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혜택에서 제외할 것" 차주들 억장 무너지기 시작한 이유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6 лют 2025
  • "모든 혜택에서 제외할 것" 차주들 억장 무너지기 시작한 이유
    ■ 인포카 OBD II : bit.ly/34iqcB7
    □ 빈 공간
    □ 빈 공간
    · 광고·협찬 문의 : master@spoilerkorea.com
    · 김승현 안피디의 스포일러
    #현대차 #기아차 #전기차

КОМЕНТАРІ • 641

  • @박지원-b3x
    @박지원-b3x 2 роки тому +120

    예전에 고등어 구이가 대기오염 된다고 뉴스에 나왔던거 기억나네ㅋㅋ

    • @현묵주기도
      @현묵주기도 2 роки тому +2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JY-fk6un
      @JY-fk6un 2 роки тому +7

      낙타도 있었는데 뭘요 ㅋㅋ

    • @쏘주깡
      @쏘주깡 2 роки тому +5

      짖어도 곱게 짖기만을 바랄뿐입니다. .고등어..대기오염.. 창피한건 국민몫이죠

    • @jin0zeen
      @jin0zeen 2 роки тому +1

      고등어구이 보다 클린디젤은 매연이 거의 안나옵니다~
      그래서 친환경차로 지정했던거
      오토바이 매연이 장난 아님~
      1급 암유발

    • @디테힐링
      @디테힐링 2 роки тому

      @@jin0zeen 뭔ㄱ소리에요 매연 많이 나오던
      2행정 오토바이 생산금지 된게 20년은 됐어요. 캬브레터 오토바이 생산금지된것도 15년은 됐구요. 요즘 오토바이 쪽도 기술이 발전해서 실연비 60km나오고 엄격한 유로규제 적용돼서 나오는데 30년전 소릴 하고있어요 ㅎㅎ 차쪽만 발전한줄 아나ㅎ
      배기량 때문에 차가 훨씬 많이 나오죠. 떠넘기긴. 클린디젤 유럽에서 ㅈ망하고 디젤 자체가 퇴출되었는데 도대체 언제적 소릴 하고있는거에요. 지나가다 보면 아직도 경유차가 제일 냄새 짜증나는데

  • @치우-v6b
    @치우-v6b 2 роки тому +85

    오래타니까 차바꾸라고 하는목적
    즉 새차가 많이 나올수록 세수걷기 좋기때문 디젤연료에서 나오는것 보다 타이어,브레이크페드 에서 나온것이 더해롭다

    • @최준혁-l5m
      @최준혁-l5m 2 роки тому +15

      자동차 자체가 환경에 영향끼치는게 불과 10%도 안된답니다 ㅋㅋ 그 10%이하도 님말씀대로 타이어와 브레이크패드에서 거의 나온다네요

    • @yataboy
      @yataboy 2 роки тому +1

      @@최준혁-l5m 혹시 통계자료 공유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 @lsa0704
      @lsa0704 2 роки тому +3

      @@yataboy 그냥 주워들은 얘기죠ㅋㅋㅋ

    • @Q_20
      @Q_20 2 роки тому +1

      @@최준혁-l5m 2020년 기준 탄소순배출량의 15퍼센트가 운송에서 발생했습니다. (KOSIS 국가 온실가스 분야별 배출량 추이)

    • @youngchanpark8166
      @youngchanpark8166 2 роки тому

      일본이 그렇죠., 차 정기점검에서 큰 문제가 없는데 일정 기간 지나면 계속 빠꾸시켜 신차구매를 유도합니다. 그럼 기존차는?! 중고차로 해외 수출하죠. 동아시아에 일본차가 왜 많으냐?! 자동차 회사가 정부와 손잡고 국민등 에 빨대 꼽고 새차 사게 만들어 세수 걷고 중고차 수출해서 무역수지도 늘리면서 각자 지들 배불리고 있다는 거죠. 우리나라도 전기차 팔아 먹어야 되니까 정부 정책 이용해서 내연기관차 말고 전기차 LPG차 사라고 유도하는 겁니다. 환경오염?! 과연 자동차 회사가 진짜 환경 생각해서 전기차 만들까요?! ㅎㅎㅎ 순진한 생각이죠.

  • @myruin4297
    @myruin4297 2 роки тому +8

    왜 못하겠어요 현기에서 차팔아먹어야하는데 개조하면 기존차로 하는거니 신차구입이 줄어드는거죠.
    국토부하고 짬짜미로 담구려하는거 아니겠습니까

  • @sowyer0129
    @sowyer0129 2 роки тому +65

    잊지말자 디젤도 과거엔 클린 디젤이라고 했었다..... LPG 믿다가 통수 맞는다 5:55

    • @kodex50
      @kodex50 2 роки тому +1

      @@야로롱 과거 클린 디젤 밀어줄 때도 님이 했던 얘기는 나왔었는데 무시하고 밀어부쳤는데 lpg라고 다를 꺼라는 건 말이 안되는 듯

    • @hawk8873
      @hawk8873 2 роки тому +1

      @@야로롱 /거기에 배터리와 부가 장비로 인한 추가 중량 증가를 따지면 도대체 왜 하이브라이드 같은 병신 시스템을 채용해야 하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그냥 세금 따먹기용.

    • @hawk8873
      @hawk8873 2 роки тому

      @@Basis_Vector /패드 분진 문제인데 드럼 브레끼라고 패드 분진이 안생깁니까? 요즘 환경 어쩌구 질 보면 진짜 구역질만 납니다. 논리를 위한 논리, 말을 위한 말.

    • @hawk8873
      @hawk8873 2 роки тому

      @@7rung717 /글쎄요. 비산 안되는 줄 알았는데 다 줄줄 새더라는 영상이 있었기 때문에 신뢰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그거 막겠다고 밀폐식으로 하면,,,, 뭐 뒷감당은 운전사와 그 가족의 몫이겠죠. 사람 죽거나 말거나 알께모야? 환경이 중요하지.

  • @원체노들
    @원체노들 2 роки тому +33

    일 안하고 당파 싸움만 하는 국회

    • @kairos726
      @kairos726 2 роки тому +4

      맞아여~ 지들끼리 싸우는게 일하는건지 알아요 ㅜ

    • @질주-d7f
      @질주-d7f 2 роки тому

      대통령부터가 야당대표를 안만나주는데 무슨 협력이고 협치가 있을수 있나

  • @벌꿀오소리는참지않아
    @벌꿀오소리는참지않아 2 роки тому +34

    국회가 지금 정상이 아니니깐요.. 법만들어야하는 국개의원들이... 제대로된 법안 처리에는 관심이 없다는..

    • @soldout9616
      @soldout9616 2 роки тому

      미친 것들 집합소.
      해체가 답입니다.
      어찌나 어이없는 악법들을 끊임없이 만들어내는지....

    • @roskfl-n6s
      @roskfl-n6s Рік тому

      일하기도 바쁜 국회를 그모양으로 만들고 있는게 바로 굥과 국짐당이죠.

    • @가지마-k7w
      @가지마-k7w 6 місяців тому

      걔네는 텐프로 다니기 바뻐서 그런거 생각 할 시간 없음

  • @jongker7017
    @jongker7017 2 роки тому +65

    하루 평균 200km 이상 타고 있는데,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굉장히 부족한 지역에 거주중이다 보니 전기차는 불가능하고 선택지는 무조건 디젤차일 수 밖에 없습니다. 디젤 하이브리드는 항상 제가 간절히 원했던 바람입니다. 이미 수입브랜드(ex.레인지로버스포츠 등)에서는 디젤하이브리드가 출시 되었는데 왜 국내에서는 허가를 안해주는지 의문입니다!

    • @차닐나알단
      @차닐나알단 2 роки тому +1

      EU에서 2035년 부터 디젤, 가솔린 기관 차들 생산, 판매 금지 하기로 했어요. 전기차로 대체하기로 한 거죠. 아마 이후에 디젤, 가솔린 차량 생산극가에 대한 규제도 시행 될 겁니다. 미국이 반도체에 대한 규제를 하는 것처럼요.

    • @못쓸신잡
      @못쓸신잡 Рік тому +1

      @@차닐나알단 가솔린 하브가 나오는 마당에 디젤하브가 없냐고물어보는거에요.. EU 제재안을 물어보는게 아니구요 ..

    • @masca009
      @masca009 Рік тому

      @@못쓸신잡 디젤 하브 고장이 심각해서 없습니다.
      특히 연소 타이밍을 조절 할 수 있는 휘발류에 비해 디젤은 타이밍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하브 개입 시기를 전자적으로 제어하기가 힘들다고 하네요.
      거기다가 경유 연료 특유의 저감 장비들도 하이브리드 화 하기에 단가 상승의 요인이라고 하네요.
      한마디로 휘발류에 비해 돈이 안된다 그겁니다.

  • @철-m8d
    @철-m8d 2 роки тому +1

    디젤 하이브리드를 않하는이유....뻔하죠....
    LPG 트럭 팔면 현기차가 개발비로 돈 않들이고도 차를 많이 팔수 있으니까...
    정유사도 둘어든 디젤 소비를 대신 LPG로 돈벌수 있으니까...

  • @ji-hokim6140
    @ji-hokim6140 2 роки тому +181

    100년이 넘는 기간동안 발전을 거듭한 내연기관을 하루아침에 버리고 충전배터리로 바꾼건 시기상조라 생각함. 엄청난 기술과 안전성이 쌓인 내연기관이 너무 아까움.

    • @빅쇼트-z5u
      @빅쇼트-z5u 2 роки тому +21

      ㄹㅇ 이건 판도라보고 탈원전하는거랑 똑같지

    • @선밟고죽은통키아빠
      @선밟고죽은통키아빠 2 роки тому +19

      그런 안일한 생각하다 일본 전자산업이 완전 망했죠
      반면교사 삼아야 합니다

    • @ssibal-why-hanguel-andoe
      @ssibal-why-hanguel-andoe 2 роки тому +9

      기업이 누구보다 그 사실을 알고있지만 결국 내연이 없어진다는 결말을 알고있기에 투자를 안하는거지

    • @yab2336
      @yab2336 2 роки тому +10

      내연기관을 점차적으로 없애는 게 맞음. 지금 전기차?? 자율주행?? ㅈ같음. 배터리 화제 위험이 너무 많음. 자율주행?? 테슬라 가짜 홍보영상 내놓은 거 부터가 시장 신뢰 깎여버림.

    • @이건한복이다
      @이건한복이다 2 роки тому +7

      각선진국 들이 아예 체제를 변경하고 있는이상 한국도 바뀌여야하는건 사실이죠
      해외에 수출할껀 전기차에 수소차를 만들면서 국내 판매는 내연기관만 만든다?
      망하는 지름길이죠
      개인적으론 내연기관 차량을 폐기할꺼면 더 철저하게 버려야할 기술이라고 보네요

  • @shy1518
    @shy1518 2 роки тому +2

    100%동의합니다 정부의 자동차 정책보면 코미디가 따로 없죠 경유의 값이 휘발류보다 비싸게 만든건 뭐 없는 사람 다 죽어라죠 lpg차 많아지면 세수 안정을 한답시고 lpg가격 현실화 한다고 가격 올려서 골탕 먹이겠죠 벌써 그런일이 2000년대 카렌스가 많아진다고 벌어진 일이고 그때부터 정부정책 않 믿습니다

  • @h6625-m3y
    @h6625-m3y 2 роки тому +6

    스타렉스 디젤 타다가 스타리아 엘피지로 갈아탓는데 힘딸리고 힘 딸리니까 더 밟고 연료비 디젤보다 엘피지가 더 많이 듬

  • @각자도생-h6v
    @각자도생-h6v 2 роки тому +1

    1톤 포터의 구조형태는 바꿔야 합니다. 예전에 운전중 바로 앞차가 1톤 포터였는데 신호등에 정지해있던 대형트럭을 추돌하여 포터 운전석이 완전히 찌그러져 사고운전자를 구조한 경험이 있습니다. 그당시 생각하지 못했던 포터의 안전성에 강한 의구심을 가졌었죠~ 추돌상황을 직접 목격했는데 그다지 빠른 속도가 아니였음에도 운전석이 완전히 찌그러져 사고차량 운전자가 핸들바에 가슴이 끼여 움직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였습니다.

  • @죠엘
    @죠엘 2 роки тому +2

    친환경 같은 소리하네 ㅋㅋㅋㅋㅋ
    전기는 그냥 생기냐? 문정부때 탈원전은 왜 했누? 전기가 친환경이라니.. 전기도 결국 화석연료를 태워서 만드는건데.. 그렇다고 원자력 발전소 세우면 피켓시위 하면서 쥐랄발광 할꺼 아님? 몇년 사이에 전기세 죤나게 오를 조짐이 훤히 보이네...

  • @양사훈-y8w
    @양사훈-y8w 2 роки тому +6

    1톤이 1톤만 싣는차도 아니고 고지대 언덕길에서 빈차로도 빌빌되는 LPG를 어디다 쓰라는 말이냐? 가벼운 고정짐이라면 모를까 LPG는 화물용도가 아니다

    • @복진태-m4l
      @복진태-m4l 2 роки тому

      직분사lpg라서 출력은 괜찮다던데요 조용하고 나외봐야 알겠지만요 전 지금 k7lpi타는 중인데 차 힘딸리는지는 모르겠어요 야간에 주유가 어려워서 퇴근길에 미리 넣어놔야 하는게 불편 한점입니다.

    • @당동당
      @당동당 2 роки тому

      힘이딸려.....화물에는 불리함.....

    • @양사훈-y8w
      @양사훈-y8w 2 роки тому

      @@복진태-m4l 대관령 같은 고지대에 한번 가보심 대번에 차이가 납니다 공기밀도가 낮은곳은 가뜩이나 폭발 압력이 낮은 LPG차량은 쥐약이죠 물론 승용차가 그런곳에 자주 갈일은 없겠지만요 화물차가 짐을 무겁게 싣고 가파른 고개길을 넘을 경우 1단 놓고도 못 넘는 경우가 생깁니다 같은 마력이라도 디젤과 LPG는 천지 차이니까요

  • @jhk5494
    @jhk5494 2 роки тому +28

    디젤 하이브리드는 정말 매력적인 선택지가 아닐수 없는....
    트럭도 트럭인데 SUV시장에 도입되면 디젤 못끊을듯

    • @김동현-u9s6b
      @김동현-u9s6b 2 роки тому

      가격보면 매력적이진 않을텐데요.. 디젤차량 자체에 터보도 달려있어 휘발유대비 출고가가 비싼데, 여기에 하이브리드까지 달려 나오면 메리트가 전혀 없죠.. ㅋ 우리나라 사람들 5년에서 8년 주기로 차 바꾸는데, 그 안에 연료비로 차값 차이 상쇄 가능할까요?

  • @soonsoo-m1
    @soonsoo-m1 2 роки тому +67

    이러다가 다마스 프리미엄처럼
    디젤포터 프리미엄 붙는 시기가 곧 올 것 같습니다...

  • @byengyong
    @byengyong 2 роки тому +5

    요즘은 바이오 디절 연료도있는데추후 바이오연료로 갈수있는 차는디젤 엔진뿐인데 디젤을없애면 가스 고갈이나 휘발류고갈일때 어쩔런지

  • @유빈신-c9x
    @유빈신-c9x 2 роки тому +11

    항상 유익한정보좋아요
    개인적인생각인데 공산국가도아니고 개인재산인데 정부가 강제로 처분해라하는것 자체가 모순이구요 진짜환경파괴는 디젤 노후차량보다 대기업 공장들 이 압도적으로많은데 절대 그런얘기없다는게 화가나요

  • @Bluecloud3174
    @Bluecloud3174 2 роки тому +34

    오늘 같은 영상 감사합니다.
    다음 영상은 디젤 하이브리드에 대해서 자세히 다뤄 주실 수 있으실까요?

  • @youngsoolee7679
    @youngsoolee7679 Рік тому +1

    가스터보도 나온지 오래되서 겨우 나옴
    그리고 가스는 친환경이 아니라 저공해임

  • @super-dance8932
    @super-dance8932 2 роки тому +10

    오늘 내용 너무 좋아요~!@@

  • @서이초이
    @서이초이 2 роки тому +11

    디젤이 저속에서 달달거림과 매연등을 배터리 하이브로 대체한다면 완전 좋죠...고속에서는 연비도 좋고...과연 무엇이 진정한 친환경인지 고심할 때 인것 같습니다.

    • @jc441414
      @jc441414 2 роки тому

      저도 디젤차를 3년째 타고 다니지만 정차시 저속시에 덜덜거림은 넘지못하는 벽 같아요.
      하이브리드가 나온다면 이보다 더좋은 대안은 없을거라고 봅니다.

  • @W.O_O.K
    @W.O_O.K 2 роки тому +4

    정부의 무능함이 점점 빛을 발하는중 ㅋㅋㅋ
    탁상공론으로만 떠들고 현장도 모르고 전문성도 바닥
    현실적으로 내연기관은 하브 살리고 대신 하브도 가솔린+배터리 , 디젤+배터리 , LPG+배터리 모두 출시 할 수 있게 열어두고
    거기에 더해서 전기차랑 수소차 이렇게 가야함
    내연기관 멸종이 아닌 연비를 늘리는 방식으로 그리고 최대한 연료를 태울때 오염물질이 덜 나오게 발전해야하는건데
    그냥 내연기관에서 오염물질이 나와~!!?? 디젤이 심하다고!!? 그럼 디젤 고만팔게해! 노답...

  • @byeong-cheolyu5571
    @byeong-cheolyu5571 2 роки тому +118

    이거 정부에 청원 사이트에 한번 올려보면 어떨까요 ? 잘은 모르지만, 디젤 하이브리드 정말 탐나는 기술인 것 같단 말이죠...

    • @알쓸신잡-h7s
      @알쓸신잡-h7s 2 роки тому +5

      가솔린 하이브리드가 있잖아요?...

    • @하린은니
      @하린은니 2 роки тому +2

      디젤 하브 개발사도 사업성 포기하다시피 한거 같습니다.개발사도 업종 전환을 한것처럼 기사를 본듯

    • @cookiefather
      @cookiefather 2 роки тому +26

      청원 사이트 정부 바뀌면서 폐쇄했습니다

    • @Superman_im
      @Superman_im 2 роки тому +23

      눈감고 귀닫고 입막고... 굥의나라

    • @흑룡-o9u
      @흑룡-o9u 2 роки тому +4

      디딸이면 전기모드로 가다가 엔진개입될때 자연스러운느낌 절대로 못잡을듯..

  • @junsuklee1369
    @junsuklee1369 2 роки тому +58

    포터 디젤 단종 이유는 더이상 엔진 개발 안하겟다는 심산인거죠..
    엔진 개발비 생각하면 전기차 만들어서 파는게 더 이익이니까..
    하지만 그러긴 아직 이르다...내연기관은 앞으로 50년은 더 나와야된다..

    • @뽀얀허벅지
      @뽀얀허벅지 2 роки тому +7

      그러기엔 세상이 엔진 개발 의욕을 떨어트리죠.
      특히 디젤쪽은 엄청나게 심하고요.
      서울은 조만간 디젤차
      등록을 안 받아둘거라고 공표 해놓은게 사실이구요.
      세상이 거부하는 엔진을 굳이 시간과 돈을 들여가며
      개발할 이유가 있습니까?
      어느 재벌이 취미로 하지 않는 이상 말이죠.

    • @고자예프-j4v
      @고자예프-j4v 2 роки тому +6

      그게 말이죠 자동차 회사도 그걸 압니다 근데 문제는 매년 강화되는 환경법이죠 대기가스배출 기준이 갈수록 심화되니 그 기준을 맞추기위해 DPF나 요소수같은 매연 저감장치를 계속해서 달아야하는데 개발비는 나날히 늘어가고 정부에서는 규제만 해대니 타산이 안맞다고 생각하는거죠 우리나라만 그러냐 그렇지도 않습니다 선진국들은 더 하면 더 했지 덜하진 않구요 내후년에 유로7 나올텐데 그 기준 어거지로 맞출바엔 내연기관 더 이상 안만들겠다는거고 정부가 의도하는것도 그거구요

    • @너울-i4q
      @너울-i4q 2 роки тому +1

      근데 단순하게 제원검색해보니깐 포터,봉는 2.5디젤엔진에 133마력인데 . 공차중량 1700kg
      현재 현기에서 쓰는 2.0 lpg 나 3.0 lpg ( or 3.5 lpg ) 를 탑재할수있다고 치면 표기된 출력면에선 오히려 이득을 볼수있는거 같기도하고요. 보니깐 연비는 디젤도8~9킬로 던데 . 엔진은 2.0을 올리나 3.0/ 3.5 를 올리나 영업용으로 분류되어 세금낼테니깐 상관없을테고 . 현재 사용하는 승용lpg 엔진을 탑재하는데 있어 가격만 얼추 잡을수 있다면 괜찮은거 같긴함

  • @minjunyeong5276
    @minjunyeong5276 2 роки тому +6

    잘 기억이 안나지만 디젤 1톤 트럭 lpg로 바꾼걸 예전 회사 다닐때 본적이 있거든요. 그분이 말씀하시길 연비도 좋지 않지만 힘도 딸려서 힘들다 그러시던데 lpg 트럭이 나오면 이제 1톤 트럭이 아니라 0.5톤 트럭이라 해야할 겁니다.

  • @김명환-c2p
    @김명환-c2p 2 роки тому +4

    현대 / 기아에서 SUV 픽업을 손을 되니까..
    쌍용에서 1톤 화물을 만들자 ;; 언제까지 현/기 보조금을 퍼갈껀가 ;;

  • @chrisbae9126
    @chrisbae9126 2 роки тому +19

    트럭에 LPG를 도입할 때 짐 싣고 출발하거나 오르막에서 과연 힘(토크)이 부족하지 않을까 하는게 문제라면 LPGㅡ전기 하이브리드가 대안이 될거라 봅니다. 경유ㅡ전기 하이브리드는 노후 경유차의 잔여수명을 고려했을 때 고육책 치고는 하책일 수 있습니다. 신차를 경유ㅡ전기 하이브리드로 생산하는 것은 진짜 뻘짓일 수 있고...

    • @re-enact.j196
      @re-enact.j196 2 роки тому

      이분 말씀이 맞는듯...

    • @ejtdjqtdma
      @ejtdjqtdma 2 роки тому

      이 말도 일리가 있는게 노후 경유차를 경유-전기 하이브리드로 개조한다고 나오던 유해물질이 lpg, 휘발유 차보다 적게 나오지 않을수도 있으니 말이죠...
      휘발유-전기 하이브리드 경우에는 휘발유의 낮은 출력을 전기엔진이 보조하고 기본적으로 휘발유 자체는 유해물질 발생이 적으니 시너지가 생기는건데
      경유-전기 하이브리드는 경유가 출력이 낮은 것도 아니고 결국 경유엔진이 작동하는 동안에는 유해물질을 만들어 내니까요

  • @캠핑장비
    @캠핑장비 2 роки тому +6

    영상잘봤습니다. 시장방향성은 합리적인 결과가 아닐때가 많죠. 결국 전기차 수소차 친환경차가 대세가 되겠지만 그중간은 아무도 예상할수없다는겁니다

  • @ytjoonho1999
    @ytjoonho1999 2 роки тому +17

    최대한 빨리 대처하기를 빕니다.
    항상 재미있게 잘 보고 갑니다.

  • @조지훈-e2y
    @조지훈-e2y 2 роки тому +4

    택배업이고 디젤타다가 lpg로 타는데 만족합니다..
    겨울철 연료얼걱정없고 주기별로 연료필터안갈아도 되고
    디젤의 역한냄새도 안나고 차량금액도 300~400정도 싸고 수리비도 조금 싸고 단지 충전이 좀 귀찮기는 합니다 그리고 수동뿐이 없었지요 지금은 단종되었지만요 그리고 시동걸때 3초정도 기다려야한다는 단점ㅜㅜ

    • @guojvfghjfthbhgv
      @guojvfghjfthbhgv Рік тому

      저도 회사차가 lpg트럭이고 지원받아사서 싸게 사고 유지비 저렴한건 만족해요.
      근데 수동이라 아쉽고 5단기어라 너무 아쉬운거 같아요. 그리고 같은 트럭인데도 디젤보다 차가 더 통통튀는 느낌이 드는 거 같아요.

  • @already_taken_
    @already_taken_ 2 роки тому +2

    궁금한게 96프로 점유율을 가진 디젤차들이 lpg로 전부 넘어가도 lpg가격이 경쟁력있을정도로 유지가 될까요? 궁금해서요

  • @진동화-t4c
    @진동화-t4c 2 роки тому +3

    디젤하이브리드 개조는 500만원으로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배터리 및 엔진 미션등 개조 장착할 부품이 굉장히 많아 돈이 많이 듭니다.

  • @vvvzxzzx3764
    @vvvzxzzx3764 2 роки тому +2

    근데 포터로 물류하시는 분들 보면 1년도 안되서 15만 20만 찍고 바로 폐차시키고 갈아타는 분들이 많아서
    차량 자체의 수명이 길지 않습니다 그런분들은 개조하는게 의미가 없죠 지금이야 점유율 90프로가 넘지
    디젤 단종되고 나면 짧은 시간안에 점유율이 크게 바뀔거에요

  • @wincom94
    @wincom94 2 роки тому +2

    기존차 디젤하브 개조는 찬성하지만 새차에 디젤하브는 아니라고 봅니다 디젤은 DPF 망가지면 꽝 새차에는 가솔린하브 넣는게 좋을꺼 같네요~

  • @김정호-w7h
    @김정호-w7h 2 роки тому +6

    내용 너무 좋네요~^^♥

  • @jongiy1
    @jongiy1 2 роки тому +5

    이유를 떠나서 현시점에서
    디젤하이브리드가 가장 검증이 안 되어 있어요

  • @온이똥처리기
    @온이똥처리기 2 роки тому +2

    1톤많이팔리는이유에 1톤트럭이금방망가지는것도있나요??

  • @서전-c7t
    @서전-c7t 2 роки тому +1

    2023년 lpg 1톤 트럭은 판매 계획도 없고 생산도 안하고 있어요 디젤 트럭만 판매 합니다

  • @핫식스-l6k
    @핫식스-l6k 2 роки тому +23

    해당 건에 대해 택배, 이삿짐 차량 차주들에게 의견청취를 해 본 결과 빈차로 다닐 경우에는 lpg가 연비측면에서 괜찮을지 모르지만 짐을 풀로 실었을경우에는
    디젤이 압도적으로 연비가 좋다고 하시네요. 짐 풀로 실으면 lpg나 전기차는 힘이 많이 딸리고 그만큼 악셀을 더 밟으니 가스나 전기효율도 엉망이라는겁니다.
    추가로 lpg 철제 가스통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차량들은 부식문제가 심각합니다. 세단은 뒷트렁크에 있지만 lpg suv차량은 대부분 외부에 있는데 이게 10년지나면 엉망됩니다.
    트럭도 적재공간땜에 lpg suv처럼 차량 외부 바닥에 넣을거 같은데 부식에서 얼마나 버틸런지.....탁상행정 하는분들이 이삿짐차나 택배차를 몰일이 없다보니 일어나는 일이겠지요.

    • @sixkidskorea
      @sixkidskorea 2 роки тому

      짐이야 포터 봉고 과적 허다한건 길가는 개도 알거고
      앞으로 나올 포터 봉고에는 그냥 가스가 아니라 터보 올리고 나오니 그만큼 출력과 힘 다 잡겠다는거고요.
      가스통도 기존형태로 나올지 현재 승용이나 SUV에 들어가는 도넛형태로 나올지도 모르구요.
      기존거만 가지고 이럴거다 할게 아니라 완전히 새롭게 바뀐다고 하니 지켜 봐야죠.
      거기다 지금 전기차는 모터로 조용하고 토크 좋은거 말고는 가격부터가 일단 걸리죠.
      충전시간은 말할것도 없고요..

    • @집대성-s1y
      @집대성-s1y Рік тому

      가스통 스타일은 옛날이구요 요즘은 도넛모양으로 다 나옵니다.제차도 도넛모양으로 된 차구요.

  • @자연인권형석2
    @자연인권형석2 2 роки тому +2

    디젤하이브리드가 트럭에 쓸수있는 최적의 대안이라면 버스도 수소나 전기, 천연가스차 도입이 어려운 지역이나 마을,시외,고속,전세관광버스도 그렇게 가보면 어떨지 싶네요.

  • @윤종민-q6y
    @윤종민-q6y 2 роки тому +1

    현대 기아 삼성.대기업들이 통과 안시켜주니 저모양이죠.지들 차팔아먹어애하니..대기업에 돈먹은 의원이 한둘이겠어요.

  • @구씨-x6p
    @구씨-x6p 2 роки тому +3

    정말 유익한 정보 영상 감사합니다 ^^

  • @호법-k2q
    @호법-k2q 2 роки тому +5

    역시 기다리던소식이 나오네요 잘보고갑니다

  • @ro_oa
    @ro_oa 2 роки тому +1

    환경 어쩌고가 뭔가 헛지거리같은이유가 뭐냐믄
    동남아 어디서건 똥까쓰 내뿜는차는 앞으로도 수십년간 구를것이고
    울나라 미세먼지가 얼마나 심각하니 뭐니해도 바람불어 쓸려가믄 그만인것이고
    친환경 어쩌고해봐야 결국은 비싼 불량품, 값은 곱절이 들되 성능이나 내구는 반토막나는걸 써야하고
    그걸 채우려면 두번사던지 반복적으로 행해야하는데, 그럼 도찐이 개찐이 아니던가?
    걍.. 뭔가 구실 하나 만들어서 이득볼 새키들 이바구에 놀아나는판같음.
    MSG(미원), 소금 이런거만봐도 먹어도 문제 없었을것들 시비걸고 판 바꾼것처럼.
    됐고, 전자파 미세먼지 별별거 다 떠들어도 방사능 맞다이 아닌바에야
    명껏 사는데 그닥 지장없음. 오히려 본인들 안전 안챙기고 헛지거리하고 술담배등으로 뻥좀보태 자해 하는게 더 영향이 많을듯
    혹여나 증거나 데이터를 달라고하실분 있으면, 아니 그걸 내가 왜? 꽁으로? ^^

  • @오히려좋아-y1d
    @오히려좋아-y1d Рік тому +1

    포터 디젤 타다가 전기로 바꾼지 1년됬는데
    짐 풀로 실어도 굼뜸없이 잘 밀고 달리는데 만족하고 타고있습니다.. 저는 짐이 안 실린듯한 느낌으로 쭉쭉 나가서 디젤보다 힘이 좋다고 느껴지는데요. 유지비도 없다시피 들고요. 단점은 짧은 주행거리로 장거리가 많이 아쉬울뿐 저 같은 시내주행 및 단거리 주행에는 좋은점이 더 많아요

  • @psm3638
    @psm3638 2 роки тому +2

    디젤+마일드하이브리드로는 좀더 디젤의 생명연장은 어려울까요?

  • @준민아빠-l4h
    @준민아빠-l4h 2 роки тому +170

    안PD님은... 도대체 ㅎㅎ
    다 죽어가는 기업(쌍용차)도 살리고...
    대한민국 환경규제 걱정에 더불어 자동차 산업에 올바른 방향 제시까지 ㄷㄷㄷ
    이채널이 흥해야 하는 이유군요^^

    • @sunggonekim8247
      @sunggonekim8247 2 роки тому +3

      5*10자 자재 적재 못하면 1톤트럭은 의미 없는거 알고 방송합시다

    • @준민아빠-l4h
      @준민아빠-l4h 2 роки тому +3

      @@sunggonekim8247 제가 방송 했나요? ㅎㅎㅎ

    • @라우드럽미하엘
      @라우드럽미하엘 2 роки тому +4

      @@sunggonekim8247 너한테나 의미 없겠지

    • @sj771211
      @sj771211 2 роки тому +3

      @@sunggonekim8247 회사 문 닫게 생겼는데, 설 보너스 안줬다고 투덜거리는거 같네

    • @공병천-v7f
      @공병천-v7f 2 роки тому

      @@준민아빠-l4h
      ㄴㄱ^

  • @한가람-d2e
    @한가람-d2e 2 роки тому +8

    제가 알기로는 가솔린하이브리드는 있으나 디젤하이브리드가 세계적으로 매우 적은 것이 주로 사용되는 엔진rpm대의 차이로 하이브리드의 효율이 가솔린에 비하여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일부 마일드하이리드를 제외하면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잘못 알고 있었나봅니다.

    • @프로그맨-p4d
      @프로그맨-p4d 2 роки тому

      네잘못아셨네요

    • @arsenechoi4211
      @arsenechoi4211 2 роки тому +1

      제대로 알고 계신데요 뭘

    • @징크스-s6n
      @징크스-s6n 2 роки тому +3

      일단 디젤은 원래 연료 효율 좋아서 하브가 필요 없음. 휘발유는 2배 차이라고 하면 디젤은 1.5배 정도 좋아 진다고 볼수 있는데 하브 시스템 가격에 비하면 연비 효율의 큰 차이도 아니라서

    • @김동현-u9s6b
      @김동현-u9s6b 2 роки тому

      또 디젤엔진 자체도 가솔린보다 비싼데 거기에 하이브리드까지 추가해버리면 최소 일반 휘발유차량보다 1000만원은 차이남. 이걸 누가 사?

  • @LEESEONGJU1
    @LEESEONGJU1 2 роки тому +4

    T-LPDI 엔진에 대해서도 알려주시면 좋겠네요. 이건 아직 루머라 새로운 포터, 봉고에 안실릴 수 있어서인가요?

  • @수원-f6e
    @수원-f6e 2 роки тому +5

    포터 봉고 전기차좀 다루어 줬으면 좋겠습니다.
    요즘 같은겨울에 자주 충전 시켜서 경유값이나 들어가는 유류비가 별 차이가 없다는것도...

    • @HOLITT
      @HOLITT 2 роки тому +1

      히터도 못트는 쉬범 ㅠㅠㅠ 히터틀래?멀리갈래?이거임..전기차로 택배하는데 경유로 바꾸고싶름요 ㅠㅠ

    • @망치말뚝낚시
      @망치말뚝낚시 2 роки тому

      ㅋㅋㅋ전기1톤 카고지만 거지같죠....겨울되면 조루...얼마못가 충전....20%남으면 불안불안...오죽하면 무시동히터다는 사람이 늘어나겠습니까....
      그래서 디젤1톤도 구비해놨어요....

  • @josephlim2988
    @josephlim2988 2 роки тому +42

    디젤하이브리드 도입 꼭 되면 좋겠네요

    • @Childr1004
      @Childr1004 2 роки тому +1

      국회의원 몇명 섭외해서 추진 해봅시다

    • @sdy801
      @sdy801 2 роки тому +4

      디젤이 차가격도 비싼데 하이브리드 까지 넣으면 차가격 얼마나 오를까요 게다가 디젤은 엔진도 크고 다른 부품도 휘발유 차량에 비해 많은데 엔진룸 자리가 날까요

    • @niskikihoho
      @niskikihoho 2 роки тому

      기술적으로 제한되서 그런거에요
      가솔린 하이브리드 조합이 더 효율적이거든요

    • @ingerme86
      @ingerme86 2 роки тому +1

      디젤 하이브리드 있긴한데 ㅋㅋ 잘안보이는 이유가 있는거임

    • @탱구-z1g
      @탱구-z1g 2 роки тому

      가솔린대비 구조적인 특성으로 효율성이 떨어집니다

  • @호야-g5o
    @호야-g5o 2 роки тому +3

    포터나 봉고는 디젤있어야된다...
    현장에서 일하는데 포터전기차 배터리때문에 진입 및 힘딸려서 자재 많이 옮겨오지도 못하더라...

  • @2by641
    @2by641 2 роки тому +19

    오늘도 영상 잘 봤네요~
    다음에 시간되실때 디젤하이브리드에 대해 박병일 명장님과 함께 심도 있게 다뤄 주시면 좋겠네요~

    • @lolsydney3175
      @lolsydney3175 2 роки тому

      명장..?

    • @2by641
      @2by641 2 роки тому

      @@lolsydney3175 박병일 명장 검색해 보시면 나와요~ 따로 채널도 운영하시구요 ^

  • @꿀라스미르
    @꿀라스미르 2 роки тому +3

    1톤 터럭만의 문제가 아니고 4톤 이상의 화물차를 LPG로 바꾸어야 하는 것 아닌가 만만한게 1 톤 터럭이냐

    • @서전-c7t
      @서전-c7t 2 роки тому

      2023년 LPG 1톤 트럭은 판매 생산 계획도 없답니다 작년 중반부터 2023년은 디젤 트럭만 판매 합니다

  • @DavidKim-cr1nd
    @DavidKim-cr1nd 2 роки тому +1

    디젤-하이브리드. 2차대전때 포르셰박사가 만든 헤비땅크들에게 탑재된 방식이죠. 광산에서 쓰는 초대형 트럭들은 디젤-전기방식으로 구동한다네요. 하긴 수백톤되는 트럭이 그런 비포장길에서 수백톤을 실어나르려면 전기모터 아니면 움직이지도 못할테니까요.

  • @탱크보이-m2k
    @탱크보이-m2k 2 роки тому +2

    중고차 하이브리드 만드는거 현기차만조지면
    간단히해결됨.
    흉기차에서 정치권에 로비해서임.
    자기들 개밥그릇지키고자 국민들을 가지고 노는거임.

  • @김명환-c2p
    @김명환-c2p 2 роки тому +2

    차라리.. 화물차를 수소 +전기 차로 만들어라...
    수소 충전으로 전기 만들어서... ++ 달리면 500Km도 달리긋다 ;;
    수소충전 / 전기 충전 .. 충전소가 적으면 두개중 하나만 충전해도 달릴수 있다 ;;

  • @행복한김씨-t6t
    @행복한김씨-t6t 2 роки тому +7

    아까운거보다 대기업에서 받아드시는게 없어지니 시행을 않는거죠

  • @comnet8056
    @comnet8056 2 роки тому +1

    결국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회사에 이익을 추가하는 방향에 따라 반영 되는 것이 현실 입니다. 단순하게 생각해도 수많은 디젤 차가 개조 된다면 자동차 제조사는 그 만큼의 차량을 판매할 수 없게 되겠죠. 기술은 나중 문제고 정책은 소비자를 위하지 않죠.

  • @청송공방
    @청송공방 2 роки тому +1

    근본적 문제는 자동차 수요는 한계가 있고, 새로운 수요를
    만들어야는데, 기존의 차량을 전면
    폐기하면, 수요가 발생합니다.
    정경유착으로 정치인과 기업의
    먹거리가 만들어지는겁니다.
    300 명의 국개의원들의 먹거리를
    위해서 국민들은 발바닥에 피가나도록 달려야합니다.
    지금까지 정책들의 변경을 보면은
    이것을 증명합니다.

  • @jjmd-j5p
    @jjmd-j5p 2 роки тому +1

    연료비를 1L당 가격으로 비교할께 아니고 같은 거리를 주행할 경우 드는 비용으로 계산해야지요... 어려운 계산 필요 없다니요.... 그냥 1L당 가격이 싸니까 싸다니... 이건 ...

  • @jongseungbaek2205
    @jongseungbaek2205 2 роки тому +5

    요즘 너무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을 잊으신듯
    세금ㅇ로 월급 받는 것들이 머리 위에서 논다라고 강력하게 추정합니다.
    그러기에 아직... ㅜ,.ㅜ
    바꾸지 않으면 경 넘어가는 악순환.

  • @corolakim7644
    @corolakim7644 2 роки тому +1

    노후경유차는 하이브리드개조 지원. 노후휘발류는 저감장치설치 지원. 제발 좀..ㅠㅠ 특히 에프터용 경유차용 하이브리드 개발 완료 됐다면서요 ㅠㅜ

  • @강진욱-v4x
    @강진욱-v4x Рік тому

    전쟁이나 재난 같은 상황을 생각해도 내연기관차가 있어야 하죠. 휘발유나 경유는 비상시에 수동으로 연료를 넣는 것이 가능하고요(드럼통+수동 펌프). 가스(LPG, CNG)는 가스저장탱크와 충전기가 있어야 차량에 충전할 수 있고요. 전기는 전선이 있어야 수송이 가능하고, 충전기도 전선에 연결돼 있어야 하죠. 전쟁이나 재난 같은 상황에서는 가스차나 전기차를 굴리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하고요. 내연기관차를 줄일 수는 있어도 전부 없애는 건 불가능합니다. 오래된 내연기관차를 폐차하고 신형으로 대체하는 건 타당한 정책이고요. 신형 내형기관차는 구형에 비해 오염물질이 적게 배출되죠.

  • @H로이
    @H로이 2 роки тому

    승용 디젤만 없애고 사업용 디젤은 유지 해 주세요 부탁합니다. 그리고 lpg는 사업용으로 안 맞아요.

  • @hyunlee4735
    @hyunlee4735 2 роки тому

    보닛도 없어서 사고나면 관짝이 되는 차를 아직도 팔고 있다는게 한심한거죠.
    이거 아무리 차주들이 떼를 써도 진즉에 규제했어야 하는건데
    죽고 사는건데 몇백도 더 못쓰나

  • @Ka_Ga_Ri
    @Ka_Ga_Ri 2 роки тому +4

    ' 민주주의 ' 의 단점 .
    정권이 바뀌고 담당자가 바뀔 때 마다...
    정책이 바뀜...

  • @sixkidskorea
    @sixkidskorea 2 роки тому

    디젤의 한계가 있는게 차량관리 엉망이면 몇년만에 배기구에서 시커먼 연기 뿜뿜 한다는게 문제죠...
    거기다 기존의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그대로 유지한다면 더더욱요.....
    가스는 디젤만큼 배출가스 저감장치 없이도 질소산화물이 디젤보다 넘사벽으로 적게 나옵니다.
    디젤 하이브리드가 그거만큼 나와줄지도 의문이고
    모든 부품의 국산화가 된것도 아니고 디젤엔진은 고장나면 수리비 대박인데 왜 그건 언급이 안되었네요.
    차가 연료만 가지고 굴러만 가면 끝이 아니잖아요.
    짧게는 몇년 길게는 수십년을 굴려야 하는 차인데 유지보수 비용도 생각을 해야죠.

  • @서정현-y9z
    @서정현-y9z 2 роки тому

    작금의
    전기차 시장부터
    확고히 다졌으면 좋겠네요
    현시점 전기차는
    딱 시내용이잖아요
    이것도 해결이 안되는데
    디젤을 단종시킨다구요?

  • @현태정-b6x
    @현태정-b6x 2 роки тому +1

    완전 맞는 말씀만하네요.
    정부는 반만 반영해도 큰 도움이 될듯하네요. 이그 답답혀

  • @il1280
    @il1280 Рік тому

    LPG 하이브리드도 만들어야 할듯...택시 같은 경우 전기차보단 LPG하이브리드가 더 중요합니다....LPG 택시 연료비 한달에 60만원

  • @kdh2861
    @kdh2861 2 роки тому +12

    디젤하이브리드.. 신박하다!!

  • @야후크리람
    @야후크리람 2 роки тому +2

    피디님 디젤 하이브리드 개발 된걸로 아는데 이거 이슈화
    그리고 쌍용에서 1톤차 개발이 시급합니다. ㅎ

  • @보들리버
    @보들리버 2 роки тому

    우선적으로 전기차량은 한계점이 너무 많습니다. 첫번째로 충전 시간이 너무많이 걸립니다. 두번째로 충전대비 사용할수 있는 에너지는 현저히 적습니다.
    경유 노후화된 차량주만 우선적으로 디젤 하이브리드화 시키는 개조를 지원해야 됩니다. 그뒤에 경유차량의 생산량을 줄이고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수소차량으로 서서히 바꾸어야 됩니다. 그러면서 경유에선 연료값 저하를 밀어주지 말아야 됩니다.
    어떤방식이든 반발은 나오긴 할겁니다. 하지만 반발이 나온다고 해서 무산시킬시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어 힌남노 태풍보다 더 강한 태풍이 한반도에 안올거라고는 절대 보장못합니다. 그리고 2018년도 한여름보다도 더 심각한 폭염이 이어질수 있고 그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이 피해를 보지만 폭염의 경우 정치인들도 피해갈수 없습니다. 집밖에 나오는 순간 불지옥이 기다리고 있을겁니다. 그때의 아스팔트 온도는 50도를 넘어서 계란을 차안에 넣어놓으면 계란이 그상태로 익습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한 불지옥을 경험하게 될겁니다. 만일 아파트가 아니라 저택에 살고있다면 출근하기 무서워지겠죠. 길바닥에 물을 조금 떨어트리기 무섭게 바로 증발해버립니다. 이미 아스팔트 바닥은 그때쯤되면 삼겹살도 구워버릴만큼 위력이 나와요.

  • @한경조-r3m
    @한경조-r3m 2 роки тому +1

    디젤 하이브리드보단 LPG하이브리드 개발해야된다. 실제로 도로 주행중 디젤차들 매연 얼마나 내 뿜는지, 기와미면 LPG 하이브리드로 가는게 더 좋다!

  • @nimbus2.0
    @nimbus2.0 2 роки тому +4

    환경 중요한데 ㅅㅂ 적당히 좀 해야지
    하루가 멀다하고 입 싹 닫고 내가 언제요 ㅇㅈㄹ하면 이게 나라냐 소리 그냥 나옴

  • @bbobay4548
    @bbobay4548 2 роки тому +2

    일단 제조사들이 해당사이즈의 유로7 기준 엔진개발자체에 거부감이 심한듯. lpg터보가 어느정도 효율을 낼지 걱정이네요.

  • @손지니-m7l
    @손지니-m7l 2 роки тому +2

    일단 디젤은...연비나 배출가스 면에선...지금 신차도 답이 없음..10년된 lpg트럭보다 신차경유1톤차가 매연도 심하고 연비효율이ㅓ마니 떨어지는건 사실...

    • @최준혁-l5m
      @최준혁-l5m 2 роки тому

      신차가 매연이 심하다구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12년된 제디젤차도 2% 나왔는데요? ㅋㅋ

    • @stanlee1549
      @stanlee1549 2 роки тому

      ㄴ 질소산화물은 안보임?ㅋㅋㄴ

  • @bitnal82
    @bitnal82 2 роки тому

    ㅎㅎㅎ 그렇죠...국회에서만 올바른 방향으로 움직여주면 되는데...국회 관심은...??!!

  • @캉테-v1w
    @캉테-v1w 2 роки тому +1

    LPG 하이브리드는 기술력이 안되는건가요??

  • @park9805
    @park9805 2 роки тому +1

    디젤 하이브리드는 화석연료 40%정도 발전하는 나라에서 LCA CO2배출이 전기차보다 좋다하지만, 비싸서 보조금없이는 어려울거라 보임.

  • @namja2yagi
    @namja2yagi 2 роки тому

    디젤 하이브리드 국회에서 통과 할려면 유럽에서 인정해야 가능한거 아닌가? 탄소중립은 유럽에서 시행해서 따라가는건데....
    우리나라만 인정 이래봐야 소용 없는거 같은데...

  • @진희망-h8o
    @진희망-h8o 2 роки тому

    좋은정보알림감사

  • @Ulsanman3
    @Ulsanman3 2 роки тому

    지금 문제는 천연가스도 규제할려는 움직임이 있다는 것입니다 선박에서 친환경 선박으로 천연가스 추진 선박이 이슈가 된적 있었죠
    그리고 이 분야는 우리나라 조선이 압도적으로 1위이구요
    문제는 천연가스 선박도 규제를 해야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어서 국내 조선사들은 대안으로 수소추진 선박을 계발중이라는 기사 본적 있습니다
    그럼 상용트럭도 규제를 당하게 되겠죠
    1톤트럭은 시간의 문제이지 끝은 전기차로 가게 될것 같습니다

  • @현남이-v9t
    @현남이-v9t Рік тому

    포터 봉고ev 조아요. 조용하고 승차감 좋고 힘도 좋은편이고 이거 타다 다른 가솔린차 타면 소음과 진동이 불편해서 못 타겠어요
    밧데리용량이적어 (58kw. ) 240여km 타는데 아이오닉이나 gv80은 밧데리가70kw이상 이어서 420km 이상타는것처럼
    봉고ev도 밧데리 75kw이상으로도로 키워주면 300km이상 탈수있을텐데 아쉬워요 올해도 차값올랐는데 밧데리 용량이나 키워놓고 올리지. 1톤 전기차 충전에대한 스트레스 해소 방법 마련하고 완충시 최대운행거리 350km이상(밧데리 용량80kw면 해결) 나오게해주면 정말 좋을거같아요. . .

  • @sunkim3999
    @sunkim3999 Рік тому

    나는 왜....세금을 더 뜯을 수 없는 차량을 단종 시키고, 세수 많이 나올 수 있는 차량방식을 밀다가, 업자나 국민들 반발로 못하고, 그러면 기존 세수를 더 뜯을 수 있도록 해서 부활 시키고 그러는거 아닌가 싶네. 돈 뜯는데 방법이 복잡하다 싶겠지만, 방식 하나하나 세세하고 알뜰하게 빼 먹으려면 그렇게 세부적으로 해야지. 그래야 나중에 바꾸기 힘들어서 우왕좌왕 할때 한번씩 더 빼먹지.

  • @최커먼
    @최커먼 2 роки тому +12

    그 디젤 하이브리드도 수동미션만 적용된다고 알고있는데 이미 개발된 기술이 자동미션에도 적용되어 개발이 완료되어있는지 궁금합니다

    • @천궁-m9t
      @천궁-m9t 2 роки тому +1

      오토의 경우 연료소비량이 많아서 일부러 수동으로 개발한거 아닌가요? 성과를 내기 위해서 그리고 기존차량에 배터리 장착해서 하이브리드 만드는건 10 년전 미국에서 유행했죠. 큰 기술도아니고 ㅋㅋ

  • @josephchoi2227
    @josephchoi2227 2 роки тому +1

    이제 lpg 가격 오를 일만 남았군요 ㅋㅋㅋㅋㅋㅋ 대체 하고 나면 확올릴걸요 다른것 처럼 ㅋㅋㅋㅋ

  • @PainKiller_J
    @PainKiller_J 2 роки тому

    T-LPDi 얘기도 있던데 lpi에 터보달면 힘문제는 해결될듯 합니다. 근데 나와야…

  • @evend0019
    @evend0019 Рік тому

    기술은 있으나 ,, lpg는 실제로 그나마 검증이 되어서 아닐까싶어요
    내연기관이 없어지고 전기자로 가야되는 기술적이고 막연한 이야기보다
    자원이 무기로 됫다는것이 큼니다 실제로 러시아전쟁에서 가장먼저한게
    유럽으로 가는 가스관을 멈춘거죠 답은 나와있는데 인프라가 부족한 상태에서 차선책을 고른거죠

  • @summerha-n9p
    @summerha-n9p 2 роки тому +1

    디젤하이브리드기술이 현기의 기술이 아닌게 문제죠! 현기에서 특허권을 먹으면 국가지원이 이루어질거에요

  • @박성욱-q5k
    @박성욱-q5k 2 роки тому +1

    영상잘보고갑니다

  • @정용-b6w
    @정용-b6w 2 роки тому +3

    포터 디젤을 빨리 계약해야 하는 이유.....포터 LPG 답 안나온다...힘없고 연비 그지같고...

  • @바스테트-w3d
    @바스테트-w3d 2 роки тому +2

    자동차 회사에서 노후디젤차를 하이브리드로 변경하는 걸 안 좋아해서 국회의원및 관계부처에 로비를 한 것은 아닐지..

  • @강양현-g7t
    @강양현-g7t 2 роки тому

    연비 나빠서 lpg도 휘발유랑 엇비슷한데, 물류비가 얼마나 오를지..

  • @이민주-z5i
    @이민주-z5i 2 роки тому +1

    참 시원시원 하시내요. 구독 좋아요 알림 설정 하고 갑니다. 뭐 정주행 했구요.

  • @DellStoryMaster
    @DellStoryMaster 2 роки тому

    디젤 하이브리도.. 말이 그렇지 배출물질나오는건 그냥 디젤이랑 똑같아요. 디젤하이브리드라고 적게 나오는게 아니라서 지원금 줘가며 하기 어려워서 그렇죠. 디젤 엔진에 일부 저속시 등에 모터를 쓰는건데 엔진 자체는 그냥 기존 디젤엔진 그대로 쓰는거에요. 그냥 엔진이 안돌때 모터쓴다는거지만 엔진으로 갈때는 그냥 디젤엔진인겁니다.
    단순히 키로수 대비 물질이 나오는게 기준이 아니고 그냥 엔진작동시 나오는 배출물질이기에 그냥 똑같이 배출합니다. 그리고 dpf도 커서 장착이 어려운경우가 많은데 모터와 기타 장치 베터리.. 차 안쪽에 안보이게 달수도 없고 드러나게 장착되어야 해서 처음부터 출시가 아니면 단점도 많게 되죠. 디젤 하이브리드 쉽지 않아요. 배출물질 저감이 목표인데 정작 배출물질 농도는 걍 똑같으니까요.
    거기다 노후경유차는 차령이 오래될수록 배출물질이 많이 나오고 노후경유차 5등급 엔진 대부분이 유로 4 이하인데 여기에 돈들여서 하이브리드 변경한다는게 현실성이 없어요. 4등급도 겨우 저감사업 시작하는데 3등급 경유는 아직 그냥 타면 되구요. 어차피 서울사대문 아니면 35년까지는 4등급차 타면 됩니다. 결국 10년 이상 여유도 있고 현재 경유하이브리드 변경까지 하면서 시행할 필요가 없는거죠.

  • @laxnine4605
    @laxnine4605 2 роки тому

    아직 lpg차는 트럭으로는 부족하다싶네요. 정부지원금도 디젤차 10년 타고 폐차했을때나 200만원을 지원해주고, lpg가 디젤에 비해 출력도 떨어지고 아직 오토도 안나오고 특히 클러치 유격 조정도 이상하게 되어있어서 기어넣을때 잘 안들어가는 문제점까지 정부가 너무 급하게 계획 하지 않았나

  • @namhyun1111
    @namhyun1111 2 роки тому

    제도가 지맘대로이고 확답을못주는건
    공무원들이 규정을 정함에있어
    나라의 기준을 정한다는게아니고
    유럽기준
    미국기준
    이런식으로 다른나라의 기준을 무조건따라야한다고 생각하고있음..
    차도그렇지만 화장품만봐도
    자기들이 실험해서 기준을 깐깐하게세우는게아니고
    유럽에서 금지니깐 따라가자
    우리는 모르겠어요 유럽에서금지래요
    이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