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생 악필 교정 쉽게 하는 법, 꼭 익혀야 할 문장부호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ют 2025
  • #악필교정법 #문장부호 #글씨예쁘게쓰는법
    초등학생 중에 자신의 글씨에 자신감을 갖는 학생보다 그렇지 않은 학생이 훨씬 많습니다.
    남학생이라면 더욱 더 글씨에 자신감이 없습니다.
    스스로 악필이라고, 글씨를 못쓴다고 여기는 것이지요.
    글씨는 알아보게만 쓴다면 괜찮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못알아보게 쓴다면야 바로잡아 주어야겠으나, 그렇지 않다면, 개성으로 받아주면 좋겠어요.
    손글씨는 그 사람의 성향이나 성격도 드러나고 개성이 나타납니다. 각자 다른 것이 당연합니다.
    "글씨 좀 예쁘게 써."
    "또박또박 써야지."
    "글씨가 그게 뭐니."
    그런데 사실 예쁘다는 것도, 또박또박 쓰라는 것도 명쾌한 기준이 없습니다.
    사람에 따라 예쁘다는 기준이 다르고, 또박또박 쓰라는 것도 곧게 쓰라는 것인지 정자체로 쓰라는 것인지 의미가 불분명합니다.
    예쁘게 쓰라는 말, 또박또박 쓰라는 말은 아이의 글씨를 실제적으로 변화시킬 수 없고, 아이에게 잔소리 내지 지적이 되고 맙니다.
    예쁘게 써봐 라는 말보다는
    예쁘게 쓸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것이 아이에게 도움이 됩니다.
    악필 교정과 글씨체를 바꾸는 노하우는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제가 초등학생을 관찰하고 지도해온 바에 의하면
    모음의 획 교정이 가장 효과적이었습니다.
    글씨를 못쓴다고 느껴지는 학생들은 공통적으로
    모음의 가로획과 세로획이 현저히 짧았어요. 특히 가로획이요.
    가로획을 짧게 쓰다보니 글자의 균형이 맞지 않고, 글자의 간격이 좁아지더라구요.
    가로획과 세로획을 충분히 길게 쓰는 것만으로도
    글씨가 확 달라집니다.
    문장부호
    문장부호는 대화에서는 필요치 않습니다. 얼굴을 마주보고 하는 대화는 표정, 제스처, 억양 등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해주는 단서가 많습니다. 그러나 글은 그렇지 않습니다. 글쓴이가 오로지 텍스트를 통해서 전달하다보니 의사소통의 단서가 글자 외에는 없는 것이지요. 예를 들어 밥 먹었어 네 글자가, 밥 먹었어? 밥 먹었어. 로 의미가 달라집니다. 하나는 물음이고, 하나는 대답이죠. 대면 의사소통이었다면 억양을 통해 알아 듣지만, 비대면 의사소통에서는 그걸 알 길이 없습니다. 그래서 사용하는 게 문장부호입니다.
    물음표, 느낌표, 따옴표 등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초등학생들에게 꼭 강조하고 싶은 것은 마침표 입니다. 정말 많은 학생들이 마침표를 아예 찍지 않습니다. 한장을 빼곡히 썼으면서도 마침표가 한개도 없는 경우도 있어요. 마침표를 찍지 않는 습관이 굳어진 것입니다.
    마침표는 매우, 매우 중요합니다. 마침표는 글의 호흡입니다. 대화에도 호흡이 있듯 글에도 시작과 끝, 들숨과 날숨의 호흡이 있어야 합니다. 마침표가 없는 글은 숨을 쉬고 내 뱉지 않는 글이 되고 맙니다. 운율도 살지 않고, 읽기도 어려우며 따라서 해석도 잘 안됩니다. 글은 의사소통의 수단인데, 잘 써놓고도 마침표가 없어 전달이 어려워지는 일이 벌어집니다.
    마침표, 사소한 점으로 치부하고 넘길 것이 아닙니다. 글자만큼, 아니 글자보다 더 중요합니다. 글이 숨쉴 수 있게, 글의 숨통을 틔워주는 마침표를 초등학생들이 놓치지 않고 찍는 습관으로 만들면 좋겠습니다.
    같은 내용을 영상으로 담았어요.

КОМЕНТАРІ • 7

  • @김미정-u9x8t
    @김미정-u9x8t 4 роки тому +6

    선생님 마인드가 넘 멋지세요. 획일화된 교육에 빛을 본 느낌입니다. 개성을 인정하고, 남과 다른것이 틀린게 아니란걸 알려주시네요. 저희 아이가 선생님 같은분께 교육받으면 좋겠단 생각을 해봅니다. ^^

    • @jiiyoung82
      @jiiyoung82  4 роки тому +1

      좋게 봐주셔서 감사해요~~ 영상은 익숙치 않아 버벅거리고, 몇번씩 올릴까 말까를 고민하는데, 독자님의 댓글에 힘을 얻어요~~ 감사해요 ^^

  • @bbolovely4584
    @bbolovely4584 Рік тому

    모음을 잘 써야 하는군요 또 하나 배워갑니다❤

  • @LINA-b6x6e
    @LINA-b6x6e 4 роки тому +3

    선생님 강의가 모두 가려운곳을 긁어주는 강의들만 있어요 구독누르고 갑니다^^

    • @jiiyoung82
      @jiiyoung82  4 роки тому +1

      독자님의 댓글과 응원으로 영상을 만듭니다~~이런 댓글 볼때 가장 기쁘고 신나요~~~~~
      계속 유익한 영상으로 보답할게요

  • @버럭쩡이
    @버럭쩡이 4 роки тому +4

    아 진짜 울아들 글씨보니 ㅗ ㅜ ㅡ 가 짧네요^^ 작은거만 중요한 팁 얻어가요^^ 감사합니다~

  • @버미-f5q
    @버미-f5q 4 роки тому +1

    선생님 우연히 방송을 보고 제안을 할까해서 댓글을 답니다
    선생님의 말씀하시는 의도는 충분히 이해를 했어요 다만 한글도 디자인의 영역이라 선생님이 알고있는 문자디자인의 이해에 도움을 주고싶네요 선생님의 차분한 강의스타일로 초등학생들에게 제대로 된 한글디자인의 영역을 알려주면 좋을듯하기도 하고요
    저는 한글디자이너이며 글씨교정을 30년이상 해 온 사람입니다 관심있으시면 답글을 주시면 따로 메일로 연락으로드리겠습니다
    한글은 과학적메커니즘으로 디자인되어있어 한시간정도면 누구라도 아름다운 글씨를 표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