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한 글자 쓸 때 마다 두 세번 먹을 찍어야만 되니.... 언제나 제대로 할지 걱정입니다. 그리고 오늘은 좀 멀리서 글쓰시는 모습을 보니 갈쿠리가 제가 쓰던 것과 다르시다는 것을 보았습니다. 오늘 퇴근하면 다시 연습해야겠습니다. 항상 청공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한자 쓰기가 어렵고 귀찮다고 일반 상용 한자까지 사용하지 않는 현재 자기이름을 한자로 쓸수 있는 사람이 몇퍼센트 되는지 궁금한 이즈음에 뭐 잘났다고 붓으로 읽지도 못하는 한자를 쓰고 계신단 말씀인가? 컴퓨터로 멋있는 글씨가 써저서 글씨 잘쓰는 사람들이 출세를 더 잘하는 시대는 끝이 났읍니다. 아시아 지역에서 한자사용은 유럽에서 라틴어를 쓰는 것과 비슷해서 우리나라 어휘의 70% 가량이 한자로 쓸수 있는데 우리 젊은이들이 한자에서 오는 어휘를 사용할 수 있게 신문에서도 한자 표기를 하시기 권장합니다.
와~~ 제가 본 글씨중 최곱니다
섬세하고 넘 정갈 인쇄를 한것처럼 반듯한 글씨 감동입니다
타고나신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서예 관심이 있어서 수년전에 구독하고 그냥 지나치다가 지금 넋놓고 보고 있습니다
대단하신 글솜씨 입니다🎉
부럽습니다
턱괴고! 넋빼고! 봤슴다. 말하면서 동시에 쓰는것도 신기해요 ~
잘쓰시는거 알지만 샘한테 배워서 그런지 더 힐링됩니다.
말씀처럼 안되는 부분많아서 언제쯤 터득이 될랑가 싶어요
나이 더들어 손떨기전에 되었음 좋겠어요 ^^
와.....정말 명필입니다요
명필입니다ㅡ잘 보고 갑니다
말씀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한 글자 쓸 때 마다 두 세번 먹을 찍어야만 되니.... 언제나 제대로 할지 걱정입니다. 그리고 오늘은 좀 멀리서 글쓰시는 모습을 보니 갈쿠리가 제가 쓰던 것과 다르시다는 것을 보았습니다. 오늘 퇴근하면 다시 연습해야겠습니다. 항상 청공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저도 아직 두세번 먹찍어야 되요 ~
언젠가는 한번에 적는날이 오겠죠? ^^
먹의 농도를 잘 맞추시고 팔이 나풀나풀 날아다닌다고 생각하고 써보세요.
기가 막히게 잘 쓰시내요
아니불자가 저렇게 멎지게 쓰는군요
어떡하면 배울수 있을까
붓끝을 다듬어 세우는 모습이 앞권입니다
화면을넘기다가 서예연습전하시는것을잘견습하였읍니다 감사합니다
와 정말 잘 쓰시는군요
감사합니다.
雅, 塵, 靑 자를 쓸 때 필순을 보니, 서예가로서 필순을 정확히 하심에 칭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잘 배위습니다~~~^^
한국에서 가장 따라 쓰고 싶은 체본ᆢ^^
😄👍
좋아요
🐮🐮🐮
서예 초중고 공통과목 되면 첫 시간에 틀어줘야 하는 동영상
예전엔 이력서 글씨체 보고 입사 합격했는데...이젠 ㅋ
화선지는 작품지인가요?
발묵이 궁금해서 여쭙습니다.
중국 연습지 입니다.
샘요 붓잡는게 일반팬 잡듯이 불편해 보이는데 그게 맞는건가요 전 학창시절 배울때 현완법이라고 중지와약지 사이에 붓을 잡았는데~!
ua-cam.com/video/oghxDofoqGk/v-deo.html
붓 잡는 방법 영상입니다. 참고하세요.
붓은보통 초보는몇호사용하나요
서예원에서는 22호를 사용하는데 20호 정도면 괜찮습니다.
能의 획순이 보편적인 순서와 다른데, 서체가 달라 그런 것인가요?
당나라 전기에는 䏻로 썼습니다. 보편적인 모양과 다른 이체자이지만 서예에서는 흔히 쓰는 방법이니 能과 䏻 둘 다 익히세요.
구양순 체인가요?
청공체입니다.
네 구양순의 필의로 쓴 글입니다.
유튜브 서예 부문을 다 섭렵한 결과
최종적으로 청공 선생님을 사부님으로 모시게 됐습니다.
까닭은, 전 분야에서 마치 석봉 한호께서 환생해 후학을 양성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창달이니 뭐니 하는 것도 결국은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의 몫이라는 판단입니다.
감사합니다. 많은 발전 있으시길 기원합니다.
붓 어느사 제품인가요 선생님사용하시는 붓사고싶슴니다
동남필방 난정필 22호 입니다.
설명하시는 말씀을 바탕화면에 올려주셨으면
참 좋겠습니다만 어렵겠죠...
전 오랫동안 구독중 이지만
항상 넘 답답하고 아쉬워서 이렇게 힘내
처음으로 글을 올려봅니다.
다름이 아니라
'청각장애'가 있거든요~~
끝을 잡고 쓸거면 붓을 머하러 저리 길게 만들었을까... 붓 잡는게 아쉽네요
바닥에 종이를 깔고 글씨를 쓸 때는 붓을 높이 잡고 낮은 탁자에 글씨를 쓸 때는 중간정도를 잡고 높은 탁자에 글씨를 쓸 때는 아래에 잡습니다. 큰붓은 아래에 잡고 작은 붓은 위를 잡습니다. 털이 긴 붓은 아래에 털이 짧은 붓은 위에 잡습니다. 참고하세요.
한자 쓰기가 어렵고 귀찮다고 일반 상용 한자까지 사용하지 않는 현재 자기이름을 한자로 쓸수 있는 사람이 몇퍼센트 되는지 궁금한 이즈음에 뭐 잘났다고 붓으로 읽지도 못하는 한자를 쓰고 계신단 말씀인가? 컴퓨터로 멋있는 글씨가 써저서 글씨 잘쓰는 사람들이 출세를 더 잘하는 시대는 끝이 났읍니다. 아시아 지역에서 한자사용은 유럽에서 라틴어를 쓰는 것과 비슷해서 우리나라 어휘의 70% 가량이 한자로 쓸수 있는데 우리 젊은이들이 한자에서 오는 어휘를 사용할 수 있게 신문에서도 한자 표기를 하시기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