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부동산 붕괴 시나리오는 이미 시작됐다⎮분석왕 한국 부동산 문제 몰아보기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0 тра 2024
  • ✅ '채부심'채널의 정수! 도서 [피크아웃 코리아] 출간! 영상의 솔루션을 책으로 확인해보세요!
    예스24 링크
    www.yes24.com/Product/Goods/1...
    교보문고 링크
    product.kyobobook.co.kr/detai...
    알라딘
    www.aladin.co.kr/m/mproduct.a...
    #아파트 #부동산 #집값
    ✅ [네프콘] 채상욱의 아파트 가격&가치 연구소 구독하기 bit.ly/3PDlUtq
    ✅ [도서] 아파트, 이 가격오면 사라! (소름공식 책)
    예스24: bit.ly/3N0K7qC
    교보: bit.ly/3oW6R3d
    ✅ 텔레그램채널: t.me/aptvalueprice
    00:00 노인빈곤 - 집값 떨어지면 굶어죽는 나라
    07:56 청년 비혼 - 서울의 2030이 결혼하지 않는 진짜 이유
    17:33 저출산 - 많이 낳을수록 굶어죽는 나라
    30:33 수도권 집중화 - 서울공화국의 붕괴 시나리오는 이미 시작됐다
    46:40 금리시리즈 1 - 저금리시대가 다시 오지 않는 이유
    1:23:03 청약제도 - 한국의 청약제도가 부동산을 망치는 이유
    1:43:47 금리시리즈 2 - 역사상 한 번의 예외도 없었던 경제위기의 징조

КОМЕНТАРІ • 1,2 тис.

  • @chaeboosim
    @chaeboosim  8 місяців тому +61

    ✅ [네프콘] 채상욱의 아파트 가격&가치 연구소 구독하기 bit.ly/3PDlUtq
    ✅ [도서] 아파트, 이 가격오면 사라! (소름공식 책)
    예스24: bit.ly/3N0K7qC
    교보: bit.ly/3oW6R3d
    ✅ 텔레그램채널: t.me/aptvalueprice

    • @createandbuildcorporation
      @createandbuildcorporation 8 місяців тому +5

      교보문고에서 추천해주신 책들 사보고 있숩니다!! ㅎㅎ

    • @today6061
      @today6061 8 місяців тому

      부동산 정석 버블 꼭지점은 2012년이고 앙적완화의 버블시작됐음.
      그이후는 투기기득권 토건족 토착왜구언론 동남쪽토착왜구국짐당 이 짜고 일반 국민들한테 넘기는 기간였음.

    • @user-tw3tk8mb9c
      @user-tw3tk8mb9c 8 місяців тому

      😊😊😊😊😊😊😊😊😊😊😊😊😊😊😊😊😊😊😊😊😊😊😊😊😊😊😊😊😊😊😊😊😊😊😊😊😊😊😊😊😊😊😊😊😊😊😊😊😊😊😊😊😊😊😊😊😊😊😊😊😊😊😊😊😊😊😊😊😊😊😊😊😊😊😊😊😊😊😊😊😊😊😊😊😊😊😊😊😊😊😊😊😊😊😊😊😊😊😊😊😊😊😊😊😊😊😊😊😊😊😊😊😊😊😊😊😊😊😊😊😊

    • @user-tw3tk8mb9c
      @user-tw3tk8mb9c 8 місяців тому +2

      😊😊😊😊😊😊😊ㄱ😊😊😊

    • @user-fx7ly9gt3u
      @user-fx7ly9gt3u 8 місяців тому +2

      ❤❤❤❤❤❤❤
      ❤❤

  • @Trucker_HoiHoi
    @Trucker_HoiHoi 8 місяців тому +348

    이렇게 고급 정보를 자유롭게 볼 수 있다는 것이 유튜브의 순기능 같아서 너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jaxian
    @jaxian 8 місяців тому +66

    부동산이 인구를 줄였고, 이것은 고스란히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칠겁니다...

  • @shp2024
    @shp2024 8 місяців тому +106

    근복적으로 외벌이로 생활자체가 안되기에 부모중 누구하나 애를보면되는데 애볼사람이 없는거지요 그리고 전 집값때문에 결혼 30대후반까지미뤘고 30대후반에 결혼하다보니 노산으로 애한명 낳기도힘드네요. 이게 우리나라현실이라봅니다. 결혼시기가 집값으로인해 30대중후반으로 미뤄진게....

    • @edm2756
      @edm2756 Місяць тому +4

      외국에서 결혼하고 사는걸 보고나니 한국은 전국민이 상류층인것마냥 자식 결혼에 간섭함. 집안 반대로 깨지는 커플들을 너무 많이 봄. 얼마 차이도 안 나는데 그 차이로 반대하고.. 완벽한 집안, 사람은 없는데 그걸 갖추려고 난리치다보니 다들 나이들어서 결혼하고 임신도 안되고… 사고쳐서 편부모가 되어도 수용 가능할 정도로 유연한 사회가 되어야함. 근데 안 되겠지 ㅋ

  • @rldjwnsj3994
    @rldjwnsj3994 8 місяців тому +311

    집값 너무 비싸고 육아에 드는비용이 비싸니(주로 학원비) 결혼을 미루고 아이를 적게 낳거나 안낳거나 하고....맞는말 같은데요

    • @soul-jm1pu
      @soul-jm1pu 8 місяців тому +37

      거기에 경단녀 되는 순간 최저임금 계약직에 전전하게 되죠. 수명은 백세라는데..

    • @user-me7di1zc4q
      @user-me7di1zc4q 8 місяців тому +19

      물가 올라서 건축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건설사들도 수지타산 안맞아서 주택 공급은 계속 줄어들어 집값이 상승하고 있는데 그놈의 경기 침체 및 경제 폭망으로 인한 집값 하락은 도대체 언제 오나요?

    • @user-ic4dz5it4k
      @user-ic4dz5it4k 8 місяців тому

      @@user-me7di1zc4q 금리 올라서 집값떨어지는게 정상인데 정부가 정책으로 집값떨어지는거 막는거같은데여 언론보도도 서울은 집값올랏다니 뭐니그런뉴스만나오는거같고

    • @user-de7uc9en5r
      @user-de7uc9en5r 8 місяців тому +8

      대한민국 저출산 1위 자살율 1위 무슨 집값
      올라 아파트 100년된 아파트 재건축 힘들어

    • @user-ph8hs3el4c
      @user-ph8hs3el4c 8 місяців тому +7

      그래서 아예 출산을 안함

  • @lycos888
    @lycos888 8 місяців тому +117

    학자들도 수도권 집중이 문제의 근본 원인이라는 걸 아는데 서울 부동산 가격 떨어지면 안 되니 외면하고 딴 얘기하는 거죠.

    • @user-pn1pc7lo3u
      @user-pn1pc7lo3u 3 місяці тому +3

      수도권이 집중되서 효율적으로 인프라비용을 줄일수있었고 소프트웨어 인력 시너지로 오늘날의 첨단산업 경쟁력이 생겨난겁니다. 중후장대 산업 위주였으면 지방은 여전히 활력이 있었겠지만 현대사회의 대한민국 경쟁력이 낮아졌을겁니다. 수도권화가 원인은 맞겠지만 그걸 포기했으면 우리나라는 철저히 중진국에서 제조업중심의 산업개편 절대못했을겁니다.

    • @jj4814
      @jj4814 2 місяці тому

      ​@@user-pn1pc7lo3u 공감 ❤

    • @LinksArc
      @LinksArc 2 місяці тому

      한국은 수도권집중과 도시화율이 오히려 외국에 비해 적은편입니다. 선진국중에서 한국보다 도시화율이 낮은 국가는 기껏해봐야 미국이랑 캐나다같은 거대국가만 존재합니다.

    • @user-pn1pc7lo3u
      @user-pn1pc7lo3u 2 місяці тому

      @@lycos888 인구밀도만 보면 그렇죠. '도시화'라는건 인구만이 아니라 산업, 인프라, 문화 모든걸 총망라하는것인데, 선진국들의 인구밀도가 적을수있는건 축적된 산업자본과 집중화된 도시들이 여러개 존재하고, 각각의 도시가 기능을 달리 하고있기때문일 겁니다.
      우리나라는 축적된 산업자본이라는것 자체가 없었고 인프라를 전국 곳곳에 흩어서 세울만한 내수시장, 인구수도 안됩니다. 땅덩어리가 적은것도 한 몫 하고, 대부분이 산지인것도 마찬가지죠.
      지방에 도시화를 계획한게 사실상 혁신도시인건데, 그 엄청난 인프라비용 들어갔지만 지금 혁신도시 가보셨나요..?
      돈을 쏟아붓는다고 되는게 아니더군요.

    • @user-pn1pc7lo3u
      @user-pn1pc7lo3u 2 місяці тому

      @@lycos888 몰빵해서 얻은거.. 소프트파워요. 중공업 유지했으면 지금쯤 중국 또는 중진국 꼴 났겠죠. 수출로 먹고사는나라가 세계경제 휘청이고 기술발전 못따라갔으면 지금대한민국도 없어요;; 소프트파워는 철저히 인적자원의 고도의밀집도가 필요한걸요..?

  • @angssaemlee4417
    @angssaemlee4417 8 місяців тому +94

    기득권 세력들이 모두 땅과 집을 가지고 있는데 자기 재산을 지키려고 절대 변화화 시키지 않을 것입니다.
    이들은 자기만 잘 먹고 잘 살자지
    국민을 호구와 돈으로 보기에 모두 빚쟁이로 만들잖아요.
    앞으로 결혼과 출산율은 더 낮아질 것입니다.

    • @user-gq4or2lt5q
      @user-gq4or2lt5q Місяць тому

      지랄하네 니들이 민주당 찍어서 이리됨

    • @ahaejo8989
      @ahaejo8989 Місяць тому

      그걸 청년들이 눈치채고 안낳는거죠..
      집값상승이 말도안되는 수준입니다.
      소득대비 집값높은걸로 이미 1순위가 한국인데요.. 지들끼리 폭탄 돌리게 냅도야져 뭐..

  • @user-qg2jj3yr1f
    @user-qg2jj3yr1f 8 місяців тому +218

    건설 부동산 카르텔 사교육 카르텔을 건드릴 정치인이 있을까요? 여지껏 못건드리고 노무현때 수도이전 하려고 했을때 기득권들이 어떻게 했는지 봐왔잖아요. 기득권들의 탐욕때문에 이렇게 인구절벽에 나라가 없어진다는 말까지 나오게된거같네요. 참 정치인이 필요한때라고 봅니다.

    • @user-fd4qb9sk6c
      @user-fd4qb9sk6c 8 місяців тому

      김대중 정부시절 박정희 정부 계속 평당 분양가 105만원으로 묶어놓은거 풀었습니다. 결국 아파트 분양가를 올렸죠. 노무현정부는 세금 거두려 아파트값 마냥 올리고, 2주택자들 범죄자 취급하고, 앙극화 만들고는 부자 증세라면서 종부세 만들었죠.... 박근혜 정부때 집값 완전 반토막 났죠.. .
      오죽하면 부총리도 빚내서 집 사라고 까지 했었죠.....
      수도 이전 안해도 떨어질 이유면 떨어지는 거죠. 노무현 정부가 집값 2배씩 올렸는데 ...
      박근혜 정부는 반토막 냈죠.. 문재인 정부는 3배는 올린것 같습니다.
      노무현대통이 기득권과 친합니까?
      기득권 압력에 수도 이전 안하신건가요?
      통일대비에 남쪽 수도 이전이 맞는걸까요?
      좌파 정부 했던 일 해석에 왜 기득권을 끼워 넣으셨는지 이해 불가네요......
      정치 잘못으로 인구 절벽도 기득권 탓....

    • @user-yc6vn4df8l
      @user-yc6vn4df8l 8 місяців тому +42

      건설사 살리기에 제일 혈안이 되있는 정부가 지금 정부죠
      부자만 국민이라 생각하는 듯

    • @sarahhan8042
      @sarahhan8042 8 місяців тому +37

      네~ 그때 행정수도 만이라도 이전했더라면... 결국 관습법이라며 수도 이전 반대한 자들에게 망국으로가는 초 저출산의 책임이 있습니다.

    • @HJ-ud1mp
      @HJ-ud1mp 7 місяців тому +30

      수도 이전한다니까 여야정치인들이 한몸이되어 탄핵 정국 주도했죠ㅋㅋㅋㅋㅋ

    • @gganggriri
      @gganggriri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결국 그래서 노무현 어떻게 됬나요. 문정권 부동산 정책도 결국 기득권때문에 망한겁니다. 규제정책나오고서 바로 언론 쌍나팔불고 국민들 특히 2030 이렇게가면 너흰 집못산다 부추켜서 정부 정책 공격하고 영끌하게하고. 저금리때문에 결국 가격오르겠지만 영끌땜에 비정상으로 더올라서 버블도 비정상으로 엄청커져버리고. 기득권들이 숨죽이고 그나마 아무소리 못한때는 국힘이 정권잡아서 imf왔을때 잠깐인거같네요. 우리나라 전체비율중 기득권은 몇프로 안돼요. 개혁하려는 대통이 나오면 나머지국민들이 모자르고 못하는 부분이 있어도 본질을 생각하며 계속 지지해서 대통이 고쳐가면서 할수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지해줘야 겨우 성공할거에요. 기득권을 조정하고 사회구조를 개혁하고 진정한 민주주의를 이루는게 깨우친 국민들이 대부분이 되야 가능하지않을까요. 그래서 혁명은 쉽고 개혁은 어렵다고한 말이 생각납니다

  • @user-ff2hi3nb1d
    @user-ff2hi3nb1d 8 місяців тому +59

    아이셋 엄마 입니다.
    SNS안합니다.
    나도 모르게 비교하게될까봐.
    귀찮기도 하고요.
    아이들에게 20살부터는 어른이니 알아서 생활해야한다고 이야기하고있습니다.
    대신 노후는 아이들에게 아무 부담이되지않도록 연금들을 준비하고 있지요.
    아이들이 본인의 능력에 맞는 직업을찾고 행복하게 살기만을 바랄뿐입니다.
    그럼에도 요즘 아이들과 너무 차이나게 키우는게 아닌가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ㅡㅡ

    • @user-fc8tk8qv6o
      @user-fc8tk8qv6o 7 місяців тому +11

      잘 키우고계시는거라고봅니다
      남과비교하는 인생은 불행의시작이죠
      화이팅

    • @ralee5952
      @ralee5952 3 місяці тому +1

      대학가지 말라고 고사를 지내시네요

    • @Jay3-wj5fu
      @Jay3-wj5fu 3 місяці тому +1

      @@ralee5952너같은놈 때문에 한국이 망함

    • @user-gq4or2lt5q
      @user-gq4or2lt5q 2 місяці тому +2

      여자들이 비교가 심함

    • @user-ef3jw4ow9f
      @user-ef3jw4ow9f 17 днів тому +1

      @@user-gq4or2lt5q
      남자들은 자동차 비교 로렉스 시계 비교
      또한 예쁜 여자 비교 날씬한 여자 비교 비교 비교 ...

  • @user-ji4km6jp3p
    @user-ji4km6jp3p 8 місяців тому +168

    정부주도로 수도권 시골에 국립 실버타운 공동체 빨리 구축해야 합니다. 가벼운 노동이나 스마트팜 운영할수 있게 노동력 제공하게 하는 형식으로요. 노인문제를 실버타운 형식으로 먼저 해결하지 않으면 해결의 시작도 못하는거임

    • @jeongsukha7239
      @jeongsukha7239 8 місяців тому +10

      좋은 의견입니다.

    • @user-tm2yw9tr4p
      @user-tm2yw9tr4p 2 місяці тому +1

      동감합니다. 국가가 운영하는 실버타운이 필수적임

    • @user-tm2yw9tr4p
      @user-tm2yw9tr4p 2 місяці тому

      병원딸린 실버타운필요

  • @user-nt8oo5qj3l
    @user-nt8oo5qj3l 8 місяців тому +59

    집을 투기목적으로 보니까 그렇습니다. 집을 수집채 수백채 보유하는 졸부들이 많기때문입니다.. 그래서 아무리 아파트 지어도 부족한거구요..
    공급과 수요에 의해 아파트 공급은 여태 끝임없이 증가했는데 집값은 왜안떨어졌는냐. 그건 고위공직자들 과 재벌건설사의 카르텔 구조가 더크다고봅니다.

    • @user-ky9gx3mi9i
      @user-ky9gx3mi9i Місяць тому +3

      이렇게 아는척하면 바보같은 소리를 하게 됩니다. 집을 수십채 보유하면 집을 수십채 임대로 내놓게 됩니다. 취득세 거래세 인테리어비는 다 임대인이 부담하죠.
      그러면 전세 월세가 싸져서 좋은 거주환경이 마련되어 젊은층이 더 쉽게 삶을 꾸려갈수 있죠.
      진짜 멍청한 사람들은 댓글 못달게 막았으면 좋겠습니다^^
      채상욱 소장이 얘기하는 논지는 수도권 과밀인데 또 집값/다주택자 소리를 하고 있으니 ㅉㅉ

    • @joungdong
      @joungdong Місяць тому +1

      @@user-ky9gx3mi9i 이런 웃기는 소리...임대인이 손해를 보고 임대를 놓을까요? 그럼 다주택을 절대 안하죠...이걸 혹새무민이라고 함...주택을 많이 소유할수록 손해라면 아무도 안 하려하고 공급도 물론 줄겠죠...공급이 줄어도 수요가 있으면 가격이 하락한 후에 소량씩 공급이 늘어나겠죠.

  • @user-gi2bk1lp8q
    @user-gi2bk1lp8q 8 місяців тому +65

    지방 소도시에서 부부 공무원으로 신축 국평이 3억대입니다... 만일 우리가 수도권에서 살았다면 아기 낳고 내 집 마련 꿈도 못꾸었을거 같아요... 물론 집값 상승 기대없이 또 대출없이 행복히 사는거에 만족합니다😂

    • @ch-pb5zo
      @ch-pb5zo 8 місяців тому +11

      최고입니다^^ 부러워요~

    • @SharingForFamily
      @SharingForFamily 3 місяці тому +2

      결혼한 딸도 수도권으로 이직시 자녀계획 없다고 함. 지금은 광역시에서 회사 다니지만 메리트가 없어지면 이직 고려.
      젊은이들이 일에서 안정을 찾지 못하면 결혼해도 출산부터 제외됨. 현실적으로 동의할 수 밖에 없음.

  • @user-ox7lw1pp8u
    @user-ox7lw1pp8u 8 місяців тому +23

    경매가 쏟아지고 있어서 화면 보기도 힘들어요 그런데 대기물량도 어마무시 하답니다 경매 수십년 하신분이 이런적은 처음이라고

    • @user-uv5ss9rn5o
      @user-uv5ss9rn5o 23 дні тому

      내년에 피크일 겁니다. 그래서 대기 중입니다. 물량이 너무 많아 절반 가격에도 단독 입찰도 수두룩할 겁니다.

  • @user-wh2yz5zg2l
    @user-wh2yz5zg2l 8 місяців тому +54

    정부는 알면서도 절대 못 건드리는 문제. 결국 표에만 치중하면 패망의 길로 가는건데... 뭐 과한것도 적당히 과해야지

  • @user-cc8jj6lg2f
    @user-cc8jj6lg2f 8 місяців тому +103

    의식주가 서민들이 살 수 있어야 인구감소가 해결됩니다...만고의 진리이니 정부가 있는거고요... 정부가 그 역할, 기능을 상실하면 그 나라는 남미같이 선진국에서 후진국으로 추락만 있을 뿐입니다.

    • @jaehoonha6
      @jaehoonha6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채찍으로 해결가능. 세금을 신설하여 결혼, 출산을 안하면 일본처럼 세금으로 조지면 됩니다.

    • @user-uy9dy5tz4p
      @user-uy9dy5tz4p 8 місяців тому +16

      정부 , 국회가 손을 놓고 있는거 같아요. 정치인들 중 그 누가 출산률 부분을 언급하나요? 경제 활동 기간이 짫으니 자식 낳으면 부양 못할거라는 생각이 깊게 자리하니 안낳는 거죠. 넘 공감해요. 50대인 저희도 아이 2명 낳는것에 대한 부담이..회사 중간까지 다니다 말까봐였어요.

    • @King_Cider
      @King_Cider 8 місяців тому +1

      @@jaehoonha6 개소리한다 .결혼할 여건부터 만들어줘라 ㅅㅂ

    • @SW-lg1xs
      @SW-lg1xs 7 місяців тому

      ​@@jaehoonha6ㅋㅋㅉㅉ

  • @tomilee78
    @tomilee78 7 місяців тому +50

    지금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같지만 어쩔수 없이. 부동산 가격 현실화, 지방대 강화 및 분산등 할수 있는 모든걸 해서 국가존치위기를 넘겨야 한다. 기득권이 많은걸 포기해야 할수 밖에 없다.

    • @gganggriri
      @gganggriri 6 місяців тому +6

      교육개혁을 얘기하는데 여기도 기득권이 잡고있어요. 대학개혁을 해야할텐데 기득권들이 가만있을까요. 문정권때 부동산 규제 제대로 한것도 아닌데 엄청난 저항이 있었잖아요. 국민들 욕심 부추겨서 규제하면 돈못벌수있다 언론들이 뉴스를 얼마나 많이 했어요. 결국 버블을 엄청나게 일으킨 결과가 되어버렸고. 교육을 개혁해도 사회구조적 문제로 그 직업으로 돈을 못벌것같으면 개혁망합니다. 결국 사회구조를 장악한 기득권들이 가장큰 문제에요.

    • @user-zo5yb9bv5s
      @user-zo5yb9bv5s 3 місяці тому +1

      지방대강화? 바로 지잡드립치며 조롱하다끝남

    • @user-de4qj9jk4u
      @user-de4qj9jk4u 3 місяці тому +2

      기득권특 그건 내가죽은다음에 내새끼들한테 영향이없는선에서 사회적합의가
      있어야함 ㅋ

  • @jsahn1042
    @jsahn1042 8 місяців тому +58

    마르크스가 한 명언이 딱 맞네요. 존재 방식이 의식을 규정한다. 한국인이 자신의 의식이 잠자고 먹고 입는 방식에 지배 받는지가 한참인데,, 자기 스스로의 생각,사고라고 착각하는거죠

    • @yoilk81
      @yoilk81 8 місяців тому +8

      정작 그 인간 자손들은 자본주의의 개가 되서 유튜버하는중 ㅋㅋㅋㅋㅋ

    • @user-fv8uy8sp7y
      @user-fv8uy8sp7y 8 місяців тому +2

      ​@@yoilk81 파쿠르 하는 조셉마르크스 말하는거면 그 사람 마르크스 후손 아닌거로 이미 밝혀짐

    • @user-zn2hb6kf6n
      @user-zn2hb6kf6n 8 місяців тому +3

      ⁠@@yoilk81 어떤 자손을 말씀하시는지는 모르겠으나 마르크스 자신도 굉장히 사치를 즐겼다죠. 리카르도 때문인지 종종 오해 받곤 하지만 자본주의에 대한 마르크스의 입장은 윤리적 거부가 아닌(오히려 윤리에 대한 비판에 가깝다고 봅니다) 긍정이자 동시에 부정이라는 독특한 위치에 있다고 봅니다.

  • @user-xd2ph2er4r
    @user-xd2ph2er4r 8 місяців тому +191

    내가 40년 살아온 나라로써 한국인은
    1. 다름을 인정 못 함.
    2. 나와 다름은 곧 나의 적.
    3. 비난과 비방이 난무 하는 곳
    4. 나 아니면 된다는 이기적인 마인드
    5. 남이 잘됨을 못 봄.
    그냥 대부분 한국인 70%는 인성이 박살났어
    정말 한국인의 인성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속담에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는 말이 정말 한국인 인성을 제대로 보여준 속담이라고 생각한다.

    • @user-jc6fe4tz6f
      @user-jc6fe4tz6f 8 місяців тому +17

      인성교육 부실

    • @user-qo6kf7dy5w
      @user-qo6kf7dy5w 7 місяців тому +21

      다른 나라도 대동소이합니다. 질투는..
      영어에도 존재하는 대표적인 용어가 크랩 멘탈리티다. 애당초 가톨릭에서 규정한 7대 죄악 중 하나가 질투인 것만 봐도 서양에서도 생각보다 오래 전부터 질투심을 경계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그 오래전부터 서양권에서도 질투로 인한 문제가 많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심리학계에서도 심리학적으로 타인의 행복에 불만을 느끼고 반대로 타인의 불행에 행복을 느끼는 정서가 있다는 연구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자세한 건 샤덴프로이데 문서로. 일본어 속어 중에도 이런 심리를 가리키는 '메시우마(メシウマ)'라는 표현이 있다. '(남의 불행을 봐서) 밥맛이 좋다', 즉 '꼴 좋다'라는 뉘앙스를 지닌 표현이다. 혹은 'ざまぁ'라는 표현도 있다.

    • @OO-wj9bp
      @OO-wj9bp 3 місяці тому +11

      한국인들의 가장 문제는 한국인들이 나쁘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한국인이여서가 아니라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는 감정입니다. 이 속담은 그것을 인정하고 마음을 다스리는 것에 집중하라는 말이기도 합니다. 빌게이츠가 하루에 수백억 벌어도 아무렇지 않잖아요? 빌게이츠는 사촌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 @artorwhat
      @artorwhat 3 місяці тому

      ㄴㄴ 인성교육불가​@@user-jc6fe4tz6f

    •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3 місяці тому +7

      다른 나라 사람들은 니가 지적질 한 거 보다 더 심해, 당장 프랑스 봐라, 말로만 톨레랑스지, 1번부터 5번까지를 다 실천하고 거기에 6. 인종차별까지.

  • @hong-taekshim560
    @hong-taekshim560 8 місяців тому +98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를 볼 수 있음에 감사드리며 채부심 채널을 응원합니다. 부동산 정보를 찾다가 정기 구독을 하게 되었고 채상욱님 덕분에 이 사회에 대한 현재와 미래에 대한 안목을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안티 Fan님들의 비방성 댓글에 연연하지 마시고 화이팅입니다.

  • @carajeong8518
    @carajeong8518 6 місяців тому +34

    대박입니다.. 출산율, 부동산, 도심집중 문제에 관심이 많았고 본질적인 문제가 무엇일까 생각하며 여러 유명한 분들의 의견을 찾아봤었는데 가장 잘 설명하신 것 같아요. 소오름.. 생각이 많아지는 금욜 아침입ㄴ다! 감사합니다! 마음으로는 후원을 하고 싶은데 좀더 돈을 벌면 하겠습니다. 😅❤😊

  • @jinkyu1
    @jinkyu1 8 місяців тому +46

    한은총재는 강한 워딩과 경고는 하는데, 행동을 보면 정부의 조력자 아닌가요?

    • @lifeisshort99
      @lifeisshort99 6 місяців тому +1

      행동하지 않는 지식은 나쁜거죠

    • @ran1648
      @ran1648 День тому

      일할놈이 격노만 하고 있는 코메디죠

  • @user-ce6ur5bk8z
    @user-ce6ur5bk8z 8 місяців тому +76

    수도권 대기업을 지방 중소도시가 아닌 대도시로 이전해야 합니다
    이미 중소도시를 살리기는 늦었고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원주등 지방 대도시에 대기업 본사를 내려서 직원들이 안심하고 살수 있도록 하면 학교 병원도따라서 이전합니다 지방 이전 대기업엔 특혜를 주고요
    대한민국이 살 길입니다

    • @user-rv1dd9ml3r
      @user-rv1dd9ml3r 8 місяців тому +13

      맞는 말씀인데..민간 대기업을 어떻게 옮깁니까? 민주주의 국가에서 심지어 울산 현대도 분당으로 왔는데...

    • @user-hj5jp6nn9y
      @user-hj5jp6nn9y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지방 광역시 사나 보네 ㅋㅋㅋ 지방 중소도시 만 안되는게 아니라.. 광역시고 나발이고 다 안됨. 수도권에 그대로 있어야 그나마 살수 있음. ㅋㅋㅋ
      지금 인구 주는 속도가 전 세계 1위인데... 광역시라고 살수 있을까??? 빨리 포기하고 그나마 수도권에 집중해야함.
      매번 지역 균형 어쩌구 이야기하는데.. 전세계 어딜가도 사람들 모여 사는 곳은 국토의 몇프로 안쪽임.. 원래 다 그렇게 살아감.
      미국 같은 곳은 사실상 주가 하나의 나라라고 이해하는게 편하고

    • @DrJaeminCha
      @DrJaeminCha 8 місяців тому +1

      다 포기하고, 그냥 모든 기업을 서울/경기 중심으로 다 옮기는데 더 빠를 듯

    • @mun_kwanyong9320
      @mun_kwanyong9320 7 місяців тому +5

      한전의 한 부분인 중부발전 본사 보령시 이전에 따른 이전택지 타당성조사 용역을 수행했습니다. 중부발전 본사 직원이 400명 정도 되었는데요.. 결론만 말씀드리자면 원룸 400개 짓는 걸로 마무리 지었습니다. 단 한명도 보령으로 내려오지 않았습니다. 주중에선 사택으로 제공한 원룸에서 출퇴근하다가 금요일 오후되면 서울로 가겠다 그거죠. 지금도 지방으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에 대해 인센티브가 있을 겁니다. 하지만 내려가지 않습니다. 교육 등 인프라 때문에요. 지방은 집값은 떨어지지만 서울은 떨어지진 않으니 부동산 자산 가격 방어 혹은 증대를 위한 여러가지 이유. 끝도 없습니다.

    • @user-ed9rb8ow6g
      @user-ed9rb8ow6g 7 місяців тому +2

      대기업은 지겹게 계속 특혜를 줬습니다.

  • @user-lb8bb7zv8y
    @user-lb8bb7zv8y 8 місяців тому +23

    ,,출산율 저하라,, 읽고
    대를 이은 노비생활 청산이라 생각 합니다

  • @moosoyou
    @moosoyou 8 місяців тому +19

    20년 전 수도 이전을 막은 기득권 판새들

    • @user-fd4qb9sk6c
      @user-fd4qb9sk6c 8 місяців тому

      잘한거죠...앞으로 통일은 안되나요,?
      그때에 남쪽으로 수도 이전이 맞는건지요?
      세종시로 일부 옮겼는데 집값만 비싸네요

  • @user-gi4zx6kf5k
    @user-gi4zx6kf5k 8 місяців тому +20

    서두에 지방에 인재가 없어서 기업이 서울경기권으로 간거다는 틀린듯, 지방에 일자리가 없으니까 영피플이 서울로 서울로 상경하죠

    • @user-hc3ph6hd2i
      @user-hc3ph6hd2i 28 днів тому

      외국에 비해 상위권 대학이 서울에 몰려있고, 그로인해 지방인재가 서울 대학으로 몰리면서 인재 쏠림 현상이 일어난다고 설명하신 영상입니다. 앞 뒤 다 짜르시면 어떡해요

  • @bigbear9501
    @bigbear9501 8 місяців тому +66

    삼성전자 지원서에 작성한 내용이 지방 인프라 발전을 통해 전국의 도시가 균형 있게 성장해야 집값 안정화가 가능하고 그로 인해 조금 더 활발한 경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식으로 작성했었는데, 이번 영상은 저랑 생각이 비슷해서 공감 많이 하고 갑니다.
    저는 2030인데, 결혼이 두려운 이유가 집값 때문입니다. 가난하게 자라서 제 자식은 평범한 가정에서 키우고 싶은데, 집값이 너무 높아서 결혼이고 출산이고 다 포기하게 되네요.
    물론 지방에서 직장을 구해서 산다면 집값이 보다 저렴해서 결혼에 대한 희망이 생길 듯 합니다.

    • @paikjk
      @paikjk 7 місяців тому +5

      삼성입사하면 추후 와이프랑 합 연3억이니 집이든 애든 걱정없을겁니다

    • @wiscrutgersaustin
      @wiscrutgersaustin 7 місяців тому +8

      @@paikjk 와이프랑 합쳐서 연 3억이 나오려면 20년 기다려야 합니다.

  • @user-uu9ir9rd6t
    @user-uu9ir9rd6t 8 місяців тому +23

    볼커 덕분에 그린스펀시대때 호황을 누렸죠.
    우리나라 창용총재도 말만 하지 말고 금리인상이라는 행동으로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물가만 보는게 아니라 자산 버블도 봐야 하는게 중앙은행 총장의 책무입니다.

    • @user-fd4qb9sk6c
      @user-fd4qb9sk6c 8 місяців тому

      박근혜정부땐 금리가 초저금리인데 집값도 노무현 정부의 반토막이었죠...
      집값 잡는 방법이 금리에요?
      자산 올라봤자 죽으면 세금이 60프로 나갈겁니다.
      결론은 집값 올리고 정부가 양도세,취득세,재산세 종부세 뜯어가려고. 하는겁니다.....기업도 종착역은 정부가 소유라죠....

  • @user-jq8ph2xi5u
    @user-jq8ph2xi5u 8 місяців тому +70

    최근 3년간 대한민국 인구 46만명이 감소하였습니다. 당분간은 매년 수십만명씩 감소할 예정이지만 30년후엔 매년 100만명이 감소된다고 합니다.

    • @totobbong
      @totobbong 8 місяців тому +1

      3년간 몇명이 증가하였죠?

    • @user-jq8ph2xi5u
      @user-jq8ph2xi5u 8 місяців тому +8

      @@totobbong 작년 하루 660명 출생 1000명 사망 ㅇㅋ

    • @user-wg7hy8yl7u
      @user-wg7hy8yl7u 8 місяців тому +18

      ​@@totobbong3년간 감소했다니깐 뭔 증가임 ㅋㅋㅋㅋ

    • @user-er2gb1bu2m
      @user-er2gb1bu2m 8 місяців тому +15

      서울 구단위가 하나씩 사라지네요

    • @grx1988
      @grx1988 8 місяців тому +2

      ​@@user-er2gb1bu2m 구하나씩 사라져도 국가 유지에는 아무런 문제 없어요 ..

  • @user-jo6hp3td8j
    @user-jo6hp3td8j 8 днів тому +1

    채부심 정말 옳은 말씀밖에 안하네요 존경심 듭니다 감사합니다 🎉🎉🎉🎉❤❤❤❤😊😊😊😊~~~^^응원 합니다 😊😊😊😊😊😊내가

  • @user-ed2gk6yc8b
    @user-ed2gk6yc8b 8 місяців тому +34

    지금 시기에 기장 필요한건 인문학이라고 생각합니다. 개개인이 똑똑해지는것 그로인해 귀결되는 집단지성화를 두려워하는 기득권들의 흑심을 간파해야 하지 않을까요?

  • @user-ep5dk1tz4t
    @user-ep5dk1tz4t 8 місяців тому +91

    경기도에서 서울로 통학, 출근하면서 20년 넘게 매일 평균 4시간을 길거리에 버렸어요.
    도저히 더 버틸 수 없어 직장을 그만두고 시골로 왔습니다.
    자급자족 추구하며 사는데 몸이 피곤할 때도 있지만 우리집 중심으로 형제, 친구들이 모이고 야채들을 나눠먹습니다.
    요즘은 밤을 주워 명절에 나눠주니 다들 좋아합니다.
    수도권탈출하니 여유롭고 좋아요.

    • @user-uf3pn9sr1m
      @user-uf3pn9sr1m 8 місяців тому +1

      + 텃세

    • @Zach-le2gt
      @Zach-le2gt 8 місяців тому +3

      경제적 여유는 포기

    • @user-jc6fe4tz6f
      @user-jc6fe4tz6f 8 місяців тому +5

      @@Zach-le2gt어차피 늙으면 가는건 똑같음

    • @user-um7nn8hm5k
      @user-um7nn8hm5k 8 місяців тому +10

      행복해보여 다행이며 너무 부럽습니다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7 місяців тому

      @@user-jc6fe4tz6f 똥 쌀거 왜 먹냐? ㅋㅋㅋ

  • @cdcho5558
    @cdcho5558 8 місяців тому +13

    교육비보다 어릴 때 도움없이 애를 키우기가 어려워서
    더 못낳겠어요.

  • @user-eg9eh9rr4n
    @user-eg9eh9rr4n 22 дні тому +1

    채상옥 선생님은 누구보다 뛰어난 박사님 잘보고있는데 국회위원 으로보내서 부동산 정책 담당하시면정말잘하시고 정확히 잘하실겁니다

  • @user-cq5od4iw4h
    @user-cq5od4iw4h 6 місяців тому +38

    지루하지 않고 설명이 너무 재밌습니다! 채상욱님의 센스와 지성이 합쳐진 대단한 강의라고 봅니다😮

  • @granadajoy7024
    @granadajoy7024 8 місяців тому +118

    국회의원 월급 없애야함 비리있으면 두배로 환수시키고

    • @sdk714
      @sdk714 8 місяців тому +2

      능지 0

    • @user-sx4xf7bb3q
      @user-sx4xf7bb3q 8 місяців тому +1

      ​@@sdk714
      지딴100

    • @bears8704
      @bears8704 8 місяців тому +1

      갑자기?

    • @-everydaylife5457
      @-everydaylife5457 7 місяців тому +3

      명예가 아닌 봉사직으로 가야함

    • @user-zv8ro2xk9i
      @user-zv8ro2xk9i 7 місяців тому +2

      ㄹㅇ 명예직이아니라 능력잇는사람의 봉사직 전략이 괜찮음

  • @raulg8102
    @raulg8102 2 місяці тому +3

    결혼과 출산을 안하는이유는 집값이 비싸다가 맞다!!! 뭐가 아니라는거여?

  • @YoungKim-ob2ih
    @YoungKim-ob2ih 8 місяців тому +105

    역시 채상욱 대표님!
    정치인들이 이 채널을 통하여 공부 좀 했으면 하는 강한 바램이 있습니다~
    채상욱 대표님 의
    강의 내용에 100% 동의하며,
    대한민국의 미래를 진정으로 걱정하는
    사람이라면 채상욱 대표님의 강의에 전적으로 동의 하리라 봅니다~
    국가기관에 자문위원 으로 활동 하시길 기대합니다~
    나아가 꼭 지금의 그
    제안들을 국민을 위하여 꼭 실현 해 주시길 희망합니다~
    채상욱 대표님 최고!!

    • @user-ky3wo9cs6e
      @user-ky3wo9cs6e 8 місяців тому

      반대합니다 정부 정치인 문제가 아니라 국민 개개인의 이기심의 합이 만들어낸결과입니다ㅡ 정부가 절대,해결못합니다. 왜냐 집값잡는정책을하면 국민이 표를 안주니깐요. 개개인 바로 서서 투표하면 졍치인은 자연히 바뀝니다

    • @user-xk7md2tq7x
      @user-xk7md2tq7x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정치인도 다 알아요

    • @Wuril
      @Wuril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언제까지 하락론자 말만 믿을래요? 2019년에도 이사람은 집값 떨어진다고 했던 사람이에요. 근데 1년뒤 집값 어떻게 되었나요? 하락론자 말 믿지말고 본인이 집값 감당할 수 있을 여유자금 있을때 사는게 좋은거.. 피터린치도 집 하나 산다고 망한사람 없다고 함.

  • @chaos-108
    @chaos-108 8 місяців тому +135

    응원합니다. 어려운 주제지만 계속 고민해고 얘기해야 사회적 공감대가 생길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래야 정치도 바꿀 수 있구요.

    • @moonster1632
      @moonster1632 8 місяців тому +4

      극악의 개인주의 알빠노 사상이 지배하고 있어서 공감대형성 실패

    • @Wuril
      @Wuril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언제까지 하락론자 말만 믿을래요? 2019년에도 이사람은 집값 떨어진다고 했던 사람이에요. 근데 1년뒤 집값 어떻게 되었나요? 하락론자 말 믿지말고 본인이 집값 감당할 수 있을 여유자금 있을때 사는게 좋은거.. 피터린치도 집 하나 산다고 망한사람 없다고 함.

    • @user-jz6rh7nc4p
      @user-jz6rh7nc4p 8 місяців тому +3

      ​@@Wuril그건 코로나 때문임

    • @akvhrnak3918
      @akvhrnak3918 8 місяців тому +3

      ​@@Wuril전세계가 코로나땜에 돈이 풀리다보니 부동산 일시적으로 다 올랐음ᆢ지금부터 10년동안 일본처럼 부동산은 내리막이라 봄. 그런 상황에도 한가지 희망은 우리의 문화컨텐츠 수출과 반도체, 배터리, 인공지능 의료기술등의 기술력과 체력이 세계적이라 잘 버틸수있을거라고 봄

  • @hughzen
    @hughzen 8 місяців тому +57

    문제가 심각하긴 하지만 심각하게 고민하고 해결하려는 노력을 해야되는, 할 수 있는 사람들은 현재의 문제들이 피부에 와닿지 않기에 해결보다는 덮어두고 가려고만 하는 것 같습니다.
    저 역시 제주도에서 상경해 결혼을 하고 서울에 살고 있으나 2세는 참 쉽지 않을 것 같네요. 오히려 노후를 준비하는게 개인에게 있어 현명한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 @jjhh0011
    @jjhh0011 8 місяців тому +8

    지금 수도권 투입하는 인프라 비용 지방에 투자하면 출산율 효과 아마 10배는 날 듯
    수도권은 아무리 투자해도 못 는다. 할수록 계속 모이며 악순환되니

  • @user-bf1ki3yi9w
    @user-bf1ki3yi9w 8 місяців тому +20

    한 문장 문장 정독해서 보고있습니다.
    한가지 걸리는 것이, 제시된 해결책이... 이게 전 국민적인 의식구조가 바뀌어야만 오로지 가능한 것인데, 힘들 것 같기도 합니다.
    "나 하나쯤이야" 라는 의식으로 대부분 지배되고, '천민자본주의' 에 물들어진 요즘시대가 과연... 해결책에 직면하여 사회전반이 바꿔질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ㅠ

  • @swaih9636
    @swaih9636 8 місяців тому +97

    20년전에 지방균형발전이랑 수도 이전.. 이거 두개만 잘 수행 됐어도 현재 이렇게 시궁창처럼 되진 않았겠지.. 그 당시 정권의 혜안을 못따라준 국민 수준과 수도 이전을 반대한 반대파들의 이권다툼으로 나라가 이렇게 서서히 망해감을 느낌..

    • @user-nd1xw8uz5p
      @user-nd1xw8uz5p 7 місяців тому +11

      진짜 맞아요. 엄한 사람만 죽였죠

    • @user-of1ou3fc2s
      @user-of1ou3fc2s 7 місяців тому +10

      진짜 국민수준 ㅎ ㅏ...당하고도 또 2찍는 댕청함들

    • @mun_kwanyong9320
      @mun_kwanyong9320 7 місяців тому +10

      나라가 망해도 지금 내 집값 조금만 오르면 상관없다는 생각을 가진 우민들이 가득한 나라입니다. 어쩌다 이 지경이 됐는지.. 원래 이런 나라였던건지 모르겠습니다.

  • @Kuma-lo6iu
    @Kuma-lo6iu 8 місяців тому +14

    이미 타이밍을 놓쳤습니다
    너무 많은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엮여있네요

    • @user-uv5ss9rn5o
      @user-uv5ss9rn5o 23 дні тому +1

      실이 너무 꼬여있으면 태워버렸죠. 지금이 그 상태입니다.
      50년만 지나 현 5060 이상 세대가 다 죽으면 많은 문제들이 해결됩니다.

    • @Kuma-lo6iu
      @Kuma-lo6iu 23 дні тому

      @@user-uv5ss9rn5o 인생은 제로섬게임이라는 말이있죠 그말이 여기에 적용되지않나싶습니다

  • @user-li3vg2kl6l
    @user-li3vg2kl6l 6 місяців тому +28

    현실적으로 가장 와닿는 내용으로 경제교육을 전해주시는분 !!!! 감사합니다.

  • @constantinochun2396
    @constantinochun2396 8 місяців тому +15

    수도는 서울이고 서울이 수도라는 관습법으로 현재 인구의 절반이 자연스럽게 줄어들 때까지 주욱~ 가는 겁니다. 방법이 없습니다.

  • @juh3609
    @juh3609 8 місяців тому +12

    부동산때매 맞벌이 필수라서 어쩔수없음 ㅋㅋ 부동산가격이 안정화되면 출산율 해결 됨

    • @user-ic7ze5hu1h
      @user-ic7ze5hu1h 8 місяців тому +3

      해결 안될거라 봅니다. 집값 안정화는 하락을 의미하기에 그리 되면 일반 서민들 일자리 매우 불안정해질겁니다. 자산거품의 최대치를 지나면 안정화가 아니라 일단 폭락을 해서 거품이 빠진 후에야 안정화 과정을 가게 될겁니다. 역대급 유동성 거품은 항상 폭락이후 안정화의 과정을 겪어왔습니다. 인간사. 자연사 법칙이 아닐까 싶네요. 님이 말하신 안정화로 인한 출산율 상승도 집을 살 엄두가 안나는 폭락이후에야 서서히 이루어질거라고 생각해요

    • @juh3609
      @juh3609 8 місяців тому +3

      @@user-ic7ze5hu1h 아 제가 말한 안정화는 폭락이 맞아요 ㅋㅋㅋ 전 2007~2008년 가격까지 폭락할거라 보거든요 차트상

  • @elliotpark6253
    @elliotpark6253 8 місяців тому +47

    결혼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많지만
    집값이 관련이 없다는 사람들의 사고가 궁금하다. 현재의 헬조선을 만드는데 가치관 마져 바꾸게 만드는데 가장 일조를 한것이 집값이라 할수있건만 그들의 사고가 정말궁굼하다.

    • @user-hj5jp6nn9y
      @user-hj5jp6nn9y 8 місяців тому +6

      놀고 자빠지신 이야기인가.. 우리나라 출산율이 그렇게 높았을때... 사람들 셋방살이에서 시작했음... 말 그대로 주인집이 있는데 그 집의 방 하나를 빌려서... 그런데도 출산율은 높았음
      그때도 집값은 서민에게는 엄청 높은 벽이었고... 40대 중반은 되어야 결국 집을 마련했음. 근데 그 마저도 다 대출이 끼여있었지 ㅋㅋㅋㅋ 출산율이 집값??? ㅋㅋㅋㅋ 니가 능력이 없어서
      이지... 요새 젊은 사람들 능력있는 경우 연봉이나 월급이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셔... 둘이 벌면 1억 넘어가는거 아주 젊은 나이 때부터 가능함... 서울?? 집값 다들 10억 어쩌니 해도... 몇몇 강남 핵심구와 용산 정도 제외하면 5~6억 정도 되는 집들 널리고 널렸음. 둘이 버는 집이면 대출 좀 빌려와서 집 사는거 어렵지 않음. 물론 좋은 한강뷰 신축이야 당연히 안되지.. 근데 예전 집주인 집에 셋방보다 훨씬 좋은 조건임... ㅋㅋㅋㅋ 출산율??? ㅋㅋㅋㅋ 지들이 편하게 살고 싶고... 내 인생 즐기고 싶어서지.. 뭔 집값 타령이야... 물론 한가지 요소는 되겠지 ㅋㅋㅋ 가장 일조 같은 소리하네 ㅋㅋ

    • @sujahawng5258
      @sujahawng5258 8 місяців тому +4

      둥지가 있어야 새키을 낳지 투기꾼인가보네ㅇ

  • @user-hn3hm9eq1z
    @user-hn3hm9eq1z Місяць тому +1

    제 속마음은 일반유튜버로 생각했는데…
    아 !
    이분은 나라를 걱정하구 사랑하는구나
    수많은 정치인보다 이분이 더 소중합니다.
    채상욱님
    세상을 보는 혜안과 통찰력이 너무 깊습니다.
    참 소중한분입니다.
    존경합니다.

  • @user-gd8ir6pw2y
    @user-gd8ir6pw2y 7 місяців тому +4

    우리나라 정치인들은 이런영상 안볼거에요. 그들만의 재산늘리기에 바쁠뿐. 나라가 망해도 신경안써요. 아이키우는 엄마로써 안타깝네요.ㅜ

  • @user-qg2jj3yr1f
    @user-qg2jj3yr1f 8 місяців тому +97

    현재 우리나라는 집 가진 사람들만 있는건지요? 국민의 반은 집이 없어요.언제까지 집 가진 사람들만 위한 정책을 할건가요?
    집 없는 사람들은 대한민국 국민은 아닌가요? 정말 기가막히네요.

    • @grx1988
      @grx1988 8 місяців тому

      유주택자가 60프로 아닌가요? ㅎㅎ

    • @user-ys5ss9nr1c
      @user-ys5ss9nr1c 8 місяців тому +12

      2~30대가 집이 없는거지 투표수 높은쪽은 집 더 많이 가지고 있어서 그래요

    • @user-fv8uy8sp7y
      @user-fv8uy8sp7y 8 місяців тому

      ​@@grx198856퍼대라 사실상 5대5임

    • @GyungLee
      @GyungLee 8 місяців тому +15

      영끌한 사람이 많아서 냉정히 말하면 자기집아니죠! 화장실 한칸이나 작은방만 내꺼! 나머진 은행꺼! 소득끊기면 경매예정꺼!!!

    • @user-fd4qb9sk6c
      @user-fd4qb9sk6c 8 місяців тому +4

      ​​​@@grx1988
      김대중 정부 유주택이 8,9ㅇ프로라고했어요...
      그래서 집 소유의 필요성이 없다고 바로 옆집이 집을 팔았어요.
      20년 전쯤 얘기죠...
      그후 어찌된 건지 노무현정부 집값이 천정부지...생각도 못했던 일이 벌어진거죠...그당시 그렇게 당한?
      기막혔던?
      일이 있었어요....
      그후 박근혜정부 집값이 반토막 났고 금리도 싸니 빚내서 사라고 부총리가 말했죠....그래도 사람들 안샀어요...
      지금도 안살 사람은 안사요.
      저 서울 빌라 사는데
      빌라 사시면 되는데
      안 사면서 저렇게 무주택 하소연은 아닌거 아녀요?

  • @lycos888
    @lycos888 8 місяців тому +32

    인류역사상 유례 없는 저출산율 갱신 중인데 그기다 AI가 본격적으로 사회 전반에 도입되면 서울 인구 급속히 줄기 시작할 겁니다. AI로 일자리가 줄어들면 일자리가 가장 많은 곳인 수도권 인구가 가장 먼저 줄어드는 거죠. 다시 말해 앞으로 점점 서울로 와도 일자리가 없으니 올 이유가 없고 비싼 집세 내고 살 이유도 없고 금수저 아닌 이상 일 없이 놀면서 살 수도 없죠. 수도권 지금도 사무실, 상가 공실율 30% 넘는 지역 수두룩합니다.. 문제는 이런 지역이 점점 더 늘고 있어요. 게다가 지난 30년간 지방에서 청년들이 서울로 와서 부동산 가격도 지속적으로 오르고 지탱이 됐는데 이제 지방에도 서울로 공급해줄 청년이 없음. 결론은 지방이 먼저 망하지만 결국 서울도 망한다. 이게 100년, 200년 후에 일어날 일이 아니라 10년, 20년 안에 발생할 일입니다.

    • @wave2177
      @wave2177 8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냥 한국 망

    • @joungdong
      @joungdong Місяць тому

      서울로 더이상 올 청년이 하나도 없기를 빨리 기다립니다...

  • @gmh9933
    @gmh9933 8 місяців тому +57

    저출산 문제중 제일 큰 것은. 채부심님이 지적한 과다한 주거비용 문제가 맞습니다.
    그 다음에 양질의 일자리, 사교육비 , 기타 출산부모 지원 문제들입니다.
    내면적인 문제로는 남성들의 초식화, 여성들의 패미화, 학업/취업등으로 결혼연령 증가등....

  • @user-ls4ke9lv1p
    @user-ls4ke9lv1p 8 місяців тому +146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저도 평소 부동산과 출산율과의 관계, 수도권 집중화, 앞으로 금리의 향방등에 많은 관심이 있었는데
    채상욱대표님이 하시는 말씀에 많이 공감하면서 시간가는줄 모르고 시청하게 되었네요

    • @Wuril
      @Wuril 8 місяців тому +5

      언제까지 하락론자 말만 믿을래요? 2019년에도 이사람은 집값 떨어진다고 했던 사람이에요. 근데 1년뒤 집값 어떻게 되었나요? 하락론자 말 믿지말고 본인이 집값 감당할 수 있을 여유자금 있을때 사는게 좋은거.. 피터린치도 집 하나 산다고 망한사람 없다고 함.

    • @mindbodysoul8845
      @mindbodysoul8845 8 місяців тому +2

      ​@@Wuril정답!

  • @dongwookpark8919
    @dongwookpark8919 8 місяців тому +14

    추석연휴에 정말 재미있게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hc4sd5kq1x
    @user-hc4sd5kq1x 8 місяців тому +12

    내년 출산율 0.6대 나올거라고 합니다. 끝났습니다 대한민국

  • @user-vt5fy9ki6f
    @user-vt5fy9ki6f 8 місяців тому +12

    예리한 분석! 항상 감사드립니다.

  • @user-te3oh4nx5d
    @user-te3oh4nx5d 8 місяців тому +6

    가격만 올르면 뭐하나...사줄 사람 없는데...재산세 종부세 폭탄 맞는거지...세수결손 맺꾸려면 결국 부동산 관련 세금이 제일 크지....

    • @user-fd4qb9sk6c
      @user-fd4qb9sk6c 8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니깐요..
      다 세수입 노리는 정부의 농간으로 집값은 오르는거에요....

  • @user-kw1os3jx1d
    @user-kw1os3jx1d 8 місяців тому +26

    채상욱 최고

  • @onlybegetter
    @onlybegetter 8 місяців тому +70

    통합편으로 정리되어 올라오니 보기 좋고 이해가 잘되네요 :D

  • @gwangmin3686
    @gwangmin3686 8 місяців тому +36

    진짜 좋은 의견과 통찰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cp9rt9vo5m
    @user-cp9rt9vo5m 8 місяців тому +8

    대표님
    요즘 지방에 할머니도
    수도권으로
    가고 있습니다
    손주를 봐 주기위해서~

  • @user-oy5eb9oy2d
    @user-oy5eb9oy2d 8 місяців тому +41

    영상 너무 좋아요. 깊은 문제제기와 사색과 탐구가 필요하다 생각하는데 영향력 있는 분이 이렇게 재능기부 해주셔서 감사하네요!

  • @user-dm9jb1rq9x
    @user-dm9jb1rq9x 8 місяців тому +609

    60억 자산가는 건보료 한달 7만원이고, 한달 월급 4~5백만원인데 건보료 30~40만원😊

    • @hkim6721
      @hkim6721 8 місяців тому +144

      거니가 60억 넘는 자산에 건보료 7만원이죠.

    • @user-tu9pk9su5j
      @user-tu9pk9su5j 8 місяців тому +153

      말같지도않은 소리하고 앉아있어 육십억있으면 세금을 얼마나 많으 쳐맞는데
      너 월급 받고 세금 얼마나 내냐?

    • @wf9ss
      @wf9ss 8 місяців тому +161

      ​@@user-tu9pk9su5j부자들이 건보료 제대로 낼거라 생각하냐 다 법인만들어서 최저임금 받는걸로 해 놓으면 최소 건보료만 낸다

    • @user-rv3gj7pd7l
      @user-rv3gj7pd7l 8 місяців тому +71

      추가로 청구됩니다. 징수에 있어선 나라가 부자들에게 그다지 좋은 일을 하지 않아요.

    • @user-dm9jb1rq9x
      @user-dm9jb1rq9x 8 місяців тому

      ​@@user-tu9pk9su5j종소세 수천만원 내는 직종이야. 한달 건보료 포함 사대보험 2백만원 이상 카드로 자동결제되고 있어.

  • @juhoon26
    @juhoon26 8 місяців тому +23

    이번 내용 좋네요. 감사합니다. ~~

  • @realstar7046
    @realstar7046 8 місяців тому +17

    정확한 팩트를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한 한가위 보내세요~~^^

  • @user-bo4lf2rj7z
    @user-bo4lf2rj7z 8 місяців тому +33

    공감합니다. 기업의 지방분산 정책에 엄청난 혜택을. 지방소멸화 점점 가속화. 일관성 없는 정책.

    • @user-oj3eq9dh8v
      @user-oj3eq9dh8v 8 місяців тому

      3:08 3:09

    • @joungdong
      @joungdong Місяць тому

      학교부터 이전...서울대...연대 고대

  • @blackjoy315
    @blackjoy315 8 місяців тому +15

    진짜 무서울정도로 날카로운 분석이네요!! 감사합니다

  • @user-cp7ig3mp8h
    @user-cp7ig3mp8h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 @realstar7046
    @realstar7046 8 місяців тому +19

    늘 잘 듣고 있습니다.
    영상이 넘 좋아 페북에 올렸습니다.
    이렇게 좋은 동영상은 전국민이 교양 교육차원에서 들어야합니다!
    구독 증가 가즈아~~^^♡♡

  • @alicelee4085
    @alicelee4085 8 місяців тому +14

    2시간이 숨쉴틈 없이 지나가네요. 정말 좋은 콘텐츠 감사합니다.

  • @jimmylee1071
    @jimmylee1071 8 місяців тому +11

    이 영상은 무조건 정주행 해야 합니다. 정말 추천!!!!

  • @user-ld3pc1hb3k
    @user-ld3pc1hb3k 8 місяців тому +23

    대한민국 최대의 부동산 투기세력이 어딜까요.
    정부 입니다.
    50 60 70
    대한민국 발전 하는 중추적인 역할 한 거와 동시에
    저출산의 젤 큰원인인 부동산 투기로, 대한민국 말아 먹엇슴

    • @user-fd4qb9sk6c
      @user-fd4qb9sk6c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젤 정답 .
      신도시 만들면서 땅 장사...그러니 비싼 아파트 용지 신도시도 닭장같이 짓고 하늘로 올라가고....
      무한대의 취등록세. 거두고.
      땅 팔고 세금 거두고죠....
      그리곤 심심하면 집값 올려 세금 갈퀴로 긁죠.

    • @lifeisshort99
      @lifeisshort99 6 місяців тому

      정부는 부동산 정책에 가입하지말고 자유 시장에 맞겨야함. 뉴스나 유트브에서 부동산 뉴스가 안나올때 살기 좋은 세상이 된다고 생각

  • @user-bw9ng4wm8h
    @user-bw9ng4wm8h 8 місяців тому +5

    정확한 지적이시네요.

  • @user-rs4gx4so2o
    @user-rs4gx4so2o 8 місяців тому +8

    영상 두번봤네요.
    너무 궁금했던 내용들..
    역시 분석왕타이튼이 어울리는 내용이였습니다😊

  • @user-rd6hd6ku4f
    @user-rd6hd6ku4f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넘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AdrianWChung
    @AdrianWChung 8 місяців тому +20

    다른거 필요없고, 지방 살리지 못하면 나라가 없어진다는걸 모두 공감해야 할 듯.
    어쩄든, 서울이나 수도권에는 더이상 아무 허가도 내 주면 안되고요.
    특히 서울과 수도권에는 주택을 점점 줄이고, 기업들은 서울 출퇴근이 불가능한 먼 거리로 이전해야 되겠지요.

  • @user-gn7lf6zz3t
    @user-gn7lf6zz3t 8 місяців тому +9

    국회의원 직급을 명예직으로 바꾸고 최저시급 적용한다던지 근무 연수를 바꾸는등의 구조적 대변경이 절실한것 같아요 .
    그렇게 나라를 위하신다고 들어오신 자리들중에 두각을 드러내는 국회의원 별로 본적이 없는듯.
    각자의 시와 도 를 위한 행동을 AI 시대에 맞게 ,투명하게 데이터화해서 성과금 처럼 줘도 지금처럼 국회의원 하려고하고 권력이 넘사벽이되고 이럴지 의문이네요 .
    윗물이 바뀌지않으면 답이 없다고 봅니다..
    더불어 부부중 한 사람이 억울하지 않아야 아이를 더 낳고 싶어진다는말 진짜 극대공감 입니다.
    아이가 예뻐서 더 낳고 싶은 맘 자주 드는데 , 아내라는 포지션이 참.. 억울할때가 더러 있어요 . 아이 교육 훈육 문제 등등 어려운건 다 엄마 몫이고 남편한테 좀 해주라 하면 일하고 왔는데 피곤하다 하고 ..티비 보여주고 옆에서 본인은 누워잔다던지 . 딱 답없어요 .

  • @aberdevinec
    @aberdevinec 8 місяців тому +7

    통찰력이 상당하시네요. 한수 배우고 갑니다.

  • @user-kq9yo5tq9u
    @user-kq9yo5tq9u 8 місяців тому +18

    부동산 가격이 올랐어도
    또 그걸 구매자가 있는데
    해답은 인구감소로 수요감소가 답이다

  • @jieunlee8187
    @jieunlee8187 8 місяців тому +13

    사우디 왕조 라도 이문제는 해결못할겁니다. 그런데 단임 임기 내 불가능하고 표의식하면 오히려 꺼꾸로 갈겁니다

    • @Lord_of_Nightmare_666
      @Lord_of_Nightmare_666 8 місяців тому

      여성 특권 세력을 잡아 조쳐야 합니다. 왕조는 가능하겠죠.

  • @user-ut1wm5dl6m
    @user-ut1wm5dl6m 8 місяців тому +15

    이 긴 영상을 다 보다니..나를 칭찬해 😅
    넘 재미있고 알기쉽게 말씀해주셔서 긴시간이 언제 지났는지 모르게 흥미진진 재밌게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 @user-pb8jl9wv7g
    @user-pb8jl9wv7g 7 місяців тому +5

    채선생님 모든 영상이 넘 유익하고 유익합니다
    넘 감사합니다

  • @besearchingfor
    @besearchingfor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ㅎㅎ 추석 잘 보내세요~~

  • @user-qj5bz7li6e
    @user-qj5bz7li6e 8 місяців тому +7

    응원합니다

  • @jyy8318
    @jyy8318 8 місяців тому +3

    긴 시간의 영상이라 시작할때 완주할까 싶었는데 집중해서 끝까지 보았네요
    공감하는 바도 많아서 매우 흥미로왔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해요!

  • @jeungwookbyun676
    @jeungwookbyun676 6 місяців тому +5

    영상 시청하다가 든 생각이 정책당국자들이 꼭 시청해야할 영상이란 생각이 듭니다.
    자신과 집단의 이익만 생각하면 서울공화국이 유리하겠죠.
    결국엔 망하는 방향으로 가겠지만요.

  • @user-px2be6iq8o
    @user-px2be6iq8o 3 місяці тому +2

    이렇게 귀한 정보를 아낌없이 나눠주시다니. 설명 너무 잘하시고 백만번 공감됩니다. 더 번창하세요!

  • @ggeriberi
    @ggeriberi 8 місяців тому +77

    이렇게 재밌는 경제학 첨 보네요. 나름 지루할수 있다 생각드는 2시간 강의를 영화만큼 재밌게 봤습니다.

  • @user-vk3gt5sx9d
    @user-vk3gt5sx9d 8 місяців тому +6

    우리나라는 서울에 대학이나 병원 이런 것들을 밖으로 내보내야 해요.
    특히 대학이 몰려있게 되면, 모든 상권이 몰려요.
    대학은 젊은이고 그게 상권을 만들어내죠.
    근데 그게 결국에는 또 시장을 만들고 인구를 흡수하는 역할을 해요.
    대학이 결국 소비에 있어서 가장 핵심원인인데 그게 도미노처럼 모든 것들을 연쇄적으로 흡수하니까 국가경제적으로 이런 기형적인 현상이 나타나는 겁니다.
    적어도 서울에 있는 특히 주요대학들을 지방으로 이전을 시키는 것이 가장 핵심중의 핵심이죠. 어차피 우리나라에서 대학이라는 것이 사라질 수 없는 현실이라면요.

  • @donaldlee6118
    @donaldlee6118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채선생님! 좋은내용으로 앞으로도 쭉 만나고 싶군요. 즐거운 추석보내세요.😂

  • @litgune_driving_lover
    @litgune_driving_lover 7 місяців тому +3

    평소 가지고 있던 사회적 인식을 좋게 풀이하셨네요. 무척이나 공감합니다.

  • @kingj3189
    @kingj3189 8 місяців тому +4

    Good🎉🎉🎉 잘 들었어요 ㅎㅎ

  • @user-pf9hg6fu4j
    @user-pf9hg6fu4j 7 місяців тому +7

    와 진짜 시간이. 아깝지않은 강의입니다 미래가보이네요!! 감사합니다

  • @user-dh5lh1gm9r
    @user-dh5lh1gm9r 7 місяців тому +3

    부동산 부양정책이 국민을 위한 것이겠어요?? 본인 정치가들과 기득권들을 위한 것이겠죠....

  • @user-jk8nd9xc3j
    @user-jk8nd9xc3j 6 місяців тому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user-ib6of4ct6s
    @user-ib6of4ct6s 8 місяців тому +4

    제가 바라보는 한국 부동산 문제점을 채상욱님이 꼭 찍어주시네요. 그래서 구독 좋아요 합니다

  • @createandbuildcorporation
    @createandbuildcorporation 8 місяців тому +4

    말을 정말 잘하세요. 내용도 알차고~~ 멋져용.

  • @user-zd5hd5qx4b
    @user-zd5hd5qx4b 7 місяців тому

    너무나 감사합니다. 정말 많은 것을 배워가요

  • @hkim6721
    @hkim6721 8 місяців тому +5

    서울 집값 떨어지게 놔두는게 아니라 정부가 떠받치고 있으니..

  • @Summer-nm9si
    @Summer-nm9si 8 місяців тому +31

    항상 좋은 방송 넘 감사합니다. 최고의 분석 인정합니다

    • @Wuril
      @Wuril 8 місяців тому

      언제까지 하락론자 말만 믿을래요? 2019년에도 이사람은 집값 떨어진다고 했던 사람이에요. 근데 1년뒤 집값 어떻게 되었나요? 하락론자 말 믿지말고 본인이 집값 감당할 수 있을 여유자금 있을때 사는게 좋은거.. 피터린치도 집 하나 산다고 망한사람 없다고 함.

    • @Summer-nm9si
      @Summer-nm9si 8 місяців тому +3

      @@Wuril 님께서 다 사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