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озмір відео: 1280 X 720853 X 480640 X 360
Показувати елементи керування програвачем
Автоматичне відтворення
Автоповтор
뿌리가 돋아날 때 물 관리는 어떻게 하시나요? 저면 관수 아님?
.해지고나서 저녁마다 난의 뿌리와 잎, 그리고 나무껍질 전체에 골고루 분무해줍니다.밤이라 수분이 오래 지속되며, 이튿날 해뜰 무렵 수분이 말라가면서 뿌리는 수분을 찾아 나무껍질에 완전히 밀착되죠. 실제 자연환경도 이렇습니다.
@@greenstory21 이해가 되었습니다. 역시 부작 아닌 화분도 뿌리가 돋아나는 주위로 약하게 둘러 주어 뿌리가 수분을 찾아갈 수 있게끔 주는 게 요령이겠군요
혹 저면관수로 주어야 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일까요?
@@황금홀ns 화분의 경우. 일반식물처럼 화분에 난의 뿌리를 파묻는다는 느낌보다 식재에 수분이 오랫동안 머무르면서 증발하는 수분을 난의 뿌리가 흡수한다는 느낌이 올바르겠죠. 그러므로 공중뿌리가 많이 생기는게 당연한데 사람들은 이 뿌리를 자꾸 분속으로 파묻으려 하죠.
@@황금홀ns 오랫동안 화분에 물을 주지않아 식재가 바짝 말랐을 때 저면관수하는게 꼭 필요하겠죠. 부작도 가끔씩 물에 완전히 담그는게 도움이 될 수도 있겠죠.
뿌리가 돋아날 때 물 관리는 어떻게 하시나요? 저면 관수 아님?
.
해지고나서 저녁마다 난의 뿌리와 잎, 그리고 나무껍질 전체에 골고루 분무해줍니다.
밤이라 수분이 오래 지속되며, 이튿날 해뜰 무렵 수분이 말라가면서 뿌리는 수분을 찾아 나무껍질에 완전히 밀착되죠. 실제 자연환경도 이렇습니다.
@@greenstory21 이해가 되었습니다. 역시 부작 아닌 화분도 뿌리가 돋아나는 주위로 약하게 둘러 주어 뿌리가 수분을 찾아갈 수 있게끔 주는 게 요령이겠군요
혹 저면관수로 주어야 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일까요?
@@황금홀ns
화분의 경우. 일반식물처럼 화분에 난의 뿌리를 파묻는다는 느낌보다 식재에 수분이 오랫동안 머무르면서 증발하는 수분을 난의 뿌리가 흡수한다는 느낌이 올바르겠죠. 그러므로 공중뿌리가 많이 생기는게 당연한데 사람들은 이 뿌리를 자꾸 분속으로 파묻으려 하죠.
@@황금홀ns
오랫동안 화분에 물을 주지않아 식재가 바짝 말랐을 때 저면관수하는게 꼭 필요하겠죠. 부작도 가끔씩 물에 완전히 담그는게 도움이 될 수도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