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상유도전동기와 콘덴서기동의 원리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7 чер 2024
  • 단상유도전동기의 구조와 콘덴서 기동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구독과 좋아요!는 큰 힘이 됩니다!
    0:00 인트로
    0:48 오늘의 공부주제
    1:04 전동기의 회전방향(CW, CCW)
    1:53 단상유도전동기의 내부모습
    2:43 고정자, 회전자, 고정자틀, 고정자권선
    3:47 공극이란?
    6:33 모터가 운전하기까지 에너지변환과정
    8:23 슬립이란?
    8:44 동기속도(Ns)와 회전자속도(N)
    9:26 단상유도전동기의 콘덴서기동
    12:06 단상유도전동기의 내부회로도
    13:43 단상유도전동기의 기동방식(큰순서부터)
    14:15 기동콘덴서 취급시 주의사항
    -----------------------------
    ▶ 제목: Beautiful Korea(뷰티플 코리아)
    ▶ 아티스트: 윤영현
    -----------------------------
    #단상유도전동기 #콘덴서기동 #전동기

КОМЕНТАРІ • 87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7

    0:00 인트로
    0:48 오늘의 공부주제
    1:04 전동기의 회전방향(CW, CCW)
    1:53 단상유도전동기의 내부모습
    2:43 고정자, 회전자, 고정자틀, 고정자권선
    3:47 공극이란?
    6:33 모터가 운전하기까지 에너지변환과정
    8:23 슬립이란?
    8:44 동기속도(Ns)와 회전자속도(N)
    9:26 단상유도전동기의 콘덴서기동
    12:06 단상유도전동기의 내부회로도
    13:43 단상유도전동기의 기동방식(기동토크 큰 순서)
    14:15 기동콘덴서 취급시 주의사항

  • @user-cd9ki2or4b
    @user-cd9ki2or4b 5 місяців тому +5

    이렇게 한번 보면 이해가 많이 가는 것을, 책으로만 배우니 뭐가 뭔지. 외우고 나서 답안지도 작성할줄 알지만 시간 지나면 다 까먹고 내가 뭘 아는건지 모르는 건지도 모르고 살았네요.
    감이 팍팍 오네요. 감사합니다.

  • @eques23
    @eques23 Рік тому +11

    전기기기를 배울 때 가장 힘들었던 점이 책에 있는 삽화만 보고 실물은 보기 힘들었던 점인데, 이렇게 실제로 뜯어서 보여 주셔서 학습효과가 더 있는 것 같습니다.

  • @positionzff8524
    @positionzff8524 Рік тому +6

    이 채널 너무 좋아요. 오래오래 부탁드립니다. 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전기영상의 혁명!!!

  • @user-qj5vi2zs1d
    @user-qj5vi2zs1d Рік тому +5

    직관 적 실물에 바로 인식 대단 하십니다 재 작년 선풍기 기동 전압 콘텐서 교체 모니터 각종 콘텐서 교체 한 적 있어요 (고장) 요즈음 은 가전 수리가 없고 무조건 신 제품 교체 하고 있어요 개인적 불만 덕분에 콘텐서 재고 가 있어요

  • @user-sp6lw5em3y
    @user-sp6lw5em3y Рік тому +6

    혁명님의 살아있는 영상 감사합니다...
    채널 번창 하시길, 간절히 기원합니다...
    제 욕심이지만, 재능 기부 영원히 해주세요...ㅜㅜ

  • @jhpark1625
    @jhpark1625 Рік тому +2

    감사합니다. 영상으로 보니 이해가 팍팍되네요.

  • @ypkr
    @ypkr Рік тому +2

    강의 내용도 목소리도 정말 좋습니다.

  • @lsj750715
    @lsj750715 Рік тому +1

    간만에 영상 올리셨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luvfeelin5135
    @luvfeelin5135 Рік тому +6

    위험한데도 불구하고 이렇게 좋은영상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user-jg4lf3zn4r
    @user-jg4lf3zn4r Рік тому +5

    제가 원하던 강의 입니다!!!! 이런건 돈주고 배워야 하는데 무료로 강의 해주시니 감사한 마음으로 시청 하겠습니다

  • @user-by1ug9cy9w
    @user-by1ug9cy9w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상당히 똑똑합니다 이해가 팍팍 됨

  • @leelmoffice2559
    @leelmoffice2559 Рік тому +3

    정말 실제로 도움되는 영상 감사합니다

  • @munjungok2615
    @munjungok2615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현장에서 단상 펌프 전동기의 기동용 콘덴서 또는 원심력 스위치가 고장나서 전동기가 기동을 못할때 강제로 초기 기동토크를 주어서 기동시킨적이 있는데 시계방향이던 반시계방향이던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줄 알았는데 아니었네요. 정방향 토크와 역방향 토크의 합성 토크곡선에 의한 회전 방향 결정을 눈으로 보여주는 정말 좋은 자료네요 감사합니다.

  • @user-15NAANG
    @user-15NAANG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전기 38년차 입니다.
    실물이론 잘배우고 갑니다.

  • @user-vv8vc7ok1i
    @user-vv8vc7ok1i 4 місяці тому +1

    이해가 팍팍 됩니다 영상 정말 좋네요 감사합니다

  • @user-ed8ji2iq7b
    @user-ed8ji2iq7b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수업을 이렇게 했으면 정말 재밌을 텐데요 반대방향 결선 기다리고 있었는데 맨날 햇갈려요

  • @user-pq4bu9eb8f
    @user-pq4bu9eb8f Рік тому +3

    우와...진짜감사해요

  • @isaac810914
    @isaac810914 Рік тому +2

    감사합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2

    다음 영상(교번자계를 회전자계로 바꾸는 방법, 단상전동기 회전방향 바꾸는 방법) 링크입니다. ^^ ua-cam.com/video/CGXogvykkss/v-deo.html

  • @allenkim215
    @allenkim215 Рік тому +3

    눈팅만하다가 감사하단 말 해야겟네요 감사합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댓글은 구독, 좋아요 못지않은 제게 큰 힘입니다! 고맙습니다, 보람을 느낍니다.ㅎㅎ

  • @user-2co
    @user-2co Рік тому +2

    크왕이😂 너무 귀여워여..

  • @YSYSY-ew4mm
    @YSYSY-ew4mm Місяць тому

    와 좋은네용 감사합니다.

  • @user-hs2ge7wd3t
    @user-hs2ge7wd3t Рік тому +4

    잘 봤습니다 저는 기초 단계라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 @user-eu1pk6ym2z
    @user-eu1pk6ym2z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역시 믿고 보는 전기혁명........

  • @user-io7qv4cm1n
    @user-io7qv4cm1n Рік тому +2

    구조와 용어를 명확히 아니깐 이토록 쉽구나 감사합니다 ❤❤❤❤
    콘덴서 달면 왜 그렇게 되는지는 모르겠네요 알려주실 수 있나요? 😂😂

  • @jangjihyun_c
    @jangjihyun_c Рік тому +1

    사이버대학교 전기과를 가려고 준비했는데..그냥 혁명님의 사이트를 보면서 이런저런 전기책을 사서 공부하기로 했습니다. 학교 샘플강의를 보니 역시나 이론인데, 전 솔직히 방금 공극이라는 걸 처음 완전히 이해했습니다...ㅎㅎ. 앞ㅇ로 스승님으로 모시겠습니다.

  • @user-be4kv2ec2y
    @user-be4kv2ec2y Рік тому +1

    회전자계가 만들어지는 이유.
    회전자계가 있을 때 만들어지는
    기전력과 역기전력
    그리고 역기전력 만들어내는 반발력.
    유도전동기에는 그에 대한 설명이 필요해보입니다.

  • @user-dv4gm2od3d
    @user-dv4gm2od3d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영상 너무나 유익하게 잘 봤습니다! 제가 콘덴서 기동형 단상 유도 전동기를 공부하고 있는데 교재에 '원심력 스위치 CS'가 연결된 회로도 해석이 있는데 이해가 되지 않아서요 ㅠㅠ..
    회전자 속도가 동기의 70~80% 정도가 되면 원심력 스위치(CS)가 작동하게 되고, 기동권선의 회로가 개방된다. 그러면 주권선만으로 전동기는 계속 회전하게된다.
    이렇게 설명이 되어있는데.... 이해가 전혀되지를 않아서요...!! 혹시 원심력 스위치에 대해서 아실까요??

  • @user-gy9rt3fx3v
    @user-gy9rt3fx3v Рік тому +2

    4:49 엔지니어는 안 무섭나요?
    전 엔지니어지만 엄청 무섭네요^^
    요즘은 모터 분해할 일이 별로 없어서
    정말 간만에 모터 내부를 보네요.
    고맙습니다.^^

  • @user-np5kx5qi4s
    @user-np5kx5qi4s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단상유도전동기 영상 잘 보았습니다
    위 단상유도전동기 경우 선이 4선(주권선2개, 보조권선2개)입니다
    보통 가정용 냉장고에 사용하는 전동기는 선이 2선이며 걍 교류220[V]만 투입되면 회전하는데 ㅠㅠ
    위 영상의 단상유도전동기(4선)과 냉장고단상전동기(2선)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질문 올립니다
    그리고 위영상에서 회전방향을 반대로 하려면 주권선 라인을 서로 바꾸어 주면 되는지?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naroprincess8070
    @naroprincess8070 Рік тому +2

    3상220v 전기가 들어오는 공장에 단상 탁상드릴이 있는데 어느날 작업자가 드릴기계를 사용할때 손으로 살짝 회전을 주어야 비로소 드릴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이상해서 점검한다고 왼쪽으로 돌리면 왼쪽으로 오른쪽으로 돌리면 오른쪽으로 회전을 시작해서 외국인 근로자한테는 "이게 바로 중국산이야~" 라고 가르쳐 주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마주하기전에 전기혁명님의 본 영상을 먼저 보았더라면 그 외국인 근로자한테 "중국산"이라는 헛소리를 하진 않았겠지요.. 부끄럽네요..
    결국 기동콘덴서가 부풀어 터진것을 확인했습니다.

  • @user-ys3xq9lp4z
    @user-ys3xq9lp4z Рік тому +2

    콘덴서 기동형 모터에서 회전방향을 바꿀수 있는게 있고 못바꿀수도 있는가요???
    결선도를 보면 어느것을 보던 차이가 없던데 어떤것은 방향을 바꿀수 없다고 하는데
    어떤부분이 달라서 방향을 바꿀수 없는가요??
    그리고 회전방향 변경해서 동영상을 올리신다고 하셨는데 언제 업로드가 되는가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사정이 생겨 내일 올라갈 것 같습니다.(영상은 다 제작되었습니다) 참, 콘덴서기동형 모터에서 회전방향을 바꿀 수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습니다.ㅎ 내일 영상에서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

  • @isaac810914
    @isaac810914 Рік тому +1

    근데 계속 영상보며 들으니 다산 전병칠 원장님 목소리 같은디..🤣

  • @user-tr9mo9jc7i
    @user-tr9mo9jc7i 3 місяці тому

    회로상은 주전원이 콘덴서쪽으로 투입되어야 하는데 4가닥인출과 3가닥 인출 단상모터가 좀 결선방식이다른가요?

  • @user-if3to7pz6q
    @user-if3to7pz6q 4 місяці тому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모터의 회전 이유가
    고조파 노이즈를 만드는 원인이 될까요?
    그것이
    단상이든 삼상이든 관계없이 동일한
    고조파 발생 원인일까요?

  • @user-so3ss5bn3u
    @user-so3ss5bn3u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콘덴서가 없어도 모터가 돌기는 하는데 방향을 정해주는 역할을 콘덴서가 하나보네요

  • @user-hn6bw9zy3k
    @user-hn6bw9zy3k Рік тому +1

    오늘 처음 보는데 혹시 외국에서 살다 오셨나요? 1:48 초쯤에 하는 제스처는 한국인들이 하지 않는 제스처인데 ㅋㅋㅋㅋ

  • @cucme147
    @cucme147 Рік тому +1

    특이점이 이럴 때 쓰능 말인건 첨 알았네요

  • @user-gc9ly7pv7n
    @user-gc9ly7pv7n Рік тому +3

    혹시 모터의 회전방향을 반대로바꾸려면 어떻게하나요 단상전동기 콘덴서기동하는 셔터 상을 바꾸려고 콘덴서 결선을 제거하고 상을바꿔서 설치해봤다가 실패했었는데 단상 콘덴서같은경우 방향전환은 불가능한건가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방향전환가능합니다ㅎㅎ 곧 영상 올라옵니다. :)

    • @user-sx8vq7vy4z
      @user-sx8vq7vy4z Рік тому +2

      보조권선 접속을 주권선과 반대로 하시면 됩니다. 아...스포일인가. 공부할 때 외웠던 내용이라. 동영상보니 생각이 나네요.

  • @notthings6443
    @notthings6443 4 місяці тому +1

    감사합니다. 실제로보고 설명을 들으니 이해가 잘 되네요. 슬립에 대해서 설명해주셨는데요. 슬립전류라는 말도 쓰이던데요. 회전자와 고정자사이의 전류를 말하는 건가요? 그리고, 슬립전류에 5Am이하 등 전류제한을 두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4 місяці тому

      슬립전류라는 말은 공식용어는 아닙니다, 회전자와 회전자계의 상대적인 차이는 회전자에 흥미로운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데 이것을 슬립전류라고 말하신것 같습니다.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어떤 루프가 형성되어 흐르는 전류는 아닙니다. 한편, 이렇게 유도된 전류도 너무 크면 회전자에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한을 해야 하며 제한을 함으로써 유도전동기의 속도나 토크 제어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

  • @xuanxihslee
    @xuanxihslee 3 місяці тому

    고속절단기 단상220v 3마력 콘덴서기동형 단상유도전동기(모터)가 전원을 넣으면 잘 돌기도 하고, 어쩔때는 우웅 소리만 나면서 차단기가 떨어지고 모터는 작동이 안되는데, 이럴 경우 콘덴서의 문제인가요?

  • @sindiy5445
    @sindiy5445 Рік тому +1

    핸드 그라인더나 탁상드릴 같이 브러쉬가 있는 교류모터는 돌아가는 원리가 어떻게 될까요? 또 역회전시키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고싶네요

    • @201306061817
      @201306061817 Рік тому

      교류모터는 대부분 pwm 펄스폭변조로 동작합니다. 역회전은 간단하게 위상차로 동작합니다

  • @user-gf8vt4zl3e
    @user-gf8vt4zl3e Рік тому +2

    단상콘데샤 모다 역방향 정방향 결선방법
    알려주세요

  • @user-uk7ze6po6g
    @user-uk7ze6po6g Рік тому +2

    실무 관련 질문 있습니다.
    3상3선식 차단기에 3상4선식 장비 전원 케이블을 연결해서 사용하려면 중성선을 단말처리하고 연결해 주면 되나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1

      질문이 정확하지 않아 답변이 조금 어렵네요.ㅎ 일단, 3상3선식 차단기에 3상 4선식 설비에서 나온 즉, r,s,t,n선을 분전반에 연결함을 여쭤보신 거죠? 그러한 경우라면 '원칙'은 배선용 차단기라고 할지라도 4P차단기를 반드시 써야 합니다. 중성선을 그저 단말처리하고 분전반 내에 있는 중성선 버스바에 연결하시면 안됩니다. 전기는 본래 '선입후절'의 원칙을 지켜야 하며 시중에 제작되는 모든 4P 차단기 역시 중성선 파트에서 '선입후절'됩니다. 즉, 부하에 전원이 들어갈때 가장 먼저 투입되고, 제일 나중에 끊어지죠. 따라서 4개의 선을 3개는 3상 차단기에, 나머지 1개(중성선)는 중성선 버스바에 연결하면 경우에 따라 부하가 소손될 수 있으며 전기안전상으로도 옳지 않습니다. ^^

  • @user-ji8yv6em6w
    @user-ji8yv6em6w Рік тому +1

    저 인형은 촬영내내 싸데기를 몇대나 맞은걸까요?

  • @user-in4lf4pw3g
    @user-in4lf4pw3g 10 місяців тому

    모터 구동콘덴스
    때문인지 구동은정상 이고
    구동중 열이약간나면서안전기가차단됨니다
    원인이 뭔가요

  • @S-MKim
    @S-MKim 17 днів тому +1

    주권선 입력 + - 를 반대로 연결하면 꺼꾸로 도나요?
    교류라 아닐 것 같은데 지금 회로 셋팅에서 어떻게 바꾸는게 제일 간편하나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17 днів тому

      본문 영상에 매우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링크, ua-cam.com/video/CGXogvykkss/v-deo.html

  • @user-be4kv2ec2y
    @user-be4kv2ec2y Рік тому +1

    그 위상차에 따라서 발생되는 토크에 따라서 회전하게 되는 데
    그것에 대한 설명도 필요합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여기 영상 만들어놓았습니다.^^ 감사합니다. ua-cam.com/video/CGXogvykkss/v-deo.html

  • @user-ze8lo2zc8d
    @user-ze8lo2zc8d 4 місяці тому +2

    기동장치없이 전기만 인가하면 스스로 기동이 되는 단상 모터는 어떤 원리로 기동할까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4 місяці тому

      기계적 치우침, 자체 진동에 의한 반작용 관성으로 동작하게 됩니다. ^^

    • @user-ze8lo2zc8d
      @user-ze8lo2zc8d 4 місяці тому

      제가 영구자석 동기 단상모터를 개발했는데 콘덴서 없이 기동이 가능하며 지금은 범용 인버터로 기동과 RPM조절이 가능합니다.터 기존 단상모터는 범용인버터로 RPM 조절이 불가능하다고 하는데.....

  • @hite_jinro
    @hite_jinro Рік тому +1

    콘덴서의 어떤 원리 때문에 콘덴서를 결선하면 회전방향이 주어지는 건가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내일 영상 올라옵니다. :)

    • @user-eq3hv2hp6v
      @user-eq3hv2hp6v Рік тому

      @@electric_revolution 안녕하세요~ 선생님의 유익한 영상들 잘 시청하고 있습니다. 이전에 전류의 실제흐름을 시각화해서 설명해주신 영상을 보고 의문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중성선에서는 전압이 0V인데 어떻게 전류가
      왔다갔다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전기 입문자라 모르는게 많네요ㅜㅜ

    • @user-hl9ww1ms9l
      @user-hl9ww1ms9l Рік тому +3

      교류 주파수가 콘덴서를 거쳐서 나오면 반박자 늦어집니다.
      이것을 위상차 라고 합니다.
      권선이 2개 혹은 4개 혹은 6개 이런식으로 배열되어있는데 위상차로 인하여 자기장이 회전하는(것)같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즉 시계방향으로 자기장이 생성될때 콘덴서를 거쳐서 나오는 권선은 옆에권선보다 반박자 늦게 자기장이 형성됩니다.
      결과적으로 자기력의 불균형이 형성되는것이지요.
      만물이 움직이는 이유는 힘의 균형이 깨질때 에너지의 이동이 생기는 것이지요.
      이것은 불변의 법칙입니다.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문하세요.
      첨언 하자면 3상 교류는 그 자체로 회전 자기장이 생깁니다. 콘덴서가 필요치 않다는 것이지요. 단상은 주파수기 하나뿐이라서 자기장이 1초에 60번씩 제자리(코일권선)에서 엔극 에스극이 바뀌면서 자기장이 형성될뿐 회전자기장이 생기지 않습니다. 이것때문에 두개의 권선중에 하나에다 콘덴서를 연결하면 반박자 늦게 자기장이 생깁니다. 힘의 불균형이 생긴것이지요.
      전기라는것을 직관적으로 설명하기 참 어렵습니다.
      머릿속에 상상력을 발휘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 @user-wi8ib5rm1m
    @user-wi8ib5rm1m 4 місяці тому

    콘덴서 방향을 바뀌면 ccw방햐므로 회전하나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4 місяці тому

      그렇지 않습니다, 제가 링크해드리는 영상처럼 해야 반대로 회전한답니다.^^ ua-cam.com/video/CGXogvykkss/v-deo.html

  • @user-vd4gs2qp3d
    @user-vd4gs2qp3d 2 місяці тому +2

    우리 크왕이 건들지 맛!!

  • @user-kn9dq8yl5o
    @user-kn9dq8yl5o Рік тому +1

    콘덴스는 전류를 당겨줍니다 그래서 회전자장을 만들어 줍니다

  • @lsj750715
    @lsj750715 Рік тому +3

    참 그리고 교번자계를 회전자계로 바뀌는 원리 상단에 링크가 안생깁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3

      아!ㅎㅎㅎ 내일 영상이 올라옵니다. 직관적으로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 @lsj750715
      @lsj750715 Рік тому +4

      @@electric_revolution 선생님 영상들 하나도 놓치고 싶지않은 1인 입니다^^ 감사합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2

      여기 올려놓았습니다. ^^ ua-cam.com/video/CGXogvykkss/v-deo.html

    • @lsj750715
      @lsj750715 Рік тому +1

      @@electric_revolution 올리시자마자 봤습니다. 댓글도 젤 처음으로 달았습니다ㅋㅋ

  • @w30k37
    @w30k37 Рік тому +1

    ccw 방향으로 돌리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ua-cam.com/video/CGXogvykkss/v-deo.html 여기 영상있습니다.

  • @qwe4543
    @qwe4543 Рік тому +1

    웅거리면서 안되는게 베어링 나가서 공극 안맞는거였구나... 벨트 풀고 무부하로 만들어도 안돌던데.. 공극이 안맞았었나보군 ㅠㅠ

  • @user-dc7db1kh6m
    @user-dc7db1kh6m Рік тому +1

    크왕이에대한이야긴 없네 ㅋㅋㅋ 크왕이 볼빨개졎떠욤 하도 쳐 맞아서요~~~

  • @rasivakumar677
    @rasivakumar677 Рік тому +1

    Please english sub title wanted

  • @user-sm2gw7wt1t
    @user-sm2gw7wt1t 3 місяці тому +1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