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에서 불났을 때 왜 무조건 대피하면 안 될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7 лют 2024
  •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무엇을 먼저 해야 할까요?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다양한 답변이 나옵니다. 이는 화재예방교육의 중점이 시대에 따라 변했기 때문인데, 2019년에는 화재 시 대피 먼저를 강조했습니다. 그런데 무조건적으로 대피하다가 피해를 겪는 일이 많이 생겼습니다. 이에 따른 새로운 피난안전대책을 살펴봤습니다.
    * 이 영상은 소방청과 한국화재보험협회로부터 예산 지원을 받아 제작됐습니다.
    - 사물궁이 유튜브 채널 구독 : / @smgi
    - 사물궁이 시리즈 정주행 : • [사물궁이] 전체 영상 모음
    - 궁금증 제보 : forms.gle/xT6HQEpVTYbfe9EY8
    - E-Mail : facebookspeedwg@gmail.com
    ※ 참고자료·논문자료·자문 등 도움
    - 소방청
    : www.korea.kr/news/policyNewsV...
    - 아파트 화재 피난안전대책 추진계획
    - 화재 피난안전매뉴얼
    - 아파트 화재(최근 5년) 통계분석 결과 보고
    - 소방청 통계연보
    - 화재통계연감
    - 건축법 시행령 제46조(방화구획 등의 설치)
    ▪ 배경음악
    : Ether Oar - The Whole Other
    : Eyes of Glory - Aakash Gandhi
    : Cartoon Bank Heist (Sting) - Doug Maxwell/Media Right Productions
    : Golden Cage - Jimena Contreras
    ▪ 애니메이션 감독 : 빅포레스팅
    ▪ 음향효과 :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정자료 이용 및 자체제작
    ▪ 기타 사진·영상 :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진과 영상 이용
    #사물궁이 #소방청 #안전 #화재 #불나면 #궁금증 #호기심 #아파트화재 #아파트 #대피 #화재대피
    Copyright. 사물궁이 잡학지식. All rights reserved
  • Розваги

КОМЕНТАРІ • 149

  • @minsukkim570
    @minsukkim570 4 місяці тому +99

    얼마전 사고때 나온 화재대처 방법으로, 무조건 화장실에 들어가라는것도 문제는 있습니다. 화장실에 있으면 바깥 상황을 알기 어렵고, 대피 시기를 놓칠 수 있으며 연기 유입 시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재난 상황에는 정해진 방식을 기본으로 행동하되 그 방식을 맹신하지 말고 다음 행동을 나 스스로 잘 판단하는게 중요합니다.

  • @user-lm7nl1vz6r
    @user-lm7nl1vz6r 4 місяці тому +305

    흐음..차라리 매년 회사에서 의무법정교육을 이렇게 만드는게나을듯.. 산업안전교육, 성추행방지교육 등등 몇년동안 받는데 하나도 기억안남 ㅋㅋㅋ(수정) 맨날 아나운서인지 교수인지 불러다가 20분 30분 과목 10몇개씩 교육(?)해주는데 어느 누가 그런거 보고 기억에 남을지...

    • @hmt_hmt
      @hmt_hmt 4 місяці тому +30

      어릴 때 티비 프로그램 기다리는 동안에 나오는 광고 멘트 외우듯 그냥 계속 틀어주는게 맞는듯

    • @ahmedbrown4439
      @ahmedbrown4439 4 місяці тому +67

      회사에서하는 교육은 면피용임. 교육을 열심히했는데 직원이 제대로 안들어서 사고가 났다는거지 ㅋㅋ

    • @zheruq286
      @zheruq286 4 місяці тому +11

      하나도 기억남ㅋㅋ

    • @gaffffp_ja_gi__choi_mi_ro
      @gaffffp_ja_gi__choi_mi_ro 4 місяці тому +4

      하나도 (-, 즉 부정을 요구)
      기억남 (+, 즉 긍정)
      ㄷㄷ

    • @user-gz8zt1gj7u
      @user-gz8zt1gj7u 4 місяці тому +6

      내가 다니던 회사는 교육 그딴거 없고 그냥 받았다고 싸인하라 하더라ㅋㅋㅋㅋ 안 하면 싸인하라고 엄청 눈치주고

  • @inycookie
    @inycookie 4 місяці тому +46

    대피공간 경량칸막이 등 사고가 나기전에 잘 알아둬야겠네요..

  • @user-gd4dj9cy5e
    @user-gd4dj9cy5e 4 місяці тому +31

    이런거 훈련 받지 않으면 기억 한개도 안남
    집에 잘보이는 곳에 소화기 가져다 놓는게 제일 나음

  • @electron1269
    @electron1269 4 місяці тому +45

    영상 퀄리티가 아주 좋아졌네요!

  • @masterdohyun
    @masterdohyun 4 місяці тому +19

    한가할 때 보면, 참 이해하기 쉬운데, 위급 시에 저대로 판단하기가 쉬울까.. 걱정된다.

  • @sobanguncle
    @sobanguncle 4 місяці тому +4

    이렇게 매번 바뀌는 안전수칙을 알려주는 사물궁이가 새삼 대단해 보이네....

  • @0Ooc
    @0Ooc 4 місяці тому +15

    정말 중요한 내용이 빠져있어서 알립니다. 집안에서 대피할 때 절대 화장실은 들어가면 안됩니다. 욕조에 물을 받으면서 화장실로 대피해야 한다고 교육하던 시절이 있어서 화재시 화장실에서 기다리시는 분이 있을텐데 화장실 환기구와 배관도 엘리베이터, 계단과 마찬가지로 굴뚝처럼 연기의 통로가 됩니다. 상황에 따라 주방의 배관과 덕트도 동일한 역할을 하기때문에 대피공간이 대피공간이 없는 아파트일 경우 화장실이 없는 방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상단고정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westboat1
    @westboat1 4 місяці тому +29

    꼭 필요한 정보였어요. 궁금증을 쉽게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완벽정리!

  • @gudtkd05
    @gudtkd05 4 місяці тому +9

    철근도 빼먹는데 대피공간이나 안전시설에 부실공사가 없을지 걱정됨ㅠ

  • @user-dj9qy9qf4o
    @user-dj9qy9qf4o 4 місяці тому +7

    왠지 소방청과 협업한 영상이 나올 거 같았는데 진짜 빠르게 나왔네요😂

  • @TheKeroroke
    @TheKeroroke 4 місяці тому +28

    민방위를 남녀 모두 의무적으로 받고 거기서 화재 훈련도 할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official_0
      @official_0 4 місяці тому +2

      니나 해라

    • @TheKeroroke
      @TheKeroroke 4 місяці тому +18

      ​@@official_0 민방위는 국방도 국방이지만 전시 재난시 위급상황등등 교육을 해주니 받아둬서 나쁠게 없습니다. 지금은 남성은 의무지만 여성은 신청자에 한해 받는데 무조건 의무적으로 받아야 합니다. 게다가 직장인이라면 민방위교육때문에 휴가도 가능하죠 회사의 규모에 따라 다르겠지만요

    • @user-bx6bf1zh2f
      @user-bx6bf1zh2f 3 місяці тому

      @@TheKeroroke 생리나해라

    • @Unro_
      @Unro_ 3 місяці тому

      민방위 등 군 관련은 무조건 남자만, 화재 훈련 시 남자는 여자 보호를 의무화.

    • @TheKeroroke
      @TheKeroroke 3 місяці тому +2

      @@Unro_ 민방위는 남녀 다 의무적으로 받아야 합니다. 국방의식도 중요하고 전시 혹은 재난시 어떻게 행동할지등등 알아둬서 나쁠게 없습니다.

  • @gohomefire
    @gohomefire 4 місяці тому +1

    상황 판단후 대피방법을 선택하는 것 ! 잘 보고 갑니다 :D

  • @hayeonkim7838
    @hayeonkim7838 4 місяці тому +6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삶에 유익하고 도움되는 영상 진심 넘 감사합니다 ㅎㅎ

  • @user-tx7ur8no5b
    @user-tx7ur8no5b 4 місяці тому

    많이 도움 됐습니다

  • @peachblossom3672
    @peachblossom3672 4 місяці тому +1

    감사합니다

  • @user-cmsbass
    @user-cmsbass 4 місяці тому +3

    각 가정에 생명보험이라 생각하고 화재 시 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 등을 대비하여 구매하시길.
    무엇보다 화재가 난 경우를 시뮬레이션하여 어디로 대피 할 지 알아두고 대피로에 적재물을 최소화 해두길 바랍니다.

  • @zihometro
    @zihometro 4 місяці тому +5

    한국화재보험협회 불조심 대회 땜에 초등 4학년 때 알게됐는데 여기서 또 보넿ㅎㅎㅎ

  • @begin3726
    @begin3726 Місяць тому

    영상 목소리도 많이 차분해지고 좋아졌네요~~!

  • @user-vv7ot8yq4h
    @user-vv7ot8yq4h 4 місяці тому +3

    오오 좋은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유익했습니댜

  • @beginofsquare
    @beginofsquare 4 місяці тому +1

    이영상 진짜 유익하네 ㄷㄷ

  • @sht5699
    @sht5699 4 місяці тому +23

    고층신축 아파트 방재팀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화재가 날 시, 입주민들의 인명피해를 최우선으로 하고 초기화재진압을 시도합니다. 그러던 중에
    각 층 마다에 있는 댐퍼와 공조기를 가동시켜 연기를 배출시키고 화재발생층의 모든 전기를 차단시킵니다. 과부하로 폭발할수도 있고
    그렇기에 화재에는 여러 사람의 협조가 필요합니다.

    • @user-hk2uk9gh5c
      @user-hk2uk9gh5c 4 місяці тому +3

      국어몇등급이신지

    • @song_537
      @song_537 3 місяці тому

      인명피해 최소화를 우선으로 한다는 얘기죠?
      인명피해를 최우선으로 하면...

  • @KonnoYuuki0523
    @KonnoYuuki0523 2 місяці тому

    이 영상 덕분에 최근에 옆집에 불나서 연기가 유입되었을때 발빠른 대처를 할수 있었습니다

  • @user-gq2wg7ez8r
    @user-gq2wg7ez8r 4 місяці тому +4

    복잡하네.. 당황하면 이성적 판단을 할수있을까...

  • @kanemotchi
    @kanemotchi 3 місяці тому

    오늘 10시까지 자다가 뒤척여서 한번 깼는데 화재 사이렌 소리 들리길래 깜짝 놀라 일어났습니다.
    사물궁이 영상 봤던거 생각나서 다시 영상 보면서 어떡하지하고 있었는데 소화전 비상벨 점검 중이었더라고요..

  • @user-ny9lh1vv5e
    @user-ny9lh1vv5e 3 місяці тому

    안녕하세요 저는 중학생이고 약플 달기를 하고 있습니다 매번 교육적인 영상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unusual_person_03
    @unusual_person_03 4 місяці тому +1

    완강기랑 경량칸막이 둘다 있는 집이라 다행이네요.

  • @user-xw2yn8om9m
    @user-xw2yn8om9m 3 місяці тому

    사물궁이님 안녕하세요! 안경을 쓰면 안경을 안쓸때보다 미세하게 사물이 한쪽으로 약간 이동한 것처럼 보이는데 그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한 쪽 눈을 감은 것도 아닌데 한 쪽 눈을 감았을 때 나는 현상이랑 비슷해서요. 안경을 쓰면 주시안이 바뀌는걸까요?

  • @geerapiujrpiun
    @geerapiujrpiun 4 місяці тому +16

    다른 거 다 제쳐두고, 방화문만 다 닫혀있어도...

    • @user-qu1zy1iu3p
      @user-qu1zy1iu3p 4 місяці тому +3

      짐놔야한단 말이에욧!

    • @user-kd5mm1ei7w
      @user-kd5mm1ei7w 4 місяці тому

      우리 아파트도 2층부터 5층까지 방화문 다 열려 있어서 사고나면 다 뒤지게 생김. 내가 이거 언젠가 소방서에 신고해서 포상금 받고 만다...ㅡㅡ

  • @hn5334
    @hn5334 4 місяці тому

    ㅠㅠ 아파트 사는데 화재가 너무 무섭네요... 사물궁이님.. 혹시 태몽에 대해서는 다뤄주실 수 없으신가요!!

  • @Steinich
    @Steinich 4 місяці тому +1

    2:09 원리 스킵, 핵심 시작

  • @qwerasdfpoiulkjh
    @qwerasdfpoiulkjh 3 місяці тому

    저는 많은 비상벨 오류로 인한 안전 불감증 또한 조심해야한다고 생각되네요.

  • @user-xm1fk3jc1g
    @user-xm1fk3jc1g 4 місяці тому

    저희 아파트는 옥상층이 없어서 고층 세대는 스카이 파크로, 저층 세대는 계단을 통해서 밖으로 빠져나가면 된다고 합니다~🔥🔥

  • @FAHQWCJKTXB
    @FAHQWCJKTXB 4 місяці тому +13

    와 이 영상 대단합니다. 2년1년 에 조금 이상했는데 5개월 전 부터는 진짜로 대단 합니다.

    • @user-gp1wn2vv8s
      @user-gp1wn2vv8s 4 місяці тому +6

      뭔소리야

    • @FAHQWCJKTXB
      @FAHQWCJKTXB 4 місяці тому +1

      ​@@user-gp1wn2vv8s 아
      지금 으로 부터 2~1년 전에 조금 이상했는데 지금은 괜찮다는 뜻

    • @alzkd1225
      @alzkd1225 3 місяці тому

      정신이상자인듯

  • @user-kc3tj4hb6k
    @user-kc3tj4hb6k 4 місяці тому

    냉정하게 상황 판단이 가장 중요한데 이게 교육 받는다고 되는 부분이 아니라서 의무적으로 교육은 하고 그걸 실제 상황에서 대입하는것은 개인에게 맡기는 수 밖에 없는게 현실

  • @baemin5suwon
    @baemin5suwon 3 місяці тому

    흰 캐릭터들 작은 목소리가 귀엽넹요

  • @KGN20C
    @KGN20C 4 місяці тому

    우리나라도 지진이나 화재, 이런 위급상황훈련을 정기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고 봄.
    포항지진때 밀양에 있었는데 전기가 나가고 건물이 흔들리고 책장이 넘어가는 중에도 이게 뭔일인그 싶어서 멀뚱멀뚱 있었음.
    나중에서야 지진이었단걸 알고 진짜 죽을수도 있었겠구나 싶으면서도 전조증상으로 충분히 피난할수도 있는 상황에 몰라서 당하는 사고는 피하게 만들어야함.

  • @kavrianful
    @kavrianful 4 місяці тому

    아파트에서 가끔 오류로 비상벨 울리는데 대피하라고만 했던 것 같음. 고것부터 바껴야 할 것 같은디...

  • @Thelon63
    @Thelon63 4 місяці тому +1

    아파트 살면 나가기 전까지 어디서 불난지 알수가 없는데..

  • @user-xw1bz3fk8s
    @user-xw1bz3fk8s 3 місяці тому +2

    막상 닥치면 떠오르려나..

  • @user-ge1rg3bf4o
    @user-ge1rg3bf4o 4 місяці тому +1

    화재도 교통사고랑 똑같아요; 내가 아무리 조심해도 에휴. 재수없음 그냥;;

  • @Ycmjg37143
    @Ycmjg37143 4 місяці тому

    요즘 신축아파트는 자동으로 비상벨이 울리는 시스템인데 오작동으로 인한 경보가 장난아니게 많이 울려요.
    화재가 안 났는데 화재가 났다는 경보가 뜨거나 그래요.

    • @patric249
      @patric249 4 місяці тому +2

      흡연충 때문

  • @user-vs3kp9pp6q
    @user-vs3kp9pp6q 4 місяці тому

    옛날 1900년대부터1970대까지는 cctv도 없고 지문감식 같은거 없었는데 어떻게 범인잡았고 어떤증거를 활용했는지 알려주세요

  • @light_pillar
    @light_pillar 4 місяці тому

    한국의 안전불감증부터 어떻게 해결해야함.. 건물에서 소방벨 울려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를 진짜 자주 봐서 진짜 큰일이 난 거 아닐까 싶은 나부터도 발이 잘 안 떨어짐

  • @user-op6gt7zw9e
    @user-op6gt7zw9e 4 місяці тому

    아래층 불이 베란다,난간을 통하여 위층으로 번짐을
    원천적으로 봉쇄,차단하는 장치는 없는가?

  • @Hoshikawa_Mitsuki
    @Hoshikawa_Mitsuki 3 місяці тому

    처음에는 그것도 모르고 창고로 이용했는데, 거기가 대피실이었어. 😅

  • @namulnara
    @namulnara 4 місяці тому +5

    긴급상황인데 생각할게 너무 많네요 이정도면 자체적으로 한번씩해야겠는데요

  • @user-ig8wv8ue7f
    @user-ig8wv8ue7f 4 місяці тому

    결론 살놈은살고 죽을자는죽음 개인의운명임

  • @JNS__99
    @JNS__99 4 місяці тому

    우리 아파트는 대피공간이 없네요.. 너무 구축 ㅠㅠ

  • @net.ko_
    @net.ko_ 4 місяці тому +5

    캐릭터가 귀염뽀짝해서 집중이 안 되네 ㅋㅋㅋ

  • @8-cu5vp
    @8-cu5vp 4 місяці тому

    제일 중요한거 일단 불이 않나도록 주의하자

  • @user-yn6uj5xx4j
    @user-yn6uj5xx4j 4 місяці тому +3

    어.. 생각보다 좀 많이 복잡하다..

  • @YDSnim
    @YDSnim 4 місяці тому +1

  • @SH-hp4xe
    @SH-hp4xe 4 місяці тому

    북극곰 간을 먹으면 비타민A 였나 과다로 피부가 벗겨져서 죽는데 우리몸에 있는 영양분이 과다할때랑 부족할때 생기는 질병이나 독이 되는건 어떤게 있는지 알려주세요

  • @user-wi5zw3rk1k
    @user-wi5zw3rk1k 4 місяці тому +1

    다이소화장품 믿고써도되는지 궁금해요

    • @user-up5yh9bv9b
      @user-up5yh9bv9b 4 місяці тому

      성분 나쁜거 없어서 써도 된다고 유튭에서 들었던거 같음

  • @user-qo9bi3my6r
    @user-qo9bi3my6r 4 місяці тому

    전국민이 한번씩 의무로 봐야할 영상

  • @u_nong
    @u_nong 4 місяці тому

    우리아파트는 구축이고 나는 3층사는데 1~3층 저층에는 대피공간 없음, 복도 방화문도 없음(층당 두 집이고 계단 공간에도 방화문 x), 아래층 이동 사다리나 가벽도 없음(맨 끝집이라 구조상 없다네요), 완강기 하나있는데 2층이나 1층에서 불나면 완강기도 못쓸테고. 복도로 나가면 방화문이 없어 연기흡입으로 실신할테고. 아랫집 불난다하면 마냥 집에있을수도 없을테고.. 대체 이럴땐 어떡해야 할지 막막하네

  • @-starstar
    @-starstar 4 місяці тому

    여기서 문제는 대부분의 사람이 비상벨 울려도 안도망감 내가 사는 아파트에 오작동으로 비상벨이 울렸는데 대피한게 20명이 안돼었음

  • @hmnyari
    @hmnyari 4 місяці тому

    욕조에 물받고 들어가있으면 어떻게 되나요?

  • @seoki12
    @seoki12 3 місяці тому

    (질문) 축구경기장에서 큰 깃발을 흔들며 응원하는 관중석에 앉아있는 관중들은 경기를 보기 힘들지 않나?
    선수들의 플레이가 잘 보이지 않을텐데

  • @user-ue3ln1bn3z
    @user-ue3ln1bn3z 4 місяці тому

    작졎 새벽 4시에 살던 오피스텔 불 났었는데.. 최고 높이 25층 2동 1천세대 오피.. 24층 살았었는데 23층에 불 나서 .. 큰 불 아니라 괜찮았지만 크게 났으면.. 심지어 자고 있었다면 진짜 세상 떠날 뻔 함..

  • @hijgggffhhddg
    @hijgggffhhddg 4 місяці тому

    화재대처도 알잘딱깔센이네

  • @user-sy2of3lr4e
    @user-sy2of3lr4e 4 місяці тому +1

    딱 이거 나올 시간에 우리집에 불났네

  • @user-xf5dw1gz4j
    @user-xf5dw1gz4j 4 місяці тому

    유튜브에 집중에 도움을 주는 주파수 같은게 많던데 이게 진짜 효과가 있나요?

  • @user-gk2jo4wz2f
    @user-gk2jo4wz2f 4 місяці тому

    대피먼저하고 처음 발견자가 소화기나 소화전으로 불을 끄는게 맞는거 아닌가요?

    • @user-nm7tj2jh3t
      @user-nm7tj2jh3t 4 місяці тому

      맞습니다 하지만 그정도로 침착하게 대응하는게 쉽지않습니다 대부분 불이나면 진화를 시도하다가 불이확산되면 도망칩니다 당황하면 주변의 소화기나 소화전도 보이지않습니다

  • @yj810104
    @yj810104 3 місяці тому

    궁금증이 해결되었습니다.
    ps. 마지막 문구 : 그동안 화재진압하다 돌아가셧던 소방관분들의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user-qp7bp5bz7i
    @user-qp7bp5bz7i 4 місяці тому

    진짜 최악의 상황은 옥상층과 1층 지하가 불타고 있을때입니다. 아니면 비상계단으로 대피해야 되지만 비상계단은 연기가 자욱하고 아랫집에서도 불 윗집에서도 불이면 그냥 신고하고 기다려야 됩니다. 소방차나 구급차는 진짜 위급시에는 신호등 무시하고 갈수 있습니다. 완강기도 5층~14층까지만 설치되어 있고 애초에 불이 15층에서 나고 대피는 불가능한 상황이면 비상계단도 완강기도 사용할수가 없어요. 진짜 빠져나올 방법이 거의 없어지면 마지막 방법으로 엄청큰 튜브를 만들어 공기를 즉시주입시킵니다. 뛰어내리라는겁니다. 그때는 앉아서 죽을거냐 최후의 시도를 해볼거냐 하는거죠 대피실습훈련을 서울에 하는곳이 있어요 대피방법이 없다면 뛰어내리거나 앉아서 죽거나 둘중하나라서 거기선 1m의 높이차이지만 실제로는 20m높이에서 뛰어내리라는 것이라 그래도 죽기싫으면 그때는 뛰어내려야 됩니다 소방관들이 어떻게든 받아내려고 할거에요 엄청 무섭긴 하겠지만요 높은데에서 뛰어내린다는게 공수부대도 평소에 조금 망설여져요. 군인도 이러는데 거기서 뛰어내리다가 지릴거 같다? 지리고 그냥 뛰어내리세요

    • @user-tg7cc9gr5w
      @user-tg7cc9gr5w 3 місяці тому

      투신은 너무 무모한 것 같은데요?
      상황이 너무 극단적이긴 한데.. 그래도 가정에 구비된 튜브는 기껏해야 물놀이 할 때 쓰는 튜브 그 정도일 텐데 과연 엄청 큰 튜브가 있을까요?
      있다고 해도 무게는 적은데 받는 공기 저항이 커져서 투신 중간에 비스듬히 몸을 빠져나가지 않을까요?
      게다가 10층 이상 부터는 뛰어내리는 건 아예 살 가망이 없어보이구요.
      지상에 에어매트가 있으면 뛰어내리는 게 맞지만
      없는 상황이고 본인 집에 불이 난 게 아닌 이상 아무리 대피가 불가능한 상황이라도 투신 보다는 최대한 연기를 막으면서 구조를 기다려야죠

  • @soul9604
    @soul9604 4 місяці тому

    불이 안나는게 가장 좋은데 진짜 자기가 힘들게 이빠이 번 돈으로 집 사서 살고 있다가 불 나면 어뜨카냐 아깝겠다

  • @KillB-zr3on
    @KillB-zr3on 4 місяці тому

    화재가 아무리 크게난다고해도 건물이 무너지는일은 없겠죠?

    • @user-cmsbass
      @user-cmsbass 4 місяці тому

      건축물은 구조 설계 시 건축물 내부에 들어갈 무게를 고려하고 화재 시 건축물의 구조가 어느 정도 견딜 정도로 설계되긴 합니다만,
      화재 이후 재사용 시 점검을 받게됩니다. 그 이후는 사용 가능 여부가 나오는 걸로 알고 있음.

    • @u_nong
      @u_nong 4 місяці тому

      911테러는 비행기 충돌이 아니라 화재로 철근이 녹아서 빌딩이 무너진 케이스입니다...물론 비행기 연료때문에 너무나 고열로 화재가 지속돼서 그런거지만

  • @user-kimice
    @user-kimice 4 місяці тому

    타이어에는 왜 털이 있어요?😅

  • @F91245
    @F91245 4 місяці тому

    이제 불나도 생존가능!!

  • @kbbq_eating_pig
    @kbbq_eating_pig 4 місяці тому

    이게 왜 계속 뜨는거지? 대비하면 좋지

  • @SA-og7lf
    @SA-og7lf 4 місяці тому +5

    크게 영양가가 없네..

  • @user-wv8so3dl3t
    @user-wv8so3dl3t 4 місяці тому +2

    이 채널 예전엔 진짜 섬네일보고 궁금해서 들어왔었는데 최근엔 별로 안궁금한게 많이올라오는듯.

  • @dfdfsdfa
    @dfdfsdfa 4 місяці тому +1

    메타가 자꾸 바뀌네요

  • @user-lf6cu5be2s
    @user-lf6cu5be2s 3 місяці тому

    곰을 만나면 도망가지 말라는 교육영상급이네.

  • @IsgCorp
    @IsgCorp 4 місяці тому +3

    라면 분말스프, 믹스커피분말 등등 미세한 가루가 폐에 들어가도 괜찮을까? 하는 의문이 생겼어요
    재채기로 대부분 배출되긴 하겠지만 그래도 폐에 도달한 가루들은 어떻게 되는건지 궁금하네요

    • @0Ooc
      @0Ooc 4 місяці тому

      분말스프, 믹스커피는 호흡기 관점에서 미세한 가루가 아니죠.

    • @IsgCorp
      @IsgCorp 4 місяці тому

      @@0Ooc 조명을 비추고 믹스커피를 컵에 부어보면 컵에 담기는 가루 말고도 연기처럼 공중에 뜨는 가루가 있어요! 그걸 말한겁니다

    • @official_0
      @official_0 4 місяці тому

      그정도는 체내에서 알아서 걸러줌
      진짜 걱정할건 미세먼지나 중금속가루지

    • @soobin_i
      @soobin_i 4 місяці тому

      나도 궁금한데 과정좀 설명해주셈 ㅇㅇ 폐포를 물세척하는것도아닌데 어떻게 청결이 유지되는지

    • @official_0
      @official_0 4 місяці тому +1

      @@soobin_i 점액이 생기면서 들어오는걸 막아줌

  • @songman1110
    @songman1110 4 місяці тому

    솔직히 안전불감증이 더 큰 문제같은데...

  • @Prinsess-bf8zt
    @Prinsess-bf8zt 4 місяці тому

    대피를 강조한건 세월호 사건의 영향이 컷죠.
    국가적으로 사고 유형에 대해 자세한 대처방법을 제시해주는게..

  • @pgh4210
    @pgh4210 4 місяці тому

    1000야드의 시선(1000 yard stare)

  • @official_0
    @official_0 4 місяці тому

    요약: 무조건 대피하지 마라

  • @GoudenBlau
    @GoudenBlau 4 місяці тому

    이건 1층의 장점 아닐까 싶네요 ㅋㅋ

  • @user-hz4jj4no1m
    @user-hz4jj4no1m 4 місяці тому +5

    방화문 있어봐야 다 열려 있음 ㅋㅋ
    방화문만 제대로 닫혀 있었어도 걍 집에서 대기하면 되는데
    방화문 불시 점검 해서 열려 있으면 아파트 관리주체에게 벌금 물려야 함

    • @user-cmsbass
      @user-cmsbass 4 місяці тому

      방화문은 닫아놓거나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것 둘 중 하나만 하면 됨.
      따라서 방화문은 항시 닫혀 있는게 가장 좋지만 방화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설계되어 있다면 열려 있는 경우가 있음.
      현행법으로는 경보설비가 화재 감지 시 자동 문 닫힘이 가능하지만 구법으로는 불꽃이나 뜨거운 연기가 납 등으로 이루어진 폐쇄장치를 작동시켜서 닫히게 하면되는 건축물들이 있음.
      문제가 되는게... 구법으로 사용중인 건물은 뜨거운 연기가 이미 퍼져야 작동하는게 단점이고
      현행으로 자동으로 닫히게 해도 적재물을 둔다던가 안닫히게 줄로 묶어둔다던가 영상의 피난대피공간을 창고로 이용하는분들이 다수임.
      고로 방화문 상태가 이상하면 관리주체를 처벌하는게 맞으나, 대피공간이나 자전거등을 방화문 근처에 두는 모지리들을 즉석에서 철거, 처분, 벌금 등을 물려야 됨.

  • @gorilla345
    @gorilla345 3 місяці тому

    !!ヽ(゚д゚ヽ)(ノ゚д゚)ノ!!살려주세요!!!!
    ㅣ ㅣ
    🔥🔥🔥🔥🔥🔥🔥🔥🔥🔥🔥🔥

  • @FAHQWCJKTXB
    @FAHQWCJKTXB 4 місяці тому +4

    이분 좋죠?

    • @westboat1
      @westboat1 4 місяці тому +1

      멋진 분이시죠

  • @ABC-pg8no
    @ABC-pg8no 4 місяці тому +1

    2등

  • @user-js8ew8gb3k
    @user-js8ew8gb3k 4 місяці тому

    이번애 다른층에서 불났는데 화재경보도 안울리고 아무 대피방송 안하더라
    집에서 탄내나길래 늦게 알아차렸는데 꼭대기층이라 불난층이랑 거리가 좀 있어서 완전 새까맣지는 않았는데 도망가려고 계단문여니까 소방관들 풀무장에 마스크차고 있던데 집안에 들어가 있으라고 하더라
    애초에 아파트 놈들도 못믿겠고 담부터는 그냥 옥상으로 대피하던지 집에있는 피난용마스크 끼고 내려갈려고생각함
    본인몸 본인이 챙겨야됨 진짜 ㄹㅇ

    • @official_0
      @official_0 4 місяці тому +6

      소방관 말 들어라

    • @u_nong
      @u_nong 4 місяці тому

      집에있으라니까 뭘 또 대피해요...

  • @user-lm7nl1vz6r
    @user-lm7nl1vz6r 4 місяці тому +2

    2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