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압기 결선 해석방법 노하우 공개(7만특집)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9 чер 2024
  •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채널 커뮤니티에 올려드렸던 변압기 결선문제에 대한 풀이영상입니다.
    좋아요! 구독!은 영상제작의 원동력입니다. ^^
    0:00 인트로
    2:00 변압기 1차 입력이 같을때
    5:41 변압기 1차 입력이 다를때
    8:07 변압기 2차를 쇼트시켜보자
    11:26 실전 숙제풀이(220/110)
    #변압기 #감극성 #전기기기
    ----------bgm-------------
    ▶ 제목: Beautiful Korea(뷰티플 코리아)
    ▶ 아티스트: 윤영현
    --------------------------------

КОМЕНТАРІ • 164

  • @user-io7qv4cm1n
    @user-io7qv4cm1n Рік тому +14

    쇼트 시키는 거 보고 감탄했다. 기계 전기 둘 다 실무 작업 하면서 기계는 분해 조립하면서 이론이 부족해도 체험을 통해 습득되는게 많고 전기는 적어서 다른 분한테 알려줄 때 항상 고민이였는데 이렇게 알려줄 방법이 있다는 것에 또 한 번 감탄합니다. 기계도 분해 후에 도면을 보면 머리속에 그릴 수 있는데 전기도 직접 작업하고 이걸 회로도로 그릴 수 있으면 체험으로 학습이 가능하겠네요.

    • @jangjihyun_c
      @jangjihyun_c Рік тому +1

      야~~ 진짜 최고의 댓글입니다. 저도 감탄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기계쟁이인데...전기는 항상 어려웠는데, 요즘 계속 보고 있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 @funkygroover9571
    @funkygroover9571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내가 본 사람 중에 이 분 영상이 가장 이해하기 쉽게 하신듯. 재밌게 영상 잘 봤습니다. 마지막 쇼트는 정말....👍

  • @user-hl4gg2qb7v
    @user-hl4gg2qb7v Рік тому +5

    와 자신있게 맨손으로 쇼트박아버리는 모습 너무 멋있습니다. 전기혁명님이 가지신 지식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이 여기까지 느껴집니다. 정말 멋지십니다 잘보고갑니다

  • @user-cz2wq9te8w
    @user-cz2wq9te8w 12 днів тому +1

    그저 웃음만 납니다. 공대는 실험인데 철학을 지금까지 철학을 공부했군요. 감사하게 시청하고 있어요 👍

  • @jelluzone
    @jelluzone Рік тому +1

    유용한 자료입니다. 안전하게 진행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 @digilogkim
    @digilogkim Рік тому +3

    이론,실무 최고 명강의 선생! 쵝오!!!

  • @user-mp9dj2zy6o
    @user-mp9dj2zy6o Рік тому +3

    이론으로만 접해서 피부로 와닿지는 않았던 내용을 실제 실험을 통해서 보여주시니 이해하는데 크게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려요 😂

  • @user-iy2vn3zd1u
    @user-iy2vn3zd1u Рік тому +2

    실무와 이론을 접목시켜 알려주시니 정말 최고입니다 ㅠ ㅠ

  • @spondream
    @spondream Рік тому +1

    위상과 벡터, 너무 간략하고 쉽게 설명해 주셨네요,
    고맙습니다 😊

  • @sunghwanpark2396
    @sunghwanpark2396 Рік тому +1

    좋은 영상 감사 합니다.
    실험을 통해 이야기해 주시니 어려운 전기공부가 쉽게 느껴집니다.
    감사합니다.

  • @bck5773
    @bck5773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최고의 교수님입니다.

  • @user-ro4vb3wd5q
    @user-ro4vb3wd5q Рік тому +4

    생계로 전기하다 요즘은 선생님덕분에 흥미로 하게되고 있어요 감사드려요 ^^

  • @user-hz5no6ky5v
    @user-hz5no6ky5v Рік тому +3

    멋진 예시 ㅡㅡ 진심 감사합니다

  • @user-by1ug9cy9w
    @user-by1ug9cy9w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천재가 여기 있었네요

  • @youjic
    @youjic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아주 좋은 실험(증)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ne9ih2xu5r
    @user-ne9ih2xu5r Рік тому +2

    깊이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seungholee6509
    @seungholee6509 Рік тому +2

    정말 고맙습니다.

  • @ruby4001
    @ruby4001 Рік тому +7

    늦은 나이에 전기 입문하여 기능사 합격 하고 그동안 시설관리 하면서 잘 못한 부분을 많이 알게 되었어요 , 특히 전기혁명 채널은 저에게 너무나도 유익합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1

      고맙고 힘이 되는 댓글입니다, 제가 영광이지요. ^^

  • @user-pc1iw1nz2b
    @user-pc1iw1nz2b Рік тому +2

    문제로만 풀었었는데.. 이걸 직접 이렇게 가르쳐주시다니.. 감사합니다.

  • @Jo-CH
    @Jo-CH Рік тому +2

    이런 숙제 풀이 너무좋습니다!

  • @fpdhskem
    @fpdhskem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전기혁명님 전기 비전공 이고 전기일을 안해서 이론이 많이 부족합니다. 자격증 공부해서 자격증만 취득했을뿐이지..
    그란데 말입니다~
    전기혁명님 영상 보면 전기가 재밌어지네요^^ 정말 혁명이고~ 설명도 쉽게 잘해주시고 너무 도움 됩니다^^
    오늘도 행복하십시요~

  • @user-fq6yj9ee6r
    @user-fq6yj9ee6r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정말 감사합니다

  • @bapehoga
    @bapehoga Рік тому +1

    지리는 영상 입니다. 벡터이해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 @user-jr2oo5eb5t
    @user-jr2oo5eb5t Рік тому

    최고입니다!

  • @feresferes6710
    @feresferes6710 Рік тому +1

    شكرا على توظيح وتبصيت هذا الدرس الجميل

  • @ccc-yyyyy
    @ccc-yyyyy Рік тому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namch7
    @namch7 Рік тому

    좋은 공부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xi6cy8zo6r
    @user-xi6cy8zo6r 9 місяців тому +1

    번창하시오

  • @user-ft2fy5ww5u
    @user-ft2fy5ww5u Рік тому +1

    감사합니다

  • @DrHerarius
    @DrHerarius Рік тому +1

    Of course, one can explain it this way, but in fact, the phase of turning on secondary windings is important.
    Somehow you went backwards. If only because it would be right to turn on the windings of ONE transformer. And it is best to explain with the help of an oscilloscope.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I am thinking to explain this experiment clip by using and showing Sine Graph with Phase Differences by oscilloscope. Please look forward to it and hope you like it. /from Electric revolution :)

  • @alexgreis
    @alexgreis Місяць тому +1

    English subtitles, please. Thank you.

  • @user-ou2rp2ow5p
    @user-ou2rp2ow5p Рік тому +1

    멋진 실전 잘 봤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user-wf8vg9fz8n
    @user-wf8vg9fz8n Рік тому

    잘 보고갑니다

  • @susu-bi3nn
    @susu-bi3nn 20 днів тому +1

    좋은 강좌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전기에 대해선 문외한이지만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 가끔 올리신 강좌를 보곤 하는데... 혹시 기초 전기관련 서적을 추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기초책 부터 전문서적 ... 어떤 것이든 상관없습니다.

  • @CommentyBoy
    @CommentyBoy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과거에 한전협력업체로 380v 전기계량기를 교체한적이있는데 1 2 상이 쇼트되어 얼굴옆에서 터졌는데 선배들이 380쇼트는 수류탄보다 크다고했는데 정말 죽는줄 알았습니다..
    다행이 살짝 그을린정도였지만 전기가 가장 무서워요.

  • @user-vd1ll2to2p
    @user-vd1ll2to2p 3 місяці тому +1

    천재다

  • @mazenraslan9416
    @mazenraslan9416 Рік тому

    Unfortunately, i do not know chinese, but as an engineer i understood your analysis.
    Good lesson.

  • @user-of5rf7cj6m
    @user-of5rf7cj6m Рік тому +4

    와 준나 유익했다👍👍👍👍👍👍👍👍👍👍👍👍

  • @user-io7qv4cm1n
    @user-io7qv4cm1n Рік тому +1

    그리고 벡터를 왜 배웠는지 느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sg3743
    @sg3743 Рік тому +1

    감사합니다 전기혁명님~^^

  • @Electronics000
    @Electronics000 Рік тому +2

    전기는 잘 배우면 좋고 아름답다

  • @user-bx4mo9fu5q
    @user-bx4mo9fu5q Рік тому +1

    실무에 정말 도움 많이 됩니다!!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혹시 접지저항 측정 하는 영상 부탁 드려도 될까요? 시간 되시면 검토 부탁드려요!

  • @user-qj5vi2zs1d
    @user-qj5vi2zs1d Рік тому +1

    과거 꼰대 분 있어 전기 실무 배우기 힘 듬 요즈음 전기 혁명 같은 분 있어 전기 가 새롭게 다가 오네요 변압기 의 이해도 가 우선 인 듯 실무 교수 할 자격 되심 재미 있습니다 혁신적인 교육 방식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근래에 들어 가장 보람을 느끼게 되는 댓글입니다, 유튜브라는 플랫폼이 있어 쉽게 공유할수있어 저또한 즐겁고 영광입니다.

  • @user-tw6ee2lx9c
    @user-tw6ee2lx9c 3 місяці тому +1

    공업유치원에서 활용해도 될까요?

  • @user-fy3ld8yd4w
    @user-fy3ld8yd4w 3 місяці тому

    안녕하세요
    동영상 잘보았습니다
    변압기 4개를 연결해도
    같은 결과가 나올까요
    예를들어 2차측이 각각 100일때
    결선 중성선이 4개가 물려있고
    양끝에는 2씩 물려 있을때
    400이 나올까요
    결선 방법이 틀렸을까요

  • @eques23
    @eques23 Рік тому +3

    진또배기 전기 엔지니어!!

  • @user-dt3xt5dy8m
    @user-dt3xt5dy8m 6 місяців тому

    궁금점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기기의 회로 전원공급을 위해 변압기 2차측을 통해서 분기하였는데 , 이러한 경우 0 전위에 접지를 하지 않을 경우 어떠한 위험성이 존재할까요? 누전차단기가 있을 경우 작동을 할 수 없는 것은 폐회로 구성이 되지 않아 누설전류를 감지할 수 없는 구조인것은 이해하는데요.~~~접지를 하지 않고, 과전류 및 과부하에 대한 보호장치만 설치해도 되지 않나요?
    감전으로 인한 인체의 위험성이 있을까요?

  • @user-dt8sz7os8y
    @user-dt8sz7os8y Рік тому +1

    미쳐따..

  • @user-lb1bn2wn6g
    @user-lb1bn2wn6g Рік тому +1

    ✌👍

  • @jdk8606
    @jdk8606 Рік тому +1

    오 재미있는 내용이네요.. 그럼 질문 휴대폰 아답타 2개를 직렬로 만들면 승압 되나요?

  • @user-we7lg1if3x
    @user-we7lg1if3x Рік тому

    우와~ 제가 맞췄네요!!

  • @user-cf6jk9sn5k
    @user-cf6jk9sn5k Рік тому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이 실험은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에서 "극성이 일치할 것"의 증명이라고 보면 될까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1

      그렇지 않습니다ㅎ 이 실험은 변압기 병렬운전은 아닙니다. ^^(조만간 다뤄드릴게요, 아마 다담주즘ㅋ)

  • @sung8432
    @sung8432 Рік тому

    정말 감사하게 보고있습나
    Tr의 용량과는 관계가없는 건가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변압기 내부저항과 누설리액, 그리고 퍼센트임피던스만 아주 크게 차이가 없다면 관계없이 동일한 결과가 나옵니다^^

  • @user-xn4rx8yf1b
    @user-xn4rx8yf1b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plz;schematic inverter dc to dc;thanks

  • @user-2co
    @user-2co Рік тому +1

    매우 선형적인 강의군여 ㅋㅋㅋ😂❤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1

      와.. 너무 전문지식적인 전기 답변입니다, 매우 훌륭합니다! 청출어람이네요 허슬러님!^^

  • @djyang7920
    @djyang7920 Місяць тому

    2차단에서 바꿔도 위상은 그대로 인가요?

  • @iyangsentosa7707
    @iyangsentosa7707 Рік тому +1

    Apa keuntungan nya menggunakan 2 trafo?

  • @donghyeokan1509
    @donghyeokan1509 Рік тому +1

    안녕하세요 영상 잘보았습니다~ 변압기 병렬운전 공부했을때 제가 이해한 내용은 단상 극성이 반대면 단락상태이므로 큰 순환전류로 인해 변압기 권선 등에 손상이 간다고 이해했었는데요. 그럼 실험상 변압기 1차측에 순환전류가 생겼을것 같은데 고장은 없었나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해당 영상하고는 관련없는 내용입니다. 해당 영상은 변압기의 '병렬운전'이 아닙니다. 1차만 입력이 병렬이고 2차는 전압의 벡터 합성입니다. ^^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변압기 병렬과 구조가 다름을 확인해주세요^^ ua-cam.com/video/d_5aiRIgn5U/v-deo.html

    • @donghyeokan1509
      @donghyeokan1509 Рік тому +1

      네 감사합니다~!

  • @MarkPrince1317
    @MarkPrince1317 Рік тому +1

    Ok

  • @McLexYaYa
    @McLexYaYa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전기혁명님 만큼 알면
    연봉 얼마받고 일할수있는지 궁금합니다

  • @user-be4kv2ec2y
    @user-be4kv2ec2y Рік тому +1

    그리고 18.4V가 나온건. V1:V2=N1:N2=I2:I1입니다. V1은 병렬연결이라서 220V로 고정이지만 2차 권선은 직렬연결이라서 권선이 2배가 됩니다. 그래서 2배의 전압이 나오는겁니다. 벡터의 합이 아닙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면도날같이 예리한 지적이십니다ㅎ 그러나 흥미롭게도 영상의 결선과도 같은 상황(18.4의 경우) 즉, 두 개의 변압기가 현재 결선상황에서 말씀하신 V1:V2=N1:N2=I2:I1를 만족 또는 적용하려면 1차는 오직 1번 변압기만 존재할 때와(220V입력) 2차는 1번 변압기와 2번 변압기가 동시에 직렬로 (언급하신) N2만큼(즉, 1번변압기의 2차 Na번 권선수와 2번 변압기의 2차 Nb번 권선수의 합인 Na+Nb를 말함) 존재할 때여야만 합니다. 즉, 말씀하신 해석으로는 (등가적으로 표현하자면) 어떤 변압기 하나가 있는데 1차가 220V(V1), 2차가 18.4V(V2)인 변압기와 똑같은 것이 됩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ua-cam.com/video/WxP1Aw6E-ZM/v-deo.html 이 영상을 보시면 변압기 2차에서 생성된 두 개 이상의 유기기전력이 직렬로 연결될 때 벡터합으로 합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

    • @user-be4kv2ec2y
      @user-be4kv2ec2y Рік тому +1

      전압은 2점의 전위차에 대한 차이입니다. 설명처럼 변압기를 결선하면 전원상을 L1이라고 중성선을 N이라고 한다면
      변압기에서 출력될 수 있는 위상은 L1의 위상뿐입니다. L1과 다른 한선의 전압은 9.2V가 나오겠지만 변압기 1의 L1과 변압기2의 L1은 동상입니다. 그래서 L1끼리 전압측정하면 동상이므로 0V가 나오는 것입니다. 벡터의 위상이 반대라서 0V나오는 게 아닙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통찰력이 깊은 말씀이십니다. 하지만 말씀하신 내용을 제가 보니 그 유명한 의 결선모델과 조금 헷갈려하시는 것 같습니다. 밤이 깊어서 일단 푹 주무시고 내일 다시 답변 올리겠습니다(혁명님은 직장인입니다ㅎ) :)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자기전에 위 답변에 이어 링크 걸어드리겠습니다.^^ 의 그 병렬권선과는 분명 차이가 있습니다. ua-cam.com/video/d_5aiRIgn5U/v-deo.html

  • @nonono4380
    @nonono4380 13 днів тому

    그럼 2차측 직렬 결선시 한쪽 방향을 다시 바꿔주면 18.2V 나오나요?

  • @sinmu858
    @sinmu858 Рік тому +3

    유튜브 영상이나 이런 직관적인거 모아서 책으로 만들어주시면 안되나요..
    가끔씩 유튜브 렉걸리거나 그런곳에서 보기 힘들어서 책 들고 다니고싶네요 ㅎ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2

      구독자 10만 때부터 책을 출판하려고 하고 있어요ㅎ 기대 많이 해주세용!~

    • @sinmu858
      @sinmu858 Рік тому +2

      @@electric_revolution 흔한 공식,전기기사 그런 내용이 아닌 전기혁명님 유튜브 내용만 담아도 아이덴티티가 확실한 의외로 전공서같은게 아닌 아이들도 재미로 볼수있는 전기기초과학 바이블이 될지도모르겠네요 ㅋㅋ

  • @user-sm2vg9qs7j
    @user-sm2vg9qs7j Рік тому

    안녕 하세요. 전기혁명님.항상 좋은정보 감사 합니다.
    한가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현재 전기 작업중인 오래된 빌라가 있는데 접지는 되어 있지 않은 사항입니다.
    천장등 스위치 채널 추가 작업을 하려고 전선 포설 작업을 하였습니다
    즉 4채널 스위치 중에서 1채널만 전등과 연결 된 상태이며 나머지 3개 채널의 전선은 CD관에 넣고 전등과는 연결 하지도 않고 또한 스위치 와도 연결을 하지 않은 상태 입니다.
    하지만 1개 채널만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을 켜면 CD관에 있는 전선 중 1가닥을 검전기 로 체크 시 전기가 흐르는 것으로 삐삐 거립니다. 또한 스위치를 끄면 삐삐거리 는 것이 멈춥니다.
    어떠한 이유에서 그런지요??
    그리고 분전반에서 핫상과 중성선 검전기로 체크시 모든선이 삐삐 거립니다..이것 또한 궁금 하네요..
    많은 고민을 하다가 원인을 몰라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전기혁명님 고민해결 부탁 합니다..

  • @Jo-CH
    @Jo-CH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아래 변압기 1차측을 뒤집지 않고 아래 변압기 2차측을 뒤집어도 0V가 되나요??

  • @9905000
    @9905000 Рік тому

    Like same method pararell batrai - + - +

  • @user-nv8ot9cc5w
    @user-nv8ot9cc5w Рік тому

    2차측도 바꿔어서도 해봐야죠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1

      훌륭한 질문입니다, 잘 이해하셨듯이, 1차측 입력이 같을 때 2차측 결선 하나를(변압기 하나만) 바꿔도 0V가 나옵니다. :)

  • @dbllqp
    @dbllqp 8 місяців тому

    0V여도 손으로 잡으면 감전되나요.?

  • @Rhuffy
    @Rhuffy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전류자체가 아무리 높아봤자 10V면 감전 안됩니다;;;; 당연한거임:;;;; 대신 감전이 아닌 화재나 열로 인한 화상이 문제인거고. 국제표준으로는 SELV 라고해서 24V정도까지를 인체 감전의 리미트로 보고 있습니다. 이때는 감전이 아닌 화재를 걱정해야합니다
    반대로 6600V ?
    전압이 높아도 전류(또는 누설전류)가 현격히 낮으면 위험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동영상에서 나온 10mA라는 수치는 국제 수치로 보면 리미트를 초과합니다... 6600V이어도 어떻게 만지느냐가 중요합니다. 안만지면 전류가 당연히 안흐르는거고.. 손가락하나 접촉하는거와 양손으로 잡는거랑 엄청다르겠죠.. 우리몸도 저항(약500~1000옴)입니다. 저항을 어떻게 연결하느냐와 애당초 그 전압소스가 DC 인지! AC인지, 방전펄스인지 등등등 엄청 고려할게 많아요.
    최종 결론: 감전만 이야기하면 일단 전압이 위험하다. 전류를 더 흐르게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
    근데 애당초 전압이 낮으면 절대 감전은 안됨!!!!!!!
    쉽게말해서
    전압은 원인 / 전류는 결론
    질문자체가 이상한거지:;;;;
    뭐가 더 위험한게 아니라 원인과 결과의 문제인거다.
    가전제품. IEC 60335-1
    정보통신제품. IEC62368-1
    안전 규격을 보면 결국 공통점은 working voltage 가 높으면 일단 만지지 못하게 절연 기준이 다 있습니다.

  • @user-be4kv2ec2y
    @user-be4kv2ec2y Рік тому +1

    실제로 전원공급장치가 있어서 V1, V2 2개의 전원을 가지고 직병렬 연결이 가능하여서 전원측도 부하측처럼 직병렬로 전원 공급을 해서 실험을 해보세요. 지금과 다른 결과가 나옵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흥미로운 이상실험(thought experiment)을 제안하셨네요^^ 하지만 말씀하신 대로 실험을(감극성 변압기 2대가 있을 때 1차를 직렬연결한 후 1차에 220V를 인가하고 2차를 직렬연결했을 때 2차 양 단자의 전압은?) 한다면 2차는 9.5V가 나오게 됩니다. ua-cam.com/video/WxP1Aw6E-ZM/v-deo.html 영상의 3:17초부분을 보시면 풀이과정을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즉, 이 경우에도 벡터의 합으로서 계산됩니다. :)

    • @user-be4kv2ec2y
      @user-be4kv2ec2y Рік тому +1

      그럼 질문 있습니다.
      건전지 2개의 직렬연결한 벡터의 합과 병렬 연결한 전압의 크기를 설명해 주세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건전지 2개를(각각 1V와 2V라고 해보겠습니다) 직렬연결한것은 3V가 되며 병렬연결한것은 2V가 됩니다. 하지만 흥미롭게도 직류의 전원은 교류와 달리 벡터의 합은 아닙니다. ^^

    • @user-be4kv2ec2y
      @user-be4kv2ec2y Рік тому

      @@electric_revolution 3분 17초에 나오는 전압의 위상은 V1과 V2는 서로 다릅니다. 위상차에 따른 벡터합이므로 제 질문에 대한 답이 안됩니다.

  • @bsy9383
    @bsy9383 22 дні тому +1

    전기혁명님!
    진심 감사 드립니다.
    2차측 공통 단자에 중성선과 활선이 접속 되는데 단락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22 дні тому

      아주 쉽게 말해 220V-220V=0V이기 때문입니다.

    • @bsy9383
      @bsy9383 22 дні тому

      ​​@@electric_revolution
      오~~
      감사합니다. 교수님!
      허접한 질문 임에도 소홀함이 없으시군요.

  • @user-be4kv2ec2y
    @user-be4kv2ec2y Рік тому +1

    전기혁명님. 설명에서 잘못된게 있어요.
    위상이 반대가 아니라 동상이라서 0전위가 나온겁니다. 쇼트시킨 선을 오실로 스코프로 찍어보세요.
    2개의 파형을 비교하면 동상으로 나옵니다.
    벡터의 방향으로 설명하는 건 맞지 않아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원리를 파헤치는 날카로운 통찰력이십니다ㅎ. 뛰어난 추리라고 저도 생각이 들지만 단일 회로에서(또는 단일(하나의) 도체 내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임의의 두 개의 상 즉, 우리가 '동상(같은 위상)'이라고 부를 수 있는 두 개의 전압원이 존재할 때 두 전압원은 중첩하여 증폭(영상의 테스터기 측정과 같은 18.4)하며, 서로 반대의 위상으로 나아갈 때 비로소 합성 제로(0)가(영상의 테스터기 측정과 같은) 됩니다. 즉, 전자는 '보강간섭'하며 후자는 '상쇄간섭'을 하며 중첩합니다. 보강도 상쇄도 사실은 모두 중첩의 효과입니다. 혹시 제가 놓친 부분이 있을까요? ^^

  • @HiiiiiiiiiiHiiiiiiiiiiii
    @HiiiiiiiiiiHiiiiiiiiiiii 9 місяців тому

    전원 넣러준 상태에서 변압기 외함 손으로 만지면 안되나요?

  • @user-xn4rx8yf1b
    @user-xn4rx8yf1b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try to design shematic circuit

  • @michaelcho804
    @michaelcho804 Рік тому +1

    오실로스코프로 파동 보여주면 더 좋았겠내

  • @jayj3371
    @jayj3371 3 місяці тому +1

    하버드 물리학 강연인줄..

  • @TheJeman330
    @TheJeman330 Рік тому +1

    듀얼AC 120Hz를 얻으려면 3포인트 모두 출력하면 돼나요? 감사합니다.

  • @hanaro2904
    @hanaro2904 15 днів тому

    0v가 라니라 39v로 보입니다

  • @user-go8qh1ue7w
    @user-go8qh1ue7w Рік тому

    음 삼상이아니라 단상이면 벡터합이란 표현보다는 스칼라합이라는 표현이 맞지않을까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2

      방향이 반드시 존재하며, 방향을 반드시 고찰해야하므로 벡터합이 맞습니다. 스칼라합이라고 표현하면 안됩니다. :)

    • @user-oz7kk2dc4r
      @user-oz7kk2dc4r Рік тому

      엄밀히 따지면,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크기와 방향을 나타내는 벡터라고 할 수 없지만,
      위상을 방향이라고 해도 해석하는데, 무방하므로 벡터라고 할뿐입니다. 편의상 벡터라고 부를뿐입니다.

  • @user-fm5go7xq1g
    @user-fm5go7xq1g 11 місяців тому

    0볼트니까 손으로 잡아도 괜찮죠?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11 місяців тому

      안됩니다^^ 큰일납니다.

    • @zeroday1469
      @zeroday1469 6 місяців тому

      @@electric_revolution 0V인데 왜 손으로 잡으면 큰일나는건가요..? 너무 궁금합니다

  • @user-en8qu2vi7p
    @user-en8qu2vi7p Рік тому +1

    2차측 위상이 반대로 나와야 하는거 아닌가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1

      헷갈려하신듯 합니다, 마음속에 작은 거울이 하나 있어서 그렇습니다. :)

  • @user-uq8fw5ci9l
    @user-uq8fw5ci9l Рік тому +1

    안녕하세요! 궁금증이 있어 글을 남겼습니다!! 블로그 안부글 확인부탁드립니다

  • @user-bs7th7dl7h
    @user-bs7th7dl7h Рік тому

    질문입니다. 결과에는 변함없지만 트랜스 2차 파형이 1차와 반대로(역기전력)나오는거 아닌가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1

      ㅎㅎㅎ 매우 좋은 질문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이 정확히 제가 다음주에 강의할 내용입니다. 기대 많이 해주세요! ^^(스포 조심)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힌트를 드리자면, 문섭님 마음속에 거울이 있어서 그렇습니다. :)

    • @user-bs7th7dl7h
      @user-bs7th7dl7h Рік тому

      ​@@electric_revolution항상 좋은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 @user-bs7th7dl7h
      @user-bs7th7dl7h Рік тому

      전기혁명님 덕분에 열공하던 열정?이 살아나는듯해요. 단순 유기기전력의 방향만 생각했던 바보스럼이 부끄럽네요. 감극성-> 같은방향코일(스포주의) ..여기까지만 하고 담 강의 기다리겠습니다.

    • @deoksookim235
      @deoksookim235 Рік тому

      코일이 직렬로 연결되었으니 단자 a, b 순간 순간 어떻게 파형이 나올지 고민하시면 될 듯. ^^

  • @user-kn9vf6ic3o
    @user-kn9vf6ic3o Рік тому +1

    안녕하세요 혁명님의 지식을 빌리고자 댓글을 달아봅니다..도와주세요ㅜㅜ
    쇼핑몰에 있는 분전반입니다... 메인 mccb 50A. 차단기인데 메인 차단기의 부하용량 및 여유율을 알고싶습니다... 솔직히 말씀 드리자면. 제가 아는 얇은 지식한에서 계산을. 했지만 확신할수없어 이렇게 자문을 얻고자 합니다...급해서요.......부탁드립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1

      자세한 계산법이 있으나 급하시니 요지만 말씀드리자면 이 분전반의 총전기용량은 30kVA이며(단,3상차단기일때), 이 용량을 다 써서는 안되며 이 용량의 약 80프로인 24kVA까지 쓰는것이 일반적으로 안전합니다. 물론 부하의 종류(L부하, R부하 따위)에 따라 피크전류의 크기에 따라 여유율은 달라질수있지만 보통 80프로면 됩니다.^^

    • @user-kn9vf6ic3o
      @user-kn9vf6ic3o Рік тому +1

      @@electric_revolution ㄱㅅ합니다~~~^^

    • @runa0083
      @runa0083 Рік тому +1

      이거 오공이 상공을 난다 맞죠 😅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1

      @@runa0083 와ㅋㅋㅋ청출어람!♡

  • @Kimyoungho7777
    @Kimyoungho7777 Рік тому

    변압기 1차와 2차간 위상차이가 나야되는거 아닌가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다음편에 공개됩니다.ㅎㅎ 기다리실까 힌트를 드리자면, 유타님 마음속에 작은 거울이 하나 있어서 그렇습니다. :)

    • @user-oz7kk2dc4r
      @user-oz7kk2dc4r Рік тому +1

      감극성 기준으로는 1,2차 단자 전압이 동상이고,
      가극성 기준으로는 1,2차 단자 전압이
      180도 위상차가 나타납니다.
      사진을 첨부하면 쉬운데, 사진첨부가 안되니 좀 답답하네요.
      쉽게 파악할수 있는 방법은 세로로 긴 철심을 그려넣고, 코일 감는 방향을 2가지로 각각 감아 그리신 후, 자속을 위에서 아래로 동일하게 철심을 쇄교하도록 그리신 후에, 자속의 반대 방향으로 기전력(렌쯔의 법칙)을 그리시고, 양 단자에 부하를 걸었다는 가정하에 전류의 흐름을 파악해보시면,
      감극성과 가극성의 방향이 정반대로 나타나게 됩니다.

  • @elfyuna
    @elfyuna Рік тому

    0V 는 어디에사용되나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4

      0V는 전위가 없으므로 어디에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현장에서 굳이 발생하는 사례가 있다면 이러한 사례를 두고 "오결선"이라고 표현합니다. :)

  • @user-gl7qs8kg3u
    @user-gl7qs8kg3u Рік тому

    1번째는 루트3배 인줄 알았어요3^×92

    • @user-gl7qs8kg3u
      @user-gl7qs8kg3u Рік тому +1

      2번째 변압기가 없어도 0V인가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user-gl7qs8kg3u 아닙니다ㅎ, 변압기 하나만 있으면 입력이 정이든 역이든 그저 2차 변성전압인 9.5V가 나온답니다. :)

    • @user-gl7qs8kg3u
      @user-gl7qs8kg3u Рік тому +1

      @@electric_revolution 감사합니다

  • @user-iw2my8vr9v
    @user-iw2my8vr9v Рік тому +1

    그런데 계기판에는 35v 같은게 나오는데 그건 뭔가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2

      영상에서 어디지점을 말씀하시는건지 시간을 알려주세요

    • @user-rx6uv3rl5v
      @user-rx6uv3rl5v Рік тому +1

      @@electric_revolution 7:50 , 8:31 아 m 가 작아서 안보였네요

  • @neoeobz
    @neoeobz Рік тому +1

    반전시켜 쇼트일 경우 전류의 흐름이 없다. 그럼 무부하 상태랑 같은 부하로 변압기 발열 없이 동일하다고 생각은 되지만 무언가 꺼림직하고 와닿지는 않고 찜찜하네요.

    • @user-oz7kk2dc4r
      @user-oz7kk2dc4r Рік тому +1

      어렵게 생각하실 필요없습니다.
      단상 변압기에서 1차측 단자에 전원을 결선할때, 전원선이 교류지만 편의상 +,- 두선이라 가정한다면,
      1. 변압기 1차측 윗쪽단자에 + 아랫쪽단자에 - 를 결선한 것이고,
      2. 변압기 1차측 윗쪽단자에 -
      아랫쪽단자에 + 를 결산한 것입니다.
      그럼 당연히 2차측 단자는 1번과 2번의 출력이 반대겠죠? 서로 극성이 반대끼리 연결시키면 합은 0이 되는거죠.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2

      @@user-oz7kk2dc4r 저보다 나은 청출어람....ㅎㅎㅎ 감사합니다.

    • @user-oz7kk2dc4r
      @user-oz7kk2dc4r Рік тому

      @@electric_revolution ㅎㅎ

  • @user-en8qu2vi7p
    @user-en8qu2vi7p Рік тому +1

    몰라서 물어보는거에요 시비 거는거 아니에요

  • @michaelcho804
    @michaelcho804 Рік тому

    쏘트를 낼게 아니라 손으로 잡아보지 ㅋㅋㅋ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Рік тому

      ㅎㅎㅎ 어린이들이 혹시라도 보고 따라할까봐 일부러 삭제했습니다.^^

  • @user-sm8py9ti6i
    @user-sm8py9ti6i Рік тому

    9.2v 직류 인데 사인파로 그리는 것이 맞는건인지요?
    잘 몰라서 여쭤봅니다..

  • @user-zz5gx5uw1k
    @user-zz5gx5uw1k 11 місяців тому

    단상모터 구동이 가능할까요?

  • @bati284
    @bati284 Рік тому +1

    감사합니다

  • @user-pe8lm2qk8u
    @user-pe8lm2qk8u 8 місяців тому +1

    감사합니다