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에 우주선 타고 가서 착륙할 수 있을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1 чер 2024
  • 우리는 하늘의 떠 있는 천체를 구별 없이 '별'이라 부르지만, 천문학에서의 '별'은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을 뜻합니다. 그렇다면 이 별에 우주선을 타고 가서 착륙할 수 있을까요? 이 영상에서는 별과 다른 여러 천체를 비교해보며 착륙할 수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 영상에서 다루지 않은 과학 주제들로 사물궁이 도서 3~4권이 출간됐습니다.
    - 교보문고 : bit.ly/3JD9BJP
    - YES24 : bit.ly/3JEWrvR
    - 사물궁이 유튜브 채널 구독 : / @smgi
    - 사물궁이 시리즈 정주행 : • [사물궁이] 전체 영상 모음
    - 궁금증 제보 : forms.gle/xT6HQEpVTYbfe9EY8
    - 유튜브 멤버십 가입 : / @smgi
    - E-Mail : facebookspeedwg@gmail.com
    ※ 참고자료·논문자료·자문 등 도움
    - 도서 '사소해서 물어보지 못했지만 궁금했던 이야기 3’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천문학습관
    : astro.kasi.re.kr/learning/pag...
    - National School’s Observatory.
    : www.schoolsobservatory.org/le...
    ▪ 배경음악
    : I Hear Voices - Underbelly
    : Ether Oar - The Whole Other
    : Eyes of Glory - Aakash Gandhi
    : Cartoon Bank Heist (Sting) - Doug Maxwell/Media Right Productions
    : Gunpowder Tea - Mini Vandals
    ▪ 애니메이션 감독 : Studio S
    ▪ 음향효과 :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정자료 이용 및 자체제작
    ▪ 기타 사진·영상 :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진과 영상 이용
    00:00 원고 출처
    00:08 주제
    00:48 지구형 행성에 착륙할 수 있을까?
    00:58 목성형 행성에 착륙할 수 있을까?
    01:20 천왕성형 행성에 착륙할 수 있을까?
    01:39 위성·소행성·혜성에 착륙할 수 있을까?
    02:06 별에 착륙할 수 있을까?
    04:48 결론
    #사물궁이 #궁금증 #호기심 #과학 #우주 #천문학 #천체 #우주여행 #우주탐사 #별나라
    Copyright. 사물궁이 잡학지식. All rights reserved
  • Розваги

КОМЕНТАРІ • 86

  • @SMGI
    @SMGI  5 місяців тому +18

    * 영상에서 다루지 않은 과학 주제들로 사물궁이 도서 3~4권이 출간됐습니다. 많은 관심바랍니다. (내년에 역사 시리즈와 과학 시리즈 신간 출간 예정)
    - 교보문고 : bit.ly/3JD9BJP
    - YES24 : bit.ly/3JEWrvR

  • @user-to9vr9lj5g
    @user-to9vr9lj5g 5 місяців тому +138

    형님 제목만 봐도 불가능합니다만 믿고 봅니다

    • @user-jp1be2pq9j
      @user-jp1be2pq9j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요즘 왜이렇게 제목만 봐도 결과가 뻔한 내용들이 많아졌지;;

  • @TimCookspeaksKorean
    @TimCookspeaksKorean 5 місяців тому +78

    별에 가까이가면 핵융합되서 별과 하나되어 한줄기 빛과 열이 되겠지요.
    낭만적이네요.
    커플분들 꼭 밤하늘의 별을 따다가 주시기 바랍니다.

    • @eejsks
      @eejsks 5 місяців тому +1

      파워스톤 딸깍

    • @user-nj2jm9bx4r
      @user-nj2jm9bx4r 5 місяців тому +5

      핵분열?

    • @JELLY_F1SHY
      @JELLY_F1SHY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인간이 탄소 기반 생명체인걸 생각하면 핵분열보단 핵융합되는게 맞지 않을까 싶네요...
      물론 뇌피셜입니다

    • @GlLine_2
      @GlLine_2 5 місяців тому +10

      그런데 이것은 틀렸습니다.
      핵분열은 철보다 무거운 불안정한 물질들에서 많이 나타나는 성질입니다.
      핵융합이라면 태양의 중심에서 강한 중력과 온도가 만나 수소가 헬륨으로 합쳐지는 것이고, 인간은 수소처럼 반응성이 빠르고 가벼운 물질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그냥 녹아버리거나 플라즈마가 되어 약간의 빛울 내뿜게 될 것입니다.

    • @user-lq6dp1xj9p
      @user-lq6dp1xj9p 5 місяців тому +3

      이분은 핵융합 원자로도 잘못 관리하면 터지는걸로 알겠네ㅋㅋ

  • @yj810104
    @yj810104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오늘은 천문학을 들고 오셧네요. 재미있었습니다. 다양한 종류의 별모양 궁이들을 볼 수 있어서 좋았네요.
    사물궁이님 메리 크리스마스 하십쇼. 다음주입니다.

  • @Panzer_turtle
    @Panzer_turtle 5 місяців тому +13

    암석 행성처럼 땅이 있다면 착륙할 수 있겠지만
    가스행성이나 항성은 아예 착륙할 땅 자체가 없기 때문에
    착륙이라는 말 자체가 어불성설

  • @dfdfsdfa
    @dfdfsdfa 5 місяців тому +13

    저걸 다 견뎌야 외계인이 된단 말인가? 조건 참 까다롭네요

    • @ITUKA00
      @ITUKA00 5 місяців тому

      ..?

    • @user-ln5eq7vj9i
      @user-ln5eq7vj9i 5 місяців тому

      울트라맨이 생각나는 구만...

  • @MystoreisOpen
    @MystoreisOpen 5 місяців тому +8

    착륙보다 앞서서 걱정해야 할 문제가 있죠.
    지구에서도 강렬한 태양빛은 견디기 힘든데
    과연 근접은 가능할까!

  • @user-rr3jx8qt1q
    @user-rr3jx8qt1q 5 місяців тому +3

    와!

  • @soplet6121
    @soplet6121 5 місяців тому +3

    ※이 채널은 교육용으로 아직 중등 과학 과정을 배우지 못한 아이들도 많이 보고 있다.

  • @whatyouwant6666
    @whatyouwant6666 5 місяців тому +5

    수소 원자핵 4개...? 가 헬륨...? 뭐 이상한거 못느꼈나요 궁이씨???

    • @Kettlers
      @Kettlers 5 місяців тому +1

      222222
      양성자가 베타붕괴로 중성자가 되는 과정 설명이 생략되었네요.

  • @user-xm1fk3jc1g
    @user-xm1fk3jc1g 5 місяців тому +3

    별은 핵융합이 끊임없이 발생하는 가스 덩어리라서 가까이 다가가기도 전에 엄청난 빛과 열 때문에 타 죽을꺼 같습니다..ㄷㄷ

  • @XeBiNl
    @XeBiNl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수성 근처만 가도 태양의 빛, 방사선 때문에 많이 아프지 않을까요 ㅠ

  • @oreange8771
    @oreange8771 5 місяців тому

    스테이플러 심은 어떤 방법으로 연결 되 있는걸까?

  • @TakeOnMe2023
    @TakeOnMe2023 4 місяці тому +1

    별은 거성·초거성·백색왜성·중성자별·블랙홀입니다.
    한 번 내려보자구요

  • @user-to6he9yw7k
    @user-to6he9yw7k 5 місяців тому

    기생파리와 같이 기생동물에 공격당한 곤충은 스스로 알을 제거할 수 없나요? 당해야만 하나요?

  • @jaysjsj
    @jaysjsj 5 місяців тому +3

    뭔 말도안되는 소리야 하면서 들어온 문과...

  • @Bomb-qq2rj
    @Bomb-qq2rj 5 місяців тому

    의뢰 합니다
    왜 아파트 외벽에 파이프가 ㄷ자로 꺾겨 있나요?

  • @sasota8926
    @sasota8926 5 місяців тому

    항성은 고사하고 항성 가까운 수성, 금성의 온도도 견디는 우주선이 없는데 언감생심 항성에 랜딩을... 그리고 온도도 온도지만 그 어마어마한 방사선은 멀리 떨어진 지구에서조차 우주 환경에 나서면 태양의 우주방사선을 걱정해야하는데 태양 근처는 현재 인류의 기술 수준으론 접근 조차 불가능

  • @china_lover
    @china_lover 5 місяців тому

    지구에 저렇게 항성에서 만들어지는 물질이 었다는건 많은걸 암시하죠

  • @user-og1pb5dx5d
    @user-og1pb5dx5d 5 місяців тому

    완벽히 이해했어!!!

  • @dogmaster01
    @dogmaster01 5 місяців тому

    맥주 마시면 왜 귀 밑쪽부터 턱부분이 저린지 궁금합니다.

  • @greatfuture964
    @greatfuture964 5 місяців тому +5

    결론 불가능

  • @user-md5ii1gk6r
    @user-md5ii1gk6r 5 місяців тому

    네이버 베스트도전 웹툰 이과 스페셜에서 지구(행성)가 별(항성)이 아닌 이유가 나옵니다.

  • @456dysha
    @456dysha 5 місяців тому

    별은 우리가 상상을할수 없을 정도로 엄청나게 뜨겁고 방사능을 사출하기 때문에 가까이가시면 안됩니다

  • @yongho81
    @yongho81 5 місяців тому +1

    태양 정도나 그 이상에는 당연히 착륙하기 힘들잖아. 별 형태는 띠고 있고 그나마 온도는 낮은 적색왜성을 가지고 다룰줄 알았는데 너무 뻔하네요

  • @sarang...
    @sarang...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아이고 머리야 이 영상은 그냥 수면제다... zzz

  • @moonhyeram
    @moonhyeram 5 місяців тому +1

    태양과 같은 항성이 핵융합을 끝내고 백색왜성이 된 채로 식으면 흑색왜성이 되는데, 이땐 착륙이 가능할겁니다. 탄소덩어리라서

    • @user-rs2ll6dn2f
      @user-rs2ll6dn2f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중력이 매우 커서 불가능하지 않을까요

    • @JINSHOME111
      @JINSHOME111 5 місяців тому

      흑색왜성은 관측된 바가 없는 이론상의 천체입니다.

  • @user-wn4lq8qs3d
    @user-wn4lq8qs3d 5 місяців тому

    지구과학1에서 그대로 배우는 내용인데

  • @user-uq6oe4lr6z
    @user-uq6oe4lr6z 5 місяців тому

    드라마나 애니메이션에 오프닝 엔딩 노래는 왜 있는 것일까?

  • @user-om2cj1dk9x
    @user-om2cj1dk9x 5 місяців тому +3

    제목부터 문과

  • @user-bf7hc8sz7z
    @user-bf7hc8sz7z 5 місяців тому

    정말 궁금한데 여기에서 풀어주실지 모르겠어요..
    그 똥모양이 꼬여있잖아요 보통 응아가 길쭉하지
    꼬여있는 응아로 싸는건 쉽지 않거든요
    꼬여있는 응아 모양이 사람들에게 알려진 시기가 언제부터 나타났고 시작된건지 궁금합니다

  • @user-dy9xm2ly1s
    @user-dy9xm2ly1s 5 місяців тому

    조개 해감할때 왜 스댕 숟가락 올려놓는지 알고 싶습니다.

  • @wpy3
    @wpy3 5 місяців тому

    탄소나 석탄등 타버리는 물질들도 매우높은 온도에서는 녹아서 액체가 될까?

    • @user-ru2ls1rx3d
      @user-ru2ls1rx3d 5 місяців тому

      산소가 없으면 온도가 높아도 안타죠

    • @EnrEkr7075
      @EnrEkr7075 5 місяців тому +2

      ​@@user-ru2ls1rx3d탄다 = 산화
      타는거랑 녹는거랑은 다릅니다. 산소 없이도 녹는점에 도달하면 녹아요.
      물질에 엄청난 열을 가하면 최종 상태는 기체가 됩니다.
      얼음이 물이 되고 수증기가 되는 것

  • @ryujd0533
    @ryujd0533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착륙은 커녕 고온 고압을 이겨내지 못할 듯 합니다.
    증발... ^^

  • @user-ln5eq7vj9i
    @user-ln5eq7vj9i 5 місяців тому

    울트라맨 시리즈 중에 우리나라에서 제일 인지도가 높은 작품 중 하나인 울트라맨 타로(초인 제트맨) 40화에서 타로를 제외한 울트라 형제들이 폭군괴수 타일런트와 맞서는 장면이 있었는데, 조피는 해왕성에서, 울트라맨은 천왕성, 세븐은 토성, 잭은 목성, 에이스는 화성에서 타일런트와 맞섰는데, 이 중에 그나마 에이스를 제외하면 다 과학적인 고증에 어긋나는 장면이었구만...

  • @4spikespiegel47
    @4spikespiegel47 5 місяців тому

    괜찮아요 우리 조상들은 수도없이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별도 달도 따준다고 약속했어요
    착륙쯤이야... ㅎ

  • @nicklee6603
    @nicklee6603 5 місяців тому

    모든 천체에는 착륙할 수 있다. 다만 어떤 천체에는 한 번만 착륙할 수 있다.

  • @user-bt5ft8zl9d
    @user-bt5ft8zl9d 5 місяців тому

    별은 정말 별모양일까요?

  • @user-te8ug4zx4l
    @user-te8ug4zx4l 5 місяців тому

    문과 "너를 하늘만큼 땅만큼 사랑해"
    이과 "저 하늘에 별들 질량만큼 사랑해"

  • @ipop123
    @ipop123 5 місяців тому

    어렵다...

  • @user-pv7hw6hb6p
    @user-pv7hw6hb6p 5 місяців тому

    제일가까운 별 =태양 태양에 가서착륙한다 = 녹는다 ㅠ

  • @joshuajeongwhanbyun4720
    @joshuajeongwhanbyun4720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어려움이 있습니다가 아니라 현재의 기술로는 불가능합니다가 맞지 않나 싶어요. 아 그리고 태양을 흰색에 가깝게 그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태양은 우리의 인식과는 달리 사실 완전한 흰색의 별이죠.

  • @lyanmoon
    @lyanmoon 21 день тому

    뭐야… 별이 가스였어?!! 난 여태 왜 땅이 있다고 생각했지 왜ㅋㅋㅋ

  • @user-lq6dp1xj9p
    @user-lq6dp1xj9p 5 місяців тому

    착륙하는 순간 핵융합 엔딩

  • @user-lx8br3vg5o
    @user-lx8br3vg5o 5 місяців тому

    너무나도 뜨거우니까 당연히 불가능.

  • @anony4704
    @anony4704 5 місяців тому

    와 1도 모르겄다ㅠ

  • @chan-uf8ff
    @chan-uf8ff 4 місяці тому

    줄여서 말하면 기체라 서지도 못하고 뜨거워서 죽음

  • @wlfkfwhagkwlak
    @wlfkfwhagkwlak 5 місяців тому

    알고 싶었는데
    알려주니까 못 알아먹겠다

  • @user-lv7is7dx3r
    @user-lv7is7dx3r 5 місяців тому

    예지몽 현상은 왜 일어나는 건가요?

  • @contro11er
    @contro11er 5 місяців тому

    태양에 도착한다는 소리

  • @violetcrown8998
    @violetcrown8998 5 місяців тому

    2023년 12월 17일 일요일 오전 11시 4분

  • @wanbaaaa
    @wanbaaaa 5 місяців тому

    아직 영상보기전인데 그냥 지옥에 가는게 나을정도 아닐까요 ㅋㅋㅋㅋㅋㅋㅋ

  • @user-sx3ph6jc4s
    @user-sx3ph6jc4s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옛날에 친구가 밤하늘에 떠있는 별을 보면서 "저기엔 누가 살고 있을까?" 물어보길래, 태양같은 가스형 항성이라서 아무것도 못 살아. 라고 답했다가 무드 없는 뇬 소리 들었어용 ㅋㅋㅋㅋㅋ
    친구는 문과. 나는 이과. ㅋㅋㅋㅋㅋ

    • @user-fr8tq8in3c
      @user-fr8tq8in3c 5 місяців тому

      저는 문과이지만 님의 말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저 별에 “골디락스존에 들어가는 행성이 있을까? 그렇다면 그 행성에는” 누가(->무언가) 살고 있을끼? 라고 고쳐줍니디.

  • @user-yr2eb1ul6w
    @user-yr2eb1ul6w 5 місяців тому

    결국은 거대한 불덩이라 착륙이 불가능하다는 얘기를
    아주 복잡하게 돌려서 얘기한 거네.

  • @user-gv4pn7tc6i
    @user-gv4pn7tc6i 5 місяців тому

    별 따다 달라고 하면 죽여야겠다.

  • @user-gu7kn3np4y
    @user-gu7kn3np4y 5 місяців тому +2

    [다음 주제 추천]
    1. 여자들의 '가슴 만질래?'는 진심일까?
    2. 국수역과 김유정역 같은 특이한 전철역
    3. 트램펄린, 덤블링, 방방, 봉봉, 콩콩
    4. 옛날에 바퀴가 3개 달린 트럭이 있다던데?
    5. 요즘 술 광고에 '캬~!'가 왜 안 보일까?

  • @china_lover
    @china_lover 5 місяців тому

    ㅏㅏ

  • @survive_in_bronze
    @survive_in_bronze 5 місяців тому

    신생아도 만져주면 스나요

  • @ohYDS
    @ohYDS 5 місяців тому +2

    본계 댓글 강삭 짜증

  • @user-kz3be7cl2t
    @user-kz3be7cl2t 5 місяців тому

    한국은 남,북으로분단되어있고 남한에는 대한민국정부가있고 북한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있는것아닌가요?

  • @subscribe_SUBSCRIBE.
    @subscribe_SUBSCRIBE. 5 місяців тому +2

    나는 별이 될꺼야
    태어날때도 아름답고
    죽을때도 아름답잖아
    다음 주제는 "어떻게 하면 밤하늘의
    별을 따서 너에게 줄 수 있을까?"

    • @subscribe_SUBSCRIBE.
      @subscribe_SUBSCRIBE.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래서 태양으로 갈꺼야!!!!!!
      태양에 가까이 가서 먼지가 되어
      태양과 하나가 될꺼야!!!!!
      후화훠호후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