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맛·숯맛·훈연맛은 정말 존재하는 맛일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 чер 2024
  • 음식에 불을 가하면 음식에서 불맛이 난다고 합니다. 단순히 불을 가해서 불맛이라고 표현하는 것인지, 아니면 불에도 정말 맛이 있어서 불맛이라는 게 입혀지는 것인지 궁금증이 생깁니다. 이외에도 숯맛과 훈연맛 등 일반적이지 않은 맛에 대한 이야기도 알아봤습니다.
    - 사물궁이 유튜브 채널 구독 : / @smgi
    - 사물궁이 시리즈 정주행 : • [사물궁이] 전체 영상 모음
    - 궁금증 제보 : forms.gle/xT6HQEpVTYbfe9EY8
    - 유튜브 멤버십 가입 : / @smgi
    - E-Mail : facebookspeedwg@gmail.com
    ※ 참고자료·논문자료·자문 등 도움
    - 캘리포니아 대학교 - 산타바바라 캠퍼스 화학공학 박사과정생
    - Cho, In-Hee, Hyong-Joo Lee, and Young-Suk Kim.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Bulgogi prepared by different heating procedure."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14.3 (2005): 428-432.
    - Song, Yuting, et al. "Acrylamide formation and aroma evaluation of fried pepper sauce under different exogenous Maillard reaction conditions." Food Chemistry: X 15 (2022): 100413.
    - What is...wok hei?
    : guide.michelin.com/en/article....
    - 서원호, et al. "고온반응기로 제조한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미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47.2 (2015): 176-183.
    - Kawamoto, Haruo. "Lignin pyrolysis reactions." Journal of Wood Science 63.2 (2017): 117-132.
    - Montazeri, Naim, et al.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liquid smoke products." Food science & nutrition 1.1 (2013): 102-115.
    - Montazeri, Naim, et al.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liquid smoke products." Food science & nutrition 1.1 (2013): 102-115.
    - W. A. Rizal, et al. "Chemical composition of liquid smoke from coconut shell waste produced by SME in Rongkop Gunungkidul."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462 (2020): 012057.
    ▪ 배경음악
    : Burlesque Heartache - RKVC
    : After the Soft Rains - South London HiFi
    : When Johnny Comes Marching Home - Cooper Cannell
    : Eyes of Glory - Aakash Gandhi
    : Cartoon Bank Heist (Sting) - Doug Maxwell/Media Right Productions
    : Gunpowder Tea - Mini Vandals
    ▪ 애니메이션 감독 : Studio H
    ▪ 음향효과 :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정자료 이용 및 자체제작
    ▪ 기타 사진·영상 :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진과 영상 이용
    00:00 원고 투고자 소개
    00:10 주제 소개
    00:49 불맛이란?
    01:50 식품회사에서 불맛을 만드는 방법은?
    02:16 숯맛이란?
    02:29 훈연맛이란?
    #사물궁이 #궁금증 #호기심 #과학 #불맛 #마이야르 #마이야르반응 #음식 #숯맛 #훈연맛 #불맛내는법
    Copyright. 사물궁이 잡학지식. All rights reserved
  • Розваги

КОМЕНТАРІ • 220

  • @user-we3ok5ss9j
    @user-we3ok5ss9j 5 місяців тому +65

    후각이 미각에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영상일줄알았는데, 생각보다 더 과학적으로 접근해서 감탄함..

  • @yj810104
    @yj810104 5 місяців тому +21

    화학 관련 부분도 많이 어렵네요. 그래도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msl173
    @msl173 5 місяців тому +16

    먹는 거 좋아해서 진짜 재밌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impactone4823
    @impactone4823 5 місяців тому +3

    유익하다.진짜ㅋㅋ👍👍👍케릭터도 앵앵거리는 거 귀엽다.

  • @user-ol2tb2ke2t
    @user-ol2tb2ke2t 5 місяців тому +123

    그냥 기분탓 맛으로 알앗는데
    과학적으로 다 원리가 있군요
    역시 요리는 분자요리야

    • @user-kx1su7dm9d
      @user-kx1su7dm9d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음식을 불에 직접 대면 몸에 나쁠거 같은데 목초액도인가

  • @simhae1775
    @simhae1775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궁금했던건데 감사합니다!

  • @TV-or3my
    @TV-or3my 5 місяців тому

    1시간전! 사물궁이님 사랑해요~♡

  • @don_katsu
    @don_katsu 5 місяців тому +237

    투고했다는 게 대본인가요 논문인가요? 사물궁이 님이 논문를 읽고 이렇게 이해하기 쉽게 요약해서 정리하는 것도 진짜 대단하네요..

    • @patrickchoi9120
      @patrickchoi9120 5 місяців тому +48

      그걸 업으로 삼는 사람이니까요

    • @kms_2012
      @kms_2012 5 місяців тому +36

      음, 논문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은 전국의 대학원생이 모두 해야 하는 일이긴 해요...
      T^T...
      물론, 많이 노하우가 누적되지 않으면 자기 전공분야 외 논문을 읽는건 정말 어렵지만...

    • @user-kk1kh2mx4u
      @user-kk1kh2mx4u 5 місяців тому +14

      ​@@kms_2012 유튜버분은 대학원 과정을 거쳤다는 추론을 해볼 수가 있겠네요.

    • @seong2reum
      @seong2reum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렇게 아무도 대답을 하지 않았다..

    • @MrEhdtjdalsrnr
      @MrEhdtjdalsrnr 5 місяців тому

      @@user-ze7ef9fh7u 니 아들 하버드

  • @bycut
    @bycut 14 днів тому

    이채널 너무좋은데 알고리즘 항상 박살난거같음. 왜 내가 매번 찾아가서 봐야하지

  • @user-mr2sn3uy7k
    @user-mr2sn3uy7k 5 місяців тому +105

    1:56 웍질하는 석박사
    2:09 수상할 정도로 코어 힘이 좋은 석박사
    2:14 하이파이브하는 석박사

    • @Holycrab_
      @Holycrab_ 5 місяців тому +6

      ㅋㅋㅋㅋ 킬포

  • @II11lIIIl1ll1IIIlIl
    @II11lIIIl1ll1IIIlIl 5 місяців тому +10

    요리는 진짜 과학이구나..

  • @user-nl2cg7ps3r
    @user-nl2cg7ps3r 5 місяців тому

    썸넬 ㄱㅇㅇ ❤❤❤

  • @eyetoy22
    @eyetoy22 5 місяців тому +13

    숯불은 그 자체가 조미료임...숯불로 요리하면 모든 음식의 풍미가 좋아짐

  • @Dragonchansun
    @Dragonchansun 5 місяців тому +14

    진짜유익함 (저녁에볼예정)

  • @user-dk5qt9ml3k
    @user-dk5qt9ml3k 5 місяців тому

    재미있다😊😊

  • @AoM-ju8bu
    @AoM-ju8bu 5 місяців тому +12

    다음주제: 사물궁이의 배경색은 왜 초록색이고 의도된것인지,와 같이 볼때 편안해지는 색도 알려주세요

    • @LEEJEAHOON
      @LEEJEAHOON 5 місяців тому +5

      보기편함+칠판과 같은색을 써서 몰입감을↑

  • @user-os7fy6ql6m
    @user-os7fy6ql6m 5 місяців тому

    이런 주제 너무 재밌어용 :)

  • @user-gp1oj8jm7i
    @user-gp1oj8jm7i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정작 요리사들도 살짝 태운 부분이나 그을음에서 나는 맛인데 그게 쓰고 역하게 느끼기 전까지 조절해서 또다른 맛으로 느껴지는 거라고 알고 있는 분이 많은 것 같던데… 탄 것과는 아에 다른 개념이었다니…

  • @curious_Question00
    @curious_Question00 5 місяців тому +25

    개쩌는 불맛을 액기스만 모아서 팔고 있었다니 찾아봐야 겠군요

    • @user-mr3lg5hk4o
      @user-mr3lg5hk4o 5 місяців тому +3

      불맛 향미유 라면 끓여먹을때 한숟갈만 넣어보세요 바로 화력 쎈 분식집라면됩니다ㅠㅠㅠㅠ

    • @suddenmanggame
      @suddenmanggame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시아스 화유

  • @djyo672
    @djyo672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뜨거운물과 상온의물은 왜 바닥네 떨어질때 소리가 다른가요? 뜨거운 물이 좀더 묵직한 소리가 나건데 어떤 이유인가요?

  • @levjerraz6983
    @levjerraz6983 5 місяців тому +3

    썸네일 오늘 유독커여움ㅋㅋㅋㅋㅋㅋㅋㅋ

  • @dekake4177
    @dekake4177 4 місяці тому

    알려주기 쉽게 알려주셨지만 한 번에 이해하긴어렵짜..

  • @Zionational
    @Zionational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냥 벌거아닌 플라시보 헛소리였습니다! 로 마무리될줄알았는데 내막이 생각보다 어마어마하구만...

  • @neoncloud0110
    @neoncloud0110 5 місяців тому +7

    목초액은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아 식용으로는 믿고 쓰기 적합하지 않다고 하네요

  • @Benjamin73509
    @Benjamin73509 5 місяців тому +6

    캔의 모양(형태)에 담긴 의미가 궁금해요!
    예를 들어서 탄산음료 같은 경우, 캔의 아랫부분과 윗 부분이 조금 움푹 파여있는 형태인데 그 이유가 궁금해요!
    추가로 플라스틱이나 유리병처럼 재활용 할 때 라벨지를 없애서 재활용 하는거로 알고 있는데, 캔은 어떤식으로 재활용이 되고 있는지 궁금해요!

    • @jin-si6zx
      @jin-si6zx 5 місяців тому +4

      운송과정에서 탄산 등 압력을 버티기 위해서 캔 모양이 그런거구요
      알루미늄 재활용 같은 경우는 고열처리해서 잉크와 같은 불순물 걸러내고 금괴처럼 통으로 다시 만듭니다 -> 다시 재활용

    • @Benjamin73509
      @Benjamin73509 5 місяців тому

      @@jin-si6zx 감사합니다! 그러면 캔은 라벨지 대신 잉크로 사용하구, 캔의 윗 부분은 단순 따개 역할이구, 캔의 아랫부분이 핵심이라구 보면 되겠네용!

  • @user-fm7zl9zh4z
    @user-fm7zl9zh4z 5 місяців тому

    고기, 특히 돼지고기 잘 굽는(그러니까 태우지도 않고, 그렇다고 덜 익히지도 않는) 요령이 있나요?

  • @Desire_Store
    @Desire_Store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종이를 만들때 '리그닌'을 걸러낸다고 하던데. 그걸 식품분야에서 써먹는것도 가능할듯

  • @user-xm1fk3jc1g
    @user-xm1fk3jc1g 5 місяців тому +3

    그래서 바베큐를 할 때 연료를 무엇으로 하냐에 따라서 맛이 달라지는 거군요~bb
    어떤 연료이든지 맛에는 차이가 없는 줄 알았습니다ㅎㅎ

  • @user-wf3nv5kh9q
    @user-wf3nv5kh9q 5 місяців тому +1

    화학공학..!!

  • @user-pk5dw2rg5p
    @user-pk5dw2rg5p 5 місяців тому +4

    썸넬 개귀엽네ㅋㅋㅋㄱㄱㄱㄱ

  • @user-sd1wc9qp8m
    @user-sd1wc9qp8m 5 місяців тому

    역시 과학이야

  • @user-mx1yy9zj7m
    @user-mx1yy9zj7m 5 місяців тому

    영어 자막 추가해주세용

  • @user-xr9lz8xy7i
    @user-xr9lz8xy7i 5 місяців тому +5

    맛이라기 보다는 냄새가 입혀진거 다들 아시죠? 불맛이라기 보다는 불냄새라고 하는게 맞지 않을까요 요즘 매운 음식도 화끈한 매운 맛이라고 그걸 불맛이라고 해버리는 곳들이 있는데 혼동을 주지 않게하려면 구분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wilsonyu1564
      @wilsonyu1564 5 місяців тому +3

      그렇게 따지면 과일 맛 탄산음료는 죄다 과일향이라고 표기 해야함.
      단순히 잘못 됬다고 바꾸기엔 그 정도는 널렸음.
      그리고 무슨 향하고 무슨 맛하고는
      받아들이는 어감이 확연히 다른데
      굳이??
      후추맛라면
      후추향라면
      같은 가격이면 어떤거 먹으실??

    • @user-xr9lz8xy7i
      @user-xr9lz8xy7i 5 місяців тому

      ​​@@wilsonyu1564사실 과일향 탄산음료가 맞죠 과일은 0.몇퍼센트 들어가면서 무슨무슨과일맛 음료라고하니까요

  • @junhyeong21
    @junhyeong21 5 місяців тому +1

    1등 너무 좋고~

  • @gamtwi
    @gamtwi 5 місяців тому

    역시 마이야르

  • @KaMakSo
    @KaMakSo 5 місяців тому

    식품회사 석박사 ㅋㅋㅋㅋ 사물궁이도 침착맨을 보는건가..?

  • @user-hn3uy4ob4b
    @user-hn3uy4ob4b 5 місяців тому

    궁금한것이 있어서 댓글 남겨봅니다 한번 침을 삼키는것은 쉬운데 왜 2번 연속으로 침을 삼킬려면 왜 안삼켜지는것가요

  • @wjnam3236
    @wjnam3236 5 місяців тому +5

    0:22 단맛 짠맛 신맛 죽을 맛...?

    • @lhstone
      @lhstone Місяць тому

      죽을맛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 @Hafnium71
    @Hafnium71 5 місяців тому

    🔥 먹힌거 영상 끝까지 남아 있네

  •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 5 місяців тому

    그저 기분 탓만으로 그런 건 아닌. 정확한 근거가 있는 부분이군요. 고기의 힘. 이해하면 더 맛있는 세계입니다.

  • @bjordne5399
    @bjordne5399 5 місяців тому

    맛이 아니라 향이 요리 재료에 스며든 것 아닌가요?

  • @user-uc1vl4te8l
    @user-uc1vl4te8l 4 місяці тому

    냄세는 분자고
    같은 재료라도 어떤 가공을 하는지에 따라서 분자결합물은 달라지는거 아님?
    그럼 그 결과물도 다르지.
    뮈 있는거처럼 예기해도 결론은 같은재료도 이리뒤집고 저리 뒤집고
    어떻게 요리하냐에 따라서 맛이 달라진다.

  • @user-ld3dx8mn7n
    @user-ld3dx8mn7n 5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저는 정관중학교 1학년4반 이유완입니다 댓글을 남기는게 과제여서 적습니다 영상에서 불 맛을 어떻게 내는지 가르쳐주는게 유익햇습니다 감사합니다

  • @kim_jin_soo
    @kim_jin_soo 5 місяців тому +1

    2:14 석박 개웃기네 ㅋㅋ

  • @user-bj3kn6yu8d
    @user-bj3kn6yu8d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주제가 왜케 신선하냐 한번도 생각해본적이없는건데 왜그런지 궁금해지게 만드는 주제

  • @nurungiiii
    @nurungiiii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지중해식단이나 저탄고지식단이 건강에 나쁘지않은지 알려주세요!

    • @user-bq9ih4vb8t
      @user-bq9ih4vb8t 5 місяців тому

      걍 3대 3부 영양소 다 먹어

    • @user-qi6ik1tw4r
      @user-qi6ik1tw4r 5 місяців тому

      지중해식단 = 고탄저지
      이와 상반되는게 저탄고지
      지방이야 그냥 식물성이든 동물성이든 퍼마시면 되는데 문제는 탄수화물일거임?
      보통 탄수화물 하면 당이 떠오를거임?
      근데 소화가 불가능하고 인간에겐 영양분이라곤 1도 없는 식이섬유도 탄수화물이란 말임?
      예를 들어서 곤약이 수분 반 식이섬유 반이란말임?
      근데 곤약을 식이섬유가 많다고 하지 탄수화물이 많다고는 하지 않는단 말임?
      대중의 인식은 식이섬유는 탄수화물이 아니라 탄단지를 벗어난 또 다른 영양소란거임?
      여기까지 설명했으면 알아들어야겠죠?

    • @user-qi6ik1tw4r
      @user-qi6ik1tw4r 5 місяців тому

      세줄요약
      주치의 없이 고탄저지 저탄고지 하지말것
      어쨋든 식이섬유를 오랜기간 섭취하게 되면 장내 미생물이 개판나서 만성적인 소화불량을 일으킬수 있다는거임
      그래서 주치의 달고 고탄저지 저탄고지를 하라는거임

    • @user-fr8tq8in3c
      @user-fr8tq8in3c 5 місяців тому

      지중해식과 저탄고지식단은 하늘과 땅차이. 지중해식은 건강식단. 저탄고지식은 걍…대머리 생리중단되고 요요를 부르는 안건강 식단. 애초에 하기도 힘든
      식단임.

    • @nurungiiii
      @nurungiiii 5 місяців тому

      @@user-fr8tq8in3c 저탄고지 요요안오는데요...?

  •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5 місяців тому

    김치 담글 때 양념으로 후추가루나 겨자를 사용하는 걸 못 봤는데 얘네들은 왜 김치 양념에 안 쓸까요? 후추는 색 때문인가요?

  • @IBK_Bank
    @IBK_Bank 5 місяців тому

    숯은 이미 탄화가 된건데 어떻게 불내는데 사용될수있는건가요?

  • @TurtleYoutuber58
    @TurtleYoutuber58 5 місяців тому

    이 영상만들려면 어떻게 만드시나요?

  • @WAU7709
    @WAU7709 4 місяці тому

    계속 궁금증이 생겨요.

  • @coldtruth3944
    @coldtruth3944 5 місяців тому

    오래된 건전지에 흰가루가 생기는 이유가 뭔가요?

  • @user-ui6rq2xe3r
    @user-ui6rq2xe3r 5 місяців тому

    불이랑 잘반응하는 유기화합물 단백질 탄수화물 식용유등이 불이랑 직접 만나면서 나는 맛과 향이라고 저는 이해하고 있습니다

  • @user-ip1jr7oi7f
    @user-ip1jr7oi7f 5 місяців тому

    후속 지식 원해요... 이것을 습취했을 때!!!!!

  • @ookim4020
    @ookim4020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봐..봐도 모르겠댜..🙄

  • @user-bl5bt4tn2w
    @user-bl5bt4tn2w 5 місяців тому

    목초액은 안좋다고 먹으면 안된다던데 상관없나요?

  • @janejay7421
    @janejay7421 5 місяців тому

    영상 한 번만에 이해 안 됐는데 정상인가요

  • @user-gb8dt5qi1f
    @user-gb8dt5qi1f 5 місяців тому

    원신에서 산타 바바라 스킨도 나왔나요?

  • @yellowyellow7165
    @yellowyellow7165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자고 일어나면 왜 비몽사몽 한건지 주재로 다뤄주세요

  • @user-jp5xz8bg1d
    @user-jp5xz8bg1d 2 місяці тому

    가스불로 익힌 숯불맛,불맛,숯맛,연탄맛,가스불맛,훈연맛 고기,생선,어패류,갑각류,두족류?

  • @user-xg5ix5bt3o
    @user-xg5ix5bt3o 5 місяців тому

    여기서 끝이 아니다 ㅋㅋ

  • @_NPT_
    @_NPT_ 5 місяців тому

    다 있는 맛이구나

  • @mzmz995
    @mzmz995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음식점에서 말하는 대부분의 불맛은 그냥 파기름 내면 대부분 그 맛이 납니다.

  • @user-hd2mc9tp1y
    @user-hd2mc9tp1y 5 місяців тому

    불맛은 덜탄맛?

  • @runnable
    @runnable 5 місяців тому

    쓴맛을 불맛이라 착각하고
    서브 토치로 윗면을
    오버쿡하는 사장님들
    각성했으면 좋겠지만
    그보다 그 쓴맛이
    불맛이라고 하하호호하는
    소비자 미각이 상향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wnals3896
    @wnals3896 3 місяці тому

    요리는 엄청난 화학이다

  • @youdieee
    @youdieee 5 місяців тому

    대충 불맛은 고온에서 만들어지며 그 온도는 150도에서 250도 사이로 물의 끊는점보다 높다.

  • @kwmimooin
    @kwmimooin 5 місяців тому

    화유가 그렇게 만들어지는건가?

  • @69sex69
    @69sex69 5 місяців тому

    오호

  • @phj89327
    @phj89327 5 місяців тому

    불맛이라는게 실제 존재하는거였다니.

  • @user-tf9js7qd3e
    @user-tf9js7qd3e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목초액은 건강에 좋지않다 란 얘기를 많이 들었는데 어느정도 사용해야 안전한지 궁금합니다

    • @lionlamb688
      @lionlamb688 5 місяців тому

      태우는 나무나 온도에 따라 다른 성분들이 농축될 수 있어서 식용 목초액이라도 안전이 보장되진 않아요..나무를 태우는 거기 때문에 담배 유해성분으로 유명한 타르가 들어간 경우도 많이 있고 영상에 언급된 페놀류 성분은 발암 물질이기도 하죠. 제아무리 식용도 있다곤 하지만 먹어도 안전한 목초액 함량이란 기준도 모호하고 기타 안정성이 검증된건 아니기 때문에 목초액은 식물 성장이나 농약 대신 병충해 방지용으로 쓰는게 그나마 쓸만한 사용법 같습니다. 누구는 목초액으로 아토피나 무좀 사마귀 등등의 치료에 효과를 봤다고 하는데 기본적으로 산성에다 함유된 성분도 달라질 수 있고 사람마다 피부 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남들이 효과봤다고 무턱대고 바르거나 과용하는건 피부를 되려 망가뜨리는 수 있다는...의학적으로도 안전성이 입증된 치료법은 절대 아닙니다.

    • @user-fr8tq8in3c
      @user-fr8tq8in3c 5 місяців тому

      걍 쓰지 마세요

  • @user-db1zz2ir7l
    @user-db1zz2ir7l 5 місяців тому

    면은 왜 안엉켜요?

  • @user-op4ju9jo8b
    @user-op4ju9jo8b 5 місяців тому

    아 불 왜 갑자기 먹고싶지..

  • @athanasius0000
    @athanasius0000 5 місяців тому

    아 인트로........버너가 아니자너.......ㅠㅠ

  • @user-qr6zp5zn7q
    @user-qr6zp5zn7q 5 місяців тому

    ???: 사장님 그거 불맛이 아니라 그을음이에요

  • @user-wx1bi1un9j
    @user-wx1bi1un9j 5 місяців тому

    다음 주제: 왜 드라마에서 꼭 음식옆에서 말싸움하다가
    음식싸대기를 때릴까?

  • @myuphi
    @myuphi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이렇게된이상 이 이론대로 짬뽕을 볶아주세요

    • @user-op2wn8ep8c
      @user-op2wn8ep8c 5 місяців тому

      대부분 중국집은 짬봄 국물를 미리 대량으로 만들어서 주문이 들어오면 퍼주기식으로 합니다.. 미리 만든곳은 쉬게 말하면 야채가 많이 녹아다 보면 돼고 바로 만든건 야채가 살아있어요..
      그리고 짬봄국물맛이 단내가 나면 야채가 녹아있고 바로 만든거 단내가 거즘야채가 살아있어 덜 합니다.
      중국집 열에 한집정도 바로 만듬....

  • @user-gq2wg7ez8r
    @user-gq2wg7ez8r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썸네일 뭐냐곸ㅋㅋ

  • @yeahapi
    @yeahapi 5 місяців тому

    입증하기위해 갈려나간 대학원생 일동에게 삼고빔

  • @user-dg6ig5zs8c
    @user-dg6ig5zs8c 4 місяці тому

    향은 맛이 아니긴한데 마이야르는 맛을 변화시킴 ㅋ

  • @user-gv8gz9tq6b
    @user-gv8gz9tq6b 5 місяців тому +1

    휘발성 화합물 = 그을음

  • @user-ed6yj7eo4s
    @user-ed6yj7eo4s 5 місяців тому +5

    고속도로 보면 콘크리트가 파여있는 경우가 많은데 왜 그러는지 만들어주세요~

    • @Ycmjg37143
      @Ycmjg37143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콘크리트는 소아스팔트와 달리 배수가 잘 안 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콘크리트 도로면 물이 고여버립니다.
      그래서 만들어놓은거에요.

    • @user-ed6yj7eo4s
      @user-ed6yj7eo4s 5 місяців тому

      @@Ycmjg37143 부셔져서 파여있는걸 말하는거에요
      사람이 만든거 말고

  • @sXCNJdMcvf6Rlgl
    @sXCNJdMcvf6Rlgl 5 місяців тому

    신기하네

  • @c_c5249
    @c_c5249 5 місяців тому +2

    휘발성화합물맛집 짬뽕

  • @D5ollca-677.v
    @D5ollca-677.v 5 місяців тому

    페어리태일 나츠가 왜 불마다 맛이 다르다고 한 이유가 있구만.

  • @bjko9893
    @bjko9893 5 місяців тому

    석사 박사가 개웃김

  • @user-yr9yc4bb1j
    @user-yr9yc4bb1j 5 місяців тому

    -나도궁금했는뎃-

  • @DanddoJoa
    @DanddoJoa 5 місяців тому

    이거보고 불맛소스 구매했다

  • @user-hc3nu0in6f
    @user-hc3nu0in6f 5 місяців тому +2

    기름+숯불이 벤조피렌을 형성한다고 알고있는데
    여기 나온것들 중에 어떤게 위험한건지 잘 아시는분 계시나요?

  • @user-oh5pk5qc5w
    @user-oh5pk5qc5w 5 місяців тому +3

    다음 주제: 캘리포니아 대학 산타바바라 캠퍼스 박사 과정생은 도대체 어떤 사람인가?

  • @dfdfsdfa
    @dfdfsdfa 5 місяців тому +7

    지글지글 구워지는 맛이 있는데 인덕션은 그 맛이 안나더라고요

    • @youdieee
      @youdieee 5 місяців тому

      ​@@user-48fk3kkd99그거랑 다른거임 숲불을 생각하면 불맛은 재맛 생각하면 됨

  • @aiaiaiiailell5849
    @aiaiaiiailell5849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주제 의문!!!
    매운 맛은 통증이라고 하는데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병을 가진 사람은 매운 맛을 느끼지 못하는지?

    • @Ryou-_-
      @Ryou-_- 5 місяців тому

      네 정확합니다

    • @D5ollca-677.v
      @D5ollca-677.v 5 місяців тому

      새 같은경우가 그렇다함.

  • @TGuardians
    @TGuardians 5 місяців тому

  • @user-ez6ux7ur3z
    @user-ez6ux7ur3z 5 місяців тому

    안보고 다는 댓글
    걍 양념이나 재료가 겉면이 살짝 타면서 나는 맛아닌가

  • @Luna-ChaeMil.
    @Luna-ChaeMil. 5 місяців тому

    .....예?!

  • @jameslim6425
    @jameslim6425 5 місяців тому

    이제는 가버린 당근왜뽑 때 얻은 지식

  • @user-op2wn8ep8c
    @user-op2wn8ep8c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요즘 불맛 베이스 소스는 화학적인 맛이 강합니다.

  • @user-do7hs1jn1q
    @user-do7hs1jn1q 5 місяців тому

    열에의한 화학적 현상이라면 후라이펜에 구워도 불맛이라고 해도 되는건가요 ?
    아니면 꼭 불이 직접적으로 닿아야 생기는 현상인가요 ?

    • @user-el3ew6if7i
      @user-el3ew6if7i 5 місяців тому

      후라이팬에 해도 되는데 조건이
      중식당 처럼 화력이 겁나 쎄야함
      일반 가정식정도론 안됨
      그리고 웍질을 해서 불과 음식이 맞닿게 해야함

  • @user-vq3hl7eb1i
    @user-vq3hl7eb1i 5 місяців тому +5

    참고로 저렇게 생성된 불맛과 훈연맛은 강한 발암물질이라 건강에는 매우 해롭습니다. 하지만 저 맛의 차이가 매우 크기에 가능하면 이러한 사실을 숨기고 장점만을 부각시키거나 사용량을 최소한으로 하고는 하죠. 건강을 생각한다면 훈연맛은 피하는게 좋습니다

  • @ghks3155
    @ghks3155 5 місяців тому

    석박사 본들이 대단한건 알겠다

  • @user-oy3sl1fn5n
    @user-oy3sl1fn5n 5 місяців тому

    정말 간단하게 그냥 기름이 불에 타면서 나는맛임. 그게 가장직관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불맛 ㅋㅋㅋ 즉 불맛 내고 싶으면 쌩쑈하지말고 기름부위에 토치질 하거나 기름많은음식 웍질로 불붙히면 생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