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훈교수의 경제포럼
이현훈교수의 경제포럼
  • 51
  • 213 910
빈부격차 원인 디지털사회, 어떻게 대비해야할까? [이현훈교수의 경제포럼]
제목 : 더 심해지는 양극화, 디지털사회 어떻게 대비해야할까? [네가지 뉴노멀: 디지털 사회 통합본]
안녕하세요, 이현훈입니다. 이현훈의 경제포럼에서는 국내외의 거시경제 현황을 단편적이나 편파적이지 않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저의 영상을 시청해주시고 채널 구독 눌러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여러분의 적극적인 의견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참여가 우리 사회와 경제를 바꿉니다.
#경제 #경제위기 #이현훈
Переглядів: 2 405

Відео

싱가포르 주택 정책에서 배운다 [이현훈교수의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2,6 тис.7 годин тому
제목 : 싱가포르 주택 정책에서 배운다 안녕하세요, 이현훈입니다. 이현훈의 경제포럼에서는 국내외의 거시경제 현황을 단편적이나 편파적이지 않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저의 영상을 시청해주시고 채널 구독 눌러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여러분의 적극적인 의견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참여가 우리 사회와 경제를 바꿉니다. #경제 #경제위기 #이현훈
집값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현훈교수의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14 годин тому
제목 : 집값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안녕하세요, 이현훈입니다. 이현훈의 경제포럼에서는 국내외의 거시경제 현황을 단편적이나 편파적이지 않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저의 영상을 시청해주시고 채널 구독 눌러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여러분의 적극적인 의견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참여가 우리 사회와 경제를 바꿉니다. #경제 #경제위기 #이현훈
초저출산 해결책, 국민은 안다 [이현훈 교수의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4,5 тис.16 годин тому
제목 : 초저출산 해결책, 국민은 안다 안녕하세요, 이현훈입니다. 이현훈의 경제포럼에서는 국내외의 거시경제 현황을 단편적이나 편파적이지 않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저의 영상을 시청해주시고 채널 구독 눌러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여러분의 적극적인 의견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참여가 우리 사회와 경제를 바꿉니다. #경제 #경제위기 #이현훈
헝가리식 저출산 대책, 주택가격 상승시켜 출산율만 떨어뜨린다 [이현훈교수의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3,1 тис.День тому
제목: 헝가리식 저출산 대책, 주택가격 상승시켜 출산율만 떨어 뜨린다 안녕하세요, 이현훈입니다. 이현훈의 경제포럼에서는 국내외의 거시경제 현황을 단편적이나 편파적이지 않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저의 영상을 시청해주시고 채널 구독 눌러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여러분의 적극적인 의견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참여가 우리 사회와 경제를 바꿉니다. #경제 #경제위기 #이현훈
인구문제, "저출생대응기획부"로는 해결 어렵다. "이렇게" 해야 한다 [이현훈교수의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6 тис.День тому
제목: 인구문제, 저출생대응기획부로는 해결 어렵다 안녕하세요, 이현훈입니다. 이현훈의 경제포럼에서는 국내외의 거시경제 현황을 단편적이나 편파적이지 않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저의 영상을 시청해주시고 채널 구독 눌러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여러분의 적극적인 의견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참여가 우리 사회와 경제를 바꿉니다. #경제 #경제위기 #이현훈
행복한 대한민국, 거대한 전환이 필요하다: 제4의 길 3부 [이현훈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14 днів тому
제목: 행복한 대한민국, 거대한 전환이 필요하다: 제4의 길 3부 안녕하세요, 이현훈입니다. 이현훈의 경제포럼에서는 국내외의 거시경제 현황을 단편적이나 편파적이지 않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저의 영상을 시청해주시고 채널 구독 눌러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여러분의 적극적인 의견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참여가 우리 사회와 경제를 바꿉니다. #경제 #경제위기 #이현훈
한국이 불행한 이유: 제 4의 길 2부 [이현훈 교수의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2,5 тис.14 днів тому
제목: 한국이 불행한 이유: 제 4의 길 2부 안녕하세요, 이현훈입니다. 이현훈의 경제포럼에서는 국내외의 거시경제 현황을 단편적이나 편파적이지 않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저의 영상을 시청해주시고 채널 구독 눌러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여러분의 적극적인 의견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참여가 우리 사회와 경제를 바꿉니다. #경제 #경제위기 #이현훈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했으나 불행한 나라, 한국ㅣ 제4의 길 1부 [이현훈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7 тис.14 днів тому
제목: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했으나 불행한 나라, 한국ㅣ 제4의 길 1부 안녕하세요, 이현훈입니다. 이현훈의 경제포럼에서는 국내외의 거시경제 현황을 단편적이나 편파적이지 않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저의 영상을 시청해주시고 채널 구독 눌러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여러분의 적극적인 의견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참여가 우리 사회와 경제를 바꿉니다. #경제 #경제위기 #이현훈
원자력 발전 없이 탄소중립 가능한가?ㅣ기후위기 3부 [이현훈 교수의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1,8 тис.21 день тому
제목: 원자력 발전 없이 탄소중립 가능한가?: 기후위기 3부 안녕하세요, 이현훈입니다. 이현훈의 경제포럼에서는 국내외의 거시경제 현황을 단편적이나 편파적이지 않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저의 영상을 시청해주시고 채널 구독 눌러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여러분의 적극적인 의견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참여가 우리 사회와 경제를 바꿉니다. #경제 #경제위기 #이현훈
기후위기 책임은 누구에게? 한국은 기후악당인가?ㅣ기후위기 2부 [이현훈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80721 день тому
제목: 기후위기 책임은 누구에게? 한국은 기후악당인가?ㅣ기후위기 2부 안녕하세요, 이현훈입니다. 이현훈의 경제포럼에서는 국내외의 거시경제 현황을 단편적이나 편파적이지 않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저의 영상을 시청해주시고 채널 구독 눌러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여러분의 적극적인 의견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참여가 우리 사회와 경제를 바꿉니다. #경제 #경제위기 #이현훈 #기후위기 #지구온난화 #탄소배출 #기후악당
기후변화가 거대한 경제위기를 불러온다ㅣ기후위기 1부 [이현훈교수의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2,9 тис.21 день тому
제목: 기후변화가 거대한 경제위기를 불러온다ㅣ기후위기 1부 안녕하세요, 이현훈입니다. 이현훈의 경제포럼에서는 국내외의 거시경제 현황을 단편적이나 편파적이지 않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저의 영상을 시청해주시고 채널 구독 눌러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여러분의 적극적인 의견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참여가 우리 사회와 경제를 바꿉니다. #경제 #경제위기 #이현훈 #기후변화 #기후위기 #그린스완 #식량위기 #에너지위기 #지구온난화
겅제ㆍ사회 양극화가 어떻게 정치 양극화를 불러오나?ㅣ양극화 사회 3부 [이현훈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4,4 тис.28 днів тому
제목: 정치 경제 사회 모두 양극화에 빠져버린 대한민국ㅣ양극화 사회 3부 안녕하세요, 이현훈입니다. 이현훈의 경제포럼에서는 국내외의 거시경제 현황을 단편적이나 편파적이지 않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저의 영상을 시청해주시고 채널 구독 눌러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여러분의 적극적인 의견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참여가 우리 사회와 경제를 바꿉니다. #경제 #경제위기 #이현훈 #양극화 #행복
부동산 몰빵이 불러온 부의 양극화ㅣ양극화 사회 2부 [이현훈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8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제목: 소득 양극화보다 심각한 부의 양극화ㅣ양극화 사회 2부 안녕하세요, 이현훈입니다. 이현훈의 경제포럼에서는 국내외의 거시경제 현황을 단편적이나 편파적이지 않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저의 영상을 시청해주시고 채널 구독 눌러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여러분의 적극적인 의견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참여가 우리 사회와 경제를 바꿉니다. #경제 #경제위기 #이현훈
소득 양극화보다 심각한 부의 양극화ㅣ양극화 사회 1부
Переглядів 27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제목: 소득 양극화보다 심각한 부의 양극화ㅣ양극화 사회 1부 안녕하세요, 이현훈입니다. 이현훈의 경제포럼에서는 국내외의 거시경제 현황을 단편적이나 편파적이지 않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저의 영상을 시청해주시고 채널 구독 눌러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여러분의 적극적인 의견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참여가 우리 사회와 경제를 바꿉니다. #경제 #경제위기 #이현훈
초고령사회: 정부ㆍ기업 ㆍ개인 이렇게 바꿔야 합니다 ㅣ노인사회 3부 [이현훈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초고령사회: 정부ㆍ기업 ㆍ개인 이렇게 바꿔야 합니다 ㅣ노인사회 3부 [이현훈 경제포럼]
경제성장 멈추고 집값 하락한다: 노인사회 2부 [이현훈의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3 тис.Місяць тому
경제성장 멈추고 집값 하락한다: 노인사회 2부 [이현훈의 경제포럼]
아이가 없는 나라, 소멸 위기의 대한민국ㅣ노인사회 1부 [이현훈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2,7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아이가 없는 나라, 소멸 위기의 대한민국ㅣ노인사회 1부 [이현훈 경제포럼]
사라지는 일자리, '이렇게' 대비해야 합니다: 디지털 사회 3부 [이현훈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1,7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사라지는 일자리, '이렇게' 대비해야 합니다: 디지털 사회 3부 [이현훈 경제포럼]
디지털 골드 비트코인 가격이 계속 오를 수밖에 없는 이유: 디지털 사회 2부
Переглядів 1,9 тис.Місяць тому
디지털 골드 비트코인 가격이 계속 오를 수밖에 없는 이유: 디지털 사회 2부
초거대 혁명이 일어났다. 수퍼 휴먼으로 진화한다: 디지털 사회 1부
Переглядів 2,3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초거대 혁명이 일어났다. 수퍼 휴먼으로 진화한다: 디지털 사회 1부
지금 주식시장 닷컴버블, 세계대공황 때와 너무 비슷하다: 미국경제 심층분석 통합본 [이현훈의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5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지금 주식시장 닷컴버블, 세계대공황 때와 너무 비슷하다: 미국경제 심층분석 통합본 [이현훈의 경제포럼]
부동산에 몰빵한 한국경제,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간다: 절대위기 한국경제 통합본 [이현훈의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4,5 тис.Місяць тому
부동산에 몰빵한 한국경제,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간다: 절대위기 한국경제 통합본 [이현훈의 경제포럼]
우리나라 경제, 빚폭탄으로 무너질 일만 남았다: 부동산 위기 통합본 [이현훈의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우리나라 경제, 빚폭탄으로 무너질 일만 남았다: 부동산 위기 통합본 [이현훈의 경제포럼]
높은 주가와 통화량 감소, 대공황 때와 비슷하다ㅣ미국경제 심층분석 3부 [이현훈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Місяць тому
높은 주가와 통화량 감소, 대공황 때와 비슷하다ㅣ미국경제 심층분석 3부 [이현훈 경제포럼]
미국경제 심층분석 2부: 닷컴버블,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비슷하다 [이현훈 경제포럼]
Переглядів 3,6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미국경제 심층분석 2부: 닷컴버블,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비슷하다 [이현훈 경제포럼]
미국경제 심층분석 1부: 닷컴버블과 세계대공황, 또 다시 반복된다? [이현훈 공식채널]
Переглядів 2,9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미국경제 심층분석 1부: 닷컴버블과 세계대공황, 또 다시 반복된다? [이현훈 공식채널]
절대위기 한국경제 3부: 부동산 불패는 끝났다. 폭탄 돌리기는 이제 그만 [이현훈 교수 공식채널]
Переглядів 5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절대위기 한국경제 3부: 부동산 불패는 끝났다. 폭탄 돌리기는 이제 그만 [이현훈 교수 공식채널]
절대위기 한국경제 2부: 부동산 몰빵 투자가 불러올 경제위기 [이현훈 공식채널]
Переглядів 4,7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절대위기 한국경제 2부: 부동산 몰빵 투자가 불러올 경제위기 [이현훈 공식채널]
절대위기 한국경제 1부: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0%, 잃어버린 30년 오고있다 [이현훈 공식채널]
Переглядів 9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절대위기 한국경제 1부: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0%, 잃어버린 30년 오고있다 [이현훈 공식채널]

КОМЕНТАРІ

  • @user-ff4zo8dd7d
    @user-ff4zo8dd7d 19 годин тому

    시민사회로 빨리가야해요 대동세상!

  • @ynnuendo4652
    @ynnuendo4652 День тому

    일본을 따돌렸다는 착시? 일본에는 과학분야 노벌상이 그리 많은데 우리는?

  • @user-kt6kd5lu8k
    @user-kt6kd5lu8k День тому

    학벌이나 학력에서 학습으로 전환 되는 시기라 생각합니다. 남녀노소를 떠나 배우지 않고 변화하지 않는다면 미래에서의 생활이 힘들어 질 것 같네요. 많이 배우고 성장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mt7xr8hc1z
    @user-mt7xr8hc1z День тому

    결국 기본소득으로 cbdc간다는 얘기네요 암울한시대가 올듯합니다😅

  • @YS-of9yl
    @YS-of9yl День тому

    정말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새로운것을 많이 알게됬네요 대학시절로 되돌아간것같은 시간이었어요 결혼해서 유치원손녀 키우고있는 아들한테도 전달해서 꼭듣도록 하겠습니다

  • @charleshahm9457
    @charleshahm9457 День тому

    서울 경기에 싸고 좋은 집 많아요 좀 찾아 보세요

  • @the4th-way
    @the4th-way День тому

    인류는 거대한 전환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디지털사회, 노인사회, 양극화사회, 기후위기라고 하는 네가지 뉴노멀이 그것입니다. 이 영상은 얼마전 세번에 걸쳐 방송한 디지털사회에 대한 편집본입니다. 저의 저서 <예정된 미래: 네가지 뉴노멀과 제4의 길>도 소개해 드립니다. 이현훈 예정된 미래 : 네이버 검색 - m.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m&sm=top_hty&fbm=0&ie=utf8&query=%EC%9D%B4%ED%98%84%ED%9B%88+%EC%98%88%EC%A0%95%EB%90%9C+%EB%AF%B8%EB%9E%98&ssc=tab.m.all

  • @sheltielove
    @sheltielove День тому

    됐어 됐어 이젠 그런 가르침은 됐어!!! 전화기 한대면 거의모든게 가능한 세상이 된거 같아요. 대학 안가도 되니 얼마나 좋아요. 좋은건지 나쁜건지 좀 햇갈리기도 하네요. 좋은영상 감사드립니다 .

    • @user-gr3sx4uv9n
      @user-gr3sx4uv9n День тому

      대학은 부동산처럼 과포화되서 그역할이 무색해졌습니다.

  • @ynnuendo4652
    @ynnuendo4652 День тому

    원희룡 전장관 박상우 건교장관은 부피아 패밀리의 집사! 아파트투기는 집사의 주직무?

  • @Nana53475
    @Nana53475 День тому

    디지털사회를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너무 잘 설명해 주셔서 큰 도움이 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user-fg8hx2ro6e
    @user-fg8hx2ro6e День тому

    강의도 듣기전 소회입니당ㅎ 코로나 시점부터 디지털사회, 재택근무가 가속화되려나 반면 반갑기도 했는데.. it강국이라는 울나라는 불신이 만연해서인지 상대적 평가에 익숙해서인지 혼자인걸 견디지 못하는지, 문화후진국인지 재택근무는 물건너가고.. 복작복작 도시에 몰려 온갖 문제점을 양산하고 있네요. 캐나다 울아들은 알버타주정부 근무하는데... 에드먼튼회사로 한달에 한두번 출근하고 사정상 캘거리에 살면서 재택하고 있네요. 나도 선견지명있어 ㅋㅋ 일찌감치 시골로 들어 5g 폰, 디지털 사회의 혜택을 누리고 살고 있는데 제발 지방으로 시골로 널리 흩어져 나아가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해라

  • @user-vq6zb5xl3s
    @user-vq6zb5xl3s День тому

    우리나라가 망하고 소멸할 각오를 한듯 합니다 ㅠ

  • @user-oe1io2gf7t
    @user-oe1io2gf7t День тому

    이교수님이 국토교통부장관이되어 이런 좋은정책을 도입하세여

  • @au8342
    @au8342 День тому

    영끌로 젊은 청년들 신룡불량과 자살로 몰고 외국인에게 부동산 매매 혜택 쉽게 해주고 대한민국 살기좋은 나라로 이뤄주신 선조님들의 노고에 우리 민족이 누리지 못하고 와국인이 누리고 하물며 인구도 줄고 있는데 이나라를 지킬 인구가 없으면 땅을 사들인 외국인이 대한민국 차지하는 세상 올 것 같아 걱정.......

  • @mcjoo5130
    @mcjoo5130 День тому

    교수님 감사합니다

  • @user-qo4dd7rr2n
    @user-qo4dd7rr2n 2 дні тому

    교수님 우리민족은 역사의 문제가 있는것을 느낌니다. 삼국시대의 이기와 조선양반 이기주의 가 나라을 망치고 있다는 느낌입니다. 그러니 젊은층이 회의을 느끼고 인구소멸이 생긴것으로 생각합니다.

  • @user-qo4dd7rr2n
    @user-qo4dd7rr2n 2 дні тому

    꽁짜에 길들이는 게름뱅이을 만드는 정치인. 자기돈 아니라고 세금을 마구써대는 근성들 외국인 계절근로자 대신 일하는법을 가르켜야지 자기들 세수 줄이자하니 아무 응답도 없으면서.

  • @TV-nn4ym
    @TV-nn4ym 2 дні тому

    기득귄자들이 부동산 투기꾼들인데. 아무리 말씀하셔도 마이동풍일겁니다.

  • @user-ji3dn7wv1k
    @user-ji3dn7wv1k 2 дні тому

    이현훈 교수 같이 싱가포르에서 엄청난 사람으로 근무했던 이런 사람을 한국 경제 총리로 세우란 말이야 그러면 나라 살아난다고 답답한 정치인 바보 같은 놈들아

  • @hh-gx6tk
    @hh-gx6tk 3 дні тому

    출산 지원금 뿌리자는 법을 낼땐 법안낸사람 재산 50프로 의무적으로 넣도록 해야함

  • @user-qg2jj3yr1f
    @user-qg2jj3yr1f 3 дні тому

    이재명씨가 선거할때 싱가포르식 주택정책 한다고 했었어요. 그래서 윤석열한테 진거라고 생각드네요.말로는 문재인이 집값 올렸다고 비판하면서 실은 집값 떨어뜨리는 정책을 하는 이재명씨가 싫었던거죠. 몇년전 아파트값 고공행진할때 아파트에 플랭카드 붙었었는데 얼마 밑으로는 절대 팔지말라는 부녀회장발 플랭카드였죠..오를땐 시장경제라고 놔두라면서 내릴땐 담합으로 절대 안내릴려고 하는 저런 짓거리가 우리나라 아파트에 사는 평균시민 수준이에요.그러면서 이재명씨에게 욕한다 도덕적이지않다 비판하는 걸 보면 역겨울정도죠..본인들의 탐욕에 대한 비판엔 한없이 너그럽고 최소한의 윤리도 저버린채 이익만 주는 정치인만 미는 지금의 상태가 계속된다면 결국 그 부메랑은 국민모두에게 돌아갈겁니다

  • @ordovices7440
    @ordovices7440 3 дні тому

    이제까지 전세 대출로 전세 떠 받쳐서 집 값 부양했는데 앞으로 인구 줄어서 전세 값 내 줄 세입자도 줄어들 것 같으니까 재건축 재개발 바람 일으켜서 대규모 멸실 하려는 것 보세요 주민들도 집 값 오른다고 재개발 재건축 좋아해요 그냥 이 나라는 답 없어요

  • @user-yi6yk1sv5b
    @user-yi6yk1sv5b 3 дні тому

    지금 한국 실정이 어떤가요? 지방서 강남오기는 힘드니 경기도 왓다 서울변두리갓다 강남 가려는게 한국인데 주택 80%란건 hdb라고 한국으로 치면 임대주택 주공아파트 이런거에요 이걸 10개중 8개로 국가가 운영한다는 이야기임 큰틀은 이래요 좋나요? 한국 사람들 선호도가 있다고 보세요? 거쳐가는곳도 필요합니다. 맞아요. 거쳐가는곳이라도 여건이 안되거나 난 그렇게 생각안해. 여기가 좋아 충분히 그럴수잇죠 그런데 그게 80%로 국가에의해 운영된다? 면 이야기가 달라지는거죠 99.9% 한국과 안맞습니다.

  • @user-yi6yk1sv5b
    @user-yi6yk1sv5b 3 дні тому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에서 분리된 도시국가임 지도보면 어디선가 본듯한 형태인데요 서울하고 판박이임. 면적도 서울 1.1배수준 무일푼에서 살아남아야하니 일으킨것도 강력한 독재로 일어난 국가 리콴유라는 독재자에의해 경제성장이 된 국가인데. 찾아보면 공산국가 혹은 독재국가라 소개됨 기본적으로 한국 2024랑 맞지않음 부동산을 80%넘게 국가에의한 운영을 한다. 란건 공산정권 생각이죠 싱가포르는 실제 음식값이나 교통비는 그리 안비싸요 가장 문제는 주거비와 협소한 주거공간임 높은 주거비는 신입직원들에게 부담이되 쪽방거주하는데가 싱가포르임 한국과 맞다보나요? 일본주거도 좁다고 아우성 치는게 한국인데.. 기본적으로 안맞아요 더구나 도시국가의 기본틀을 한국에 적용시키는 매우 힘듭니다. 부동산 80%를 국가가 좌우한다 어찌 받아들일까요? 게다가 싱가포르는 부동산값 높기로 소문난 곳임 싱가포르 일반서민들 주거형태 찾아서들 봐보세요. 말이 필요없음 어떠한 정책이 잇을시는 기본적으로 국민현실이나 정서. 합리성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거죠 싱가포르 바로옆이 말레이시아라 국경넘는데 한두시간이면 넘어가서 거기서 생필품 사는 사람들도 많음 싱가포르 소득이 7500가까이 되나? 우리 두배인데요 한국기준으로 기본 생활품은 그다지 높지 않아요 센토사섬이 관광지라 가장 비싸고 남쪽라인 으로 기본 전철 깔렷는데 위로 올라감 일반 서민 생활하는곳들 존재하는데. 음식값은 한국과 비슷 수준. 교통비는 버스.전철. 그랩이라는 택시 이용해봣는데 그다지 비싸지는 않은데 문제는 주거비임. 높은 주거비에 쪽방거주. 싱가포르 예는 한국과 어울린다고 보기 힘듭니다. 싱가포르 직접가서 지하철 비용.환경. 택시비용 죄다 일일이 현지서 조사햇어요 왜 햇냐구요? 다른곳의 생활은 어떨까? 내눈으로 보는게 내 재미거든요 사기꾼들이 판치는 나라임 입으로만 조잘거리는 한국 내가 직접 확인해야죠 지하철 시스템이 어떤가 창이공항이 1위공항이라는데 왜? 봐야죠 창이공항은 관광지입니다 아주 분위기좋아요 레이저쇼도 잇고 미니정글도 잇고 싱가포르 예는 안맞다 입니다 안가봣음 몰라도 가서 한정거장 두정거장 가는데 비용. 택시 킬로당 비용 등 죄다 경험하고 온 입장에서 말함

  • @user-qo6cf2fp8p
    @user-qo6cf2fp8p 3 дні тому

    이나라는 절대로 안한다니까요 국힘과 윤대통령을 교수님이 만나서 강력히 주장하라니까요

  • @user-zt6le3ke3b
    @user-zt6le3ke3b 3 дні тому

    니가 져서나눠줘라

  • @user-qo6cf2fp8p
    @user-qo6cf2fp8p 3 дні тому

    교수님이 주장하는것이 황장수의 뉴스브리핑의 황장수 소장님의 국가적 원가주택공급정책과 똑같습니다. 그런데 이놈의 나라는 기득권 편이어서 절대 안할걸요 서울기준으로 700만원이면 32평 2억 3천 정도면 청년들이 집도 소유하고 아기도 낳을텐데 이놈의 나라는 오직 집값 띄우기 정책만 하고 있으니 참으로 한심한 나라네요.

  • @minimi4863
    @minimi4863 3 дні тому

    언론은 집값오른다고 신났어요~ㅎㅎ

  • @user-vt1xc6hy2g
    @user-vt1xc6hy2g 3 дні тому

    맞는 말씀 한시적이라도 정책(특별법)을 바꿔야 된다고 봅니다...

  • @user-kv8xw6ip8c
    @user-kv8xw6ip8c 3 дні тому

    감사합니다ㅡ정말맞는말씀입니다ㅡ우리나라는되려꺼꾸러가는정책을씀니다

  • @user-qo4dd7rr2n
    @user-qo4dd7rr2n 3 дні тому

    교수님 말씀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유럽 선진국들을 보면 공직들이 스케일을 크게보는데 우리는 공직들이 조선양반 습성을 가진것에 백성이 피곤하다는 생각이듭니다.

  • @jsteacher1905
    @jsteacher1905 3 дні тому

    이현훈 교수님 같은 분이 국토교통부 장관이 되셔야 대한민국에 희망이 있습니다.😊

  • @user-ls3dj4jl1u
    @user-ls3dj4jl1u 3 дні тому

    우리나라는 정치인 관료 기레기들이 썩어도 너무 썩어서~~

  • @corkagefree
    @corkagefree 3 дні тому

    그게 아니고.. 싱가폴은 애초에 땅이 국가 소유에서 시작한 사회주의 독재국가라서 가능하고. 한국은 땅이 개인 소유인 자본주의 공화정 국가라서 불가능한거죠. 싱가폴 친구 말로는, 애초에 나라에서 600만명이 살 수 있는 주택정책을 수립하고 국가를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도시국가라서 '입지'에 대한 개념도 한국보다 작고요. 한국은? 시작부터 그런 도시계회도 없었고, 땅도 개인 것이고, 국토도 넓고 산이 많아서 결국 한곳에 집중되는 형태가 나오죠. 그게 서울인거고. 5천만명이 서울과 수도권 요지에 살 수가 없는데. 정부 주도의 양질의 주택 공급은 불가능하죠. 건축비가 평당 1천만원을 넘어서고 있어요. 땅이 0원이래도 국평 아파트 건축비만 5억원이 넘어갑니다 (공용면적 포함해야해서) 거기에 땅값 해봐요. 국평 아파트 얼마나 분양해야 하나..;; 아무리 정부에서 주도를 해도 정부가 세금으로 짓지 않는한 싼 집은 불가능합니다. 거기에 입지는 어쩌려구요. 싸게 한 7억에 분양한다 칩시다. 근데 역세권은 커녕 외진 곳에 있어요. 젊은 층이 들어가겠습니까? 지금은 모두가 눈높이가 높아진게 문제인 겁니다.

    • @the4th-way
      @the4th-way 3 дні тому

      그렇다면 진짜 사회주의 독재국가인 중국은 왜 집값이 그렇게 높은가요? 싱가포르는 우리나라보다 인구밀도가 훨씬 높은 나라입니다. 그리고 싱가포르는 전세계에서 가장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발달한 나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지도자와 공무원들이 집만은 투기의 대상이 아니라 거주의 대상, 즉 집은 공공재적 성격이 강함을 분명히 하는 정책을 건국초부터 추진해 오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정치지도자들과 공무원들도 이렇게 생각을 고쳐먹으면 충분히 집값을 안정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런데 도리어 부동산시장에 개입해서 집값을 띄우는 정책을 쓰고 있으니 정말 어의가 없습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렴한 공공주택을 공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조만간 방송에서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 @corkagefree
      @corkagefree 3 дні тому

      @@the4th-way 첫 댓글에서 설명드렸듯. 1) 싱가폴은 도시국가라서 지역적 차이가 크지 않아서 특정 지역에 사람이 몰리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부자동네 가난한 동네는 있습니다만) 중국은 한국보다 더 심할 수 밖에 없지요. 땅덩이가 크면 지역적 선호가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중국 대도시 집값이 한국 서울보다 비싼게 더 정상인 겁니다. 10억명이 집중하는 것과 5천만명이 집중하는게 다르니까요. 2) 싱가폴은 애초에 600만명 거주지를 확보하는 도시 계획하에 시작되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 땅이 여전히 고스란히 남아 있어요. 국가 소유 입니다. 중국처럼 장기 임대도 안합니다. 중국이 진짜 사회주의 공산주의인지는 모르겠는데요. 싱가폴에서 '독재'가 중요했던 것은 저 사회주의 정책을 강하게 추진할 수 있었다는 의미고. 중국은 애초에 근본이 그렇지 못하고, 평등한 세상에 대한 계획도 없었기 때문에 독재의 장점(?)조차도 이용 못하고 단점만 있게 된거지요. 저렴하게 주택을 공급할 수 있는 계획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 소견은 결국 세금으로 짓느냐, 개인돈으로 짓느냐인데. 국평기준 순수 건축비 5억원 이상을 해결할 방법이 있다는거지요? 지방 이상한데 지어봐야 소용이 없는 것이고, 젊은이들이 원하는 좋은 위치에 땅을 구할 수도 있구요? <- 이게 전 불가능하다 보는 겁니다. 집은 그냥 지으면 되요. 지금도 지방에 좋은 위치 아파트 쌉니다. 그러나 거길 누가 가요.. 노인들도 꺼리는데..

  • @user-gz1mw8sg1t
    @user-gz1mw8sg1t 3 дні тому

    항상. 감사합니다 ~~😊

  • @user-zv7hu1kb6x
    @user-zv7hu1kb6x 3 дні тому

    우리나라는 사법조직 즉, 경찰 검사 판사가 썩어서 힘없는 백성에게서 백만원씩 띁어내서 골프비용에 충당하고 있습니다. 내 말이 믿기지않으면 검찰청 및 법원 민원실에 하루만 곁에서서 지켜보십시요. 정치인들은 현실은 외면한채 검수완박 운운하니 가소롭습니다. 국민의 30%는 힘없는 백성이고 일생동안 사법조직 법망에 걸려들지않기만 바랄 뿐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왜 젊은이가 애를 안낳으려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자신은 물론 2세까지 2등 국민 만들고싶지않으리까요.

  • @lightcone7854
    @lightcone7854 3 дні тому

    한국에 이같은 정책을 도입하면, "빨갱이 정책, 도덕적 해이"등등으로 보수 정당, 민간 건설사, 언론들이 가만이 있지 않을것. 지선/총선/대선에서 표 떨어지는것을 두려워하는 정당과 정치인들은 이같은 정책 추진하기 어려울듯. 언론이 개혁되지 않고는 이처럼 좋은 정책조차도 추진하기 어려울듯. 깅가포르 교민이 댓글 올립니다.

  • @user-dh8tb8ft6g
    @user-dh8tb8ft6g 3 дні тому

    와~~~싱가폴 정말 부럽습니다....왜 이런 좋은 정보를 기존 언론에서는 다루지 않는지....싱가폴은 주택이 완전 거주의 개념이네요......^^

  • @user-xg7ut7un7s
    @user-xg7ut7un7s 3 дні тому

    애들키우는데 애보고 너는 왜그르냐 다그치면 아이가 밥상 업고 나가요! 그래서 아무소리 못합니다요^^ 작금에 시국이 그렇 습니다요

    • @user-xg7ut7un7s
      @user-xg7ut7un7s 3 дні тому

      좋은정책 은 세계최강 대한민국이 최고인데 높으면 높을수록 그좋은법을 악용해서 문제 입니다요

    • @user-xg7ut7un7s
      @user-xg7ut7un7s 3 дні тому

      이재명은 중국 공산당 과 같이가려 합니다 강력하게 막아야 됩니다 대통령 돼면 대한민국은 끝입니다 요 ~자유민주 미국이 한국경제 나락으로 만들고 북한경제와 같은 동급 으로 갑니다

    • @ordovices7440
      @ordovices7440 3 дні тому

      "너는 왜 이렇게 하냐" 시어머니가 맨날 하던 말인데 진짜 듣기 싫어요 본인도 잘 하는 거 없으면서 지적질

    • @user-oq2ie8pm9w
      @user-oq2ie8pm9w 3 дні тому

      맞아야 할걸 그냥 둔다네 ㅋㅋ우리땐 저러면 dg게 처맞고 밥안줬다 ㅋㅋ

  • @user-nw4ne3wy7n
    @user-nw4ne3wy7n 3 дні тому

    곧일본처럼 저성장으로 집값이 떨어질거라생각합니다 자식들이걱정없이 살수잇는 나라되어야 너무많은 빛을 떠넘겨서는 우리시대가 정말 각성해야

  • @user-fl3xy8nt3z
    @user-fl3xy8nt3z 3 дні тому

    오늘도 좋은영상 감사드리며 공익추구형 정치인이 많아지길 ᆢ^^

  • @user-ou2xy4cg5x
    @user-ou2xy4cg5x 3 дні тому

    에휴 당위론

  • @user-lu3lw8ff3x
    @user-lu3lw8ff3x 3 дні тому

    유튜브의 성인 이십니다

    • @the4th-way
      @the4th-way 3 дні тому

      과찬의 말씀 감사하고 부끄럽네요. 모두가 살기 좋은 나라를 만들기 위해 열심히 하겠습니다.

  • @user-px6dr8mn3j
    @user-px6dr8mn3j 3 дні тому

    불안불안합니다. 경제 잘 은 모르지만 이거 몬가이상합니다. 큰일이한번 터지지않을까걱정입니다

  • @user-tv9mx6bd5e
    @user-tv9mx6bd5e 3 дні тому

    이렇게까지해야 살기좋은사회 세계최고의 선진국이 됩니다

    • @the4th-way
      @the4th-way 3 дні тому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열심히 목소리를 높이겠습니다.

  • @user-tv9mx6bd5e
    @user-tv9mx6bd5e 3 дні тому

    싱가포르관광가이드가이나라의 공중도덕을강조하면서 길에서 껌을씹지못하는데 어떤사람이 껌을씹다 경찰에 들켰는데 삼키고는 아니라고우겨서 병원가서 엑스레이검사까지 찍어 처벌했다고

  • @hudyaus2467
    @hudyaus2467 3 дні тому

    부동산 막장의 나라 모든 국민이 부동산에 미쳐가는 나라 젊은 이들이 희망이 없는 나라 정부는 부동산 시장에 맡겨라

  • @user-lm6oy8yn6f
    @user-lm6oy8yn6f 3 дні тому

    참좋은말씀입니다외국인은집을소유하지못하게하고18평에서24평을거주권을주고1가구1주택에1차주민2차무주택자3차신혼부부4차3인이상

  • @kcastnet
    @kcastnet 3 дні тому

    상속세와 증여세를 폐지해 금은동 수저들이라도 아파트를 빨리 물려받아 결혼을 할 수 있는 동인을 제공하여 출산율을 올리겠다는 절박한 정책이 필요합니다. 특별한 예산이 필요한 것이 아니고 정치 쓰레기 모임인 국회에서 글자만 삭제하면 됩니다. 기억이 정확하지 않지만 싱가포르 상속세와 증여세가 없을 겁니다

    • @jip3705
      @jip3705 3 дні тому

      부모한테 미리 지원받아 집장만 끝냈음..2030 대출없이 서울에 집장만한 사람 많음.. 그리고 싱가포르가 상속세 증여세 없어도 될만큼 나라에 돈이 넘쳐나고 국민들 역시 고연봉에 금융자산 소득까지 많아 부동산에만 몰빵된 한국과는 비교됨.. 우리나라에 세수중 증여 상속세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그거 없애면 나라 망함..

    • @kcastnet
      @kcastnet 3 дні тому

      @@jip3705 상속세 증여세가 전체 세수의 몇% 정도인가 라는 주제로 사실상 의미가 없다고 3프로 유트버에서 고찰한 적이 있음. 대한민국은 3대를 거치면 재산이 0원이 됨... 자신이 죽도록 번 아파트 한채등 재산을 자식에게 물려주자면 반을 국가가 삥을 뜯어가는 제도 때문에, 그래서 큰 부자들은 외국으로 이민가는 등 재산을 자식에게 물려주기 위해 노력 중임 즉 인재유출되고 회사와 인재 유입안되고.. 홍콩의 금융자본이 싱카포르로 향한 이유는 뭘까요? 과거 아시아 금융허브 하겠다고 날뛰던 한국 대통령과 국회가 있었죠...? 싱가포르가 돈을 버는 이유는? 산업은?

    • @ordovices7440
      @ordovices7440 3 дні тому

      상속세 증여세 낼 만한 금은 수저들은 이미 다 결혼하고 애 낳았습니다만 진짜 있는 것들이 더 독하다더니

    • @kcastnet
      @kcastnet 3 дні тому

      @@ordovices7440 여자라면 상향혼 하시고 남자라면 공부를 열심히 해 전문직이 되시던지 몸을 잘 사용해서 손흥민 같은 부자가 되는 길을 가시길 바랍니다. 모든 분야에서 1%는 부자가 됩니다. 그리고 나이도 어린것이 말 놓지 말아라~ 버르장머리 없는~

  • @user-ni3kw4qr8l
    @user-ni3kw4qr8l 3 дні тому

    집값 안정화야말로 대한민국을 살리는 길이라고 생각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