청취 못합니다. 그러니 지적수준이 높은 자식들과는 대화도 어렵다고 보면 됩니다.
      그 사람의 수준을 알려면 정치색을 보면 됩니다. 그런 부모님들과는 단순한 대화 정도로 끝내는 게 좋겠죠.
      물론 오십대도 수준 떨어지는 분들 상당수입니다.
      부연하자면 심리학은 지적수준이 높은 분들이 좋아하는 학문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bcj-zn6gf
      @bcj-zn6gf 11 днів тому +9

      부모복이 정말 최고인 것 같습니다 부모가 정상이면 인품 뿐 아니라 절대적 빈곤도 있지 않습니다 상대적 빈곤은 있을지라도요

  • @ginger_9653
    @ginger_9653 3 дні тому +2

    심리적 거리조절의 어려움을 가진 사람은 개선되기 어렵나요? 만나는 사람이 2년째 연인처럼 가까웠다가 갑자기 낯설게 대하다가.. 계속 반복이에요. 너무 힘들어요... ㅠㅠ 왜 그런걸까요...

  • @user-fw2wz3xe2x
    @user-fw2wz3xe2x 15 днів тому +9

    마음이 단단해지는 책 추천 부탁드러요

    • @user-zt1zx5rp7t
      @user-zt1zx5rp7t 12 днів тому +1

      '어른이 된다고 다 괜찮아지진않았다'. 흐름출판. 이 책에 마음성장에 관한 많은 이야기가 들어있습니다~

  • @user-ow8wd6ww3k
    @user-ow8wd6ww3k 4 дні тому +1

    놀심님 안녕하세요~ 늘 좋은 영상 제작해주셔서 많은 도움 받고 있습니다.
    특히나 오늘 영상 내용도 너무나 도움되는 내용이 많은데요
    이경희 소장님의 책 [어른이 된다고 다 괜찮아지진 않았다] 를 읽으면 이 영상에서 다룬 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까요?

    • @user-zt1zx5rp7t
      @user-zt1zx5rp7t 4 дні тому +1

      감사합니다~ 책에는 좀 더 많은 실천적 내용들이 자세히 들어있어요~

  • @suddenly_what
    @suddenly_what 6 днів тому +2

    미쳐벌여,, 9분째 보고있는데 죄다 나냐,, ㅎ ,,,, ㅠ 말씀도중에 계속해서 어떻게하면 될지, 왜 이렇게 된 기저가 무언지 질문하고 싶어지네요,,,, 미성숙한 완벽주의 나,,, 힘내자,,, 찍먹해보는거야,,!!

  • @user-km2to9sd6t
    @user-km2to9sd6t 12 днів тому +11

    인생의 정답은 사실없습니다

  • @user-qt2eo6ok2o
    @user-qt2eo6ok2o 6 днів тому +1

    11:50

  • @AIArtistNoahC
    @AIArtistNoahC 14 днів тому +18

    정신병의 50%는 부모로부터 나머지 40%는 사회와 문화 시스템으로부터 10%는 자신의 선택이 근본적인 원인.

    • @user-ti5qx7ry9k
      @user-ti5qx7ry9k 12 днів тому +1

      👍💯

    • @ohyes357
      @ohyes357 6 днів тому

      기질도 있음. 그건 부모라고 하는 환경과는 다름

  • @user-wp7lv4ee5r
    @user-wp7lv4ee5r 13 днів тому +16

    미성숙한 남편과 삽니다

  • @user-ty8ve3oz4b
    @user-ty8ve3oz4b 15 днів тому +92

    에이그.. 거두절미하고, 예외적인 신경증있는 사람도 있지만,
    한국은 총체적 인간관계 어려움. 문화자체 형성이 이리 됨. 각자도생

    • @user-uk9vl9yo5b
      @user-uk9vl9yo5b 15 днів тому +1

      주체성이 강해서 그런다네요

    • @user-md9ou2ym2v
      @user-md9ou2ym2v 15 днів тому +2

      타국 어디와 비교를 하신 결과인가요?

    • @seungeonlee9981
      @seungeonlee9981 15 днів тому +5

      @@user-md9ou2ym2v 본댓이 표현하는 바가 꼭 그건 아니겠지만 타국 어디와 비교해도 한국은 가족보다 돈 입니다. 실제 통계임.

    • @user-md9ou2ym2v
      @user-md9ou2ym2v 15 днів тому

      @@seungeonlee9981 그러니까 어디랑?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으휴 ㅁㅈㄹ

    • @demeannnner38
      @demeannnner38 15 днів тому

      옛날엔 안그랬는데ㅠㅠ 아 옛날이여..

  • @user-cw7ur4mq9q
    @user-cw7ur4mq9q 7 днів тому +2

    이경희 쌤 오랜만이네요^^

    • @user-zt1zx5rp7t
      @user-zt1zx5rp7t 7 днів тому +1

      샘! 진짜 오랜만이네요~ 너무 반가워요. 이렇게 놀심을 통해서 연결되네요^^ 대단한 놀심이네요~

  • @user-zk8ug9oq9d
    @user-zk8ug9oq9d 22 години тому

    시엄마 사사건건 간섭질
    계속참으니 간섭 더 심해지길래 불편하다 대놓고 얘기했더니 본인이 먼저거리둠
    거리는 둬야. 서로편해지고
    남편과의사이도 좋아져요

  • @itsyejy
    @itsyejy 14 днів тому +28

    나이 60에 자기자식뻘한 사람이랑 기싸움하는 노인들이 안타깝죠..무슨 지혜와 덕목을 쎃은건지

  • @doejohn1896
    @doejohn1896 15 днів тому +27

    경계성 지능 가진 사람들은 무조건 피하세요.. 그냥 구조적으로 갱생이 안됩니다 어쩔수없어요 그냥 본인 인생의 세계관에서 지워버리십시오

    • @user-qq9ge6kl8x
      @user-qq9ge6kl8x 15 днів тому +3

      가족이어도 피할수는 없는데 고집도 무척쎄고 말도 안듣고 저능아 같고 또라이같은 미성숙한 돌발행동을 해요 ~~ 나이는 어르신인데 하는행동은 2- 3살 정신연령수준이고 ~ 7년후에 캐리어에다가 짐싸서 독립해서 나가살라고 할거에요. ~~ 인생자체가 지옥이고 너무 힘드네요 😢

  • @user-em4eh3qe4t
    @user-em4eh3qe4t 5 днів тому +1

    1번부터 4번까지 유형 모두 시어머니 모습입니다. 가족들이 너무 힘들어요.

  • @slasherk2706
    @slasherk2706 2 дні тому

    답이 없는 것 같습니다.
    이래도 지랄 저래도 지랄인 게 인간관계라고 생각 드네요

  • @user-yl8io2ih9v
    @user-yl8io2ih9v 9 днів тому +5

    상담한다고 좋아지진 않습니다
    성숙을 가져오는 유일한 길은
    용기죠
    방법을 안다고 할수 있는게 아니라
    약간의 상처받음을 각오하고
    이런저런 시도를 하고 자신을 바꾸려 하며 책임을 지려는 태도가 어른을 만듭니다
    대부분 미성숙한 사람들은 책임지지 않는 인생인 경우가 많아요
    과잉보호인 친구들

  • @user-fi2ig2kc9l
    @user-fi2ig2kc9l 2 дні тому

    어떻게 해야해요? 어릴 때 이혼가정이였는데 사람들이랑 잘 못어울려요 계속 실패하네요.

  • @user-pw5bu9to2w
    @user-pw5bu9to2w 22 години тому

    심리적 거리 이야기
    왠지 저인거 같네요 ㅠㅠ

  • @user-kr6dc4wh8l
    @user-kr6dc4wh8l 9 днів тому +2

    이분의 영상을 보면서 자아반성을 하는 분들은 성숙한 분들이고 .남을 비판하는 잣대로 쓰는 분들은 미성숙한 분들 같네.

  • @user-fi2ig2kc9l
    @user-fi2ig2kc9l 2 дні тому

    사람들이랑 또 멀어질까봐 두렵네요

  • @queenfrog6874
    @queenfrog6874 15 днів тому +3

    옹앵

  • @user-fc7ki7zf2p
    @user-fc7ki7zf2p 5 днів тому +1

    30대후반 인데도 말하는거 보면 아직도 학창시절에 머문 놈도 있더라..대화 하다보면 열마디중에 아홉마디가 친구 얘기만 하더라...

  • @user-ex1gr4se7x
    @user-ex1gr4se7x 4 дні тому +1

    선생님 손이 노래요 ㅎㅎ 혹시 귤많이 드셨나요

  • @user-wd9zr8ql9r
    @user-wd9zr8ql9r 6 днів тому +1

    변화,성장의 주체인 나

  • @haetube0
    @haetube0 12 днів тому +6

    괴로운 걸 긍정으로 바꿀 필요없다. 😮 괴로운 거에 집중하느니 차라리 다른 것에 집중하겠다.

  • @seungeonlee9981
    @seungeonlee9981 15 днів тому +9

    이는 한 인간의 정서발달 측면에서 다루는 것 같고
    이것만이 한 사람이 어른스럽냐, 성숙하냐의 기준점은 아니라고 생각함.
    그냥 참고 사항.

  • @user-dt5ur8be2r
    @user-dt5ur8be2r 10 днів тому +1

    힘들고 괴로운 감정을 부모에게 수용받는게 어려웠던 것 같아요 그래서 제 감정을 부정하고 부정하기도 괴로워 회피하게 되네요

  • @ioas0316
    @ioas0316 7 днів тому +1

    성숙을 논하려면 성숙이 왜 성숙인지부터 알아야 하지 않을까요. 사람이 왜 사람인지 모르는데 어떻게 사람답게 살겠습니까. 무지하고 무능한게 인간인데. 그걸 부정하고 산다는것자체가 우습고 불쌍합니다
    어른이 왜 어른인지, 마음이 왜 마음인지, 생각이 왜 생각인지, 앎이 왜 앎인지 알고 있어요? 모르면 모르는대로 살다 죽는겁니다.

  • @user-gi2kx2st4u
    @user-gi2kx2st4u 15 днів тому +13

    흠;;;; 사례들 들어보니까 심각한 사람들 많구나

  • @0000007n
    @0000007n 15 днів тому +25

    살기도 벅차고 바쁜데
    남 좋아라고 성숙하기까지 까지 해야하나!
    어려운 상황 많이 견뎌 낸 사람들 보면 성숙이 아닌 도인의 경지까지 이른 어른들 생각보다 많아요.
    타이틀 보고 왔다가
    사례경험만 듣고 가네요. 스스로 미숙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고운 맘을 가져 절데 남 헤치지 않아요.
    문젠 난 성숙하다라고 떠벌리면서 휘두르는 사람들이 더 문제라고 봅니다. 사회가 부드러워지고 서로 서로 보듬고 함께가려면
    스스로 알고 있는 미성숙 괜찮아요. 너무 알아 나 데는 정신들이 문제죠.

    • @user-vl9xx3wn5r
      @user-vl9xx3wn5r 15 днів тому +13

      성숙한거는 남좋으라고 성숙한게 아니라 나한테도 좋으니까 성숙한것을 지양하는거지.
      까놓고 애기해서 나잇값 못한다는 건데
      그게 일상 생활에서 적응하거나 지혜롭게 상황과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게 부족하다면 안좋은거지.
      그리고 미성숙한 사람들이 남한테 피해를 안준다는데 주는 경우가 사실상 많음.
      당신이 말한건 도덕적으로 옳지 못한 악의적인 의도를 가지고 남을 피해를 주는게 아니더라도
      멍청하거나 바보같은 판단과 결정 그리고 말과 행동으로 주변 사람 힘들게 하는 사람들 많음.
      의도를 가지고 피해를 주는것이 아니라
      본의 아니게 피해를 주는 케이스랄까
      그런 사례들이 많음.

    • @0000007n
      @0000007n 15 днів тому +2

      @@user-vl9xx3wn5r 당신 아니고요. 사례만 들었다고 말한다는게
      이런저런 읖조림을 했나 봅니다.
      본인의 생각이 너무 강해도 남한테 피해를 준다는 걸 잊고 계신가 봅니다.
      이런 강의에 다양한 의견 나올 수 있죠.
      다른 것이 나쁜 건 아니지만 다름을 핑계로 강한 주장은 아닌 듯 하네요
      그냥 그렇거니 하세요.
      발끗해서 쓸데 없는 답변은 스트레스나 주는게 아닐까요
      단지 난 이 패널들이 이야기 한 사례속에서 착한 인간들의 나약함을 느낀 것 뿐이지. 대단한 반박가는 아니고요. 의견 달아주면
      참고들 하라고 그랬는데
      이런 개인적으로 반박하는 것이 좀 이상스럽고 불편합니다. 시간 많으신 모양인데 혹 패널 이랑 친구세요?

    • @user-jc2tu2uj3b
      @user-jc2tu2uj3b 11 днів тому +2

      ​@@0000007n 자기 자신은 반론을 하지만 내반론에 반론하는건 불편하다?ㅋㅋㅋ수준 진짜 어휴

    • @0000007n
      @0000007n 11 днів тому

      @@user-jc2tu2uj3b 본인 수준이 그 모양이니 나한테 자꾸 한 말 씀 또 하고 또또하고
      그 수준 또한 가관이고
      한번 더 답변하면
      바닥수준으로 처리 하겠소! 그리도 수준 수준 찾으시면 시간도 많아 보이기는데 헛 한데서 고생말고 핫 한데서 찾아보시구려.

    • @user-dt5ur8be2r
      @user-dt5ur8be2r 10 днів тому

      공감합니다. 본인이 미성숙하다고 깨달은 사람은 자책하기 일수이고 자존감이 떨어진 사람일 가능섯ㅈ시 큽니다. 이 영상은 남보다 나 자신을 위한 성숙함이 큰 것 같습니다. 세상을 잘 살아가는 법이랄까요..
      좋은 대처는 좋은 인간관계를 만들고 그 것은 곧 나의 행복이죠.

  • @ik964
    @ik964 5 днів тому +1

    세살 무렵에 공중에서 나에게 속삭이는 무언가가 공중에서 서서히 들려오다 이틀쯤 뒤에 내 안에 들어옴. 그 이후로 내 생각을 온통 잠식함.

  • @user-bs2lb7np8s
    @user-bs2lb7np8s 15 днів тому +6

    가족이란 개념이 돈때문에 무너지고 깨지는 한국.

  • @mirabeau33
    @mirabeau33 15 днів тому +27

    경계성 지능 을 지닌 이들이 있죠

    • @seungeonlee9981
      @seungeonlee9981 15 днів тому +7

      경계성 성격장애를 말하는 건지
      경계선 지능을 말하는 건지
      성과 선도 구분 못 하는 사람 꽤 많더라구요.

    • @user-qq9ge6kl8x
      @user-qq9ge6kl8x 15 днів тому +11

      저희 어머니는 경계선 지능장애 + 경계성 성격장애 동시에 갖고 있고 굉장히 심해서 ~~ 대화를 잘 안해요 ~~ 단어를 이해하지도 못하고 어떤상황에 맥락 안맞는 얘기를 꽤 하는데 아주 화가나요 ~~ 저는 지적질을 자꾸 하게 되고 말도 안되는 얘길 종종하시니까 ~~ 휴 답답합니다 ~ 😪

    • @mirabeau33
      @mirabeau33 15 днів тому +1

      @@user-qq9ge6kl8x 많이 힘드시겠네요

    • @user-qq9ge6kl8x
      @user-qq9ge6kl8x 15 днів тому +2

      네 많이 힘들고 스트레스 엄청받아요 고집도 엄청쎄고 융통성도 없으니 에효 ~~

    • @user-hk3zr5xp9u
      @user-hk3zr5xp9u 15 днів тому

      경계성지능이 머예요?
      내가 그러고 있나?
      딸이 화를 자주내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