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 끌 때 찬물이 좋을까? 뜨거운물이 좋을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1 чер 2024
  • 화재 발생 시 물을 이용해 화재를 진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긴급상황이므로 찬물, 뜨거운물을 가릴 때가 아니지만, 어떤 물이 화재 진압에 더 효과가 있을까요? 주제의 궁금증 외에도 화재와 관련한 여러 이야기를 함께 다루었습니다.
    - 사물궁이 유튜브 채널 구독 : / @smgi
    - 사물궁이 시리즈 정주행 : • [사물궁이] 전체 영상 모음
    - 궁금증 제보 : forms.gle/xT6HQEpVTYbfe9EY8
    - E-Mail : facebookspeedwg@gmail.com
    ▪ 배경음악
    : Ether Oar - The Whole Other
    : Eyes of Glory - Aakash Gandhi
    : At Odds - SYBS
    : Cartoon Bank Heist (Sting) - Doug Maxwell/Media Right Productions
    : Gunpowder Tea - Mini Vandals
    ▪ 애니메이션 감독 : Studio D
    ▪ 음향효과 :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정자료 이용 및 자체제작
    ▪ 기타 사진·영상 :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진과 영상 이용
    00:00 주제 소개
    00:42 화재 진화의 원리는?
    01:20 물로 불을 끄는 원리는?
    01:58 찬물과 뜨거운물 중에서 뭐가 화재 진화에 좋을까?
    02:41 소화기의 종류는?
    03:05 물로 화재 진화 시 주의사항은?
    #사물궁이 #궁금증 #호기심 #과학 #화재 #화재진화 #연소 #소방 #안전 #불끄기 #화재예방
    Copyright. 사물궁이 잡학지식. All rights reserved
  • Розваги

КОМЕНТАРІ • 142

  • @user-fl1jp4mu2l
    @user-fl1jp4mu2l 5 місяців тому +551

    속에서 열불났을땐 찬물이 좋더라고요

    • @MIDAS_0503
      @MIDAS_0503 5 місяців тому

      @user-ud5of3no9d네?ᩚ

    • @user-is7qe9vk9o
      @user-is7qe9vk9o 5 місяців тому +9

      근하하

    • @_Duckroll
      @_Duckroll 5 місяців тому +3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zs5uy1de8h
      @user-zs5uy1de8h 5 місяців тому +17

      한국인의 한이 어린 얼죽아

    • @user-bi1dv6dw3e
      @user-bi1dv6dw3e 5 місяців тому +17

      가끔은 알코올이 좋은거 같기도 해요

  • @user-gp1oj8jm7i
    @user-gp1oj8jm7i 5 місяців тому +84

    찬물이 기화하기 전까지 가져가는 열이 더 많고, 연소중인 대상까지 직접 도달해서 산소를 차단할 가능성도 높을 것 같으니 더 효과적이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그것보다 그냥 빨리빨리 기화시키면서 열을 빼앗는 편이 더 효과적이란 거군요.
    다만 사실상 차이가 미미해서 굳이 뜨거운 물을 쓸 이유까지는 안 되고…

    • @3ae992
      @3ae992 5 місяців тому +14

      덕분에 3분 아낌 ㄱㅅ

    • @saedaegari
      @saedaegari 5 місяців тому +2

      당연히 찬물이 흡수하는 열량이 압도적일거라 생각했는데 기화열이 그와 맞먹어서 비슷하다는 사실만으로도 놀랍네요. 간단한 것도 직접 계산해보기 전까지는 직관이 안 먹히는게 많은듯

  • @user-gu7kn3np4y
    @user-gu7kn3np4y 5 місяців тому +62

    역시 사물궁이 채널이군요.
    오늘도 역대급 상상도 못 한 소재를 업로드 하셨군요.

  • @user-io9xg4ps5m
    @user-io9xg4ps5m 5 місяців тому +45

    소방관 친구가 알려준건데, 화재 규모가 비교적 큰 편일 때 물로 불끄는 그 현장에 있으면 뜨거운 수증기로 호흡기를 포함한 신체 전반에 화상을 입힐 수도 있다고 하네요ㅠㅠ

  • @yj810104
    @yj810104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번에도 궁금증은 해결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fs3mn5qy3h
    @user-fs3mn5qy3h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dallo_come
    @dallo_come 5 місяців тому +9

    맞아요, 얼마전에 전기차 화재진압관련 연구(?)하는 영상을 봤는데 화재라고 다 같은 화재가 아니더라고요 ㅠ

  • @yhmjs15
    @yhmjs15 5 місяців тому

    크으 마지막에 ABC 화재별 설명에 담요 예제까지 아주 알차고 거를게 없다 완벽하다.

  • @chance0814
    @chance0814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진심 어릴때 생각했었던건데 사물궁이님이!!

  • @choegyang
    @choegyang 5 місяців тому

    새해 벽두부터 숏츠부터 시작해서 풀영상까지 열일하는 사물궁이 ㅋㅋㅋ

  • @hansoo-
    @hansoo- 5 місяців тому +17

    늘 지식대방출 감사해요 ❤

  • @BubbleJinzo
    @BubbleJinzo 5 місяців тому +2

    귀염둥이 궁이냥 생일 축하드려요♡♡

  • @user-vv7ot8yq4h
    @user-vv7ot8yq4h 5 місяців тому

    와우~~~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저는 산소차단을 위해 담요나
    수건같은거 그냥 덮어버림 되는줄
    알았는데 이것도 조심해야하는군요
    지식이 하나 더 늘었네요

  • @TV-or3my
    @TV-or3my 5 місяців тому

    2시간전! 사물궁이님 사랑해요~~

  • @user-bi4tu9wv3z
    @user-bi4tu9wv3z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유익한 정보 제공 감사합니다!

  • @Jang-cuber
    @Jang-cuber 5 місяців тому +13

    2:08 결론

  • @anymore22
    @anymore22 5 місяців тому +3

    물 1g이 1도씨 오르는데 필요한 열. 즉, 비열은 1cal/g . 물 1g이 기체로 기화할 때 흡수하는 기화잠열 539cal/g.
    찬물보단 뜨거운 물이 빠르게 열을 흡수할 수 있기에 화재를 냉각시키기에 더 좋으나 화재는 온도가 높아 매우 빠른 속도로 물의 열이 오르고 기화하므로 큰 차이가 없음.

  • @13folklore
    @13folklore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갑자기 달리거나 누구한테 안기러 뛰거나 차에서 내리막길 갈때 이마사이와 속안? 이 엄청 으윽 하게 근질 간질한 느낌이 드는 이유 궁금합니다 !!! 부딪히기 직전의 으윽 으이익 간지르 윽 느낌..?

  • @raidd632
    @raidd632 5 місяців тому

    좋은 정보를 배웠어요

  • @mesing3156
    @mesing3156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사실 찬물을 뿌려도 고온의 화염은 물을 순식간에 기화시켜 냉각소화 및 밀폐공간(내화구조 등) 질식소화 효과도 다소 볼 수 있습니다~ 뜨거운 물을 찾는다는 거보다 우선 빠르게 구할 수 있는 물이 찬물이니 일상에서 불을 발견하면 아무 물이나 뿌려주세요~

  • @hansoo-
    @hansoo- 5 місяців тому +10

    수증기?때문에 뜨거운물이 더 좋을거라고 생각했는데 별 차이 없다니 신기하네요 ㅋㅋ

  • @Marget56
    @Marget56 5 місяців тому +2

    물로 불을 끄는 원리중에 수증기가 도움이 되는건 처음알았습니다 신기하내요

  • @user-qk6mp8pf2k
    @user-qk6mp8pf2k 2 місяці тому

    안녕하세요. 도덕 시간에 선플달기 활동중인 중2입니다. 항상 사소하지만 궁금한 이야기에 대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hyunho_07
    @hyunho_07 5 місяців тому +17

    이건 몰랐던 사실이네요. 뜨거운 물을 사용하면 좋다 라는것도 처음 알았습니다. 그냥 무턱 대고 차가운 물만 뿌리면 되는줄 알았더니 아니였네요 ㅋㅋ 그래도 좋은 정보네요!

    • @he_he_he_
      @he_he_he_ 5 місяців тому

      윗댓 병먹금~

  • @blackhall76
    @blackhall76 5 місяців тому

  • @mr.k2010
    @mr.k2010 5 місяців тому +1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압도적인 물을 부어서 질식소화를 하는 방법이 많죠. 물론 금속화재의 경우 금속이 물로부터 산소를 빼앗아 연소하기 때문에 모래를 많이 씁니다.

    • @dwblueflower6368
      @dwblueflower6368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금속화재의 경우는 산소를 빼앗기도 하지만 동시에 수소를 발생시켜서 주수소화가 금지되기도 한다네요

  • @phj89327
    @phj89327 5 місяців тому +6

    냄비같은곳에 요리하다가 불이났을 경우에는 물보다 표면적이 넓은 채소같은걸로 덮는게 효과적이라고 들은.

    • @user-dj5jh3jc6z
      @user-dj5jh3jc6z 5 місяців тому +2

      볶거나 튀기는등 기름을 사용하다 불이 붙을때는 질식소화를 추천합니다 고온의 기름에 물을 넣으면 사방으로 튀면서 불이 옮겨 붙거나 화상을 입을수 있으니까요

    • @user-vv7ot8yq4h
      @user-vv7ot8yq4h 5 місяців тому

      그것도 좋은데 냄비뚜껑 덮어도
      되고 그래요... 저는 실수로
      후라이팬에 불낸적 있었는데ㅠㅠ
      어어어 하다가 수건인가 행주인가
      그거갖고와서 후딱덮어버리고
      싱크대에 물틀어서 꺼버린적
      있어요

  • @user-rk2js1zl7f
    @user-rk2js1zl7f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사물궁이님 집밥은 왜 안질리는지 궁금해요~

  • @Inbeoom
    @Inbeoom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뭔가 마이크를 바꾸셧나..? 목소리가 평소와 다른 느낌이 나네용

  • @user-fy8iz1sm1d
    @user-fy8iz1sm1d 4 місяці тому +1

    소화기가 좋습니다

  • @juhee2301
    @juhee2301 5 місяців тому

    제목으로 봤을때 처음 들었던 생각이
    그거나 이거나 뭔 차이야?
    불났을땐 급한 상황인데
    물온도 왜 신경쓰지?
    그냥 아무거나 쓰면 안됨?
    이런 생각였는데 제 생각이 맞았네요😅😅

  • @user-gp9sh2xl3d
    @user-gp9sh2xl3d 5 місяців тому

    사물공이님 그럼 밀페된 공간에서 화제는 진압하다가 수증기 폭발이 일어나다는 이야기는 종종들어서요 고온의 화제에 저온의 물은 대량으로 뿌려 진압하면 폭발하나요??

    • @minjae92
      @minjae92 5 місяців тому

      그렇진 않은게 폭발이라 할만한 현상이 일어나려면 내외부 압력차가 커야합니다.
      근데 단순히 물을 뿌려 수증기가 생긴다고 폭발이 발생하진 않죠. 대신 밀폐된 공간에서 일정 이상의 물을 넣었을때 방이 견딜 수 있는 압력을 넘어서면 터지겠죠

    • @user-gp9sh2xl3d
      @user-gp9sh2xl3d 5 місяців тому

      @@minjae92아 대답 감사합니다

    • @user-lx8br3vg5o
      @user-lx8br3vg5o 3 місяці тому

      화재 화재 화재

  • @user-ee1sd3bc9b
    @user-ee1sd3bc9b 3 місяці тому

    현직 소방관입니다. 잘 보고갑니다~~

  • @user-rk4lv3qj4m
    @user-rk4lv3qj4m 5 місяців тому

    "고마워요 스피드웨건!"

  • @user-dj9qy9qf4o
    @user-dj9qy9qf4o 5 місяців тому

    소방관 말씀에 의하면 한겨울에 얼음물처럼 차가운 물을 뿌려도 화재현장의 고열 때문에 순식간에 뜨거운 물로 변해서 괴롭게 한다고 하네요😢

  • @Desire_Store
    @Desire_Store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중요한 것은 '많은 물'입니다. ㅋㅋㅋ

  • @somblanket
    @somblanket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찬물 더운물 가릴때가 아니다!

  • @hohodak4792
    @hohodak4792 5 місяців тому +1

    2:24

  • @kulleelee2584
    @kulleelee2584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럼 예전에 와국인이 불을피워 올라가는 풍등으로 어떻게 화재가 난걸까요?
    안산인가 서산인가 기름탱크 화재 사건입니다
    불꽃은 외국인이 연료는 탱크안에.. 그럼산소는 누가준걸까요?
    대체 왜 풍등으로 탱크가 폭발하는 화잭가 났을까요?
    탱크 안은 산소가 거의 없습니더. 유증기가압도적이거든요.
    대체 산소는 누가 줬습니까?

    • @candlecrown8717
      @candlecrown8717 4 місяці тому

      풍등이랑 함께 검색해보니 18년 10월 고양시 기름탱크 화재사건 기사가 검색되는데, 거기서는 풍등이 기름탱크 환기구 내부로 떨어졌다고 하네요.

  • @user-xm1fk3jc1g
    @user-xm1fk3jc1g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럼 집 안에서 화재가 났는데 탈출이 어려울 경우 화장실에서 물을 다 틀어놓고 있는게 가장 나은 방법일까요?..

    • @Ycmjg37143
      @Ycmjg37143 5 місяців тому

      아니요. 소화기를 찾아서 빨리 진압을 하고 손수건에 물을 적신 뒤 코와 입을 막고 대피하시는 게 가장 효과적입니다.

  • @carbunculars
    @carbunculars 4 місяці тому

    엠보싱 휴지는 볼록한 쪽으로 써야하는 걸까요? 오목한 쪽으로 쓰는게 좋을까요?

  • @No-hj1fz
    @No-hj1fz 3 місяці тому +1

    궁금한게 어차피 1200도까지 오르는 불이면 찬물을 뿌려도 순식간에 기화될텐데 10도에서 100도까지 올리는 열과 기화열까지 합치면 기화열만있는 뜨거운 물보다 찬물이 나은거 아닌가요?

  • @goodchoy5314
    @goodchoy5314 5 місяців тому +3

    찬물 더운물 가리지 말고 일단 끄자

  • @1nd3xs
    @1nd3xs 5 місяців тому

    화재도 과학이구나

  • @zidwkd00
    @zidwkd00 4 місяці тому

    유류화재나 전기로 인한 화재에도 물로 적신 담요가 괜찮나요..?

  • @lhstone
    @lhstone 3 місяці тому

    저는 반대요! 뜨거운 물은 더빠를 빠를 뿐 시간 걸리는데 그 사이에 불이 더 커질수있는데 걷잡을 수 없을정도로 커질수있잖아요

  • @Dr.Lin_H
    @Dr.Lin_H 3 місяці тому

    이래서 내가 던지는 소화기를 가지고 다니지

  • @user-wg2uz8cq7s
    @user-wg2uz8cq7s 4 місяці тому

    물을 뿌린 후에 이불 덮는다라 하나 배웠네요

  • @youdieee
    @youdieee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라면 끊일때 물 넘치면 수증기가 얼마나 불을 잘 끄는지 체험이 가능함

  • @jinjom3
    @jinjom3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럼 소금은 무슨 원리로 끄는거지

  • @user-qw1vv2eo1e
    @user-qw1vv2eo1e 5 місяців тому +1

    하긴 불이 몇천도인데 끽해야 몇십도 차이로 차이가 크게 날 리가...

  • @hyunwoo5
    @hyunwoo5 4 місяці тому

    한마디로 투명한 아기가 불에 닿아 마동석으로 되어 " 너 일루와. " 하면서 불을 제압을 해버린다는거네요

  • @dfdfsdfa
    @dfdfsdfa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불끄는 것도 힘드네요

  • @user-fp9kp9zb7q
    @user-fp9kp9zb7q 5 місяців тому

    자연화재는요...?

  • @Morrneyo
    @Morrneyo 5 місяців тому

    물이 데워져 수증기가 되어야 이 과정에서 열을 빼앗고 산소를 차단시키는데, 기화점에 근접한 뜨거운 물이 미세하게나마 더 낫다는거네 ㅋㅋ

  • @includingyo
    @includingyo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자동차 냉각수 온도는 80~90도 언저리인데. 자동차 연소실 온도는 1000도 가까이 되니까. 이거랑 비슷하지...

  • @user-mj1nf4cg7t
    @user-mj1nf4cg7t 5 місяців тому

    뜨거운물엔 산소가많은데 이건 의미가없는건가요?

  • @space_rabbit
    @space_rabbit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실화여도 불 끄기전 일단 119신고부터하고나서 소화기로 끄는게 안전합니다.
    이게 직접적으로 화재 진압했어도
    주방에서 발생한경우 후두에 화재로인한 열이 공급되서 안에 붙어있는 기름 찌꺼기들이 계속 열을 받은 상태로있다 임계점이 넘어가면
    화재가 다시 발생하는 상황이 생기기에
    직접적으로 소화했어도 소방공무원들이 직접와서 현장보고
    점검받는게 가장 안전합니다.
    주방에는 K형소화기 눈에 잘보이는곳에 A형 소화기 배치하고
    잘 모르면 A형 뿌리는게 안전함
    물론 소화전에 신고부터 해야되고
    이게 5분이내 출동이여도
    도로상황에 따라 10분이 걸릴수도 있어서 소화 실패시 신고하고나면 이미 불은 겉잡을수없는 정도로 화재가 고도기까지 올라가서 본인집뿐만 아니라
    윗집,옆집등 다 태워먹어서 피해배상금액이 천문학적으로 올라갑니다.
    가스렌지에서 자리비울때는 그냥 불을 끄고 가는게 안전함
    사람은 망각의 동물이라 불을 켰다는걸
    금방 잊어버리는 사람들 많음

  • @_hiver
    @_hiver 5 місяців тому

    마요네즈와 신문지를 이용한 진화가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RandomBox1209
    @RandomBox1209 3 місяці тому

    영상 보기 전 : 찬물이나 뜨거운 물이나 차이가 있나?
    영상 본 후 : 아 뭐야

  • @Terry_De_Black
    @Terry_De_Black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성우분이 바뀌는건가요?? 귱금

  • @asss8593
    @asss8593 5 місяців тому

    영상 안봤지만. 불에 물 뿌려 끄는 것은 산소를 차단해 끄는거 아닌가? 그러면 찬물이든 뜨거운 물이든 무슨 상관인가?

    • @user-gq1eq9my8o
      @user-gq1eq9my8o 5 місяців тому

      물은 냉각소화가 주된 소화효과이고 부가로 질식소화를 가짐
      질식효과를 높일려먼 안개형태로 분사해야함

  • @creaditmr9289
    @creaditmr9289 5 місяців тому +4

    찬물 더운물 가릴때가 아님

  • @MARCO-0202
    @MARCO-0202 5 місяців тому

    저희 아들이 유튜브 찍겠다는데 개인도 하고 같이 하고싶어 해요^^;안되겠죠

  • @nightbird9853
    @nightbird9853 5 місяців тому

    얼음물이요

  • @srk96
    @srk96 4 місяці тому

    전기차 배터리 화재 끄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면

  • @11_Gaius_Julius_Caesar
    @11_Gaius_Julius_Caesar 4 місяці тому

    아직 공식적으로 돌입된 개념은 아니지만 사실상 공식적인 화재개념 1개가 더 있습니다. < 핵 반사능 화재 / E 형 > 화재입니다.
    이 화재는 오로지 모래로만 끌 수 있습니다 핵반응은 모든 물질을 핵분열 또는 핵융합 하기 때문에 솔직히 말해 모든 원소 물질이 연료이므로 이론적으론 끄는 게 거의 불가능 합니다. 다만 모래처럼 여러 원소가 뒤 섞이면 연료로써 타는데 너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불이 숯처럼 천천히 타게 되는 걸 노리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그 모래에 납이 일정량이 섞여 있으면 방사능 누출을 최대한 늦출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많은 사람이 대피를 할 수 있거나 추후 사고 수습 후속 조치가 용이해집니다.
    이 납 섞인 모래를 방사능 폭발 사고가 난 원전에 헬기로 덮으면 됩니다.
    체르노빌 폭발 사고 때 소방사들이 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서 별 생각 없이 물을 뿌렸는데 물은 핵융합을 유발하므로 더욱더 화재가 커졌습니다. 괜히 도시 전체가 비워진 게 아닙니다. 화재를 진압하겠다고 뿔린 물이 핵분열과 핵융합을 유발하여 더욱 크게 핵폭발을 유발하였으므로 엄청난 방사능이 결국 도시를 뒤덮어 미쳐 대부분의 사람이 도망도 가기 전에 죽는 등 해서 ... 결국엔 도시 전체가 비워졌죠.
    나름 후에 체르노빌 보다 더 크게 터진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비교하면 체르노빌이 방사능 피해가 더 큰 이유는 여기에 있습니다
    참고로 후쿠시마때는 그냥 화재에도 무 반응으로 방치했는데 차라리 이게 더 나았습니다. 연료봉 밖으로 나온 불은 딱히 연료가 없어서 크게 번지지 않았거든요. 이러니 일본 정치인이 심심하면 후쿠시마산이 안전하다고 개소리를 하는데 체르노빌 때랑 비교하면 물론 10% 밖에 방사능이 안 나왔지만 그래도 방사능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므로 안전한 것은 아닙니다.
    식품으로 먹으려면 방사능이 아예 안 나와야 합니다. 후에 방사능 기준치를 정하고 그러는데 방사능 기준치는 진짜 의미 없습니다. 원례 음식에는 방사능이 아예 없으니깐! 그래서 원례 식품에는 방사능 측정기가 측정할 수 없을 정도로 방사능이 없어야 합니다.

    • @Vmm2
      @Vmm2 3 місяці тому

      e급은 이미 가스화재로 고시되어있는거 아닌가요?

    • @11_Gaius_Julius_Caesar
      @11_Gaius_Julius_Caesar 3 місяці тому

      @@Vmm2 솔직히 말하면 여기서 말하는 E는 예시일 뿐 실제론 본 화재 진압법에서 알파벳 번호가 붙어 있지 않습니다. 실존하지만 모두 무지하고 어리석어 부정하고 있어서 모르고 있는 화재 진압법이죠. 즉 E는 제가 임의로 붙였을 뿐 입니다.

  • @okay2048
    @okay2048 5 місяців тому

    밤에 자려다가 갑자기 궁금해져서 물어보는데 눈 없는 사람은 어떻게 자요?

  • @dice7039
    @dice7039 5 місяців тому

    유류화재에 소방관이 걍 물 확 뿌리시던데
    아주 손쉽게 꺼져버림
    압도적인 물량앞에선 유류도 상관없음

  • @cherry_berry_cat
    @cherry_berry_cat 5 місяців тому

    왜 소변을 '보다' 대변을 '보다'
    볼일을 '보다' 라는 표현이 생겼는지 궁금합니다.

  • @ryanchangkorea
    @ryanchangkorea 4 місяці тому

    궁금한지조차 몰랐는데 지나가다 간판보고 궁금증이 생겼고 덕분에 궁금증이 해결되었습니다만... 왜 이렇게 낚인 것 같지......?

  • @user-mz4qv3tv5k
    @user-mz4qv3tv5k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이따 5시에 호떡집에 불이 날꺼에요

  • @ggoongta
    @ggoongta 5 місяців тому

    잠을 깰 때는 차가운물이 빨리 깰까요, 뜨거운 물이 깰까요?

  • @user-pc6ze5xq3r
    @user-pc6ze5xq3r 5 місяців тому

    오 나의 여신님에서 아오시마가 괜히 불에 물을 뿌려 일만 더 커졌는데 이 때문이였구나

  • @user-zi2vu3np2q
    @user-zi2vu3np2q 5 місяців тому

    서양 사람이랑 동양인의 췌장 차이가 그렇게 큰가요? 인터넷 짤만 보면 서양 사람들은 수백킬로까지 살찌던데.

    •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3 місяці тому

      무게차이도 나고 동양인 췌장이 쓸모없는 지방이 많이껴있어서 실속이 없기때문에 2배정도 차이난다고 보면됩니다...

  • @user-wl8wk9ln4u
    @user-wl8wk9ln4u 5 місяців тому

    방송국의 소화기 처럼 반짝이는 소화기는 어떤 소화기인가요? 방송국용 소화기를 가정에서 써도 되나요?

    • @Rockfestival14
      @Rockfestival14 5 місяців тому

      반짝이는 소화기가 무엇을 말씀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아마 이산화탄소 혹은 할론 소화기로 추정됩니다.
      소화약재는 화재종류에 맞는 약재를 사용해야 하기에, 시설에 맞는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습니다.
      보통의 가정에서는 다량의 기름,전기시설,위험물 등을 취급하지 않기 때문에 분말소화기(ABC급 화재용)로 충분합니다.

    • @Rockfestival14
      @Rockfestival14 5 місяців тому

      결론은 가정에서는 분말소화기가 불을 더 잘끕니다.

    • @Vmm2
      @Vmm2 3 місяці тому

      방송국내 반짝이는 소화기라고 하시는거보니
      가스식소화기를 보신거같은데
      가스식소화기는 화재진압후 잔여물이 남지않아
      고가의 기기가 사용되는곳에 많이사용합니다
      (방송실, 통신실, eps실등 문서고에도 종종사용)
      가정에서 사용가능하나 가격대가 분말소화기에 비해 10배정도 비쌉니다(10만원 중후반대)
      구매하실꺼면 HFC-236fa 구매하시면됩니다

    • @user-wl8wk9ln4u
      @user-wl8wk9ln4u 3 місяці тому

      감사합니다 가스식도 사람이 실내에 있으면 호흡기에 위험 하긴 하겠죠? 숨 참고 뿌린 후 대피 해야 할 거 같아요 분말은 가끔 뒤집어 흔들어 줘야 하고 10년 가는데 가스식은 유효기간이 얼마나 오래 갈지 안흔들어 줘도 되는지 HFC-236fa 검색 해 보겠습니다 @@Vmm2

  • @user-uv6gg4ps9p
    @user-uv6gg4ps9p 4 місяці тому

    뭐지. 직관적이지 않은데?
    차가운 물이나 뜨거운 물이나 똑같다고...?
    음... 내가 봤을 땐 화재가 났을 때의 피해 규모로 따지면 별 차이가 없다는 뜻인 거 같고.
    엄밀이 에너지 계산해서 따져보면 찬물이 더 빨리 꺼질 듯.

  • @momo-no8jb
    @momo-no8jb 5 місяців тому

    주제 제안합니다) 왜 나라마다 콘센트 모양이 다 모양이 다를까

  • @mint9506
    @mint9506 5 місяців тому

    기름에다 물 부으면 불이 올라오는 불쇼를 볼 수 있음

  • @niemi7508
    @niemi7508 4 місяці тому

    일반 화재에서 물뿌리는건 질식소화라 물온도는 무관하죠

    • @Vmm2
      @Vmm2 3 місяці тому

      냉각소화가 주 소화능력아닌가요?
      질식소화는 산소농도를 낮춰서 소화하는방법아닌가요?

  • @user-xw1bz3fk8s
    @user-xw1bz3fk8s 5 місяців тому

    식용유!

  • @Hongjeonghoon
    @Hongjeonghoon 5 місяців тому

    찬물이 가장 쎄게 나오니까 찬물이죠

  • @user-qy8be6zm6l
    @user-qy8be6zm6l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찬물이 좋긴하지.. 그래도 제일 좋은건 콜라로 끈다!!

  • @user-xw1bz3fk8s
    @user-xw1bz3fk8s Місяць тому

  • @KGT0267
    @KGT0267 5 місяців тому

    마요네즈를 뿌립시다!

  • @pqowieuryt102
    @pqowieuryt102 3 місяці тому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상추, 소금, 물적신 수건, 모래 덮는게 좋아요 이것도 안되먄 소화기

    • @pqowieuryt102
      @pqowieuryt102 3 місяці тому

      기름불 난 곳엔 물 절대 금지

    • @pqowieuryt102
      @pqowieuryt102 3 місяці тому

      프라이펜이라면 뚜껑 덮기, 기름아닐경우에는 물로 확 덮어버리기

  • @user-kx9bw3lh5v
    @user-kx9bw3lh5v 2 місяці тому +1

    그럼 미지근한물

  • @FxxkingNorthKorea
    @FxxkingNorthKorea 4 місяці тому

    기름 화재에 물을 뿌리면 폭발한다.

  • @reyoung__
    @reyoung__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실화냐?

  • @user-rv7db7qj6z
    @user-rv7db7qj6z 5 місяців тому

    찬물 더운물 가릴때냐 !

  • @user-tf2tq1wj5z
    @user-tf2tq1wj5z 3 місяці тому

    그거 고민할 시간에 일단 뭐든 부어...

  • @user-pw9rl7ui9u
    @user-pw9rl7ui9u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수증기도 물이라 H2O인데 산소를 차단해주는게 맞나용??

    • @user-sr3vi8kq3q
      @user-sr3vi8kq3q 4 місяці тому

      물속의 산소는 산소역할을 안하는 원소에요

  • @kwmimooin
    @kwmimooin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위험물이나 소방설비 자격증 준비하다보니 나는 불이랑 더욱 안 맞는걸 느꼈고 차라리 전기가 좋더라고요..

  • @homologous_chromosome
    @homologous_chromosome 5 місяців тому

    목소리가 달라요

  • @Hell-Bovine
    @Hell-Bovine 5 місяців тому

    미국에 옛날 도둑놈이 공장 털고 증거 인멸 할려고 불을 질렀음
    하지만 바보 같은 도둑은 나갈 구멍을 생각 못함..그래서 탈출
    못하고 바둥 거리다 물이 가득 들어 있는 드럼통을 발견 들어가
    숨었음.....뭐 결과는...사골처럼 아주 잘 우러 났다고 -_-...

  • @user-gamehero
    @user-gamehero 15 днів тому

    2:56, 3:11 개트롤

  • @user-xp8jx4zj5m
    @user-xp8jx4zj5m 5 місяців тому

    1

  • @YDSnim
    @YDSnim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아하 ㅋ

  • @nowbird
    @nowbird 5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냥 헬기타고 도망가 이재명처럼

    • @haeyeonglee
      @haeyeonglee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여기 정치병 환자 발견이요.

  • @Drago0404
    @Drago0404 3 місяці тому

    말투 왜이러냐 ㅋㅋㅋㅋㅋ
    애니리뷰 보는 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