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독 한국 종교에서만 이런 모습이! 한국 종교 특수성 | 서울대병원 이건희홀 강연 | 조현 강연 | 한국종교발전포럼 초청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한국에는 전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특수한 종교적 현상들이 있다.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수백년마다 주류 종교가 급변하고, 어느 종교든 마침내 한반도에 왔을때 가장 열정적이고 심층적으로 변하며, 민족적 위기 앞에선 각기 다른 종교가 하나로 힘을 합치는 독특한 모습을 설명한다.
    이 영상은 조현 기자가 서울대병원 삼성암연구소이건희홀에서 종교발전포럼 초청으로 한 '한국 종교의 특수성' 강연(2016년 10월20일)이다.
    한국종교발전포럼은, 대장암의 권위자로 국립암센터와 국립중앙의료원 양 기관의 초대원장을 지낸 박재갑 서울대 의대 명예교수가 의사 등 이과분야 종사자들도 인문학 소양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따라 2009년 설립했다. 서울대 의대 교수들과 종교인, 교수 등 100여명이 회원으로 참여해 서울 종로구 연지동 서울대병원 삼성암연구소 이건희홀에서 인문 명사를 한달에 한번씩 초청해 새벽에 강연을 듣고, 토론을 펼친다.
    #조현강연 #한국종교특징 #종교다양성
    -------------------------------------------
    힐링&명상 콘텐츠 | 휴심정 www.hani.co.kr/...
    조현 한겨레신문 종교전문기자 & 논설위원
    한겨레신문 30년차 기자로 20년째 종교명상 전문기자로 활동 중.
    40여년간 참선명상을 했고, 다양한 종교수행수도와 심리·치유 프로그램 체험.
    히말라야·인도·네팔·티베트·동남아시아 성지와 수도처, 유럽·미주·남미 수도원 순례.
    저서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이 누리꾼의 인문 책 1위(2000년), ‘우린 다르게 살기로 했다’가 중앙일보, 교보문고 올해의 책(2018년)에 선정. 그 밖에 ‘울림’ ‘은둔’ ‘하늘이 감춘 땅’ ‘인도 오지기행’ ‘그리스인생학교’ 등의 저서가 있다.
    깨달음·명상·심리·공동체 관련해 서울대병원, 정신과의사모임, YMCA, 플라톤아카데미, 서울시청, 문화관광부 등에서 강연하며, 인도 순례와 티베트 순례모임, 치유모임 등을 이끌었다.
    마음은 여의주. ‘받아들여야만 하는 것은 받아들이는 평온을, 마땅히 바꿀 수 있는 것은 바꾸는 용기를!’
    조현 이메일 iuhappyday@naver.com

КОМЕНТАРІ • 373

  • @류영해-c4w
    @류영해-c4w 4 роки тому +63

    이 놀라운 강의를 병상에서 주위를 신경쓰며 몰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9

      영해선생님 그러셨군요. 병상이시군요. 어서 쾌유하셔서 건강 행복하시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썸데이-c5x
    @썸데이-c5x 2 роки тому +22

    명강의 잘 들었습니다.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한국 기독교가 해방후 3만명 신도가
    현재 1,000만명에 육박한다고 하신 말씀
    충격적입니다. 기독교의 종주국 유럽에서는 사그러진 기독교가 왜 유독 한국에서 활개를 치는 지 의문이 많습니다. 그리고 주변에 각종 종교의 폐해로 신음하는 국민들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무지몽매에서 빠져 나올수 있도록 우리가 반성하고 지혜를 모아야 할것 같습니다.

    • @이아지-w2c
      @이아지-w2c 2 роки тому +4

      천당가고 지옥가는 교리는
      더이상 설 자리없네요.

  • @에버그린-g3o
    @에버그린-g3o 2 роки тому +28

    한국의 종교사를 이렇게 훌륭히 요약해 주시니 너무 감사합니다.

  • @TV-lh6tn
    @TV-lh6tn 4 роки тому +80

    한국 종교는 전형적인 기복신앙입니다. 종교가 이런 심리를 악용하여 바벨탑을 열심히 쌓았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1

      어느나라보다 욕망과 기복에 충실한 측면이 강하지요.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 @산천대축최
      @산천대축최 4 роки тому +3

      구약성경 옵기편을 보면 역시 기복신앙이 저변에 깔려 있다고 볼수 있슴

    • @소녀의일기장
      @소녀의일기장 2 місяці тому

      저는 종교의 본질은 기복이라고 생각합니다.

  • @민주화-e5u
    @민주화-e5u 4 роки тому +72

    이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종교가 있다면 그겄은 친절이다 ㅡ법정 ㅡ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5

      민주화님 좋은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그 말은 달라이라마가 늘 하는 말이기도하지요.

    • @코보영감
      @코보영감 4 роки тому +5

      친절을 당연하게 받는거라고 착각하는자 제외요

    • @송이-l4n
      @송이-l4n 4 роки тому +2

      @@코보영감이유없는 친절이라야하지요
      친절함에 가려진독에 빠진자가 너무많다는걸
      그래서 오는날 종교가타락되었다는말도
      과언이아니라봐요
      친절은 변화면 안되거든요
      그런데 끝까지 친절을배풀수있을까요?
      인간은 스스로 변화할려고
      노력해야해요
      누구의의해서가 아니라
      양심이올바른사람은 반사적으로 친절하게되지요
      친절은 곧 마음을드러내는것이라고
      생각해요

  • @정현덕-y5d
    @정현덕-y5d 4 роки тому +77

    우리는 불교이전에 홍익인간과 하늘과 땅과 인간이 하나라는 하느님사상이 근본 뿌리를 두고 있었기 때문에 어떤 종교도 본래사상과 같은 정신을 받아드리는 것이라고 봅니다.불교인 기독교인 아니어도 하느님사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우리 학자들은 잘 모르는 것 같습니다.

  • @장현-e4x
    @장현-e4x 3 роки тому +21

    어려운 종교관을 완벽정리~정갈한 음성으로 담담히 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귀에 쏙쏙~잘 들었습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3 роки тому +2

      장현님, 부족한 강의를 이렇게 공감해주시니 황감합니다. 고맙습니다.

  • @이연숙-c5i
    @이연숙-c5i 3 роки тому +11

    다양한 각도에서 말씀해 주시니 귀에 쏙쏙 들어오고, 종교에 대한 제 거부감도 자꾸만 없어짐을 느낍니다~ 감사합니다. 요즘 덕분에 다양한 분들을 만나니 행복 합니다. ~^0^

    • @koreainsight
      @koreainsight  3 роки тому +2

      이인숙님께서 늘 함께 공부해주시니 참 보람됩니다.

  • @황금물고기-z6j
    @황금물고기-z6j Рік тому +2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눈ㆍ 귀 ㆍ 깨어나는🎇

  • @neoqma3772
    @neoqma3772 4 роки тому +29

    정말 귀한 강의를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2

      경청해주셔서 더욱 감사드려요.

  • @비금도
    @비금도 3 місяці тому +1

    다른곳에서 접할 수 없는 유익한 강의 항상 감사 드립니다. 선생님 팬입니다

  • @향-x9k
    @향-x9k 4 роки тому +39

    흥미로운 강의 감사드립니다
    항상 궁금했던 주제인데 설득력 있는 통찰덕분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책 울림을 통해 휴심정을 알게 되었어요 앞으로도 좋은 강의 부탁드립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5

      예 그렇군요. 반갑습니다.

  • @jyjp2463
    @jyjp2463 Рік тому +3

    다양하고 해박한 말씀 감사합니다.

  • @zezesoul79
    @zezesoul79 4 роки тому +12

    눈을 뜨게해주는 너무나 좋은 말씀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전형환선생님, 경청해주시고 공감해주셔서 기쁩니다.

  • @김용이-v9v
    @김용이-v9v 4 роки тому +7

    좋은말씀 귀담아 듣고갑니다
    종교는 배움과 자기성찰에서 위안을 찿아야 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렇치 않고서야 무교가 상팔자지요 종교 지도자들이 각성을 많이 해야할것으로 봅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김용이선생님, 함께 해주시고, 생각 나눠주셔서 고맙습니다.

  • @charleskim29
    @charleskim29 4 роки тому +12

    오랫동안 가지고있던 저의 궁금한 문제를 잘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김선생님, 깊게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jungnimbajjali710
    @jungnimbajjali710 3 роки тому +8

    눈과 귀가 번쩍 떠지는, 귀한 시간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3 роки тому +1

      Jungnim Bajjali님, 귀하신 시간 함께 해주시니 좋습니다.

  • @maum4893
    @maum4893 3 роки тому +4

    와우~기자님♡♡♡ 종교특징ㆍ역할ㆍ한국에서의 종교의미등에 대해 이렇게 성찰하신것들을 자신감있게 통찰해주셔서 너무너무감사합니다.
    결국 이시대에 종교ㆍ명상ㆍ성찰
    홍익인간ㆍ본래마음은 새로운 시대가 도래되어 새로운 의식으로 갈아타기위한 희망이자 변화 움직임이겠네요.
    덕분에 큰 희망을 가지고 시대의 흐름과 변화를 긍정적으로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새로운의식으로 다시 나는 새시대가
    열리는 순간이겠네요.지금이~^^/

    • @koreainsight
      @koreainsight  3 роки тому +1

      장선원님, 깊게 경청해주시고 공감해주시니 좋습니다.

  • @카일라스진명
    @카일라스진명 4 роки тому +11

    한국 종교의 특성을 잘 정리해줘서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네요. 불교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해주셔서 감사해요. 어쩌면 불교 안에서 스님으로 살다보면 객관성을 잊고 살기 쉬운데~이렇게 생각할 수 있게 해줘서요. 그런데 요즘은 절대 삼배를 강요하지 않는다는 것도 기억해주세요.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스님이시군요. 귀한시간 내서 경청하고, 의견 나눠주셔서 고맙습니다.

    • @카일라스진명
      @카일라스진명 4 роки тому +3

      @@koreainsight 제가 조현기자님을 좋아 하니까요. 늘 응원합니다. 우리 불교계의 객관적인 눈이 되어주세요. 진실한 충고 감사해요. 아주 유익한 강의였습니다.

  • @tspark1071
    @tspark1071 4 роки тому +33

    그만큼 종교와 사상의 자유가 많은 나라겠지요. 과거엔 그렇지 않은 때가 많았지만.
    그렇군요. 우리나라의 여러종교들 내면에는 다 유교적모습이 들어가있네요.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2

      그래요. 경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종숙최-m1m
    @종숙최-m1m 9 місяців тому +1

    너무 훌륭한 말씀이에요 .
    많은 현상이 이해됩니다
    유교적 위계질서가 지배되는 바탕위에 .. 내면을 돌아보지 못하는
    단점
    늘 사회자로 계셨는데. 강의 좋아요 ^^

  • @이예지-y1e
    @이예지-y1e 4 роки тому +16

    종교를 선택하는것에도 신중해야하지만 이런강의를 들을때도 담아야하는지 버려야하는지 를 가려야겠구나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2

      이연희님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TV-ci2jh
    @TV-ci2jh 3 роки тому +3

    🌱🌱🌱🇰🇷🐅🐉🦄🦚
    고맙습니다
    귀한말씀 받아 적어봅니다
    박학다식 훌륭하십니다
    🇰🇷종교를 신언서판 조현교수님
    덕분에 두루 알게 되었습니다
    새해 복많이 받으십시요
    🌱🌱🌱🐅🇰🇷🦌🦓🐂🦚🦄🐉🍀

  • @새벽창
    @새벽창 3 роки тому +8

    어떤 종교가 성하고 쇠하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입니다. 생명력이 있는 종교는 살아남을 뿐입니다. 종교와 부는 관계가 없는 데도, 불교를 믿는 동남아사아가 못산다고 설하는 기독교 목사들이 문제입니다. 못사는 대륙 아프리카와 남미는 대부분 기독교 국가입니다.
    내종교만 진리라고 생각하는 게, 특히 보수적인 기독교가 위험합니다.

  • @길경주-r6l
    @길경주-r6l 4 роки тому +14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멋있는 우리 민족 어울려 잘살아가길 기도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2

      길경주선생님, 좋은 기도 기쁩니다.

  • @momo.tv.1632
    @momo.tv.1632 4 роки тому +8

    아이쿠 우!
    휼륭하십니다.
    박사님 이시네요..
    구독!알림.!까지 Open.했읍니다.
    멋쨍이!!감사 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2

      모모님, 경청해주시고 응원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류용석-p8j
    @류용석-p8j Рік тому +2

    대단하십니다.놀라운 학식입니다.감사합니다.

  • @ywwyk
    @ywwyk 4 роки тому +16

    이제는 인터넷 정보화시대로 모든 정보가 공유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그 예전 전법시대 당시 지역 문화에 융화하여 전파된 변형된 불교를 극복하고.
    이제는 본래 가르침인 초기불교 근본불교 최상의 가르침인 세세한 가르침을 읽고 듣고 생각하여 실질적인 이익을 얻을 때가 됬다고 생각합니다.

  • @kara6027
    @kara6027 3 роки тому +8

    늦었지만 새해 복도사랑.건강.평화를빌어요.^♡^감사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3 роки тому +1

      카라님,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샤넬-z5o
    @샤넬-z5o 4 роки тому +6

    감사합니다 목소리 가 법정 스님 닭 았아서 요 감사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2

      명왕성님,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537-u1f
    @537-u1f 4 роки тому +15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더 많은 강의 들어보고 싶네요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선생님, 경청해주시고, 응원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이진-g4o
    @이진-g4o 3 роки тому +5

    고맙습니다. 가슴이 좀 시원해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3 роки тому +1

      이진님, 함께 해주셔서 기쁩니다.

  • @vincentianam1159
    @vincentianam1159 4 роки тому +8

    객관적인 시선으로 바르게 한국인의 종교심을 보여주시네요. 추천드립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남선생님 함께 해주셔서 힘이 됩니다.

  • @simplehoolee
    @simplehoolee 4 роки тому +44

    시간가는줄 모르고 들었네요. 흥미진진한 역사와 종교 이야기, 그리고 재밌는 뒷이야기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8

      잘 들어주셔서 고맙습니다.

  • @검정콩-h6p
    @검정콩-h6p 4 роки тому +8

    너무나유익한 내용이네요 감사합나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검정콩님, 잘 들어주셔서 고맙습니다.

  • @김혜숙-v3m4j
    @김혜숙-v3m4j 4 роки тому +6

    감사합니다

  • @보리-m7q
    @보리-m7q 3 роки тому +3

    오늘도 감사합니다.....
    오늘도 위로를 받고갑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3 роки тому +1

      지혜보리님,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문인숙문인숙
    @문인숙문인숙 4 роки тому +11

    한국 종교를 정확히 파악하셨네요.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문인숙선생님 경청응원해주시니 힘이 됩니다.

  • @바다-l3d-e1x
    @바다-l3d-e1x 4 роки тому +9

    종교에 대한 궁금증이 많이 해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오세양선생님, 깊게 경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혁순-j8h
    @혁순-j8h 4 роки тому +8

    세계역사종교에대해들으니 참좋았습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혁순선생님 경청해주셔서 좋네요.

    • @혁순-j8h
      @혁순-j8h 4 роки тому +1

      @@koreainsight
      종교역사에대해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유병옥-z7o
    @유병옥-z7o 3 роки тому +7

    종교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되네요~
    종교로서의 역할이 이어가길 바라지만~~~^
    영성이라는것은 누구에게나 있다는데 종교인이라면 그런분이 되어야될듯요~
    어느스님 말씀이
    말법시대라해도
    불성은 영원하다하네요
    스님들도 똑똑하고 좋은분이 참 많은데 종교적 특성 때문인지 사회와 소통부분의 발전이 있으면 더욱더 발전하겠지요

    • @koreainsight
      @koreainsight  3 роки тому +2

      유병옥님, 좋은 의견 제기해주시니 좋습니다.

  • @이운재-r2c
    @이운재-r2c 3 роки тому +16

    좋은 강의를 경청했습니다 .
    소견을 짧게 올립니다 .
    단군을 무속종교로 판단하시는것에대한 이견입니다 .
    단군은 천지신명이신 하느님의 아들 입니다 .
    유일신의 핵심을 갖이고 있습니다 .
    단군의 칭호은 그당시 세계 대부분의 민족 국가가 실행하던
    신정일치 민족 . 국가 의 최고 권위자 입니다 .
    중심가치는 홍익인간 !
    홍익인간은 지금의 고등종교들의 목표입니다 .
    따라서
    지금의 고등종교의 원형이라고 평가 되어야 마땅하다 라고 의견를 제시합니다 .

    • @koreainsight
      @koreainsight  3 роки тому +3

      이운재선생님, 홍익인간 재세이화 광명이세의 가르침은 가장 보편적이고 이상적이지요.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 @fredtengri331
      @fredtengri331 3 роки тому

      아직도 단군을 신화로 보는 저 천박한 인식은 어디서 비롯될까?

  • @essay6732
    @essay6732 3 роки тому +5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3 роки тому +1

      신정숙님, 경청해주시니 반갑습니다.

  • @김혜숙-v3m4j
    @김혜숙-v3m4j 4 роки тому +6

    많은것을깨우침~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김혜숙 선생님 함께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이정의-v6v
    @이정의-v6v 4 роки тому +10

    어떻게 되여서 그렇게 잘아십니까?한번 뵙고 싶은데 코로나 때문에 아숩네요~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이정의님 함께 해주셔서 감사해요.

  • @이인숙-s5o
    @이인숙-s5o 4 роки тому +26

    불교 기독교 신자들 절이나 교회가서 기도하는 소리 잘들어 보면? 다들 빌고 있다, 내아들 취직 잘되게 해주시고 공부 잘하게 해주시고 건강하게 해주시고 , 복달라 복달라 빌고있는거~ 심지어 십일조 내면 복받는다고 한다. 예수님이 새계명을 주셨는데 내이웃을 내몸과 같이 사랑하라 하셨다. 교인들은 "이웃사랑" 관심 없다, 행동은 무교나 같음, 비나이다 비나이다, 새벽예배든 각종 예배가서 복달라 빌고 빌고 또 빌고~ 불교도 마찬가지~ 인격수양 관심 없음~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3

      인간의 약한 심리가 초월적 존재에게 의지하게되지만, 갈구하기보다는 사랑하는 종교인으로 성장해간다면 좋겠지요.

    • @dskt7f9s
      @dskt7f9s 4 роки тому +3

      우리 원래 하나이기에 이타적인 마음을 가져야 덕을 쌓을수 있습니다.

    • @이수용-z8g
      @이수용-z8g 4 роки тому +6

      이 세상이 끝나기전까지는 저급한 이기적 기복신앙이 주류를 이룰 것 같습니다.
      일단 목사들이 성경의 본질을 모르는 것 같습니다.

    • @user-vi5ob1hx8e
      @user-vi5ob1hx8e 4 роки тому +2

      울나라 종교특징은 모두 기복신앙이죠
      진정 종교라하기엔 애매할때도 많죠

  • @뉴인소프트와이드펜
    @뉴인소프트와이드펜 2 роки тому +4

    동학혁명은 진행중이고 독립운동도 진행중이지요~
    식민지 지배에 이어 분단까지~
    해원하는 날이 한반도 평화통일로~세계평화로~
    이념,종교도 다 잘살기 위한것인데
    이제는 인간중심의 사회로 가야~~
    시천주~사인여천~인내천
    사상만이 전쟁반대와 환경보호를 할수 있습니다!!!
    돈과 이념,신을 벗어납시다

  • @katiajeong3557
    @katiajeong3557 3 роки тому +8

    왜 '휴심정'이라고 하셨는지 궁금했는데 오늘 알게 되었습니다
    쉽지 않은 내용의 강의라서(게다가 너무 달려가시는 듯 말씀하셔서..) 인내심을 가지고 두 번이나 들었습니다
    ㅎㅎㅎ
    요즘 종교인과 참 신앙인의 삶에 대해서 많이 생각하고 있던 터라서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 종교에 관해 객관적으로 말씀해 주셔서
    기자라는 직업에 성실하신 분임을 다시 보게 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3 роки тому +1

      정선생님, 인내심이 필요하심에도 두번이나 들어주시다니, 도움이 되셨다니 감동입니다.

  • @수현권-k8v
    @수현권-k8v Рік тому +2

    선생님 유불선 통틀어 대변해 주시니 대한민국 선구자 지도자 법문 말씀 법어 법 계 감사찬양 덕분송 유유자적 원융무애 수희찬탄 드리옵니다 대국민 배상

  • @메따와싸띠
    @메따와싸띠 3 роки тому +2

    감사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3 роки тому +1

      메따와싸띠님, 오늘도 감사합니다.

  • @김수정-k9r4i
    @김수정-k9r4i 4 роки тому +21

    종교 강의인데도 인문학 같아요
    배워 갑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김순예선생님 경청해주셔서 감사해요.

  • @김용도-i9h
    @김용도-i9h 4 роки тому +4

    종교의 업데이트, 보다 좋은 것을 받아들이는데 예민한 사람들! 이것은 자연의 이치를 따르기 때문이다. 억지부리지 않고 순리를 추구하는 민족이 승리한다. 참 사람으로 나타난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김용도선생님, 의견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dskt7f9s
    @dskt7f9s 4 роки тому +84

    목사되기 전에 인성 검사 받아야 되게 하라!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3

      의견주셔서 고맙습니다.

    • @정순홍-x2p
      @정순홍-x2p 4 роки тому +3

      신학대학원 나와서 그냥 목사하던데요 ㅋ ㅋ ㅋ

    • @rosayoo9687
      @rosayoo9687 4 роки тому +2

      목사 뿐은 아니고 가톨릭과 불교도..

    • @dskt7f9s
      @dskt7f9s 4 роки тому +18

      @@rosayoo9687 목사는 거의 다 가정을 갖고 있어 신부나 스님에 비해 돈이 많이 필요한 구조라서 성직자가 될수없고 직업일수 밖에 없어요. 아주 잘못된 구조인데도 자정 능력 또한 없어요.

    • @신현주-n3q
      @신현주-n3q 4 роки тому +3

      그것도 통과할걸요

  • @최선호-e4b
    @최선호-e4b 4 роки тому +9

    마음이 급하신 듯 말씀이 달리는 거 같습니다^^. 많은 공부와 여행, 명상이 녹아 있네요
    자비종자 운운하셨던 청화큰스님의 법문을 따라 채식을 고집하는데 '악한 채식가'라니 의외?입니다
    *자현스님의 붓다로드 등의 강의에서 '승병'은 실지로는 스님보다는 절에서 일하는 사람들(정인?)이었다고 하니 진위여부가 궁금합니다
    ( 차별나는 기자님의 친절한 댓글답변들도 반갑구 따뜻해요♡)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2

      최선호선생님 반갑습니다. 저도 채식주의자는 아니지만 채식위주로 합니다. 독선을 경계하는것이지 채식이 훨씬 생태적, 공존적 믾은 측면에서 좋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종숙최-m1m
    @종숙최-m1m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새벽기도 13 년 성실하고 진심이었는데 . 지금은. 자유하고. 또
    스스로 벗어 났습나다

  • @카일라스진명
    @카일라스진명 4 роки тому +15

    조기자님 강연 잘 들었습니다. 제가 조연현 기자님 글을 좋아하고 하지만 '법납이 깡패다' '야쿠자 세계다' 하는 말은 동의 하기가 어렵네요. 극적인 표현을 하다 보니 좀 강했다고 생각이 되지만 그 표현은 좀 부적절 한것 같습니다. 불특정 다수가 듣는 자리에 종교전문 조기자님 한마디 한마디는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는 좀 더 적절한 표현을 찾아주세요. 정중하게 부탁합니다. 술한잔 하고 나누는 뒷방 담화가 아니니까요.🙏🙏🙏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3

      예 잘 알겠습니다. 긴 강의인데 들어주시고,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 @카일라스진명
      @카일라스진명 4 роки тому +6

      @@koreainsight 때론 그 현실을 좀 더 적절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강한 비유를 들기도 해요. 제가 조기자님 말씀을 전적으로 부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 기자님의 그 자리는 가볍지 않다는 것입니다. ㅎㅎㅎ
      코로나 잘 피하시고 건강 잘 지키세요. 그리고 좋은 날 편안하게 한번 봐요.
      🙏🙏🙏

    • @travel6835
      @travel6835 4 роки тому +9

      아무리 심각한 강의라도 일단 재미가 있어야 합니다. 소리에서 취임새 같은거죠.
      웃고 지나가면 좋을것 같습니다.

  • @별이-c4r
    @별이-c4r 4 роки тому +57

    사이비교주가 많은 나라이기도하죠~~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2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 @권오석-g2g
      @권오석-g2g 4 роки тому +6

      많아도 너무많아서 걱정입니다

  • @hy9908
    @hy9908 4 роки тому +9

    오~~~써머리 짱입니다요
    감사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지혜선선생님 경청 응원 고마워요. ^-^

  • @정근오-q9v
    @정근오-q9v 4 роки тому +4

    코로나 상황에서 어떤 종교가 공동체 책임을 가지고 있는지 확실해 지고 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정근오선생님,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matthewmoon4679
    @matthewmoon4679 4 роки тому +8

    우리나라 사람의 성격이 나오는거죠, '도' 아니면 '모'
    성격이 급해서 이게 아니라 싶으면 바로 바꾸는거죠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2

      의견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연꽃-r4u
    @연꽃-r4u 4 роки тому +20

    신을 가지고 돈에 눈이 멀어 정확하게 사업을 하고 맞다.
    종교~ 하나가 열개 불어난다. 아니 ~ 수 만개 불어난다. 말도 안돼게 조직을 만들고 파을 만들고 사람들을 끝없이 새뇌 교육을 시킨다.
    너는 2천만원 가져와라~ 너는 7천만원 가져와야만 신 께서 널 알아보신다.
    왜~들 그렇게 살아요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5

      그러게말입니다. 그런 종교엔 현혹되지않아야겠지요.

    • @송이-l4n
      @송이-l4n 4 роки тому +3

      말이 목사지 박수무당들 깃발꼽아놓고하는거나 뭐 다를게있습니까
      예수팔이 지금도여기저기
      바벨탑 지키느라 속내마음은 무엇일까
      정말죽어가는영혼을살리려는걸까
      하나님과 나 지금관계가 어떠한지 먼저생각하고
      잘못살아왔다면 회개하고
      다시는 하나님 마음을 아프게하지않아야되겠지요 지금 내가하는행위가 하나님에 영광을가리는거라면 멈춰야한다고 생각해요

  • @나비스타일
    @나비스타일 4 роки тому +3

    내가 아는 어느 이와 말투가 비슷ᆢ해서 더 친근감 들어요
    공감 되는 이야깁니다
    고맙습니다
    종교에 50년 있다가 나왔답니다
    젤 잘한듯
    진리를 가까이 하게된 계기 입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나비님 경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yamorange6379
    @yamorange6379 3 роки тому +2

    정말 잘 들었습니다. *^^*

    • @koreainsight
      @koreainsight  3 роки тому +1

      orange yam님, 경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tenorparkhyun
    @tenorparkhyun 4 роки тому +11

    한 번에 쏙쏙 들어 오는 집중 강의이라고 생각합니다. 체계적이라서 정리가 잘딉니다. 감사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2

      박현선생님 경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임희빈-q6p
    @임희빈-q6p 4 роки тому +11

    불교도 잘되고 천주교도 잘되고 개신교도 잘되고....
    종교적아이큐를 타고난민족.....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임희빈선생님 정리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보봐르남
    @보봐르남 4 роки тому +16

    바로 한국인들의 집중력, 맹렬한 집착력이 대단하긴 합니다. 자녀들 공부를 가르쳐도 유별나게 요란스럽죠.
    그러다 보니 사이비도 성합니다. 저의 고향 뒷산이 일월산이 가까운데 일제시대 이전부터 수많은 사이비종교 사찰과 무당집 등이 골골마다 무수히 많었다고 합니다.
    산이 많은 한반도에서는 당연한 일이 아닌가 합니다. 살고 있는 자연상황이 산이 많고 평야가 적어 신에 기대고 운명과 한을 품었던 탓에 종교가 성했지 싶습니다.
    한국인은 기본적으로 악랄한 지배계급이 다수의 피지배계급을 착취해왔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약자들은 말 한마디 제대로 못했던 무지랭이 문맹이 95% 이상이었으니 얼마나 한이 많았겠습니까?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 @arajoaina
    @arajoaina 4 роки тому +8

    미국에서 도서관에 가서 종교 관련 서적들을 찾아보면; 압도적으로 많이 한국사림 들이 쓴 책들이 많더군요.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3

      그래요. 의견주셔서 고맙습니다.

    • @arajoaina
      @arajoaina 4 роки тому

      @@jac256 오로지 한국 사람들만 나이 계산법이 다른 나라 사람들보다 1 살씩 많은 것도 우연이 아니라 한국 사람들이 타 민족의 형님 빨리기 때문일 겁니다.

  • @ggfifa78
    @ggfifa78 2 роки тому +1

    우리나라는 종교의 자유가 있어 좋습니다. 그리고 종교로부터의 자유가 있을수 있다면 더 ㅇ지 않을까라는 이야기가 저는 어느정도 공감이 되었습니다. 왜냐면 사람은 누구나 종교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려면 우리나라를 주식회사처럼 운영하는 시스템으로 만들어서 국민이면 누구나 주주인 권리로 배당금을 받을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그만큼 국민이 성장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원하든 원치않든 일인당 국민소득이 3만불의 환경이 되었습니다.
    베네수엘라처럼 자원 강국이 아니라 다양한 산업으로 수출을 하여 원화가치를 보장받고 있는 국가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폐유동율이 oecd 국가 수준의 평균에도 못미치는 10%미만이므로 돈이 돌아야 민생이 살아난다고 합니다.
    우리는 현재 3인 가족이므로 이상적으로는 9만불이 되어야 하지만 보통 70%정도만 되어도 괜찮다고 하므로 6.3만불이 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므로 저희도 주식회사 우리나라의 주주자격으로 국민배당금을 받아야 하는 권리가 있다고 합니다.
    최근 자료는 아니고 몇년전 자료이던데 우리나라 가계 평균 소득이 5800만원 정도입니다.
    부부 2사람만의 일인당 국민소득의 합인 6만불정도의 수준밖에 되지않으므로 가정에 여유가 없는것이 실감이 되었고 우리가 국민배당금을 못받고 있다는 것이 이해가 되었습니다. ㅜ ㅜ.
    #그런데 코로나 시대가 왔습니다. 인류가 대자연의 자원을 활용할때 탄성한계치 내에서 한다면. 다양성이 회복될수 있다면. 지속성이 보장 된다는 것이 코로나 시대의 메세지가 아닐까요?
    전달사항이라 용어나 뉘앙스는 정확하지 않을수 있습니다.

  • @김삿갓-b8f
    @김삿갓-b8f 4 роки тому +11

    970 여회 이상 외세의 침략을 받은 민족이다 생존을 위해 필요하거나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면 가릴 것이
    없는게 아닌가 ... 이렇게 수천 년을 살아왔다 쉬운 말로 인이 박인 것이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김삿갓님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 @sjs4729
      @sjs4729 3 роки тому

      먹고 살기 힘든 시절ー 어린나이에 외국으로 돈 벌러 나가신 분들ー 말씀
      한국에서 오는 전화?!
      돈 없어!! 몸 아퍼!!
      그리고 ㅈㅏ리 잡으면 동생들 공부시키러 보내!
      외국인 남편 왈ー 이상한 민족이라고

  • @박준영-w1p
    @박준영-w1p 4 роки тому +13

    종교가 허구임을 모든사람들이 깨달아야하는데 그럴려면 자기자신이 종교보다 위대한 존재임을 알아야하는데 인간종 자체가 미개하니 참 어려운일이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2

      의견 나눠주셔서 고맙습니다.

    • @gtm2731
      @gtm2731 4 роки тому +1

      허구라고 믿으면, 허구겠죠! 사람들의허망한 욕구가 그렇게만들었죠!,, 순수하고 진실한자들도 많답니다,일부만보고 판단하지 않으시길,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gtm2731 GTM님 생각 나눠주셔서 고맙습니다.

  • @soyeon208
    @soyeon208 3 роки тому +1

    우와~!
    선생님 존경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3 роки тому +1

      소이연님,반겨주시니 좋습니다.

  • @makeme2059
    @makeme2059 4 роки тому +53

    교회가 무너져야 개신교가 사는겁니다. 우리나라는 개신교회가 너무 많고 개신교 목사가 너무 많고 개신교대학이 너무 많습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3

      예 진정한 예수님의 교회가 되기위한 실천이 필요하겠지요.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 @김민종-i3k
      @김민종-i3k 4 роки тому

      ㅋㅋ 사업

    • @권오석-g2g
      @권오석-g2g 4 роки тому

      기업화 된것같아요

    • @지우맘지우맘-x9s
      @지우맘지우맘-x9s 4 роки тому +2

      종교가 없는것보다 있는것이 훨~국가나 개인에게 유익하다고 생각합니다.

    • @김준석-w9f
      @김준석-w9f 4 роки тому +3

      숫자가 많은것도 문제지만 질이 순엉터리라는 것이 더 문제

  • @몽생미셸
    @몽생미셸 4 роки тому +7

    선생님, 말씀 좀 천천히 해 주시면 참 좋겠습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3

      선생님, 그러게요. 제가 글쟁이라 강연을 별로 안해봐 4,5년전 그 강의를 너무 빠르게 성급하게 했는데, 그런 이야기를 많이 들어 그 이후엔 좀 천천히 하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정순홍-x2p
    @정순홍-x2p 4 роки тому +25

    거대한 교회건물을 볼때마다 종교사업가들 참 수단도 좋구나싶다,
    그걸 알면서도 목사에게 돈 갖다 바치는 사람들을 보면 참 한심하더이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4

      거대한 건물이 종교의 본질이 아닌건 분명하지요.

    • @이로사-x6y
      @이로사-x6y 4 роки тому +2

      불교도 마찬가지지요. 전국적으로 새로 확장해서 새건물 짖지 않은 절을 찾을 수 없지요.
      모든 종교도 돈이 많고 권력이 중되면 부패합니다.
      부패하면 일반인들은 더 이상 그 종교를 신뢰하지 않구요.

  • @종숙최-m1m
    @종숙최-m1m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사회 생활 모임이 하나로 여기며 적당히 필요한것 구하며 다니는 사람도 있어서. 의외임
    ㅋㅋ 저는 온마음 다해. 진지한편인데 남편은 전혀 아니라서 당황했던. 이런 남편은 소위 시험들 일이 없는 장점이 있더라구요 .
    전 이제 불신의 상태라 교회 생활이 너무 괴로운데. 가족들이 멀쩡히 다녀서
    일단 다니고만 있어요 . 작은 시골이라
    훌쩍 나오기가 어렵습니다

  • @더로즈-s1t
    @더로즈-s1t 4 роки тому +27

    돈이 종교이자 철학인 나라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2

      그런 종교기관시설도 적지않으니, 틀린 말도 아닙니다. 그렇지않고 헌신하는분들도 있지요.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승섭-x8q
    @이승섭-x8q 4 роки тому +5

    새벽기도는 한국인의 특수성이죠 이스라엘은 교회가 거의가 국가 문화재더군요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그렇군요.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 @soyeon208
    @soyeon208 3 роки тому +1

    1년전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

    • @koreainsight
      @koreainsight  3 роки тому +1

      소이연님,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kvtv-vlog
    @kvtv-vlog 4 роки тому +10

    종교라기보단 그냥 기복문화라고 봐야지 않을까요..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선생님, 생각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ilililiililiil3006
    @ilililiililiil3006 4 роки тому +5

    한국 종교는 기독교나 불교나 뭐나 무속신앙, 배금주의가 깔려있다고 생각해요. 사실 민족성 자체가 세속적인 면이 강하고 뭔가 형이상학적 신앙심과는 거리가 먼 것 같습니다. 한국같이 한 가족 안에서도 서로 다른 종교 믿을 수 있고, '기불릭'이라는 독특한 종교관이 있는 나라가 또 있을까요ㅎ

  • @jung8671
    @jung8671 4 роки тому +17

    종교의 변화 주류 종교가 수시로 변하고 있다.. 단군사상- 불교- 유교- 기독교- 개신교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2

      경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s호로리얍
      @s호로리얍 4 роки тому +1

      @@koreainsight 기독교랑 개신교가 다른가요?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s호로리얍 기독교는 가톨릭과 개신교를 포괄하고, 개신교는 루터 이후 신교를 말합니다.

    • @s호로리얍
      @s호로리얍 4 роки тому +2

      @@koreainsight 그렇군요~
      코로나시대에 개신교 예배로인해 전파가 많이 되다보니 기독교를 개탄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데 기독교의 범주에 카톨릭이 포함된다면 방역수칙 잘 지키는 천주교측에선 좀 억울한 면도 있을 수 있겠네요~

  • @dongkr8483
    @dongkr8483 4 роки тому +7

    신채호 선생의 망국노를 가두는 "지옥"에는 12가지가 있다고 했답니다.

  • @sklee7071
    @sklee7071 3 роки тому +2

    가장 변화가 심한 기후를 가졌으면서도 아름다운 자연을 가진 우리땅에 어떤 사상이 들어오면 모든 사상이 정착할 수 밖에 없음. 종교보다 우선인 민족국가라는 개념이 서양에서는 19세기에 생겼는 데 우리나라는 신라통일후 이미 생기기 시작해 고려 때는 많이 생기고 조선 때는 확실히 정착한 거죠. 서양종교와는 달리 동양종교는 초기부터 가족과 이웃이 중요하지 않나요?

  • @fhtghffrgg
    @fhtghffrgg 4 роки тому +10

    우리 농경문화와 외래종교의
    만남이 아닐까 제 의견입니다.
    새벽기도.
    선생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五山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함께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doohwanchang1030
    @doohwanchang1030 4 роки тому +5

    지금도 훌륭한 목회자 민족의 지도자 목사들이 많이 있음이 다행입니다
    나라를 구하는 종교가 되고 민족을 구하는 종교가 되어야ㅡ합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선생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안단테-z9l
    @안단테-z9l 4 роки тому +7

    겐지스템플근교에서 행해지는 것을 직접보면 인간의 무지가 극에달한것을 보게됩니다
    교수님은 순수한종교생활로 보시는군요ㆍ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저는 교수는 아니고, 기자입니다. 경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joooy-s8w
    @joooy-s8w 3 роки тому +4

    이슬람교인들 시간 맞춰 하루3번 기도하는것도 상상을 초월하는거 아닌가

    • @koreainsight
      @koreainsight  3 роки тому +1

      주야님,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손석주-x1d
    @손석주-x1d 4 роки тому +5

    이유야어떻든 지금사회적으로 가장심각한 병폐는기독교가아닌가싶습니다,,,,!
    대형교회 목사님들 정치할려고하지말고 세상속으로돌아오시길바랍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차석주선생님,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 @앙징-k8s
    @앙징-k8s 4 роки тому +8

    종교가 없어야 평화가 온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배원석선생님,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유탱크-i3z
    @유탱크-i3z 4 роки тому +10

    혜민스님 사건이 일어난 연유를 조금이나마 알겠습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 @sjs4729
      @sjs4729 3 роки тому

      난 그새끼ㅡ 처음부터 주접이라 생각했음ー
      외국물 먹고 좋은 학벌이면 먹히는 한국사회가 재미 있음!!

    • @sjs4729
      @sjs4729 3 роки тому

      불법 비자가 잘 만들고 외국에서 발악하는 민족이?!
      중국,한국,필리핀이다!! 본질을 봐라

    • @sjs4729
      @sjs4729 3 роки тому

      한국에서 왜 서양애들 혀 꼬라지는 소리에 환장하는지ー 그지같은 나라
      그것 보다 수준 높은게 한자이다!!!
      정체성이 약하니깐

    • @sjs4729
      @sjs4729 3 роки тому

      그러니
      한국인거 챙피하다고 말하지 않는
      인간들 많이 봤디ㅡ

  • @소크라칸-x3t
    @소크라칸-x3t 4 роки тому +17

    교육도 생각도 다.....
    세뇌당하며 사는 불쌍한 사람들임...ㅠ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5

      종교가 사람을 세뇌시키는 큰구실을 하지요. 의견주셔서 감사해요.

  • @강한민국-h3n
    @강한민국-h3n 4 роки тому +8

    김형석교수님께서 종교가 있는 나라일수록 못산다더라 시대에따라 종교가 바꼈거늘 언제적부터 우리나라에서 기독교가 세를 키웠는지ㅠㅠ 이젠 바뀔때가 되었다 호주여행중 알게된건데 천주교가 상징적으로 성당이라는 건물만 남았을뿐 주일을 꼭 지키지는 않더라 가정을 더 소중히여기지 우리나라는 기독교가 정치와 결탁해 너무 타락한듯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김은영선생님, 생각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김정은-u9v7u
    @김정은-u9v7u 4 роки тому +8

    한국인의 특성
    1. 쉽게 한쪽으로 쏠리는 경향이 많다.

    2. 남에 일에 간섭과 관심이 너무 많다.
    3. 감정적으로 감성적으로 쉽게 끌어오르고
    쉽게 잊어버린다.
    4. 남을 속이고 거짓말 잘하고 우기고
    남을 이용하고 피해주는 것을 너무 쉽게
    생각한다.
    5. 순발력, 스피드, 모방력은 매우 뛰어남
    6. 부자나 권력자에게는 너무 비굴하고
    아첨 잘하고 줄대기 좋아하고 약자에게는
    오만하고 불손하다.
    7. 내로남불 특성이 있다.
    < 내가하면 옳은 것이고 남이하면 비난함>
    8. 직장 생활을 해보니 일은 동료에게 미루고
    혜택이나 복지는 내가 차지한다.
    9. 공적인 일과 사적인 일에 구분을 못함
    10. 아직도 부정부패가 심하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김정은선생님,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 @박경자-v2o
    @박경자-v2o 4 роки тому +5

    요즘보면 종교인들이 제일문제입니다 사회 모범이되어야하는데
    이웃과 사회에 피해를 주는거같아서 종교인의 한사람으로써 참! 부꾸럽습니다
    이시대는 종교인만있지
    신앙인은 몆이나있을지..ㅠㅠ
    저는 천주교신자지만
    참 신앙의길이 어떤길인지...강의를 통해 많은것을 생각해봅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박경자선생님 고견주셔서 고맙습니다.

  • @이백순-e8q
    @이백순-e8q 4 роки тому +7

    기업으로 보면되지요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2

      상당수의 종교인들은 종교를 부와 명예, 이기적 수단으로 이용하는것도 현실이지요.

  • @travel6835
    @travel6835 4 роки тому +1

    우리나라 종교에 대해서 여려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말씀입니다.
    저는 우리나라 종교의 특성을 한마디로 말한다면, 믿음이란? 목적이 아니고 살아가기 위한 수단 이라고 봅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서 적절한 종교를 선택 하는 것입니다.
    이성계의 숭유억불 정책도 하나의 통치수단 입니다.
    유교의 이념중에 하나가 "효" 아닙니까. "효" 하자는데 깐죽대는 놈은 그자리에서 패댕이처도 명분이 합당해 보이지요.
    이걸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만약에 통일교회가 경제적으로 세계를 제패해서 온국민이 일을 안해도 등따시고 배부른 시대가 온다면, 우리나라 종교는 통일교가 제일 막강할 것입니다.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공감해주시고, 의견 주셔서 고맙습니다.

  • @김성우-v5j
    @김성우-v5j 4 роки тому +6

    사람들의 외로움 이용 어쩔수 없이 고난에 빠진 사람들을 정신적 육체적 물질적 다 뽑아 먹고 먹히고
    모태 신앙은 아기 때부터 아멘 하나님 성경 암송하면서 예수님만 부르짓으면 어떤 악행도 다 통과
    정인이 살인마 보면 그 집안 목사 부부가 신도들을 어떻게 이용하고 자신들의 필요 도구로 삼았는지 답이 있습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하나님 장사는 오늘도 잘됩니다 기도 아멘 찾으면 예수 하나님이 돈도 승진도 행복도 다 준다고 하고 주서소 주서서 종교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2

      생각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JU-uu5wr
    @JU-uu5wr 4 роки тому +5

    지성이 온전치 못한 사람들이 종교화된다. 종교는 공포의 산물이니...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1

      김선생님, 일반인들이 해내지못하는 헌신과 실천을 종교인들이 보여주기도하지요. 그러나 지성을 결한 맹신은 위험할수있고, 선생님 말씀처럼 공포와 두려움을 줘서 자신의 야욕을 채우는 종교인들도 적지않은게 현실입니다.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 @rosayoo9687
    @rosayoo9687 4 роки тому +8

    권위와 미신적 그리고 기복적...

    • @koreainsight
      @koreainsight  4 роки тому

      그런 측면이 다분하지요.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 @YJYSYHY
    @YJYSYHY 3 роки тому +2

    절에서 3배 하는 경우는 아주 드물어요 . 큰스님에게나 할까말까...
    큰스님 어른스님은 늘 바쁘셔서 만나기 힘들어요

    • @koreainsight
      @koreainsight  3 роки тому +2

      근자들어 많이 달라지고있지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