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을 분해하는 생물🪱이 있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7 лют 2025

  • --------------------------------------------------------------------------------
    ✅ KBS 광주  / @kbsgwangju
    ✅ 901K  / @gugongilk
    ✅ KBS NEWS 광주  / @kbsnewsgj
    ✅ 치평동사우나  / @cpdsauna
  • Наука та технологія

КОМЕНТАРІ • 968

  • @돌돌이-g7e
    @돌돌이-g7e 8 місяців тому +1405

    이분은 지식을 사랑하시는게 눈에 보임. 설명하실때 보면 눈이 반짝반짝 빛나심. 어떻게 저렇게 열정작이실수 있을까?

    • @사자jh
      @사자jh 7 місяців тому +11

      눈보다 머리가 더 반짝이심

    • @통-sky
      @통-sky 7 місяців тому +20

      맞아요~ 이 분이 티비에 나오시면 앉은 자세를 바짝 고쳐 앉습니다
      늘 기대되는 강의
      최고이십니다❤❤❤❤❤❤

    • @양념반후라이드반-y3r
      @양념반후라이드반-y3r 7 місяців тому +11

      @@사자jh어허 금지 ㅜㅜ

    • @C_Xaah
      @C_Xaah 7 місяців тому

    • @쌍은-c8l
      @쌍은-c8l 7 місяців тому

      태양권 오토기능 키신거같으신데

  • @민경김-m3f
    @민경김-m3f 6 місяців тому +225

    그렇군요 시아노 박테리아😮 귀에쏙쏙 들어오는 교수님 강의 감사함니다

    • @GaudiPicaso
      @GaudiPicaso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부생산소 부생수소 발생이 제련과정에서 생기는 줄 알고 잇습니다ㅏ. 1,000도씨 이상의 가열된 철에 물로 시키면서 제련하는데 그과정에서 산소와 수소가 분해된다고 알고 잇습니다ㅏ.
      10,000도는 잘못된 이론 같습니다ㅏㅏㅎㅎ

  • @janghoonkim2948
    @janghoonkim2948 9 місяців тому +334

    이과 일등 박문호교수님.. ai를 설명하기 위해서 지질학부터 이야기를 시작하신 분. 정말 엄청 나신 분!!

  • @JayuRowa-c1g
    @JayuRowa-c1g 8 місяців тому +240

    박문호 박사님은 현생 최고의 천재입니다!!

    • @dlm858
      @dlm858 4 дні тому

      노노노 😅😅😅😅😅 저건과학이 아니야??

  • @bebuilt1518
    @bebuilt1518 8 місяців тому +60

    박문호 박사님 과학통섭의 대가!
    월말서 잘 듣고 있어요~^^

    • @정근도-x6e
      @정근도-x6e 6 місяців тому +2

      😮😮 통섭의 이론 😮😮
      반갑습니다 🎉🎉
      일시무시일 😢😢
      앙명인중천지일 😮😮😮😮
      일종무종일 😅😅

  • @user-gw3or2ds9n
    @user-gw3or2ds9n 7 місяців тому +125

    따봉 시아노야~ 고마워~ 잘 설명해주신 교수님도요~

    • @경서바라기-x8b
      @경서바라기-x8b 3 місяці тому

      시아노 박테리아는 녹색 색소인 엽록소를 가지고 광합성을 하는 세균으로 남조류(blue-green algae)로도 잘 알려져 있다. 호수나 강, 바다를 비롯해 토양, 사막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이 박테리아에 감염되면 메스꺼움.구토.설사.호흡곤란.눈과 피부나 목구멍 가려움증 등의 증세가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앙일보 2016년)

  • @what_mn
    @what_mn 8 місяців тому +195

    과학과 인문
    우주와 철학
    그 모든 것을 통섭하시는
    박박사님!!!

    • @조성호-c5q
      @조성호-c5q 6 місяців тому +4

      바다에 풀 나무가 없는데 산소가 왜 육지보다 만치궁굼햇는데 오늘 알랏내요 박태리아가 물을 쪼개어 산소를 배출 한다는 것이군요~~~

    • @DSb-vn8qm
      @DSb-vn8qm 5 місяців тому +4

      자연과학운동 박통

  • @전도영-n4j
    @전도영-n4j 9 місяців тому +1591

    진짜 ㄹㅇ 교수님 강의듣는 기분이얔ㅋㅋㅋ

    • @smycc
      @smycc 9 місяців тому +15

      잠이왔나보네요?

    • @으이니-y2x
      @으이니-y2x 9 місяців тому +2

      주무셨나봐요

    • @라크-v4s
      @라크-v4s 9 місяців тому +1

      다 똑같구나..

    • @Humanbeing_8995
      @Humanbeing_8995 8 місяців тому

      @@smyccㅈㄴ기엽네

    • @lolAlwaysHappy
      @lolAlwaysHappy 8 місяців тому +2

      문제는 이걸 전공책으로 전공 수업으로 들으면 개씹노잼이 됩니다 ^___^

  • @강초우-h1e
    @강초우-h1e 8 місяців тому +75

    화~ 너무 신비롭고 흥미진진한 지식의 바다에 빠져드네요.
    교수님 강의는 무궁무진한 지식의 보고예요.

  • @범죄와의전쟁-9V
    @범죄와의전쟁-9V 8 місяців тому +138

    플랑크톤인줄 알고있었는데 박테리아었다니 오늘도 하나 배웁니다...

    • @chans-k4w
      @chans-k4w 6 місяців тому +17

      플랑크톤 맞아요
      시아노박테리아는 지구상 최초로 산소를 만들어낸 생명체
      현재는 지구상 산소의 80% 가까이를 플랑크톤이 만드는걸로 암

    • @yohang-UU
      @yohang-UU 6 місяців тому

      ​@@chans-k4w감사합니다

    • @gsheo5546
      @gsheo5546 3 місяці тому

      스포하지마 시발

    • @z시발로마z
      @z시발로마z 3 місяці тому +1

      @@chans-k4w 다른 행성이 잇다면 물이많은 행성이면 저 박테이가 있는 물을 그기에 뿌리면 개채수가 늘어나서 지그처럼 저렇게 산소를 만들어 내지 않을까여?? 그럼 지구처럼 살수가 잇을지도 모르갰는데 ??

    • @chans-k4w
      @chans-k4w 3 місяці тому +1

      @@범죄와의전쟁-9V 시아노 박테리아가 살던 시기는 이산화탄소가 풍부했기에 그걸 이용해서 산소를 배출했건거죠.
      문제는..그 시기에 이산화탄소를 먹이로 하는 생명체들이겐 산소는 극독이라 시아노박테리아는 절멸대상이였겠죠. 마치 암세포처럼...

  • @simontempler5094
    @simontempler5094 9 місяців тому +37

    박테리아가 산소를 분해 생성하고 제일 먼저 일어난 현상은 바닷물의 철분이 산화철이되어 침전된 ...
    철분이 그렇게 상당량 산화철로 사라지고 난 후에, 대기중 산소 밀도가 급격히 오르게되고...

  • @행복한양
    @행복한양 9 місяців тому +459

    시아노박테리아는 시안, 즉 남색 세균을 의미하며 38억년 전 고시생대에 출현하여 지구 최초로 광합성을 시작해 대기 중의 산소 농도를 높여준 고마운 원핵생물입니다 ㅎㅎ

    • @컨피스케이트
      @컨피스케이트 9 місяців тому +29

      이녀석만 없었다면 안태어났을건데 시팍

    • @bookrose1301
      @bookrose1301 9 місяців тому +5

      ​@@컨피스케이트ㅋㅋㅋ 축복이오

    • @chuchucat1103
      @chuchucat1103 8 місяців тому +4

      시아노박테리아가 남세균인가요??

    • @행복한양
      @행복한양 8 місяців тому +1

      @@chuchucat1103 넹

    • @ES-hg4wh
      @ES-hg4wh 8 місяців тому

      ​​@@chuchucat1103ㅇㅇ
      cyan:청색 남색

  • @Gazocu
    @Gazocu 9 місяців тому +176

    박테리아님 감사합니다

  • @jeon2734
    @jeon2734 8 місяців тому +238

    와~ 시아노 박테리아! 처음 들어봤네요~ 물을쪼개는 박테리아~

    • @릿유구독해
      @릿유구독해 7 місяців тому +15

      태양 에너지로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고 양분을 얻는 반응이 광합성 입니다
      그걸 시아노 박테리아가 최초로 했다네요

    • @이진미-l4p
      @이진미-l4p 5 місяців тому

      와우 설명도 자세히 보니 정말 감탄을 ❤❤❤❤❤❤❤❤❤❤❤

    • @usunglee7845
      @usunglee7845 4 місяці тому +3

      @@릿유구독해 우리가아는광합성은 태양에너지로 co2를 o2산소와c 탄소로분해하는건데~이게보통우리가아는광합성인데~이게상식아닌가? 물을 수소와 산소로바꾸는것도 광합성인가보네~

    • @너랑나랑은-w5o
      @너랑나랑은-w5o Місяць тому

      @@usunglee7845 시안세균은 전자 공여체로 물을 사용하고 탄소원을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며 물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산소를 생성하는 생명체지요 😊

  • @팝싸팝
    @팝싸팝 9 місяців тому +188

    너무 잼있다 교수님 계속 보고싶어요

  • @justiceleague206
    @justiceleague206 9 місяців тому +34

    시아노 박테리아로 테라포밍을 한거 같음. 일단 적정 산소농도로 생명체가 이용할 기본 연소조건을 만들어놓고
    지구 특성상 물로 인해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쉽게 되자 그걸 이용해 물기반 생명체 만든듯.

    • @mayberrykang1693
      @mayberrykang1693 6 місяців тому +1

      환경으로 인한 구조적 진화는 있었어도 종의 진화는 없었음

    • @chans-k4w
      @chans-k4w 6 місяців тому

      물이 아니고 이산화탄소를 가장 좋아함
      그당시 지구환경이 이산화탄소가 풍부했던 시기
      그걸 기반으로 다양한 생물체가 있었음
      근데 그런 생물들에겐 극독인 산소를 만들어내는 지구절멸생물인 시아노박테리아가 등장하면서 기존생명체 상당수 멸망

    • @justiceleague206
      @justiceleague206 6 місяців тому

      태양복사열을 그대로 받는 지구에서 물을 이용한 수냉시스템은 필수불가결한 것이겠지요. 또한 기온저하에 따른 수분의 팽창에도 견뎌내어야 하고 이를 위해 산소를 이용한 생체내 연소시스템을 만들고 이산화탄소는 그 탄소기반 연료를 만드는 주재료가 되었을테니까요.

  • @Guju1234
    @Guju1234 9 місяців тому +24

    교수님에게서 빛이 납니다

  • @레이미안
    @레이미안 9 місяців тому +275

    내가 아는 인물중 가장 박학다식한분 박문호 박사님. 정말 세상의 모든 지식을 보유하신거 같음

    • @마이비-b1o
      @마이비-b1o 9 місяців тому +10

      머리카락을 보유하지 못하셨죠

    • @gangdoaKR
      @gangdoaKR 9 місяців тому +6

      등가교환의 법칙이라고 하죠

    • @여보세요맨시티죠
      @여보세요맨시티죠 9 місяців тому

      한국의 베가펑크인가요?

    • @nomoohyun523
      @nomoohyun523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음 유사과학으로 보통 마무리하시는게 좀

    • @jsg4149
      @jsg4149 8 місяців тому

      ​@@nomoohyun523잘 몰라서 그런데 예를 들어...?

  • @박은혜-x1s
    @박은혜-x1s 9 місяців тому +48

    박문호박사님의 쇼츠
    더! 더! 더! 많이 만들어 주세요
    붓다가 중생을 깨우치러 왔다면 박사님은 지능의 진화를 위해 오셨죠

  • @백합향기-w7m
    @백합향기-w7m 6 місяців тому +10

    산소가 나무들에게서 나온다고
    들었는데요
    이런걸 발견 하다니 대단하고
    이런 유투브와
    브로그에게 감사하다.

    • @경운기총각
      @경운기총각 17 днів тому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역활이 더 큰건가요 그럼?

  • @천지신-y7d
    @천지신-y7d 6 місяців тому +3

    돌박사님... 지질학 박사님. 멋진 박사님. 인문학 박사님. 시인 박사님.. 최고.

  • @rotcmarine21
    @rotcmarine21 5 місяців тому +4

    이런분이 장관을 하셔야 하는데
    건강하셔서 오래오래 알려 주세요.

  • @blackjoy315
    @blackjoy315 9 місяців тому +132

    박수치는게 물개가 치는거 같네욬ㅋㅋㅋㅋ

  • @박용준-h9z
    @박용준-h9z 9 місяців тому +59

    학생이 깨달음을 얻었을 때 가장 행복해 하실것 같으시네요ㅎㅎ

  • @김우빈-l7g
    @김우빈-l7g 9 місяців тому +30

    이분 풀강의 듣고 싶다 재밌다 ㅋㅋ

    • @하헌주-k3o
      @하헌주-k3o 9 місяців тому +3

      월말김어준 팟방 가시면 지구부터 인간탄생 뇌까지 아주재밌습니다.

    • @user-lb7rk6tl9u
      @user-lb7rk6tl9u 9 місяців тому

      ​@@하헌주-k3o 김어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너나 많이 봐라

  • @장희영-v6u
    @장희영-v6u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아. 박테리아. ❤❤❤ 감사합니다. 늘. 건강하시구. 행복하세요.

  • @hankseo755
    @hankseo755 9 місяців тому +124

    시아노박테리아는 남조류를 말합니다. 온난화로 근해에서 가끔 녹청색 매트처럼 나타나는 것이 바로 그겁니다.
    광합성도 하지만 시아노톡신도 배출하여 가축및 인체에도 해를 끼치기도 하지요.

    • @재원-o7o
      @재원-o7o 9 місяців тому +1

      남세균 말하는건가?

    • @꼴뚜바우-f7w
      @꼴뚜바우-f7w 9 місяців тому +3

      수초어항에서도 생김.

    • @HOFAM-rr6en
      @HOFAM-rr6en 9 місяців тому +2

      냄새가 고약하던데 독소로 인한 냄새일까요

    • @쁘로토앗
      @쁘로토앗 8 місяців тому +2

      ​@@백호-n9o물속에 용존 산소와 물분자의 산소는 다른개념인데..

  • @user-zxcgfhj
    @user-zxcgfhj 9 місяців тому +62

    감사합니다 박 테리아님

    • @썸원-o1n
      @썸원-o1n 8 місяців тому +2

      미국 교포인가요?

    • @Betts50
      @Betts50 8 місяців тому +1

      밀양 박씨같은데

  • @하진챠
    @하진챠 5 місяців тому +5

    박테리아가 지금까진 정설 이었지만
    깊은 해저에 다량의 망간이 존재하며 망간의 미세한 전류 때문에
    바닷물이 전기분해 되어 수소와 산소가 발생 되었다는게
    요즘 트렌드 입니다

    • @shinkch
      @shinkch 3 місяці тому +1

      요즘 트랜드는 아니고 박테리아 이전에도 산소는 만들어졌다는걸 의미하죠. 그러나 그 양이 많지 않아서 시아노 박테리아만큼 영향을 주지는 못했죠. 만약 다크산소가 그만큼 많이 있었다면 그시대에 철광층이 만들어졌어야합니다만 그렇지는 않죠.

  • @나어진-v9l
    @나어진-v9l 7 місяців тому +6

    미생물 전공입니다. 저희는 화석 선배를 시아노박테리아라고 칭합니다.

  • @misterwolf88
    @misterwolf88 9 місяців тому +4

    시아노 박테리아가 우리을 살리고있다는 말씀이네요...!!!
    오늘 영상을 보지못하였다면 평생모르고 갔을 사실이네요..!!

  • @도도곰주-w7r
    @도도곰주-w7r 9 місяців тому +28

    도시나 농촌 산에서 산소농도 측정하면 20.9프로나옴
    대서양에서 직접 산소농도 측정하니 21프로 나옴.
    먼 바다산소가 퀄리티 좋음
    본인은 L.N.G상선 선원임

    • @subi4026
      @subi4026 5 місяців тому

      산소가 많은 곳 = 산소가 있는 곳
      태초에 산소는 바다(물)에만 존재 그걸 박테리아가 쪼개서 산소가 발생됨 이게 수십억년 걸쳐 전 지구에 산소 비율이 높아져 생물이 살 수 있음 >> 이걸 이해 못하고 상선같은 소리하네 ㅋ

    • @들꽃사랑-i2i
      @들꽃사랑-i2i 5 місяців тому

      아하 그렇군요
      두분다 좋은말씀 감사
      태초에 궁창을 만드신
      조물주에게도 감사
      부처님께도 감사
      모두모두 감사😂😂❤❤❤

  • @Lee2-n3v
    @Lee2-n3v 5 місяців тому +7

    바다로 유출된 일본 오염수땜에 박테리아등 많은 미생물들이 살아갈수없을까봐 걱정이예요ㅜㅜ바다가 오염되면 회생되는데 어마어마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하더라구요..

  • @상철박-l1d
    @상철박-l1d 8 місяців тому +5

    역시 박씨가 최고야

    • @jjshim1
      @jjshim1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역시 박씨를 물고 온 제비가 최고야 ㅎ

  • @포도송이-r2l
    @포도송이-r2l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좋은 깨달음 주셔서 고맙사옵니다

  • @될튜브
    @될튜브 5 місяців тому +4

    시아노 박테리아 님에게 항상 감사하며 살겠습니다

  • @RedStar-c3y
    @RedStar-c3y 9 місяців тому +7

    박씨들이 대단하네
    박찬호 박세리 박테리아

    • @sukyi-lm9ev
      @sukyi-lm9ev 9 місяців тому +1

      ㅎㅎㅎ
      대단한 비유!

  • @feelsowood
    @feelsowood 3 місяці тому

    작게 말하면서 이목 집중시키고 중요한 고오급 정보처럼 하니 기억이 엄청 잘 되네 ㅋㅋㅋㅋㅋ
    코치 가방은 읽는 것도 대충 읽는데 샤넬 이런건 누가 안 알려줬으면 읽지도 못하면서 잘 알듯이 ㅋㅋㅋㅋ

  • @좋은느낌-l2h
    @좋은느낌-l2h 8 місяців тому +5

    너무 재밌다
    태어나 처음 듣는 말 😅

  • @kanmil89
    @kanmil89 9 місяців тому +10

    이 목소리로 2시간동안 강의한다 생각해바ㅋㅋㅋ바로 졸도..😊

    • @홍석진-u1k
      @홍석진-u1k 9 місяців тому +1

      ㅋㅋㅋㅋ수면제

    • @ljass265
      @ljass265 9 місяців тому +1

      너 대학 못나왔구나 난 흥미로운데

    • @Bamboospear-t1t
      @Bamboospear-t1t 9 місяців тому

      ​@@ljass265 대학은 나왔다 쳐도 본인의 찐특 대화법은 숨길 수 없긴하네요 ㅋㅋㅋ

  • @Jenny-si7ui
    @Jenny-si7ui 8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박테리아 이용해서 산소통을 손바닥 사이즈로 만들면 좋겠어요

  • @ydong3106
    @ydong3106 9 місяців тому +6

    같은 박씨로써 자랑스럽습니다.!

    • @junhonam-di7tn
      @junhonam-di7tn 9 місяців тому +3

      시진핑 할때 시씨에요

    • @isfp6391
      @isfp6391 8 місяців тому

      @@junhonam-di7tn 노노... 미국이름입니다. 박씨가 맞습니다.. 시아노는 이름.

  • @니가왜거기서나와-t4i
    @니가왜거기서나와-t4i 9 місяців тому +2

    박테리아님 감사합니다~

  • @Ebdkc9dh2cl
    @Ebdkc9dh2cl 9 місяців тому +6

    중요한 이야기로 갈수록 목소리가 작아지시는게 꼭 우리 어머니들 보는것 같아서 재미있네요 ㅋㅋㅋ
    호호호 어머어머 그래?
    그러니까 말야 어제도 (점점 작아짐) 그 영숙이 엄마 있잖아 (소곤소곤) 그 엄마가 남편 몰래 나갔다온거 아니야..(주변에 아무도 없음)

  • @lambureung4644
    @lambureung4644 5 місяців тому

    와. 처음 알았네요. 정말 세상은 무한대로 신기하네요.. 잘봤습니다
    ^^

  • @정서-d4d
    @정서-d4d 8 місяців тому +7

    쉽게 설명하려고 저런 표현을 쓴건지 모르겠지만 그래도 말은 정확히해야지...
    물속의 산소를 끄집어낸다?물을 쪼갠다? 시아노 박테리아가?물은 10,000도에서도 안쪼개진다?
    시아노 박테리아는 유사 엽록소를 가지고 최초로 광합성을 해서 이산화탄소를 산소로 만든 생물이라고!!!

    • @studysong3459
      @studysong3459 8 місяців тому

      아래댓글들보니까 저분이하시려는 말씀음 H20 가 화학적으로 분해되서 O가나온거를 그렇게표현한듯요

  • @erinj2611
    @erinj2611 5 місяців тому

    최근에 물을 쪼개는 돌을 발견했다는데 박사님도 주시하고 계시겠죠? 박사님 설명 듣고싶네요!

  • @myjang3279
    @myjang3279 8 місяців тому +12

    시아노박테리아야~♡
    고마워~♡
    사랑해~♡

  • @Scharnhorst8160
    @Scharnhorst8160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거 영상은 망간단괴의 전기분해를 통한 심해 산소 발생이 발견되기 전에 만들어진 영상인가요??

  • @태정태세이문세-p5m
    @태정태세이문세-p5m 9 місяців тому +4

    넌센스인줄 알고 진지하게 공동묘지라 해버렸다..
    수치스럽다...

  • @dragnake33
    @dragnake33 4 місяці тому +1

    물을 쪼갠다는 생소한 표현이 어려울 뿐 미생물(박테리아)에 의한 광합성 대사산물이 산소 일뿐임

  • @등대지기-p3h
    @등대지기-p3h 9 місяців тому +62

    박테리아 결정체가 인간이라고 생각해도 되겠네요.
    우리조상님은 박 씨였네

    • @coffeelakelife
      @coffeelakelife 9 місяців тому +21

      박씨가 아니라 시씨입니다. 시아노박테리아

    • @awoori
      @awoori 9 місяців тому +1

      ​@@coffeelakelifeㅋㅋㅋ

    • @송치원
      @송치원 9 місяців тому +3

      제비가 물어온 박씨가 이 박씨였나요?

    • @jongsookim636
      @jongsookim636 9 місяців тому +2

      마! 박혁거세 모리나? 박!!

    • @샤인-s4y
      @샤인-s4y 9 місяців тому

      시아준수의 시 라고😂

  • @김진숙-h9q
    @김진숙-h9q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시아노박테리아~~~또 알게 되네요.감사합니다~

  • @hiyunifamily6093
    @hiyunifamily6093 8 місяців тому +8

    이런걸 보면 지구의 주인은 인간이 절~대 아니다.

  • @알렉리
    @알렉리 8 місяців тому +9

    여자분 진짜 이쁘시다

  • @들꽃사랑-i2i
    @들꽃사랑-i2i 5 місяців тому

    아하~~ 난 숲인줄 알았는데 바다였네요
    그런데 시아노 박테리아를 괴사시키는 물질도 있나요? 폐오염수. 방사능
    오염수 괜잖나요?? 😢😢

  • @boxer4476
    @boxer4476 9 місяців тому +13

    이명박 폼미쳤다.😮

    • @고양이아빠-k4u
      @고양이아빠-k4u 9 місяців тому +4

      잘하고 계시는 교수님 모욕하지마십시오
      그건 드립 일수없는 맹목적 모욕입니다.

    • @도량발호
      @도량발호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왜 모욕이지?이명박대통령에 비유하는게....거참

    • @boxer4476
      @boxer4476 9 місяців тому

      ​@@고양이아빠-k4u좌파세요? 대깨문? 박적희 전두환 이명박 3대 대한민국 대통령이죠. 나머지 김대중 노무현 문재앙 3대 쓰레기 대통령이구요.

    • @Yangmory
      @Yangmory 8 місяців тому

      댓글은 4대강 녹조 현상을 말하는 것 같은데요
      그 녹조류도 사실 시아노박테리아의 일종이라는
      대기 중 산소 농도는 올려도
      물속 용존 산소는 낮춰버리고 햇빛을 차단하는 단점도 있음

  • @gsgteycscgwh
    @gsgteycscgwh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실제 박테리아는 입증된건 아니구요. 천체물리학에서 암흑물질이라는 가정 개념처럼 미생물학에서 어떤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박테리아라는 가정의 존재를 상정하는 것입니다.

  • @Hyeooong_jin
    @Hyeooong_jin 9 місяців тому +43

    이 시아노 박테리아는 '남세균'이라고도 불립니다🦠

    • @존시나-o3x
      @존시나-o3x 9 місяців тому +7

      정세균하고는 무슨사이인가요?

    • @23kki
      @23kki 9 місяців тому +4

      ​@@존시나-o3x놀줄 아는 놈이군 😎

    • @bongchoi6585
      @bongchoi6585 9 місяців тому +1

      훗날 일본에서 태어나 세균맨이 됩니다

    • @tomsmith1942
      @tomsmith1942 9 місяців тому

      그럼 여세균은 이산화탄소를?

    • @키덜트-v5u
      @키덜트-v5u 9 місяців тому +3

      녹사공파 영양남씨 1대손이군요
      인사드리옵니다

  • @석범김-o8r
    @석범김-o8r 9 місяців тому +1

    박사님 존경 합니다
    😂

  • @arcturtle
    @arcturtle 9 місяців тому +7

    10000도에서도 물분해가 안된다니
    이해가 안되네요
    2500-3000도 사이에서도 물분해가 활발하게 일어나는데 10000도에서도 분해가 안된다고 하니... 참...

    • @익명-q1u
      @익명-q1u 9 місяців тому +4

      유의미한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거겠죠...자연적으로 바다 표면이 2000~3000도로 올라갈 일이 뭐가있습니까...

    • @뤼트반니
      @뤼트반니 9 місяців тому

      이해가안되면 공부를해라 씨불지말고

    • @박태영-v6q
      @박태영-v6q 9 місяців тому

      물분해를 해본건 아니지만..
      2500 3000도는 DI 기준인건가..
      바닷물은 염도나 순도 다 떨어지니
      끓는점이 높은건 물론이고 분해온도도 높다는 이야기는 말이 맞을지도..

    • @몸짱-e1c
      @몸짱-e1c 9 місяців тому +1

      분해를
      잘 못 이해하시는 듯..

    • @김썬더-r7t
      @김썬더-r7t 9 місяців тому

      1만도에 압력은 제끼면 거진 라디컬로 존재할 거 같은데 H2O 상태로는 거의 없을 거 같네요. OH나 그 이상 분자량의 결합 극 일부, 그리고 H 혹은 O로 존재하겠습니다.

  • @울산의날라리엘
    @울산의날라리엘 3 місяці тому

    과학적 지식은 관점에 따라서
    전혀 다르게 해석이 가능함
    시아노 입장에서는
    산소를 분해 하려고 했던 것이 아니라
    이탄에서 탄소를 가져오고 싶었던것 ㅋㅋ
    마찬가지로 광합성도
    식물이 이탄을 먹고
    산소를 만드는 걸로 알고 있지만
    사질은 식물이 물을 분해해서 산소가 나오는 것
    결국 식물 또한 이탄에서 탄소를 얻을려고 하는것
    결국 생물이 지구에 영향을 주는 것의 본질은
    카본 픽제이션 즉 탄소 고정 작업임 .

  • @alexy51
    @alexy51 9 місяців тому +5

    kbs가 이러한 방송을 해야지
    문화재의 값어치를 메기는 방송은 폐지해야지 ㅇㅇ

  • @JejuVagabond
    @JejuVagabond 6 місяців тому

    미생물을 공부하다보면 지구는 진짜 신비한 공간이 되죠. 감사합니다 오교수님(제 스승님)

  • @오벨롭푸
    @오벨롭푸 9 місяців тому +8

    참으로 고마운 생물이구나

  • @기에나흐
    @기에나흐 5 місяців тому

    시아노 박테리아가 뽀갠 산소를 옮겨주는 고마운 분이 태풍입니다 ~~~ 태풍이 자주오면 우리는 좋은 산소를 먹고 사는 겁니다

  • @주정열-n4p
    @주정열-n4p 9 місяців тому +6

    이상한데… 나 고등학교때 화학시간에 2400도 정도 되면 수소랑 산소 분리된다 그랬는데… 기억이 잘못된건가…

    • @lenitive
      @lenitive 9 місяців тому

      소금물은 끓는 점이 높아져서 그런 거 아닐까요?

    • @이진영-d1f5v
      @이진영-d1f5v 9 місяців тому

      물이 3000도 정도만 돼도 열분해되는데 거기까진 몰랐나 봐요, 후쿠시마 원전 폭발이 열분해된 수소가 폭발 한거죠. 사소한데서 권위가 깎이네요.

  • @아라비아-x9d
    @아라비아-x9d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육지에선 식물들이 이산화탄소와 물로
    산소를 공기중으로 배출

  • @projinox
    @projinox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시아노박테리아는 광합성으로 산소를 만든거지 물을 쪼개(분해?)서 산소를 만든게 아니짏아요...이 분 무슨말 하시는지...

    • @Aegora
      @Aegora 8 місяців тому +4

      찾아보니까 영상내용이 맞습니다. 물 H2O를 광분해 해서 H2 와 O가 분리되고 H2는 CO2와 또 분해결합 되어서 포도당 CH2O(C6H12O6)이 되고 시아노박테리아가 이를 쓴다고 합니다.

    • @projinox
      @projinox 8 місяців тому

      @@Aegora 광분해는 빛에의한 분해지 시아노박테리아가 분해시키는건 아니잖아요??ㅜ

    • @따잇따잇뜨
      @따잇따잇뜨 8 місяців тому +1

      ​@@projinox 틀렸데잖아ㅋㅋ

    • @cnxnsh
      @cnxnsh 8 місяців тому

      우리 수준에 맞게 쉽게 설명해준거지ㅋㅋ저 분이 자세하게 알려주면 알아들을 자신은 있나

    • @GARNISH_ICE
      @GARNISH_ICE 8 місяців тому +2

      ㅅㅂ 둘이 존나 전문적으로 대화하는데 그래서 누가 맞는건데 한개도 이해못하겠어

  • @kanias83
    @kanias83 5 місяців тому

    이 분은 정작 전자공학 분야이신걸로
    아는데
    세계테마기행에서 봤음
    대단하신분이야 ㅎㅎㅎ

  • @goodongsul
    @goodongsul 9 місяців тому +7

    수소도 분해가능하겠는데
    생분해 수소!

  • @yiuyui59
    @yiuyui59 4 місяці тому

    난이런것보면 늘궁금한게 거슬러오르고오르고오르면 가장기본적인원소인 수소와 헬륨은 어디서왔나요?
    자연적으로 만들어진건가요?

    • @123-l7s7d
      @123-l7s7d 2 місяці тому

      빅뱅때 수소75%헬륨25%
      만들어졋습니다

  • @biriboy0403
    @biriboy0403 9 місяців тому +4

    볼펜 투자해야긌다

  • @송호진-t1x
    @송호진-t1x 9 місяців тому +3

    오마이사이언스~

  • @death83520
    @death83520 9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럼 바다속에 산소 어디서 나왔어요?

  • @미드2분43초
    @미드2분43초 9 місяців тому +4

    여성분 이름이 뭔가요? 박테리아는 알겠습니다

  • @김은희-p7c
    @김은희-p7c 4 місяці тому

    오~~바다 자주가야것네요

  • @송현승-b5p
    @송현승-b5p 8 місяців тому +4

    산소는 산에 있지 ~ 성묘도 하구~

  • @user-in9od5mq5e
    @user-in9od5mq5e 9 місяців тому +9

    설명 존나 못하네

    • @waikikiwhisky
      @waikikiwhisky 9 місяців тому +3

      님이 쉽게 설명해 주세요
      설명 잘 하는 영상 만들어 올려주셔도 좋구요
      배우고 싶네요

    • @levon-lx6bn
      @levon-lx6bn 9 місяців тому +3

      누군가에게 가르치는 행위는 상당히 어려움
      그걸 모든 사람이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행위는 엄청나게 어려움
      그래서 스타 강사들이 돈을 많이 받고 강의를 함

    • @aleatoriker
      @aleatoriker 9 місяців тому

      @@levon-lx6bn 근데 저새긴 돈 많이 받고 왜 설명을 저래 못함?

    • @lang_gravity
      @lang_gravity 9 місяців тому

      대한민국 최고의 지성의 설명을 듣고도 이딴 반응이면 니 ㅅㄲ의 삶과 인식의 폭이 얼마나 좁고 처참한지 알겠다

    • @jhpark2200
      @jhpark2200 9 місяців тому

      설명 부탁드립니다

  • @김지혜-c6w6v
    @김지혜-c6w6v 5 місяців тому

    이산화탄소를없애버릴수잇는방법은없을까요ㅠ??
    지구가타고있어요ㅠㅠ

  • @kangyouhong
    @kangyouhong 6 місяців тому

    교수님 목소리로 여러분 이거 다~ 참말인거 아시죠? 듣고 싶어요

  • @leeelwoo9522
    @leeelwoo9522 6 місяців тому +3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박테리아가 말고 해저 바닥에 가라않아 있는 망간 단괘들이 고온고압에 반응해 전기를 발생시키고 그 전기가 산소분해를 만들어 낸다는 아주 놀라운 발견이 있었음.
    즉, 산소는 시아노가 없어도 존재했을 것이다 이렇게 바꿔야해

  • @이아영-t8j
    @이아영-t8j 6 місяців тому

    세테기에 나오신거보고 완전 팬 되쏘용ㅎㅎ

  • @ThreeMinifootball
    @ThreeMinifootball 6 місяців тому

    높은온도로도 분해를 못하는 물을 박테리아는 무슨 방법으로 하나요? 궁금합니다.

  • @user-Mocushura
    @user-Mocushura 8 місяців тому

    물이 H2O인건 상식 이고 당연히 대기증발 하면서 산소가 나옵니다..
    강가 바닷가 가 산소농도도 미세하게ㅈ더 높습니다..

  • @새벽향기-a
    @새벽향기-a 2 місяці тому

    시아노 박테리아가 대기중 거의 모든 산소를 만들었다는건 지금까지는 정설이었지만, 현재는 해양 지각에 거대한 산화망간 층의 전기분해가 거의 모든 산소를 만들었다 라고 정설이 바뀌는 추세입니다.

  • @kei-kc8d
    @kei-kc8d 7 місяців тому

    바다에서 산소를 빼내려면, 해조류가 광합성하면 됩니다

  • @road_star_go
    @road_star_go 7 місяців тому

    시아노 박테리아는 어디로 갔나요?? 귱금 해지내요..

  • @우기부기-c1i
    @우기부기-c1i 5 місяців тому +2

    망간단괴가 발견되어서 암흑산소가 나온시점에선 맞지만 틀리기도 하군요

  • @Parkrain911
    @Parkrain911 7 місяців тому

    물이 종의 기원같다..달과 화성에 무지막지한 물이 계속 공급된다면 이전에 살던 것들이 땅속 유기물이 물과 만나면서 이전에 살던것들이 수억년후 나타날것인지 다른형태로살아나게 될것인지 궁금하다..

  • @dog-cat0508
    @dog-cat0508 6 місяців тому

    어.. 나 오늘 동아사이언스에서 물 분해 하는 돌에 대한 기사를 봤는데...
    심해에 존재하는 전기성질을 가진 다금속 단괴가 모여서 물을 전기분해 할 수 있을 정도가 된다고 하던데..
    기사를 넘 대충봐서 다른 건 기억이 안나네;;;;;

  • @paperkim7224
    @paperkim7224 4 місяці тому

    원자력 페수로 인해 바테리아도 죽을수 있나요? 궁금해요

  • @IIIIIIIlllllIIII
    @IIIIIIIlllllIIII 9 місяців тому

    근데 물에 녹아있는 산소 기포같은거 얘기하는거에요 아니면 H2O에서 O만 빼먹어서 O2만들겠다는거에요

  • @hawktrap
    @hawktrap 5 місяців тому

    미생물이 광합성으로 산소를 만들어낸다는건 알았지만 시아노 박테리아라는건 처음 알았네요.
    이래서 편협한 상식은 위험합니다. 배워갑니다.

  • @나쁜전설
    @나쁜전설 7 місяців тому

    뭔가 중요한 것 같은 대화는 목소리가 낮아저야 제맛이지....ㅋㅋㅋ

  • @pluto7771
    @pluto7771 7 місяців тому

    점점 유명해지시네요~^^

  • @705aero7
    @705aero7 3 місяці тому

    결국 물이 없으면 산소도 없는 건가요?

  • @중용-q5x
    @중용-q5x 7 місяців тому

    그럼 화성에 박테리아를 옮겨놓으면 식물들이 살수 있지 않을까요?

  • @soo8695
    @soo8695 Місяць тому

    아마존이 지구의 허파라고 하는데 사실상 이건 잘못된거임 대부분의 산소는 바다에서 만들어지고 이미 대기중에 있는 산소도 몇만년 쓸수있는 양이 있음 아마존 열대우림에서도 많은 산소가 만들어지지만 그 열대우림도 자기들이 만든 산소를 대량으로 소비함 단, 이산화탄소를 빨아들이는 역할은 톡톡히 함

  • @상희이-f8g
    @상희이-f8g 5 місяців тому

    신기하네요~ 그럼 물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수소 대량추출 방법도 곧~ 물은 H2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