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심 측정의 새로운 생각 ... '수심 설정'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ют 2025
- 허기자스토어 smartstore.nav...
바닥을 노리는 감성돔낚시에선 '수심 측정' '수심 체크'가 필수과정으로 인식됩니다.
그러나 찌낚시 고수들의 낚시를 지켜보면 수심을 측정하지 않고 바로 낚시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 그들은 수심을 재지 않는 걸까요?
초보를 지나 중급 단계에서 꼭 알아야 할, 특히 추자도나 가거도 등 원도낚시에서 필요한 '찌밑수심의 설정'에 관해 설명해보았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좋은하루되세요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허기자님 좋은영상 잘봤습니다
오늘도 유익한 정보 너무 감사합니다👏👏👏
멋집니다 최고입니다👍👍👍
늘 감사드립니다
참 좋은 설명입니다👍👍
감사합니다
차근차근 많이 배웁니다.
좋은 영상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고 있었네요 ㅠ
조류의 흐름과 방향에따라 수심을 설정해라
명심하고 또 명심해서 응용하겠습니다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쓰레기장에서 금반지 주으면 이 기분일까요?
최고입니다. 선생님. 항상 감사합니다. 초보인 저에게도 엄청난 도움이되는 아~주 귀한 영상입니다.^~^ 🤗🤗
화이팅입니다!
지금 제가 고민하던부분을 시원하게 해주시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갠적으로 옳은설명 입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수고하셨습니다
ㅎㅎ 공약 수심을 측정하는게 아니라 설정한다 ㅎㅎ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네 감사합니다
눈팅만하다가 글올리네요!항상 깊은 생각과 신중하게 하시는 말씀이 너무 진솔하고 배울점이 많습니다..꾸준히 열심히 열공하면서 배우고 있습니다.오래오래 지금처럼 꾸준한 영상 부탁드립니다..기자라 책임감이 무거울듯 하지만 우리나라낚시를 개인이 아닌 좋은가족 레져로 번창시키는 큰힘이 되시는 그날까지..부탁드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우와 제가 뭔가 부족하다고 느꼈던것을 꼭찝어서 알려주시네요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모든 영상이 찌낚시 입문자 입장에서 큰도움이 되고있습니다
영상 감사하구요
일반인 입장에서(생활낚시)입장에서
가까운 방파제 석축인근에서도 잡을수있는 광어우럭이런어종 잡을수있는 채비.방법.포인트
등등 이런 영상도 올려주셨으면해요
처음에는 아무생각없이 영상보며 공부하고있는데 막상 초보자 입장에서 추자도 거문도가서 감생이 낚시 할일은 없으니까요
부탁드립니다
서해 우럭 찌낚시 요령 같은 것? 말씀일까요?
교수님..반갑습니다
허기자님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앞에 여치기 하는분들을 보니 곧 장마철과 남서풍에 의한 너울파도가 셀 철인데 너울 위험성에 대해 영상 하나 만들어주세요. 영향력 있는분들의 안전영상은 별로 없는듯 합니다. 초보자분들과 갯바위를 올해 처음 찾는분들도 있을테니 도움이 될듯 합니다.
네 알겠습니다
초보자인 저에게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높 낮이가 일정하지 않은 수심층에서도
아무렇지도 않은 듯 낚시하시는 분들을 볼때마다
궁금했지만 흔쾌히 설명주시는 분이 없었는데
허선생님 덕분에 이해가 됐습니다.
고수분들은 별것 아닌것 같지만
초짜들은 이런 부분에 막혀서 낚시를 그만두는 경우가 많거든요.
낚시는 역시 인내와 끊임없는 연구가 필요하군요.
감사합니다.
이해가 되셨다니 제가 더 기쁘네요~
수심!!캐스팅거리!!
역시 허기자님 팩트!!
많이배웁니다^^
5월 말에 추자도 돌돔 치러 갈지 모르겠는데 조황이 살아나지 않아서 고민 중~^^
@@humangap1 참고할께요^^감사합니다
공감합니다
어렵긴하지만 한층더 성장하려면 당연히 익혀서 내것으로만드는 과정입니다.허기자님 강의 항상 유익하게 잘보고 있읍니다.
항상 유익한내용 감사합니다.
화이팅입니다!
여긴 어딘가요? 되게 좋네요.
추자도 수영여입니다. 큰수영여의 동쪽 홈통자리죠
벵에돔과 긴꼬리벵에돔은 포인트를 어떻게 설정하면 좋을지요?
단순히 아무곳에나 밑밥치고 동조하면 되는 것은 아닐 것 같은데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일단 긴꼬리벵에돔이 낚이는 섬과 일반 벵에돔이 잘 낚이는 섬이 다르기 때문에 포인트 설정으로 어종을 가려서 낚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두 어종이 함께 낚이는 곳이 있다면 일반 벵에돔은 수심이 얕고 조류가 느린 곳, 긴꼬리벵에돔은 수심이 깊고 조류가 빠른 곳에서 잘 낚입니다
어렵네요 ㅠㅠ 낚린이 아직 못벗었는디 ㅠㅠ
입문자보다는 중급자분들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긴 합니다~
정답....자신이 노리는 고기가 어느수심깊이에서 유영하는가를 알고....그 수심층을 설정하여 그곳을 노리는것이 정답!!!고로 수심을 측정하는것이 아니고 수심을 설정하는것임.예를들어 수심이 50미터인데...노리는 고기는 수심15미터에서 유영하는고기다하면 15미터를 설정하여 공략해야하는것이 낚시임.
ㅎ 감사합니다
오오!!제가 시화방조제에서 낚시 하는 방법이 나왔네요! 히히
수심측정을할때 수심추달고 여러군데캐스팅을해보는게좋은건가요? 수심추가 은근무게가되던데 캐스팅시 낚시대에 무리가갈까요..
수심추로 측정할 땐 여러 군데 캐스팅을 해봐야 합니다. 캐스팅 시 무리가 가는 수심추는 쓰지 말고 가벼운 걸 쓰세요. 하지만 저는 수심추를 쓰지 않고 그냥 낚시를 하면서 채비 밑걸림으로 수심측정하는 방법이 좋다고 봅니다
어려운 결단 잘 하셨습니다
앞으로의 콘텐츠도 조법.채비등은 거의 하신것으로 파악이 됩니다
이번과 같이 출도한 포인트에 따른 조법. 채비등과 같이 좀 더 세밀하게 설명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포인트 설명이라기보다 이 포인트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입니다. 출조 때마다 포인트 해설도 더 자세하게 해보겠습니다
조류상황에 따라 입질층이다르니
본인이 설정한 수심층으로 믿고흘려보라는 말씀이시죠??~~
하긴 바닥층이 정말들쑥날쑥한곳을 저부력전유동으로 타넘긴다해도
한계에 부딪히고~~
파도에 쎈바람까지터지면 고부력으로 수심설정한곳으로
집중타격해보자는 오늘의 강의같네요 ㅎㅎㅎ
안올렸음 큰일날뻔한 영상인데요 ㅎㅎㅎ
ㅎ 감사합니다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