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투기가 종종 앞바퀴를 든채 달리는 이유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4 січ 2024
  • 전투기가 착륙할 때 종종 앞바퀴를 든 채 달리는 모습을 연출합니다. 도대체 왜?
    #aerodynamicbraking #에어로브레이크 #에어브레이크
    Music: www.bensound.com/free-music-f...
    License code: AKCRZMT5GJR0JRLV
  • Наука та технологія

КОМЕНТАРІ • 123

  • @super-etendard
    @super-etendard 5 місяців тому +35

    아는 절친 공군 조종사가 그러는데 감속 효과가 있긴 한데 어느 정도 속도가 줄어들면 더 들고 가봤자 아무 도움 안된다 함. 그냥 공군 활주로가 고속 탈출 가능한 택시웨이 있는 곳이 잘 없고 어차피 활주로 끝까지 가서 택시아웃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끝까지 가는 중에 오래 끝까지 마지막까지 들고 가는 것이 간지로 여기고 있고 ㅋ 조종사들 사이에 누가 멀리 들고 갔나 하는 경쟁이 알게 모르게 있어서 그런다는 대답이 있었음

    • @miloooo0.0
      @miloooo0.0 2 місяці тому +1

      맞음 어차피 비행 끝나고도 LCI존 가서 무장에 핀 꼽고 이런거 해야되서 무조건 반대쪽 끝단까지 가야댐

  • @ALBATROSS00
    @ALBATROSS00 5 місяців тому +10

    1:05 후미 조절 ㅅㅌㅊ

  • @Rir5416
    @Rir5416 5 місяців тому +12

    정말 궁금했던것만 다나오네....

  • @karastony
    @karastony 5 місяців тому +8

    에어쇼 조종사들이 앞바퀴 들고 엄청 멀리까지 가던데... 다 이유가 있었던거군요. 확실히 경험도 많고 조종기술이 뛰어나니. 진짜 궁금했던건데 속시원해졌습니다!! ^^

  • @starmaker23871
    @starmaker23871 5 місяців тому +36

    추가로 활주로가 젖거나 얼어 있어 착륙거리가 늘어날 때, 활주로가 좀 짧을 때 등의 상황에서도 에어로다이내믹 브레이킹을 사용합니다. 항공기 하중의 80% 이상이 메인기어에만 실리므로 뒷바퀴의 제동을 사용하면서 앞바퀴를 들어 항력을 이용하면 훨씬 빨리 제동할 수 있죠. 무시무시한 착륙속도로 진입해야 했던 우주왕복선에서도 사용한 착륙 방법입니다.

    • @mrrker4971
      @mrrker4971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오 프사에 저건 su-47 아닌가요 아님 에컴7에 나오는 adf-01인가?

    • @starmaker23871
      @starmaker23871 5 місяців тому

      @@mrrker4971 Su-47 맞습니다... 코드네임 베르쿠트 (검독수리) 의 러시아 기술실증기죠. 아쉽게도 양산되지는 않았습니다만 그래도 매력 넘치는 녀석입니다. 팔켄은 수평미익이 없어서 꽤나 다르게 생겼어요.

    • @user-jx4wv8xq9u
      @user-jx4wv8xq9u 5 місяців тому

      ​@@starmaker23871비록 저는 꺼무위키를 둘러보고 말하는거지만...
      베르쿠트같은 전진익은
      실속 걸렸을때 안정성을 높여주고
      선회할때도 더 부드럽다던데...
      하필이면 러시아가 원했던건 스텔스기였다죠...?

    • @starmaker23871
      @starmaker23871 5 місяців тому

      @@user-jx4wv8xq9u 전진익은 장점보다 단점이 너무 많아서 그렇습니다. 장점으로는 저속역에서 항력이 적고 선회 시 실속이 줄어든다는 것이 있지만 그 외의 특징이 전부 단점입니다. 날개 구조상 날개가 부러지기 쉽고, 스텔스 성능에도 악영향을 끼치며 카나드나 추력편향 등으로 전진익의 장점을 얼마든지 대체할 수 있죠. 따라서 로망의 전진익은 실현되고 있지 않습니다..

    • @user-ez7vp4xj9p
      @user-ez7vp4xj9p 5 місяців тому

      뒷바퀴에 제동을 사용하나요??
      우중항복선은 드래그 슈트를 활용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 @jaeholee3816
    @jaeholee3816 5 місяців тому +2

    기수를 들면서 속도를 공기역학적으로 줄여주면, 기계 브레이크의 마모를 줄여서 유지비를 줄일수 있죠.. 참고로 F-16전투기의 브레이크 디스크는 카본-카본 복합재료로 만들어지고 초고가의 재질입니다. 카본-카본 복합재료는 우주왕복선이 대기권에 마하20으로 귀환할때 타지 않도록, 주날개 앞전과 기수부분에 사용되죠..
    공군전투기의 경우에는 활주로도 대부분 매우 길거든요..그래서 이 방법이 매우 좋습니다. 근데 이건 대부분 공군전투기의 경우에 한하고,
    해군전투기들은 그냥 착륙하자마자 앞바퀴도 바로 활주로에 붙어서 최대한 브레이크를 잡아서 활주거리를 최소화시켜 버립니다. 해군형 라팔이나 F/A-18 같은경우 그래서 기수를 들고 착륙 활주하는 장면을 볼수가 없어요.. 또 해군기들은 앞바퀴가 타이어가 두개라 접지력도 더 좋구요...에어쑈에서 보면 해군전투기들은 그냥 착륙하자마자 바퀴 세개가 딱 활주로에 붙어서 착륙활주거리를 굉장히 짧게 만들어요.. 해군기들은 항모에 착함해야 하기 때문에 그런 특성을 가지고 있고, 이걸 지상 활주로에 착륙할때도 그대로 하더군요...공군기들처럼 기수를 들고 쫘아아아 활주로를 주행하는 모습은 해군전투기들에게서는 볼수가 없어요..

  • @bangdoll4500
    @bangdoll4500 5 місяців тому +3

    능숙하게 하면, 속도가 떨어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앞바퀴가 땅에 닿게 됩니다.
    요즘 전투기에서 조종사가 최대한 당기고 있는 이유는 주날개 뒷전에 붙어있는 플래퍼론으로 최대한 항력을 만들기 위함 입니다.

  • @user-pi5fd4pn1z
    @user-pi5fd4pn1z 5 місяців тому +2

    명칭은 2 point aerodynamic braking 입니당 전투조종사는 저게 정해진 절차라, 우리나라는 무조건 랜딩할때 저렇게 합니다.
    다만 우리나라의 공군기지들은 미국 공군기지만큼 활주로가 길지 않기 때문에, 속도보다는 특정 지점까지만 수행합니다.

  • @kang8657
    @kang8657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백조가 물 위를 미끄러지며 내려앉듯이 사뿐히~
    재미있는 지식 감사합니다~ 🤗🤗🤗

  • @user-td2sg2xd4e
    @user-td2sg2xd4e 4 місяці тому

    😊 글쿤요

  • @user-tc8kj6vy6w
    @user-tc8kj6vy6w 5 місяців тому +1

    47초에 Wolfpack 군산비행장 반갑네요 ㅋㅋㅋ

  • @kyung4147
    @kyung4147 Місяць тому

    와 진짜 기수 조금만 더 들면 테일스트라이크 날만큼 딱 그 직전까지 컨트롤 잘 하시네요....ㄷㄷ

  • @user-ed5bo1dm2u
    @user-ed5bo1dm2u 3 місяці тому +1

    이거 궁금했는데ㅋㅋ

  • @AF2023_korea
    @AF2023_korea 5 місяців тому +9

    사브 비겐은 역추진 장치가 달려있다는..

    • @user-bz7nt4fi1p
      @user-bz7nt4fi1p 2 місяці тому +1

      역추진 장치로 감속하는 전투기가 그거 말고 없나요???

    • @AF2023_korea
      @AF2023_korea 2 місяці тому +1

      @@user-bz7nt4fi1p 토네이도 시리즈에도 달려있습니다

  • @minitiara1
    @minitiara1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대구에 F15K 1호기 들어오는 행사할 때 저렇게 착지하던데... 행사장 앞에서 앞바퀴가 착지하도록 연습도 하고..

  • @trainsim--guy
    @trainsim--guy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에어로 다이나믹 브레이킹은 드래그 슈트가 달려있거나 해군기체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드래그 슈트만 펼쳐도 에어로 다이나믹 브레이킹보다 더 좋은 제동성을 제공하기 때문이고 해군기체는 항공모함에 착함하기 때문에 랜딩기어에 부하가 크게 걸리는데 그걸 견딜수 있도록 랜딩기어와 타이어 브레이크를 랜딩기어가 나약한? 공군기체보다 강하게 만들기때문에 에어로 다이나믹 브레이킹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 공군기중 F16이 휠브레이크가 가장 약하게 잡힌다네요

  • @chochochip_cookies
    @chochochip_cookies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꼬꼬들 달릴때 모습처럼 보여서 귀여웠는데.. 날개 퍼덕이며 달리는거같음

  • @user-qr5pt5yj2h
    @user-qr5pt5yj2h 3 місяці тому +1

    독수리 착륙할 때 모습하고 닮았군요~~

  • @user-dt1nn8vw1g
    @user-dt1nn8vw1g 5 місяців тому +4

    역추진을 안 하는군요.. 처음 알았네요

    • @k4g6mw50
      @k4g6mw50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역추진을 할수 있는 기체가 일단 얼마 없는게 큽니다

  • @user-jq8yc2eo3y
    @user-jq8yc2eo3y 4 місяці тому +1

    간지나잖아!

  • @kju42
    @kju42 5 місяців тому

    조종석 캡을 튼튼하게 만들어서 서서히 열어서 감속하도록 만들면 어떨까?

  • @jaeyoungjang8841
    @jaeyoungjang8841 5 місяців тому +5

    아니면 드래그 슈트를 달아서 제동을 하기도 하죠 근데 최근 전투기들은 잘 안보이더라고요

    • @starmaker23871
      @starmaker23871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드래그 슈트는 과거 전투기들의 특징이라고 하기보다는 동구권 전투기들의 특징이라고 보는 것이 정확합니다:] 러시아 전투기들은 두 엔진 사이에 드래그 슈트 보관 겸 항전장비 장착용 돌출부가 있습니다. 이는 과거부터 이어져 내려온 전통으로, 가장 최신기인 Su-57에도 드래그 슈트와 함꼐 설치되어 있습니다. 러시아 전투기들의 매력 포인트입니다.

    • @jaeyoungjang8841
      @jaeyoungjang8841 5 місяців тому +3

      @@starmaker23871 저는 F5, F4 말한거였는데..

    • @starmaker23871
      @starmaker23871 5 місяців тому +1

      @@jaeyoungjang8841 '최근 전투기에는 잘 보이지 않는다' 라고 하셔서 서방 전투기만을 생각하고 말씀하신 줄 몰랐습니다. F-5, F-4 말고도 말씀하신 대로 여러 서방권 전투기도 드래그 슈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F-35도 사용하고 있죠. 하지만 동구권 전투기에는 필수로 들어가기에 러시아 전투기의 특징이라고 말씀드린 겁니다. 잘못 이해해서 죄송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apaa11
      @apaa11 5 місяців тому

      최근 전투기에도 다 달려는 있지 않나요? 잘못알고있던건가

    • @user-ht9ge5pf3m
      @user-ht9ge5pf3m 5 місяців тому

      요즘엔 활주로가 다 잘 깔려있고 활주로에도 항공모함의 어레스팅 와이어같은 비상시 제동장치가 다 구비되어있어 없는 기종이 많습니다@@apaa11

  • @hwi3465
    @hwi3465 4 місяці тому +1

    11비 근무중인데 신기하네요

  • @ejectionisanswer.7560
    @ejectionisanswer.7560 5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러면 드래그슈트는 비상상황이나 짧은 활주로를 착륙해야 할 때만 쓰는건가요?

    • @--CENSORED--
      @--CENSORED-- 5 місяців тому

      드래그슈트가 장착안됀기종도 많은걸로압니다 f16도 안됐을거고요

    • @warthog116
      @warthog116 5 місяців тому

      ​@@--CENSORED--F-16도 Drag Chute는 장착이 되어 있습니다. 미 공군에서 F-16 모셨던 교수님 말씀으로는 회수가 번거로워서 라고 하시네요....

    • @k4g6mw50
      @k4g6mw50 5 місяців тому

      ​​@@warthog116장착이 된 기종이 있고 안 된 기종이 있읍니다
      대만군이나 네덜란드군 F-16A MLU들은 슈트 있는데 미공군 F-16C/D들이나 우리나라 F-16들 보면 그없임

    • @AngryJWS
      @AngryJWS 5 місяців тому

      보통 단거리 착륙을 생각하고 만든 전투기들이 드래그슈트를 가지고있습니다 동구권 전투기들이 대표적이구요 서구권에서도 냉전시기까진 흔히 보였지만 지금와서는 거의 사라졌습니다

  • @user-hs3gq7vi7c
    @user-hs3gq7vi7c 2 місяці тому

    F4 팬텀이나 F18호넷 같은 함상기들은 내리자 마자 철푸덕….
    Aero-dynamic Brake는 F15, F15, F5주로 공군기들이 많이 사용하죠…

  • @user-hc8mc9vp8q
    @user-hc8mc9vp8q 5 місяців тому

    너무 짧아요~!

  • @user-ei3uj3sr9k
    @user-ei3uj3sr9k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오토바이 윌리나
    전투기 윌리나
    어느정도 고인 사람들이 한다는 얘기구만

  • @user-nl8dm7jn2r
    @user-nl8dm7jn2r 2 місяці тому

    아 F16 뒤에 저게 에어브레이크구나 맨날 보면서도 뭔가 했네

  • @LuftUberSoldat
    @LuftUberSoldat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오토바이도 드는데 전투기는 못들쏘냐!
    간지런

  • @자주포
    @자주포 5 місяців тому +158

    이유 아는데 모르는 사람들 댓글 궁금해서 왔으면 개추 ㅋㅋㅋㅋㅋ

  • @user-nl5sd9mx8o
    @user-nl5sd9mx8o 5 місяців тому

    에어로다이나믹 브레이크 군요

  • @user-ef6ih3yx1z
    @user-ef6ih3yx1z 4 місяці тому

    오토바이처럼 그냥 묘기인줄 알았는데 아니네요ㅋㅋㅋ

  • @user-tl5xc2xf2b
    @user-tl5xc2xf2b 5 місяців тому

    😮

  • @tv-pg4kc
    @tv-pg4kc 5 місяців тому

    에어로 다이나믹 브레이킹이라고 합니다

  • @tsukiyama-akihiro
    @tsukiyama-akihiro 5 місяців тому

    짧고 굵다.

  • @Richard_Angelic_Light
    @Richard_Angelic_Light 5 місяців тому

    랜딩에서 에어로다이나믹 브레이킹 장면은 장관입니다. ^^

  • @marsmi9478
    @marsmi9478 5 місяців тому

    영상보기전: 뭐 공기저항받아서 브레이크라도 걸겠지뭐
    영상보고난후: 어래?

  • @user-wc9pt1no1o
    @user-wc9pt1no1o 5 місяців тому

    맞혔다~~~

  • @user-qu1xg7jw1p
    @user-qu1xg7jw1p 3 місяці тому +1

    아하 활주로 길이 짧을거같으면 바로 복행할려고 준비하는줄 ㅋㅋ

  • @wk2778
    @wk2778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공기저항감속 뿐 아니라 터치앤고 목적도 있지않음?

    • @j_rrey
      @j_rrey 17 днів тому

      터치앤고 ㅇㅇ

  • @jylee168
    @jylee168 5 місяців тому

    해군 조종사는 어차피 짧은 거리에서 멈춰야 하니 내리꽂는 것 같네요.

  • @2023MooHyeon
    @2023MooHyeon 3 місяці тому

    고개를 쳐들면 저항때문에 감속되는거 아닌가요. 이걸 고민해야 할 문제인가.

  • @hdibo
    @hdibo 5 місяців тому

    오!? 게임에선 바로 동체착륙..

  • @S_TRA
    @S_TRA 5 місяців тому +4

    dcs할때 초보들이 은근 어려워하는 기동이죠 ㅋㅋㅋㅋ

    • @butterfly_a321
      @butterfly_a321 5 місяців тому

      DCS 초본데 저거 어렵더라구요 ㅋㅋㅋ

    • @yuji75
      @yuji75 4 місяці тому

      ㅎㅎ a-10으로는 잘되는데 다른 기종을은 힘들더라구요

    • @user-lu1jx6nf8q
      @user-lu1jx6nf8q Місяць тому

      ㄹㅇ 첨 할때 왜 하는지도 모르고 흉내 한번 내보려다 꼬리 긁히거나 에너지 조절 못해서 바퀴 부수기도 많이했죠ㅎㅎ

  • @hyunjungpark6328
    @hyunjungpark6328 5 місяців тому

    윌리?

  • @fodr6542
    @fodr6542 5 місяців тому +1

    ???: 함자이기 랜딩기어 쥰내 단단하다

  • @user-nl5sd9mx8o
    @user-nl5sd9mx8o 5 місяців тому

    DCS에서 저거 하다가 앞으로 꼬구라졌는뎈ㅋㅋㄱㄱ

  • @f35kim51
    @f35kim51 Місяць тому

    기수들다가 뒷부분 긁히지 않을까요?

  • @Arkgibari
    @Arkgibari 5 місяців тому

    해리어 : ㅋㅋㅋㅋ

  •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 5 місяців тому

    뒷바퀴를 들기 힘드니까~! 음 C-46-47 수송기는 뒷바퀴를 들죠.

  • @user-vy1vu5hp5d
    @user-vy1vu5hp5d 5 місяців тому

    워썬더면 걍 바퀴뽀싸고 동체착륙하는데 역시 현실은 어렵구나!

    • @user-uu9co9yk3q
      @user-uu9co9yk3q 5 місяців тому

      워썬더면 그냥 동체갈면서 착륙함ㅋㅋ

  • @YhanEsFf
    @YhanEsFf 4 місяці тому

    오도바이 타던 시절 윌리하는겁니다(도망)

  • @jinrex74
    @jinrex74 5 місяців тому

    묘기대행진... 형님 혹시 연세가?

  • @ptahoteff
    @ptahoteff 5 місяців тому

    배때지 내밀고 브레이크해야 하는구나.

  • @user-uu9co9yk3q
    @user-uu9co9yk3q 5 місяців тому

    워썬더: 랜딩기어? 그거 이륙할때만 씀 ㅅㄱ

  • @djWjfkrhwkdsksclsi
    @djWjfkrhwkdsksclsi Місяць тому

    그건 척보면 알수 있는 당연한 거고, 다른 이유가 있었나 싶었네.

  • @wjd0322
    @wjd0322 5 місяців тому

    뒷바퀴를 들면 이상하잖아요 ~~^^

  • @Rainmaker1004
    @Rainmaker1004 5 місяців тому

    난 또 그냥 윌리 하고 싶어서 그런줄

  • @NEOEASYMAX
    @NEOEASYMAX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짝짓기철에 수컷들이 하는 그런 건줄....나 성났어..하는..

  • @liliiii1269
    @liliiii1269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군관제사였는데 터치다운후 한 3000피트 구간까지는 들고오다가 찍는듯

  • @user-lh7ty6ey5f
    @user-lh7ty6ey5f Місяць тому

    삼각익 전투기는 저 효과가 별로라고.. 저 효과가 바로 나타나는 건 큰 날개가 앞쪽으로 붙은 프로펠러 전투기.

  • @jeailbae2411
    @jeailbae2411 4 місяці тому

    F-4, F-18은 그냥 쿵임...!

  • @aingame1110
    @aingame1110 5 місяців тому

    파나비아 토네이도:난 역추진 있지롱~

  • @user-cj4nb1jl3l
    @user-cj4nb1jl3l 3 місяці тому

    아무나 할수 있는 기술임. PPL 평가항목인데요? 아무나 뜯고 멋보고 즐길수 있는 제일 하급 기술

  • @SPITFIRE_V
    @SPITFIRE_V 5 місяців тому

    윌리 좀 치노

  • @__just_do_it__
    @__just_do_it__ 5 місяців тому

    그것보단 멋있어보이는 걸

  • @redmahura9134
    @redmahura9134 5 місяців тому

    예전에 콩코드도 여객기지만 저렇게 착륙 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라운드 이펙트(Ground Effect)라고 합니다.

    • @sierrapapa7761
      @sierrapapa7761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지면효과는 항공기가 땅에 가까워지면 추가양력을 받아서 강하를 못하는 현상아닌가요?

    • @user-pi5fd4pn1z
      @user-pi5fd4pn1z 5 місяців тому

      윙팁 볼텍스가 완전히 형태를 못이루고 지면이랑 날개 사이 공간에서 압축되어, 순간적으로 압력차가 커지면서 발생합니다. 기수를 저렇게 들면 후방으로 힘 벡터가 작용하는 측면도 있죠

    • @sierrapapa7761
      @sierrapapa7761 5 місяців тому

      @@user-pi5fd4pn1z 배운지 오래라 까먹고있었는데 오랜만에 정확한 설명들으니 항공역학 책핀 기분이네요ㅋㅋㅋ

    • @user-pi5fd4pn1z
      @user-pi5fd4pn1z 5 місяців тому

      @@sierrapapa7761 ㅎㅎ저도 덕분에 오랜만에 떠올려봤네요~

  • @ausfyausfy2455
    @ausfyausfy2455 5 місяців тому

    왜냐하면 비행기의 앞 바퀴는 소중하니깐요. 소중이가 먼저 다으면 비행기가 '아야' 할수 있으니깐요

  • @user-je5kc4kt1s
    @user-je5kc4kt1s 5 місяців тому

    F15 휠 브레이크.... 개같은거...

  • @FlyingwithWingBong
    @FlyingwithWingBong 5 місяців тому

    1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