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세계대전 마지막 전투에 관한 공식기록이 뻥?★순삭밀톡-결정적하루30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6 лют 2025
- 공식적인 제1차 세계대전 기록을 보면
1차대전의 마지막 전투는 11월 4일에 있었던 상브르(sambre)전투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왜 1차 세계대전 종전일은 11월 11일인거죠?
이 모든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1차대전의
진짜 끝판전투
레알 끝판장군을 알려드립니다!
#카레 #커리 #캐나다 #세계대전 #끝판왕 #아서커리 #아쿠아맨아님
이 분의 개그감과 패션감이 너무 좋음ㅋㅋ
시작부터 빵터지네요 자런개그 난 좋은데 ㅋㅋㅋ
어처구니 드립을 ^^
어떤 말씀을 하셔도 무조건 전 잼납니다. 저랑 코드가 맞으십니다 ㅎㅎ
오늘도 넘 즐겁게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잠깐 딴 생각하면 많은 내용이 지나가 있을 정도로
알찬 내용이 짧은 시간에 담겨있는 방송입니다.
ㅋㅋㅋㅋㅋㅋ첫 장면 같은 개그 포인트ㅋㅋㅋㅋㅋ
08:45 동맹군 사상자를 언급하는 장면인데 연합군이라 표기된 부분이 있으니 시청시 참고하셔요.
혀...형님... 커리라뇨... ㅠㅠ
거리보다 마살라가 더 맛남.
ㅋㅋㅋㅋㅋㅋㅋㅋ 드립시작하다 막히는 상황이 더 웃겨요 ㅋㅋㅋㅋㅋㅋㅋ
항상 재밌게 봅니다!
1차세계대전 다루신거 중에 서부전선쪽이나 갈리폴리 같은거 밖에 없는데 동부전선쪽도 다뤄주실 수 있나요? 러시아와 전투가 적지 않았을텐데 탄넨베르크 말고는 거의 언급이 없어서요.
전간기에 폴란드 -소비에트 전쟁중에 발생한 결정적 하루도 다뤄주실수 있으신가여 부탁드립니당
전간기폴란드는 답없는수준ㅋㅋㅋㄱ전부 알보병+기병이면서 주변에 지보다 약한국가 다찝쩍거림
강겨울 전간기 폴란드는 갑자기 폴란드 우월주의에 처 빠져가지고 목표를 너무 거창하게 잡음 폴란드 리투아니아 연방의 부활
@@a83227381 당시 폴란드의 외교는 말도 안되는건 맞지만 나라가 없어졌다가 막 독립한 나라의 원한을 생각해보면 이해 안되는건 아니죠
방금 커리 먹고 시청중
이형은 안 뜨네요 내공은 잇는데 ㅁ 너무 겸손 하시구나 ㅁㅁ
10분짜리 영상인데 끝난다니 깜짝놀랐음
유익함
그 처벌에 대해서는 조금 생각해 볼게 독일이 다시 일어서는건 생각 않한 것이죠. 무리한 조건을 밀어 붙이면 다시는 못스겠지 였던겁니다. 거기에 독일 본토가 전쟁터가 되기 직전에 전쟁이 종료 되었다는 점도 생각해볼 문제죠.
오옹 영상 올라왔내요! 그리고 오늘 천안함 격침 10주기이라내요 기억합시다..
고지전 생각나네요.
1차대전 캐나다군~?!
아 2차대전류 결정적 전투, 하루 진짜 많겠내요 ㅎㅎ
어쩐지 3월부터 영상이 안올라오더니 ㅡㅜ 다 짤라버렸넹 ㅋㅎ 국방 구취
진짜 잼있게보던 방송인데....
진짜 찐강의임ㅋ전쟁사를이렇게쟁께ㅋ
남보람 아저씨 커리때문에...더이상ㅠㅠ 더해줘요
예비역 장군이 언론과 싸워 승소를 하다..대단하다.우리나라 였으면 이겨도 흐지부지 일텐데...3성장군 아들이 JSA에서 총살 당해도 원인을 못 밝히는 국가인데...
어이가 저지당했네?
순삭밀톡-결정적하루는 원래 계획이 30화 였나요? 토전사폐지 후 밀리터리쪽은 가장 기다리는 채널인데.
남보람 소령님. 지금 현역이신가요??
아 진짜 ㅋㅋㅋㅋ
이제 1차끝나고 2차로 넘어가나요? ㅜㅜ
근데 왜 영상에서 1차세계대전이 종전이 아닌 휴전이라하나요?
휴전하고 협정해서
이거 역시 종영하겠지 어차피
커리 농담을 하지 말았어야 했나...
불쌍해
ㅋㅋㅋㅋㅋㅋㅋ
아서커리장군 무슨잘못을 했길래~*~군법회의 군사재판까지 가려고했을까~😡😠😡~?!
커리면 역시 3점슛
진짜 전쟁나면 그자리에 없어서 잘은 모르겠으나 오줌쌀듯 ㅋㅋ
어이가없네?????ㅋㅋㅋㅋ
아서커리? 아쿠아맨??
세계대전인 만큼 유럽 이외의 장소에서도 많은 전투가 있었을거 같은데.. 다른 곳 전투도 다뤄주시길 바랍니다.
어의가 아니고 어처구니 입니다.
어의 = 왕의 의사
어이가 맞는 맞춤법 이겠죠?
지적 하실려면 맞춤법 부터 공부 하시길...
어의(X), '어이없다=어처구니 없다'는 현재 비슷한 유의어로 같이 사용합니다.(어학사전 참조)
맷돌손잡이를 '어처구니'라고 설명이 정설화되었으나 옛날 할머니, 일제시대 살았던 분들에게도 한 번도 들어 본 적이 없습니다. 유래가 맞는지 불분명한 듯. 궁궐 전각의 추녀마루에 올려 놓은 조형물을 일컫는 어처구니에서 유래된 것이 더 신빙성이 있는 듯.
어이나 어처구니나.....지적도 제대로 못하시면서 무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