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브롤터가 막히면 지중해는 어떻게 될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1 тра 2024
  • 아프리카와 유럽 두 대륙이 바짝 붙어 있는
    지브롤터 해협이 막혀 버리면 지중해에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그런데 알고 보니 이 해협을 정말 막으려는 계획이 있었습니다.
    독일의 건축가 헤르만 죄르겔(Herman Sörgel) 같은 사람입니다.
    그는 지브롤터와 시칠리아를 댐으로 막아 신대륙을 만든다는
    어마어마한 계획을 세웠습니다. 아틀란트로파(Atlantropa) 프로젝트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실제로 이런 일이 벌어진 적이 있으니
    아주 까마득한 옛날의 ‘메시나절 염분 위기’입니다.
    지브롤터가 막히면 지중해가 어떻게 될지는 이 옛날 일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2권이 출간되었습니다.
    1권은 '2023년 세종도서 우수교양부문'에 선정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도서 구매 링크
    2권 bit.ly/44RuVmt
    1권 bit.ly/3tnybpW
    #지브롤터해협 #지브롤터가막히면 #지중해위기

КОМЕНТАРІ • 330

  • @dethhend
    @dethhend 29 днів тому +125

    저와 똑같은 점 하나가 있었군요. 저도 사회과부도를 매일 열심히 보고 친구와 놀다가도 보고 점심시간에 밥먹으면서도 펴놓고 봐서 담임선생님이 도대체 거기에 뭐가 있길래 매일 밥먹으면서 보냐고 좀 황당해하시고 웃으며 물어본 적이 있었죠. 외롭지 않네요 이런거 비슷한 분이 있다는걸 알게되서요.

    • @nnaomi0504
      @nnaomi0504 17 днів тому +5

      저도 사회과부도 보면서 도시구조 파악하고 인위적인 국경 강이랑 산맥에 맞춰서 다시 긋고 그랬는데 반갑네요 😂

    • @dethhend
      @dethhend 16 днів тому

      @@nnaomi0504 외롭지 않네요 ㅠㅠ ㅎㅎ 사회과 부도 카페 있으면 가입해서 회원분들과 학창시절 얘기하고 싶네요 ㅎㅎㅎ

    • @user-dn3rg6zq7b
      @user-dn3rg6zq7b 13 днів тому +1

      몇살이신지는 모겠지만 대단하시네요. .
      식사 하시면서도 공부하시다니. .

  • @user-qf1le7kt3p
    @user-qf1le7kt3p 29 днів тому +128

    좋아보이는 계획도 눈에 보이는 것만이 아닌 여러가지 요인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교훈을 얻었습니다

    • @user-eo5kp3tj1q
      @user-eo5kp3tj1q 29 днів тому +5

      지금 나오는 의료개혁(계획)??

    • @user-we2jf6nl5g
      @user-we2jf6nl5g 28 днів тому

      @@user-eo5kp3tj1q 찢의 대장동 사업?

  • @user-xu4vy3mm5m
    @user-xu4vy3mm5m 29 днів тому +119

    만약 아틀란 프로파계획이 실행되었다면 지중해에서 공급되는 강수량도 더욱 줄어들었을테고 분지지형 + 건조지역의 특성으로 인해 중동을 뛰어넘는 불지옥이 펼져졌을 것 같습니다.
    현재 지중해 연안지역들이 아예 사막인 아라비아 반도나 사하라 사막에 비해서 기온이나 강수량면에서 인간 활동에 월등히 뛰어났던 이유가 지중해였던만큼, 지중해가 없어졌다면 오히려 사람이 살 만한 면적이 엄청나게 줄어들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zihionkang1245
    @zihionkang1245 29 днів тому +21

    살면서 단 한 번도 품어 본 적 없는 지브롤터에 대한 의문과 답이 이렇게 어마어마하게 지구와 인류에 영향을 끼치는 일이었다니...
    내용적으로 무식에서 벗어나게 해주시어 감사드리고요, 세계와 인생을 바라보는 시각에 있어서도 적잖은 쇼크를 안겨주셔서 고맙습니다.

  • @user-gz8lh1rg8p
    @user-gz8lh1rg8p 29 днів тому +160

    사회과부도 최고❤
    아무도안보고 버릴때 저만 몇회독하고ㅋㅋ

    • @kdyu178
      @kdyu178 29 днів тому +34

      저랑 비슷한 취미이신듯, 저도 어릴때부터 화장실 갈때 많이 읽은 책이고, 중학교 고등학교꺼 아직도 안버리고 있습니다. 표지가 너덜너덜.
      요즘 뭐 유발하라리, 제러드 다이아몬드니 ...빅히스토리 책 찾아보는데
      지리부도 만큼 빅히스토리가 없죠. 학생들 보는 책은 시험볼 때 보는 책이라는 고정관념 때문에 학교 졸업 하면 거들떠 보지 않는 것 같은데
      거기에 보면 지도 뿐 아니라 전 세계 역사,식생, 지질, 문화, 종교, 민족,인종, 산업, 경제, 기후에 관한 검증된 자료들이 빼곡히 있어서 빅히스토리의 총집합임.
      사피엔스니 총균쇠니 볼것도 없음. 사람들이 근본을 안 보고 자꾸 유행만 따라가려고 함

    • @Bora_san
      @Bora_san 29 днів тому +1

      윾붕아...

    • @allalongthewatchtower
      @allalongthewatchtower 29 днів тому +10

      ⁠​⁠​⁠​⁠@@kdyu178그 지리부도에 나온 지식에서 더 깊게 들어가는게 님이 그렇게 말한 책들인데 많이 읽히고 유명한건 이유가 있음. 볼 것도 없다고 말하는 태도는 오만하고 선민의식에 가득찬 태도인듯. 그런 책들에서 배울 수 있는게 얼마나 많은데. 심화 지식을 받아들이는 능력이 없거나 태도문제임.

    • @namjincho9576
      @namjincho9576 29 днів тому +7

      사회과부도 ...별책부록 맨뒷장에...농산물이며...자원까지 거기서 최고는 미국이야 모든게 1등이야

    • @kdyu178
      @kdyu178 29 днів тому +4

      @@allalongthewatchtower 이해한 것 같은 느낌만 드는 독서가 그 책의 지식을 얼마나 흡수 할 수 있을 것 같나요? 대부분 모래알처럼 흩어집니다. 이건 뭐 선민의식도 뭣도 아닌 그냥 사실일뿐입니다.
      기초의 중요함을 강조하느라 사용힌 표현상의 문제이지, 설마 그 책을 정말로 읽을 필요없다고 한 게 아니죠.

  • @whales7636
    @whales7636 29 днів тому +75

    선생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 @None-ep5gq
    @None-ep5gq 29 днів тому +19

    내용이 너무 좋습니다.
    마지막엔 뭔가 먹먹한 느낌이 드는군요...^^

  • @erickyee4198
    @erickyee4198 28 днів тому +10

    무언가 알아가는 과정이 이토록 즐겁고 행복할 줄은 미처 몰랐습니다.
    참 재미있습니다. 😊
    오래오래 영상 제작 해 주시기 바랍니다.

  • @Master_Seo
    @Master_Seo 29 днів тому +36

    참으로 흥미로운 이야기 잘 듣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anaheim1064
    @anaheim1064 29 днів тому +9

    감사합니다
    항상 이시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 @user-di2jn3ct9r
    @user-di2jn3ct9r 29 днів тому +12

    항상 응원합니다!

  • @user-wj9ln7ny2d
    @user-wj9ln7ny2d 29 днів тому +13

    진짜 신기하네요! 영상 잘봤습니다

  • @user-kk7kx3xl8r
    @user-kk7kx3xl8r 29 днів тому +6

    감사합니다 영상 항상 잘보고있네요~좀만 도 자주는 욕심이겟죠?

  • @user-se6zx3yk1h
    @user-se6zx3yk1h 29 днів тому +18

    이런 내용 너무 좋아요

    • @user-co5up7dk6r
      @user-co5up7dk6r 29 днів тому

      ​@EuridiceKlohegd야 니꺼 재미읍다 꺼지라

  • @user-yk3tg1fp9j
    @user-yk3tg1fp9j 29 днів тому +9

    저도 "사회과부도" 가 젤 좋았었습니다~^^

  • @MrSilverseal
    @MrSilverseal 29 днів тому +34

    교수님의 자료는 너무나 좋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합니다.

    • @namjincho9576
      @namjincho9576 29 днів тому +2

      교수 리미 흔해빠진게 교수야 장난해

    • @ongs5526
      @ongs5526 22 дні тому

      교수ㅋㅋㅋㅋ 님아~ 이거 tts 보이스에요 ㅋㅋㅋㅋㅋ 유튜브에 히상병 쳐보던가 ㅋㅋㅋㅋㅋㅋ

    • @kimmadam442
      @kimmadam442 22 дні тому

      @@ongs5526 이 종자 댓글 쓰고 다닌거 역하네ㅋㅋ
      이악물고 tts에욥!!! 믿지 말아욥!! 어우어우..
      종자 주인이 역한거냐 종자가 커가면서 역해진거냐

  • @gao-sky7846
    @gao-sky7846 22 дні тому +2

    정말이지 어릴때 사회과부도보는거 정말 좋았습니다. 저처럼 많은분이 같은 취미를 지니셨었네요. 지브롤터 해협 저도 한번 가보고 싶네요.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jo6qw1cj3t
    @user-jo6qw1cj3t 29 днів тому +7

    최근 터키에서 도입하려던 브라질의 퇴역 항공모함도 미 해군에서 지중해 항해를 막아서 도입을 철회한 일이 있었죠. 홍해 이슈도 요즘 계속 있고, 해협의 바닷길이 보기에는 아닌 것 같아도 실제 힘으로 막는 경우도 지금도 종종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근데 다른 한쪽은 뚫어서 운하를 만들고 반대편 한쪽은 막으려는 인간의 모습이 아이러니하네요.

  • @user-xz1gm9ti7k
    @user-xz1gm9ti7k 29 днів тому +6

    100년전 지식인들의 전쟁을 피하기위한 노력과 상상력이 너무 대단해요.

  • @pepefrog9756
    @pepefrog9756 29 днів тому +16

    교수님 오늘 강의도 잘 들었습니다.

  • @dong-soo
    @dong-soo 29 днів тому +6

    재미있는 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 @haengbok-yee2662
    @haengbok-yee2662 29 днів тому +4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zugaebal
    @uzugaebal 28 днів тому +1

    매번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sXCNJdMcvf6Rlgl
    @sXCNJdMcvf6Rlgl 28 днів тому +1

    이번편도 정말 재밌었습니다!

  • @JP_-_
    @JP_-_ 29 днів тому +19

    모로코갔을때 날씨좋으면 지브롤터해협 너머로 스페인남부도 보인다더라구요.. 제가갔을땐 아쉽게도 날이 흐려서😂 안보였지만,, 직접 눈에 보이니까 일단 가능할지모른단 상상과 가설들이 점점 자란 것 같군요.
    국내버전으로는 군산 새만금일까요🤔

    • @hhk294
      @hhk294 29 днів тому +1

      맞아요 보여요 ㅋㅋ 생각보다 훨씬가깝습니다

  • @kangalog8840
    @kangalog8840 29 днів тому

    오늘도 감사합니다

  • @simstory12
    @simstory12 28 днів тому +4

    저도 사회과부도 덕후였습니다. 지금은 구글어스 덕후이지요 ㅎㅎㅎ. 지브롤터 언젠가는 꼭 가볼겁니다. 스페인에서 바라보고, 모로코에서 한번 더 바라보는 코스로요 ㅎㅎㅎ

  • @user-qe1zj1no1h
    @user-qe1zj1no1h 29 днів тому +8

    그래서 지리는 컨텐츠 만드시는듯

  • @jeunehomme_jun
    @jeunehomme_jun 29 днів тому +6

    저도 지도를 보며 가고 싶은 여행지가 생기는 편인데 지브롤터 해협은 항상 궁금하고 신기한 곳이었어요! 조만간 가는게 제 바람입니다 ㅎㅎ 알려주신 정보들 덕분에 이 지역이 더 재밌어지네요!

  • @user-og6jm8cv3e
    @user-og6jm8cv3e 29 днів тому +2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 @catsabba
    @catsabba 29 днів тому +2

    지식관련해서 가장 귀에 잘들어옵니다

  • @user-hj1jo5pv6v
    @user-hj1jo5pv6v 29 днів тому +37

    아틀란트로파 프로젝트를 어디서 들었는가 했더라니 나치 독일이 승리한 세계선을 다룬 FPS 게임 울펜슈타인 : 더 뉴 오더 였군요.

    • @Eat_siuuuu
      @Eat_siuuuu 29 днів тому

      밥먹었siuuu 제가 요즘 미는 밈인데 어떠시오?

    • @smj-vy6dg
      @smj-vy6dg 29 днів тому +2

      hoi4 tno 있음

    • @blackdragonangrycat
      @blackdragonangrycat 29 днів тому +2

      울펜슈타인 세계관은 댐이 아니라 다리 만들었음. (지브롤터 대교) 테러 빌리에 의해 "파괴" 당했지만...

    • @user-ye2lp2fk9n
      @user-ye2lp2fk9n 29 днів тому

      총통각하 만세!!😂😂

    • @blackdragonangrycat
      @blackdragonangrycat 29 днів тому

      @@smj-vy6dg 지금은 없음. 내부 숙청이 단행 되었는데 그때 전임자 흔적 지우기 일환으로 사라짐.
      결론을 말하자면 현재 기준으로 미디어 매체로 아틀란트로파 설정이 있는 작품은 하나도 없음. 소설로는 '높은 성의 사나이'가 있긴 하지만 이건 오직 원작 소설 설정일뿐. (드라마 쪽은 만들 기술력도 못됨)

  • @dannym1304
    @dannym1304 29 днів тому +4

    정말 흥미로운 주제네요. 저도 학생시절 지리과부도 보는게 참 재밌었습니다.

  • @user-vb6xj3cj3f
    @user-vb6xj3cj3f 27 днів тому

    항상 흥미로운 이야기 감사합니다 🙏

  • @user-ld5tw8kp5s
    @user-ld5tw8kp5s 28 днів тому

    오늘 강의도 훌륭합니다.

  • @terracc7243
    @terracc7243 29 днів тому +4

    지중해 말려봐야 농토가 늘긴 커녕 아랄해 인근마냥 소금바람 불면서 주변에 멀쩡한 농토까지 작살낼듯요

  • @saaaltball5970
    @saaaltball5970 29 днів тому +3

    오늘은 가볍고 재밌고 웅장한 주제네요😂

  • @kimmadam442
    @kimmadam442 29 днів тому +8

    교수님 오늘도 재미난 영상 감사합니다

    • @ongs5526
      @ongs5526 22 дні тому

      tts 목소리 듣고 아직도 교수님 타령하는 친구들 있는게 참 신기하네

    • @kimmadam442
      @kimmadam442 22 дні тому

      @@ongs5526 어우 애칭 같은거지
      개뿔 아는거 있다고 주접을 떨고 있네
      능지 ㅈㄴ 신비롭다

    • @ParkSeongBin0903
      @ParkSeongBin0903 3 дні тому

      ​@@ongs5526 ua-cam.com/channels/cYk_KPZZMLv_bcaSAWSSxA.htmlcommunity?lb=Ugkxyb2uhya-v_jWN7akSIL49myoSBEzHPpH
      이 글을 보면 진짜 목소리인 것 같아요.
      초창기 영상은 음질이 나빠서 마이크를 교체하기도 했고요.

  • @Miles_Link
    @Miles_Link 22 дні тому

    친절한 할아버지가 옛날 이야기 해주시는 것 처럼 듣기 편하고 좋아요

  • @wildcatter4405
    @wildcatter4405 28 днів тому +2

    마지막 멘트 정말 좋네요

  • @user-fl6or8ds9o
    @user-fl6or8ds9o 29 днів тому +15

    세우타의 주점에 가면
    여급 안나를 만날 수 있습니다 ㅎㅎ

    • @user-hbpjjic
      @user-hbpjjic 29 днів тому +7

      이 분 대항해시대 좀 해보신 분

  • @user-xi7nh9ni4p
    @user-xi7nh9ni4p 29 днів тому

    재밌네요! 재밌어보이는 계획이 엄청난 후폭풍이 생길지 몰랐다는게 ㄷㄷ

  • @mjsong8833
    @mjsong8833 29 днів тому +9

    와..저도 지리.사회과부도세계사 과 목 제일좋아했는데..❤

  • @user-qr9xv7rb2i
    @user-qr9xv7rb2i 29 днів тому

    최고입니다!

  • @user-fh5xh4lz1z
    @user-fh5xh4lz1z 29 днів тому

    재미있는 상상 감사합니다~

  • @JoeyJeon
    @JoeyJeon 28 днів тому

    이분 영상을 보다보면 항상 끝맺음에서 여운이 남네요…

  • @kaiserreich8412
    @kaiserreich8412 29 днів тому +5

    아틀란트로파에 대해 관심이 많았는데 영상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PostNemo
    @PostNemo 29 днів тому +4

    대박...지중해에 저런 과거가 있었는지는 처음 알았네요.

  • @user-pl6yt5fc2e
    @user-pl6yt5fc2e 29 днів тому +2

    저도 어렸을때 사회과부도 펼쳐놓고 보는게 취미였는데ㅋㅋ 그래서 남들보다 수도라든가 국가들의 위치등을 알수있었죠ㅋㅋ 당연히 지리과목은 제 최애과목이였구요ㅋ 저랑 교수님이랑 취미가 비슷해서 좋네요ㅋ

  • @user-nk4fl7ex3o
    @user-nk4fl7ex3o 29 днів тому +4

    사회과부도가 최고였어요

  • @mranderson_2961
    @mranderson_2961 29 днів тому +3

    예전에 유럽이라는 다큐멘터리에서 본 내용이네요
    지중해가 채워지는데 엄청 오래 걸렸다더니 왕창 채워진게 아니라
    조금씩 채워지다가 마지막에 왈칵 채워졌나 보군요
    또 하나 배워갑니다

    • @elvenisar
      @elvenisar 29 днів тому +1

      영상보기전 : 에이... 그래도 수만년 걸려서 채워진걸 왈칵이라니... 과장이 심하시다😂😂😂
      보고난후 : 이왜진😅😅😅😅😅

  • @user-zq6vs2mf8u
    @user-zq6vs2mf8u 29 днів тому +8

    교수님 늘 감사드립니다.

    • @ongs5526
      @ongs5526 22 дні тому

      이 보이스를 듣고 교수님 타령하는 애들 참 신기하네 ㅋㅋ 유튜브에 히상병 쳐보면 같은 목소리 나올텐데ㅋㅋㅋ 진짜 모르나?

    • @user-zq6vs2mf8u
      @user-zq6vs2mf8u 22 дні тому

      @@ongs5526 네 진짜 몰라요 ㅎㅎ

    • @user-zq6vs2mf8u
      @user-zq6vs2mf8u 21 день тому

      @@ongs5526 모르는데요 ㅎㅎ

  • @user-zs4zs9hu1g
    @user-zs4zs9hu1g 8 днів тому

    지도를 보는데 흥미를 느끼셨군요! 저는 어렸을 때 사회과부도를 달고 살았습니다. 다른 모든 교과서는 싫어했지만 국사와 사회과부도는 들여다보기만 해도 재미가 있었죠.

  • @1743_bocc
    @1743_bocc 29 днів тому +78

    우유니사막이 될것 같은데...

    • @daembie
      @daembie 29 днів тому +8

      우유 개맛있겠다

    • @TpRmsQkRmsgks_dhfpdh
      @TpRmsQkRmsgks_dhfpdh 27 днів тому +4

      @@daembie난 초코우유가 좋음

    • @Sapsal-dog
      @Sapsal-dog 26 днів тому

      정답

    • @user-wo4nw1jt5v
      @user-wo4nw1jt5v 25 днів тому

      브라우니 될듯

    • @sagolgabijang8263
      @sagolgabijang8263 15 днів тому

      절대안됨 증발량 뿐만아니라 강수량도있기때문 만약에 된다해도 깊기때문에 수천년걸릴듯

  • @user-rs1jl8em5l
    @user-rs1jl8em5l 29 днів тому +2

    대항해시대 게임 잘하시겠당. 언제 라이브 방송 한번 해주세욤 ㅋㅋ

  • @crazyski83
    @crazyski83 22 дні тому

    채널 주인장님의 인생게임이 대항해시대겠군요!!

  • @user-md7kd3tt3j
    @user-md7kd3tt3j 29 днів тому +2

    10만 언저리 때부터 본 것 같은데 와 어느새 구독자 70만을 넘었네요. 역시 노력하는 사람은 세상이 다 알아보나 봅니다.

  • @yijino
    @yijino 29 днів тому +5

    저도 지도 보는 걸 좋아하는데, 지중해 막는 거는 물론이거니와 알제리나 리비아 내부 깊이, 한 300킬로 정도 수로를 파내면 어떻게 될까? 하는 상상도 해봤어요.
    어떻게 될까요?
    혹시 지구 온난화로 인한 전 지구적 수위 상승에 대한 적적한 조치가 되지 않을까, 그럼 기후는 어떻게 바뀔까. 사막 그대로 있진 않겠지? 뭐 이런 상상이요.

    • @user-xu4vy3mm5m
      @user-xu4vy3mm5m 29 днів тому

      수로를 파내도 아마 이후 사막의 모래들이 수로를 가득 메워버려서 제기능을 못할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만약 미래에 핵융합으로 탄소배출 걱정 없이 에너지를 생산해낼 수 있다면, 담수화 설비를 풀가동해서 생산한 담수를 사막 농업이나 리야드같은 사막 내륙의 주거도시를 만드는 일에 이용하는 현상은 있을 수 있겠다고 생각합니다.

  • @user-tr2lt2lz1s
    @user-tr2lt2lz1s 22 дні тому

    감사합니다

  • @kang7027
    @kang7027 25 днів тому +1

    자도 사회과부도를 좋아합니다 계속 세계지도만 보고있고 아니면 우리나라 지도를 보고있습니다 사회가부도를 독서록에 쓸려도 말았을정도로 좋아했습니다 만약 지중해가 마른다면 좀 이상할꺼같네요 재밌게 보고갑니다

  • @user-kh7qx7ki9v
    @user-kh7qx7ki9v 29 днів тому +3

    *다음 주제로는 남미의 역사를 바꾼 3군 동맹 전쟁에 대해서 만들어보시는 것은 어떠신가요?*

  • @self.john_doe
    @self.john_doe 29 днів тому +3

    애초에 현대 기술로도 불가능했겠네요..
    아프리카판이 계속 북상중이라면 최소 14km나 되는 댐이 지중해와 대서양의 수압 차이 뿐 아니라 아프리카판이라는 거대한 지각판이 이동하는 에너지를 감당해야 하는데 조그마한 댐으로 지각판이 움직이는 힘을 버티는 건 말도 안 되니 댐의 길이가 실시간으로 좁아지는 방식으로 하든 해야 할 텐데 어떤 구조가 되어야 할 지부터 막막하죠

    • @MCJS4440
      @MCJS4440 29 днів тому

      5만년 해봐야 14m터 밖에 안좁아짐 인류를 이집트 문명부터 쳐도 7000년 밖에 안살았음 운하 좁아짐은 전혀 아얘 걱정할필요가 없는 문제임 어차피 그전에 인류 멸종함

  • @birth8506
    @birth8506 29 днів тому +4

    어릴때 사회과부도 보면서 궁금했던 네곳, 지브롤터, 보스포러스, 수에즈, 파나마

  • @user-qu4hu5ts6q
    @user-qu4hu5ts6q 27 днів тому

    저랑 교수님과의 취미가 같다니..! 뭔가 덩달아 교양 있는 사람이 된 것 같은 기분이네요 ㅋㅋㅋ 저도 '지브롤타' 라는 지명이 예전에 너무 흥미로워서 지금 닉네임으로도 사용하고 있는데, 되게 뭐랄까 유럽 역사에서 중요한 대표적인 바다인 대서양과 지중해의 골목이라는 것 자체가 되게 멋있다라는 생각도 했고..ㅋㅋㅋㅋ 아무튼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user-jm8sk9nh6p
    @user-jm8sk9nh6p 29 днів тому +6

    서양의 대홍수 이야기가..
    지중해가.... 바닷물로 체워지는 상황 아니였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 @user-uw8uy1oh5r
      @user-uw8uy1oh5r 29 днів тому

      기원전 3000년경 서아시아는 지금보다 강수량이 많아 아라비아 사막이 초원이었음. 이 때 유프라테스와 티그리스강은 불안정한 대기로 예측할 수 없는 집중호우가 잦고 강물이 크게 불어나는 일이 많았음. 유난히 큰 홍수가 발생하자 이를 메소포타미아인들이 길가메시 서사시에 대홍수의 일화로 신화로서 기록함. 시간이 흐르고 유대인들에게 대홍수 신화가 알려지게 되고 유대인들이 이를 그들의 구약에 기록하게 된 거임.

    • @user-jr2gf9bx9p
      @user-jr2gf9bx9p 24 дні тому

      아닌데

    • @lch374213
      @lch374213 22 дні тому

      그럴 수는 없는게 애초에 저 때는 인류의 조상종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국한되어 있었을 시기이다보니...

  • @_seonkim
    @_seonkim 26 днів тому

    잘보고갑니다

  • @BK-im5hp
    @BK-im5hp 27 днів тому

    저도 지도를 보다가 무척궁금한 곳이 있습니다 이라크 바스라운하 유프라테스강과 연결되어 시리아까지 연결된곳인데 소말리아해적때문에 골치가 아팠다가 요즘은 후티반군때문에 수에즈운하가 많이 많네요 우연히 다른곳이 없나 찾다가 봤는데 댐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식수나 농수로 이용하는 운하같은데 궁금합니다. 4:22 네덜란드 15km 방조제로 바다를 막은 이곳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 @user-rc5md3zi8o
    @user-rc5md3zi8o 28 днів тому

    헉 저도 사회과부도 보는거 엄청 좋아했어요 ^^
    교과서 받으면 먼저 보고 심심할때도 보고~~

  • @hyeaunuKo
    @hyeaunuKo 29 днів тому +6

    소금사막이 지중해에...

  • @user-ud4wb2je4m
    @user-ud4wb2je4m 29 днів тому +1

    역쉬 최고!!!

  • @user-cf5qn8yf3n
    @user-cf5qn8yf3n 25 днів тому

    흥미롭군....

  • @ddgrm
    @ddgrm 28 днів тому

    교수님은 이과지식에도 박식하시군요 잘 들었습니다

  • @7Stars_1958
    @7Stars_1958 28 днів тому

    그건 제 알 바 아닙니다 ㅋㅋ 언제든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user-er3oe1ew5w
    @user-er3oe1ew5w 22 дні тому

    저도 지도 보는 것 좋아해요. 학원 강의실 벽을 지도로 도배를 했지요.^^

  • @user-pj9fj3xo4m
    @user-pj9fj3xo4m 29 днів тому

    지식브런치 따봉 👍

  • @eunnoir8928
    @eunnoir8928 27 днів тому

    버섯구름 봉우리 대격변(.....) 정말 신기하고 재밌네요

  • @user-mk7df3wo6h
    @user-mk7df3wo6h 29 днів тому

    마지막말이 뭔가 멋있달까요 만약 그때가 되면 만과거에는 야기 바다가 있었구나 하겠죠

  • @bangdoll4500
    @bangdoll4500 29 днів тому +4

    자금은 누가내고 지중해를 메우나?ㅋㅋㅋㅋ
    기계화된 지금도 불가능한 프로젝트...ㅋㅋㅋ

  • @hg1986
    @hg1986 29 днів тому +1

    막혀있었더라도 지정학적 중요성을 생각하면 수에즈처럼 언젠가는 뚫지 않았을까요? 물론 역사는 크게 달라졌겠지만요..

  • @user-ks3lz3jn7n
    @user-ks3lz3jn7n 7 днів тому

    흥미로운 주제 재미나요

  • @user-xd3il1jd3x
    @user-xd3il1jd3x 29 днів тому +1

    흑해도 지중해처첨 갑작스런 해수유입으로 생겼다고 들은적 있는데 지중해가 생긴 시기에 같이 생겼는지 아니면 별도의 사건으로 샹겼는지 궁금하네요

  • @jonin_cunren
    @jonin_cunren 29 днів тому +5

    저 좁아터진 바닷길이 생각보다 무진장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었네요 ㄷㄷ

  • @user-uv9yn7rd8k
    @user-uv9yn7rd8k 28 днів тому

    이 분 느낌이 어디 교양과목 교수님 느낌이네요

  • @dvinok6331
    @dvinok6331 25 днів тому

    첫해외가 지브롤터인데.. 추억돋네요

  • @hantank97
    @hantank97 29 днів тому

    동화적이고 아름다운 자연의 이야기. 엄청난 규모에 말을 잇지 못하겠습니다.

  • @user-ze5hn7yx5s
    @user-ze5hn7yx5s 29 днів тому +1

    지중해를 말려서 그 땅을 활용할 수 있겠지만.
    그땅까지 활용할정도로 유럽땅이 부족하지도 않고, 오히려 지중해를 이용한 해양운송이 불가능해져서 오히려 손해.

  • @himssendol6512
    @himssendol6512 4 дні тому +1

    나도 지리부도책 제일 좋아했음. 😂😂

  • @latenight5865
    @latenight5865 29 днів тому +1

    저는 지브롤터하면 영화 유보트에서 승조원들이, 자신들이 지브롤터를 지나가야 한다는 말에 절망하던 장면이 늘 떠오르네요. 실제로 지나가는 과정에서 천신만고끝에 지나가지만 정박지에 도착하자마자 폭격으로 죽게 되는 내용도 생각나고...

  • @spacetoto
    @spacetoto 29 днів тому +3

    전 사회과부도 였던것 같은데 ㅎㅎ

  • @user-w9qcxxl5va
    @user-w9qcxxl5va 29 днів тому +11

    하지만 실제로 지중해가 막히게 되면 유럽 남부에서 아프리카 북부 사이에는 거대한 죽은 바다 + 사막이 만들어짐

    • @user-zr2yx1kq3r
      @user-zr2yx1kq3r 29 днів тому +2

      아랄 해가 대표적이지요.
      현재도 사막화 진행중.

    • @islandtree7577
      @islandtree7577 27 днів тому +2

      ​@@user-zr2yx1kq3r거기보다..
      해수면보다 120m 낮은 에디오피아의 다나킬 소금 대평원의 확장판이 될 듯...
      다나킬 대평원도 바다길이 막히고, 바닷물이 증발하면서 거대한 소금 평원이 되었음

  • @user-vh7nf3hc8o
    @user-vh7nf3hc8o 24 дні тому

    5000만년 후 지중해가 사라진다니... 마음이 막막해지고 긴박감이 오네요. 아아

  • @LUMINOX.
    @LUMINOX. 29 днів тому +2

    밑에 유느 !바본가?
    자이리털이 뭐야 ㅋㅋㅋㅋ

  • @odeisjhy
    @odeisjhy 28 днів тому

    지질학적으로 원래 막혀있다 뚫린 곳이기도 합니다. 닐 타이슨의 코스모스에 따르면, 지브롤터 해협은 원래 막혀 있었고, 지중해는 사막(고도가 마이너스다 보니 매우 뜨거운 날씨가 계속 됨)이었다가, 원인을 알 수 없는 지각변동으로 약 1만년전 지브롤터 해협을 막던 암반층이 파괴되면서 사막이 바다가 됐다고 합니다. 지중해 해저를 파내면 지금도 사막이었던 시절의 지층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고 합니다.

  • @user-kp4cw1ds9f
    @user-kp4cw1ds9f 29 днів тому

    빙하기, 인간에 의해 멸종된 생물들, 유럽의 화약고 발칸 반도,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분쟁, 동유럽 혁명과 베를린 장벽의 붕괴, 북아일랜드 분쟁, 카슈미르 분쟁, 류큐 왕국, 아이누족, 폴 포트와 킬링 필드, 고난의 행군, 사미족, 어보리진, 마오리족, 레오폴드 2세의 콩고 수탈 얘기도 다뤄주세요.

  • @user-vj5md2yq3o
    @user-vj5md2yq3o 29 днів тому +2

    저는 아득한 옛날 막혀있던 지브롤터가 터져 대서양 물이 그야말로 물밀듯 지금의 지중해 지역으로 몰려든 사건이 성경의 대홍수라고 생각합니다.

    • @leechris1748
      @leechris1748 29 днів тому

      그거 아님. 시간상으로 인류이전이라 거기보다 흑해유역에도 유사한 사건이 있었고 시기도 그쪽이 좀더 인류사에 가까워서 그 쪽이 대홍수와의 연결점을 찾는 사람이 많았음

  • @yejeon7851
    @yejeon7851 28 днів тому

    8:36 이게 대홍수의 정체인가?

  • @uibyeongjang
    @uibyeongjang 29 днів тому +1

    지중해의 원래 명칭은 요단강입니다.

  • @user-nomukhun0523
    @user-nomukhun0523 29 днів тому

    딱!

  • @ThePoemath
    @ThePoemath 29 днів тому +1

    중근동에서는 아주 고대부터 지브롤터 건너까지 배타고 가서 무역을 했음.

  • @user-ub5ui8xi3f
    @user-ub5ui8xi3f 29 днів тому +1

    관심이 있어서 공부를 해보면 신은 권력과 돈 때문에 생겼고 미신은 생계 때문에 생겼다 쪽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알 수 없는 어떤 설계자가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끝까지 계획대로 밀어붙이려 하는 것을 보고 아 저건 안되겠네 하며 존재하지도 않았던 뺑소니 역할을 보내서 없애버린 것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