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불행한 이유: 제 4의 길 2부 [이현훈 교수의 경제포럼]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2 тра 2024
  • 제목: 한국이 불행한 이유: 제 4의 길 2부
    안녕하세요, 이현훈입니다. 이현훈의 경제포럼에서는 국내외의 거시경제 현황을 단편적이나 편파적이지 않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저의 영상을 시청해주시고 채널 구독 눌러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여러분의 적극적인 의견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참여가 우리 사회와 경제를 바꿉니다.
    #경제 #경제위기 #이현훈

КОМЕНТАРІ • 53

  • @KIMJOWOO
    @KIMJOWOO 26 днів тому +7

    돈은 사실상 행복의 필수조건이고
    문제는 남들과 자신을 비교하는것에 있음

    • @the4th-way
      @the4th-way  26 днів тому

      공감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ui2uj4mb2u
    @user-ui2uj4mb2u 25 днів тому +2

    고맙쏘 수고하셨습니다

  • @user-ry7kb1ry4h
    @user-ry7kb1ry4h 24 дні тому +1

    굿 🎉🎉🎉🎉😊😊😊시원하게

  • @user-rq7ye5wh1x
    @user-rq7ye5wh1x 26 днів тому +4

    돈이 상위권입니다

  • @megadeth5953
    @megadeth5953 26 днів тому +8

    모든것이 돈으로만 환산되는 사회라는게 참 안타깝습니다.

    • @the4th-way
      @the4th-way  26 днів тому

      공감합니다~! 열심히 목소리를 내겠습니다

  • @STUDY_MACHINE
    @STUDY_MACHINE 26 днів тому +9

    한국은 지구 최악은 아니지만 환경이 나쁜 나라입니다.
    겨울에 추워서 집과 난방이 없으면 얼어죽고요. 베트남은 3모작할 때 1모작 간신히 할 수 있습니다.
    원래 이렇게 인구가 늘어나면 안 되는 것이었어요.
    지금 집값 비쌀때 팔아서 다른 나라로 토끼는 사람이 승자가 될 겁니다.
    아직은 흑자지만, 무역적자가 지속된다면 석유와 식량을 수입할 수가 없어서 지옥이 펼쳐질 것입니다.
    아르헨티나 꼴 난다고들 하는데 그럴리가요. 아르헨티나는 국토가 넓고 농경지도 많습니다. 굶지는 않아요. 우리는 방글라데시가 될 것입니다.

    • @user-yu3jy3lh9s
      @user-yu3jy3lh9s 26 днів тому +2

      그렇습니다 엉망인나라입니다

    • @STUDY_MACHINE
      @STUDY_MACHINE 26 днів тому +2

      솔직히 매우 무섭습니다. 오늘도 반도체 길어야 10년이라는 기사가 났네요. 속수무책입니다.

    • @the4th-way
      @the4th-way  26 днів тому

      공감합니다~!! 열심히 목소리를 내겠습니다

  • @user-nw4ne3wy7n
    @user-nw4ne3wy7n 26 днів тому +5

    비법한지식인들이 많은데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
    느껴집니다
    교수님처럼 젊은세대를생각하고
    정확한정보를 주시는 분들이
    많어져야~

    • @the4th-way
      @the4th-way  26 дн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열심히 목소리를 내겠습니다

  • @user-gz1mw8sg1t
    @user-gz1mw8sg1t 26 днів тому +2

    항상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

    • @the4th-way
      @the4th-way  26 днів тому

      응원 감사드립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 @user-jd2qp8cf5d
    @user-jd2qp8cf5d 26 днів тому +4

    인식에 관한 문제는 기득권의 양보가 필수이거나 다수 약자의 단결이 필수이나, 역사는 그런사례를 우리에게 제공한적이 거의없음. 자유주의를 표방한 정치체제는 곤란함. 결국은 무너지고 다시 세워야 하는 과거의 반복,,, 차라리 시작하는 다른체제가 더 유리할듯.

    • @the4th-way
      @the4th-way  26 днів тому

      3편에서 제4의 길을 말씀드립니다

  • @youngchoi5562
    @youngchoi5562 26 днів тому +2

    모든게 욕심에서 불행 씨앗이 나오네요.욕심2배 갖는다면 불행ㅇ 4배의 힘을 얻습니다.

  • @user-ji3dn7wv1k
    @user-ji3dn7wv1k 26 днів тому +2

    잘보고있서여 교수님 화이팅

    • @the4th-way
      @the4th-way  26 дн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 @user-yu3jy3lh9s
    @user-yu3jy3lh9s 26 днів тому +2

    국민 소득 불안하고 인풀래 지속으로 직장 짤리고 주거불안 으로 가는게 저출산
    나라 가 돈을 물 쓰듯이 하는 구조
    인풀래 폭등으로 벌어봐야 항상
    쪼들리는 이런 구조 와 경제적 약자 주거로 뜾어먹는 바꾸지않으면
    국민 95%는 불행한 삶을 연속될수 밖에

    • @the4th-way
      @the4th-way  26 днів тому

      공감합니다 ~! 열심히 목소리를 내겠습니다

  • @bini1114
    @bini1114 25 днів тому

    서울 집값이 절대 비싼게 아닌데 아파트만 쳐다보니 집값 비싸다 하는 것만 보더라도 우리도 모르게 우리나라 국민들 마음속엔 욕심이 가득 찼기 때문에 만족감이란걸 상실한지 오래됐죠..... 옛날 아버지가 사다주신 옛날통닭 한마리, 가끔 나가서 먹는 갈비에 행복했던 시절이 있었는데 지금은 부모가 뭘 주던 당연한 시대고 뭘 해줘도 행복하지 않는 시대가 됐다고 봅니다.
    사람은 있던게 없어봐야 소중함을 알기에 우리나라가 발전 하려면 대공황급 경제붕괴를 우리 국민들이 해쳐나가봐야 된다고 봅니다.

    • @the4th-way
      @the4th-way  24 дні тому +1

      지적하신 말씀에도 공감합니다. 개인과 사회가 모두 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user-pi4gf4di6y
    @user-pi4gf4di6y 13 днів тому

    교수님 같은 깨어있는 분들이 많이 계셔야할텐데 아쉽습니다. 30대 초중반의 나이로서 우리나라의 문제점을 말하자면.
    과잉 경쟁의 문제도 있지만. 나름 소신있게 열심히 중소기업이됬든 중견이됬든 기타 뭘하든간에.
    공기업, 대기업, 심지어 관공서에서 근무조차 하지않으면 인생 패배자라는 마인드를 부모세대부터 해서 주변사람들의 인식을 심어주어서 그것또한 문제라고 봅니다.

  • @cklee6630
    @cklee6630 24 дні тому

    노인형 일자리를 만들면 건강이 허락하는 만큼 일할 수 있어요. 정신적 행복도 커지구요. 없는 연금을 탓한다고 해서 방법이 없어요. 100년 전에는 대가족제도는 있었어도 연금제도 없었어요.

  • @user-xg7ut7un7s
    @user-xg7ut7un7s 26 днів тому +1

    노인인구 증가는 재산 있는것 50%세금 으로 다 빼서 가요 그래서 불행을 유도해서 인구감소 어잰더로 의사도 많이 필로한데 없애고 전국에 소각장 을 많이 증가 돼고 있음

  • @dnlee6803
    @dnlee6803 26 днів тому +1

    평등은 행복의 기본이다.
    주저리 거리는 것은 모르는 것이다. 기본과 원칙으로 보면된다.한국의 법이 기본도 못지키는데 무슨 행복이냐?

    • @the4th-way
      @the4th-way  26 днів тому

      공감합니다~! 감사합니다

  • @BomYerum
    @BomYerum 26 днів тому +7

    기본소득을 통해 돈벌이 스트레스를 줄여야 합니다. 국가가 국민에게 기본적인 삶을 제공해 주면 많이 달라집니다.

    • @user-ji3dn7wv1k
      @user-ji3dn7wv1k 26 днів тому +2

      그러기엔 아직 일른듯..

    • @FXKXR
      @FXKXR 26 днів тому +4

      기본소득은 AGI 정도는 상용화되어서 공급량이 수요량을 아득히 뛰어넘는 '한계 비용 제로 사회'가 와야 시도해 볼만한 것임. 애초에 대량 실업이 전제가 되어야 유효한 효과를 내는 것이기에 지금하면 그냥 무지성으로 돈 풀어대는 것 밖에 더 안되어서 결국 원화 가치는 더욱 바닥을 칠 테고 그에 따라 수입하는 원자재 값의 폭등으로 물가만 더 높이는 최악의 상황을 야기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

    • @BomYerum
      @BomYerum 26 днів тому +1

      그냥 조금씩 함 해보자고요. 25만원 전 국민에게 나눠 주면 원화가치 폭락하나요?

    • @user-ji3dn7wv1k
      @user-ji3dn7wv1k 26 днів тому +1

      @@BomYerum 맞음 조금씩 ㄱㄱ

    • @STUDY_MACHINE
      @STUDY_MACHINE 26 днів тому +1

      ​@@BomYerum지금도 원화 똥값인데 뭐하자는건가요?

  • @corea.
    @corea. 26 днів тому +2

    요즘 남자들이 아낌... 결혼... 배우자 잘 만나야 됨

  • @jihyun6489
    @jihyun6489 26 днів тому +2

    돈이 없으면 행복?

    • @the4th-way
      @the4th-way  26 днів тому

      돈은 행복의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라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 @kolor9648
    @kolor9648 26 днів тому +1

    돈이 행복의 전부는 아니지만 원룸방 살이나 하는데 결혼도 안되는데 어떻게 행복해함?

    • @the4th-way
      @the4th-way  26 днів тому

      공감합니다~!! 열심히 목소리를 내겠습니다

  • @cklee6630
    @cklee6630 24 дні тому

    너무 기존 이론에 맞추지 말고 10대 ~ 30대의 눈으로 봤으면 좋겠어요. 무언가 몸에 안 맞는 옷을 입히고 멋을 경쟁하게 하고 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 불행보다 (미래 안정적 삶이라는 기준에서 볼 때, 삼천포에 빠질 수 있다는) 불안이 더 팽배한 것 같아요.

  • @user-gp4xl4so1g
    @user-gp4xl4so1g 26 днів тому +1

    이유는 몇가지 말하지만
    비교문화
    포용성과 관용성의 부족함
    천민자본주의

    • @the4th-way
      @the4th-way  26 днів тому

      공감합니다~!! 열심히 목소리를 내겠습니다

  • @leonardkim690
    @leonardkim690 26 днів тому +1

    소득격차를 줄여야 한다.

    • @the4th-way
      @the4th-way  26 днів тому

      공감합니다~!! 열심히 목소리를 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