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고"..주변 정세에 아무것도 못 하고 무너져가는 독일경제 ㄷㄷ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4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633

  • @frankenthal3458
    @frankenthal3458 7 місяців тому +260

    싼에너지로 물건 만들어 중국에 팔던 시대는 끝났는데, 변화를 감지하고 체질을 개선할 능력이나 의지가 없어보임 - 독일 7년차 교민.

    • @donghwankim2401
      @donghwankim2401 7 місяців тому +41

      100% 공감합니다.
      이사람들 죽었으면 죽었지 절대로 바뀌지 않습니다.
      왜 아직도 현금쓰고 열쇠를 쓰는지 생각해보면 ...ㅎㅎ

    • @kacymii1809
      @kacymii1809 7 місяців тому +13

      정치권에 러시아 스파이도 너무많고.

    • @정현섭-p8d
      @정현섭-p8d 7 місяців тому +4

      @@donghwankim2401 일본인가요??

    • @peu815
      @peu815 7 місяців тому +16

      @@정현섭-p8d 다른 나라들 또한 거의 비슷할 겁니다. 한국, 중국이 유난히 신기술 도입에 거부감 없이 적극적으로 입문하는 편이긴 합니다...

    • @sonisan2682
      @sonisan2682 7 місяців тому

      @@kacymii1809 한국 정치권에 중국 첩자들이 많은것과 비슷하죠

  • @Kevin-or7xq
    @Kevin-or7xq 7 місяців тому +28

    이걸 독일에서 보고 있는 내 인생이 레전드다

  • @jamesahn1261
    @jamesahn1261 7 місяців тому +147

    W221까지는 아주 좋았던 그 벤츠가 지금은 정말 말도안되는 퀄리티를 가지고 출시하고 있다 '똥차'의 범주에 들어오고 있음에 이제는 좀 어이없다

    • @U2HS1D
      @U2HS1D 7 місяців тому +22

      09:47 벤츠에서 🇨🇳짱츠 되어가는중.

    • @오나의여신님
      @오나의여신님 7 місяців тому +3

      w222까진 괜찮았죠

    • @jamesahn1261
      @jamesahn1261 7 місяців тому +9

      @@오나의여신님 w222이 중국 대주주에 의해서 최초 S클래스 디자인을 거부했다고 해서 ㅎㅎㅎ

    • @U2HS1D
      @U2HS1D 7 місяців тому +19

      벤츠가 최근 덩치가 커지고, 승차감도 물렁해지는게 이상하다 했는데 판매량 40%가 🇨🇳중국이다 보니, 중국 스럽게 변한거였음;

    • @jariamaria116
      @jariamaria116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중국 기업이 벤츠 지분을 엄청 사들임...

  • @urbaneQG
    @urbaneQG 7 місяців тому +62

    2000년대부터 2020년까지 중국 고도 성장기에 가장 큰 수혜를 본 국가 독일, 한국

    • @mensa2030
      @mensa2030 7 місяців тому

      TMI 2000년부터 대중무역량이 점차 늘어나다가 이명박근혜때 퀀텀 점프해서 유지됨... 문제인때 이게 꼬꾸라져서 퇴임때 무역수지 적자 찍음...
      사실 문제인이 중국 빨고 그랬던것도.. 무역수지에 이상을 감지하여.. 그랬던게 아닌가 싶음..

    • @COVID-china
      @COVID-china 7 місяців тому +2

      한국은 그나마 미국 덕분에 망하진 않음

    • @익명-q6x
      @익명-q6x 4 місяці тому

      이래서 중국이 빨리 민주화가 되야되는건데

  • @donnelljohanson5912
    @donnelljohanson5912 7 місяців тому +140

    독일에서 공대를 다니고 있음.
    독일은 지금 낮은 출산율과 베이비 부머세대들의 잇따른 은퇴로 현재 전문인력이 절실히 필요함
    이 전문인력도 독일기준의 맞는 전문인력을 원하는데 그중에도 자기들의 교육과정을 이수한 인력을 훨씬더 선호하는 편이기도함.
    그래서 요즘 이민자들이나 해외유학생을 유치해서 자기들 대학과정을 이수시키고 자기들이 원하는 수준의 전문가로 양성하려고함
    문제는 독일공대가 수학, 역학같은 모든 필수 수업들의 시험 통과율이 악랄한데
    한 수업이라도 세번이상 떨어지면 퇴학먹고 독일 영토내의 어떤학교로도 같은전공으로는 진학 못함.
    이런 대학 학업 분위기가 기존 독일인들한테는 당연햇던 환경이고 그런지라 괜찮은데
    이민자들이나 해외유학생들 한테는 난이도가 극악이라 학업실패율이 미쳐돌아감 ㅋㅋㅋ
    내 주위만해도 같이 학기 시작햇던 애들 대다수가 이미 수학, 물리, 역학같은 수업들에 밀려서 퇴학당하거나 그냥 학교 그만두고 독일내 단순노무직찾아서 따로 가고 잇음
    대학내에 6년,7년은 기본 9년째 학사 공부하는 사람들도 많이 보임
    이런 상황에서 독일에서 원하는 전문가들은 원하는 숫자만큼 당연히 못나옴.
    기존 전문인력을 대거 은퇴로 숫자가 팍 죽어가는데 독일 교육기관에서 배출하는 전문인력들이 이 수요를 절대 못맞추고 잇음
    앞으로 우리가 아는 독일의 기술력은 많이 기대하긴 힘들어 보임
    나도 두학기만 더 듣고 졸업논문쓰면 졸업이긴한데
    독일 요즘 경제나 정치적으로 돌아가는 꼬라지랑 인종차별 걱정되서 남아잇을 마음이 싹사라짐 ㅋㅋㅋ
    가끔 독일에서 석사만 한 사람들이 그정도는 아니라고 말하는거 종종보이는데
    이건 내 의견이 절대 아니라 석사랑 학사는 애초에 학업이수 난이도 자체가 다름.
    이게 뭔소리냐 하겟는데 진짜 그럼.
    또 박사학위는 어나더레벨이고
    학사생들중에 자살 소식 간간히 들릴정도로 난이도가 상당함

    • @JadeParker-r6q
      @JadeParker-r6q 7 місяців тому

      아직도 독일내에서는 스스로 자긍심에 1등이라는 거군요.뒤쳐지는 일본 같겠네요. 글로벌 AI, 베터리,전기차,반도체, 등에 못 따라가는게 보임.

    • @donghwankim2401
      @donghwankim2401 7 місяців тому +37

      이것도 그렇고 취업에 성공을 해도 문제인게 관료주의가 너무 심한 와중에 디지털화에도 실패했기 때문에 행정 처리가 너무너무 느림
      취업 한 사람들도 취업비자 연장을 해야하는데 관청에서 단순히 답장을 안해서 서류가 없어서 고용이 끊어진 사람들도 여럿 봄
      물론 거기는 좆소라서 그런것일수도 있지만 몇몇 도시는 진짜 악명높을정도로 일처리를 안해줌
      이런 상황에서 숙련공들이 왜 독일에 채류해야 하는지 모르겠음...
      나만 해도 비자, 행정문제로 한바탕 하고나서 곧바로 인종차별같은거 겪으면 진짜 왜 독일에 있어야하는지 항상 질문하게 됨

    • @donnelljohanson5912
      @donnelljohanson5912 7 місяців тому +44

      @@donghwankim2401 행정처리는 진짜 토나올정도 ㅋㅋㅋ
      정말 주변 사정 들어보면 별에별 이야기 다들어봄.
      미국에서 한국 중고등학교에 포함되는 7학년부터 12학년까지 있다가
      미국에서 대학안가고 유럽에 환상품어서 군대 갔다온후 슈튜디엔콜렉 거치고 독일대학 갔는데.
      독일 정말 벨기에와 같이 백인국가들중 인종차별을 포함해서 행정처리도 최악의 국가가 아닌가 싶음.
      미국이 백인국가들중 제일 낫다고 평함 미국은 인종차별하면 주변에서 다구리 까거나 법적인 처벌제도도 존재하니까
      미국의 행정도 독일에 비하면 거의 천국이나 다름없을정도이기도하고
      미국생활이랑 비교해도 여기 독일사람들 유색인종에 대한 인식수준도 거의 바닥에 가깝고
      경찰들도 동양인이 하는소리는 무슨 지나가는 강아지소리로 듣는경우도 허다함 ㅋㅋㅋ
      이미 독일 정나미 떨어진지 너무 오래라 남아잇을 생각도 없음
      대체 독일은 어떤 사람들을 자국에 유치하고 싶은지는 진짜 모르겠음 ㅋㅋㅋ
      지구상에 독일만 잇는줄 아는거 같이 사는거 같음
      여기보다 나은 옵션의 국가가 더 많은걸 모름 ㅋㅋ
      그냥 이슬람 이민자로 충당해라지 뭐 ㅋㅋㅋㅋㅋㅋㅋ
      망하든 말든 알빠노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삼각자-n7z
      @삼각자-n7z 7 місяців тому +10

      독일의 이재명이 필요하네요

    • @joajo5332
      @joajo5332 7 місяців тому +24

      저도 독일에서 기계공 학사 졸업하고 다음주에 석사 디펜스만 남아있는데 공감합니다. 학사가 너무 지옥같고 힘들었습니다. 화이팅하시길바랍니다

  • @kollmorganjkelly
    @kollmorganjkelly 7 місяців тому +57

    중국에 가보면 생산장비가 대부분 독일산입니다. 중국 그 넓은 땅덩어리에 생산설비가 대부분 독일산이라고 보면 그 금액이 천문학적 수준입니다. 한국이 중국 덕분에 먹고 살았다고 하지만 독일이 얻은 수익에는 비할바가 못됩니다. 생산설비는 자동차 수백대와도 비교가 안될정도로 고가 제품이죠. 중국 고속철도 독일 지멘스 제품입니다. 물론 껍데기는 중국산이지만 핵심 장비는 여전히 독일산이죠.
    이제 이런 생산설비가 중국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내재화되어 수입을 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독일 경제도 옛날과 같지 않게 된것 아닌가 합니다.

  • @Hyungnam1970
    @Hyungnam1970 7 місяців тому +12

    독일 경제가 침체된 원인으로,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인해 에너지 가격이 폭등했다는 점, 중국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중국 경기가 빠르게 위축되었다는 점, 독일의 주력산업인 자동차 산업이 내연차에서 전기차 전환이라는 시대 변화를 따라가지 못했다는 점 등이 꼽힌다.

    • @cougark2788
      @cougark2788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중국 중간재 수입이 자국 기술 제품으로 대체되고 있다는 점.한국이나 독일도 아직도 중국 정부의 기조와 기술 성숙도를 외면하고 특히 한국은 현실을 외면하고 대중국 수출 줄었다고 중국에 의존성을 보이는 사람이 많이 존재하는 점.더 이상 중간재로 꿀빠는 시대는 끝났다는 것

    • @Hyungnam1970
      @Hyungnam1970 7 місяців тому

      중국 수출 비중이 빠르게 줄면서 중국외 수출 시장이 확대된 업종은 석유제품,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이다. 2016년~2022년 고위 기술 중간재의 대중국 수출은 연평균 4.1% 증가한 반면, 같은 기간 인도와 베트남 수출은 각각 12.0%, 10.1% 증가했다.

  • @제키쿡
    @제키쿡 7 місяців тому +119

    박수칠 때 떠나라의 정석 메르켈 그녀는 어느 정도 예상을 하고 있었지 한번 더 하면 잘해봐야 본전치기라는 걸

    • @lightofsky8282
      @lightofsky8282 7 місяців тому +42

      독일을 나락으로 보낸 장본인이죠. 독일 국민들은 예상치 못했고, 당장의 달콤함에 정신 못차리다가 저렇게 나락을 가게 된 것이죠.

    • @한양이-z7w
      @한양이-z7w 7 місяців тому +19

      이렇게 만든 장본인

    • @xlgalasy681
      @xlgalasy681 7 місяців тому

      메르켈이 러시아 의존도 올리고 난민 받는짓거리 한거보면 걍 메재앙임 ㅋㅋㅋ

    • @zjay9523
      @zjay9523 7 місяців тому +2

      @@lightofsky8282근데 그러게 아니었으면 그전에 죽었음

  • @owllshen88sn3sasdfEGFrgw
    @owllshen88sn3sasdfEGFrgw 7 місяців тому +144

    유로화의 꿀은 다 빨면서
    포퓰리즘으로 기회 다 날렸지만
    그 동안 즐거웠으면 된거 아냐? ㅎㅎㅎ

    • @wizsttt
      @wizsttt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개추 ㅋㅋㅋㅋㅋ

    • @이선주-p7p
      @이선주-p7p 7 місяців тому

      ,,.😅ㅇ0ㅇ. ㅁㅇ,,,,아 ,
      ,
      ,ㅇ,ㅇ,ㅇ,.,,,,.,ㅂㅈㄷ0,ㄴㅅ,.,
      ㅅㅇ
      ,ㄴ​@@wizsttt

    • @어에-r7y
      @어에-r7y 7 місяців тому +2

      꿀빨았잖아 한잔해~

    • @태순이-f8u
      @태순이-f8u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저정도로 무너져가고 있다고 할 정도면 대한민국은 폭망해가고 있는 수준인데.. ㅋㅋㅋㅋㅋㅋ 지금 독일 보면서 웃고 있을때가 아닌데 ㅋㅋ

    • @바로바로-t9u
      @바로바로-t9u 6 місяців тому +1

      @@태순이-f8u대가리가 꽃밭인지 ㅋㅋㅋ독일은 마이너스 성장이고 한국은 2프로대인데 몬 헛소리인지 ㅋㅋ

  • @김상돈-b4x
    @김상돈-b4x 7 місяців тому +91

    오늘날 독일경제를 어렵게 만든건 대부분 메르켈 때문일듯,탈원전에 러시아와 중국을 믿고 계속 의존도를 높이더니.

    • @JadeParker-r6q
      @JadeParker-r6q 7 місяців тому +11

      그녀 덕에 그동안 잘 먹고 살았겠죠.

    • @cyh831214
      @cyh831214 7 місяців тому +12

      메르켈 때문에 독일 경제가 반등한것은 맞는데, 그 시절 중국에 빨대 꼽고 좋았는데, 변화하는 정세에 따라가질 못하는거지

    • @용산윤두창
      @용산윤두창 7 місяців тому +7

      가스값이 결정타 아닌가요?
      2.5배정도 상승한걸로 아는데요

    • @katguy922
      @katguy922 7 місяців тому +36

      탈원전 진짜 희대의 개짓거리. 옆에 프랑스한테 전기 사오는것 만봐도 개웃김 ㅋㅋ 우리나라도 잘나가던 원전산업 생태계 박살내버린 사람 있잖아.

    • @용산윤두창
      @용산윤두창 7 місяців тому +4

      @@katguy922 윤서겨리

  • @whshshssjs4053
    @whshshssjs4053 7 місяців тому +13

    대한민국 🇰🇷 도 현재와
    미래가 독일과 비슷한 상황
    아닐까요,!

    • @cp-sb6cp
      @cp-sb6cp 7 місяців тому

      독일사람들은 나라가 주는 혜택에 그동안 너무 좋았지요.. 지금도 즐기고 있는 중...

    • @whshshssjs4053
      @whshshssjs4053 7 місяців тому

      @@cp-sb6cp 지금은 경제가
      역성장 하는중입니다.

  • @비가오고-q9u
    @비가오고-q9u 7 місяців тому +25

    이민정책 실패가 가장 큰 것 같네요
    거기서부터 도미노같이 쓰러짐

    • @parkherenow
      @parkherenow 7 місяців тому

      메르캘이 다 망쳐놓은 사회구조

  • @으아우아오아
    @으아우아오아 7 місяців тому +76

    명품 독일차도 중국인들이 만들고 명품 프랑스 백도 중국인들이 만드네 ㅋㅋ

    • @idrtdfftf54
      @idrtdfftf54 4 місяці тому

      이제 디자인까지 관여하고 있음. 중국의 힘이 느껴짐

  • @younilkim6169
    @younilkim6169 7 місяців тому +33

    한계에 다다른겁니다
    자동차든 기차든 비행기든
    자동차의 경우도 결국150킬로만 나오면 됩니다
    도로상황이 저이상은 안전을 장담할수 없고 자동차 안정성도 마찬가지
    그리고 우리나라 일본 중국이 기술을 많이 따라잡았죠
    우리 방산산업만 봐도. 탱크나 잠수함마저도 우리가 수출하고 있죠
    그리고 결정타가 중국이죠 중국산 제품이 쓸만한 수준으로 발전했어요

  • @zzizimholic
    @zzizimholic 7 місяців тому +50

    에너지는 러시아에, 공산품, 원자재는 중국에서 저렴하게 가져다 쓰면서 효율성 무시한 체 유럽에서 경쟁력 높였던 국가가 탈원전이니 친환경 거리다 저 꼴이 난 거지.. 그러니 유럽 앞마당에서 전쟁 터졌는데 유럽 수장이라는 나라가 전쟁 초반에도 미적 거리다 이후 지원도 제대로 하지 않은 거고.

    • @sjh6492
      @sjh6492 7 місяців тому +4

      아시아에 비슷한 나라가 있었는데

    • @자차유-h1o
      @자차유-h1o 7 місяців тому +4

      ​@@sjh6492 어? 나도 그나라 알것 같은데?

    • @sociolocomtsac
      @sociolocomtsac 7 місяців тому +3

      @@sjh6492 훠훠훠...

    • @wuwuwu1757
      @wuwuwu1757 7 місяців тому +3

      @@sjh6492 나는 그 나라에 사는거 같은데

    • @sonisan2682
      @sonisan2682 7 місяців тому

      대통령이 영화 한편 때리고 탈원전 무리하게 추진하다가 원전산업 생태계를 죄다 말아쳐먹은 나라가 있다?? 없다??

  • @hbkim2863
    @hbkim2863 7 місяців тому +52

    자동차 시뮬레이션 업계에세 일하는데, 독일업체가 리딩하고는 있습니다.
    최근 유럽과 독일 내수세가 주춤하고, 현차가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서 성장세가 두드러졌지요. 그래서인지 한국 지사를 공격적으로 확장 중입니다.
    우리 회사도 협업 겸 경쟁 관계에 있는데 위기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팅하면 독일 업체분들 인도나 동유럽계 빼면 다 노인이더라구요.

    • @tundratiger9473
      @tundratiger9473 7 місяців тому

      앞뒤가 안맞는 글이네요. 무슨 말을 하는건지 모르겠어요. 독일이 아직 강하다는건지 독일이 무너져 간다는건지…

    • @hbkim2863
      @hbkim2863 7 місяців тому +8

      @@tundratiger9473짧은 댓글에 내용을 담으려다보니 제가 설명이 부족했나봅니다. 말씀드린 경쟁사가 기존에 한국 지사는 있었으나 인바운드 영업만하는 식이었습니다. 한국지사가 작다보니 한국 고객 요구사항이 생기면 기술지원은 독일 본사를 통해서 이루어지고는 했습니다. 이제는 유럽 상황이 안좋으니 그러한 관행을 깨고 아시아 시장으로 진출 중이라는 말이었습니다.

    • @라면곱배기
      @라면곱배기 7 місяців тому

      ​@@hbkim2863해석업계이신거같은대 기술지원이 워낙 베타적이라..보수적이기도하고
      한국지사에도 많은 권한을주지않더군요
      그래서 실제 사용자입장에서 피드백도너무느려요
      요샌 소스가오픈되고 다른 시스템이랑 연계하는게 대부분인데 유럽회사들은 너무 레거시에 치중해서 요새같은 it 시대에 대응안되서 뒤처지고있다봅니다.

    • @donghwankim2401
      @donghwankim2401 7 місяців тому +7

      @@tundratiger9473 "리딩하고는 있습니다." 여기서 많은 부분을 유추할 수 있지 않아?
      책좀 읽지 그랬어

    • @tundratiger9473
      @tundratiger9473 7 місяців тому

      @@donghwankim2401 멍충아 편집한거 안보이냐? 내가 너보다 책을 읽어도 열배는 더 읽었을거다.

  • @joykim222
    @joykim222 7 місяців тому +18

    *러시아가 독일에 가스공급을 선제적으로 중단한게 아님*
    *독일이 노르트스트림 가스 가압기(독일제) 고장난 것을 수리 미루고 애먹임*
    *노르트 해저관은 미국이 파괴한것(가스 수출하는 러가 파괴할 이유 없음. 그냥 잠그면 되는데)*
    *은근슬쩍 잘못된 펙트를 끼어 넣는 이유는 뭔가?*
    *사실을 왜곡하는것 만큼 대중에게 해악질 되는건 없음*

    • @eungjaelee3495
      @eungjaelee3495 7 місяців тому

      미국이 왜 ?. 압박 만해도 효과 충분한데. 헛소리는 에~혀.

    • @낭만이-q3k
      @낭만이-q3k 6 місяців тому +1

      ​@@eungjaelee3495미국이 파괴했다고 기사에 나왔어요 ㅎㅎ

    • @야안녕야
      @야안녕야 6 місяців тому

      ​@@eungjaelee3495할배요...

    • @eungjaelee3495
      @eungjaelee3495 6 місяців тому

      @@낭만이-q3k 어디서 약을 팔아

  • @sjzaza63
    @sjzaza63 5 місяців тому +5

    메르켈이 기가막힌 타이밍에 꿀빨고 나가고 그 후에 집권한 사람은 설거지하느라 애만 쓴다 하더이다

    • @davylee1369
      @davylee1369 3 місяці тому

      자기 운전 다했다고 타이어까지 다 뽑아간..

  • @Ragnarok-k7v
    @Ragnarok-k7v 7 місяців тому +4

    설명을 듣다보니 독일경제가 참 튼튼하다고 생각드네요. 자동차 산업 비중이 그리 크지 않네요.
    독일 기업들 전역에 퍼져 있던데
    시스템이 잘 갖춰줘있는거 같네요.

  • @이수민-j5y
    @이수민-j5y 7 місяців тому +11

    걍 현재 미국경제 빼고 전세계가 죽쑤는 중인듯.

    • @김종인-c3m
      @김종인-c3m 2 місяці тому

      미국경제 어디가? 바이든이 전쟁으로.다 망침

  • @코코-e6b
    @코코-e6b 7 місяців тому +58

    독일 자동차에 장인이라 불리는
    기술자들이 거의 은퇴하고
    있다는 점도
    독일자동차에 큰 스크래치로
    남았다 하네요

    • @U2HS1D
      @U2HS1D 7 місяців тому +2

      09:47 벤츠에서 🇨🇳짱츠 되어가는중.

  • @jinseokheo870
    @jinseokheo870 7 місяців тому +26

    좋은시절 다갔다 이거네...

  • @baek8460
    @baek8460 5 місяців тому

    미래를 보는듯 하네요.. ㅜㅜ

  • @matt-dh1uk
    @matt-dh1uk 7 місяців тому +8

    이제 독일에는 미대진학에 실패한 콧수염을 기른 남자가 또 다시 나오게 되는데......

  • @rlee4805
    @rlee4805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새로운 정보 해설 감사합니다

  • @azure397
    @azure397 7 місяців тому +5

    세상 쓸데없는 걱정 ㅋㅋㅋ

  • @바신라
    @바신라 7 місяців тому +11

    내용이 많이 왜곡 되었네요 가스를 잠금한게 아닌 독일이 포기한겁니다 말 그대로 협력국과 동조 한다는 명목으로 포기한거예요

  • @jaechulkim2041
    @jaechulkim2041 7 місяців тому +13

    민주당과 뮨재인이 타원전 한다고 독일 따라하자고 했었지… 지금은? 유럽의 병자소리 듣지

    • @U2HS1D
      @U2HS1D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문재인은 진심 간첩 맞음.

  • @theochemsRE
    @theochemsRE 7 місяців тому +5

    자동차 산업이 중국에 추월당하고 있습니다. 그간 중국에 팔아 먹었으나 이젠 사들여여 하는 형국

  • @K인텔
    @K인텔 7 місяців тому +19

    에너지 러시아에 올인..탈원전한 댓가..에너지는 곧 안보다...남에 나라에 에너지 올인한 결과다

  • @hskim3077
    @hskim3077 7 місяців тому +16

    한 나라가 독재자가 지배하는 국가와 너무 깊게 밀착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이 독일을 통해 적나라하게 보여지고 있습니다.

    • @가을나그네j
      @가을나그네j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메르켈은 독재자가 아니지 , 중공과 러시아에 너무 붙어서 탈이 난거지

  • @ssjj4314
    @ssjj4314 7 місяців тому +19

    게다가 러시아에서 독일로 가는 노르드스트림1_2 가스관 4개중 3개는 미국이 폭파 시켰고, 나머지 한개 라인은 아직 남아 있음.
    만약 독일이 원한다면 이 수송관으로 러시아가 바로 쏴줄수 있음.
    (미국의 압력으로)이를 거부하고 사질 않는게 독일 쉘츠 정권임.
    그짓말 고만 하시길

    • @Kevin-or7xq
      @Kevin-or7xq 7 місяців тому +4

      쉘츠가 아니라 숄츠입니다

    • @ssjj4314
      @ssjj4314 7 місяців тому

      @Kevin-or7xq 잘난척 오지게 하는 인간들.
      Scholz Spelling Variations:
      Spelling variations of this family name include: Schultz, Schultheis, Schultes, Schultz, Schultze, Schulz, Scholz and many more.

    • @ssjj4314
      @ssjj4314 7 місяців тому

      @@Kevin-or7xq ㅎ. 영어도 그렇고 독일어도 한국 모음 발음과 똑같을 수 없단다.
      ua-cam.com/video/S26YvJfpLJ4/v-deo.htmlsi=imRkfYwjS2aXmqq3

    • @Kevin-or7xq
      @Kevin-or7xq 7 місяців тому +1

      @@ssjj4314 ㅋㅋㅋㅋㅋ 독일에서 쇨츠라고 하는 사람아무도 없고 알아듣는 사람 없는데?

    • @cp-sb6cp
      @cp-sb6cp 7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렇군요...
      쉘츠건 숄츠건 뭐가 그리중요 한지 모르겠음..
      정보 정달만 되면 되고 표기 잘못되서 혼란 주것도 아니고요..

  • @유진-w4u7v
    @유진-w4u7v 7 місяців тому +6

    탈원전 RE100 준비도 안된 상태에서
    온갖 뭔가 있는척은 다하더니 값싼 자원줄 마르니까
    바로 골로가네 ㅋㅋ 꼴좋다 인종차별국가

    • @딕션-f2k
      @딕션-f2k 4 місяці тому +1

      ㄹㅇ ㅋㅋ 착한척하며 불편함 강요하더니 꼴 좋음 ㅋㅋ

  • @user-ct8bp7yi8j
    @user-ct8bp7yi8j 7 місяців тому +7

    웃음이 나옵니다... ^ ^
    누가 누굴 걱정하는 건가요 ...

  • @d.iwater
    @d.iwater 7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래봤자 잘나갑니다

  • @seankim5668
    @seankim5668 7 місяців тому +20

    GDP대비 수출비중이 7%대면 적은건데.. 한,중,일 수출비중 체크해보면 장난아님.

    • @erhai3843
      @erhai3843 7 місяців тому

      최근5년 경제대비 수출비중은
      한국 35%~40%
      중국 16%~18%
      미국13%~16% 임
      일본도 수출비중이 25% 넘기지 않을듯합니다

  • @모기야
    @모기야 7 місяців тому

    다양한 의존도가 필요한 이유, 한국도 그와 마찬가지입니다.

  • @goodman3296
    @goodman3296 7 місяців тому +4

    한국사람이 이런 방송하는거보면 웃겨요. '너 자신을 알라' 😂

  • @kimtaiyoung2020
    @kimtaiyoung2020 7 місяців тому +27

    프랑스 독일 정신차려야 함

  • @박카스-q7c
    @박카스-q7c 7 місяців тому +22

    한국이 독일 걱정하는것도 진짜웃기넹ㅋ
    한국은 가망이 0% 인데
    출산율 0.69 아직 체감 못하는 사람이 많네

    • @eungjaelee3495
      @eungjaelee3495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걱정 마세요. 어차피 지금도 제조업은 사람. 외국인이 메꾸고 있으니. 앞으로도.

    • @beautifulourCH
      @beautifulourCH 6 місяців тому

      @@eungjaelee3495내수포기가 너무 큼

    • @eungjaelee3495
      @eungjaelee3495 6 місяців тому

      @@beautifulourCH 내수 포기가 아니고 내수 규모 자체가 작아요
      대한민국은 내수로 살수있는 나라가 아님.
      그리고 근본적으로 자영업이 비상상적으로. 많아요.
      유럽대비 거의 새배 입니다.
      자영업이 살수 있는 환경이 아닙니다.

    • @독일호텔가보자
      @독일호텔가보자 5 місяців тому

      독일이 석유가 없으니까 같은 입장으로서 한번 살펴볼수는있습니다. 근데 우리나라가 서비스가 싸긴한것같아요. 머리자르는데 드는비용이 너무싸요

    • @bca6574
      @bca6574 4 місяці тому

      @@eungjaelee3495외국인 들여오는게 왜 해결책임? 외국인은 용병에 불과함

  • @yurisagi
    @yurisagi 7 місяців тому +1

    ▩ 독일 경제, 세계화의 혜택을 받았으나 현재 심각한 위기에 직면
     ◎ 독일은 세계화를 통해 경제 대국으로 성장
      -독일은 유럽 연합 경제의 30%를 차지하며 세계 3위의 경제 규모 보유 (0s)
      -제조업, 특히 기계와 자동차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 (14s)
      -2000년대 이후 수출액이 급격히 증가하여 세계 3위 수출국으로 성장 (2:20)
       ㆍ 2010년대 독일 GDP의 약 7.6%를 수출 경제가 차지 (2:29)
     ◎ 세계화로 인한 과도한 대외 의존이 독일 경제의 취약점으로 작용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위기 발생
       ㆍ 독일은 천연가스의 55%를 러시아에서 수입 (3:32)
       ㆍ 러시아의 가스 공급 중단으로 독일 경제에 치명타 (4:59)
        → 천연가스 가격 급등으로 물가 상승률 크게 증가 (5:09)
        → 화학 산업 등 주요 산업 분야에 큰 타격 (6:15)
      -중국에 대한 과도한 경제 의존도
       ㆍ 2023년 중국과의 무역이 독일 전체 무역의 약 20% 차지 (8:10)
       ㆍ 희토류의 95%를 중국에서 수입 (8:44)
       ㆍ 독일 자동차 기업들의 중국 시장 의존도 높음 (9:47)
        → 폭스바겐의 경우 전 세계 매출의 약 40%를 중국에서 창출 (9:47)
     ◎ 독일 주요 산업의 경쟁력 약화
      -화학 산업의 위기
       ㆍ 천연가스 가격 상승으로 생산 비용 증가 및 국제 경쟁력 약화 (6:54)
       ㆍ 바스프 등 주요 기업들의 생산량 감소 및 해외 이전 고려 (7:19)
      -자동차 산업의 도전
       ㆍ 전기차 전환 지연으로 중국 기업들에게 시장 선점 허용 (10:33)
       ㆍ 2023년 중국 전기차 제조사 BYD가 폭스바겐 제치고 세계 1위 등극 (10:23)
     ◎ 독일 정부의 대응 노력
      -올라프 숄츠 총리 중심으로 경제 구조 변화 시도 (11:08)
      -중국 의존도 감소 및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의 파트너십 확대 노력 (11:23)
      -그러나 급격한 변화에 따른 경제적 충격 우려도 존재 (11:32)
     ◎ 독일 경제의 미래 전망 불투명
      -노동력 부족, 인구 고령화 등 내부적 문제들도 산적 (12:08)
      -향후 독일의 유럽 경제 주도국 지위 유지 여부 불확실 (12:13)

  • @Slayer-x4j
    @Slayer-x4j 7 місяців тому +68

    국가들이 국운이 상승하고 하강하고 이런흐름이 있는데 내가 보기엔 독일은 일본처럼 자기네들이 깔보던 폴란드한테 국가위상이 역전당하는 흐름에 접어든거같음

    • @wayfereralpha7072
      @wayfereralpha7072 7 місяців тому +6

      엘란드가... 역전...?

    • @어흥이예랑
      @어흥이예랑 7 місяців тому +29

      ㅈㄹ... 폴란드는 스페인 이탈리아 부터 잡아야지... 아직도 유로 대장은 프독이다;;

    • @yueyumyum7827
      @yueyumyum7827 7 місяців тому +9

      독일 망하면 eu 다같이 망하지 뭔 추월 ㅋㅋ

    • @金起燦
      @金起燦 7 місяців тому +6

      국뽕평균 ㅋㅋㅋㅋ

    • @U2HS1D
      @U2HS1D 7 місяців тому +2

      09:47 벤츠에서 🇨🇳짱츠 되어가는중.

  • @레옹-q5i
    @레옹-q5i 7 місяців тому +19

    우리나라가 더빨리 무너지는 구만, 독일보다 우리 걱정을 하자

  • @절씨구-o8j
    @절씨구-o8j 7 місяців тому +17

    대한민국에서 전기요금이 10만원 나올 때 독일은 100만원대의 요금이 나오게 되었으니... 제조업이 버틸 수 있나... 뭐.. 독일이 가진 자원 중 석탄자원이 엄청 많으니...
    어찌어찌 버틸 수는 있겠네... 그런데... 석탄은 누가 채광할까? 결국 석탄발전을 한다 해도 석탄가격의 증가로 전기요금도 오를 테고... 제조업은... 나가리가 되는 거네...
    eu라는 연합체가... 독일 하나 망가지는 것으로 같이 망가지고 있네.. 프랑스는 살아보겠다고 마크롱이 이든할배의 앞잡이가 되어 제 죽을 줄 모르고 까불고 있고.. ㅉㅉㅉ
    독일은 에너지로 인해 무너지고 있고, 프랑스는 마크롱의 망조짓거리에 휘둘리고... eu연합이라는 곳에서 독일과 프랑스를 지원하는 국가도 없고... 그래 놓고 연합이라니... 가관이다.
    eu얌... 러-우전 발발하고... 미국이... 러시아가... 공통으로 목표한 것이 eu가 쪼~옥~! 빨릴 것이라 예측했었는데... 빨리는 것을 뛰어넘어 붕괴가 걱정된다.

  • @youngjoochang3574
    @youngjoochang3574 7 місяців тому

    복잡하고 어려운 내용을 쏙쏙 쉽게 이해되도록 설명해주시네요. 깊은 내공이 느께지며 앞으로도 필히 애시청하겠습니다.

  • @89NKOTB
    @89NKOTB 7 місяців тому +25

    한국도 문재인 시기에 러시아 파이프 연결 시도며 중국몽꾸고 그랬는데 도중에 좌초된게 정말 다행이었지. . .

    • @BA-he9wl
      @BA-he9wl 7 місяців тому

      문재인이 친중이라는 근거는 뭔가요

    • @BA-he9wl
      @BA-he9wl 7 місяців тому

      @@U2HS1D 못 할 이유가 있음?

    • @peu815
      @peu815 7 місяців тому

      러시아랑 파이프 연결하는데 뭔 중국? 북한을 통해서 오면 몰라도

    • @89NKOTB
      @89NKOTB 7 місяців тому

      @@peu815 응, 러시아 파이프랑 중국몽은 별개고 만약 파이프 연결했음 러시아, 북한에게 잡혀사는거지.

    • @peu815
      @peu815 7 місяців тому

      @@89NKOTB 지금도 미국 사우디 이란한테 잡혀 사는데? 이왕 잡혀 살면 투트랙이 편하지 않을까?

  • @woongjinchang9652
    @woongjinchang9652 7 місяців тому +2

    반원전을 외치는 자들이 성경처럼 떠받드는 저자는 후기에서 "일본은 원자력을 포기하고 러시아산 천연가스를 써야 한다"고 주장했던 건 지금도 잊지 못하고, 독일이 원자력을 포기하고 정말로 러시아산 천연가스를 쓰면서 이꼴이 되는 걸 보면서 원.....

  • @fromt_time_moon
    @fromt_time_moon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오만의 극치지,,,,, 지발등 지가찍는 상황,,,, 과연 정치인은 국민의 뜻을 제대로 받들고 있는가???

  • @sumanyang7913
    @sumanyang7913 7 місяців тому +3

    남일 같지 않음 무역에만 의존하는 한국이야 말로 국제 정세에 맞춰 출렁 출렁.

  • @JJ-mr2iw
    @JJ-mr2iw 7 місяців тому +4

    버거형들 세력들
    작전에 말린거 아님?

  • @dani96song13
    @dani96song13 7 місяців тому

    가격도 알려주세요

  • @와우당첨이다
    @와우당첨이다 7 місяців тому +7

    과도한 복지. 사회주의 시스템이 문제임 울나라도 조심해야 합니다

  • @행드
    @행드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우리보단 상황이 좋은거 같군 ㅎ

  • @으아우아오아
    @으아우아오아 7 місяців тому +20

    곧 중국애들 지들 차 다 타고 다니면 독일 더 어려워지겠네.

    • @라구나-b8m
      @라구나-b8m 7 місяців тому

      이미 SAIC 폭바가 쭈욱 내려가고 있어요

  • @최경혜-q4r
    @최경혜-q4r 7 місяців тому +27

    일본 독일은 본질이 같아요 디지털 과 인연이 없어요 ㅎㅎ

    • @tigerjin1652
      @tigerjin1652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 디지털의 근간인 반도체영향력이 일본이 넘사인데

    • @최경혜-q4r
      @최경혜-q4r 7 місяців тому

      반도체도 일본과 인연없어요 ㅎㅎ 그래서 대만회사를 엄청난 보조금을주고 유치하는거요 ㅎㅎ ㅈ​@@tigerjin1652

    • @라면곱배기
      @라면곱배기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정확히 꽤뚫어보셨응!!

    • @U2HS1D
      @U2HS1D 7 місяців тому

      독일 장인정신 (고비용 저효율)으로 대표되는게 🇩🇪벤츠 AMG 같은건데, 반대로 빠르게 장비+재료를 조합해 양산해야 하는 반도체 산업은 할 수 없음.

    • @ragnaheil
      @ragnaheil 7 місяців тому +2

      ​@@tigerjin1652
      독일이랑 일본이 플랫폼 빅테크 기업이 부실할 뿐이지 4차산업 기술력으로 따지면 한국보다 훨씬 위죠

  • @seungholee746
    @seungholee746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작년 독일 경제성장률 -0.3% 나머지 유럽 강대국도 0%대.. 유럽 경제 나락가고 있는데 막상 한국은 실태를 숨기고 유럽 모델 추진 중ㅋㅋㅋ

  • @hayeonkim7838
    @hayeonkim7838 7 місяців тому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도움되는 정보 영상 진심 넘 감사합니다 ㅋㅋㅋㅋ

  • @박파랑이-h3q
    @박파랑이-h3q 7 місяців тому

    과거의 영ㅈ광으로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느낌 ᆢ
    시대를 못따라감

  • @bowwow-zf6ls
    @bowwow-zf6ls 7 місяців тому +9

    지금 안 망해가는 국가 있나

  • @칸예West
    @칸예West 7 місяців тому +23

    이런건 또 한국이나 걱정해라 이딴 댓글 귀신같이 없노

    • @dodowa723
      @dodowa723 7 місяців тому +14

      일본경제영상에 100% 있음

    • @BeTo-rj6cd
      @BeTo-rj6cd 7 місяців тому +5

      50년뒤 소멸할 국가가 전세계걱정은 다하고 있는건 팩트임😅

    • @알라타니스와자파라크
      @알라타니스와자파라크 7 місяців тому +1

      ​@@dodowa723장답

    • @한승원-x5n
      @한승원-x5n 7 місяців тому +4

      ​@@BeTo-rj6cd넌 그럼 해외토픽 보지마요~

    • @jhjung498
      @jhjung498 7 місяців тому +2

      ㅋㅋ 그냥 이 채널은 이제 xx 망하고 있는 이유 시리즈를 만들고 있을뿐임

  • @somethumb9958
    @somethumb9958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유럽은 각국마다 정당이 너무 많음 사공이 많아서 배가 산으로 가는 거지
    거기에 더해서 유럽연합이 각국 내정에 결정은 못하면서 한마디 툭툭 간섭하면 그걸로 각국의 수많은 야당들이 그걸로 또 여당과 정부 흔들고
    지들끼리야 뭐 행정적 간소화를 이뤄냈네 뭐네 하는데 관습처럼 굳어지기 전에 뭔가 새로운 걸 하려고 하면
    위에 말한 과정을 또 거치며 갈등하고...
    거기에 pc주의가 미국과 극동아시아는 자리를 잡기 전에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문제제기 하고 싸우기 시작이라고 했지
    유럽은 pc가 이미 잠식한 상태에서 정치적으로 이제서야 싸우려는 움직임이 나오는 터라 더 힘듦

  • @asdmkdofkdo5795
    @asdmkdofkdo5795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어쩌면 좀 더 큰틀에서 봤을 때, 애초에 시대의 흐름 자체가 유럽이 지는 해이기 때문에
    유럽에서는 뭔가 시도해보고 좀 되려고 해도 어딘가 잡음이 나고 가라앉고 그러는게 더 강하게 나타나는거 아닌가 싶기도해요
    저런 불안요소들이 있어도 애초에 흐름 자체가 좋다면 어느정도 더 가려지기 마련일테니까요.

  • @TyoungG
    @TyoungG 7 місяців тому +8

    그냥 동독출신 메르켈이 러시아 중국과 붙어먹다 망하게 된거임....
    공산독재국가와 교류는 항상 리스크가 있는거임...그러나 메르켈은
    자기도 그쪽 출신이고 그런사상교육을 받은 사람으로 그두나라와 독점적으로
    교류하며 잘살았지만 결국 그 두나라가 망하면 같이 망한다는건 생각 못했을거임...

  • @SKYBLUE-jv8is
    @SKYBLUE-jv8is 7 місяців тому +6

    독일 GDP는 미국서는 켈리포니아, 텍사스, 뉴욕에 이어 4번째 규모, 1인당 GDP로 치면 50개 주에서 약 43번째에 해당해 중부 인구, 산업이 빈약해 못사는 주에 해당하죠. 아무튼 독일, 프랑스, 영국이 점점 가난해지고 있는 건 사실인듯 싶네요. 😅 한국은? 넌 저기 빠져 있어. 유럽 걱정할 때가 아니라... 😆

    • @김종인-c3m
      @김종인-c3m 7 місяців тому

      미국을 배신할 나라 후보에 독일도 일본 이태리 스페인 프랑스에 이어 추가. 미국만 당혹스러워져도 안이상해질. 한국은 북한위협으로 더 정확말해 북한이 욕심나 미국배반불가할. 러시아가 북한의존도 높이듯 미국도 남한의존도 높아질 라.

  • @김종인-c3m
    @김종인-c3m 2 місяці тому

    미국의 관심도 서구동남아아프리카에서
    러시아중국인도중동으로 넘어간다 보임.

  • @까망이-n8g
    @까망이-n8g 7 місяців тому +10

    먼 애기여?? 가스관 작살낸 건 서방쪽 아니었나?? 러샤가 맘에 안 든다고 가해자와 피해자를 맞바꾸면 안 돼지....

    • @sociolocomtsac
      @sociolocomtsac 7 місяців тому

      아닌데요

    • @changnokto7519
      @changnokto7519 7 місяців тому

      미국놈들이 독일 얼간이 슐츠의 동의로 노드스트림 폭파한 것은 사실.

  • @reactor_art
    @reactor_art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유럽과 러시아를 분리시키는 미국의 전략이 우크라이나를 통해 성공해나가는 모습을 보고 있는거임

  • @채령-j8l
    @채령-j8l 7 місяців тому +12

    산업화 발전으로 국가 이미지 변신에 성공한 두 국가 (독일.일본)
    1900년대 까지만해도 싸구려 공산품 팔던 국가가 독일이였는데 당시 영국에 대한 열등감이 강했었지

    • @asdsdasd-h8x
      @asdsdasd-h8x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 독일,일본 기술로 밥 빌어먹고 사는게 느그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peu815
      @peu815 7 місяців тому +1

      @@asdsdasd-h8x -긁- 이젠 역으로 뺏어 먹으려고 하더라 ㅋ

    • @asdsdasd-h8x
      @asdsdasd-h8x 7 місяців тому +1

      @@peu815 뺏긴 뭘 뺏어 ㅋㅋㅋㅋㅋㅋ 느그가 훔친게 존나게 많지 ㅋㅋ 느그 산업스파이 오지게 보냈단다

    • @peu815
      @peu815 7 місяців тому

      @@asdsdasd-h8x 긁

    • @독일호텔가보자
      @독일호텔가보자 5 місяців тому

      자동차는 독일이 원툴.

  • @suhpero
    @suhpero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제조 단가를 걱정하는 독일이라면.
    일반 국민 보다 기업 대주주의 이익이
    지나치게 편중되었다는 얘기로 들리네요.

  • @문호이-w1q
    @문호이-w1q 7 місяців тому +25

    메르켈 전총리가 동독 출신이라서 친러시아 정책을 썼던 것이 결국 부메랑으로 돌아온 것이다.
    미국이 반대할 때 알아들었어야 했는데. . . !

  • @dp7263
    @dp7263 7 місяців тому +24

    "메르켈" 때문임...

    • @김삿갓-c7c
      @김삿갓-c7c 7 місяців тому

      ㅈㄹ

    • @juny-r4r
      @juny-r4r 7 місяців тому +6

      @@김삿갓-c7c 많은 부분에서 맞는 말임. 2010년대 전기차 투자를 과감하게 했어야 하는데 거의 안하다시피 하고, 자동차 업계의 로비로 계속 내연기관 팔아먹을 생각하는 사이 시기 놓친거임. 그 중심에 총리였던 메르켈이 있고

    • @user-jg8ry8og3i
      @user-jg8ry8og3i 7 місяців тому

      메르켈 아니였음 코로나 전까지 독일이 꿀빨지도 못했음
      당시 기준으론 최고의 선택을 한거

    • @juny-r4r
      @juny-r4r 7 місяців тому +5

      @@user-jg8ry8og3i 메르켈 아니었으면 꿀빨지도 못했다 이건 본인 생각이니까 잘 알겠고. 가정은 의미없으니.. 메르켈 말고 더 나은 지도자가 와서 더 잘될 수도 있으니까여.
      당시 기준으로 최고의 선택이 아닌게, 영상에서 보여줄 그래프보였다시피 2013년 이후로 러시아 산 가스 수입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데, 지금 러우전쟁의 시발점인 러시아의 크림반도 점령 및 도네츠크 지방 국지전의 시작이 2014년임 이 걸 보고도 계속 의존도를 높였다는게 문제임.

    • @user-jg8ry8og3i
      @user-jg8ry8og3i 7 місяців тому

      ​@@juny-r4r본인생각? 좀 말뽐세에서 싸가지가 느껴지시네 ㅎㅎㅎ
      자~그래프 보시면 2012년전까지 eu평균보다 러시아산가스 의존도가 낮지요 그런 다음 2012년 부터 기하급수적으로 늘고요 ,물론 낮다는 의미는 아님
      저때가 노드스트림 1 완공시기임 , 그래서 저리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가 빠진거임 님도 알겠지만 노드스트림1은 이전 총리인 슈뢰더 총리작품이고요
      메르켈 2005년 부터 시작한 재임기간 동안 몇몇 실수한 부분도 있겠지만 독일통일후 휘청거리기만한 독일을 그나마 메르켈이라 멱살잡고 GDP 3위 만들고 퇴임한거임

  • @cdavid-st6vk
    @cdavid-st6vk 7 місяців тому

    이 영상에서도 독일- 러•중국 얘기가 거의 전부인 것과 같음.
    근데 현실은 중국과 러시아가 굴러벌주의 굴러갈 에너지와 자원, 노동력을 많이 대고 있었는데, 그 꿀은 미국과 유럽 등이 잘 빨았다는 것.
    그 동력으로 강대해지고 있는 중•러의 힘이 세지고 치고 올라올려니까 다들 픽픽 쓰러지고 있다는 거.

  • @fprkswk54
    @fprkswk54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중공이 악에 축 이네

  • @유로파-e3q
    @유로파-e3q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우리나 걱정하자 진짜 ㅋㅋㅋㅋ독일은 그다음 생각하곸ㅋㅋㅋ

  • @wayfereralpha7072
    @wayfereralpha7072 7 місяців тому +10

    한국과 독일은 겉으로 보면 다른데 까고 보면 은근 비슷한 구석이 많음 ㅋㅋ

    • @기민석-n4k
      @기민석-n4k 7 місяців тому +3

      근데 문제는 통일 문제에 있어서 한국이 감당할 사회적 비용이 독일과 비교하면 ㅈ나게 크다는거임

    • @dodowa723
      @dodowa723 7 місяців тому

      @@기민석-n4k 통일하면 한국 바로 망함 ㅋㅋㅋㅋ. 필리핀행

    • @한승원-x5n
      @한승원-x5n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애초에 동독과 북한은 비교할 급이 안되는데..

    • @독일호텔가보자
      @독일호텔가보자 5 місяців тому

      동독은 공산주의에서 가장 잘사는 국가였다고합니다. 우리나라 통일은 대박일이유가없을것같네요. 북한 엘리트들 보면 확실히 명석한 사람들 많던데, 서민들 보면 할말하않

  • @shoorooruk
    @shoorooruk 7 місяців тому +8

    우리가 독일 걱정하는게 웃기긴해 ㅋㅋ

    • @독일호텔가보자
      @독일호텔가보자 5 місяців тому

      무능하고 책임이없는 리더. 줄줄세는 세금. 보여주기식으로만 끝나는 군대식 문화. 여전히 나라지키다 사망하는 국군장병들. 한국이 독일 앞에서 한숨 못쉽니다. 그냥 독일사례를 살필수는있죠

  • @tighnarikawaii
    @tighnarikawaii Місяць тому

    그래도 독일차 아직도 굉장히 좋아요
    일본차는 지금 엄청 안 좋고 옛날 2차세계대전 패할 때부터 안 좋아지기 시작하기 전까지 동안에도 좋은 편은 아니었고 중간 정도의 수준이었고요
    그런데 독일차는 2차 세계대전 패배 이후로 지금까지 엄청 좋았어요

  • @benjamin-erlangen
    @benjamin-erlangen 7 місяців тому +5

    유럽은 동유럽 서유럽 양대 견제세력으로 재편되야함 그필수조건이 독일 프랑스의 유럽내 일부 지분을 동유럽으로 이전시키는것

  • @박희욱-h5p
    @박희욱-h5p 6 місяців тому

    들어보니까 독일경제가 휘청거리고 있지만
    무너지고 있다는 말은 과장된 것으로 보입니다.

  • @youngmin1986
    @youngmin1986 7 місяців тому +6

    중국, 러시아. 꼭 이 나라들과 엮이면 꼬이는게 마치...

    • @cdavid-st6vk
      @cdavid-st6vk 7 місяців тому

      근데 현실은 중국과 러시아가 굴러벌주의 굴러갈 에너지와 자원, 노동력을 많이 대고 있었는데, 그 꿀은 미국과 유럽 등이 잘 빨았다는 것.
      그 동력으로 강대해지고 있는 중•러의 힘이 세지고 치고 올라올려니까 다들 픽픽 쓰러지고 있다는 거.
      이 영상에서도 독일- 러•중국 얘기가 거의 전부인 것과 같음.

    • @독일호텔가보자
      @독일호텔가보자 5 місяців тому

      @@cdavid-st6vk 러시아 자원무시못하고 중국 인구 무시못하죠

  • @mattkuk6747
    @mattkuk6747 7 місяців тому +3

    히토류 리스트가 독일만 있는것 처럼 말씀하시네..그리고 무역주도형 국가가 미국 중국 빼고..가능한가? 그냥 천연가스 이야기나 하시는게 아님 독일 안티임?

  • @승승장구-e2j
    @승승장구-e2j 7 місяців тому +3

    그놈에 마이스터가 고임금 저효율 독일

    • @U2HS1D
      @U2HS1D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놈의 장인정신 수작업 (ex. AMG)

  • @티베트인들이여독립의
    @티베트인들이여독립의 7 місяців тому

    그러게 북쭝러랑은 뭘하면 안돼...

  • @tighnarikawaii
    @tighnarikawaii 7 місяців тому +2

    독일 겨우 일본 gdp 따라잡았는데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독일이 똑같이 겪게 되네........
    독일도 독일판 잃어버린 30년을 겪고 일본처럼 되는 건가??
    유럽의 나치독일 피해국의 혐독 반독들이 우리나라의 혐일 반일들 같이 엄청 좋아할 듯..... ㅠㅠ
    독일하고 일본 좋아하는데 왜 다 망해가냐 ㅠㅠ

    • @독일호텔가보자
      @독일호텔가보자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우리가 본 독일은 과거부터 선진국 이미지. 그 이미지가 맞지만, 서비스비용이 비싸서 그걸로 지출이많은것같더군요. 솔직히 우리나라는 인건비가 저렴한 편인것같아요. 독일에 비하면, 근데 독일이 한국에 없는 장점 또한 많은것같더군요. 다만, 과거에비하면 노인인구가 너무많고 능력있는 젊은이, 재능있는 사람들은 미국으로 떠나니까 중간계층이 무너지고, 터키와 중동에서 온 난민들은 그들만의 커뮤니티를 가지니까 사회가 어수선한것같기도합니다. 근데 확실한건 한국이 가지지못한 장점은 가진것같아요. 그리고 공기도 좋은편이고, 겨울에 생각보다 안추운편이에요

    • @tighnarikawaii
      @tighnarikawaii 5 місяців тому

      @@독일호텔가보자 일본도 후쿠시마 제외하면 공기 진짜 맑고 도쿄쪽은 진짜 겨울에는 우리나라보다 따뜻한데 건조하기까지 해서 더 따뜻하게 느껴지고 눈도 거의 안 와서 빙판길도 안 생겨서 너무 좋다라고요.
      솔직히 한국하고 일본이 시스템도 좋아서 전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듯요

  • @carljohnson4960
    @carljohnson4960 7 місяців тому

    안망하는데가 없네

  • @임화선-s9b
    @임화선-s9b 7 місяців тому

    독일이 중국에서 차를
    만들어 중국과 해외로
    수출하였는데 전기차기술을 습득한 중국이 더 잘만들고 싸게 만들어 중국시장은 물론 유럽시장까지 다먹으면
    독일은 안방시장은 물론 중국시장에서도
    쫒겨 나게 생겼다
    남의 밥그릇을 빼앗어
    먹다가 자기 밥그릇 까지 빼앗긴것이다
    중국에 막대한 투자를 해놓았으니
    자국에서 중국산을
    막을 명분도 없고
    그러니 유럽은 물론
    자국시장도 빼앗기고
    진퇴양난이다

  • @Unikonia
    @Unikonia 7 місяців тому

    졸라 다행인게 유로 개최지라서 숙박하러옴. 개최위해서 쓰는돈에 비해 버는 돈이 많을듯. 독일 우승해서 상금버는거랑 사람들이 희망도 많이 찾았으면 좋겠음

  • @민민민-q5k
    @민민민-q5k 2 місяці тому

    썸네일 독일국기 보고 짱구인줄 알았다

  • @kimtaiyoung2020
    @kimtaiyoung2020 7 місяців тому +22

    중공을 너무 몰랐어요 독일

    • @독일호텔가보자
      @독일호텔가보자 5 місяців тому

      근데 독일이 이해가되는게 중국의 인구나 중국의 독일기술도입 이런게 너무 고맙긴했을것같아요

  • @구름위하늘
    @구름위하늘 7 місяців тому

    독일애들...과거에 성공적이었으니 미래에도 성공할거다는 관성으로 그대로 간듯..
    시대가 변하면 그 변화에 대응해야 살아남는데..과거 성공의 독약인감? 이거보면 삼성이 마누라 처자식빼고 다 바꿔라~! 라고 애기한 건 정말 리스펙이네

  • @paulcho9053
    @paulcho9053 7 місяців тому

    좋은정보🎉

  • @꿈꾸는리얼리스트-j5x
    @꿈꾸는리얼리스트-j5x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천연가스 폭등은 상관없습니다 천연가스 가격은 23년부터 전쟁이전 상태입니다

  • @이하늘-c3g
    @이하늘-c3g 7 місяців тому

    초고령화+전자•반도체 산업의 부진+중국의 공업력 상승으로 인한 경쟁화가 원인인데 이중 고령화랑 중국의 경쟁자화는 한국도 남의 이야기가 아니죠. 한국은 유럽과는 달리 고령화에 대비할 시간이 부족했으니.

  • @h-kl2622
    @h-kl2622 7 місяців тому

    뭐긴 뭐여 전쟁으로 러시아에서 싼 연료가 안들어오잔어!

  • @박융-f9q
    @박융-f9q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독일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제조업인데 제조업에서 고임금과 짧은 노동시간이 생각보다 큰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다고 하네요. 한국도 제조업 중심인데 지금 고임금이지만 장시간 노동으로 매우고 있지만 장시간 노동을 줄이지 않으면 출산율 저하 삶에질 저하 등 수많은 문제들이 해결안되기 때문에 큰일이네요.

  • @h9981025
    @h9981025 7 місяців тому

    인류 카운트다운

  • @ssjj4314
    @ssjj4314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이 아저씨 그짓말이 보통이 아니네.
    러시아는 유럽과 독일에 천연가스 공급 중단 한적도 없고 지금도, 이전보단 적지만, 우크라 지하라인으로 수출되고 있고 우크라에 사용료도 내고 있음. ㅎ.
    왜 알아보지도 않고 그짓말들을 술술하지?

  • @user-dq4nl5pp5w
    @user-dq4nl5pp5w 3 місяці тому

    우리나라 나 분석을 지금 개판인데 우리나도

  • @글쎄-j7r
    @글쎄-j7r 6 місяців тому

    러시아 천연가스만 빼면 한국이랑 빼박인데...

  • @appetite4214
    @appetite4214 7 місяців тому

    1970년대 일본기업들의 급성장에 기계설비,금속,자동차 제조업이 위축되며 위기
    90년 갑작스러운 통일로인해 극심한 통일 후유증으로 위기. 이번이 3번째 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